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623Y1 - 엘리베이터 상승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상승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623Y1
KR200150623Y1 KR2019960054198U KR19960054198U KR200150623Y1 KR 200150623 Y1 KR200150623 Y1 KR 200150623Y1 KR 2019960054198 U KR2019960054198 U KR 2019960054198U KR 19960054198 U KR19960054198 U KR 19960054198U KR 200150623 Y1 KR200150623 Y1 KR 200150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eight
bracket
elevator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4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1108U (ko
Inventor
임경천
Original Assignee
백영문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영문,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영문
Priority to KR2019960054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623Y1/ko
Publication of KR199800411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1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6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66B13/125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8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a clutch or a coupling system between several motors, e.g. switching different speeds, progressive starting, torque limitation, fly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상승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도어장치에 클러치를 부착하고 이를 승장도어와 연계시킴으로써, 승장 도어 구동장치의 미설치에 따른 경제적인 잇점을 도모하고 부품 감소에 따른 고장 요소의 감소와 함께 설치공간의 축소에 의한 승강로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상승 도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카도어(12)가 상승하게 되면 카도어에 설치된 클러치(400)에 의해 상기 승장도어(12)에 설치된 인터록장치(500)가 해제됨과 동시에 승장도어가 상승되면서 개방되도록, 카도어(22)의 좌우측에 하단에 고정판(430), 회전판(410), 트랙 로울러(440) 및 스프링(450)으로 구성된 클러치(400)를 구성하고, 승장도어(12)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는 제 1고정브라켓
(510)과 타측 하단에 상하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 2고정브라켓(520)과 제 3고정브라켓(530) 및 그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인터록 브라켓(540)으로 구성된 인터록장치(500)를 구성하는 한편, 승장도어(12)의 중량을 균형추(16)의 중량보다 크게 하여 카도어(22)가 닫힌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닫히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상승 도어 장치{APPARATUS FOR ASCENT DOOR OF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상승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 카측의 도어 장치에 클러치를 부착하고 이를 승장측의 도어와 연계시킴으로써, 승장 도어 구동장치의 미사용에 따른 경제적인 잇점을 도모하고 부품 감소에 따른 고장 요소의 감소와 함께 설치공간의 축소에 의한 승강로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상승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는 승장측과 카측으로 구분되며, 인승용에 적용되는 중앙열림도어나 일방열림도어의 경우 카측의 도어장치에 부착된 클러치로 해당 층의 승장도어장치의 개폐를 연계하여 구동하게 되나, 화물용 등에 적용되는 상승 도어의 경우, 구조상의 어려움(엘리베이터의 운동 방향과 도어의 운동 방향이 일치(상하)함으로써, 클러치 등의 구조 실현에 난점이 있었음) 때문에 승장측에 별도의 구동장치(모터, 감속장치, 그외 관련 스위치)를 구비하여 해당 층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장도어장치(10) 및 카도어장치(20)의 구동장치는 도어(12)(22)의 중량에 해당하는 무게를 로우프나 체인(14)(24)을 통하여 반대측에 동일한 무게를 갖는 균형추(16)(26)를 통하여 보상함으로써, 장치의 마찰과 도어(12)(22)의 관성만을 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승장도어장치(10) 및 카도어장치(20)에는 인터록장치가 구비되어 카가 정해진 층에 위치되고 카도어장치(20)가 개방되면서 승장도어장치(10)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 인터록장치에는 첨부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에 부착된 캠(42)이 승장측에 부착된 로울러(44)를 밀어줌으로써 지지브라켓(46)으로부터 인터록(48)이 해제되는 구조를 갖는 캠로울러형 인터록장치(40)가 있고, 첨부도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전자석이 자화되면서 브라켓(52)을 끌어당겨 해당 층의 인터록을 해제하는 솔레노이드형 인터록장치(50)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강도어장치나 카도어장치에 캠로울러형 또는 솔레노이드 인터록장치가 구성된 구조에서는 승장측, 카측에 각각의 구동장치(모터, 감속장치, 제어에 관련된 스위치)가 있으므로 그 구조가 복잡함에 의하여 비경제적이고, 상기 구동장치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고장요소가 증가하며, 도어(12)(22) 무게에 해당하는 동일한 무게만을 보상함으로써, 특별히 승장도어의 자동닫힘장치의 구조가 구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 승장도어가 열린 상태가 유지되므로 승장쪽에서 승강로 쪽으로 승객이나 화물이 추락되는 위험성이 있게 된다.
