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614B1 - 도어 연동식 실내공기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연동식 실내공기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614B1
KR100387614B1 KR10-2000-0073533A KR20000073533A KR100387614B1 KR 100387614 B1 KR100387614 B1 KR 100387614B1 KR 20000073533 A KR20000073533 A KR 20000073533A KR 100387614 B1 KR100387614 B1 KR 100387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ir extraction
contact
fixed contact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024A (ko
Inventor
전원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3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614B1/ko
Publication of KR20020044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는 동안에 일시적으로 블로어를 작동시켜 차실내의 공기를 추출함으로써 도어의 개폐시에 실내외의 순간적인 압력차를 해소할 수 있는 도어 연동식 실내공기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공기 추출장치는 센터 필러(10)에 장착되고 내주부에는 고정접점(22a)이 부착된 케이싱(22)과, 스프링(28)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케이싱(22)의 내부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며 외주부에는 고정접점(22a)과 대응하는 가동접점(24a)이 부착된 플런저(24)로 이루어진 도어 연동 스위치(20)와, 밧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추출 블로어(40)와, 고정접점(22a)과 가동접점(24a)의 접촉시에 공기 추출 블로어(40)에 신호를 보내 이를 작동시키는 제어유닛(3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도어 연동식 실내공기 추출장치{DEVICE FOR EXTRACTING AIR IN VEHICLE USING A SWITCH}
본 발명은 도어 연동식 실내공기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는 동안에 일시적으로 블로어를 작동시켜 차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도어 연동식 실내공기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는 동력을 발생하는 부분인 엔진과, 외형을 구성하는 부분인 차체 및 차체에 장착되어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 및 정지를 가능케 하는 섀시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에서 차체는 다수의 패널이 용접이나 볼트 등의 결합을 통해서 하나의 바디를 형성한다.
또한, 차체에는 탑승자가 타고 내릴 수 있는 다수의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세단형 차량이 도시되어 있다. 센터 필러를 기준으로 볼 때에, 전방에는 운전자가 이용할 수 있는 프론트 도어(2)가 장착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뒷좌석 승객이 타고 내릴 수 있는 리어 도어(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트렁크의 하단부 측면에는 차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8)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차실내의 공기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차량에 구비되어 있긴 하지만, 배출구가 실내로부터 많이 떨어져 있어 공기배출 효과가 미비하며, 도어 개폐시에 많은 힘이 들어가고 작동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 도어를 세게 닫는 경우에 실내외의 압력차로 인해서 차에 타고 있는 승객의 귀가 멍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시에 실내외의 압력차로 인해 탑승자의 귀가 멍해지는 현상을 막기위해 차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추출함으로써 실내외의 순간적인 압력차를 제거할 수 있는 도어 연동식 실내공기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선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 본 발명의 연동 스위치의 장착상태를 보인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차례대로 도어가 열린상태, 중립, 닫힌상태에서의 연동 스위치의 작동순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 추출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4:도어 외측패널 2', 4':도어 내측패널
10, 10':센터 필러 12:힌지 브라켓
14:힌지핀 20:연동 스위치
22:케이싱 22a:고정접점
24:플런저 24a:가동접점
26:스토퍼 28:스프링
30:제어유닛 40:공기 추출 블로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연동식 실내공기 추출장치는 센터 필러에 장착되고 내주부에는 고정접점이 부착된 케이싱과,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케이싱의 내부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며 외주부에는 고정접점과 대응하는 가동접점이 부착된 플런저로 이루어진 도어 연동 스위치와, 밧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추출 블로어와,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의 접촉시 이때의 신호를 입력받아 공기 추출 블로어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연동식 실내공기 추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선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 본 발명의 연동 스위치의 장착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차례대로 도어가 열린상태, 중립, 닫힌상태에서의 연동 스위치의 작동순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 추출장치의 회로도이다.
먼저, 도 2를 보면, 차체의 양측면에는 도 1에서 설명한 프론트 도어(2) 및 리어 도어(4)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 도어는 각각, 외측패널(편의상 2, 4로 표시)과 내측패널(2', 4')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리어 도어(4)는 센터 외측필러(10)에 고정된 힌지 브라켓(12)에 의해서 힌지(14)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센터 내측필러(10')에는 시트벨트의 높이조절장치 및 D링이 설치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를 각각 번호(2), (4)로 설명하고, 센터 필러는 번호(10)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구성의 도어 구조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시에 발생되는 실내외의 압력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어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연동 스위치(20)를 도어의 센터 필러(10)에 설치함과 동시에, 트렁크 하단의 공기 배출구 내측에는 공기 추출 블로어(40)를 설치함으로써, 도어를 열고 닫을 때에 실내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연동 스위치(20)에 대한 작동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예시한 연동 스위치(20)의 구조를 보면, 도어의 센터 필러(10)에 고정되는 케이싱(22)과, 이 케이싱(22)의 내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런저(24)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케이싱(22)의 내주면에는 고정접점(22a)이 설치되어 있으며, 플런저(24)의 외주면에는 도어의 개폐에 따라서 고정접점(22a)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공기 추출 블로어(40)의 작동을 위한 접점신호를 제어유닛(30)측에 제공하는 가동접점(24a)이 설치되어 있다.또한, 케이싱(22)의 일측면에는 스토퍼(26)가 부착되어 있어서, 플런저(24)의 길이방향을 안내함과 동시에 플런저(24)가 일정길이 이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제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의 개방시에 플런저(24)를 외측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접점(22a)과 가동접점(24a)이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28)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프링(28)의 일단은 플런저(24)의 끝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은 스토퍼(26)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도어 연동 스위치(20)에 있어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플런저(24)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8)에 의해 실외측방향으로 가압 돌출되어 있으며, 고정접점(22a)과 가동접점(24a)이 분리되어 있어 스위치는 오프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를 닫게 되면, 플런저(24)는 도어에 의해 밀려나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 지점에서는 고정접점(22a)과 가동접점(24a)이 접촉되어 연동 스위치(20)를 온시키게 된다.이렇게 연동 스위치(20)가 온되면, 이때의 신호는 제어유닛(30)으로 보내지게 되고, 제어유닛(30)에서는 연동 스위치(20)의 온 신호를 입력받아 자체적인 제어로직의 연산을 통해 공기 추출 블로어(40)의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러한 제어신호에 의해 공기 추출 블로어(40)는 일정시간 동안 작동되면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제어유닛(30)은 해당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연동 스위치(20)의 온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유닛(30)의 제어에 의해 해당 액추에이터, 즉 공기 추출 블로어(40)는 일정시간(예를 들면, 10초 정도)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도어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도어에 의해서 플런저(24)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2) 내로 완전히 삽입되어 고정접점(22a)과 가동접점(24a) 간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이때의 연동 스위치(20)의 오프 신호가 제어유닛(30)에 보내지게 되면, 이때의 제어유닛(30)은 이러한 연동 스위치(20)의 오프 신호를 입력하고 있다가 일정시간 공기 추출 블로어(40)를 작동시킨 후 전원을 차단하여 공기 추출 블로어(40)를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공기 추출 블로어(40)와 도어 연동 스위치(20)의 접속상태가 도시되어 있다.트렁크의 공기 배출구 내측에 설치되는 공기 추출 블로어(40)는 밧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회전되면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이때, 공기 추출 블로어(40)는 제어유닛(3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된다.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도어의 중립 위치에서 고정접점(22a)과 가동접점(24a)이 접촉되면, 제어유닛(30)은 이들 접점(22a, 24a)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공기 추출 블로어(40)를 작동시킴으로써, 공기 추출 블로어(40)의 작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순간적인 압력차를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는 동안에 일시적으로 블로어를 작동시켜 차실내의 공기를 추출함으로써 도어의 개폐시에 실내외의 순간적인 압력차를 제거하여 탑승자의 귀가 멍해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Claims (1)

