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357Y1 - 타이어의 가류 금형 - Google Patents

타이어의 가류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357Y1
KR200183357Y1 KR2019970032396U KR19970032396U KR200183357Y1 KR 200183357 Y1 KR200183357 Y1 KR 200183357Y1 KR 2019970032396 U KR2019970032396 U KR 2019970032396U KR 19970032396 U KR19970032396 U KR 19970032396U KR 200183357 Y1 KR200183357 Y1 KR 200183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pace
tire
groove
t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064U (ko
Inventor
김용섭
Original Assignee
홍건희
한국타이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건희, 한국타이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건희
Priority to KR2019970032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357Y1/ko
Publication of KR199900190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0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3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어의 가류시 타이어와 금형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하며 공기 배출구로 인하여 타이어에 식출이나 자국이 생기지 아니하게 한 가류금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가류금형은 트레드 금형부(2)의 전체에 걸쳐 공간(5)이 형성됨에 따라 트레드부 전체 즉, 드래드의 표면과 메인그루브, 서브그루브 모두가 공간(5)과 접하여짐에 따라 금형부에 강한 압력으로 압착되는 메인그루부 및 서브그루브의 내측부분이 공간(5)내로 압출되어 완성 타이어의 그루브내부에 식출을 형성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트레드에 메인그루브와 서브그루브를 형성시키는 메인그루브 금형(6)과 서브그루브 금형(7)이 이웃하는 분할체에 형성된 메인그루브 금형(6) 및 서브그루브 금형(7)의 측면과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각각의 그루브금형(6)(7)의 사이에는 공간(5)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시킴으로써, 공기 배출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어떠한 흠도 타이어에 생기지 아니하게 하여 타이어의 품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타이어의 가류 금형
본 고안은 타이어의 가류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류시 타이어와 금형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하며 공기 배출구로 인하여 타이어에 식출이나 자국이 생기지 아니하게 한 가류금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브라더를 팽창시켜 그린 타이어를 가류금형의 내벽에 밀착시키려면 그린 타이어와 가류금형 사이에 공기가 있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브라더의 팽창에 따른 그린 타이어의 금형 내벽에의 밀착은 필연적으로 공기의 배출을 필요로 한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금형에 통공을 설치하므로 서통공을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게 하였던 바, 이러한 통공으로는 공기만이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고무마저 배출되어 타이어의 표면에 무수한 식출이 생기게 마련이었다.
그리하여 공기만이 배출되고 고무는 배출되지 아니하게 하는 밸브가 안출되기에 이르렀다.(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58621호; 공고번호 제91-2513호)
그러나 이와 같이 공기 배출변을 장착한 가류 금형에 있어서는 공기 배출변의 작용 부전의 염려가 있으며 또한 공기 배출변 자체가 타이어에 흠을 형성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제1도 및 제2도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배출변을 가지는 가류금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선출원(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97-17537호)한 고안이다.
제1도는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은 상하 사이드금형(1,3)과 트레드금형부(2)가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트레드금형부(2)가 다수의 단위체(20)로 분할되는 섹셔널 가류금형에 있어서, 상기 트래드금형(2)가 다수로 분할되어 형성된 각 단위체(20)를 또다시 피치간격으로 분할시키고, 분할된 각 피치블록(4)의 사이사이에 공간(5)을 갖도록 구성시키되, 상기 공간(5) 이격부가 그린타이어와 접촉하는 트레드성형부(7)에만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선 출원 고안은 브라더의 팽창에 의하여 타이어가 트레드금형부(2)에 압착될 시 타이어와 금형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각 피치블록(4)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공간(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선출원 고안은 트레드성형부(7)의 전체에 걸쳐 공간(5)이 형성됨에 따라 트레드성형부(7) 전체 즉, 금형의 표면(6)과 메인그루브성형돌조(70), 서브그루브 성형돌조(71) 모두가 공간(5)과 접하여짐에 따라 트레드성형부(7)에 강한 압력으로 압착되는 그린타이어가 메인그루브성형돌조(70) 및 서브그루브성형돌조(7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5)내로 압출되어 완성 타이어의 그루브내부에 식출을 형성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는 브라더에 의하여 그린타이어의 트레드부가 팽창되는 과정에서 메인그루브성형돌조(70)와 서브그루브성형돌조(71)에 먼저 접촉되고 트레드의 표면은 나중에 금형표면(6)에 접촉됨에 따라 금형에 먼저 접촉되는 각각의 그루브성형돌조(70)(71)에 강한 압력이 지속적으로 전가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메인그루브성형돌조와 서브그루부성형돌조에 의해 성형되는 각 그루브의 내측에 식출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용 가류금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상하 사이드금형과 트래드금형부가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트래드금형부가 다수의 단위체로 분할되며, 상기 각 단위체를 또다시 피치간격으로 분할시키고, 분할된 각피치블록의 사이사이에 공간을 갖도록 구성시키되, 상기 공간 이격부가 그린타이어와 접촉하는 트래드성형부에만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피치간격으로 분할되는 각 피치블록에 형성되는 메인그루브성형돌조와 서브그루브성형돌조가 인접하는 피치블록에 형성되는 메인그루브성형돌조와 서브그루브성형돌조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연속되도록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타이어용 가류 금형의 일 실시예의 요부 발췌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가류금형을 도시한 발췌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위체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피치블록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사이드금형 2 : 트레드금형부
4 : 피치블록 5 : 공간
6 : 금형표면 7 : 트레드성형부
70 : 메인그루브성형돌조 71 : 서브그루브성형돌조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위체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피치블록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하 사이드금형(1,3)과 트래드금형부(2)가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트래드금형부(2)가 다수의 단위체(20)로 분할되며, 상기 각 단위체(20)를 또다시 피치간격으로 분할시키고, 분할된 각피치블록(4)의 사이사이에 공간(5)을 갖도록 구성시키되, 상기 공간(5) 이격부가 그린 타이어와 접촉하는 트래드성형부(7)에만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피치간격으로 분할되는 각 피치블록(4)에 형성되는 메인그루브성형돌조(70)와 서브그루브성형돌조(71)가 인접하는 피치블록(4)에 형성되는 메인그루브성형돌조(70)와 서브그루브성형돌조(71)와의 사이에 공간(5)이 형성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연속되도록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각 그루브성형돌조(70)(71)이외에 형성되는 공간(5)의 폭(w)은 0.02~0.08mm의 크기로 형성시키므로서 이러한 공간(5)을 통하여 공기는 배출되나 고무입자 등은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형성시킨다. 물론 공간(5)은 금형 밖의 외부와 연통되어야 한다. 각개의 피치블록(4)의 사이에 공간(5)을 형성시킴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각 피치블록(4)의 양측면 각각에 0.01~0.04mm씩 동일한 홈을 형성시켜 공간(5)을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일 측의 피치블록(4)에만 홈을 가공하여 공간(5)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그린 타이어를 가류금형에 장입시키고 브라더를 팽창시키게 되면 그린 타이어의 드레드 표면이 금형에 압착된다.
금형에 압착되는 드레드부는 금형에 돌출 되게 형성된 메인그루브성형돌조(70)와 서브그루브성형돌조(71)에 먼저 접촉되며, 각각의 돌조(70)(71) 사이사이에는 공간(5)이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이 부분의 공기는 돌조의 상하에 형성된 공간(5)으로 밀리어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강한 압력이 지속적으로 작용되는 트래드부의 메인그루브와 서브그루브내에 식출의 염려가 없이 완벽한 공기 배출 작용을 실현시킬 수 있으며, 공기 배출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어떠한 흠도 타이어에 생기지 아니하게 하여 타이어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하 사이드금형(1,3)과 트래드금형부(2)가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트래드금형부(2)가 다수의 단위체(20)로 분할되며, 상기 각 단위체(20)를 또다시 피치간격으로 분할시키고, 분할된 각피치블록(4)의 사이사이에 공간(5)을 갖도록 구성시키되, 상기 공간(5) 이격부가 그린타이어와 접촉하는 트래드성형부(7)에만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피치간격으로 분할되는 각 피치블록(4)에 형성되는 메인그루브성형돌조(70)와 서브그루브성형돌조(71)가 인접하는 피치블록(4)에 형성되는 메인그루브성형돌조(70)와 서브그루브성형돌조(71)와의 사이에 공간(5)이 형성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연속적으로 형성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가류 금형.
KR2019970032396U 1997-11-17 1997-11-17 타이어의 가류 금형 KR200183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396U KR200183357Y1 (ko) 1997-11-17 1997-11-17 타이어의 가류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396U KR200183357Y1 (ko) 1997-11-17 1997-11-17 타이어의 가류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064U KR19990019064U (ko) 1999-06-05
KR200183357Y1 true KR200183357Y1 (ko) 2000-06-01