또한, 승장측 구동장치의 오동작시 카가 해당 층에 도착하지 않아도 열릴 수 있는 안전문제를 내포하고, 승장측 구동장치와 그와 관련된 제어 회로에 의해 승장측 설치 및 보수작업이 과다하며, 구동장치로 인한 승강로 설치면적이 증가하여 승강로 면적의 이용효율이 적어지는 한편, 도어(12)(22)의 운동과 상호 연계치 않은 별도의 인터록(48) 장치가 있는 관계로 도어(12)(22)가 열리면서 인터록(48)이 정확히 해제되지 않거나 도어(12)(22)가 닫혀도 인터록(48)이 체결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낳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측도어장치에 클러치를 부착하고 이를 승장도어와 연계시킴으로써, 승장도어 구동장치의 미설치에 따른 경제적인 잇점을 도모하고 부품 감소에 따른 고장 요소의 감소와 함께 설치공간의 축소에 의한 승강로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상승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가이드 레일을 타고 상하방향으로 여닫히도록 된 카도어장치 및 승장도어장치가 구성되고, 상기 카도어장치는 카도어의 중량에 해당하는 무게를 로우프나 체인을 통하여 반대측에 동일한 무게를 갖는 균형추를 통하여 보상함으로서 장치의 마찰과 카도어의 관성만을 운동시키도록 구동장치가 구성되며, 상기 승장도어장치 또한 승장도어에 로우프나 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균형추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카도어가 상승하게 되면 카도어에 설치된 클러치에 의해 상기 승장도어에 설치된 인터록장치가 해제됨과 동시에 승장도어가 상승되면서 개방되도록 된 엘리베이터의 상승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카도어의 좌우측에 설치된 도어용앵글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축으로 연결 고정되는 트랙 로울러 및, 상기 회전판이 회동된 상태에서 원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터록장치는 상기 승장도어의 일측 도어용앵글 하단에 설치되고 카도어측으로 돌출되는 "ㄱ"자 형상의 상·하측브라켓이 서로 마주보게 용착된 제 1고정브라켓과, 상기 승장도어의 타측 도어용앵글 하단에 설치되고 "ㄱ"자 형상의 상측브라켓이 용착된 제 2고정브라켓과, 이 제 2고정브라켓의 하방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고 "ㄱ"자 형상의 하측브라켓이 용착된 제 2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 2 및 제 3고정브라켓 사이의 도어용앵글에 보울트 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판형부재의 카도어측 모서리부에 " ㄴ " 자 형상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에는 "ㄱ"자 형상의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이 회동될 때 접촉되도록 된 인터록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승장도어장치는 균형추의 중량을 승장도어의 중량보다 작게 하여 상기 카도어가 닫힌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상기 승장도어가 하강되어 닫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장치를 카쪽에서 본 정면개략도,
도 2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장치를 승장쪽에서 본 정면개략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단면도를 실제 엘리베이터 공간에 배치한 평면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승장도어장치를 카쪽에서 본 정면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카도어장치를 승장쪽에서 본 정면개략도,
도 6은 도 4 및 도 5의 단면도를 실제 엘리베이터 공간에 배치한 평면개략도,
도 7은 도 4, 도 5, 도 6의 'A'부 상세구조도,
도 8은 도 4, 도 5, 도 6의 'B'부 상세구조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카도어의 상승시, 클러치에 맞물림되어 승장도어가 상승되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카도어의 하강시, 승장도어를 끌어내리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상승 도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과정도,
도 12는 종래 캠로울러형 인터록장치도,
도 13은 종래 솔레노이드형 인터록장치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승장도어장치 20 : 카도어장치
300 : 도어용앵글 400 : 클러치
410 : 회전판 420 : 축
430 : 고정판 440 : 트랙 로울러
450 : 스프링 500 : 고정 브라켓
510 : 제 1고정브라켓 520 : 제 2고정브라켓
