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821Y1 - 지붕판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지붕판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821Y1
KR200151821Y1 KR2019950029876U KR19950029876U KR200151821Y1 KR 200151821 Y1 KR200151821 Y1 KR 200151821Y1 KR 2019950029876 U KR2019950029876 U KR 2019950029876U KR 19950029876 U KR19950029876 U KR 19950029876U KR 200151821 Y1 KR200151821 Y1 KR 200151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plate
hole
fixture
leg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9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8178U (ko
Inventor
황갑석
Original Assignee
황갑석
주식회사대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갑석, 주식회사대산 filed Critical 황갑석
Priority to KR2019950029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821Y1/ko
Publication of KR9700181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81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8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2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by locking the edge of one slab or sheet within the profiled marginal portion of the adjacent slab or sheet, e.g. using separate 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목적]
지붕판의 종방향 신축작용으로 인한 지붕판의 왜곡방지에 유효하고, 무체결식으로써 간단히 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이음새의 수밀보안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한 지붕판 시설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
받침지지구(1)의 상면에는 지붕판 고정구의 다리끼움용 다리삽입공(11)을 길이방향으로 천공하고 받침지지구(1)의 양 측면에는 다리삽입공(11)과 동일방향으로 나란한 보울트용 관통공(12)을 천공하며, 지붕판고정구(2)는 상단절곡부(21)를 절곡하고 지붕판 고정구(2)의 하단 중앙에는 보울트 관통공(23)이 천공된 다리(22)를 형성하며 지붕판(5)의 선접속연(51)과 지붕판(5)의 후접속연(52)이 상기 상단절곡부(21)와 절곡결합된 것이다.

