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428Y1 - 크레인 운전실의 충격 및 진동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운전실의 충격 및 진동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428Y1
KR200199428Y1 KR2019960041792U KR19960041792U KR200199428Y1 KR 200199428 Y1 KR200199428 Y1 KR 200199428Y1 KR 2019960041792 U KR2019960041792 U KR 2019960041792U KR 19960041792 U KR19960041792 U KR 19960041792U KR 200199428 Y1 KR200199428 Y1 KR 200199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guide bar
cab
cran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761U (ko
Inventor
신종철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60041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428Y1/ko
Publication of KR199800287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7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4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 운전실의 충격 및 진동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실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방에 소정의 길이로 아암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및 아암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설치되어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도록 한 진동흡수기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크레인 운전실의 충격 및 진동방지장치
본 고안은 크레인 운전실의 충격 및 진동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레인 작업시 발생되는 크레인 운전실의 충격 및 진동을 홉수하여 관련 장치부의 내구성 보전 및 설비사고 방지와 운전자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크레인(1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브(12)의 외측면에 운전실고정프레임(14)을 설치하고 이 운전실고정프레임(14)의 하부에는 운전실(11)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운전실고정프레임(14)의 양측 연결부에는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 운전실(11)의 문제점은 주행 기동 및 제동시 운전실(1l)이 관성저항에 의해 진동이 심하게 발생되어 부하물의 안착시 발생되는 충격이 호이스트와이어 로프(15)와 드럼(16) 및 그라브(12)를 통하여 운전실(11)에 강하게 전달됨으로 관련장비의 내구성 저하는 물론 운전자의 피로 가중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크레인 작업시 발생되는 운전실의 충격 및 진동을 방지하여 관련장비의 내구성을 보전하고 설비사고를 방지하여 운전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크레인 운전실의 충격 및 진동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의 특징은 운전실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방에 소정의 길이로 아암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및 아암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설치되어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도록한 진동흡수기를 마련함에 의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크레인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충격 및 진동방지장치를 크래인의 운전실에 설치한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충격 및 진동방지장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충격 및 진동방지장치 요부발췌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진동방지장치본체 20 : 몸체부
21 : 아암 30,30a : 플레이트
40 : 진동흡착기 41 : 고정프레임
42 : 스프링가이드바공 43,43a : 브라켓트가이드바공
44 : 브라켓트 45 : 스프링가이드바
46,46a : 브라켓트가이드바 47 : 롤
48 : 스프링
본 고안은 먼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실(11)의 상부에 다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설치되며 전방에는 소정의 길이로 아암(2l)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상부와 아암(21)의 상부에 고정되어 진동흡수기(40)를 설치하는 각각의 플레이트(30)(30a)와,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30)(30a) 상부 양측에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기(40)를 설치하되 이는 프레이트(30)(30a)상에 고정프레임(41)을 설치하고, 이고정프레임(41)의 중앙에는 스프링가이드바공(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브라켓트가이드바공(43)(43a)을 형성시켰고, 상기 고정프레임(41)의 전방에 설치되며, 후면중앙에 스프링가이드바(45)가 설치되고, 양측에는 브라켓트가이드바(46)(46a)가 설치되며 전방에는 회전가능하도록 롤(47)을 설치하였고 스프링가이드바(45)와 고정프레임(41)의 사이에는 스프링(48)을 끼워서된 브라켓트(44)를 구비시킴으로써 진동방지장치본체(A)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먼저 전방에 소정의 길이로 아암(21)이 형성되고, 운전실(11)의 상부에 설치하도록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된 몸체부(20)를 볼트를 이용하여 운전실(11)의 상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0)와 아암(21)의 선단 상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30)(30a)의 양측에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40)를 설치하되, 이 진동흡수기(4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각각의 고정프레임(41)을 플레이트(30)(30a)의 양측에 설치하고, 상기 플레이트(30)(30a)의 중앙에는 스프링가이드바공(42)을 형성시키며, 이 스프링가이드바공(42)의 양측에는 브라켓트가이드바공(43)(43a)을 형성시켰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고정프레임(41)에는 후방중앙에 스프링가이드바(45)를 설치하였고, 이의 양측으로는 브라켓트가이드바(46)(46a)를 설치하였으며, 전방에는 회전가능하게 롤(45)을 핀 체결하였다.
