KR20020004827A - 멀티 스크라이브 헤드에 의한 스크라이브 방법 및스크라이버 - Google Patents

멀티 스크라이브 헤드에 의한 스크라이브 방법 및스크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827A
KR20020004827A KR1020010032017A KR20010032017A KR20020004827A KR 20020004827 A KR20020004827 A KR 20020004827A KR 1020010032017 A KR1020010032017 A KR 1020010032017A KR 20010032017 A KR20010032017 A KR 20010032017A KR 20020004827 A KR20020004827 A KR 20020004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ibe
scribing
head
heads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8591B1 (ko
Inventor
니시오요시타카
Original Assignee
가코 쓰네히로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코 쓰네히로,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코 쓰네히로
Publication of KR20020004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5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7Scoring tool holders; Driving mechanism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26D3/085On shee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스크라이브 조건이 변하면 시간이 걸리고 복잡한 설정작업이 필요하고 또 동일하지 않은 피치의 스크라이브에는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워크(work)의 가로 사이즈에 대하여 각 스크라이브 헤드가 담당하는 스크라이브 영역을 설정하고 각 스크라이브 영역에 포함되는 스크라이브 대상을 구하여, 제1의 스크라이브 헤드는 제1의 스크라이브 영역에 포함되는 스크라이브 대상 중에서 좌표가 가장 작은 스크라이브 대상을 스크라이브 후보로 선택하고, 그 이외의 스크라이브 헤드에서는 그에 대응하는 스크라이브 영역에 포함되는 스크라이브 대상 중에서 스크라이브가 가능한 것 중에서 좌표가 가장 작은 스크라이브 대상을 스크라이브 후보로 선택하고, 스크라이브 대상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상류측의 스크라이브 헤드에서 하류측으로 소정의 간격 떨어진 위치에 스크라이브 헤드를 대기시키고, 이렇게 하여 선택한 스크라이브 후보를 스크라이브 한 뒤에 스크라이브가 남아 있으면 상기의 스크라이브 동작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스크라이브 헤드에 의한 스크라이브 방법 및 스크라이버{A SCRIBING METHOD BY USE OF MULTI-SCRIBEHEADS AND A SCRIBER PROVIDED THEREWITH}
본 발명은, 복수개의 스크라이브 헤드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스크라이브 방법 및 그 스크라이브 방법을 사용하는 스크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복수개의 스크라이브 헤드를 갖추고 2회의 스크라이브 동작으로 복수개의 스크라이브 라인을 얻는 것으로서는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62-12179호의 「다수개의 표시소자를 얻는 유리 기판 절단방법」이 있다. 이 멀티 스크라이버(multi-scriber)는, 인접하는 스크라이브 헤드 사이의 최소간격이 A인 때에 A이하의 B의 피치로 스크라이브를 할 수 없기 때문에 각 스크라이브 헤드를 2B의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2B의 피치로 스크라이브 하고 나서, 스크라이브 헤드 전체를 B만큼 시프트시켜 스크라이브 하여 2회의 스크라이브 동작으로 피치 B의 스크라이브 라인을 얻고 있다.
그러나 손목시계 등의 작은 액정표시 기판을 자르는 경우에 있어서는, 스크라이브 헤드를 10∼15개나 세트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경우에는, 기판에 따른 스크라이브 조건, 즉 기판 표면에서의 칼날의 높이(파임량)나 칼날 하중 등을 각기 설정해야 하고, 칼날을 바꾸기 위하여 손이 많이간다고 하는 취급상의 문제도 있었다. 또한 기판의 기종이 변하여 스크라이브 피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 별도의 피치 맞춤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 아니되어 기판의 기종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없었다.
