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617B1 -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 - Google Patents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617B1
KR100760617B1 KR1020070054381A KR20070054381A KR100760617B1 KR 100760617 B1 KR100760617 B1 KR 100760617B1 KR 1020070054381 A KR1020070054381 A KR 1020070054381A KR 20070054381 A KR20070054381 A KR 20070054381A KR 100760617 B1 KR100760617 B1 KR 100760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ntact
stopper
interlock switch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경철
Original Assignee
(주)광덕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덕산업 filed Critical (주)광덕산업
Priority to KR1020070054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65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electrical

Abstract

본 발명은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장방형의 케이스(2) 내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스토퍼(32)가 형성된 고정브라켓(3)과, 상기 고정브라켓(3)을 회전시켜 스토퍼(32)를 출몰작동시키는 구동수단(4)으로 구성된 걸림부와; 선단에 상기 스토퍼(32)에 인접되는 롤러(5)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2) 내에 힌지결합된 굴절브라켓(6)과, 상기 굴절브라켓(6)의 회전시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7)으로 구성된 회전부와; 상기 굴절브라켓(6)의 회전반경 내에 설치되며 일면에 제 1접점(81)이 형성된 신호입력부(8)와, 상기 굴절브라켓(6)과 동반 회전되며 상기 제 1접점(81)에 대응되는 제 2접점(52)이 형성된 장착대로 구성된 감지부로 구성된다.
승강, 화물, 인터록, 접점

