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203Y1 -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203Y1
KR200449203Y1 KR2020080002672U KR20080002672U KR200449203Y1 KR 200449203 Y1 KR200449203 Y1 KR 200449203Y1 KR 2020080002672 U KR2020080002672 U KR 2020080002672U KR 20080002672 U KR20080002672 U KR 20080002672U KR 200449203 Y1 KR200449203 Y1 KR 200449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lift
clamping
shaft
carriage
body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835U (ko
Inventor
황득상
Original Assignee
황득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득상 filed Critical 황득상
Priority to KR2020080002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20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8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8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2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게차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클램프 장치의 유동에 의해 발생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작업 대상물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와, 지게차의 전방에 설치된 캐리지에 상기 클램핑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클램핑부와 결합되면서 몸체를 이루는 몸체단과, 상기 몸체단의 후면 상측 부위에 형성되면서 상기 캐리지의 전면 상측 부위에 결합되는 상부 결합단과, 상기 몸체단의 후면 하측 부위에 탄력 설치되면서 상기 캐리지의 전면 하측 부위에 밀착되는 완충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가 제공된다.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상부 결합단, 완충단, 접시 스프링

Description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device for clamping forklift truck}
본 고안은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게차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클램프 장치의 유동에 의해 발생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고하중의 물건을 하역하거나 근거리 이동에 주로 사용되는 장비이다.
최근에는 상기한 지게차에 사용되는 포크(fork)를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클램프 장치(ingot clamp) 등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더욱 활용 용도가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이때, 통상의 리프팅(lifting)용으로 사용되는 포크를 클램프 장치로 교체하여 사용하더라도 상기 클램프 장치는 승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할 뿐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의 수평 이동도 가능하게 설치된다.
기존의 일반적인 클램프 장치(40)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지게차(10)의 전면에 형성된 마스트레일(20)의 캐리지(3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캐리지(30)의 승강 동작에 의해 승강됨과 더불어 자체적인 클램핑 동작에 의해 파지 대상물을 클램핑 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파지 대상물은 통상적으로 무게가 무거움을 고려할 때 상기 클램프 장치(40)의 상하 유동이 발생되고, 이러한 상하 유동으로 인해 상기 클램프 장치(40)의 각 부위 중 캐리지(30)에 설치되는 부위(41)의 하단이 상기 캐리지(30)에 부딪혀 파손되었던 문제점이 자주 발생되었다.
특히, 상기 클램핑 장치(40)의 각 부위 중 캐리지(30)에 설치되는 부위(41)의 하단에는 상기 클램핑 장치(40)의 일부 구성을 동작시키는 실린더(42)가 구비됨을 고려할 때 상기한 실린더(42)의 일부가 상기 클램프 장치(40)의 상하 유동으로 인해 상기 캐리지(30)와의 부딪힘에 따라 파손 발생이 야기되었던 문제점 역시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지게차의 캐리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클램프 장치의 설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클램프 장치의 유동이 발생되어 캐리지를 충격하더라도 그 충격 진동은 최대한 완화될 수 있도록 하여 파손 발생을 방지하는 새로운 형태의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에 따르면 작업 대상물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와, 지게차의 전방에 설치된 캐리지에 상기 클램핑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클램핑부와 결합되면서 몸체를 이루는 몸체단과, 상기 몸체단의 후면 상측 부위에 형성되면서 상기 캐리지의 전면 상측 부위에 결합되는 상부 결합단과, 상기 몸체단의 후면 하측 부위에 탄력 설치되면서 상기 캐리지의 전면 하측 부위에 밀착되는 완충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캐리지의 전면 상측 부위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지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결합단은 상기 지지축의 양단에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지지축이 관통되면서 상기 지지축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단은 상기 캐리지의 전면 하측 부위 중 양측편에 각각 위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완충단은 선단이 상기 몸체단에 관통되면서 결합되는 관통축과, 상기 관통축의 후단에 외향 단턱지게 형성되면서 배면으로는 수평 방향으로 구름 가능한 롤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설치 프레임과, 상기 관통축에 구비되면서 선단은 상기 몸체단의 후면에 위치됨과 더불어 후단은 상기 설치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대응되게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접시형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관통축의 각 부위 중 상기 몸체단을 관통하는 부위는 외주면의 일부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단 중 상기 관통축이 관통되는 부위는 상기 관통축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축의 원치않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설치 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몸체단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상기 몸체단과의 이격 거리를 결정하는 스토퍼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는 클램핑부의 상하 유동에도 불구하고, 결합부를 이루는 완충단에 의해 상기 클램프 장치의 하단이 캐리지의 전면 하측 부위에 부딪히는 도중 충격이 완화될 수 있음으로써 해당 부위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는 완충단을 이루는 관통축이 원활한 충격 진동의 감쇠를 위해 전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더라도 회전은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관통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클램프 장치의 좌우 이동에 따른 간섭은 발생되지 않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고안의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를 구성하는 완충단의 탄성부재는 복수의 접시 스프링을 서로 대응되게 겹쳐서 설치함에 따라 진동의 감쇠가 더욱 빨리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진동으로 인한 클램프 장치의 유동이 최대한 빨리 제거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고안의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첨부된 도 2 및 도 4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는 크게 클램핑부(100)와, 결합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결합부(200)가 캐리지(30)와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클램핑부(100)는 작업 대상물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부위이다.