또 상기한 「다수개의 표시소자를 얻는 유리 기판 절단방법」에서는 스크라이브 라인은 등간격의 피치가 아니면 안되어 1장의 유리 기판으로부터 각기 다른 사이즈의 기판을 잘라내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최근에 기판의 스크라이브 조건의 설정 및 기판의 기종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멀티 스크라이버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스크라이버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제1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유리 기판에 대한 스크라이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크라이브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4는 도2의 유리 기판을 90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제2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유리 기판에 대한 스크라이브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6은 제3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유리 기판에 대한 스크라이브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테이블 4 : 가이드바
6 : 홀더 지지체 7 : 스크라이브 헤드
8 : 커터휠팁 W : 유리 기판
구비된 복수개의 스크라이브 헤드에 의해 스크라이브를 하는 멀티 스크라이브 헤드에 의한 스크라이브 방법은, 가공대상인 워크(work)의 가로 사이즈에 대하여 각 스크라이브 헤드가 담당하는 스크라이브 영역을 설정하고 각 스크라이브 영역에 포함되는 스크라이브 대상을 구하여, 제1의 스크라이브 헤드는 그에 대응하는 제1의 스크라이브 영역에 포함되는 스크라이브 대상 중에서 좌표가 가장 작은 스크라이브 대상을 스크라이브 후보로 선택하지만, 스크라이브 대상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소정의 위치에 제1의 스크라이브 헤드를 대기시키도록 하고,
제1의 스크라이브 헤드 이외의 제n의 스크라이브 헤드는 그에 대응하는 제n의 스크라이브 영역에 포함되는 스크라이브 대상 중에서 스크라이브가 가능한 것 중에서 좌표가 가장 작은 스크라이브 대상을 스크라이브 후보로 선택하지만, 스크라이브 후보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제(n-1)의 스크라이브 헤드로부터 하류측으로 소정의 간격 떨어져 있는 위치에 제n의 스크라이브 헤드를 대기시키도록 하고,
상기와 같이 선택한 스크라이브 후보를 스크라이브 한 뒤에 스크라이브 후보가 남아 있으면 상기 스크라이브 동작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멀티 스크라이브 헤드에 의한 스크라이브 방법을 적용하는 유리 기판 스크라이버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테이블1은 Y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90도 및 θ회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테이블면에는 유리 기판W가 흡인되어 고정된다. 브리지2는 테이블1상을 타고 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양측의 지지기둥3과 X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바4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홀더 지지체6는 가이드바4에 형성된 가이드5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것이며, 복수의 스크라이브 헤드7는 홀더 지지체6에 설치되고 이러한 각 스크라이브 헤드7의 하부에는 커터휠팁8이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팁홀더9가 설치된다.
상기 각 스크라이브 헤드7는 그 내부에, 커터휠팁8의 파임양을 설정하기 위해서 팁홀더9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기구 및 에어의 공급에 의해 커터휠팁8의 칼날에 압력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기구를 갖춘다. 원하는 압력을 얻기 위해서 가압기구로서 전공(電空) 레귤레이터가 사용된다
본 장치는 멀티 스크라이버의 일례로서 이러한 스크라이브 헤드7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개 구비한다. 각 스크라이브 헤드7는 피니언과 모터를 갖춤으로써 각기 X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이동기구는 리니어-모터를 사용한 것이더라도 좋다. 도1의 지면 좌단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 헤드7를 제1의 스크라이브 헤드(스크라이브 헤드①라고 기재한다)로 하고, 우단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 헤드7를 제5의 스크라이브 헤드(스크라이브 헤드⑤)로 한다. 또한, 스크라이브 헤드의 개수는 5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크라이브 헤드의 개수는 5개 이상 7개 이하가 바람직하고, 스크라이버에 입력되는 각종 스크라이브 데이터를 연산하여 최소 회수로 스크라이브가 종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10, 11는, 워크W에 형성되어 있는 얼라인먼트 마크를 화상으로서 읽어내는 광학장치로서,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대좌12, 13상에 각각 설치되고 카메라 모터Mc(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이들의 대좌12, 13 자신은 X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14에 설치되는 가이드15를 따라 각기 이동한다. 또 카메라10, 11은 초점 조절을 위해 수동조작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모니터16, 17는 카메라10, 11로 얻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스크라이브 헤드7 서로를 접촉시킨 상태로 배열한 때에 인접하는 커터휠팁8 사이의 간격은 45mm 이지만, 스크라이브 헤드7 상호간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 커터휠팁8 사이의 최소 간격이 55mm가 되도록 스크라이브 헤드7의 이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각 스크라이브 라인 사이의 최소 간격은 55mm가 된다.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방법에 있어서의 자세한 스크라이브 동작에 관하여는 이하의 각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1)
도2는 가공 대상인 유리 기판W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유리 기판은 가로370mm X 세로310㎜의 크기를 갖고 있다. 얼라인먼트 마크M은, 도면에서 상단 및 양측에서 각각 10㎜ 안쪽에 있다. 여기에서 Y방향의 스크라이브로서 좌측의 얼라인먼트 마크로부터 10㎜ 더 안쪽의 x = 20㎜의 장소로부터 30㎜ 간격으로 12회의 스크라이브를 하고, 또 X방향의 스크라이브로서 y = 20㎜의 장소로부터 30㎜ 간격으로 10회의 스크라이브를 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3의 플로우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텝S1에서 각종 스크라이브 데이터를 입력한다. 스크라이브 데이터로서는, 유리 기판W1의 사이즈, 얼라인먼트 마크M의 위치, 제1 스크라이브 라인의 위치, 스크라이브 피치(x 및 y방향) 및 각 스크라이브 헤드7 각각에 대한 파임양 및 압력을 입력한다.
