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452B1 -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452B1
KR100380452B1 KR10-2000-0070391A KR20000070391A KR100380452B1 KR 100380452 B1 KR100380452 B1 KR 100380452B1 KR 20000070391 A KR20000070391 A KR 20000070391A KR 100380452 B1 KR100380452 B1 KR 100380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locking bar
open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0362A (ko
Inventor
안중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0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452B1/ko
Publication of KR20020040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4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4Burglar prevention, e.g. protecting against opening by unauthorised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6Locking several wings simultaneously
    • E05B77/48Locking several wings simultaneously by electr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 및 센터 필러등에 설치되어 있는 래치 및 스트라이커에 의해 록킹된 도어를 외부에서 열쇠없이 열었을 때에도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구성된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 글래스와 도어 사이로 자등을 삽입하여 로드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 래치를 열어도 도어를 열 수 없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론트 도어(FD)와 리어 도어(RD)의 근접 부분에서 상기 프론트 도어(FD)와 리어 도어(RD)의 대향부분에 형성되는 관통공(1)과, 이 관통공(1)에 끼워져서 상기 프론트 도어(FD)와 리어 도어(RD)를 잠그거나 또는 풀도록 설치되는 록킹 바(2)와, 키를 이용하여 도어 래치(53)를 열거나 잠글 때 상기 록킹 바(2)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작동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DOOR LOCKING DEVIC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 및 센터 필러등에 설치되어 있는 래치 및 스트라이커에 의해 록킹된 도어를 외부에서 열쇠없이 열었을 때에도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구성된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개폐 가능한 다수의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도어를 잠그거나 열수 있도록 잠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상기한 잠금 장치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0)에 설치된 도어 핸들(51)과, 상기한 도어 핸들(51)에 로드(52)로 연결되어 작동되는 도어 래치(53)와, 상기한 도어 래치(53)에 물리도록 필러(P)에 설치된 도어 스트라이커(54)로 구성되어 있다.또한, 상기한 도어 래치(53)에는 키(미 도시)로 상기한 도어 래치(53)를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키 홀더(미 도시)가 설치되어 상기한 키로 도어 래치(53)를 잠금으로써, 차 주인이 아닌 사람이 도어(50)를 열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상기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을 떠날 때는 상기한 키로 도어 래치(53)를 잠그게 되고, 다시 차량으로 돌아와서 키로 도어 래치(53)를 열은 후 도어 핸들(51)로 도어(50)를 열고 승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 래치를 키로 잠그거나 열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한 도어 래치를 로드로 개폐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상기한 도어 글래스와 도어의 사이로 얇은 자등을 삽입하여 로드를 당기거나 밀게 되면 키 없이도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즉, 상기한 키로 도어 래치를 잠거도 도둑이 자등으로 로드를 당기거나 밀게 되면, 키없이도 도어를 열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이 도난될 위험이 크게 되는 것이다.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 글래스와 도어 사이로 자등을 삽입하여 로드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 래치를 열어도 도어를 열 수 없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의 근접 부분에서 상기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의 대향부분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이 관통공에 끼워져서 상기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를 잠그거나 또는 풀도록 설치되는 록킹 바와, 키를 이용하여 도어 래치를 열거나 잠글 때 상기 록킹 바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작동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2는 도1에서 록킹 바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일반적인 자동차에서 도어 잠금 장치인 래치등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4는 도3에서 도어 래치 및 도어 스크라이커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 관통공 2: 록킹 바3: 액츄에이터 4: ECU5: 센서 6: 스토퍼7: 댐퍼 53: 도어 래치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프론트 도어(FD)와 리어 도어(RD)의 근접 부분에서 상기 프론트 도어(FD)와 리어 도어(RD)의 대향부분에 형성되는 관통공(1)과, 이 관통공(1)에 끼워져서 상기 프론트 도어(FD)와 리어 도어(RD)를 잠그거나 또는 풀도록 설치되는 록킹 바(2)와, 키를 이용하여 도어 래치(53)를 열거나 잠글 때 상기 록킹 바(2)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작동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상기한 작동 수단은, 상기 록킹 바(2)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액츄에이터(3)와, 상기한 도어 래치(53)를 키로 열었을 때 이를 감지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ECU(4)에 이를 전달하도록 도어 래치(53)에 설치된 센서(5)로 구성되어 있다.또한, 상기한 록킹바(2)에는 록킹바(2)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스토퍼(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스토퍼(6)가 관통공(1)과 액츄에이터(3)에 충돌하지 않도록 관통공(1) 및 액츄에이터(3)에 댐퍼(7)가 설치되어 있다.그리고, 상기한 록킹 바(2)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액츄에이터(3)의 후방에 원통형의 가이드(8)가 설치되어 있다.