Description

지붕판 설치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지붕판 고정구와 받침지지구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지붕판 고정구와 받침지지구를 이용하여 지붕판을 시공한 경우의 요부발췌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일부절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지지구 1a : 상면
1b : 측면 2 : 지붕판 고정구
3 : 보울트 5 : 지붕판
6 : 타이트프레임 11 : 다리삽입공
12 : 관통장공 21 : 상단절곡부
22 : 다리 23 : 보울트 관통공
본 고안은 파형으로 절곡된 철판제 지붕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지붕판의 기온에 따른 열팽창, 수축작용으로 인하여 지붕판의 왜곡 및 체결부위에서의 파열을 방지하고 동시에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지붕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붕판 설치구조는 C형 빔상에 타이트 프레임을 설치하고, 이 타이트 프레임에는 지붕판 고정구를 다수 배치하여, 이 지붕판 고정구의 양쪽에 지붕판을 접속시킨 다음 지붕판의 접속연을 절곡하여 체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지붕판 설치구조는 철제 파형 지붕판이 대기의 온도변화의 영향을 받아 종횡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신축작용이 일어나게 되는데, 폭방향의 신축작용에는 지붕의 파형주름이 펴지거나 조여드는 것으로 대응하기에 부작용이 없지만 길이방향의 신축작용에 있어서는 타이트 프레임과 지붕판받침이 붙박이여서 지붕판이 종방향으로 신축될 때 그 변화를 따르지 못했기 때문에 지붕판의 보울트구멍이 찢기고 보울트구멍 근처의 지붕판부분이 왜곡되는등의 부작용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온변화로 인하여 철제 주름 지붕판이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더라도 접속연이 왜곡되지 않게 할 수 있는 지붕판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받침지지구와 지붕판을 연결지지하는 지붕판 고정구로 이뤄지는 지붕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받침지지구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좁고 긴 지붕판 고정구용 다리삽입공을 천공하고, 받침지지구의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장공을 천공하여 상기 다리삽입공으로 내리끼운 지붕판 고정구의 다리에 보울트를 관통시키되 장공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받침지지구상에서 그 길이방향, 즉 지붕판이 종방향으로 신축될 때의 방향으로 지붕판받침이 늘고 주는 지붕판을 따라 지붕판 고정구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고, 이로써 지붕판은 기온변화에 의해 신축될 때 접속연이 일그러지는 일 따위는 말끔히 사라진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토대로 작성한 첨부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본 고안을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받침지지구(1)과 지붕판 고정구(2)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이 그림에서 보듯이, 받침지지구(1)는 상면(1a)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좁고 긴 다리삽입공(11)을 천공한다. 다리삽입공(11)은 지붕판 고정구(2)의 후술하는 다리를 이동가능하게 내리끼우기 위한 구멍이다.
받침지지구(1)의 양측면 상단부근에는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관통 장공(12)을 천공한다. 이들 관통장공(12)에는 상기 다리삽입공(11)으로 끼워진 지붕판 고정구(2)의 다리에 보울트를 관통시켜 지붕판이 종방향으로 신축될 때 다리는 다리삽입공(11)내에서 그리고 보울트는 관통장공(12)내에서 지붕판의 종방향을 따라 그 신축폭에 부응하여 이동토록 하는데 아주 긴요한 구성요소이다.
지붕판 고정구(2)는 철판을 절곡한 것 또는 압출물을 소정의 형상으로 타발한 것으로, 상단부에 절곡부(21)를 두고, 하단 중앙에는 다리(22)를 형성하며, 이 다리(22)에는 관통공(23)을 천공한다. 상단절곡부(21)는 선시공 지붕판의 후접속연과 후시공 지붕판의 선접속연을 무체결로써 동시에 고정하는 부분이다.
보울트(3)는 받침지지구(1)의 일측 관통장공(12)을 통해 꿰서 반대편 관통장공(12)으로 노출시킨 다음에 너트(4)를 체결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한다.
제2도는 상기 받침지지구(1)와 지붕판 고정구(2), 보울트(3), 너트(4)를 이용하여 본 고안에 의한 지붕판(5)을 무체결식으로 설치한 경우의 접속부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일부절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2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지붕판(5)의 선접속연(51)은 지붕판 고정구(2)의 상단부(21)내에 끼어들게 절곡되고, 지붕판(5)의 후접속연(52)은 지붕판 고정구(2)의 상단부(21)를 에워쌀 수 있게 절곡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받침지지구(1)와 지붕판 고정구(2) 및 지붕판(5)을 이용하여 지붕판(5)을 무체결식으로 시공하는 작업순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C형빔상에 공지의 타이트 프레임(6)을 설치하고, 이 타이트프레임(6)상에는 받침지지구(1)의 저면을 대고 보울트-너트(7)로 고정한다. 이어서, 다리삽입공(11)의 윗쪽에서 지붕판받침(2)의 다리(22)를 내리끼우고 일측 관통장공(12)쪽에서 보울트(3)를 꿰어 보울트공(23)과 반대편 관통장공(12)으로 뺀 다음에 너트(4)를 약간 느슨하게 체결하여 지붕판 고정구(2)를 안정시킨다.
그런 다음에 선시공 지붕판(5a)의 선접속연(51)과 지붕판 고정구(2)의 상단절곡부(21)와, 지붕판(5b)의 후접속연(52)을 겹쳐진 상태로 절곡시킨다.
그러면 제2도와 같이 후접속연(52)은 지붕판받침(2)의 상단부(21)를 완전히 에워싸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후시공 지붕판(5b)은 지붕판 고정구(2)의 상단절곡부(21)에 고정되어 상하는 물론 좌우로 꼼짝달싹 못하게 되고, 다만 상단부(21)의 길이방향, 즉 서까래의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을 따름이다. 그러나 이것도 지붕판마무리공사때 별도의 수단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염려할 바가 아니다.
이같은 요령으로 설치한 지붕판(5)이 신축될 때 지붕판 고정구(2)가 지붕판(5)의 신축방향으로 끌려가려고 한다. 이때, 지붕판 고정구(2)에 작용하는 힘은 다리(22)를 거쳐 보울트(3)에 전달된다. 다행히 보울트(3)는 느슨하게 체결되어 있기에 관통장공(12)내에서 다리(22)가 움직이는 방향(제3도의 화살표시)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지붕판(5)은 기온변화에 따른 종방향으로의 신축이 자유롭게 이뤄지고, 지붕판(5)이 신축될 때 접속연(51,52)이 일그러지는 일 따위는 사라진다.
또, 지붕판 고정구(2)의 상단절곡부(21)에 주어진 독특한 구조와 지붕판(5)의 선,후접속연(51,52)의 독자적인 결속구조는 지붕판(5)을 비체결식으로도 부담없이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체결식에 비해 시공성과 시공비, 공기면에서 대단히 유리하고, 접속연도 누수방지기능이 탁월하므로 별도의 수밀화를 위한 마감시공작업이 불필요하며, 접속연을 벗겨내기만 하면 파손된 지붕판등의 보수, 개체작업이 가능하여 편리하다.