스텝S2에서는 5개의 각 스크라이브 헤드7가 담당하는 X방향 및 Y방향의 스크라이브 영역 좌단의 좌표치Xn, Yn을 다음 식에 의해 연산한다.
Xn= (가로(X방향) 사이즈/5) × (n-1)
Yn = (세로(Y방향) 사이즈/5) × (n-1)
X방향의 가로 사이즈는 370㎜이기 때문에
0 ≤ X1 < 74
74 ≤ X2 < 148
148 ≤ X3 < 222
222 ≤ X4 < 296
296 ≤ X5 < 370
이 되고,
Y방향의 세로 사이즈는 310㎜이기 때문에
0 ≤ Y1 < 62
62 ≤ Y2 < 124
124 ≤ Y3 < 186
186 ≤ Y4 < 248
248 ≤ Y5 < 310
이 된다.
스텝S3에서는 X1 ∼ X5의 각 영역에 포함되는 스크라이브 대상이 선출된다. 영역X1에서는, x = 20, x = 50을 지나는 라인이 스크라이브 헤드①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된다.
스크라이브 헤드② : x = 80, x = 110, x = 140
스크라이브 헤드③ : x = 170, x = 200
스크라이브 헤드④ : x =230, x = 260, x = 290
스크라이브 헤드⑤ : x = 320, x = 350을
지나는 라인이 각각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된다.
스텝S4에서는 변수 Q, R의 초기치로서 Q = 0, R = 1이 설정된다. 그리고 스텝S5에 있어서 Y방향의 스크라이브 라인으로서 스크라이브 헤드①에 대한 스크라이브 후보가 있는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는 x = 20, x = 50을 지나는 2개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있지만, 우선 좌표치의 가장 작은 x = 20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스크라이브 후보로 선택되어, 스텝S6에서 첫번째의 스크라이브 데이터로서 데이터 테이블에 보존된다. 이 데이터 테이블은 매 스크라이브 마다 5개의 각 스크라이브 헤드7의 위치 데이터를 기억시켜 놓은 것이다. 또한 각 스크라이브 영역에 할당된 개개의 스크라이브 데이터를 스크라이브 대상으로 정의하고, 스크라이브 대상 중에서 데이터 테이블에 보존된 것을 스크라이브 후보로 정의한다.
스텝S7에서는 스크라이브 헤드②에 있어서의 x = 80, x = 110, x = 140의 스크라이브 대상 중에서 스크라이브 후보가 있는가가 판정된다. 스크라이브 헤드②에서는 스크라이브 대상 중에서 상류측(上流側)의 스크라이브 헤드(이 경우에는 스크라이브 헤드①)의 현재 위치로부터 하류측으로 55m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있는 스크라이브 대상을 우선 골라 낸다. x = 20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 헤드①로부터, x = 80의 스크라이브 대상은 60㎜(≥55㎜)의 하류에 있기 때문에 x = 80, x = 110, x = 140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전부 선택되고, 그 중에서 좌표치가 가장 작은 x = 80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스크라이브 후보로 선택되어 스텝S8에서 첫번째의 스크라이브 데이터로서 데이터 테이블에 보존된다.
스텝S9에서는 스크라이브 헤드③에 있어서의 x = 170, x = 200의 스크라이브 대상 중에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스크라이브 후보가 있는가가 판정된다. x = 80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 헤드②로부터 x = 170의 스크라이브 대상은 90 mm의 하류에 있기 때문에 이 x = 170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스크라이브 후보로 선택되어 스텝S10에서 첫번째의 스크라이브 데이터로서 데이터 테이블에 보존된다.
스텝S11에서는 스크라이브 헤드④에 있어서의 x = 230, x = 260, x = 290의 스크라이브 대상 중에서 스크라이브 후보가 있는가가 판정된다. x = 170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 헤드③로부터 x = 230의 스크라이브 대상은 60mm의 하류에 있기 때문에 이 x = 230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스크라이브 후보로 선택되어 스텝S12에서 첫 번째의 스크라이브 데이터로서 데이터 테이블에 보존된다.
