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999Y1 - 출입문 잠금 확인 열쇠 - Google Patents

출입문 잠금 확인 열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999Y1
KR200190999Y1 KR2019990027248U KR19990027248U KR200190999Y1 KR 200190999 Y1 KR200190999 Y1 KR 200190999Y1 KR 2019990027248 U KR2019990027248 U KR 2019990027248U KR 19990027248 U KR19990027248 U KR 19990027248U KR 200190999 Y1 KR200190999 Y1 KR 200190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lock
opening
clos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구
Original Assignee
최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구 filed Critical 최영구
Priority to KR2019990027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9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9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22Keys with devices for indicating whether the last operation was locking or unlock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대 문명의 빠르고 복합한 일상생활에서 출입문을 잠그고 외출할 때 무의식적으로 열쇠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외출중에 출입문의 잠금여부를 확인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어 외출후 출입문 잠금 유무를 열쇠 손잡이의 잠금 확인 표시를 보고 출입문 잠금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열쇠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열쇠 및 자물쇠의 작동원리를 변경하지 않고 열쇠 사용시 발생되는 회전 운동력과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하운동되는 열쇠부닫힘봉 및 열림봉과, 이들과 대응되는 자물쇠부닫힘봉 및 열림봉을 각각 열쇠와 자물쇠에 구비하고, 열쇠 회전시 이들을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닫힘 및 열림상승회전판을 '∧'형상으로 자물쇠 본체의 바닥면중 그 주연을 90°씩 맞대어 설치하고 나머지 180°는 평평한 수평회전판으로 형성함으로서 열쇠에 의한 자물쇠의 잠김 및 열림상태가 열쇠의 투시창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출입문 잠금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열쇠에 의한 출입문 잠금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음으로써 열쇠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출입문 잠금 확인 열쇠{DOOR LOCK KEY WITH MEANS FOR INDICATING THE DOOR LOCK STATUS}
본 고안은 기존의 자물쇠와 열쇠의 기능을 변경하지 않고 해당 자물쇠의 잠금상태나 열림상태 여부가 열쇠의 손잡이부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자물쇠의 잠금상태 확인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출입문 잠금 확인 열쇠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출입문 잠금장치 중에는 자물쇠 속에 마련된 별도의 장치나 전자시스템으로 사용자에게 잠금조작 위치에서 그 자물쇠의 잠금상태를 확인시켜 주도록 된 것이 있지만 이는 자물쇠를 고가의 경비를 들여 복잡다단한 구성으로 변경해야 할 뿐만 아니라 현대의 분주한 일상생활중에 출입문의 잠금상태 확인을 깜빡잊고 외출하는 경우도 종종 있게 되는데, 그럴 경우에는 외출중에 출입문의 잠금 여부를 확인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휴대하고 다니는 열쇠의 손잡이부에 해당 자물쇠의 잠금 또는 열림상태를 표시해주는 수단을 마련하여 외출중에도 언제 어디서나 열쇠의 투시창에 나타난 표시를 보고 출입문의 잠금 상태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출입문 잠금 확인 열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열쇠의 삽입부 상단에 일면이 개방되고 투시창을 갖는 전판과, 이와 대응되고 그 내면 일측 모서리에는 열림표시판이 부착된 후판이 결합되어 일체화 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후판 내면에 상기 열림표시판과 인접하여 고정된 고정스프링과; 상기 후판 내면에 시이소운동 가능하게 축고정된 중앙수평축과; 상기 중앙수평축의 양단에 직교되게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면을 관통가능하게 설치되는 열쇠부닫힘봉 및 열쇠부열림봉과; 상기 중앙수평축과 열쇠부닫힘봉이 만나는 부위에 고정되고, 그 전면에는 상기 열림표시판과 대응되는 닫힘표시판이 부착되며, 그 일측단면에는 상기 고정스프링과 탄성결합 가능한 요홈이 형성된 작동판과; 자물쇠의 본체에 내장된 회전통의 상,하부플랜지 사이에 각 양단이 이들을 관통하여 배설되고, 그 일부에는 각각 걸림편을 갖되 하부플랜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열쇠부닫힘봉 및 열림봉과 일치되게 그 수직선상에 설치된 자물쇠부닫힘봉 및 열림봉과; 일단은 걸림편에 걸리고 타단은 상부플랜지의 하단면에 걸리도록 상기 자물쇠부닫힘 및 열림봉에 개재되는 닫힘 및 열림스프링과; 상기 자물쇠부닫힘 및 열림봉의 각 하단이 상하이동가능하게 본체의 바닥면에 90°씩 서로 면접하여 상향경사지게 원주형상으로 설치된 닫힘 및 열림상승회전판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열쇠의 분해 사시도 및 조립 정면도,