이때, 상기 클램핑부(100)는 한 쌍의 클램퍼(110)가 서로 대응되게 벌어지거나 혹은, 오므려 지면서 작업 대상물을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부(200)는 지게차(10)의 마스트레일(20) 전방에 설치된 캐리지(30)에 상기 클램핑부(100)를 결합하기 위한 일련의 구조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결합부(200)가 몸체단(210)과, 상부 결합단(220) 및 완충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단(210)은 상기 클램핑부(100)와 결합되면서 결합부(200)의 몸체를 이루는 부위로써, 전면은 상기 클램핑부(100)의 배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몸체단(210)은 상기 클램핑부(100)의 배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클램핑부(100)와는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한 후 상기 클램핑부(100)의 배면에 결합함으로써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몸체단(210)에는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클램핑부(100)의 동작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11) 및 실린더(42)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결합단(220)은 상기 몸체단(210)의 후면 상측 부위에 구비되면서 상기 캐리지(30)의 전면 상측 부위에 결합되는 일련의 구성이다.
이때, 상기 캐리지(30)의 전면 상측 부위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지지축(3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31)은 상기 상부 결합단(22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결합단(220)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한 상부 결합단(220)은 상기 지지축(3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완충단(230)은 상기 클램핑부(100)의 상하 유동에 따른 진동을 완충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전방측 부위는 상기 몸체단(210)의 후면 하측 부위에 전진 이동 가능하게 탄력 설치됨과 더불어 후방측 부위는 상기 캐리지(30)의 전면 하측 부위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완충단(230)은 상기 캐리지(30)의 전면 하측 부위 중 양측편에 각각 위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클램핑부(100)의 유동에 의해 제공되는 충격 진동을 균등히 분배하여 응력 집중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완충단(23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첨부된 도 3 및 도 5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선단이 상기 몸체단(210)에 관통되면서 결합되는 관통축(231)과, 상기 관통축(231)의 후단에 외향 단턱지게 형성되면서 배면으로는 수평 방향으로 구름 가능한 롤러(232)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설치 프레임(233)과, 상기 관통축(231)에 구비되면서 선단은 상기 몸체단(210)의 후면에 위치됨과 더불어 후단은 상기 설치 프레임(233)의 전면에 위치되는 탄성부재(23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34)는 서로 대응되게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접시형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한 탄성부재(234)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코일형 스프링의 경우 과도하게 압축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원될 때 상기 코일형 스프링의 자체 탄성에 의해 진동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진동으로 인해 상기 관통축(231)과 몸체단(210) 간의 결합에 심각한 악영향이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상기 관통축(231)의 각 부위 중 상기 몸체단(210)을 관통하는 부위(231a)는 외주면의 일부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단(210) 중 상기 관통축(231)이 관통되는 부위는 상기 관통축(231)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관통축(231)의 원치않는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클램핑부(100)가 단순히 작업 대상물을 클램핑하는 역할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회전 동작을 필요로 하는 작업도 수행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한 클램핑부(100)의 회전 동작시 야기되는 간섭으로 인해 상기 관통축(231) 역시 일부 회전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설치 프레임(233)이 회전됨으로 인해 