530 : 제 3고정브라켓 540 : 인터록 브라켓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상승 도어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상승 도어 장치 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이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상승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도어(22)와 승장도어(12)가 가이드 레일(19)를 타고 상하방향으로 여닫히도록 된 카도어장치(20) 및 승장도어장치(10)가 구성되고, 상기 카도어장치(20)는 상단도어(22a)와 하단도어(22b)로 구성된 카도어(22)의 중량에 해당하는 무게를 로우프나 체인(24)을 통하여 반대측에 동일한 무게를 갖는 균형추(26)를 통하여 보상함으로서 장치의 마찰과 카도어(22)의 관성만을 운동시키도록 구동장치가 구성되며, 상기 승장도어장치(10) 또한 상단도어(12a)와 하단도어(12b)로 구성된 승장도어(12)에 로우프나 체인(14)에 의해 연결되는 균형추(16)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카도어(12)가 상승하게 되면 카도어에 설치된 클러치(400)에 의해 상기 승장도어(12)에 설치된 인터록장치(500)가 해제됨과 동시에 승장도어가 상승되면서 개방되도록 된 엘리베이터의 상승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400)는 카도어(22)의 좌우측에 설치된 도어용앵글(300)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고정판(430)과, 상기 고정판(430)에 축(45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대략 변형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회전판(410)과, 상기 회전판(410)에 축(442)으로 연결 고정되는 트랙 로울러(440) 및, 상기 회전판(410)이 회동된 상태에서 원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45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터록장치(50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클러치(400)와 대향되는 상기 승장도어(12)의 일측 도어용앵글(300) 하단에 설치되고 카도어(12)측으로 돌출되는 "ㄱ"자 형상의 상·하측브라켓(512)(514)이 서로 마주보게 용착된 제 1고정브라켓(510)과, 타측 클러치(400)와 대향되는 상기 승장도어(12)의 타측 도어용앵글(300) 하단에 설치되고 "ㄱ"자 형상의 상측브라켓(522)이 용착된 제 2고정브라켓(520)과, 상기 제 2고정브라켓(520)의 하방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고 "ㄱ"자 형상의 하측브라켓(532)이 용착된 제 2 고정브라켓(530)과, 상기 제 2 및 제 3고정브라켓(520)(530) 사이의 도어용앵글(300)에 보울트 축(90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판형부재의 카도어(22)측 모서리부에 " ㄴ " 자 형상의 걸림턱(542)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542)에는 "ㄱ"자 형상의 걸림편(544)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410)이 회동될 때 접촉되도록 된 인터록 브라켓(54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승장도어장치(10)는 균형추(16)의 중량을 승장도어(12)의 중량보다 작게 하여 상기 카도어(22)가 닫힌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상기 승장도어(12)가 하강되어 닫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7, 27은 벨트, 18, 28은 제어용 스위치, 30은 승강로, 32는 승장바닥, 34는 카바닥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장도어장치(10)의 상단도어(12a)는 체인(14)으로 하단도어(12b)와 연결되어 있고, 하단도어(12b)의 상승에 따라 1/2의 속도로 상승하게 되며, 우측에 부착되어 있는 균형추(16)는 승장도어(12)와 체인(14)에 연결되어 있으며 승장도어(12)의 무게를 보상함으로써, 구동시 소요되는 동력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균형추(16)측의 무게는 승장도어(12)측의 무게보다 일정량 적으므로 승장도어(12)가 열려 있을 때, 저절로 닫힐 수 있게 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도어장치(20)의 카도어(22)와 균형추(26)간의 연결은 승장측과 같으나 대신 카측의 균형추(26)에는 구동장치가 있기 때문에 카도어(22)와 균형추(26)의 중량을 동일하게 하여 열림시 소요되는 동력이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클러치(400)의 트랙 로울러(440)는 카도어(22)가 닫힘위치에 있을 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9)의 끝단을 돌아 정지된 상태가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카도어(12)의 상승시 트랙 로울러(440)는 가이드 레일(19)의 끝단에 접촉되어 가압되므로 회동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트랙 로울러(440)와 축(442)에 의해 연결된 회전판(410)이 고정판(430)의 축(45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트랙 로울러(440)는 가이드 레일(19) 면과 만나게 된다.
