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2491A - 자동차 도어 테두리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테두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2491A
KR20020002491A KR1020017013481A KR20017013481A KR20020002491A KR 20020002491 A KR20020002491 A KR 20020002491A KR 1020017013481 A KR1020017013481 A KR 1020017013481A KR 20017013481 A KR20017013481 A KR 20017013481A KR 20020002491 A KR20020002491 A KR 20020002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door
area
punched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티네즈모랄프란시스코사비에르
곤잘레스질욜란다
마르코스곤잘레스케사르
귀에로미셸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그루포 안톨린-인제니리아 에스.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24421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0249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그루포 안톨린-인제니리아 에스. 에이.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2000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249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75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comprising removable or hing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87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integrating other function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두리(1)와 도어를 구비한 조립체에 사용 가능하고, 그에 따라 테두리(1)는 그 측면에서 볼 때 구멍을 생성하는 펀치된 영역(8)을 구비하고 적어도 모터의 가장 중요한 부품들을 갖고 있다. 모터는 조립하는 동안이나 기능을 다할 동안 조립체의 건조한 영역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테두리{DOOR TRIMMING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그 자체와 결합하여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윈도우 와인더 개체의 모터는 개체와 연결되어 있는 자동차용 도어 테두리에 관한 것이다.
예전의 시스템에서 자동차 윈도우 와인더 개체의 모터는 문 안쪽, 즉 자동차의 승객 좌석부를 형성하는 도어 내부라이너의 금속판 시트로 고정되거나 조여진다. 도어에 설치된 다른 구성요소는 보통 이 판에 고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자동차 내부에서 볼 수 있는 내부 미적 라인이나 테두리는 이 판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예전에는 도어에 포함되어 있었던 몇 개의 구성요소와 그 기능들을 하나의 부품이 구비한 모듈 솔루션을 생산하고 있는 추세이다. 시판되고 있는 플라스틱, 금속, 혼합 등의 모듈 중에서 모터는 도어의 기본 구조물에 고정되거나 조여져 있는 모듈에 고정되어 있다.
예전의 도어 내부 라이너는 연기나 먼지의 유입에 노출되어 습한 구역이었다. 이 때문에 내부 라이너는 물과 먼지가 자동차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막아, 패널의 외부에 물이 들어오는 통로를 막아주는 절연 물질을 설치함으로써 패널을 보호하고, 판에 고정되어 있는 막을 통하여 도어의 내부 금속판과 패널 사이에 건조한 영역을 형성하는 다양한 방수 시스템 뿐 아니라 물이 빠져나가도록 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윈도우 와인더 개체의 모터를 포함한 도어 내부 라이너에 설치된 구성요소들은 습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어, 물기와 접촉하게 된다.
예전의 시스템에서는 모터가 시트판 또는 모듈에 고정되어 있는 것과 상관없이 이러한 환경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시장에 나와 있는 형태의 모듈은 그 외부에서 도어의 내부에 고정되거나 조여져 있고, 도어 내부 라이너의 내부를 승객좌석으로부터 완전히 격리시킨다. 마찬가지로 건조한 영역은 이 모듈과 도어 테두리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이 테두리에 모듈에 포함되어 있는 몇 개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다.
드럼과 윈도우 와인더 시스템의 케이블이 설치된 드럼커버는 습한 영역에 위치하는 반면, 이 모터의 부품, 즉 전자부품과 모터 감소 시스템을 설치하는 건조한 영역이 사용된다. 모터 개체가 건조한 영역에서 습한 영역으로 통과하게 되는 구멍을 통해 방수 처리하여 점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예전의 기술들은 몇 가지 단점들을 갖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모터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도어 패널을 제거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필요한 수밀도를 획득하기 위해서 몇 가지 구성요소들을 사용해야 한다. 이 시스템의 단점 중 하나는 패널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미리 조립하려면 몇 가지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윈도우 와인더 개체의 모터를 지원하는 테두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테두리에서 모터는, 습한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을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줄일 수 있는 건조한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리 조립된 윈도우 와인더 시스템을 구비, 일련의 기능들을 보다 쉽고 빠르고 인간공학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테두리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널의 미리 조립된 기능들을 생산자의 자동차 도어 라인에서 제거, 생산자를 위한 시간과 공간을 절약하게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적은 구성요소로 모터를 방수 처리함으로써 보다 가볍고 경제적인 도어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도어 패널을 제거하지 않고, 도어 테두리의 하나 혹은 몇 부품들만 제거하여 모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윈도우 유리판이 윗 부분에 결렸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들을 막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 테두리를 특허청구한다. 이 도어 테두리는 윈도우 와인더 개체를 도어에 조립하는 동안, 그리고 기능의 수명이 다 할 때까지 윈도우 와인더 개체의 모터를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터는 조립 시 테두리에 연결되어 이 테두리에, 혹은 테두리를 통한 강철판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시에 모터를 포함하는 테두리는 모터를 건조한 영역에 보관하고, 고정된 것과는 상관없이 이 모터는 테두리 패널의 보이는 측면 혹은 외부에 결합되며, 적어도 상기한 테두리의 한 부분은 모터를 내장하게끔 고안됨과 동시에 이 부분이 쉽게 제거될 수 있게 하여 윈도우 와인더가 파손될 경우 모터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도어 테두리는 그것을 구성하는 물질과 상관없이 그 보이는 측면에 (탭으로 가공된) 구멍이 뚫려 있는데, 이는 자동차 윈도우 와인더의 모터와 적어도 하나의 모터 감소기 및 그 전자부품을 저장하기 위해서이다. 이 펀치된 영역은 모터의 전자 박스를 도어 배선에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의 박스를 형성한다.