스텝S13에서는 스크라이브 헤드⑤에 있어서의 x = 320, x = 350의 스크라이브 대상 중에서 스크라이브 후보가 있는가가 판정된다. x = 230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 헤드④로부터 x = 320의 스크라이브 대상은 90㎜의 하류에 있기 때문에 이 x = 320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스크라이브 후보로 선택어 스텝S14에서 첫번째의 스크라이브 데이터로서 데이터 테이블에 보존된다.
스텝S15에서는 스크라이브 후보가 그 외에 없는가가 판정된다.
이 시점에서,
스크라이브 헤드① : x = 50
스크라이브 헤드② : x = 110, x = 140
스크라이브 헤드③ : x = 200
스크라이브 헤드④ : x = 260, x = 290
스크라이브 헤드⑤ : x = 350을
지나는 라인이 각각 스크라이브 대상으로 남아 있기 때문에 루프계수R를 증가시켜 R = 2로 설정하여 스텝S5로 되돌아간다.
두번째의 스크라이브 동작용 데이터 추출에서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라이브 헤드①∼⑤는 각각 x = 50, x = 110, x = 200, x = 260, x = 350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스크라이브 후보로 선택되고, 두번째의 스크라이브 데이터로서 데이터 테이블에 보존된다.
이 시점에서,
스크라이브 헤드② : x = 140
스크라이브 헤드④ : x = 290을
지나는 라인이 스크라이브 대상으로 남아 있기 때문에 다시 스텝S15에서 루프계수R를 증가시켜 R = 3으로 설정하고 스텝S5에 되돌아간다.
스텝S5에서 스크라이브 헤드①에 대한 스크라이브 후보가 있는가가 판정되는데, 이 시점에서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 스크라이브 헤드①는 x = -55의 위치 데이터가 데이터 테이블에 보존되고 스텝S7로 진행한다. 스크라이브 헤드②에 대하여는 x = 140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있으므로 스크라이브 후보로 선택되어 스텝S8에서 3회째의 스크라이브 데이터로서 데이터 테이블에 보존된다.
스텝S9에서 스크라이브 헤드③에 대한 스크라이브 후보가 있는가가 판정되지만, 이 시점에서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 스크라이브 헤드③는 x = 140의 위치에 있는 스크라이브 헤드②로부터 55mm 하류의 x = 195의 위치 데이터가 데이터 테이블에 보존되고 스텝S11로 진행한다. 스크라이브 헤드④에 대하여는 x = 290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있어 스크라이브 후보로 선택되어 스텝S12에서 3회째의 스크라이브 데이터로서 데이터 테이블에 보존된다.
다음의 스텝S13에서는 스크라이브 헤드⑤에 대한 스크라이브 후보가 있는가가 판정되지만, 이 시점에서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 스크라이브 헤드⑤는 x = 290의 위치에 있는 스크라이브 헤드④로부터 55㎜ 하류의 x = 345의 위치 데이터가 데이터 테이블에 보존되어 스텝S15로 진행한다.
스텝S15에서는 스크라이브 후보가 그 외에 없기 때문에 다음 스텝S16에서 별도의 루프계수Q가 증가되어 Q = 1로 설정된다.
스텝S17에서는 테이터 테이블에 보존되어 있는 위치 데이터에 따라 각 스크라이브 헤드가 첫번째의 스크라이브 위치로 이동하고 스텝S18로 진행한다.
스텝S18에서는 각 스크라이브 헤드에 소정의 파임양 및 압력을 설정하고 각 스크라이브 헤드가 하강하여 테이블1이 Y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Y방향의 스크라이브가 이루어진다. 다음의 스텝S19에서는 스크라이브가 모두 종료하였는가가 판정된다. 여기에서는 Q =1, R = 3이기 때문에 스텝S16으로 되돌아 간다.
스텝S16에서는 Q = 2로 설정되고 스텝S17에서 데이터 테이블에 보존되어 있는 위치 데이터에 따라 각 스크라이브 헤드가 두 번째의 스크라이브 위치로 이동하고 스텝S18로 진행하여 각 스크라이브 헤드에 소정의 파임양 및 압력이 설정되고 각 스크라이브 헤드가 하강하여 스크라이브가 실행된다. 다음의 스텝S19에서는 Q = 2, R = 3이기 때문에 스크라이브가 모두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정되어 다시 스텝S16으로 되돌아 간다.
