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452B1 - 차량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452B1
KR101157452B1 KR1020110095927A KR20110095927A KR101157452B1 KR 101157452 B1 KR101157452 B1 KR 101157452B1 KR 1020110095927 A KR1020110095927 A KR 1020110095927A KR 20110095927 A KR20110095927 A KR 20110095927A KR 101157452 B1 KR101157452 B1 KR 101157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member
transmission
ring
cab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홍석
권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to KR1020110095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8Selector apparatus with means for suppression of vibrations or reduction of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exible Shaft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로우커버와, 상기 로우커버에 결합되는 링부가 구비되며, 변속레버에 연결되는 케이블이나 로드 단부에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재와, 상기 링부와 로어커버 사이에 결합되어,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변속레버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기 위한 진동감쇄 부재와, 상기 로우커버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어퍼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감쇄 부재는, 상기 로우커버의 외주에 끼워지는 제1링부재와, 상기 제1링부재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리브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제1링부재와의 사이에 공간을 가지는 제2링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2중으로 감쇄시킬 수 있어, 변속레버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 {SHIFT CABLE CONNECTING STRUCTURE OF TRANSMISSION}
본 발명은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속레버와 변속기 기어쉬프트를 연결하여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기 위한 변속케이블을 통하여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변속레버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시켜 변속레버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변속기는 변속방식에 따라 수동변속기와 자동변속기 및 무단변속기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엔진의 회전력을 변환시켜 구동바퀴로 전달하는 기능 이외에도, 정차시 엔진의 공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구동바퀴의 회전방향을 전환시켜 후진을 가능케 한다.
자동차의 변속기는 차량의 구동방식(전륜구동 또는 후륜구동)에 따라 다르나, 엔진과 변속기의 입력축 사이에 설치되는 토오크 컨버터와, 이 토오크 컨버터에 연결되는 파워 트레인(혹은 다단 변속기어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파워 트레인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어단을 선택하기 위한 유압자동 마찰요소를 포함한다.
변속기에는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기 위한 변속조작기구가 구비된다.
변속조작기구는 운전자가 직접 조작하여 변속단을 선택하거나 선택된 변속을 행하기 위한 변속레버와, 변속레버의 변속단의 변속을 행함에 따른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는 변속 케이블과, 변속 케이블의 작동을 변속기의 동기장치로 전달하여 변속을 행하는 변속포크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즉, 변속을 행하는 방향으로 변속레버를 조작하면 그 조작력은 변속케이블을 통해 변속포크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조절레버로 전달되어 변속을 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변속조작기구에서 변속케이블의 연결구조에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1-0094025호(이하 "참고문헌"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참고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변속케이블의 연결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변속케이블의 연결구조는 변속케이블(1)의 일단이 변속레버와 연결되고, 타단이 조절레버(2)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조절레버(2)는 변속포크 어셈블리(미도시)와 연결되는 컨트롤 샤프트(미도시)의 단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변속케이블(1)의 단부에는 조절레버(2)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링부(1a)가 고정되고, 이 링부(1a)는 조절레버(2)의 일측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연결로드(3)에 장착된다.
또한, 변속케이블(1)의 링부(1a)와 연결로드(3) 사이에는 볼 소켓(4)이 끼워지고, 이 볼 소켓(4)과 링부(1a) 사이에는 완충작용을 하는 고무재질의 탄성체(5)가 장착된다.
이러한 종래의 변속케이블 연결구조는,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변속케이블(1)이 직선 왕복 운동하면 그 미는 힘에 의해 조절레버(2)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컨트롤 샤프트도 동시에 회전되면서 변속레버의 조작력이 변속포크 어셈블리로 전달되어 변속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구조는, 엔진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변속케이블(1)을 통해 변속레버로 전달되는데, 진동이 변속레버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변속케이블(1)을 연결하는 링부(1a)와 볼 소켓(4) 사이에 고무재질의 탄성체(5)를 개재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변속케이블의 연결구조는, 탄성체(5)가 일정두께로 하나의 바디로 형성됨으로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하나의 바디로 된 탄성체(5)에 의해 완전히 감쇄되지 않고, 미세한 진동이 변속레버로 전달되어 변속레버의 조작감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변속케이블의 링부와 볼 소켓 사이에 구비되는 진동감쇄부재를 이중으로 형성하여,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이중으로 감쇄시켜서 변속레버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변속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로우커버와, 상기 로우커버에 결합되는 링부가 구비되며, 변속레버에 연결되는 케이블이나 로드 단부에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재와, 상기 링부와 로어커버 사이에 결합되어,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변속레버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기 위한 진동감쇄 부재와, 상기 로우커버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어퍼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감쇄 부재는 상기 로우커버의 외주에 끼워지는 제1링부재와, 상기 제1링부재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리브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제1링부재와의 사이에 공간을 가지는 제2링부재와, 상기 제1링부재와 상기 제2링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링부재와 상기 제2링부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단면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링부재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링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돌출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변속레버로 연결되는 변속케이블의 단부를 변속기 측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부재와 변속기 측에 연결되는 조절레버 사이에 2중 구조의 진동 감쇄부재가 개재되어,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2중으로 감쇄시킴으로써, 변속레버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변속케이블 연결구조에서 진동 감쇄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감쇄부재를 보인 평면도와 A-A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변속케이블 연결구조에서 진동 감쇄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감쇄부재를 보인 평면도와 A-A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구조는, 로우커버(110), 케이블 연결부재(120), 변속케이블(130), 볼 소켓(140), 진동감쇄부재(200), 어퍼커버(150)를 포함하며, 진동감쇄부재(200)는 로우커버(110)의 외주에 끼워지는 제1링부재(210)와, 제1링부재(21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리브(230)에 의해 연결되는 제2링부재(220)를 포함한다.
