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914Y1 -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914Y1
KR200170914Y1 KR2019960049979U KR19960049979U KR200170914Y1 KR 200170914 Y1 KR200170914 Y1 KR 200170914Y1 KR 2019960049979 U KR2019960049979 U KR 2019960049979U KR 19960049979 U KR19960049979 U KR 19960049979U KR 200170914 Y1 KR200170914 Y1 KR 200170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nsmission
dustproof
vehicl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9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964U (ko
Inventor
최영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9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914Y1/ko
Publication of KR199800369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9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9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3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being transmitted by a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8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lexible Shaft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자동차의 변속기와 시프트 레버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케이블에 대한 방진구조로서, 케이블의 피복부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강선 상에서 발생되는 진동도 효과적으로 소멸시켜 케이블을 통해 들어오는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시프트 레버와 변속기 사이에 연결 설치된 케이블의 방진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내부로 이 케이블의 피복부와 강선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방진부재와; 이 방진부재가 위치한 상기 케이블의 외주에 각기 장착되는 체결부재와; 이 체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을 차체에 지지토록하는 브라켓트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변속기로부터 케이블을 타고 흘러 들어 올 수 있는 진동을 막아주도록 하는 방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변속기는, 클러치와 추진축 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엔진 동력의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이를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장치로서, 이는 크게 수동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로 구분되고 있다.
이러한 변속기를 통해 차량의 상태에 맞추어 변속을 이루기 위해서는, 통상 운전자가 시프트 레버를 사용하여 상기 변속기의 기어 맞물림 상태를 변환시켜 주게 되는 바, 이 때 상기 시프트 레버에 의한 조작력은 이 시프트 레버와 변속기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에 의해 전달되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변속기의 작동시, 이 변속기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상기 케이블을 타고 자동차 실내로 유입되어 일어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상에 진동 방지구를 장착하고 있다.
이 진동 방지구는, 상기 케이블 상에 일어나는 진동을 충분히 흡수해야 함이 필수적인데, 종래에는 이러한 진동 방지구를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고 있다.
제3도는 종래의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도면 부호 1은 상기한 케이블을 가리키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1)은 그 방진을 위해, 플라스틱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진 절연 부쉬(3)를 외주면에 장착시키고 있는 바, 이 절연 부쉬(3)는 차체에 연결되는 케이블용 브라켓트(5)에 끼움 결합하게 된다.
이에 차량의 운행시, 상기 케이블(1)에 발생되는 진동은, 상기 절연 부쉬(3)의 재질 특성상으로 인해 이에 흡수되어 소멸되게 된다.
이처럼 종래의 자동차 변속기용 케이블에서는, 그 외주면에 장착되는 절연 부쉬로서 진동을 방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자동차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는, 상기 절연 부쉬가 상기 케이블의 외주 즉, 피복부에 장착되는 관계로 이 피복부를 타고 들어오는 진동에 대해서는 대응력이 있어 이를 소멸시킬 수는 있으나, 상기 피복부의 내부에 위치한 강선을 타고 들어오는 진동에 대해서는 대응력이 약하여 전체적인 방진 효과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블의 피복부는 물론, 케이블의 강선을 타고 들어오는 진동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이를 소멸시켜 진동으로 인한 차내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프트 레버와 변속기 사이에 연결 설치된 케이블의 방진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내부로 이 케이블의 피복부와 강선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방진부재와; 이 방진부재가 위치한 상기 케이블의 외주에 각기 장착되는 체결부재와; 이 체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을 차체에 지지토록 하는 브라켓트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를 제안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가 케이블 상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 A-A선의 단면도이고,
제3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명확히 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도는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에 본 고안에 따른 방진구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면 부호 20은 변속기용 케이블을 가리키고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20)은, 자동차의 시프트 레버와 변속기에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시프트 레버의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게 되는 바, 이는 제2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피복부(20a) 내부에 배치되는 강선(22a)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통상의 구조를 갖는 상기 케이블(20)은, 변속기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차내로 전달되어 소음을 일으키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진구조를 설치하고 있다.