스텝S16에서는 Q = 3으로 설정되고, 스텝S17에서 데이터 테이블에 보존되어 있는 위치 데이터에 따라 각 스크라이브 헤드가 세 번째의 스크라이브 위치로 이동하고 스텝S18로 진행하여 스크라이브 헤드② 및 스크라이브 헤드④는 소정의 파임양 및 압력이 설정되고 하강하여 세 번째의 스크라이브가 진행된다. 다음의 스텝S19에서는 Q = 3, R = 3 이기 때문에 스크라이브가 모두 종료했다고 판정된다.
이렇게 하여 스크라이브가 모두 종료하였기 때문에 스텝S19에서 스텝S20으로 진행하여 도2에 나타나 있는 X방향의 스크라이브를 하기 위하여 테이블1이 90도 회전한다. 이 때에 유리 기판W1은 도4에 나타나 있는 방향으로 세트된다. Y1 ~ Y5의 스크라이브 영역에 대하여 스크라이브 설정 및 스크라이브가 실행되는데, 그 때의 동작은 상기한 스텝S4 ~ 19의 반복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에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라이브 헤드①∼⑤는 첫번째의 스크라이브 동작에서 각각 x = 20, x = 80, x = 140, x = 200, x = 260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스크라이브 후보가 되고, 두번째의 스크라이브 동작에서 각각 x = 50, x = 110, x = 170, x = 230, x = 290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스크라이브 후보가 되어 2회의 스크라이브로 X방향의 스크라이브가 종료한다.
[실시예2]
도5는 가공대상인 유리 기판W2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유리 기판은 가로360㎜ x 세로310mm의 사이즈를 갖고 있다. 얼라인먼트 마크M은 도면에서 상단 및 양측에서 각각 10㎜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Y방향의 스크라이브로서 좌측의 얼라인먼트 마크로부터 45㎜의 간격으로 8회의 스크라이브를 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5개의 각 스크라이브 헤드7가 담당하는 X방향의 스크라이브 영역 시작위치Xn이 다음의 식에 의하여 연산된다.
Xn = (가로(X방향) 사이즈/5) X (n - 1)
X방향의 유리 기판 폭이 360㎜이기 때문에
0 ≤ X1 < 72
72 ≤ X2 〈 144
144 ≤ X3 < 216
216 ≤ X4 〈 288
288 ≤ X5 〈 360 이
된다.
스크라이브 헤드① : x = 10, x = 55
스크라이브 헤드② : x = 100
스크라이브 헤드③ : x = 145, x = 190
스크라이브 헤드④ : x = 235, x = 280
스크라이브 헤드⑤ : x = 325를
지나는 라인이 각각 스크라이브 대상이 된다.
첫번째의 스크라이브 동작에서 스크라이브 헤드①∼②는 각각 x = 10, x = 100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스크라이브 후보가 된다. 스크라이브 헤드③에 대하여는 x = 145, x = 190의 2개의 스크라이브 대상에 관하여 첫번째의 x = 145의 스크라이브 대상은 x = 100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 헤드②로부터 45㎜(〈55mm) 밖에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스크라이브 후보가 되지 않고, 대신에 2번째의 x = 190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스크라이브 후보로 된다. 스크라이브 헤드④는, x = 235, x = 280의 두개의 스크라이브 대상에 관하여 첫번째의 x = 235의 스크라이브 대상은 x = 190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 헤드③로부터 45㎜(<55㎜) 밖에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스크라이브 후보가 되지 않고, 대신에 2번째의 x = 280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스크라이브 후보가 된다. 그리고 스크라이브 헤드⑤에 있어서 x = 325의 스크라이브 대상은 x = 280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 헤드④로부터 45mm(<55㎜) 밖에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스크라이브 후보가 되지 않고, 따라서 스크라이브 헤드④에서부터 55㎜의 하류에서 스크라이브 헤드는 대기한다.
이 시점에서
스크라이브 헤드① : x = 55
스크라이브 헤드③ : x = 145
스크라이브 헤드④ : x = 235
스크라이브 헤드⑤ : x = 325
를 지나는 라인이 각각 나머지 스크라이브 대상이 된다.
두 번째의 스크라이브 동작에 있어서는 스크라이브 헤드①에서는 x = 55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스크라이브 후보가 되고, 스크라이브 헤드②에 대한 스크라이브 후보가 없기 때문에, x = 55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 헤드①로부터 55㎜의 하류에서 스크라이브 헤드②가 대기한다. 스크라이브 헤드③에 있어서의 x = 145의 스크라이브 후보는 x = 110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 헤드②로부터 35㎜(<55㎜) 밖에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스크라이브 후보가 되지 않고, 따라서 스크라이브 헤드②로부터 55㎜의 하류에서 스크라이브 헤드③가 대기한다. 스크라이브 헤드④ 및 ⑤에서는 x = 235 및 x = 325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각각 스크라이브 후보가 된다.