변속기 측에 연결되는 조절레버(100)의 상측에 수직으로 연결로드(101)가 형성되고, 연결로드(101)에 볼 소켓(140)이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이 볼 소켓(140)의 외측에 후술하는 로우커버(110), 진동 감쇄부재(200), 어퍼커버(150)에 의해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기 위한 변속케이블(130)을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부재(120)가 결합된다.
로우커버(110)는 볼 소켓(140)의 외측에 끼워지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에는 조절레버(100)의 상측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플랜지부(111)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로우커버(110)의 외측에는 케이블 연결부재(120)가 연결된다.
이때, 로우커버(110)와 후술하는 케이블 연결부재(120)의 연결부(121) 사이에는 진동 감쇄부재(200)가 개재된 상태에서 로우커버(110)에 케이블 연결부재(120)가 연결된다. 진동 감쇄부재(200)는 엔진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킴으로써, 변속케이블(130)을 통하여 변속기 측에서 변속레버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케이블 연결부재(120)의 일단부에는 변속케이블(130)이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링 형상의 연결부(121)가 구비된다.
즉, 로우커버(110)의 외측에는 진동 감쇄부재(200)가 끼워지며, 이 진동 감쇄부재(200)의 외측에 케이블 연결부재(120)의 연결부(121)가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로우커버(110)의 상측에서 어퍼커버(150)가 결합되어 로우커버(110)에 결합되는 연결부(121)와 진동 감쇄부재(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어퍼커버(150)는 로우커버(110)에 분리 방지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엔진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로우커버(110)에서 어퍼커버(15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분리 방지수단은 로우커버(110)의 상단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턱부(112)와, 어퍼커버(15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홈부(151)를 포함한다.
즉, 어퍼커버(150)가 로우커버(110)에 결합될 때, 고정홈부(151)에 고정턱부(112)가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로우커버(110)에서 어퍼커버(15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어퍼커버(150)와 로우커버(110) 사이에는 볼 소켓(140)이 어퍼커버(15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댐핑부재(170)가 더 구비된다. 즉, 댐핑부재(170)는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연결로드(101)에 결합된 볼 소켓(140)이 어퍼커버(150)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댐핑부재(170)는 어퍼커버(150)와 볼 소켓(140) 상부 사이에 개재되어 구성된다.
또한, 진동 감쇄부재(200)는 케이블 연결부재(120)의 연결부(121)와 볼 소켓(140) 사이에 개재되어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조절레버(100)의 연결로드(101)에 결합된 볼 소켓(140)을 통하여, 변속케이블(1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 소켓(140)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진동 감쇄부재(200)는 로우커버(110)의 외주에 끼워지는 제1링부재(210)와, 제1링부재(21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리브(230)에 의해 연결되는 제2링부재(220)를 포함한다.
제1링부재(210)와 제2링부재(220)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되, 그 중앙부 즉, 제1링부재(210)의 외측 중앙과 제2링부재(220)의 내측 중앙이 연결리브(23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링부재(210)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돌출부(211)가 형성되고, 제2링부재(210)의 내측면에는 제1돌출부(211)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돌출부(221)가 형성되어, 엔진의 구동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제1돌출부(211)와 제2돌출부(221)가 서로 부딪혀서 진동을 감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돌출부(211)와 제2돌출부(221)는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엔진의 구동중에 상호 접촉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단면의 형상을 원호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 즉, 삼각, 사각 형상으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링부재(210)와 제2링부재(220) 사이에는 제1링부재(210)와 제2링부재(2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240)가 형성된다.
이 간격유지부(240)는 단면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간격유지부(240)에 의해 제1링부재(210)의 진동을 감쇄시켜 제2링부재(2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진동 감쇄부재(200)는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 제1링부재(210), 제2링부재(220), 제1돌출부(211), 제2돌출부(221), 간격유지부(240)는 진동 감쇄부재(200)의 사출 성형시 모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구조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을 주행하기 위하여, 엔진을 구동하게 되면,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변속기로 전달되며, 변속기 측에 연결되는 조절레버(100)로 전달된다.