반대로 도어(12)(22)가 열림상태에서 완전히 닫힘상태로 돌아오면 상기 스프링(450)의 복원력으로 회전판(410)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트랙 로울러(440)는 가이드 레일(19)의 끝점을 돌아 회전판(410)과 함께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한편, 상기 인터록 브라켓(540)은 승장도어(12) 및 카도어(22)가 닫힘위치에서는 자중에 의해 그 상단이 카도어(22)측으로 회전되어 인터록 브라켓(540)의 하단이 가이드 레일(19)의 하단 안쪽으로 들어와 있게 되므로 걸림턱(542)이 가이드 레일(19)에 걸리게 되어 승장도어(12)의 열림을 방지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도어의 열림 및 인터록의 해제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카가 해당 층에 도착하면 제어반에서는 카도어에 열림 신호를 주고 열림 신호를 받은 카측의 도어모터(60)는 회전을 시작하며, 소정의 감속비를 갖는 감속장치(감속기어, 70)를 통해 균형추(26)와 하단도어(22b)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24)을 구동시킨다.
상기 체인(24)의 이동으로 카도어(22)의 하단도어(22b)가 상승을 시작하고 가이드 레일(19) 끝단에서 클러치(400)의 회전판(410)이 트랙 로울러(440)와 함께 회전하여 승장도어(12)측 하단도어(12b)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제 1고정브라켓(510)의 상측 브라켓(512)을 들어 올리게 되며 이때, 인터록 브라켓(540)이 부착된 타측에서는 클러치(400)의 회전판(410)이 카도어(22)의 상승과 함께 회전하면서 먼저 인터록 브라켓(540)의 걸림편(544)를 들어 올려 회전시켜 인터록 상태를 해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고정브라켓(510)의 상측 브라켓(512)을 들어 올리는 일측 클러치 회전판(410)과 동일한 동작으로 제 2고정브라켓(520)의 상측브라켓(522)를 들어 올리게 되므로 승장도어(12)는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카도어(22) 및 승장도어(12)를 상승시키는 도어모터(60)는 승장도어(12)에 부가되어 있는 일정량의 불균형 하중과 각 도어장치의 마찰(효율)힘, 그리고 가속도에 의하여 발생하는 관성의 힘만을 구동하면 되며, 완전히 열림 상태가 되면 도어모터(60)의 구동을 멈추고 도어모터(60)에 부착되어 있는 브레이크(80)가 작동되어 도어의 열림운동은 멈추게 된다.
한편, 도어의 닫힘 및 인터록의 체결은 닫힘 신호가 제어반에서 인가되면 브레이크(80)는 개방되고, 도어모터(60)는 역회전을 하며 카도어(22)를 하강시키게 되는데, 이때, 승장도어(12)는 적절한 양의 하중 불균형값에 의해 스스로 하강을 시작하고 하강에 대한 속도는 카측의 클러치(400)에 의해 구속되어 카측과 동일한 속도로 하강하게 된다. 만약 어떠한 이유로 인해 카도어(22)의 속도보다 느리게 승장도어(12)가 하강하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400)의 회전판(410)의 하부가 승장도어(12)의 제 2 고정브라켓(530) 하측브라켓(532)을 눌러주어 승장도어(12)의 운동을 돕게 되며 카도어(22)가 거의 닫힘상태에 다다르면 클러치(400)의 회전판(410)이 가이드 레일(19)의 끝단에서 회전하게 되며, 이때부터는 승장도어(12)가 자중에 의해 스스로 닫히게 되는 것이고, 또한 인터록 브라켓(540)은 자중에 의해 회전하게 되어 상기 인터록 브라켓(540)의 걸림턱(542)이 가이드 레일(19)의 하측에 위치되면서 걸림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상승 도어 장치에 의하면 카도어 장치에 승장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클러치를 부착하고 상기 클러치의 운동을 이용하여 단순하고 확실한 인터록장치를 승장도어측에 부착함으로써, 승장측에 별도의 구동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승장 도어 구동장치에 쓰였던 많은 부품(모터, 감속장치, 기타 제어에 관련된 스위치, 결선등)들의 사용이 필요없게 되는 경제적인 잇점을 비롯하여 간단한 구조를 갖는 도어장치의 구성이 가능하고, 설치 및 보수시간이 절감됨과 동시에 고장요소가 대폭 줄어들 수 있으며, 승장도어의 무게 보상을 균형추쪽과 다르게 함으로써(승장도어의 중량을 균형추의 중량보다 일정한 중량만큼 무겁게 함) 승장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가 되어 승객이나 화물 등의 추락 위험성이 줄게 되는 한편, 승장도어에 구동장치가 없으므로 오동작으로 인한 승장도어만의 열림이 이루어질 수 없음에 따라 안전성이 확보되고 승장측 구동장치의 제거로 승강로 면적의 이용효율을 올릴 수 있으며, 클러치의 동작과 상호 연계된 간단한 인터록장치로 정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가이드 레일(19)를 타고 상하방향으로 여닫히도록 된 카도어장치(20) 및 승장도어장치(10)가 구성되고, 상기 카도어장치(20)는 카도어(22)의 중량에 해당하는 무게를 로우프나 체인(24)을 통하여 반대측에 동일한 무게를 갖는 균형추(26)를 통하여 보상함으로서 장치의 마찰과 카도어(22)의 관성만을 운동시키도록 구동장치가 구성되며, 상기 승장도어장치(10) 또한 승장도어(12)에 로우프나 체인(14)에 의해 연결되는 균형추(16)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카도어(12)가 상승하게 되면 카도어에 설치된 클러치(400)에 의해 상기 승장도어(12)에 설치된 인터록장치(500)가 해제됨과 동시에 승장도어가 상승되면서 개방되도록 된 엘리베이터의 상승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400)는 카도어(22)의 좌우측에 설치된 도어용앵글(300)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고정판(430)과, 상기 고정판(430)에 축(45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410)과, 