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543Y1 - 타이어 가류금형 구조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류금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543Y1
KR200165543Y1 KR2019970032611U KR19970032611U KR200165543Y1 KR 200165543 Y1 KR200165543 Y1 KR 200165543Y1 KR 2019970032611 U KR2019970032611 U KR 2019970032611U KR 19970032611 U KR19970032611 U KR 19970032611U KR 200165543 Y1 KR200165543 Y1 KR 2001655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ire
vulcanization
tread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314U (ko
Inventor
김종백
Original Assignee
홍건희
한국타이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건희, 한국타이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건희
Priority to KR2019970032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543Y1/ko
Publication of KR199900193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3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5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5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2Solid tyres ;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6Surface structure of the mould, e.g. roughness, arrangement of slits, grooves o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어 가류 금형 구조에 관한 것으로, 타이어 가류시 금형과 금형 사이의 틈새에서 타이어가 식출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타이어 외관 형상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는 타이어를 제작하기 위해 가류 금형의 내측면 끝단부에 소정의 형태로 돌출단이 형성되도록 가류 금형을 설계함으로써 타이어 외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 가류금형 구조
본 고안은 타이어의 가류기에 구비된 가류금형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류금형들이 서로 맞닿는 끝단부에 돌출단이 형성되어 가류 시작시 금형과 금형의 접합부에서 금형의 표면에 타이어가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틈새에서 타이어가 식출되는 현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타이어 외관상에도 이상이 없도록 된 타이어 가류금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여러 가지 고무와 카본블랙, 유황 및 기타 고무용 약품을 첨가하여 혼합한 배합고무를 압연 또는 압출한 반제품을 조합하는 성형공정을 거쳐 그린타이어라는 생타이어가 완성되고, 이 그린타이어를 가류기의 금형에 넣어 내측 및 외측에서 소정의 열과 압력을 가해서 일정시간 동안 경과시켜서 배합과정에서 투입된 가류제를 반응시켜 타이어내의 유황과 고무분자가 완전히 결합하여 안정된 고유물성을 얻으며 또한 금형에 의해 독특한 트래드 디자인을 얻는 공정인 가류공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가류공정을 수행하는 가류기에는 외부로부터 열이 전달되고 타이어의 외형을 형성하는 금형(1,2,3) 및 그린타이어(5) 내측에서 열을 전달하고 타이어 내부형상을 형성하는 브래더(4; bradder)가 구비되는데, 상기 그린타이어(5) 외측에 위치한 금형은 트래드금형(1)과 사이드금형(2) 및 비드링(3; bead ring)으로 구성되며, 타이어 내부에 브래더(4)가 삽입되고 그 위에 상기 금형들이 서로 맞대어 그린타이어(5) 외관을 둘러쌈으로써 가류공정이 이루어지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류 초기에 가류금형들이 서로 맞대어 타이어 외관을 둘러쌀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과 금형이 서로 맞닿는 접합부의 틈새로 타이어가 식출되어 흘러나온 채로 가류되므로 타이어 측면에 종이처럼 가느다란 식출부가 형성되어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타이어가 저편평화되면서 사이드금형과 트래드금형이 접하는 부위에서의 사이드금형의 각도 Ф가 45°~ 70°범위에 있게 되면 날카로운 모서리에 가류전의 그린타이어가 식출되는 현상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류금형의 내측면 끝단부에 소정의 형태로 돌출단이 형성되어 금형표면에 타이어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타이어 가류시 식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타이어 외관상에도 이상이 없도록 된 타이어 가류금형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류금형내에 타이어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가류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류금형의 제 1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류금형의 제 2실시예의 절개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류금형의 제 3실시예의 절개사시도,
도 6은 도 2의 대응도로서 종래의 가류금형에서 타이어가 식출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1 - 트래드금형 2 - 사이드금형
3 - 비드링 4 - 브래더
5 - 그린타이어 6, 6', 6˝ - 돌출단
7 - 만곡부 8 - 홈
21 - 선단면 R1 - 제 1곡률반경
R2 - 제 2곡률반경 H - 높이
W - 이격거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류금형의 트래드금형 또는 사이드금형의 내측 양 끝단의 모서리부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단이 형성되어 트래드금형과 사이드금형이 맞닿는 부분에서 타이어가 금형과 접하지 않도록 되는 한편, 가류후에도 타이어 외관상에도 이상이 없도록 소정의 형상과 치수범위내에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류금형에 타이어가 장착된 상태의 가류기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돌출단이 형성된 가류금형의 제 1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돌출단이 형성된 가류금형의 제 2실시예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돌출단이 형성된 가류금형의 제 3실시예인바,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린타이어(5) 측면부와 접촉하게되는 사이드금형(2)의 내면 끝단부에 특정형상으로 된 돌출단(6)이 형성되되, 이 돌출단(6)은 사이드금형 내측으로부터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상승하다가 정점에서 급격히 하강하며 제 1곡률반경(R1)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6)의 외측 끝단은 사이드금형(2)의 선단면(21)과 소정의 거리(W)만큼 이격되는 한편, 상기 사이드금형(2)과 맞닿는 트래드금형(1)의 내면 끝단부에는 제 2곡률반경(R2)을 갖는 만곡부(7)가 형성되어 상기 두 금형이 접하게되는 접합부에 높이(H)를 갖는 홈(8)이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금형(2)과 트래드금형(1)이 맞닿는 부분에서 특정한 형상이 형성되는데, 이 높이(H)는 트래드금형(1)의 만곡부(7)가 끝나는 점에서부터 사이드금형(2)의 돌출단(6)의 정점을 잇는 선과 홈(8)의 바닥면과의 거리로 측정된다. 