이렇게 조절레버(100)로 전달되는 진동은 조절레버(100)의 연결로드(101)에 끼워지는 볼 소켓(140)으로 전달되고, 이 볼 소켓(140)의 외측에 끼워지는 진동 감쇄부재(200)에 의해 감쇄되는 것이다.
즉, 볼 소켓(140)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진동 감쇄부재(200)의 제1링부재(210)로 전달되어, 제1링부재(210)에 의해 1차로 일부 저감된다. 이후에, 제1링부재(2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결리브(230)에 의해 연결되는 제2링부재(220)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고, 제1링부재(210)와 제2링부재(220)를 연결하고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는 연결리브(230)와 간격유지부(240)에 의해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2차 감쇄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링부재(220)의 외측에 결합되는 케이블 연결부재(120)의 연결부(121)로 엔진의 진동이 거의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케이블 연결부재(120)에서 변속케이블(130)에 의해 연결되는 변속레버로 엔진의 진동이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변속레버의 조작감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조절레버 101 : 연결로드
110 : 로우커버 120 : 케이블 연결부재
130 : 변속케이블 140 : 볼 소켓
150 : 어퍼커버 170 : 댐핑부재
200 : 진동 감쇄부재 210 : 제1링부재
220 : 제2링부재 230 : 연결리브
240 : 간격유지부

Claims (4)

  1.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로우커버와,
    상기 로우커버에 결합되는 링부가 구비되며, 변속레버에 연결되는 케이블이나 로드 단부에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재와,
    상기 링부와 로어커버 사이에 결합되어,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변속레버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기 위한 진동감쇄 부재와,
    상기 로우커버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어퍼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감쇄 부재는,
    상기 로우커버의 외주에 끼워지는 제1링부재와,
    상기 제1링부재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리브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제1링부재와의 사이에 공간을 가지는 제2링부재와,
    상기 제1링부재와 상기 제2링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링부재와 상기 제2링부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단면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부재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링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돌출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
  3. 삭제
  4. 삭제
KR1020110095927A 2011-09-22 2011-09-22 차량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 KR101157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927A KR101157452B1 (ko) 2011-09-22 2011-09-22 차량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927A KR101157452B1 (ko) 2011-09-22 2011-09-22 차량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452B1 true KR101157452B1 (ko) 2012-06-22

Family

ID=4668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927A KR101157452B1 (ko) 2011-09-22 2011-09-22 차량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245B1 (ko) 2017-07-04 2019-02-11 주식회사 인팩 차량용 변속 케이블의 엔드 아이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630Y1 (ko) 1996-12-31 2000-04-01 정몽규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
KR20010066669A (ko) * 1999-12-31 2001-07-11 이계안 차량용 변속조작기구
KR101012413B1 (ko) 2009-02-06 2011-02-08 주식회사 인팩 조립이 간편한 자동차 변속기용 연결구
KR20110090267A (ko) * 2010-02-03 2011-08-10 주식회사 인팩 앤드 아이 어셈블리의 특성곡선을 만족하는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변속기용 앤드 아이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630Y1 (ko) 1996-12-31 2000-04-01 정몽규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
KR20010066669A (ko) * 1999-12-31 2001-07-11 이계안 차량용 변속조작기구
KR101012413B1 (ko) 2009-02-06 2011-02-08 주식회사 인팩 조립이 간편한 자동차 변속기용 연결구
KR20110090267A (ko) * 2010-02-03 2011-08-10 주식회사 인팩 앤드 아이 어셈블리의 특성곡선을 만족하는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변속기용 앤드 아이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245B1 (ko) 2017-07-04 2019-02-11 주식회사 인팩 차량용 변속 케이블의 엔드 아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5185B2 (ja) 動力伝達装置
JP2014518804A (ja) トルク伝達ユニット
JP6164041B2 (ja) 手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KR101157452B1 (ko) 차량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
KR101592730B1 (ko) 클러치 어셈블리
CN102207192B (zh) 一种汽车变速器换档减振减噪结构
KR20080054956A (ko) 수동 변속기용 자동 변속 조작 장치
JP2008232262A (ja) 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US11542990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interlocking with accelerator and brake pedal
KR102360572B1 (ko) 신규한 구조의 회전축 어셈블리
KR20100109280A (ko)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KR100520735B1 (ko) 수동 변속기의 동기 장치
CN110966394A (zh) 车辆用旋转型变速装置
KR100466118B1 (ko) 차량용 변속레버
KR100395063B1 (ko) 차량의 수동변속기
KR101394034B1 (ko) 수동변속기용 시프트 포크
KR102362890B1 (ko) 작업차의 주행 조작 장치
KR101684498B1 (ko) 차량용 파킹 시스템
KR100836919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
KR101123779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 결합구조
KR20050052776A (ko) 변속 조작기구의 댐핑장치
KR20080045949A (ko) 쉬프트 케이블 매스댐퍼
KR100917342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연결구조
KR100986369B1 (ko) 변속케이블의 아이 앤드
KR101439424B1 (ko) 차량용 더블 클러치의 클러치 액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