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021Y1 - 자동 닫힘형 자동차의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닫힘형 자동차의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021Y1
KR200165021Y1 KR2019970037242U KR19970037242U KR200165021Y1 KR 200165021 Y1 KR200165021 Y1 KR 200165021Y1 KR 2019970037242 U KR2019970037242 U KR 2019970037242U KR 19970037242 U KR19970037242 U KR 19970037242U KR 200165021 Y1 KR200165021 Y1 KR 200165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riker
contact
latch
push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763U (ko
Inventor
구형찬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70037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021Y1/ko
Publication of KR199900247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7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승차시 도어를 닫는 힘이 부족하거나 또는 래치(Latch)를 스트라이커(Striker)에 삽입하는 스프링의 불량에 의하여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경우, 도어와 맞닿은 푸시로드가 제 1 및 제 2감지센서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고, 제 1 및 제 2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값은 제어부에 전달되어 제어부에서 스트라이커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서 스트라이커가 래치에 결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가 불완전하게 닫히게 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자동 닫힘형 자동차의 도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 일측 선단부에 설치되는 래치와, 래치가 결합되도록 사이드 패널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도어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타측 선단부에 접촉되어 도어의 닫힘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도어의 힌지측에 설치되는 접촉감지 수단, 접촉감지 수단에 의해서 작동되며 도어가 덜 닫히게 되는 경우 스트라이커를 푸시하여 스트라이커에 래치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 푸시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 닫힘형 자동차의 도어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차시 도어를 닫는 힘이 부족하거나 또는 래치를 스트라이커에 삽입하는 스프링의 불량에 의하여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 도어와 맞닿은 푸시로드가 제 1 및 제 2감지센서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고, 제 1 및 제 2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값은 제어부에 전달되어 제어부에서 스트라이커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서 스트라이커가 래치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도어를 완전히 닫을 수 있도록 한 자동 닫힘형 자동차의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를 완전히 닫은 후 주행하는 것은 안전운행을 위한 필수요건이며, 이러한 도어의 닫힘상태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장치 또한 여러종류가 있다.
특히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 챠임벨이 울리거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형성된 경고등이 점멸되는 것은 이미 실용화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청각이나 시각적인 신호를 사용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소극적인 경고장치만으로는 안전사고를 완전히 방지하기에는 부족하여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승차시 도어를 닫는 힘이 부족하거나 또는 래치(Latch)를 스트라이커(Striker)에 삽입하는 스프링의 불량에 의하여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경우, 도어와 맞닿은 푸시로드가 제 1 및 제 2감지센서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고, 제 1 및 제 2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값은 제어부에 전달되어 제어부에서 스트라이커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서 스트라이커가 래치에 결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가 불완전하게 닫히게 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자동 닫힘형 자동차의 도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도어 일측 선단부에 설치되는 래치와, 래치가 결합되도록 사이드 패널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도어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타측 선단부에 접촉되어 도어의 닫힘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도어의 힌지측에 설치되는 접촉감지 수단과, 접촉감지 수단에 의해서 작동되며 도어가 덜 닫히게 되는 경우 스트라이커를 푸시하여 스트라이커에 래치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 푸시수단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접촉감지 수단은 도어의 힌지측에 일부 돌출되게 설치되는 공간부를 갖는 실린더와, 실린더 내측으로 왕복 이동되며 그 일측단은 도어에 항상 접촉되고 그 타측단은 실린더의 공간부에 끼워지는 푸시로드와, 푸시로드가 도어에 탄력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푸시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과, 푸시로드 접촉되어 도어의 덜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실린더의 내측 중간에 설치되는 제 1 감지센서와, 제 1 감지센서와 소정 이격되어 위치되며 도어의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실린더의 내측 후단에 설치되는 제 2 감지센서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스트라이커 푸시수단은 제 1 및 제 2 감지에 의해 감지된 신호값에 따라 도어의 닫힌상태를 판별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스트라이커를 푸시할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 후방측에 고정된 솔레노이드와, 솔레노이드를 사이드 패널 내측에 고정하는 고정편으로 구성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도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푸시로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스트라이커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도어 52:힌지
54:스트라이커 56:래치
58:사이드패널 100:접촉감지수단
