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548U -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 - Google Patents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548U
KR19980027548U KR2019960040489U KR19960040489U KR19980027548U KR 19980027548 U KR19980027548 U KR 19980027548U KR 2019960040489 U KR2019960040489 U KR 2019960040489U KR 19960040489 U KR19960040489 U KR 19960040489U KR 19980027548 U KR19980027548 U KR 199800275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panel
fixing
fixing portion
reinforcement
panel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홍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0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7548U/ko
Publication of KR199800275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548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양측단부에 제공된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서,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10)의 고정부(11)의 상부변 및 하부변에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1)의 고정부(1a)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 1걸림턱(13) 및 제 2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인스트루먼트패널과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의 예비조립시 인스트루먼트패널의 고정부의 유동 및 이탈이 방지되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인스트루먼트패널을 차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
본 고안은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 인스트루먼트패널을 차체에 조립할 때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양단부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턱을 지닌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차실내의 미려함을 제공할 뿐 아니라 계기판, 오디오시스템, 에어콘유닛등을 장착하기 위한 인스트루먼트패널(1)이 제공되어 있다.
인스트루먼트패널(1)의 양측단부는 차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바, 이같은 인스트루먼트패널의 고정시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부재(2) 및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3)이 이용된다. 즉, 인스트루먼트패널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1a)를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2)의 고정부(2a)에 예비조립한 상태에서 예컨대 볼트 또는 스크류를 각각의 고정부(1a,2a)에 형성된 고정구멍(1b,2b)에 삽설하여 고정브래킷(3)에 고정시킴으로써 인스트루먼트패널(1)을 차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같은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장착작업시에는 인스트루먼트패널(1)의 고정부(1a)의 처짐 또는 유동 및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2)의 지지부(2a)의 변형에 의해 각각의 고정구멍(1b,2b)이 일치하지 않게 되어 고정브래킷(3)에 정확히 고정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인스트루먼트패널의 고정부(1a)의 유동을 방지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 고안은 이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스트루먼트패널과의 예비조립시 인스트루먼트패널의 고정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턱이 형성된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스트루먼트패널의 고정부의 유동을 방지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차체에 인스트루먼트패널을 고정시켜 생산성 및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스트루먼트패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부분에 제공되는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에 인스트루먼트패널이 조립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의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와 인스트루먼트패널이 조립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11: 고정부
13: 제 1걸림턱14: 제 2걸림턱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양측단부에 제공된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에 있어서,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의 고정부의 상부변 및 하부변에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의 고정부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 1걸림턱 및 제 2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와 인스트루먼트패널이 조립된 상태에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10)는 전술된 바와같이 고정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11)에는 고정구멍(12)이 천공되어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10)의 고정부(11)의 양측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바, 즉, 상부측변에는 제 1걸림턱(13)이 형성되고, 하부측변에는 제 2걸림턱(14)이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걸림턱(13,14)은 상기 고정부(11)의 평면에 대해 수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각의 걸림턱은 상기 고정부(1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각각 분리 성형한 후 용접 또는 부착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의 고정부(11)에 형성된 고정구멍(12)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고정부(1a)에 천공된 고정구멍(1b)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패널 보강재와 인스트루먼트패널의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식에 의하면, 먼저 작업자는 인스트루먼트패널(1)의 고정부(1a)를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10)의 고정부(11)에 취부시키되, 이때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1)의 고정부(1a)는 상기 고정부(11)에 형성된 제 1걸림턱(13)과 제 2걸림턱(14)사이에 삽설된다. 물론 이때는 고정부(11)에 형성된 고정구멍(12)과 고정부(1a)에 형성된 고정구멍(1b)은 상호일치하도록 조립된다. 이같은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볼트 또는 스크류를 상호일치하도록 배치된 고정구멍(1b,12)에 삽입한 후 도시되지 않은 고정브래킷에 고정함으로써 인스트루먼트패널을 차체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고정 또는 장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보강재를 이용하여 인스트루먼트패널을 차체에 고정시키면, 인스트루먼트패널의 고정부가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의 고정부에 대해 유동하거나 그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인스트루먼트패널의 고정부가 향상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의 고정부의 정위치에 배치됨으로써 각각의 고정부에 천공된 고정구멍이 항상 일치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고정볼트 및 스크류의 삽설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달성된다. 이에 따라 인스트루먼트패널을 차체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장착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양측단부에 제공된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에 있어서,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10)의 고정부(11)의 상부변 및 하부변에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1)의 고정부(1a)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 1걸림턱(13) 및 제 2걸림턱(14)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
KR2019960040489U 1996-11-16 1996-11-16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 KR199800275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489U KR19980027548U (ko) 1996-11-16 1996-11-16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489U KR19980027548U (ko) 1996-11-16 1996-11-16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548U true KR19980027548U (ko) 1998-08-05

Family

ID=5398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489U KR19980027548U (ko) 1996-11-16 1996-11-16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754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864B2 (en) Mounting bracket structure
JP4320961B2 (ja) ドアハーネスの配索構造
US7547059B2 (en) System for passing cables between the body and a door of a motor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said system
GB2380980A (en) Vehicle instrument panel with electrical connections
JPH0214912A (ja) 車両用レゾネータの取付方法
KR19980027548U (ko) 인스트루먼트패널 보강재
KR200158342Y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EP0952038A1 (en) Rapid fixing of a door lining to a door structural assembly or a door module
KR200156637Y1 (ko) 차량용 부품 취부 구조
JPH0992062A (ja) グロメット
KR0132041Y1 (ko) 자동차의 에어콘 콘트롤스위치 하우징 조립구조
KR100405362B1 (ko)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바의 장착구조
KR0173613B1 (ko) 레인포스먼트 어샘블리 플레이트의 조립을 용이하게 안내돌출부가 형성된 프레임
KR101844857B1 (ko) 그로멧
KR0139411Y1 (ko) 도어 힌지 장착용 브래킷
JPH09240374A (ja) 自動車用ミラー
KR0124510B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크로스 어퍼멤버 어셈블리
JP2540746Y2 (ja) ルーフライニングの取付構造
KR200155353Y1 (ko) 도어 록 액츄에이터 취부구조
KR0125699Y1 (ko) 일체형 엔진 장착 브라켓
JP3593191B2 (ja) シートベルトアンカの取付方法
JP2002337629A (ja) ケーブル配索構造
KR20030089826A (ko) 자동차의 케이블 고정용 클립
JPH06199153A (ja) モジュール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仮保持構造
KR0139954B1 (ko) 차량용 헤드램프와 스페이서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