배선의 통로는 테두리의 보이지 않는 측면부터 보이는 측면, 즉 모터가 장착되어 있는 펀치된 영역(박스)의 내부에까지 이르는데 이때 펀치된 영역의 구멍을 통과하게 된다. 이 때문에 방수밸브 혹은 그와 유사한 시스템이 사용되며 그 구멍은 필요한 방수장치를 보장해 준다.
그 안에‘박스’를 생성하는 펀치된 영역은 내부에 건조하게 보관되는 구성요소들을 완전히 분리시키는 건조한 영역을 생성한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르면 테두리의 또 다른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은 그 외부면에 위치하여, 자동차 승객좌석의 내부, 펀치된 영역 위에서 볼 수 있으며, 또한 펀치된 영역에 있는 조립체를 내장하고 있다. 테두리의 이 두 번째 부분은 열고 닫기가 용이한데 이는 후에 설명될 것이다.
발명의 내용에 있어서 다음 두 가지 실용적인 해결책이 고려, 주장된다. 즉,
A.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모터 감소기, 그의 전자부품과 커넥터를 테두리의 펀치된 영역, 혹은 탭으로 가공된 영역에 의해 생성된 건조한 영역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
B. 모터의 전자 박스를 도어 배선에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한 윈도우 와인더 개체의 모든 부품들을 테두리의 펀치된 영역, 혹은 탭으로 가공된 영역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
A의 경우, 펀치된 영역은 커넥터 뿐 아니라 모터 감소기와 그의 전자부품을 구비하고 있다. 모터 배선은 펀치된 영역을 통과하는 구멍을 통해, 그 영역의 내부까지 이어지고 또한 방수밸브를 구비한다.
윈도우 와인더의 케이블이 감긴 드럼은 테두리의 보이지 않는 측면, 펀치된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여 습한 영역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상호연결되는 통로는 테두리와 같은 두께의 구멍을 통해 펀치된 영역에서 이루어지며, 필요한 방수장치는 이미 시판되고 있는 구조적인 방법으로, 모터와 연결된 개스킷과 밸브를 통해 형성된다.
펀치된 영역의 다른 구멍들은 드럼 커버를 모터 조립체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시키거나, 모든 시스템을 도어 패널 혹은 패널과 강철판에 연결시키는 나사나 볼트의 통로를 위해 고안된 것으로, 이 구멍들은 방수장치의 역할을 한다.
드럼과 그 커버는 윈도우 와인더 개체의 케이블을 위한 적절한 출구를 구비하고 있다.
B의 경우, 펀치된 영역은 윈도우 와인더 개체의 모터를 건조한 영역에 장치된 모든 부품과 함께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이 감겨져 있는 드럼이 테두리의 보이는 측면에 위치하고 케이블은 보이지 않는 면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경우, 펀치된 영역은 한 면에 측면출구를 구비하고 있다. 모든 모터는 이 출구를 지나 윈도우 와인더 개체의 나머지 부분을 남겨두고 테두리의 바깥쪽, 즉 모터가 다른 면을 향해 결합되어 있는 곳까지 이어진다.
펀치된 영역의 수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케이블의 드럼 커버의 출구를 위한 누출방지 구멍들은 제외하고 이 측면 출구는 조립체가 작동하는 동안 닫혀져 있어야 한다. 이 때 케이블은 이러한 케이블들을 윈도우 와인더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으로 향하게끔 한다.