이 시점에서
스크라이브 헤드③ : x = 145 를
지나는 라인만이 나머지 스크라이브 대상이 되고, 이 스크라이브 대상은 3회째의 스크라이브 동작에서 스크라이브 후보가 된다.
[실시예3]
도6은 가공 대상인 유리 기판W3을 나타내며, 이 유리 기판W3은 가로370㎜ x 세로310mm의 사이즈를 갖고 있다. 얼라인먼트 마크M은 도면에서 상단 및 양측에서 각각 10㎜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Y방향의 스크라이브로서 좌측의 얼라인먼트 마크로부터 10㎜ 안쪽의 장소로부터 40㎜, 60㎜, 80㎜, 100㎜, 50㎜의 간격으로 6개의 스크라이브를 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5개의 각 스크라이브 헤드7가 담당하는 X방향의 스크라이브 영역Xn은 도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서,
0 ≤ Xl < 74
74 ≤ X2 < 148
148 ≤ X3 < 222
222 ≤ X4 < 296
296 ≤ X5 < 370
가 된다.
스크라이브 헤드① : x = 20, x = 60
스크라이브 헤드② : x = 120
스크라이브 헤드③ : x = 200
스크라이브 헤드④ : 없음
스크라이브 헤드⑤ : x = 300, x = 350
를 지나는 라인이 각각 스크라이브 대상이 된다.
첫 번째의 스크라이브에서 스크라이브 헤드①∼③는 각각 x = 20, x = 120, x = 200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각각 스크라이브 후보가 된다. 스크라이브 헤드④에 관하여는 스크라이브 대상이 없기 때문에 스크라이브 헤드③로부터 55mm의 하류에서 스크라이브 헤드④가 대기한다. 스크라이브 헤드⑤에 대하여는 첫 번째의 x = 300의 스크라이브 대상은 x = 255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 헤드④로부터 45㎜(<55㎜) 밖에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스크라이브 후보가 되지 않고, 대신에 2번째의 x = 350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스크라이브 후보가 된다.
이 시점에서
스크라이브 헤드① : x = 60
스크라이브 헤드⑤ : x = 300
을 지나는 라인이 각각 나머지 스크라이브 대상이 된다.
두 번째의 스크라이브에서 스크라이브 헤드① 및 ⑤는 각각 x = 60, x = 300의 스크라이브 대상이 각각 스크라이브 후보가 되고, 스크라이브 헤드② 내지 ④에 관하여는 스크라이브 대상이 없기 때문에 각각 대기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6에 있어서는 도면에서 유리 기판W3의 좌단을 좌표 0으로 하고 또 좌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스크라이브 헤드①②…로 했지만, 예를 들면 유리 기판W3의 우단을 좌표 0으로 한다면, 복수의 스크라이브 후보로부터 하나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는 좌표가 가장 큰 것을 선택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스크라이브 영역의 일부를 이웃의 스크라이브 영역과 겹치도록 설정하더라도 지금까지의 설명에서와 같은 연산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각 스크라이브 헤드7가 접촉하지 않고 스크라이브를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스크라이브 회수가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개략적인 플로우의 변형으로서 각 스크라이브 라인의 위치로부터 우선 겹치는 영역의 어떤 스크라이브 영역에 속하는 것인가를 프로그램 처리로 정하고, 스크라이브 영역의 번호를 지정한다. 그 후에 어떤 헤드를 사용할 것인가를 선택(제1의 영역에서도 제2의 헤드가 사용 가능하다)하는 것이 가능한 처리가 된다. 그 결과 보다 유연한 스크라이브 동작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워크의 가로 사이즈에 대하여 각 스크라이브 헤드가 담당하는 스크라이브 영역을 설정하고, 그들의 각 스크라이브 영역에 있는 스크라이브 대상에서 스크라이브 가능한 후보를 하나씩 선택하여 스크라이브를 한다고 하는 단순한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스크라이브를 하는 것으로서, 이 스크라이브 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기판 스크라이브 패턴이나 같은 간격이 아닌 스크라이브 피치에 대하여도 번거로운 스크라이브 피치 등의 설정이 일체 불필요하여 작업자의 노동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설치되는 스크라이브 헤드의 개수를 5개 이상 7개 이하로 하여 여러 가지의 절단 패턴에 상기한 방법을 적용하여 최소한의 스크라이브 회수로 스크라이브를 완료할 수 있다.