  1. 센터 필러(10)에 장착되고 내주부에는 고정접점(22a)이 부착된 케이싱(22)과, 스프링(28)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상기 케이싱(22)의 내부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며 외주부에는 상기 고정접점(22a)과 대응하는 가동접점(24a)이 부착된 플런저(24)로 이루어진 도어 연동 스위치(20)와,
    밧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추출 블로어(40)와,
    상기 고정접점(22a)과 상기 가동접점(24a)의 접촉시에 상기 공기 추출 블로어(40)에 신호를 보내 이를 작동시키는 제어유닛(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연동식 실내공기 추출장치.
KR10-2000-0073533A 2000-12-05 2000-12-05 도어 연동식 실내공기 추출장치 KR100387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533A KR100387614B1 (ko) 2000-12-05 2000-12-05 도어 연동식 실내공기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533A KR100387614B1 (ko) 2000-12-05 2000-12-05 도어 연동식 실내공기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024A KR20020044024A (ko) 2002-06-14
KR100387614B1 true KR100387614B1 (ko) 2003-06-18

Family

ID=2767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533A KR100387614B1 (ko) 2000-12-05 2000-12-05 도어 연동식 실내공기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6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024A (ko) 200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1994A3 (de) Vorrichtung zum Wirksamsetzen einer Öffnungshilfe und/oder einer Schliesshilfe für verschliessbare bewegliche Teile an Fahrzeugen, wie Klappen, Türen od. dgl.
EP1422366A3 (de) Verfahren zum fernbetätigten Öffnen bzw. Schliessen einer heckseitigen Klappe eines Kraftfahrzeuges und Vorrichtung dazu
US5194756A (en) Vehicle provided with an improved system for controlling the window and sunroof movement and door locks
US6059346A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runk lid
KR101514592B1 (ko) 자동차의 해치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KR100387614B1 (ko) 도어 연동식 실내공기 추출장치
US8224532B2 (en) Vehicles including master control device for control of power door
JP2008019625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18040185A (ja) スイングドア制御装置
WO2005000486A3 (en) Sliding plug doors
KR100255338B1 (ko) 도어 개폐장치의 비상 밸브
US6353300B1 (en) Open roof operating method and open roof operation control system
KR0134611B1 (ko) 차량의 실내 공기압 배출장치
KR100415348B1 (ko) 선루프가 설치된 자동차 루프패널의 개구부 폐쇄장치
KR100401863B1 (ko) 버스도어의 비상밸브 경고음 장치
KR100494727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자동개폐장치
KR100198084B1 (ko) 버스 자동문에서 승객 끼임 방지 장치
KR100241683B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KR200144108Y1 (ko) 자동차 뒷문 개폐 장치
KR100410855B1 (ko) 자동차의 도어 닫힘에 대응한 실내압력 배출장치
JPS6340375Y2 (ko)
KR100405812B1 (ko) 차량의 실내등 제어장치
JPH0516383Y2 (ko)
US20060122753A1 (en) Safety devices for car windows
KR100579981B1 (ko) 컨버세이션 미러에 설치되는 오버헤드콘솔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