도 1c는 본 고안의 열쇠를 출입문 자물쇠에 꽂아 넣은 열림표시 상태의 내부 구조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열쇠를 자물쇠에 삽입한 상태에서 자물쇠의 본체를 펼친 전개 개략측면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를 횡방향으로 절개하여 조립한 개략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닫힘 준비 동작시 본 고안의 열쇠와 자물쇠 내부 각 부품들의 초기 상태 및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4a 내지 도 4d는 열림 준비 동작시 본 고안의 열쇠와 자물쇠 내부 각 부품들의 초기 상태 및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열쇠부닫힘봉 4 . 열쇠부열림봉
6 . 자물쇠부닫힘봉 8 . 자물쇠부열림봉
10 . 닫힘봉스프링 12 . 열림봉스프링
14 . 닫힘상승회전판 16 . 열림상승회전판
18 . 수평회전판 20 . 중앙수평축
22 . 고정스프링 24 . 키걸이
26 . 닫힘표시판 28 . 열림표시판
본 고안은 기존의 열쇠와 자물쇠의 작동원리를 변형시키지 않고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기존의 통상적인 잠금장치는 열쇠를 좌측으로 90°회전시키면 잠금이 이루어지고 다시 우측으로 90°회전시키면 잠금상태에서 열쇠가 빠지도록 되어 있고, 또 열 때는 우측으로 90°회전시키면 열림이 이루어지고 다시 90°좌측으로 원위치시키면 열쇠가 빠지도록 되어 있는 바, 본 고안에 따른 열쇠도 이와 같은 작동원리를 그대로 따르면서 해당 자물쇠의 잠금 또는 열림상태의 여부가 열쇠의 손잡이부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기존의 열쇠는 대개 양방향으로 조작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그 작동원리상 열쇠를 정해진 한쪽 방향으로만 조작 사용해야 되므로 조작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부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쇠는 전판(40)과 후판(5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손잡이부(38)와, 상기 손잡이부(38)에 고정되는 삽입부(54)로 이루어진다.
전판(40)과 후판(50)은 일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을 갖고 서로 그 개방된 면이 마주보게 나사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38)를 이룬다. 따라서, 손잡이부(38)는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가진다.
후판(50)의 내면 중심에는 중앙수평축(20)이 시이소운동 가능하게 축고정되며, 축 고정부위는 상기 중앙수평축(20)을 그 길이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지점이다. 상기 중앙수평축(20)의 양단에는 이와 직교되게 고정되며 서로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진 열쇠부닫힘봉(2) 및 열쇠부열림봉(4)이 구비된다. 또한, 후판(50)의 내면 일측 모서리에는 소정크기의 열림표시판(28)이 부착고정되며, 열림표시판(28)의 인접위치에는 고정스프링(22)이 탄설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수평축(20)의 일단, 즉 열쇠부닫힘봉(2)이 연결된 부위에는 상기 열림표시판(28)과 대응되는 크기의 작동판(44)이 고착되어 중앙수평축(20)의 시이소운동과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작동판(44)의 일측단면에는 상기 고정스프링(22)과 탄성결합될 수 있는 요홈(46)이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후술할 투시창(42)에 알맞게 닫힘표시판(26)이 부착된다. 전판(40)의 일측 모서리, 즉 상기 후판(50)에 부착된 열림표시판(28)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그와 대등한 크기의 투시창(4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닫힘표시판(26)이 하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투시창(42)을 통해 열림표시판(28)이 보이게 되고, 닫힘표시판(26)이 상승되면 열림표시판(28)이 가려지게 되어 투시창(42)에는 닫힘표시판(26)만이 보이게 되므로 출입문의 잠금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삽입부(54)는 후술할 자물쇠의 키홀(60)에 삽입되어 실질적인 잠금 및 해제작동을 수행하는 부위로서 상기 손잡이부(38)의 하단면에 용접과 같은 방식에 의해 일체화되거나 혹은 전판(40), 후판(50)중 어느 하나와 동체로 사출성형함으로써 일체화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삽입부(54)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열쇠부닫힘봉(2) 및 열쇠부열림봉(4)이 승하강가능하게 관통되는 구멍을 가진 작동안내부(52)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작동안내부(52)의 전면 중앙에는 보조키부(30)가 돌출형성된다.