롤러(232)의 위치 역시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관통축(231)은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야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 프레임(233)의 전면에는 상기 몸체단(210)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상기 완충단(230)의 관통축(231)이 과도하게 전진 이동되지 않도록 몸체단(210)과의 이격 거리를 결정하는 스토퍼(23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물론, 클램핑부(100)의 클램핑 작업 도중 발생되는 유동은 전술한 탄성부재(234)의 구성으로 인해 충분히 완충됨으로써 상기 클램핑부(혹은, 결합부)(100)의 하단이 캐리지(30)에 직접적으로 부딪힘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클램핑부(100)에 예상치 못한 큰 충격이 발생될 경우에는 상기 충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유동이 상기 탄성부재(234)의 탄성력을 초과하기 때문에 상기 클램핑부(100)가 캐리지(30)에 직접적으로 부딪힘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스토퍼(235)를 추가로 구성함에 따라 클램핑부(100)에 예상치 못한 큰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클램핑부(100)가 캐리지(30)에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문제점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의 도시 내용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00)를 이루는 몸체단(210)의 후면 중 상기 상부 결합단(220)과 완충단(230) 사이에 보이는 구성은 상기 클램핑부(100)의 동작을 위한 각 구성 중 실린더(42)의 로드(42a)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부위이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의 작용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클램핑 장치를 이용한 작업 대상물의 클램핑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클램핑부(100)의 회전 동작 혹은, 클램퍼(110)의 파지 동작 등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클램핑 장치가 지게차의 전면에 구비된 캐리지(30)로부터 좌우 슬라이딩 이동될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200)를 이루는 상부 결합단(220)이 상기 캐리지(30)의 지지축(31)에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됨과 더불어 완충단(230)에 설치된 각 롤러(232)들은 상기 캐리지(30)의 전면과 접촉된 상태로 구름 동작을 수행하면서 더욱 원활한 이동 동작의 지지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클램핑 장치의 동작이 진행되는 도중 상기 클램핑 장치가 하부로 처지거나 혹은, 상하 진동되는 문제점은 상기 완충단(230)에 의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클램핑 장치를 이용한 작업 도중 작업 대상물을 클램핑한 상태로 캐리지(30)의 급격한 승강이 진행될 때에는 상기 클램핑 장치의 자체 하중 뿐만 아니라 상기 작업 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클램핑 장치의 선단이 상하로 급격히 유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에는 상기 캐리지(30)의 전면 저부측에 밀착되어 동작되는 완충단(230)로 상기한 유동에 따른 진동이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된 진동은 완충단(230)을 구성하는 탄성부재(234)에 의해 감쇠된다.
특히, 상기한 탄성부재(234)는 복수의 접시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상기한 진동은 상기 탄성부재(234)에서 완충될 뿐 상기 탄성부재(234)가 설치되어 있는 관통축(231)과 설치 프레임(233)에는 상기 진동이 전달되지는 않는다.
이와 함께, 상기한 완충단(230)을 구성하는 설치 프레임(233)의 전면에는 스토퍼(235)가 돌출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진동에 의해 관통축(231)이 전진 이동되도라도 상기 스토퍼(235)와 몸체단(210) 간의 접촉에 의해 상기 관통축(231)의 과도한 전진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클램핑 장치를 이루는 클램핑부(100)가 결합부(200)를 기준으로 회전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상기한 회전력에 의해 결합부(200) 역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결합부(200)는 캐리지(30)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결합부(200)의 실질적인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지만, 상기 결합부(200)의 완충단(230)을 이루는 관통축(231)은 전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한 회전력의 일부를 제공받게 된다.