그리고 스프링가이드바(45)에는 스프링(48)을 끼워넣고 상기 스프링가이드바(45)의 끝단부 즉 고정플레이드(41)의 외측에는 스프링(48)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너트를 체결하였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크레인의 작동시 운전실(11)에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을 스프링가이드바(45)가 스프링 가이드바공(42)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스프링(48)이 압축 및 팽창하여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브라켓트(44)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롤(47)은 스프링(48)에 의하여 가이드레일(17)과 긴밀한 밀착력을 일정하고 긴밀하게 유지시켜 크레인(10)의 횡행이동시 진동흡수기(40)가 크레인(10)의 가이더(12) 내측에 설치된 레일(17)에 밀착되어 레일(17)을 따라 구동함으로 횡행기동중 발생되는 운전실(11)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장치는 크레인 작동시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운전실로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지 않음으로 관련장비의 내구성 보전은 물론 운전자의 작업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운전실(11)의 상부에 다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설치되며 전방에는 소정의 길이 로 아암(21)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상부와 아암(21)의 상부에 고정되어 진동흡수기(40)를 설치하는 각각의 플레이트(30)(30a)와,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30)(30a) 상부 양측에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기(40)를 설치하되 이는 플레이트(30)(30a)상에 고정프레임(41)을 설치하고, 이 고정프레임(41)의 중앙에는 스프링가이드바공(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브라켓트가이드바공(43)(43a)을 형성했고,
    상기 고정프레임(41)의 전방에 설치되며, 후면중앙에 스프링가이드바(45)가 설치되고, 양측에는 브라켓트가이드바(46)(46a)가 설치되며 전방에는 회전가능하도록 롤(47)을 설치하였고, 스프링가이드바(45)와 고정프레임(41) 사이에는 스프링(48)을 끼워서된 브라켓트(44)를 구비시킴으로써 진동방지장치본체(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운전실의 충격 및 진동방지장치.
KR2019960041792U 1996-11-25 1996-11-25 크레인 운전실의 충격 및 진동방지장치 KR200199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792U KR200199428Y1 (ko) 1996-11-25 1996-11-25 크레인 운전실의 충격 및 진동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792U KR200199428Y1 (ko) 1996-11-25 1996-11-25 크레인 운전실의 충격 및 진동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761U KR19980028761U (ko) 1998-08-05
KR200199428Y1 true KR200199428Y1 (ko) 2000-11-01

Family

ID=1947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792U KR200199428Y1 (ko) 1996-11-25 1996-11-25 크레인 운전실의 충격 및 진동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4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761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8813B2 (ja) 建設機械用運転室保護構造
JPH02243831A (ja) バランス装置を備えた車両
JP4763784B2 (ja) 運転室用の衝突時拘束装置を備えたトラック
JPH06293243A (ja) 衝突時乗客保護のための車両用懸架装置
KR200199428Y1 (ko) 크레인 운전실의 충격 및 진동방지장치
JPH09109922A (ja) 運転室を有する作業機
CN210600000U (zh) 一种新能源汽车用减震器
JPH08324967A (ja) クレーンの制振構造
CN212685475U (zh) 一种汽车保险杠用高适用减震衬套
CN111232064A (zh) 一种驾驶室前悬置结构及汽车
KR100206544B1 (ko) 대형 차량용 리바운드 스토퍼 구조
JP2891420B2 (ja) 無人搬送車の障害物衝撃吸収装置
KR100369041B1 (ko) 버스의 리어현가장치
CN216374104U (zh) 一种车辆底盘悬挂结构
KR100316046B1 (ko) 자전거의 충격 완화장치
JPH0542655Y2 (ko)
KR200164830Y1 (ko) 범퍼 완충 장치
KR200449203Y1 (ko)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KR100206543B1 (ko) 대형 차량용 리바운드 스토퍼 구조
KR100482784B1 (ko) 라디에이터 고정구조
KR100365276B1 (ko) 대형차량의 변속기 장착구조
KR19980017187U (ko) 자동차용 댐퍼분리형 서스펜션의 로어 스프링시트
KR200153096Y1 (ko) 고정지지 및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어퍼 댐핑링
KR20160085188A (ko) 트랙터
KR0129420B1 (ko) 자동차의 정면충돌시 엔진 쏠림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