우선, 상기 케이블(20)의 내부에는 상기 피복부(20a)와 강선(22a) 사이로 방진부재(22)가 삽입되어 있는 바, 이 방진부재(22)는 상기 케이블(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삽입되어 있지 않고 소정의 간격을 두면서 배치되어 있다.
이 방진부재(22)는, 상기 피복부(20a)의 내부에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강선(22a)과 함께 슬라이딩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20)의 외주로는 상기 방진부재(22)가 자리한 위치로 브라켓트(24)의 장착을 위한 체결부재(26)가 끼움 결합되어 있는 바, 이 체결부재(26)에는 자동차의 차체로 연결설치되는 브라켓트(24)가 결합되게 된다.
상기에서 체결부재(26)는 상기 피복부(20a)를 타고 지나가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기 케이블(20)상에 방진구조가 마련되면, 상기 케이블(20)의 작동시, 이에 발생되는 진동은 양호하게 소멸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케이블(20)의 피복부(20a) 상으로 발생되는 진동은, 상기 체결부재(26)의 재질 특성상으로 인해 이에 흡수됨으로써 소멸되어지고, 아울러 상기 강선(20b)을 타고 들어가는 진동은 상기 방진부재(22)에 의해 흡수되어 소멸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케이블(20)의 피복부(20a) 및 강성(20b) 상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본 고안에 따라 모두 효과적으로 소멸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을 통해 알아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는, 케이블의 피복부 뿐만 아니라 강선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차내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되므로, 이에 본 고안이 적용된 차량은, 변속기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차내로 들어오는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저감되어 차내의 분위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고안에 의한 방진구조는, 상기 케이블의 작동시 일어나는 소음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자동차의 시프트 레버와 변속기 사이에 연결 설치된 케이블의 방진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내부로 이 케이블의 피복부와 강선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방진부재(22)와; 이 방진부재(22)가 위치한 상기 케이블(20)의 외주에 각기 장착되는 체결부재(26)와; 이 체결부재(26)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20)을 차체에 지지토록 하는 브라켓트(24)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
KR2019960049979U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 KR200170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979U KR200170914Y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979U KR200170914Y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964U KR19980036964U (ko) 1998-09-15
KR200170914Y1 true KR200170914Y1 (ko) 2000-04-01

Family

ID=1947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9979U KR200170914Y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9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964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148609A (ja) 自動変速車両用トランスミッションギヤシフトケーブル
KR200170914Y1 (ko)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의 방진구조
KR100333862B1 (ko) 엔진 마운팅 부재
KR100365205B1 (ko) 자동차 추진축의 2중 방진장치
KR101481319B1 (ko) 변속 케이블 브라켓
KR102270353B1 (ko) 자동차 변속케이블의 고주파 이음 저감장치
KR0139361B1 (ko) 마운팅 고무구조
KR19980054420U (ko)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
KR100444087B1 (ko) 차량의 변속레버 지지장치
KR960010526Y1 (ko) 차량 액설레이터케이블의 대쉬판넬 취부구조
KR19980030735A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터
KR0116000Y1 (ko) 자동차의 수동변속기용 시프트 레버
FR2444193A1 (fr) Joint universel empechant la transmission des vibrations,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KR100440007B1 (ko) 종감속 차동장치의 드라이브 샤프트
KR200220796Y1 (ko) 클러치케이블의 구조
KR19990000274U (ko) 자동차용 가속기 케이블의 진동 완충 장치
KR19980061449U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브래키트 고정구조
KR0184840B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조향컬럼조립체
KR970002266Y1 (ko) 자동차용 소음 차폐구조
KR0181542B1 (ko) 전기자동차의 진동방지용 조향 칼럼
KR100215929B1 (ko)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마운팅
KR19980019601U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
KR19990016958U (ko) 차량용 스피도 미터 연결구조
KR19980033350U (ko) 자동차의 케이블 고정용 그로메트구조
KR19980023191U (ko) 오일팬의 딥 스틱 게이지 튜브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