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640Y1 - 도어록킹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킹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640Y1
KR200172640Y1 KR2019970034492U KR19970034492U KR200172640Y1 KR 200172640 Y1 KR200172640 Y1 KR 200172640Y1 KR 2019970034492 U KR2019970034492 U KR 2019970034492U KR 19970034492 U KR19970034492 U KR 19970034492U KR 200172640 Y1 KR200172640 Y1 KR 2001726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control unit
vehicle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004U (ko
Inventor
구자석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70034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640Y1/ko
Publication of KR199900210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0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6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6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사고시 도어록 장치의 링크가 록킹 방향으로 이동되어 방지하기위한 도어록킹 방지 장치에 관한것으로써, 자동차의 도어에 내설되며, 고정구멍(11a,11b)이 천공된 상부면(11), 상기 상부면(11)에 대향하는 하부면(12), 링크(2)가 관통하는 일측면(13), 및 타측면(14)을 구비한 케이싱(10); 도어 및 차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하는 자동차 충돌감지센서(21), 및 도어내에 설치되어 상기링크(2)의 록킹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링크이동감지센서(22)를 구비하는 감지유닛(20); 및 상기 감지유닛에서 각각의 감지신호가 동시에 송신되는 경우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유닛(30); 및 상기 제어유닛(3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유닛(30)의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31), 상기 모터(3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구동로드(42), 및 상기 구동로드(42)에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부(43)를 구비하는 작동유닛(40):으로 이루어지며, 자동차 충돌시 불시에 도어가 록킹되는 것을 방직할 수 있음을 물론 록킹 상태의 도어를 자동으로 해제 시킬 수 있어 사고시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구조 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록킹 방지장치
본 고안은 도어록킹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충돌시 도어가 록킹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록킹된 도어를 해제시키기위한 도어록킹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자동차의 양측부의 전.후방에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해 회동가능하게 폐되는 도어가 제공되어있다.
이같은 각각의 도어에는 도어록 장치가 제공되어 있어 주차시 또는 주행시 도어를 록킹상태로 유지 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도어의 개방시 상태에서 핸들에 의해 또는 외부에서 키(key)로 해제시킬 수 있다.
이같은 일반적인 도어록 장치는 최근 도어록의 용이한 쇄정 및 해제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오 같이, 전동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이같은 도어록장치는 자동차 도어(D)의 도어트림(T)의 상부로 왕복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록버튼(1), 상기 록버튼(1)의 로드(1a)가 연계되고 일정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3개의 분기부(2a, 2b, 2c)를 구비한 회동암(2), 상기 회동암(2)의 분기부중하나의 분기부(2b)에 로드(3a)에 의해 연계되는 액튜에이터(3), 상기 회동암(2)의 다른 하나의 분기부(2c)에 일단부 고정되는 링크(5), 및 상기 링크(5)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도어 트림(T)의 상기 링크(5)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도어 트림(T)의 외부로 노출되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조작가능한 인사이드핸들(6)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도어록장치는, 예컨대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인사이드핸들(6)을 당기면 도어록 버튼(1)이 연동되며 인사이드 핸들(6)의 조작초기에 록킹된 도어록 버튼(1)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도어록 장치로서, 도어 개방시 인사이드 핸들(6)의 조작만으로 도어록 버튼이 해제되며, 도어록 버튼의 록킹조작시에는 인사이드 핸들(6)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상기 도어록 버튼은 액튜에이터(3)로부터의 동력이 회동암(2)을 이용하여 도어록버튼에 전달됨으로써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연계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어린이를 탑승시킨 경우를 제외하고는 록 버튼을 해제시킨 상태로 즉, 도어록장치가 해제된 상태로 주행한다. 이는 자동차의 충돌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구출될 수 있도록 하기위함이다.