하지만, 상기 관통축(231)의 외주면 일부는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몸체단 중 상기 관통축(231)이 관통되는 부위는 상기한 관통축(231)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관통축(231)이 회전되는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완충단(230)의 설치 프레임(233)에 설치된 롤러(232)는 항상 수평 방향을 따라 구름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동작상의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지게차용 클램핑 장치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핑 장치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핑 장치의 결합부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핑 장치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Claims (7)

  1. 작업 대상물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와, 지게차의 마스트레일 전방에 설치된 캐리지에 상기 클램핑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클램핑부와 결합되면서 몸체를 이루는 몸체단과,
    상기 몸체단의 후면 상측 부위에 형성되면서 상기 캐리지의 전면 상측 부위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결합단과,
    상기 몸체단의 하측 부위에 완충 거리만큼만 전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후방측 부위는 상기 캐리지의 전면 하측 부위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 완충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완충단은
    선단이 상기 몸체단에 관통되면서 결합되는 관통축과,
    상기 관통축의 후단에 외향 단턱지게 형성되면서 배면으로는 수평 방향으로 구름 가능한 롤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설치 프레임과,
    상기 관통축에 구비되면서 선단은 상기 몸체단의 후면에 위치됨과 더불어 후단은 상기 설치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클램핑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단은 상기 캐리지의 전면 하측 부위 중 양측편에 각각 위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대응되게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접시형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클램핑 장치.
  6. 제 1 항과 제 3 항과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축의 각 부위 중 상기 몸체단을 관통하는 부위는 외주면의 일부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단 중 상기 관통축이 관통되는 부위는 상기 관통축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축의 원치않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클램핑 장치.
  7. 제 1 항과 제 3 항과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몸체단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상기 몸체단과의 이격 거리를 결정하는 스토퍼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클램핑 장치.
KR2020080002672U 2008-02-28 2008-02-28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KR200449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672U KR200449203Y1 (ko) 2008-02-28 2008-02-28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672U KR200449203Y1 (ko) 2008-02-28 2008-02-28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835U KR20090008835U (ko) 2009-09-02
KR200449203Y1 true KR200449203Y1 (ko) 2010-06-24

Family

ID=4130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672U KR200449203Y1 (ko) 2008-02-28 2008-02-28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20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1346A (en) * 1970-10-08 1973-06-26 Orenstein & Koppel Ag Shock-proof fork support for fork lift trucks
US5174710A (en) 1991-03-27 1992-12-29 George Dragos Merchandise protector
JPH08113491A (ja) * 1994-10-14 1996-05-07 Toyo Umpanki Co Ltd フォークリフトのフォーク取り付け構造
KR200407552Y1 (ko) * 2005-11-18 2006-01-31 주식회사 명성금속 지게차에 설치되는 클램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1346A (en) * 1970-10-08 1973-06-26 Orenstein & Koppel Ag Shock-proof fork support for fork lift trucks
US5174710A (en) 1991-03-27 1992-12-29 George Dragos Merchandise protector
JPH08113491A (ja) * 1994-10-14 1996-05-07 Toyo Umpanki Co Ltd フォークリフトのフォーク取り付け構造
KR200407552Y1 (ko) * 2005-11-18 2006-01-31 주식회사 명성금속 지게차에 설치되는 클램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835U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30511A (zh) 防坠落保护装置及提升机
JP5376549B2 (ja) トラック張力の調節装置
JP5116612B2 (ja) 建設機械のキャビン支持構造
KR200449203Y1 (ko)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GB2379434A (en) A vibration absorber for a lift truck
CN103935889B (zh) 一种电动葫芦
CN104925695B (zh) 一种减震托盘搬运车
KR101639876B1 (ko) 차량용 바디마운팅 진동절연장치
CN209906141U (zh) 补偿绳张紧装置
CN211081062U (zh) 一种大型钢结构用安装定位支架
CN209158412U (zh) 一种安防智能机器人
KR200199428Y1 (ko) 크레인 운전실의 충격 및 진동방지장치
KR100595451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컬링장치
CN109099027A (zh) 一种保护气缸的缓冲结构
WO2017130919A1 (ja) サスペンション
CN210115419U (zh) 一种锻造机械双向缓冲装置
JPWO2015015632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211423255U (zh) 一种设有固定销的减振器支架总成结构
CN111284374B (zh) 车辆座椅减震器和车辆
CN218592772U (zh) 一种子弹高速冲击锂电池测试用锂电池夹持机构
KR101027926B1 (ko) 트럭 캡 유동으로 인한 진동 차단구조
CN210701710U (zh) 一种用于活套器的缓冲装置
KR101200334B1 (ko) 크레인 승강용 방진벨트 텐션 조절장치
KR101755674B1 (ko) 전극봉 흔들림 방지 장치
JP2563733Y2 (ja) 予備タイヤ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