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487B1 -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487B1
KR100494487B1 KR10-2002-0070042A KR20020070042A KR100494487B1 KR 100494487 B1 KR100494487 B1 KR 100494487B1 KR 20020070042 A KR20020070042 A KR 20020070042A KR 100494487 B1 KR100494487 B1 KR 100494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pper
side door
obstacl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1932A (ko
Inventor
김민규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0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487B1/ko
Publication of KR20040041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05Y2400/53Wing impact prevention or reduction
    • E05Y2400/54Obstruction or resistance de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가 도어스토퍼에 록킹되지 않은 상태에서 승객이 차량에 승하차하는 경우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10)의 하부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롤러(11)와; 상기 도어롤러(11)를 가이드하는 도어 레일(20) 상에 돌출 가능하게 구비된 스토퍼(21)와; 상기 스토퍼(2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30)와; 상기 도어 레일(20) 상에 장애물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장애물감지센서부(15)와; 상기 장애물감지센서부(15)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로 구성되어, 사이드 도어가 완전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레일 상에 장애물이 위치하게 되면, 사이드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승하차 중에 사이드 도어가 닫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Safety device for a sliding side door for vehicl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딩 도어가 도어 스토퍼에 록킹되지 않은 상태에서 승객이 차량에 승하차하는 경우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는 완전 개방되면 도어가 도어 스토퍼에 록킹되어 일정한 힘 이상으로 도어를 다시 닫지 않으면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아 도어 스토퍼에 록킹되지 않은 상태로 도어가 일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어가 다시 닫히도록 구성된다.
즉, 차량에 승하차하거나 물건을 싣는 경우에는 사이드 도어에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해서는 사이드 도어를 완전 개방하여 도어 스토퍼에 록킹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사이드 도어는 상당히 힘을 가하여 도어를 밀어줘야 하므로, 노약자나 어린이가 사이드 도어를 완전 개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사이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완전 개방하게 되는 위치까지의 운동 궤적이 길어 탑승자가 움직이지 않고 한 자리에서 사이드 도어를 완전 개방하기에는 어려운 불편함이 발생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탑승자는 사이드 도어를 완전 개방하지 않고 일부만 개방된 상태에서 사이드 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승하차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이드 도어가 도어 스토퍼에 록킹되지 않은 상태에서 승하차하는 경우에 사이드 도어가 닫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가 있다.
특히, 사이드 도어를 완전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노약자나 어린이가 승하차 과정에서 사이드 도어가 닫혀 손가락이 끼거나 기타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사이드 도어를 완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 레일 상에 장애물이 있게 되면 사이드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는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하부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롤러와; 상기 도어롤러를 가이드하는 도어 레일 상에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된 스토퍼와; 상기 도어 레일 상에서 상기 스토퍼의 인출/인입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도어 레일 상에 장애물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장애물감지센서부와; 상기 장애물감지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 안전장치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가이드하기 위한 도어 레일에 인출/인입 가능한 스토퍼가 구비된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도어가 완전 개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도어가 완전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 레일 상부로 장애물이 감지되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단계와; 도어 레일 상부로 장애물이 감지되면 도어 레일에 구비된 스토퍼가 인출되도록 하는 제3단계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 안전장치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어의 하부에 자유 회동 가능한 도어롤러(11)가 구비되며, 이 도어롤러(11)는 차체의 도어 레일(20)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도어 레일(20)에는 돌출 가능하게 구비된 다수의 스토퍼(21)가 구비되며, 이 스토퍼(21)는 도어 레일(20)의 하부에 구비된 구동부(30)에 의해 구동되어, 도어 레일(20) 상에서 인출 또는 인입된다.
특히, 상기 스토퍼(21)는 일측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도록 도어 레일(20)에 힌지 체결되어, 상기 도어 롤러(11)가 스토퍼에(21) 걸려 도어(1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구동부(30)는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토퍼(21)를 인출/인입 구동하게 된다.
제어부(40)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 측에 구비된 다수의 센서부의 신호를 감지하며, 사이드 도어가 일부 개방된 상태에서 장애물이 도어 레일 상부에 감지되면 상기 구동부(30)를 구동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 안전장치에 구비되는 센서부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사이드 도어(10)의 개폐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부(12)와, 사이드 도어(10)의 완전 개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2센서부(13)와, 도어 손잡이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3센서부(14)와, 사이드 도어(10)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도어레일 상에 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장애물감지센서부(15)로 구성될 수가 있다.
제1센서부(12)는 사이드 도어(10)의 개폐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써, 액추에이터에 의해 접점이 개폐되는 리밋 스위치,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전 스위치, 자계 또는 전계를 이용한 비접촉식의 근접 스위치를 포함한다.
제2센서부(13)는 사이드 도어(10)가 완전 개방되었는지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써, 리밋 스위치, 광전 스위치, 근접 스위치와 같이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예가 가능할 것이다.
참고로 제2센서부(13)의 동작 위치는 사이드 도어가 완전 개방되어 차체에 구비된 도어 스토퍼에 록킹되는 위치에 해당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이드 도어가 도어 스토퍼에 록킹/언로킹될 때 제2센서부(13)는 제어부(40)에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제3센서부(14)는 탑승자가 도어 손잡이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써, 승하차 시에 탑승자가 도어 손잡이를 잡고 있는 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장애물감지센서부(15)는 도어(10)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 레일 상에 사람 또는 기타 장애물이 있는 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써, 차체와 도어에 각각 발광부와 수광부가 구비되어 광로 사이에 물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여 개폐되는 광전 스위치로 구성될 수가 있다.
제1,2,3,센서부(12)(13)(14) 및 장애물감지센서부(15)는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40)로 출력하게 되며, 제어부(40)는 각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판단하여 스토퍼를 구동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 안전장치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이드 도어(10)가 개방되면 제1센서부(12)는 사이드 도어(10)가 개방되었음을 제어부(40)에 전달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1단계(S10)에서 제어부(40)는 사이드 도어(10)가 개방되었음을 감지하게 되면, 제2센서부(1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사이드 도어(10)가 완전히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40)는 제3센서부(14)의 신호를 입력받아 탑승자가 사이드 도어(10)의 손잡이를 잡고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탑승자가 손잡이를 잡고 있는 상태이면 제어부(40)는 사이드 도어(10)가 완전히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계속 감지하는 단계(S11)가 추가로 구성될 수가 있다.
제2단계(S20)는 사이드 도어(10)가 완전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애물감지센서부(1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도어 레일(20) 상부로 장애물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제3단계(S30)는 도어 레일(20) 상부로 장애물이 감지되면 도어 레일(20)에 구비된 스토퍼(21)가 인출되도록 하여 사이드 도어(10)가 스토퍼(21)에 걸려 사이드 도어(10)가 닫히지 않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사이드 도어를 가이드하는 도어레일에 스토퍼를 구비하여, 사이드 도어가 완전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레일 상에 장애물이 위치하게 되면, 사이드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승하차 중에 사이드 도어가 닫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 안전장치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 안전장치에 구비되는 센서부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 안전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이드 도어 11 : 도어롤러
12 : 제1센서부 13 : 제2센서부
14 : 제3센서부 15 : 장애물감지센서부
20 : 도어 레일 21 : 스토퍼
30 : 구동부 40 : 제어부