그러나, 자동차의 충돌시, 특히, 측면 충돌시에는 회동암 또는 링크가 충격력에 의해 또는 도어의 내측의 구성요소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가 록킹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같이 자동차사고시 도어가 자체적으로 록킹되고 또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의식을 잃은 경우에는 외부에서 도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방할 수 없어 구조가 지체되며, 이에따라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치명적인 상해를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충돌사고시 자동차의 도어가 록킹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개방하여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는 도어 록킹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 충돌시 링크의 세정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또는 해제방향으로 이동시켜 도어의 록킹을 방지 할 수 있는 도어록킹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록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도어록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킹 방지장치의 시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킹 방지장치의 조조립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링크 10: 케이싱
20: 감지유닛 30: 제어유닛
40: 작동유닛
이같은 목적들은 본 고안에 의해 해결되는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자동차 사고시 도어록 장치의 링크가 록킹 방향으로 이동되어 불의의 도어의 록킹을 방지하기위한 도어록킹 방지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도어에 내설되며, 2개의 고정구멍이 천공된 상부면, 상기 상부면에 대향하며 상기 고정구명에 대응하는 고정구멍이 천공된 하부면, 치가 형성된 상기 링크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일측면, 및 상기 일측면에 대향하며 상기 관통구에 대향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타측면을 구비한 케이싱; 도어 및 차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하는 자동차 충돌감지센서, 및 도어내에 설치되어 상기링크의 록킹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링크이동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유닛; 상기 감지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가 동시에 송신되는 경우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유닛; 상기 제어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링크의 록킹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어유닛의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회전가능하게 연계되며 단부가 상기 상부면의 고정구멍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구동로드, 및 상기 구동로드에 일체로 형성되며 주변에 상기 링크의 치에 치차결합되는 치가 형성된 기어부를 구비한 작동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킹 방지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일부를 블록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킹방지장치의 적용예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킹 방지장치는 케이싱(10), 감지유닛(20), 제어유닛(30) 및 작동유닛(40)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킹방지장치를 전술된 도어록 장치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링크(5)의 일면을 따라 종방향으로 치(5a)가 형성되어야함을 이해 해야한다.
상기 케이싱(10)은 상부면(11), 하부면(12), 일측면(13), 및 타측면(14)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면(11)의 중앙부의 일측에는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천공된 고정구멍(11a, 11b)이 천공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면(11)의 일측변에는 예컨대 볼트 또는 나사에의해 도어의 내측패널 또는 외측패널에 고정되는 브랫킷(15)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면(12)에는 상기 상부면의 고정구멍(11a)에 대응하는 고정구멍(12a)이 천공형성되며, 또한 일측변에 도어의 내측패널 또는 외측패널에 고정되고 브랫킷(16)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일측면(13)의 적정높이에는 전술된 링크(2)가 관통되는 관통구(13a)가 천공형성되며, 또한 상기 타측면(14)의 적정높이는 역시 상기 링크(2)가 관통되며 상기 일측면(13)의 관통구(13a)에 대응하는 관통구(14a)가 천공형성된다.
특히, 상기 상부면(12)과 하부면(13) 사이에는 롤러(17)가 삽설되는바, 상기 롤러(17)의 양단부는 상기 상.하부면(12, 13)의 고정구멍(12a, 13a)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롤리(17)는 상기 링크(2)의 일측면, 즉, 치(20)가 형성되지않는면에 회전가능하게 접촉유지된다.
상기 감지유닛(20)은 도어 및 차체의 여러위치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21), 및 예컨대 상기 케이싱(10)의 타측면(14)의 관통구(14a)에 인접설치되어 링크(2)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링크 이동감지센서(22)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감지유닛(20)은 각각의 센서(21, 22)로 부터 감지된 충돌 감지신호 및 링크이동신호를 상세히 후술되는 제어유닛(30)으로 송신한다.
상기 감지유닛(20)에는 제어유닛(30)이 연결되는바, 상기 제어유닛(30)은 상기 감지유닛(20)으로부터 충돌감지신호 및 링크이동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각각의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면 상세히 후술되는 작동유닛(40)의 작동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유닛(30)에 연결된 작동유닛(40)은 상기 제어유닛(30)의 작동신호에 의해작동되는 모터(41), 상기 모터(4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구동로드(42), 및 상기 구동로드(42)의 중앙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기어(43)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41)는 상기 케이싱(10)의 하부면(12)상에 고정배치되며, 또한 상기 구동로드(42)의 단부는 상기 상부면(11)의 다른 하나의 고정구멍(11b)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특히, 상기 구동로드(41)에 형성된 기어(43)의 주변에는 치(43a)가 형성되는바, 상기 치(43)는 상기 링크(5)의 치(5a)에 치차결합된다.
또한, 상기 구동로드(42)는 모터(41)의 휴지상태 즉,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회전가능 한 것이 바람직하바, 이는 자동차가 정상상태인 경우 상기 링크가 용이하게 이동되어 도어록 장치가 쇄정 또는 해재 도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킹방지장치의 작용모드에 의하면, 예컨대 자동차의 주행중 충돌이 발생되면 제어유닛(20)의 충돌 감지센서(21)에 의해 충돌이 감지되며, 이때 도어의 변형 등에 의해링크(5)가 쇄정방향으로 이동되면 이같은 이동이 링크이동감지센서(22)에 의해 감지된다. 이와같이 감지된 각각의 신호는 감지유닛(20)에의해 제어유닛(30)에 송신된다.
이와같이 제어유닛(30)에 2개의 신호, 즉, 충돌 신호와 링크의 쇄정방향으로의 이동 신호가 동시에 송신되면, 상기 제어유닛(30)을 즉시 작동유닛(40)에 작동신호 또는 전류를 인가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유닛(40)의 모터(41)가 작동되어 로드 구동로드(42)가 회전되며 이에따라 기어(43)가 동시에 회전된다.