보조키부(30)는 상기 키홀(60)에 'T'형상으로 삽입되어 삽입부(54)가 회전하여 자물쇠를 잠금시키거나 해제시킬 때 한쪽으로만 회전되도록 정해진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걸리도록 하여 항상 정해진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그리고, 열쇠 휴대상의 편의를 위해 상기 손잡이부(38)의 상단면에는 키걸이(24)를 부설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자물쇠는 내부가 빈 대략 원통형상의 본체(70)와, 상기 본체(7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통(72)과, 상기 회전통(72)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어 탄성적으로 승하강가능한 자물쇠부닫힘봉(6) 및 자물쇠부열림봉(8)과, 상기 자물쇠부닫힘 및 열림봉(6,8)을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70)의 바닥면 일부에 배설되는 닫힘 및 열림상승회전판(14,16)으로 이루어진다.
본체(70)의 상면은 상기 중앙수평축(20)의 길이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원형상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본체(70)의 내부 상측에는 그 주연을 따라 그 하측 직경보다 큰 수납홈(82)이 형성되는 바, 상기 수납홈(82)에는 후술할 상부플랜지(74)가 회전가능하게 내장된다.
회전통(72)은 상기 본체(70)의 하단면을 관통한 축에 의해 '실내조정키'와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상측에 형성된 상부플랜지(74)가 상기 수납홈(82)에 삽입되게 설치된다. 회전통(72)의 하측 외주연에는 상기 상부플랜지(74) 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 하부플랜지(76)가 형성된다. 자물쇠부닫힘봉(6)과 자물쇠부열림봉(8)은 상기 상,하부플랜지(74,76) 사이에서 그 각 양단이 이들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각 봉(6,8)의 하측부, 즉 하부플랜지(76)의 인접상측 위치에는 걸림편(78a,78b)이 각각 돌출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걸림편(78a,78b)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플랜지(74)의 하단면에 걸림되는 닫힘봉 및 열림봉스프링(10,12)이 각 봉(6,8)에 각각 개재된다.
본체(70)의 바닥면에는 도 2a의 전개도 및 도 2b의 일부 절개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에 '∧'형상의 열림 및 닫힘상승회전판(14,16)이 상향경사지게 설치되는 바, 예컨대 본체(70) 주연 총 360°중에서 180°는 평평한 면을 갖는 수평회전판(18)이 형성되고, 나머지 180°를 각각 90°씩 나누어 닫힘상승회전판(14)과 열림상승회전판(16)이 1/4 원형으로 상향경사지되 그 상향된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T형 키홀(60)에 삽입된 열쇠 삽입부(54)의 회전동작에 의해 회전통(72)이 회전하면서 그 회전각에 따라 자물쇠부닫힘봉(6) 및 자물쇠부열림봉(8)이 상기 닫힘 및 열림상승회전판(14,16), 수평회전판(18) 중 어느 하나의 면과 접촉되고 그 면을 따라 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각 봉(6,8)의 작동원활을 위해 봉(6,8)의 하단은 상기 닫힘 및 열림상승회전판(14,16)의 경사각과 대응되게 절단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관계는 도 3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에서, 먼저 잠금동작을 위해 열쇠를 회전통(72)에 삽입하기 전에 열쇠의 손잡이부(38)에 나타난 출입문 잠금여부를 확인하게 되면 