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2531U - 버스 자동문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버스 자동문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2531U
KR19980052531U KR2019960065710U KR19960065710U KR19980052531U KR 19980052531 U KR19980052531 U KR 19980052531U KR 2019960065710 U KR2019960065710 U KR 2019960065710U KR 19960065710 U KR19960065710 U KR 19960065710U KR 19980052531 U KR19980052531 U KR 199800525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se
safety device
safety sensor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5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강원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5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2531U/ko
Publication of KR199800525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531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03Power-actuated 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of vehicle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of roller-blind type made of rigi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 자동문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폐문 상태에서 승객이 끼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버스 자동문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는 경우 또는 승객이 급하게 하차 하게될 경우에 있어서는 도어가 닫히게 되어 승객이 도어에 끼어 다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에 안전센서를 구비하고, 구비된 안전센서가 도어의 충돌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도어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도어의 동작을 멈추도록 하므로서,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 자동문 안전장치
본 고안은 버스 자동문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폐문 상태에서 승객이 끼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버스 자동문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버스 자동문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자동으로 열려질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승객이 버스의 자동문앞에 존재하게 되면 닫히지 않고 경고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는 경우 또는 승객이 급하게 하차하게 될 경우에 있어서는 도어가 닫히게 되어 승객이 도어에 끼어 다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에 안전센서를 구비하고, 구비된 안전센서가 도어의 충돌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도어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도어의 동작을 멈추도록 하므로써,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버스 자동문 안전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서, 안전센서의 동작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 (가)는 안전센서에 아무런 접촉이 없을 경우 밸브의 오프상태를 나타낸 도면, (나)는 안전센서에 접촉발생시 밸브의 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서, 브레이크의 동작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메인 실린더2:도어
3:공압소스4:도어
5:스프링6:안전센서
7:입력호스8:출력호스
9:밸브10:브레이크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버스 자동문 안전 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 1∼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구성은 메인 실린더(1)로 공압을 유입시켜 도어(2)를 개폐하기 위한 공압호스(3)와, 도어(4)의 내측으로 스프링(5)에 의해 탄력적으로 고정되어 개문시 또는 페문중에는 도어(4)의 외부로 돌출되고, 폐문완료시에는 도어(4)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작용하여 도어(4)에 사람 또는 이물질이 끼었는가를 감지하는 안전센서(6)와, 안전센서(6)의 동작에 의하여 연동되어 입력호스(7)와 출력호스(8)의 연결부의 개폐를 결정하여 공압호스(3)로부터의 유압을 브레이크(10)에 전달결정하도록 하는 밸브(9)와, 밸브(9)의 개폐에 따라 출력호스(8)를 통해 전달된 공압에 의하여 동작하여 도어(4)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문완료상태에서 폐문 스위치가 온(ON)시키면 폐문 밸브가 열리는 공압 호스(3)는 메인 실린더로 유입됨과 동시에 입력 호스(7)로 유입된다.
이때, 안전센서(6)에 아무런 접촉도 없는 경우에는 도 3의 (가)에서와 같이, 밸브(9)가 입력호스(7)와 출력호스(8)를 막고 있어 공압호스(3)로부터 전달되는 공압은 브레이크(10)로 전달되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도어(4)에 접촉이 발생하게 되면, 도어(4)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안전센서(6)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안전센서(6)가 접촉되어지고, 이에 따라 밸브(3)가 도 3의 (나)에서와 같이, 오픈되어 입력호스(7)로부터 출력호스(8)로 공압이 전달되므로 브레이크(10)를 동작시켜 도 4에서와 같이, 도어(4)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후, 폐문완료후 차체와 부딪히는 힘에 의해 안전센서가 문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에 안전센서를 구성하여 도어에 차체가 아닌 다른 물체가 접촉되면 이를 감지하여 공압소스로 부터 공급되는 공압을 브레이크에 전달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정지시키도록 하므로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메인 실린더(1)로 공압을 유입시켜 도어(2)를 개폐하기 위한 공압호스(3)와, 도어(4)의 내측으로 스프링(5)에 의해 탄력적으로 고정되어 개문시 또는 페문중에는 도어(4)의 외부로 돌출되고, 폐문완료시에는 도어(4)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작용하여 도어(4)에 사람 또는 이물질이 끼었는가를 감지하는 안전센서(6)와, 안전센서(6)의 동작에 의하여 연동되어 입력호스(7)와 출력호스(8)의 연결부의 개페를 결정하여 공압소스(3)로부터의 유압을 브레이크(10)에 전달결정하도록 하는 밸브(9)와, 밸브(9)의 개폐에 따라 출력호스(8)를 통해 전달된 공압에 의하여 동작하여 도어(4)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자동문 안전장치.
KR2019960065710U 1996-12-31 1996-12-31 버스 자동문 안전장치 KR199800525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5710U KR19980052531U (ko) 1996-12-31 1996-12-31 버스 자동문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5710U KR19980052531U (ko) 1996-12-31 1996-12-31 버스 자동문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531U true KR19980052531U (ko) 1998-10-07

Family

ID=5400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5710U KR19980052531U (ko) 1996-12-31 1996-12-31 버스 자동문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253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035B1 (ko) * 2001-09-24 2005-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윙 보디 트럭용 게이트 안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035B1 (ko) * 2001-09-24 2005-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윙 보디 트럭용 게이트 안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0009966A3 (en) Automatic door safety system with multiple safety modes
US4478131A (en) Electro-pneumatic door control apparatus
KR19980052531U (ko) 버스 자동문 안전장치
EP1054128B1 (en) Safety arrangement for vehicle doors
CN101321924A (zh) 用于双翼公交车门的气动装置
KR100437962B1 (ko) 차량용 문의 문폐쇄장치
KR100198076B1 (ko) 버스의 자동폐문장치
KR100240147B1 (ko) 버스의 폴딩 도어용 안전장치
KR0143734B1 (ko) 철도차량용 출입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198084B1 (ko) 버스 자동문에서 승객 끼임 방지 장치
KR100224222B1 (ko) 차량의 개문발차 방지장치
KR100761057B1 (ko) 도어개폐장치
KR19990027651A (ko) 차량의 트렁크 안전 개폐장치
KR100401863B1 (ko) 버스도어의 비상밸브 경고음 장치
KR19990026951A (ko) 버스용 스윙 자동도어의 안전개방장치
KR200165021Y1 (ko) 자동 닫힘형 자동차의 도어장치
KR200188291Y1 (ko) 도어의 오픈경고음 차단장치
KR19990030662U (ko) 비상시 버스 도어의 개방장치
KR100387614B1 (ko) 도어 연동식 실내공기 추출장치
KR200156244Y1 (ko) 차량의 자동개폐문 제어회로
KR200140914Y1 (ko) 차량 도어개폐레버 연결구
JPH03246137A (ja) 車室内の空気圧調整装置
KR100199490B1 (ko) 버스의 자동문 속도 제어장치
KR100461168B1 (ko)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 방지장치
KR19990019907A (ko) 버스의 개문 발차 금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