상기 회전판(410)에 축(442)으로 연결 고정되는 트랙 로울러(440) 및, 상기 회전판(410)이 회동된 상태에서 원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450)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터록장치(500)는 상기 클러치(400)와 대향되는 상기 승장도어(12)의 일측 도어용앵글(300) 하단에 설치되고 카도어(12)측으로 돌출되는 "ㄱ"자 형상의 상·하측브라켓(512)(514)이 서로 마주보게 용착된 제 1고정브라켓(510)과, 상기 승장도어(12)의 타측 도어용앵글(300) 하단에 설치되고 "ㄱ"자 형상의 상측브라켓(522)이 용착된 제 2고정브라켓(520)과, 이 제 2고정브라켓(520)의 하방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고 "ㄱ"자 형상의 하측브라켓(532)이 용착된 제 2 고정브라켓(530)과, 상기 제 2 및 제 3고정브라켓(520)(530) 사이의 도어용앵글(300)에 보울트 축(90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판형부재의 카도어(22)측 모서리부에 " ㄴ" 자 형상의 걸림턱(542)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542)에는 "ㄱ"자 형상의 걸림편(544)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410)이 회동될 때 접촉되도록 된 인터록 브라켓(540)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승장도어장치(10)는 균형추(16)의 중량을 승장도어(12)의 중량보다 작게 하여 상기 카도어(22)가 닫힌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상기 승장도어(12)가 하강되어 닫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상승 도어 장치.
KR2019960054198U 1996-12-23 1996-12-23 엘리베이터 상승 도어 장치 KR200150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198U KR200150623Y1 (ko) 1996-12-23 1996-12-23 엘리베이터 상승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198U KR200150623Y1 (ko) 1996-12-23 1996-12-23 엘리베이터 상승 도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108U KR19980041108U (ko) 1998-09-15
KR200150623Y1 true KR200150623Y1 (ko) 1999-07-01

Family

ID=1948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4198U KR200150623Y1 (ko) 1996-12-23 1996-12-23 엘리베이터 상승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62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617B1 (ko) * 2007-06-04 2007-09-20 (주)광덕산업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108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0220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ロック装置
US5693919A (en) Evacuation system for elevators
KR920004311B1 (ko) 빗장기구를 갖는 승강기문 구동장치
US8708106B2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in elevator maintenance
USRE38835E1 (en) Remote brake release mechanism for an elevator machine
KR20000038410A (ko)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
JPH07285763A (ja) エレベーターの連動装置
US20090081010A1 (en) Inclined Conveyance for Multi-storied Automotive Parking
JPH07285764A (ja) エレベーターの連動装置
JP557113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3363711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扉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WO2013132587A1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4190626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US7641024B2 (en) Operating residential elevator
US7296660B1 (en) Residential elevator
JP2004210423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150623Y1 (ko) 엘리베이터 상승 도어 장치
US20100018810A1 (en) Elevator apparatus
KR100340316B1 (ko)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안전 잠금장치
US3051269A (en) Power operator for elevator shaftway doors
KR100420041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잠금장치
JP4038067B2 (ja) ロック装置を有するエレベーターのかご室ドア装置
JP201026509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3422748B2 (ja) エレベーター
WO2018105109A1 (ja)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