열림표시판(28)이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자물쇠부닫힘봉(6)과 자물쇠부열림봉(8)의 하단은 본체(70)의 바닥면에 형성된 수평회전판(18)상에 놓여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열쇠의 삽입부(54)를 회전통(72)에 삽입하여 잠금동작 대기상태에 이르면 중앙수평축(20)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열쇠부닫힘봉(2)은 하강하여 상기 자물쇠부닫힘봉(6)과 인접상측에서 접촉가능하게 놓이고, 열쇠부열림봉(4)은 상승하여 상기 자물쇠부열림봉(8)과 상당한 이격거리를 두고 그 직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도 3b와 같이 잠금동작을 수행하면, 즉 열쇠를 A방향, 도시의 좌측방향으로 90°회전시키게 되면 자물쇠부닫힘봉(6)이 닫힘상승회전판(14)을 타고 상향이동과 동시에 회전되면서 닫힘스프링(10)은 압축되고 열쇠부닫힘봉(2)은 밀려 올라가게 된다. 이에 따라, 닫힘표시판(26)이 상승되어 투시창(42)에 그 닫힘상태를 표시하게 되며, 도 1a에 도시된 작동판(44)의 요홈(46)과 고정스프링(22)이 결합되어 작동판(44)의 유동을 막게 되어 상기 닫힘표시판(26)은 그 위치를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어, 도 3c와 같이 열쇠를 B방향, 즉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90°회전시키게 되면 자물쇠부닫힘봉(6)은 닫힘상승회전판(4)을 타고 하강할 때 열쇠부닫힘봉(2)은 상기 고정스프링(22)에 의해 그 상승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고, 자물쇠부닫힘봉(6)은 닫힘봉스프링(10)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원활하고 빠르게 원래 위치로 복귀되게 되어 열쇠는 회전통(72)으로부터 인출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도 3d와 같이 인출하면 된다. 따라서, 인출 후 열쇠의 손잡이부(38) 투시창(42)에는 닫힘표시판(26)이 표시되게 되며, 자물쇠부닫힘봉(6) 및 자물쇠부열림봉(8)은 초기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어, 사용자는 안심하고 외출하게 되며, 혹시 잠금상태를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출하였더라도 열쇠의 투시창(42)을 확인함으로써 출입문의 잠금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외출후 귀가해서 열쇠로 자물쇠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상술한 잠금과정의 역순으로 행하면 된다. 즉, 열림상승회전판(16)과 자물쇠부열림봉(8) 및 열림스프링(12), 열쇠부열림봉(4) 들이 회전통(72)의 회전동작에 따라 상술한 바와 반대작동됨으로써 도 4d와 같은 잠금해제 상태, 즉 열림표시판(28)이 투시창(42)에 표시되어 자물쇠의 열림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는, 작동판(44)의 요홈(46)에 탄성결합되어 있던 고정스프링(22)이 열쇠부열림봉(4)의 상승에 의해 가하는 외력을 받아 상기 요홈(46)으로부터 이탈되면서 닫힘표시판(26)을 하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닫힘표시판(26)에 의해 가려져 있던 열림표시판(28)이 투시창(42)에 나타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열쇠 사용시 바쁜 일상생활에서 무의식적으로 열쇠를 사용하여도 언제 어디서나 잠금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어린이들이 열쇠 사용시 밖에 있는 부모들이 출입문 잠금 여부를 귀가하지 않고 열쇠 손잡이의 표시 창을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정신적인 피해를 막고자 한 고안이다.

