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353Y1 -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353Y1
KR200155353Y1 KR2019970019017U KR19970019017U KR200155353Y1 KR 200155353 Y1 KR200155353 Y1 KR 200155353Y1 KR 2019970019017 U KR2019970019017 U KR 2019970019017U KR 19970019017 U KR19970019017 U KR 19970019017U KR 200155353 Y1 KR200155353 Y1 KR 2001553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lock actuator
door
hole
inn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662U (ko
Inventor
박승철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70019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353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6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6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3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8Electrical using electromagnets or soleno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조립공수가 줄어들고 또한 매우 간편하게 도어 록 액츄에이터를 도어의 이너패널에 취부할 수 있도록 하여주므로써 차량 조립에 따른 비용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해주며, 차량 도어의 이너 패널에 형성된 소정 직경의 구멍, 도어 록의 배면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구멍에 삽입되는 핀 및 구멍에 삽입된 핀에 결합되어 핀이 구멍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에 관한 고안.

Description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
본 고안은 차량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door lock actuator)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도어의 이너 패널에 취부되어 필요에 따라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해주는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에는 도어 록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 록 장치는 필요에 따라 도어를 잠글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으로, 도어 록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 록 액츄에이터는 통상적으로 도어의 이너 패널에 볼트와 너트를 통해 취부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첨부된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를 설명한다.
제1도는 도어 록 액츄에이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도는 도어 록 액츄에이터(1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록 액츄에이터(10)는 직육면체 모양의 몸체(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12)의 내부에는 솔레노이드(solenoid) 등이 설치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도어 록장치를 전기력에 의해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몸체(12)의 배면에는 도어의 이너 패널에 취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부용 브래킷(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브래킷(14)은 소정 모양의 평면 형태를 하고 있으며, 용접 등에 의해 별도로 차량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10)의 몸체(12)에 부착하여야 된다.
브래킷(14)에는 볼트(16)가 용접 부착되어 있다. 이 볼트(16)는 도어 록 액츄에이터(10)를 도어의 이너 패널에 취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 록 액츄에이터(10)의 일측으로는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connector, 18)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 록 액츄에이터(10)의 취부과정은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종래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의 취부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도에는 도어 록 액츄에이터(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어 록 액츄에이터(10)의 일측으로는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8)가 설치되어 있고, 배면 취부용 브래킷(14)에는 한 쌍의 볼트(16)가 용접부착되어 있다.
제2도에는 도어의 이너 패널(2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이너 패널(20)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구멍(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너 패널(20) 옆쪽으로 너트(30)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어 록 액츄에이터(10)를 잡고 볼트(16)를 이너 패널(2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2)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볼트(16)에 너트(30)를 결합하여 도어 록 액츄에이터(10)를 도어의 이너 패널(20)에 취부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도어 록 액츄에이터를 도어의 이너 패널에 취부하기 위하여 별도의 브래킷을 용접 부착하여야 하고 또한 볼트를 이너 패널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후 다시 너트를 여러 바퀴 돌려서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공수가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또한 비용도 많이 들어간다.
본 고안은 목적은 조립공수가 줄어들고 또한 매우 간편하게 도어 록 액츄에이터를 도어의 이너 패널에 취부할 수 있도록 하여주므로써 차량 조립에 따른 비용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차량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도어 록 액츄에이터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액츄에이터의 취부구조에 적용되는 도어 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5도는 제4도의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도어 록 액츄에이터 112 : 몸체
115 : 핀 118 : 커넥터
120 : 이너 패널 122 : 구멍
130 : 클립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 도어의 이너 패널에 취부되어 필요에 따라 도어 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어 록 액츄에이터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차량 도어의 이너 패널에 형성된 소정 직경의 구멍, 도어 록의 배면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핀 및 구멍에 삽입된 핀에 결합되어 핀이 구멍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또한, 클립은 중앙부위를 여러 개의 쐐기모양으로 절개하여 일측으로 절곡시켜 구성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액츄에이터의 취부구조에 적용되는 도어 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제3도는 도어 록 액츄에이터(1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어 록 액츄에이터(110)는 직육면체 모양의 몸체(1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112)의 일측으로는 전원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18)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록 액츄에이터(110)의 배면에는 다수의 핀(115)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핀(1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3각형 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핀(115)은 도어 록 액츄에이터(110)를 도어의 이너 패널에 취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 록 액츄에이터(110)의 취부과정은 제4도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5도는 제4도의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4도는 도어 록 액츄에이터(1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어 록 액츄에이터(110)는 직육면체 모양의 몸체(1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112)의 일측으로는 전원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18)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록 액츄에이터(110)의 배면에는 다수의 핀(115)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핀(115)은 도어 록 액츄에이터(110)를 도어의 이너 패널에 취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4도는 도어의 이너 패널(12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이너 패널(120)에는 구멍(1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122)은 도어 록 액츄에이터(110)의 배면에 설치된 핀(115)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핀(115)의 배치형태에 맞추어 3개를 3각형 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 패널(120) 옆쪽으로 클립(130)이 도시되어 있다. 이 클립(130)은 핀(115)에 결합되어 핀(115)이 이너 패널(120)의 구멍(12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모습은 제5도를 보면 알 수 있다.
제5도에서 알 수 있듯이 크립(130)은 대략 원형의 모양을 갖는 판의 중앙을 여러 개의 쐐기모양으로 절개하여 일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4도와 제5도에서 알 수 있듯이 도어 록 액츄에이터(110)를 잡고 그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핀(115)을 이너 패널(12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22)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클립(130)을 핀(115)에 결합한다. 이에 따라 도어 록 액츄에이터(110)는 도어의 이너 패널(120)에 취부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클립(130)의 쐐기모양을 하고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은 핀(115)의 외면에 걸려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핀(115)의 외주면에 다수의 요철을 형성해두면 클립(130)이 빠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에서는 별도의 브래킷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공수가 줄어들고, 특히 도어 록 액츄에이터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핀을 도어의 이너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삽입한 상태에서 클립을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도어 록 액츄에이터의 취부와 정이 매우 간편하다.
이에 따라 조립공수가 줄어들고 조립과정이 간편해 차량조립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고, 비용절감도 이루어진다.

