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630Y1 -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 - Google Patents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630Y1
KR200171630Y1 KR2019960067612U KR19960067612U KR200171630Y1 KR 200171630 Y1 KR200171630 Y1 KR 200171630Y1 KR 2019960067612 U KR2019960067612 U KR 2019960067612U KR 19960067612 U KR19960067612 U KR 19960067612U KR 200171630 Y1 KR200171630 Y1 KR 200171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transmission
pipe
outer circumferential
inn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7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420U (ko
Inventor
박대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7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630Y1/ko
Publication of KR199800544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4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6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2Gear shift yokes, e.g. shift f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06Vibration-damping or noise reduc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2Gear shift yokes, e.g. shift forks
    • F16H2063/328Gear shift yokes, e.g. shift forks essentially made of plastics, e.g. injection mol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exible Shaft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변속케이블엔드부의 인너파이프의 외주면에 고착되는 완충부재가 다수개의 구멍을 갖추도록 천공되면서 이 완충부재는 플라스틱재의 외장부재에 의해 감싸여지도록 되어 변속기로부터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이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운전자로부터의 변속조작을 변속기측의 변속레버로 전달하도록 이에 결합되는 인너파이프의 외주면과 이를 감싸고 있는 아우터파이프의 내주면 사이에 고무재의 완충부재가 압입되어 고착되면서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외주면 일측에 변속로드가 용접되어 고정된 변속케이블의 엔드부에 있어서, 상기 인너파이프(1)의 외주면에 고착되는 완충부재(3)는 다수개의 구멍(3a)을 갖추도록 형성되고, 이 완충부재(3)의 외주면에는 플라스틱재의 외장부재(2)가 결합되며, 이 외장부재(2)는 일측부에 변속로드(4)를 일체로 고정시키도록 인서트성형으로 제작된다.

Description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
본 고안은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속케이블엔드부의 인너파이프 외주면에 고착되는 완충부재에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하여 변속기로부터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도록 된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주행상태에 알맞게 변환시키도록 된 변속기를 갖추고 있는 바, 이러한 변속기는 운전가가 변속을 수동으로 행하도록 된 수동변속기와, 주행상태에 따라 변속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자동변속기로 크게 구분되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주행상태에 알맞게 변환시키도록 된 변속기중 변속조작을 운전자가 직접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된 수동변속기에서 운전자로부터의 변속조작을 변속기측의 변속레버로 전달하도록 된 변속케이블의 엔드부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측의 변속레버와 핀결합되는 인너파이프(11)의 외주면과 이를 감싸고 있는 아우터파이프(12)의 내주면 사이에 고무재의 완충부재(13)가 압입되어 고착되면서 상기 아우터파이프(12)의 외주면 일측에 변속로드(14)가 용접되어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너파이프(11)는 변속기측의 변속레버와 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변속기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받기 쉬운 부분이므로, 이의 외주면에 변속로드(14)와 연결된 아우터파이프(12)내에는 완충부재(13)가 개재되어 있어 인너파이프(11)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변속로드(14)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해 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인너파이프(11)과 아우터파이프(12)의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13)로는 변소기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전히 감쇠시키지 못하므로 변속기로부터 발생된 진동의 일부는 아우터파이프(12)와 결합된 변속로드(14)를 거쳐 실내로 유입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변속케이블엔드부의 인너파이프의 외주면에 고착되는 완충부재가 다수개의 구멍을 갖추도록 형성되면서 이 완충부재는 플라스틱재의 외장부재에 의해 감싸여지도록 되어 변속기로부터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이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된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변속케이블의 엔드부를 도시한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변속케이블의 엔드부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너파이프 2 : 외장부재
3 : 완충부재 3a : 구멍
4 : 변속로드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운전자로부터의 변속조작을 변속기측의 변속레버로 전달하도록 이에 결합되는 인너파이프의 외주면과 이를 감싸고 있는 아우터파이프의 내주면 사이에 고무재의 완충부재가 압입되어 고착되면서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외주면 일측에 변속로드가 용접되어 고정된 변속케이블의 엔드부에 있어서, 상기 인너파이프의 외주면에 고착되는 완충부재는 다수개의 구멍을 갖추도록 형성되고, 이 완충부재의 외주면에는 플라스틱재의 외장부재가 결합되며, 이 외장부재는 일측부에 변속로드를 일체로 고정시키도록 인서트성형으로 제작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변속케이블의 엔드부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로부터의 변속조작을 변속기측의 변속레버로 전달하도록 이에 결합되는 인너파이프의 외주면과 이를 감싸고 있는 아우터파이프의 내주면 사이에 고무재의 완충부재가 압입되어 고착되면서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외주면 일측에 변속로드가 용접되어 고정된 변속케이블의 엔드부에 있어서, 상기 인너파이프(11)의 외주면에 고착되는 완충부재(3)는 다수개의 구멍(3a)을 갖추도록 형성되고, 이 완충부재(3)의 외주면에는 플라스틱재의 외장부재(2)가 결합되며, 이 외장부재(2)는 일측부에 변속로드(4)를 일체로 고정시키도록 인서트성형으로 제작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외장부재(2)는 재질이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므로, 진동에 대한 절연성이 금속보다 다소 우수한 특성이 변속기측으로부터 전달받은 진동을 변속로드(4)로 덜 전달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인너파이프(1)과 외장부재(2) 사이에 압입되는 완충부재(3)가 다수개의 구멍(3a)을 갖추면서 상기 변속로드(4)가 플라스틱재 외장부재(2)내에 인서트성형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변속기측으로부터 인너파이프(1)를 통해 변속로드(4)로 전달되는 진동이 완충부재(3)의 다수개의 구멍(3a)에 의해 1차로 제진되면서 변속로드(4)를 장착하고 있는 외장부재(2)의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2차로 제진되므로 유입되는 진동 및 소음은 최소화로 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에 의하면, 상기 인너파이프(1)과 외장부재(2) 사이에 압입되는 완충부재(3)에 다수개의 구멍(3a)이 형성되면서 이 외장부재(2)가 플라스틱재이면서 일측에 변속로드(4)를 일체로 구비함에 따라 변속기측으로부터 인너파이프(1)를 통해 변속로드(4)로 전달되는 진동이 완충부재(3)와 외장부재(2)에서 충분히 제진되므로 차실내로 유입되는 진동 및 소음은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운전자로부터 변속조작을 변속기측의 변속레버로 전달하도록 이에 결합되는 인너파이프의 외주면과 이를 감싸고 있는 아우터파이프의 내주면 사이에 고무재의 완충부재가 압입되어 고착되면서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외주면 일측에 변속로드가 용접되어 고정된 변속케이블의 엔드부에 있어서, 상기 인너파이프(1)의 외주면에 고착되는 완충부재(3)는 다수개의 구멍(3a)을 갖추도록 형성되고, 이 완충부재(3)의 외주면에는 플라스틱재의 외장부재(2)가 결합되며, 이 외장부재(2)는 일측부에 변속로드(4)를 일체로 고정시키도록 인서트 성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
KR2019960067612U 1996-12-31 1996-12-31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 KR200171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612U KR200171630Y1 (ko) 1996-12-31 1996-12-31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612U KR200171630Y1 (ko) 1996-12-31 1996-12-31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420U KR19980054420U (ko) 1998-10-07
KR200171630Y1 true KR200171630Y1 (ko) 2000-04-01