Claims (4)

  1. 구비된 복수개의 스크라이브 헤드에 의해 스크라이브를 하는 멀티 스크라이브 헤드에 의한 스크라이브 방법으로서,
    가공대상인 워크(work)의 가로 사이즈에 대하여 각 스크라이브 헤드가 담당하는 스크라이브 영역을 설정하고 각 스크라이브 영역에 포함되는 스크라이브 대상을 구하여, 제1의 스크라이브 헤드는 그에 대응하는 제1의 스크라이브 영역에 포함되는 스크라이브 대상 중에서 좌표가 가장 작은 스크라이브 대상을 스크라이브 후보로 선택하지만, 스크라이브 대상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소정의 위치에 제1의 스크라이브 헤드를 대기시키도록 하고,
    제1의 스크라이브 헤드 이외의 제n의 스크라이브 헤드는 그에 대응하는 제n의 스크라이브 영역에 포함되는 스크라이브 대상 중에서 스크라이브가 가능한 것 중에서 좌표가 가장 작은 스크라이브 대상을 스크라이브 후보로 선택하지만, 스크라이브 후보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제(n-1)의 스크라이브 헤드로부터 하류측으로 소정의 간격 떨어져 있는 위치에 제n의 스크라이브 헤드를 대기시키도록 하고,
    상기와 같은 스크라이브 후보의 선택을 스크라이브 후보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을 때가지 반복하면서 선택한 스크라이브 후보를 각 스크라이브 및 개개의 스크라이브 헤드에 대응하여 기억시킨 뒤에, 상기 기억된 스크라이브 회수만큼 스크라이브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크라이브 헤드에 의한 스크라이브 방법.
  2. 스크라이브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스크라이브 헤드를 복수개구비하고, 이들의 스크라이브 헤드에 의하여 복수개의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버로서,
    워크의 가로 사이즈에 대하여 각 스크라이브 헤드가 담당하는 스크라이브 영역을 설정하고 각 스크라이브 영역에 포함되는 스크라이브 대상을 구하여, 제1의 스크라이브 헤드는 그에 대응하는 제1의 스크라이브 영역에 포함되는 스크라이브 대상 중에서 좌표가 가장 작은 스크라이브 대상을 스크라이브 후보로 선택하지만 스크라이브 대상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소정의 위치에 제1의 스크라이브 헤드를 대기시키도록 하고,
    제1의 스크라이브 헤드 이외의 제n의 스크라이브 헤드는 그에 대응하는 제n의 스크라이브 영역에 포함되는 스크라이브 대상 중에서 스크라이브 가능한 것 중에서 좌표가 가장 작은 스크라이브 대상을 스크라이브 후보로 선택하지만, 스크라이브 후보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제(n-1)의 스크라이브 헤드로부터 하류측으로 소정의 간격 떨어져 있는 위치로 제n의 스크라이브 헤드를 대기시키도록 하고,
    상기와 같은 스크라이브 후보의 선택을 스크라이브 후보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을 때가지 반복하면서 선택한 스크라이브 후보를 각 스크라이브 및 개개의 스크라이브 헤드에 대응하여 기억시킨 뒤에, 상기 기억된 스크라이브 회수만큼 스크라이브를 하는 제어를 프로그램으로서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스크라이브 헤드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는, 워크 단면(端面)에서 외부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n의 스크라이브 헤드에 있어서의 소정의 간격은, 각 스크라이브 헤드 상호간의 최소 간격에 소정의 길이를 더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버.