Family

ID=19514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396U KR200183357Y1 (ko) 1997-11-17 1997-11-17 타이어의 가류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35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897B1 (ko) * 2000-11-07 2002-11-23 금호산업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의 공기 배출구조
KR100388724B1 (ko) * 2001-01-08 2003-06-25 금호산업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기의 세그멘트형 투피스 몰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064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9563B2 (ja) 生タイヤと加硫金型との間に介在するエアーを抜く方法
ATE223814T1 (de) Laufstreifenprofil und -herstellungsform für luftreifen
KR200183357Y1 (ko) 타이어의 가류 금형
KR101933093B1 (ko) 타이어 몰드
KR100383726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피스
KR100443645B1 (ko) 벤트 플러그 및 그 벤트 플러그를 구비한 타이어 가류 몰드
JP3878719B2 (ja) タイヤ成形用金型及び空気入りタイヤ
KR20100018529A (ko) 주형 리브 아래에 벤트 입구가 위치한 타이어 주형
KR100338303B1 (ko) 벤트리스 가류금형
KR200160416Y1 (ko) 타이어 가류기의 브라더
KR200160415Y1 (ko) 타이어의 가류 금형
KR100544912B1 (ko) 공기배출능력이 향상된 타이어 가류몰드
KR200144036Y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공기배출구조
KR200149206Y1 (ko) 타이어 가류기의 브라더
KR200191943Y1 (ko) 에어배출이 용이한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
KR100298794B1 (ko) 방향성 타이어 및 가류블래더
KR100361897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공기 배출구조
KR200165543Y1 (ko) 타이어 가류금형 구조
KR100219179B1 (ko) 벤트라인이 형성되는 인너라이너와 인너라이너의성형방법
JPH05177644A (ja) 空気入りタイヤ用金型
KR19990051750A (ko) 타이어의 가류금형
KR100203453B1 (ko) 타이어용 가류금형
KR19980061460U (ko) 공기배출홈이 형성된 타이어 성형용 가류몰드
KR200377633Y1 (ko) 타이어용 가류 브래다의 공기배출홈
KR200144037Y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식출고무형성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