Family

ID=1948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7612U KR200171630Y1 (ko) 1996-12-31 1996-12-31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6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452B1 (ko) 2011-09-22 2012-06-22 주식회사 인팩 차량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919B1 (ko) * 2006-11-24 200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
KR101526698B1 (ko) * 2013-11-01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진동저감을 위한 변속 케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452B1 (ko) 2011-09-22 2012-06-22 주식회사 인팩 차량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420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3460B2 (en) Tuning structure for gear shift cables
KR200171630Y1 (ko)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
KR20000051072A (ko) 자동차의 변속레버장치
KR0139739Y1 (ko) 트렌스밋션의 시프트 케이블 구조
KR200171629Y1 (ko) 클러치 케이블의 체결선단부구조
JP3827306B2 (ja) 車両用変速レバー
JPS6213866Y2 (ko)
KR100528037B1 (ko) 변속 케이블 매스 댐퍼
CN202176708U (zh) 一种变速器操纵杆
KR0155073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트케이블의 진동절연식 고정구조
KR20090082037A (ko)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변속 케이블의 연결구
KR100201455B1 (ko) 진동방지용 엔진마운팅
KR200156039Y1 (ko) 차량의 자동변속기 케이블 연결용 조립체
KR960007057B1 (ko) 자동차용 댐퍼 클러치(a damp clutch for vehicle)
KR101526698B1 (ko) 진동저감을 위한 변속 케이블
KR100986369B1 (ko) 변속케이블의 아이 앤드
KR0138193Y1 (ko) 변속기 기어의 치합 소음 저감구조
KR200170914Y1 (ko)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
KR20050096588A (ko) 자동변속기의 기어 노이즈 저감용 케이블
KR0138553B1 (ko) 기어 시프트 셀렉터의 셀렉터 로드와 트랜스미션 레버의 개선된 결합구조
KR20060058158A (ko) 변속 케이블의 진동저감 구조
KR20090082038A (ko)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변속 케이블의 연결구
KR19980029306A (ko) 체인지 로드 체결구조
KR19980048908U (ko) 차량용 변속 조작 레버의 방진 구조
KR19980029142A (ko) 차량용 변속레버의 마운팅러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