Claims (1)

  1. 열쇠의 삽입부(54) 상단에 일면이 개방되고 투시창(42)을 갖는 전판(40)과, 이와 대응되고 그 내면 일측 모서리에는 열림표시판(28)이 부착된 후판(50)이 결합되어 일체화 된 손잡이부(38)와;
    상기 손잡이부(38)의 후판(50) 내면에 상기 열림표시판(28)과 인접하여 고정된 고정스프링(22)과;
    상기 후판(50) 내면에 시이소운동 가능하게 축고정된 중앙수평축(20)과;
    상기 중앙수평축(20)의 양단에 직교되게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부(38)의 하단면을 관통가능하게 설치되는 열쇠부닫힘봉(2) 및 열쇠부열림봉(4)과;
    상기 중앙수평축(20)과 열쇠부닫힘봉(2)이 만나는 부위에 고정되고, 그 전면에는 상기 열림표시판(28)과 대응되는 닫힘표시판(26)이 부착되며, 그 일측단면에는 상기 고정스프링(22)과 탄성결합 가능한 요홈(46)이 형성된 작동판(44)과;
    자물쇠의 본체(70)에 내장된 회전통(72)의 상,하부플랜지(74,76) 사이에 각 양단이 이들을 관통하여 배설되고, 그 일부에는 각각 걸림편(78a,78b)을 갖되 하부플랜지(76)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열쇠부닫힘봉 및 열림봉(2,4)과 일치되게 그 수직선상에 설치된 자물쇠부닫힘봉 및 열림봉(6,8)과;
    일단은 걸림편(78a,78b)에 걸리고 타단은 상부플랜지(74)의 하단면에 걸리도록 상기 자물쇠부닫힘 및 열림봉(6,8)에 개재되는 닫힘 및 열림스프링(10,12)과;
    상기 자물쇠부닫힘 및 열림봉(6,8)의 각 하단이 상하이동가능하게 본체(70)의 바닥면에 90°씩 서로 면접하여 상향경사지게 원주형상으로 설치된 닫힘 및 열림상승회전판(14,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잠금 확인 열쇠.
KR2019990027248U 1999-12-06 1999-12-06 출입문 잠금 확인 열쇠 KR200190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248U KR200190999Y1 (ko) 1999-12-06 1999-12-06 출입문 잠금 확인 열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248U KR200190999Y1 (ko) 1999-12-06 1999-12-06 출입문 잠금 확인 열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999Y1 true KR200190999Y1 (ko) 2000-08-16

Family

ID=19599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248U KR200190999Y1 (ko) 1999-12-06 1999-12-06 출입문 잠금 확인 열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9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023A (ko) * 2002-02-09 2003-08-19 이호철 열쇠의 수동식 잠금 확인 방법
CN116961317A (zh) * 2023-08-01 2023-10-27 广东南博万电机有限公司 一种集成式行星减速电机
CN110700692B (zh) * 2019-10-24 2024-06-04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金寨县供电公司 一种钥匙机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023A (ko) * 2002-02-09 2003-08-19 이호철 열쇠의 수동식 잠금 확인 방법
CN110700692B (zh) * 2019-10-24 2024-06-04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金寨县供电公司 一种钥匙机箱
CN116961317A (zh) * 2023-08-01 2023-10-27 广东南博万电机有限公司 一种集成式行星减速电机
CN116961317B (zh) * 2023-08-01 2024-01-12 广东南博万电机有限公司 一种集成式行星减速电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6643C (en) Pick resistant sash lock
ES2193793B2 (es) Mecanismo de condena para cerraduras electronicas.
CA1100551A (en) Disengaging spindle locking mechanism
JP2010084512A (ja) 鍵穴隠れ式解錠装置
KR200190999Y1 (ko) 출입문 잠금 확인 열쇠
JPH11200678A (ja) 防犯型サムターン
CN114562156B (zh) 锁体结构
KR101862511B1 (ko)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JP3710883B2 (ja) 扉用ハンドル装置
JP3060832U (ja) 引き違い窓のロック装置
KR200236062Y1 (ko) 사물함용 록킹장치
KR200272536Y1 (ko)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자물쇠
JP3516237B2 (ja) ドアの用心錠
JPH0344929Y2 (ko)
JPS5854529Y2 (ja) ドア−の室外用補助錠
JP3003938U (ja) 施開錠状態表示鍵
JP3131400B2 (ja) 引戸扉等の錠
JP4512912B2 (ja) 門扉錠の操作軸防護機構
KR200260112Y1 (ko)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자물쇠
JP3313160B2 (ja) 窓用クレセント
JPH0454281Y2 (ko)
JP2001288937A (ja) 施解錠装置
JPH04176977A (ja) 使い勝手を変更できる本締り錠
JP2003003716A (ja) サッシ窓の施錠装置
JPH04146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