이 밸브를 실행시키기 위해서 두 방법이 고려된다. 하나가 방수장치 밸브 혹은 개스켓을 기초로 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구조적인 해결방법이다. 후자의 경우 패널의 다른 부분의 돌출부, 예를 들어 외부에 펀치된 영역과 그 영역 내부에 장치된 조립체를 내장한 돌출부는 측면 입구를 덮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이 B의 경우 A와는 다른 장점이 있는데 윈도우 와인더 개체가 패널에 조립되기 전, 조정이 가능하다는 점이 그것이다.
첨부 도면은 발명의 실질적인 해결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도 1은 펀치된 영역을 닫고 있는 커버를 구비한 테두리의 외부면의 일부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펀치된 영역을 닫고 있는 커버가 없는 테두리의 외부면의 일부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부분적으로 열려져 있는 커버를 구비한 테두리의 보이는 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테두리의 보이지 않는 측면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I-I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발명의 다른 변형으로 테두리의 보이는 측면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테두리의 보이지 않는 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테두리의 보이지 않는 측면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테두리의 보이는 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과 비슷한 사시도이며, 커버가 부분적으로 열려져 있다.
도 1을 보면, 보이는 측면(2)과 그 측면(2)부에서 형성되는 펀치된 (탭으로 가공된) 영역을 덮고 있는 커버(3)를 구비한 테두리(1)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자동차 승객의 좌석내부에서 본 테두리의 외관이다.
커버가 그 위치에서 벗어날 때, 도 2, 펀치된 영역(8)이 박스식으로 보이는 측면(2)에서 형성되는데, 그 내부에서는 모터(4), 전자 박스(5), 고정 점(7)을 구비한 모터 감소기(7)를 볼 수 있다. 전자박스(5) 오른쪽으로는 커넥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보이지 않게 존재하며, 이 커넥터는 전력공급용 케이블을 수신한다.
도 3에 따르면 테두리(1)의 커버(3)는 부분적으로 열려있는 위치에 있으며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부품을 형성하는 패널을 향해 있다.
도 4에서는 상기한 구성요소들을 구비한 펀치된 영역(8)과 함께 패널의 내부 혹은 보이지 않는 측면(11)이 나타나 있다. 이 도면에서는 펀치된 영역(8)의 내부에 장치된 커넥터를 향하고 있는 전자 케이블의 유입을 위한 통로(12) 뿐만 아니라, 드럼의 커버(10)와 윈도우 와인더 개체의 케이블을 수신하는 출구(9)를 볼 수 있다.
도 1에서부터 도 4는 본 발명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몇 개의 부품들은 조립체의 습한 영역에서 위치하며 이 조립체를 형성하는 전형적인 방법은 도 5에 나타나 있다.
여기서, 조립체의 건조한 영역(14)과 습한 영역(15)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테두리(1)의 패널은 건조한 영역(14)을 향하고 있는 외부의 보이는 측면(2)과 습한 영역(15)을 향하고 있는 내부의 보이지 않는 측면(11)을 보여주고 있다.
펀치된, 혹은 탭으로 가공된 영역(8)은 보이는 측면(2)으로부터 형성되고, 외부에 대하여 감춰진 커버(3)는 대응하는 공간을 폐쇄한다. 펀치된 영역의 공간에서는, 습한 영역에 위치하는 드럼(13)과 드럼 커버(10) 뿐 아니라 건조한 영역에 위치하는 모터 감소기(6), 전자박스(5) 등이 구비되어 있다.
커버(10)는 누출이 방지된 상태의 구멍(7)에 의해 펀치된 영역(8)의 기반에 고정되어 있고, 모터의 밸브나 개스켓을 통해 필요한 방수장치를 구비한 모터 감소기 개체의 샤프트(14)도 또한 테두리층을 통과한다.
도 6은 발명에 따른 구조적인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르면 모터와 그 부품들은 보이는 측면(2)에서 생성되는 펀치된 영역(8)의 내부에 장치된다. 도 6은 펀치된 영역에 측면 입구(16)가 설치되어 조립체를 장치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과 도 8의 테두리(1)의 보이지 않는 측면(11)은 상기한 출구(16)가 커넥터와 드럼에 대한 배선을 유입하게 하고, 테두리를 조립하기 전 윈도우 와인더 개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인 배치는 다양한 부품들의 위치를 보다 자세하게 보여주는 도 7에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도 10에서 이 구성요소들의 조립체를 내장한 밸브커버(3)를 볼 수 있다.
이 도면에서 펀치된 영역(8)의 측면입구(6)의 밸브커버는 도시하지 않았다. 이것은 전에 언급한 것처럼 커버(3)나 방수 개스켓, 혹은 상기한 출구를 덮는 밸브와 유사하다.