즉, 상기한 도어 래치(53)를 키로 열지 않게 되면, 상기한 액츄에이터(3)가 작동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프론트 도어(FD)와 리어 도어(RD)가 록킹 바(2)로 잠겨 있게 됨으로써, 도어를 열 수 없게 되는 것이다.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운전자가 차량을 떠날 때 키로 도어 래치(53)를 잠그게 되는 바, 상기한 도어 래치(53)가 잠기는 것을 센서(5)가 감지하여 액츄에이터(3)를 동작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한 록킹바(2)가 이동하여 도1과 같이 관통공(1)에 삽입된다.이때, 상기한 스토퍼(6)가 관통공(1)에 설치된 댐퍼(6)에 충돌하면서 완충되는 바, 소음 및 도어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상기한 록킹바(2)가 관통공(1)에 삽입되면 프론트 도어(FD)와 리어 도어(RD)가 서로 잠긴 상태가 되는 바, 이 상태에서 상기한 도어 글래스와 도어의 사이로 자를 넣어서 로드(52)를 당기거나 밀어 도어 래치(53)를 열게 되어도, 상기한 록킹 바(2)는 관통공(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즉, 도어 래치(53)에 키가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한 록킹바(2)가 동작하지 않게 됨으로써, 도어 래치(53)를 열어도 차량 도어를 열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 도난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물론, 상기한 도어 래치(53)를 운전자가 키로 열게 되면, 상기한 센서(5)가 이를 감지하여 ECU(4)에 이를 전달하게 되고, 이에 따라 ECU(4)에서 액츄에이터(3)에 전류를 인가하게 된다.액츄에이터(3)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한 액츄에이터(3)의 자력에 의해 록킹바(2)가 당겨지면서 프론트 도어(FD)와 리어 도어(RD)의 연결 상태를 해제시키게 됨으로써, 운전자가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론트 도어(FD)와 리어 도어(RD)를 록킹바(2)로 연결한 상태이면, 상기한 차량이 주행중 또는 정차중 측면에서 충돌이 발생되어도, 상기한 록킹 바(2)에 의해 도어의 밀림이 방지되기 때문에, 상기한 실내로 도어가 밀리지 않게 되고, 탑승자의 상해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어 래치를 키로 열거나 닫을 때,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의 사이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도록 록킹 바를 액츄에이터에 설치함으로써,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프론트 도어(FD)와 리어 도어(RD)의 근접 부분에서 상기 프론트 도어(FD)와 리어 도어(RD)의 대향부분에 형성되는 관통공(1)과, 이 관통공(1)에 끼워져서 상기 프론트 도어(FD)와 리어 도어(RD)를 잠그거나 또는 풀도록 설치되는 록킹 바(2)와, 키를 이용하여 도어 래치(53)를 열거나 잠글 때 상기 록킹 바(2)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작동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록킹 바(2)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액츄에이터(3)와, 상기 도어 래치(53)를 키로 열었을 때 이를 감지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ECU(4)에 이를 전달하도록 도어 래치(53)에 설치된 센서(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바(2)에는 록킹 바(2)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6)와, 상기 스토퍼(6)가 관통공(1)과 액츄에이터(3)에 충돌할 때 완충하도록 관통공(1) 및 액츄에이터(3)에 설치되는 댐퍼(7)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
KR10-2000-0070391A 2000-11-24 2000-11-24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 KR100380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391A KR100380452B1 (ko) 2000-11-24 2000-11-24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391A KR100380452B1 (ko) 2000-11-24 2000-11-24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362A KR20020040362A (ko) 2002-05-30
KR100380452B1 true KR100380452B1 (ko) 2003-04-26

Family

ID=1970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391A KR100380452B1 (ko) 2000-11-24 2000-11-24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4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5160A (ko) * 1996-05-29 1997-12-10 김태구 완충장치가 장착된 인사이드 핸들
KR19990015523U (ko) * 1997-10-17 1999-05-15 홍종만 차량의 도난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5160A (ko) * 1996-05-29 1997-12-10 김태구 완충장치가 장착된 인사이드 핸들
KR19990015523U (ko) * 1997-10-17 1999-05-15 홍종만 차량의 도난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362A (ko)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26243A1 (en) Passive entry side door latch release system
US6065797A (en) Locking mechanism of door lock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US7370901B2 (en) Glove box assembly
KR100559568B1 (ko) 자동차의 잼 방지형 도어 래치
JP4597688B2 (ja) スライドドア車のフラップオープナシステム
KR100380452B1 (ko)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
US20220316244A1 (en) Mechanical emergency latch release system for vehicle door and method
US20070182186A1 (en) Glove box assembly
KR100419732B1 (ko)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장치
KR20050058683A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 장치
KR100418022B1 (ko) 자동차의 본네트 열림방지장치
KR100392001B1 (ko) 자동차의 잼 방지형 도어래치
KR100380499B1 (ko) 도난 방지용 도어로크 장치
KR200173679Y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안전래치 해제장치
JP2004156342A (ja) テールゲートドアの開放防止機構
KR100418021B1 (ko) 자동차의 본네트 열림방지장치
JP3835407B2 (ja) 自動車用ドア
KR100394715B1 (ko) 자동차용 도어언록 시스템
KR100767916B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도어의 잼 방지용 리모트 콘트롤러 구조
KR200172640Y1 (ko) 도어록킹 방지장치
KR100418631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록킹장치
KR100472138B1 (ko) 차량의 어린이보호용 잠금장치
KR100186282B1 (ko) 자동차용 도어 오픈장치
KR100380464B1 (ko) 자동차용 도난 방지 장치
KR19980030604A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