Claims (4)

  1. 차량 도어의 이너 패널에 취부되어 필요에 따라 도어 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어 록 액츄에이터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량 도어의 이너 패널에 형성된 소정 직경의 구멍; 상기 도어 록의 배면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핀; 및 상기 구멍에 삽입된 결합되어 상기 핀이 상기 구멍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과 상기 핀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3개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중앙부위를 여러 개의 쐐기모양으로 절개하여 일측으로 절곡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록 액츄에이터.
KR2019970019017U 1997-07-18 1997-07-18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 KR2001553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017U KR200155353Y1 (ko) 1997-07-18 1997-07-18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017U KR200155353Y1 (ko) 1997-07-18 1997-07-18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662U KR19990005662U (ko) 1999-02-18
KR200155353Y1 true KR200155353Y1 (ko) 1999-09-01

Family

ID=19506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017U KR200155353Y1 (ko) 1997-07-18 1997-07-18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3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662U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5353Y1 (ko)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
JP3954257B2 (ja) 電装品のフレームへの固定構造
KR100500587B1 (ko) 패널에 대상물을 부착하기 위한 너트 고정구조
JPH11344157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固定具
KR0137488Y1 (ko) 자동차 도어용 임팩드바의 취부구조
KR200224257Y1 (ko) 승합차용 상판 고정수단
KR970005201Y1 (ko) 자동차용 후방복합등의 취부구조
KR200141609Y1 (ko) 자동차 도어힌지의 장착구조
JPH03243418A (ja) エンジンマウントの支持構造
KR19980045066A (ko) 차실내용 어시스트 핸들의 취부구조
KR0139410Y1 (ko) 도어 힌지 장착용 브래킷
KR0131838Y1 (ko) 자동차의 도어록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와 레인포스의 결합구조
KR200148782Y1 (ko) 차량의 패널 고정용 구조물
KR0118735Y1 (ko) 자동차용 브라켓트 취부구조
KR19980013630U (ko) 자동차의 프론트 바디 결합구조
KR200226732Y1 (ko) 하우징 고정장치
KR19990015630A (ko) 자동차 카울크로스바의 장착구조
JPH10285767A (ja) 機器装柱金具
JPH0742726U (ja) センサ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2000177624A (ja) 車両のシャシフレーム衝突安全構造
JPS60169371A (ja) トランクリツドヒンジのエンドキヤツプ
KR19980027548U (ko)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
KR19980031539U (ko) 자동차 배선용 터미널의 취부구조
KR19980026677U (ko) 후드래치의 케이블 장착구조
KR20000004771A (ko) 자동차의 번호판 장착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