110:실린더 120:푸시로드
130:코일 스프링 140:제 1 감지센서
150:제 2 감지센서 200:스트라이커 푸시수단
210:솔레노이드 220:고정편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도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푸시로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스트라이커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도어(50)의 타측 선단부에 접촉되어 도어(50)의 닫힘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도어(50)의 힌지(52)부측에 설치되는 접촉감지 수단(100)과, 접촉감지 수단(100)에 의해서 작동되며 도어(50)가 덜 닫히게 되는 경우, 스트라이커(54)를 밀어서 스트라이커(54)에 래치(56)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 푸시수단(200)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접촉감지 수단(100)은 도어(50)의 힌지(52)부측에 일부 돌출되게 설치되는 공간부(112)를 갖는 실린더(110)와, 실린더(110) 내측으로 왕복 이동되며 그 일측단은 도어(50)에 항상 접촉되고 그 타측단은 실린더(110)의 공간부(112)에 끼워지는 푸시로드(120)와, 푸시로드(120)가 도어(50)에 탄력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푸시로드(1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130)과, 푸시로드(120) 접촉되어 도어(50)의 덜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실린더(110)의 내측 중간에 설치되는 제 1 감지센서(140)와, 제 1 감지센서(140)와 소정 이격되어 위치되며, 도어(50)의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실린더(110)의 내측 후단에 설치되는 제 2 감지센서(150)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스트라이커 푸시수단(200)은 제 1 및 제 2 감지(140)(150)에 의해 감지된 신호값에 따라 도어(50)의 닫힌상태를 판별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스트라이커(54)를 푸시할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54) 후방측에 고정된 솔레노이드(210)와, 솔레노이드(210)를 사이드 패널(58) 내측에 고정하는 고정편(220)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도어(50)의 타측 선단부에 접촉되어 도어(50)의 닫힘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도어(50)의 힌지(52)측에는 실린더(110)가 설치되어 있는 바, 실린더(110)는 도어(50)의 힌지(52)측에 일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실린더(110)의 일측단부는 도어(50)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타측단부는 사이드 패널(58)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110)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공간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110)의 전방측에는 푸시로드(120)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푸시로드(120)의 일측단은 실린더(110)의 공간부(112)내에 삽입되어 있고, 푸시로드(120)의 타측단은 도어(50)의 내측면이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푸시로드(120)의 후방측에는 코일 스프링(130)이 설치되어 있는 바, 코일 스프링(130)은 푸시로드(120)가 도어(50)의 내측에 항상 접촉될 수 있도록 푸시로드(1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실린더(110)의 내측에는 제 1 감지센서(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린더(110)의 내측 후방측에는 제 2 감지센서(150)가 설치되어 있다. 푸시로드(120)의 선단부가 제 1 감지센서(140)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제어부(미도시)가 도어(50)의 덜 닫힌 상태를 감지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푸시로드(120)의 선단부가 제 2 감지센서(150)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제어부가 도어(50)의 완전히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도어(50)가 힌지(52)에 의해 회동되면서 닫히게 구성되어 있는 바, 도어(50)가 닫히면서 푸시로드(120)를 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푸시로드(120)가 왕복 이동되면서 제 1 및 제 2 감지센서(140)(150)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푸시로드(120)의 선단부가 제 1 감지센서(140)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도어(50)의 덜 닫힌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도어(50)가 덜 닫히게 되면, 솔레노이드(210)를 작동시켜서 스트라이크(54)를 푸시함으로써 래치(56)가 스트라이커(54)에 결합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스트라이커(54)는 솔레노이드(210)의 선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솔레노이드(210)는 고정편(220)에 의해 사이드 패널(58)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승,하차시 도어(50)를 닫으면 도어(50)는 차체와 연결된 힌지(52)를 축으로 회동하면서 일단, 또는 이단으로 닫힌다.
이렇게 다단으로 닫히면서 래치(56)가 스트라이커(54)에 삽입되어 상호 체결되므로써 도어(50)는 완전히 닫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어(50)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푸시로드(120)가 도어(50)의 내측면에 완전히 눌려져서 제 1 감지센서(140)를 지나 제 2 감지센서(150)에 닿게 된다.
푸시로드(120)의 선단부가 제 1 및 제 2 감지센서(140)(150)에 닿게 됨에 따라서 제어부에서 도어(50)의 닫힘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푸시로드(120)의 선단부가 제 2 감지센서(150)에 닿게 됨으로서 제어부는 도어(50)가 완전히 닫힌 상태라고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노후된 차량이나, 래치(56)를 동작시키는 스프링(미도시)이 불량한 경우 래치(56)가 스트라이커(54)에 삽입되는 힘이 부족하여 스트라이커(54)에 살짝 걸치는 반닫힘상태가 된다. 다시 말하면, 도어(50)가 덜 닫힌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고속주행중 도어(50)가 임의로 열리게 되는 경우 대형사고를 초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50)가 덜 닫힌 경우에, 도어(50)를 완전히 닫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어(50)가 덜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푸시로드(120)가 도어(50)의 내측면에 의해서 완전히 눌려지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하면, 푸시로드(120)의 선단부가 제 1감지센서(140)에만 접촉되고, 제 2 감지센서(150)에는 접촉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제 1 감지센서(140)에 의해 감지된 신호값은 제어부에 수신된다.
제 1 감지센서(140)의 신호값만 입력이 수행되었기 때문에 제어부에서는 도어(50)가 덜 닫혔다고 판단하게 된다.
제어부는 솔레노이드(210)에 전원을 인가하여 솔레노이드(210)가 작동을 하게 된다.