Claims (6)

  1.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하부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롤러와;
    상기 도어롤러를 가이드하는 도어 레일 상에 돌출 가능하게 구비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도어 레일 상에 장애물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장애물감지센서부와;
    상기 장애물감지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일측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도어 롤러가 스토퍼에 걸려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사이드 도어가 완전 개방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도어 손잡이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손잡이감지센서부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
  5.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가이드하기 위한 도어 레일에 인출/인입 가능한 스토퍼가 구비된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도어와 차체에 구비된 센서부에 의해 도어가 완전 개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도어가 완전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애물감지센서부를 이용하여 도어 레일 상부로 장애물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제2단계와;
    도어 레일 상부로 장애물이 감지되면 도어 레일에 구비된 스토퍼가 인출되도록 하여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제3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 안정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도어가 완전 개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도어가 완전 개방되지 않았으면, 도어 손잡이 센서부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며, 도어 손잡이가 작동 중인 상태이면 도어의 완전 개방 여부를 다시 판단하는 과정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2-0070042A 2002-11-12 2002-11-12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94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042A KR100494487B1 (ko) 2002-11-12 2002-11-12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042A KR100494487B1 (ko) 2002-11-12 2002-11-12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932A KR20040041932A (ko) 2004-05-20
KR100494487B1 true KR100494487B1 (ko) 2005-06-10

Family

ID=3733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042A KR100494487B1 (ko) 2002-11-12 2002-11-12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4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617B1 (ko) * 2004-11-19 2010-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스톱퍼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9207A (ja) * 1994-03-30 1995-10-17 Nissan Shatai Co Ltd スライドドア閉装置
JPH07329568A (ja) * 1994-06-08 1995-12-19 Toyota Auto Body Co Ltd スライドドア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H0828127A (ja) * 1994-07-19 1996-01-30 Araco Corp 車両用ドアの開度規制装置
KR20010035496A (ko) * 2001-02-21 2001-05-07 남궁정배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자동 개폐장치
JP2001150953A (ja) * 1999-11-22 2001-06-05 Fuji Heavy Ind Ltd スライド扉のチェッカー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9207A (ja) * 1994-03-30 1995-10-17 Nissan Shatai Co Ltd スライドドア閉装置
JPH07329568A (ja) * 1994-06-08 1995-12-19 Toyota Auto Body Co Ltd スライドドア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H0828127A (ja) * 1994-07-19 1996-01-30 Araco Corp 車両用ドアの開度規制装置
JP2001150953A (ja) * 1999-11-22 2001-06-05 Fuji Heavy Ind Ltd スライド扉のチェッカー装置
KR20010035496A (ko) * 2001-02-21 2001-05-07 남궁정배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자동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932A (ko)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2931A (en) Vehicle window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external force
JP2007138500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EP2101023A2 (en) Electrically powered door actuating system of motor vehicle
GB2312540A8 (en) Garage door opening system
KR102606594B1 (ko) 글로브 박스 장치
JP2007009466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919694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
JP2007315069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07023586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100494487B1 (ko)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 도어의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236292A (ja) 挟み込み検知装置および挟み込み検知方法
JP2007023587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479417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KR100316920B1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의 안전 장치
JP4220399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20040016736A (ko)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안전장치
JP2001048452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JPH07172745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20140100276A (ko) 차량의 윈도우 안전 제어 시스템
JP4453002B2 (ja) 遮蔽装置
KR200256802Y1 (ko)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
KR100273715B1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JPH05112124A (ja) 自動車の開閉機構部用制御装置
KR100214683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방법
KR20110011941U (ko) 차량용 도어 닫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