Claims (1)

  1. 상면(1a)과 양측면(1b)(1b)이 구비된 받침지지구(1)의 상면(1a)에는 지붕판 고정구의 다리끼움용 다리삽입공(11)을 길이방향으로 천공하고 받침지지구(1)의 양 측면(1b)(1b)에는 다리삽입공(11)과 동일방향으로 나란한 보울트 관통장공(12)을 천공하며, 지붕판 고정구(2)는 상단절곡부(21)를 절곡형성하고 지붕판 고정구(2)의 하단 중앙에는 보울트 관통공(23)이 천공된 다리(22)를 형성하여, 상기 지붕판 고정구(2)의 다리(22)를 상기 다리 삽입공(11)에 삽입한 다음, 보울트(3)를 관통장공(12)과 관통공(23)에 관통시켜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판 설치구조.
KR2019950029876U 1995-10-23 1995-10-23 지붕판 설치구조 KR200151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9876U KR200151821Y1 (ko) 1995-10-23 1995-10-23 지붕판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9876U KR200151821Y1 (ko) 1995-10-23 1995-10-23 지붕판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178U KR970018178U (ko) 1997-05-26
KR200151821Y1 true KR200151821Y1 (ko) 1999-07-15

Family

ID=1942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9876U KR200151821Y1 (ko) 1995-10-23 1995-10-23 지붕판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8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535Y1 (ko) 2010-09-01 2012-07-19 주식회사 흥성이엔씨 건축용 루프패널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535Y1 (ko) 2010-09-01 2012-07-19 주식회사 흥성이엔씨 건축용 루프패널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178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41271B1 (ja) 外壁板の縦張り用留め付け金具、該金具を使用した縦張り外壁板の下端部留め付け方法及び留め付け構造
KR200151821Y1 (ko) 지붕판 설치구조
JP5882382B2 (ja) ソーラーパネル取付金具
JP2514301B2 (ja) 太陽電池パネル取付構造
JP3377380B2 (ja) 二重外囲体
JPH083252B2 (ja) 縦葺き屋根の外設取付構造および施工方法
JPH0363620B2 (ko)
JP3845648B2 (ja) ケラバ包み板の取付け構造、ケラバ包み板支持金具、およびケラバ包み板の取付け方法
JPH10140773A (ja) ソ−ラ−器機据付支持装置
JP3223176B2 (ja) 横葺き屋根用化粧瓦棒取付金具
JPH06200589A (ja) 軒天井
JPH1068193A (ja) 支持瓦
JPH046408Y2 (ko)
JPH0347357A (ja) 折版屋根の構造
JP3548859B2 (ja) 屋根材取付装置
KR830002228Y1 (ko) 온수온돌패널
JP3234499B2 (ja) 棟部の換気構造
JPH01235760A (ja) 折版屋根の接続構造
JPH0414585Y2 (ko)
JPH08284346A (ja) 屋根用雪止め金具
JPS6347213Y2 (ko)
KR0119471Y1 (ko) 대문자바라 신축장치
JPH0718817Y2 (ja) 金属製屋根板材の取付構造
JPH08135101A (ja) フラット状外囲体
FR2789103A1 (fr) Dispositif d'assemblage et de support de panneaux nerv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