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601U -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601U
KR19980019601U KR2019960032765U KR19960032765U KR19980019601U KR 19980019601 U KR19980019601 U KR 19980019601U KR 2019960032765 U KR2019960032765 U KR 2019960032765U KR 19960032765 U KR19960032765 U KR 19960032765U KR 19980019601 U KR19980019601 U KR 199800196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rubber seal
manual transmission
plate structur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제양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32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9601U/ko
Publication of KR199800196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601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8Selector apparatus with means for suppression of vibrations or reduction of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에서는 러버 실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시 러버 실의 조립구멍이 정확한 위치에 가공되지 않으면 러버 실과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이 틈새를 통하여 외부의 소음이 차실로 유입된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이를 해결할 목적으로, 변속레버가 관통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러버 실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측에는 다수의 요철부(12)가 형성되며, 상기 러버 실(40)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요철부(12)에 대응하는 다수의 요철부(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
본 고안은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이 차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섀시는 엔진과, 상기한 엔진의 동력을 구동바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장치와, 주행중 노면의 충격이 자동차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현가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구동바퀴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 클러치, 변속기, 추진축, 종감속기어, 차동장치, 차축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변속기는 클러치와 추진축 또는 클러치와 종감속기어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의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구동바퀴에 전달하는 장치로서 수동변속기와 자동변속기가 있다.
수동변속기는 클러치와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변속이 행해지는데, 상기 변속레버는 운전석 차체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매개로하여 고정된다.
종래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속레버(30)는 체인지 로드(20)와 결합되며, 상기 체인지 로드(20)는 미도시된 변속기에 연결되어 상기 변속레버(30)의 조작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속레버(30)는 차체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관통 설치되는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엔진의 소음 등이 차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러버 실(40)이 결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러버 실(40)에는 조립구멍(44)이 형성되어 이 조립구멍(44)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볼트(2)가 관통 체결된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에서는 러버 실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시에 러버 실의 조립구멍이 정확한 위치에 가공되지 않으면 러버 실과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이 틈새를 통하여 외부의 소음이 차실로 유입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의 소음이 차실로 유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베이스 플레이트 20 : 체인지 로드
30 : 체인지 레버 40 : 러버 실(rubber seal)
12, 42 : 요철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는 변속레버가 관통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러버 실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러버 실의 하면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요철부에 대응하는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와 러버 실은 상기 요철부에 의하여 긴밀히 결합되므로 외부의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병기하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서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다수의 요철부(12)가 형성되며, 러버 실(40)의 하면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요철부(12)에 대응하는 다수의 요철부(42)가 형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러버 실(40)에는 조립구멍(44)이 형성되어 이 조립구멍(44)에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볼트(2)가 관통체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기 러버 실(40)은 상기 요철부(12,42)가 서로 맞물리면서 긴밀히 결합되게 된다.
즉 상기 러버 실(40)의 조립구멍(44)에 약간의 가공오차가 있어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기 러버 실(40)에 형성된 요철부(12,42)에 의하여 이를 어느정도 보완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기 러버 실(40)은 긴밀히 결합되게 되어서, 외부에서 소음이 차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러버 실이 긴밀히 결합되므로 외부에서 차실로의 소음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차의 상품성이 증가한다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하나의 실시예만을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

  1. 변속레버가 관통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러버 실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다수의 요철부(12)가 형성되며, 상기 러버 실(40)의 하면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요철부(12)에 대응하는 다수의 요철부(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
KR2019960032765U 1996-10-04 1996-10-04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 KR199800196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765U KR19980019601U (ko) 1996-10-04 1996-10-04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765U KR19980019601U (ko) 1996-10-04 1996-10-04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601U true KR19980019601U (ko) 1998-07-15

Family

ID=5397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765U KR19980019601U (ko) 1996-10-04 1996-10-04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960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287A (ko) * 2000-05-09 2001-11-23 이계안 차량의 트랜스미션용 러버 가스켓트
KR20160016376A (ko) * 2014-08-05 2016-02-15 이옥순 들깨 순두부 국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287A (ko) * 2000-05-09 2001-11-23 이계안 차량의 트랜스미션용 러버 가스켓트
KR20160016376A (ko) * 2014-08-05 2016-02-15 이옥순 들깨 순두부 국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7122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equipped with worm gear clearance compensator
US6397701B1 (en) Integral mounting structure for a steering gearbox and powertrain
JP2002302087A (ja) 小型車両のエンジン支持構造
KR19980019601U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체
JP2537036B2 (ja) 自動変速機を備えた車両の終減速機装置
US5158259A (en) Vehicular manipulation-lever mounting assembly
KR19980034283U (ko) 수동변속기의 웨이트 댐퍼 취부구조
KR19980067908U (ko) 자동차 변속기의 선택로드 취부장치
KR19980055180A (ko) 자동차용 파워스티어링(Power Steering)의 펌프(Pump) 구조
KR200156040Y1 (ko) 차량의 접을 수 있는 시프트 레버
KR0143638B1 (ko) 자동차의 구동축 연결구조
KR100440007B1 (ko) 종감속 차동장치의 드라이브 샤프트
KR950010575Y1 (ko) 진동소음의 전달을 저감시키는 조향장치
KR200143798Y1 (ko) 자동차 스티어링 기어 마운팅 브래킷
JP3258179B2 (ja) 変速機の支持構造
KR0138674Y1 (ko) 자동차 조향기어의 설치구조
KR100410479B1 (ko) 자동차의 드라이브샤프트 연결구조
KR19980022662A (ko) 수동변속기의 체인지로드 부식방지구조
KR19990006419U (ko) 차축의 공진방지구조
KR970001806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오일패스조립구조
KR20010001567U (ko) 자동차용 시프트레버와 셀렉터레버의 일체형 구조
KR19980017612U (ko) 자동차 인터미디에이트 샤프트 부트의 대시패널 고정구조
KR100461055B1 (ko) 자동차용 클러치페달의 진동방지구조
KR19980045018U (ko)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레버의 설치구조
KR20030032504A (ko) 차량의 변속레버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