이와같이 기어(43)가 화살표(A1) 방향으로 회전되면 기어(43)의 치(43a)와 링크(5)의 치(5a)의 연계작동에 의해 링크(5)가 화살표(A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도어록 장치의 쇄정이 방지되며 또한 쇄정상태의 도어록 장치가 자동으로 해제됨을 알수 있다.
물론, 이같은 링크(5)의 이동은 그 링크(5)가 롤러(17)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내 및 지지됨으로써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고안에 따른 도어록킹방지장치에 의하면, 자동차 충돌시 불시에 도어가 록킹되는 것을 방직할 수 있음을 물론 록킹 상태의 도어를 자동으로 해제 시킬 수 있어 사고시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구조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

  1. 자동차 사고시 도어록 장치의 링크가 록킹 방향으로 이동되어 불의의 도어의 록킹을 방지하기위한 도어록킹 방지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도어에 내설되며, 2개의 고정구멍(11a,11b)이 천공된 상부면(11), 상기 상부면(11)에 대향하며 상기 고정구명(11a)에 대응하는 고정구멍(12a)이 천공된 하부면(12), 치(5a)가 형성된 상기 링크(5)가 관통하는 관통구(13a)가 형성된 일측면(13), 및 상기 일측면(13)에 대향하며 상기 관통구(13a)에 대향하는 관통구(14a)가 형성되는 타측면(14)을 구비한 케이싱(10);
    도어 및 차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하는 자동차 충돌감지센서(21), 및 도어내에 설치되어 상기링크(5)의 록킹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링크이동감지센서(21,22)를 포함하는 감지유닛(20):
    상기 감지유닛(20)에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센서(21,22)에 의해 감지된 신호가 동시에 송신되는 경우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유닛(30);
    상기 제어유닛(30)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10)의 하부면(12)에 고정되며 상기 링크(5)의 록킹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어유닛(30)의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41), 상기 모터(41)에 회전가능하게 연계되며 단부가 상기 상부면(11)의 고정구멍(11b)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구동로드(42), 및 상기 구동로드(42)에 일체로 형성되며 주변에 상기 링크(5)의 치(5a)에 치차결합되는 치(43a)가 형성된 기어부(43)를 구비한 작동유닛(40);으로 구성되는 도어록킹 방지방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상부면(11)과 하부면(12) 사이에는 상기 링크(5)를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한 롤러(17)가 삽설되며, 상기 롤러(17)의 양 단부는 상기 상부면(11) 및 하부면(12)의 각각의 고정구멍(11a, 12a)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 방지장치.
KR2019970034492U 1997-11-28 1997-11-28 도어록킹 방지장치 KR2001726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492U KR200172640Y1 (ko) 1997-11-28 1997-11-28 도어록킹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492U KR200172640Y1 (ko) 1997-11-28 1997-11-28 도어록킹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004U KR19990021004U (ko) 1999-06-25
KR200172640Y1 true KR200172640Y1 (ko) 2000-03-02

Family

ID=19515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492U KR200172640Y1 (ko) 1997-11-28 1997-11-28 도어록킹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64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952B1 (ko) * 2002-06-26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잠금방지를 위한 도어래치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004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5797A (en) Locking mechanism of door lock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JP4300858B2 (ja) 車両ドア制御装置
KR20140130175A (ko) 차량 도어 록
KR200172640Y1 (ko) 도어록킹 방지장치
EP1624142B1 (en) Vehicle comprising vehicular electrical disengaging door latch apparatus
KR0181489B1 (ko) 자동차 하차시의 사고 방지장치
JPS61163034A (ja) 車輌用回転シ−ト
JP4166070B2 (ja) 電気式ドアラッチ装置
KR0162994B1 (ko)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KR19990026979A (ko) 충돌시 자동차 도어의 자동열림장치
JP2008121196A (ja) 車両用ドアの開閉装置
KR0173634B1 (ko) 중앙집중식 자동도어 잠금시스템의 고장감지 장치
KR19990021005U (ko) 도어록킹방지장치
KR0176367B1 (ko) 자동차 전방충돌시 도어록킹 방지장치
KR0118421Y1 (ko) 차량의 운행중 시트트랙 동작 방지장치
KR20070063324A (ko) 도어개폐장치
KR20050058683A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 장치
KR100472138B1 (ko) 차량의 어린이보호용 잠금장치
JPS6039304Y2 (ja) シ−トベルト装置
KR100380452B1 (ko)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
KR200160617Y1 (ko)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
KR0140613B1 (ko) 자동차용 도어 자동 잠금해제장치
KR19980027097A (ko) 자동차 유아보호용 도어 잠금장치
KR100503336B1 (ko) 자동차용 안전장치
KR0184983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