KR1020010032017A 2000-07-03 2001-06-08 멀티 스크라이브 헤드에 의한 스크라이브 방법 및스크라이버 KR100718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00920 2000-07-03
JP2000200920A JP4509316B2 (ja) 2000-07-03 2000-07-03 マルチスクライブヘッドによるスクライブ法およびスクライ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827A true KR20020004827A (ko) 2002-01-16
KR100718591B1 KR100718591B1 (ko) 2007-05-15

Family

ID=18698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017A KR100718591B1 (ko) 2000-07-03 2001-06-08 멀티 스크라이브 헤드에 의한 스크라이브 방법 및스크라이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09316B2 (ko)
KR (1) KR100718591B1 (ko)
CN (1) CN1248979C (ko)
HK (1) HK1041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828B1 (ko) 2005-07-20 2007-02-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멀티 절단 시스템
JP2007069477A (ja) * 2005-09-07 2007-03-22 Citizen Seimitsu Co Ltd スクライブ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て製作した表示板
KR100863438B1 (ko) * 2006-05-08 2008-10-16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다축 동기 제어를 이용한 스크라이브 장치 및 그 방법
CN101754840B (zh) * 2007-06-06 2013-03-27 三星钻石工业株式会社 多头搭载划线装置及刀片保持器的自动更换系统
TWI435850B (zh) * 2008-01-23 2014-05-01 Mitsuboshi Diamond Ind Co Ltd Scribing device and scribing method
CN101234848B (zh) * 2008-02-27 2011-06-15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基板切割裂片装置及方法
TW201008887A (en) * 2008-06-25 2010-03-01 Mitsuboshi Diamond Ind Co Ltd Scribing apparatus
KR101331813B1 (ko) * 2008-10-09 2013-1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JP5173885B2 (ja) * 2009-02-24 2013-04-03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スクライブ装置及びスクライブ方法
JP5643737B2 (ja) * 2011-10-04 2014-12-17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マザー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
CN104723314A (zh) * 2015-03-19 2015-06-24 吴江市菀坪宝得利缝制设备机械厂 一种多功能缸体划线台
KR102067988B1 (ko) * 2017-09-29 2020-01-20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스크라이빙 방법
CN111055256A (zh) * 2019-12-30 2020-04-24 湖南三一快而居住宅工业有限公司 双头划线装置和双头划线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1813A (ja) * 1991-10-22 1993-05-07 Mitsubishi Heavy Ind Ltd 多軸工具ヘツドの位置決め機構
JP3184284B2 (ja) * 1992-02-27 2001-07-09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ガラス板供給装置
JP2916046B2 (ja) * 1992-07-29 1999-07-0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の製造装置
JPH08133772A (ja) * 1994-11-07 1996-05-28 Bando Kiko Kk ガラス板の折割用の切線形成装置
JPH09255350A (ja) * 1996-03-22 1997-09-30 Bando Kiko Kk ガラス板のカッタ装置
JPH11343133A (ja) * 1998-03-31 1999-12-14 Shirai Tekkosho:Kk 板ガラスの切断装置
KR20000043562A (ko) * 1998-12-29 2000-07-15 김영환 스크라이브 헤드의 위치 보정 방법
JP4249373B2 (ja) * 2000-05-16 2009-04-02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脆性材料のクロススクライブ方法
KR20050113918A (ko) * 2004-05-31 2005-12-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스크라이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의 절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09316B2 (ja) 2010-07-21
HK1041683A1 (en) 2002-07-19
CN1331057A (zh) 2002-01-16
JP2002020133A (ja) 2002-01-23
KR100718591B1 (ko) 2007-05-15
CN1248979C (zh)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591B1 (ko) 멀티 스크라이브 헤드에 의한 스크라이브 방법 및스크라이버
US8232502B2 (en) Laser engraving of ceramic articles
JP2009006715A (ja) 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863438B1 (ko) 다축 동기 제어를 이용한 스크라이브 장치 및 그 방법
EP2551042B1 (en) Machine tool
CN102814563A (zh) 使工件倾斜进行锥度加工的电火花线切割加工机
JP2011183452A (ja) 鋼板等の切断方法および切断装置
CN104097027A (zh) 一种oled金属掩膜板的制作方法
CN103567459B (zh) 具有非回转曲面的工件
CN208069092U (zh) 一种用于在钢板上印字划线喷码的一体化装置
JP5221458B2 (ja) スプレーロボットにおけるスプレー移動経路生成方法及びスプレー移動経路生成装置
KR101487397B1 (ko) 곡판 자동절단시스템
JP2005242125A (ja) 電気光学表示パネル製造用の多面取り基板
JP2005025182A (ja) 液晶パネル及びその露光方法
KR960016550B1 (ko) 스티프너 가공방법 및 그 장치
WO2004113242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ennzeichnung von flachglasscheiben
EP1186973A3 (en) Supervisor for a hollow glassware production line
CN108274888A (zh) 一种用于在钢板上印字划线喷码的一体化装置
JPH0775911A (ja) 鋼板の自動切断方法
JP2008116996A (ja) 製造支援装置、製造支援データの編集方法、製造支援用プログラム、ならびに工作機械および工作システム
JPH11221630A (ja) 板材加工機における金型取付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金型取付位置表示具並びにその表示具の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
KR0176275B1 (ko) 스티프너 가공방법 및 그 장치
JPH0780639A (ja) 鋼板切断装置及び鋼板切断方法
CN102310402A (zh) 一种数控平板板材点孔机
CN215787823U (zh) 一种箱梁腹板钢筋的焊接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