따라서 상기한 높이(H)를 갖는 홈(8)이 형성되므로 가류 초기에 트래드금형(1)과 사이드금형(2)이 맞닿을 때 그린타이어(5)가 금형표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어 금형과 금형사이의 틈새로 식출되는 현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소정의 치수로 형성된 돌출단(6)과 만곡부(7)에 의해 타이어의 외관이 요구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타이어 외관이 요구되는 형태를 얻으며 타이어가 식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제 1곡률반경(R1)의 치수는 바람직하기로는 2.0 ∼ 2.5mm이며, 제 2곡률반경(R2)은 3.0 ∼ 4.0mm, 돌출단(6)과 사이드금형(2)의 선단면(21)과의 이격거리(W)는 0.5 ∼ 1.0mm, 홈(8)의 높이(H)는 1.5 ∼ 2.0 mm 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이 트래드금형(1)의 내면 양 끝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블록형태의 돌출단(6')이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의 측면부가 이 돌출단(6')에 의해 밀려올라가므로 금형간의 접합부에서 그린타이어(5)가 금형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 2실시예의 변형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드금형(1)의 내측면 양 끝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의 블록형태의 돌출단(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가류금형의 내측면 양 끝단부에 돌출단이 형성되어 금형과 금형이 접하게되는 접합부에서 타이어가 금형표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접합부 틈새에서 타이어가 식출되는 현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소정의 치수로 형성되어 타이어 외관을 요구되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타이어 외관 불량률이 감소되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의한 타이어 가류금형 구조를 실시하기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하 청구범위내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트래드금형과 사이드금형으로 분할된 타이어 가류금형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금형(2) 또는 트래드금형(1)의 내면 끝단의 모서리부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단(6, 6', 6˝)이 형성되되, 상기 사이드금형(2)에 형성되는 돌출단(6)은 제 1곡률반경(R1)을 갖추고, 이 돌출단(6)의 외측 끝단이 사이드금형(2)의 선단면(21)과 이격거리(W)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편, 트래드금형(1)의 내측 양 끝단부는 제 2곡률반경(R2)을 갖는 만곡부(7)가 형성되어 트래드금형(1)과 사이드금형(2)이 접합되는 부위에서 높이(H)와 이격거리(W)를 갖는 홈(8)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곡률반경(R1)이 2∼2.5mm이며, 제 2곡률반경(R2)은 3∼4mm, 이격거리(W)는 0.5∼1mm, 높이(H)는 1.5∼2mm가 되도록 홈(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드금형(1)에 형성되는 돌출단(6˝)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블록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 구조.
KR2019970032611U 1997-11-18 1997-11-18 타이어 가류금형 구조 KR2001655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611U KR200165543Y1 (ko) 1997-11-18 1997-11-18 타이어 가류금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611U KR200165543Y1 (ko) 1997-11-18 1997-11-18 타이어 가류금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314U KR19990019314U (ko) 1999-06-15
KR200165543Y1 true KR200165543Y1 (ko) 2000-01-15

Family

ID=1951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611U KR200165543Y1 (ko) 1997-11-18 1997-11-18 타이어 가류금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5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657B1 (ko) * 2002-03-29 2004-12-0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물림식출을 방지하기 위한 타이어 제조용 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314U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9976A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6826432B2 (ja) タイヤ加硫金型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
JP2008006805A (ja) タイヤ加硫用成形金型
CN113950420A (zh) 具有阴影线表面的车辆充气轮胎
KR200165543Y1 (ko) 타이어 가류금형 구조
JPH0288310A (ja)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成形用金型
CN210174241U (zh) 一种轮胎硫化胶囊
JP4255157B2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タイヤ成形用金型
WO2013132884A1 (ja) タイヤ形成用の剛性中子
KR200191943Y1 (ko) 에어배출이 용이한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
JPH11254446A (ja) タイヤ加硫用ブラダー
JPH0753482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KR200203445Y1 (ko) 타이어 가류기의 비드링구조
KR100687647B1 (ko) 개선된 비드링을 갖는 타이어용 가류금형
KR200160416Y1 (ko) 타이어 가류기의 브라더
KR0135061Y1 (ko) 타이어용 가류기의 트레드금형 접합부구조
KR200173806Y1 (ko) 타이어의가류금형
CN216467186U (zh) 一种胎侧具有滚花结构的子午胎
KR200183357Y1 (ko) 타이어의 가류 금형
KR100511127B1 (ko) 브라더 가류용 금형
KR100498130B1 (ko) 타이어 가류 블래더
KR200196975Y1 (ko) 타이어 가류브래더의 보강구조
CN217494880U (zh) 一种子午线轮胎的模具结构
KR100447434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피스
KR100203453B1 (ko) 타이어용 가류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21 Withdrawal of opposi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