솔레노이드(210)가 작동됨에 따라서 솔레노이드(210)에 연결되어 있는 스트라이커(54)가 전방으로 돌출되며, 이때 래치(56)가 스트라이커(54)에 결합되어 도어(50)가 완전히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경우, 도어와 맞닿은 푸시로드가 제 1 및 제 2감지센서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고, 제 1 및 제 2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값은 제어부에 전달되어 제어부에서 스트라이커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서 스트라이커가 래치에 결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가 닫히지 않게 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도어(50) 일측 선단부에 설치되는 래치(56)와, 상기 래치(56)가 결합되도록 사이드 패널(58)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54)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50)의 타측 선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도어(50)의 닫힘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50)의 힌지(52)측에 설치되는 접촉감지 수단(100);
    상기 접촉감지 수단(100)에 의해서 작동되며, 상기 도어(50)가 덜 닫히게 되는 경우 상기 스트라이커(54)를 푸시하여 상기 스트라이커(54)에 상기 래치(56)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 푸시수단(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닫힘형 자동차 도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감지 수단(100)은 상기 도어(50)의 힌지(52)측에 일부 돌출되게 설치되는 공간부(112)를 갖는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 내측으로 왕복 이동되며, 일측단은 상기 도어(50)에 항상 접촉되고, 타측단은 상기 실린더(110)의 공간부(112)에 끼워지는 푸시로드(120)와;
    상기 푸시로드(120)가 상기 도어(50)에 탄력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푸시로드(1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130)과;
    상기 푸시로드(120) 접촉되어 상기 도어(50)의 덜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110)의 내측 중간에 설치되는 제 1 감지센서(140);
    상기 제 1 감지센서(140)와 소정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도어(50)의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110)의 내측 후단에 설치되는 제 2 감지센서(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닫힘형 자동차의 도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푸시수단(200)은,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140)(150)에 의해 감지된 신호값에 따라 상기 도어(50)의 닫힌상태를 판별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스트라이커(54)를 푸시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라이커(54) 후방측에 고정된 솔레노이드(210)와;
    상기 솔레노이드(210)를 상기 사이드 패널(58) 내측에 고정하는 고정편(2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닫힘형 자동차의 도어장치.
KR2019970037242U 1997-12-13 1997-12-13 자동 닫힘형 자동차의 도어장치 KR200165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242U KR200165021Y1 (ko) 1997-12-13 1997-12-13 자동 닫힘형 자동차의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242U KR200165021Y1 (ko) 1997-12-13 1997-12-13 자동 닫힘형 자동차의 도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763U KR19990024763U (ko) 1999-07-05
KR200165021Y1 true KR200165021Y1 (ko) 2000-03-02

Family

ID=19516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242U KR200165021Y1 (ko) 1997-12-13 1997-12-13 자동 닫힘형 자동차의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0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761Y1 (ko) 2020-06-19 2021-12-17 채상훈 도어패널의 후미부에 문닫이 홈을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761Y1 (ko) 2020-06-19 2021-12-17 채상훈 도어패널의 후미부에 문닫이 홈을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763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9199B1 (en) Device for monitoring a locked condition of locking and support components of a connecting device for fixing a child seat in a motor vehicle
US6499555B2 (en) Vehicle hood apparatus
CN104583027A (zh) 用于车辆闭合元件的控制方法和控制系统
KR200165021Y1 (ko) 자동 닫힘형 자동차의 도어장치
KR0176037B1 (ko) 버스 자동문의 안전 장치
KR101916546B1 (ko) 측후방경보유닛을 이용한 도어개방 방지 장치 및 시스템
KR200141630Y1 (ko) 자동차의 도어록크에 일체로 설치된 도어개방감지장치
KR20020050649A (ko) 차량용 도어 안전장치
KR19990003083A (ko) 도어 개방상태 감지구조를 갖춘 도어 스위치
KR200172640Y1 (ko) 도어록킹 방지장치
KR970002162B1 (ko) 차량의 외측도어의 키홀(Key Hall)조명장치
KR19990026981A (ko) 자동차의 속도 감응식 도어내측핸들 작동장치
KR0157819B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 열림 경보장치
KR100494487B1 (ko)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58623B1 (ko) 자동차의 키 삽입 알림 스위치 장치
KR0127070Y1 (ko) 도어잠김 안전장치
KR200256802Y1 (ko)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
KR19980052531U (ko) 버스 자동문 안전장치
KR100488661B1 (ko) 탑승자 의도 감지식 도어 개폐장치
KR200161417Y1 (ko) 자동차의 도어개폐시 시건장치
KR19980073917A (ko)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KR20060118709A (ko) 차량의 도어 안전장치
KR19990020530U (ko) 자동차의 도어 안전 장치
KR19980039036A (ko) 자동차용 도어의 잠김방지장치
KR20080004980A (ko) 차량용 도어의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