Claims (8)

  1. 자동차 도어 테두리 위에 장착된 도어와 테두리 패널(1)을 구비한 조립체들에 사용 가능하고, 테두리 패널은 자동차의 승객좌석의 내부를 향해 볼 수 있는 구성요소이며, 이 테두리는 자동차의 내부(14)를 향한 건조한 영역과 외부(15)를 향한 습한 영역간의 경계를 짓는 자동차 도어 테두리에 있어서,
    테두리(1)의 측면(2)에서 보면, 방수펀치된 영역(8)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적어도 모터 감소기(4), 전자 박스(5), 커넥터 등이 설치되어 있어, 이 테두리(1)는 테두리를 도어에 조립하고, 작동하는 동안 건조한 영역에서 구성요소들을 운반하며, 테두리 패널(1)은 펀치된 영역으로 생성된 구멍을 닫는 외부 커버(3)를 구비하고 패널의 측면(2)에서 보면 외부를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테두리.
  2. 제 1항에 있어서,
    펀치된 영역(8)층을 통과하면서 윈도우 와인더 케이블용 코일 드럼(13)과 그 커버(10)는 테두리 패널의 보이지 않는 측면의 습한 영역에 접근해 있고, 커넥터의 케이블 뿐 아니라 커버(10), 모터 감소기 개체(6)의 샤프트(14), 드럼(13) 조립체를 위한 고정용 나사나 볼트가 통과하기 위한 방수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테두리.
  3. 제 2항에 있어서,
    모터 감소기의 커버(10)는 윈도우 와인더 개체의 케이블용 출구(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테두리.
  4. 자동차 도어 테두리 위에 장착된 도어와 테두리 패널(1)을 구비한 조립체들에 사용 가능하고, 테두리 패널은 자동차의 승객좌석의 내부를 향해 볼 수 있는 구성요소이며, 이 테두리는 자동차의 내부(14)를 향한 건조한 영역과 외부(15)를 향한 습한 영역간의 경계를 짓는 자동차 도어 테두리에 있어서,
    테두리(1)의 측면(2)에서 보면 방수펀치된 영역(8)이 형성되어, 습한 영역(15)에 대해 돌출되어 있고, 측면 입구(16)는 펀치된 영역의 한 쪽 면에 위치하여, 펀치된 영역의 내부에는 윈도우 와인더 모터, 모터 감소기(4), 전자박스(5) 커넥터, 코일 드럼(13)과 이 드럼의 커버들의 부품들이 장착되어 있고, 조립체는 입구(16)를 통과하는 펀치된 영역(8)의 내부에 위치하며, 테두리는 테두리를 도어에 조립하고, 작동하는 동안 건조한 영역에서 조립체를 운반하며, 측면입구(16)를 폐쇄하고, 테두리의 측면(2)에서 보면 건조한 영역을 향하고 있는 펀치된 영역의 구멍을 폐쇄하는 외부 밸브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테두리.
  5. 제 4항에 있어서,
    측면입구(16)는 조립하기 전 윈도우 와인더 개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테두리.
  6. 제 4항에 있어서,
    펀치된 영역(8)과 측면입구(16)의 닫힘구에는 누출방지 구멍이 장착되어 있어, 전기 케이블과 드라이브 케이블, 조립체를 테두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의 통로에 적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테두리.
  7. 제 4항에 있어서,
    테두리의 출구(16) 닫힘구는 누출방지 혹은 방수 개스켓이나 밸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테두리.
  8. 제 4항에 있어서,
    테두리의 출구(16) 닫힘구는 외부를 향하고 있는 조립체를 내장한 부분과 유사한 패널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테두리.
KR1020017013481A 2000-02-23 2000-02-23 자동차 도어 테두리 KR200200024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S2000/000064 WO2001062531A2 (es) 2000-02-23 2000-02-23 Guarnecido de puerta para vehículo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491A true KR20020002491A (ko) 2002-01-09

Family

ID=8244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481A KR20020002491A (ko) 2000-02-23 2000-02-23 자동차 도어 테두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722725B1 (ko)
EP (1) EP1213167B1 (ko)
JP (1) JP2003523875A (ko)
KR (1) KR20020002491A (ko)
CN (1) CN1165437C (ko)
AT (1) ATE348723T1 (ko)
AU (1) AU2673200A (ko)
BR (1) BR0009974A (ko)
CA (1) CA2368343A1 (ko)
DE (1) DE60032495T2 (ko)
ES (1) ES2277589T3 (ko)
MX (1) MXPA01010563A (ko)
WO (1) WO200106253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41387B1 (es) * 2002-07-22 2007-02-16 Grupo Antolin - Ingenieria, S.A Dispositivo de montaje de un motor elevalunas y la cinematica asociada.
US8020919B2 (en) 2003-01-07 2011-09-20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Trim door hardware carrier and methods of assembling vehicle door
CA2551572C (en) * 2004-02-06 2012-04-24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Trim door hardware carrier and methods of assembling vehicle door
JP2007237763A (ja) * 2006-03-06 2007-09-20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ドア構造
US20080098655A1 (en) * 2006-10-31 2008-05-01 Jeffrey Valentage Integrated bracket for mounting pulley
DE102008056122A1 (de) 2008-11-06 2010-09-02 Johnson Controls Interiors Gmbh & Co. Kg Aggregatträger einer Fahrzeugtür mit integrierter Funktionskomponente
US8985674B2 (en) * 2011-08-02 2015-03-24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Door trim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9024B4 (de) * 1992-01-17 2005-10-27 Carcoustics Tech Center Gmbh Isolationsteil
DE9408653U1 (de) * 1994-05-26 1994-09-22 Reinshagen Kabelwerk Gmbh Mehrwandige Fahrzeugtür
DE4444406A1 (de) * 1994-12-14 1996-06-20 Brose Fahrzeugteile Kraftfahrzeugtür
JPH08282286A (ja) * 1995-04-11 1996-10-29 Honda Motor Co Ltd 自動車用ドア
JP3067092B2 (ja) * 1995-12-08 2000-07-17 矢崎総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
DE19620148B4 (de) * 1996-05-07 2005-06-30 Sommer-Allibert-Lignotock Gmbh Fahrzeugtür
DE19654956B4 (de) * 1996-06-04 2005-06-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Kraftfahrzeugtür
US6019418A (en) * 1997-07-31 2000-02-01 Lear Corporation Modular vehicle liftgate module
FR2762262B1 (fr) * 1997-04-16 1999-07-09 Rockwell Lvs Module etanche pour porte de vehicule
DE19738656C2 (de) * 1997-09-04 2003-03-27 Brose Fahrzeugteile Fahrzeugtür
FR2799493B1 (fr) * 1999-10-07 2001-11-23 Sai Automotive Sal Gmbh Ensemble comprenant une doublure interieure de portiere de vehicule et un mecanisme leve-vitre fixe a cette doublure
DE19954648B4 (de) * 1999-11-13 2007-10-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tür mit einer in einem Naßraum und einen Trockenraum getrennten Türkarosser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62531A2 (es) 2001-08-30
WO2001062531A3 (es) 2002-04-18
CN1382087A (zh) 2002-11-27
BR0009974A (pt) 2002-03-26
ES2277589T3 (es) 2007-07-16
JP2003523875A (ja) 2003-08-12
DE60032495D1 (de) 2007-02-01
EP1213167A2 (en) 2002-06-12
EP1213167B1 (en) 2006-12-20
AU2673200A (en) 2001-09-03
DE60032495T2 (de) 2007-10-04
MXPA01010563A (es) 2002-11-04
CA2368343A1 (en) 2001-08-30
ATE348723T1 (de) 2007-01-15
CN1165437C (zh) 2004-09-08
US6722725B1 (en) 2004-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5659A (en) Automobile door modular assembly
US6427386B1 (en) Engine-gearbox unit for adjustment devices in motor vehicles
US6185872B1 (en) Vehicle door
US6820919B2 (en) Motor vehicle door
US6185873B1 (en) Mounting structure and regulator for power window apparatus
KR20020002491A (ko) 자동차 도어 테두리
EP1232317A1 (en) Hidden rail type window and door system
US20020005015A1 (en) Door module
EP1169188B1 (en) Door module
JPH08230468A (ja) 自動車用バックドアの防水構造
JPH11227635A (ja) 自動車の遮音構造
CA1332620C (en) Automobile door module assembly
KR100402120B1 (ko) 도어 힌지의 마운팅 보강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사이드 패널
EP1216886B1 (en) Sealing of a vehicle door trim panel with a connector housing
JPH027058Y2 (ko)
JPS6033672Y2 (ja) 車載用スピ−カユニツト
CA2258314A1 (en) Flush-mounted frameless vehicle window
JP2004330851A (ja) 車両のハーネス取付構造
JPS623287Y2 (ko)
JPH05338499A (ja) ドアトリムにおけるドアポケットの取付構造
KR012571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글래스 가이드 취부구조
KR19980030573U (ko) 자동차 환기장치용 에어크리너 커버 실링구조
JPH04157591A (ja) 自動販売機のコイン返却口
KR20020089697A (ko) 버스 플랩도어의 힌지 조립체
KR19980033822U (ko) 차량용 본네트 힌지브라켓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