Description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Ascension door electronic type interlock switch}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장치를 카쪽에서 본 정면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장치를 승장쪽에서 본 정면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단면도를 실제 엘리베이터 공간에 배치한 평면개략도이다.
도 4는 종래 인터록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 인터록 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록 스위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록 스위치의 작동관계를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케이스 3 : 고정브라켓
4 : 구동수단 5 : 롤러
6 : 굴절브라켓 7 : 탄성수단
8 : 신호입력부 32 : 스토퍼
42 : 플런저 46 : 솔레노이드
52 : 제 2접점 81 : 제 1접점
본 발명은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의 출발/정지를 판단하는 감지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어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는 승장측과 카측으로 구분되며, 사람전용에 적용되는 중앙열림도어나 일방열림도어의 경우 카측의 도어장치에 부착된 클러치로 해당 층의 승장도어장치의 개폐를 연계하여 구동하게 되나, 화물용 등에 적용되는 승강 도어의 경우, 구조상의 어려움(엘리베이터의 운동 방향과 도어의 운동 방향이 일치(상하)함으로써, 클러치 등의 구조 실현에 난점이 있었음) 때문에 승장측에 별도의 구동장치(모터, 감속장치, 그외 관련 스위치)를 구비하여 해당 층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첨부된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장치를 카쪽에서 본 정면개략도, 도 2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장치를 승장쪽에서 본 정면개략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단면도를 실제 엘리베이터 공간에 배치한 평면개략도이다.
그리고,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장도어장치(10) 및 카도어장치(20)의 구동장치는 도어(12)(22)의 중량에 해당하는 무게를 로우프나 체인(14)(24)을 통하여 반대측에 동일한 무게를 갖는 균형추(16)(26)를 통하여 보상함으로써, 장치의 마찰과 도어(12)(22)의 관성만을 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승장도어장치(10) 및 카도어장치(20)에는 인터록 스위치가 구비되어 카가 정해진 층에 위치되고 카도어장치(20)가 개방되면서 도어가 상승하여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도어 인터록 스위치(Door Interlock Switch)는 모든 승강장도어가 닫혀있지 않을 때는 카가 승강할 수 없고, 그 층에 정지하고 있지 않을 때는 문을 열수가 없도록 하기 위해 승강장 도어의 행거 케이스 내에 스위치와 자물쇠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상 비상정지장치와 더불어 중요한 장치이다. 또한 비상해제장치부착 인터록 스위치는 특별한 키로 해제하여 승강장 측에서 문을 열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 카도어를 손으로 열 때 이 인터록 스위치에 손이 닿을 경우는 손으로 인터록을 벗겨 승강장도어를 열수가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승강장 문의 인터록(Interlock) 장치는 카가 정지하지 않는 층의 도어는 비상키를 사용하지 않으면 열리지 않도록 하는 도어 로크(Door Lock)와 문이 닫혀있지 않으면 안전회로를 차단시켜 카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도어 스위치(Door Switch) 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인터록 스위치(8)를 첨부도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좌우측 방향으로 양측도어가 열리는 엘리베이터의 경우 양측 도어가 닫히는 중앙부 상단에 인터록 스위치(8)를 일측벽면에 고정 장착하고, 일측의 도어 상단에 도어로크(1)를 장착하며, 타측의 도어 상단에는 접점브래킷(6)을 장착한다.
상기 도어로크(1)는, 갈고리 형상의 걸림쇠(2)를 형성하고, 걸림쇠(2)의 일 측면에 접점브래킷(3)을 고정하며, 접점브래킷(3)에는 절연단자(4)에 1단 스위치접점(5)을 일체로 구비한 것이다.
상기 1단 스위치접점(5)은 계단형상처럼 2단으로 절곡 형성하여 각각 1단 접점(5a)과 2단 접점(5b)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접점브래킷(6)은 일측에 단부를 절곡하고, 단부에 2단 스위치접점(7)을 구비하며, 상기 2단 스위치접점(7)은 한쌍의 핀을 이격시켜 전도체의 편에 고정 장착한 것으로 각각 1단 접점(7a)과 2단 접점(7b)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인터록 스위치(8)는 메인브래킷(9)에 1단 접점뭉치(20)를 고정하는 보조브래킷(11)과 2단 접점뭉치(28)를 고정하는 장착브래킷(24) 및 보조브래킷(26)을 일체로 체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메인브래킷(9)은 디귿자형상으로 절곡하여 상측수평변(9a)의 단부는 내측방향으로 절곡하고, 하측수평변(9b)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0)을 뚫어 형성한 것이다.
상기 보조브래킷(11)은 기다란 편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수평변(12)의 일측에 예각으로 절곡하여 걸림쇠(13)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곡하여 수직편(14)을 형성하며, 수평변(12)에는 복수 개의 탭(15)과 장착공(16a)을 형성하고, 수직편(14)의 상단에는 체결공(17)을 뚫어 형성한 것이다.
상기 장착공(6a)에는 L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각각 체결공을 형성한 커버고정쇠(16)가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1단 접점뭉치(20)는 상단일측에 계단 형상으로 한 쌍의 1단 스위치접점(22)을 구비한 것으로 각각 1단 접점(22a) 및 2단 접점(22b)을 형성하되 1단, 2단 접점(22a)(22b)은 판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받도록 하고, 1단 접점뭉치(20)의 상단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체결공(21)을 형성하여 상기 보조브래킷(11)의 체결공(17)에 체결볼트(23), 너트(18) 및 와서(19)로 체결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보조브래킷(11)에 1단 접점뭉치(20)를 장착하고 난 후에 투명창(32)을 씌우는 것으로 투명창(32)의 일측에 체결공(33)을 형성하고, 체결공(33)과 상기 보조브래킷(11)의 커버고정쇠(16)에 투명창(32)을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한 것이다.
상기 장착브래킷(24)과 보조브래킷(26)은 각각 형성한 다음 용접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장착브래킷(24)은 L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수평편의 중앙에는 기다란 장공(25)을 뚫어 형성하고, 일측의 수직변에는 상기 보조브래킷(26)의 일측 모서리와 용접되는 것이며, 상기 보조브래킷(26)은 디귿자형상으로 절곡하여 수직편에 체결공(27)을 뚫어 형성한 것이다.
상기 2단 접점뭉치(28)는 전후방향으로 체결공(29)을 형성하고 측면에 한 쌍의 유통공(31)을 형성하며, 내측에는 한쌍의 2단 스위치접점(30)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한 쌍의 2단 스위치접점(30)은 상기 유통공(31)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 통공을 통하여 진입되는 핀 형상의 단자와 용이하게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각각 1단 접점(30a)과 2단 접점(30b)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2단 접점뭉치(28)의 외측에는 투명창(34)을 씌워 내측의 접점을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측에 체결공(35)을 형성하여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2단 접점뭉치(28)에 고정 장착한 것이다.
즉, 2단 접점뭉치(28)를 보조브래킷(26)의 내측에 장착하고, 보조브래킷(26)과 일체로 형성한 장착브래킷(24)은 상면에 메인브래킷(9)을 얹히며, 메인브래킷(9)의 내측으로 1단 접점뭉치(20)를 장착한 보조브래킷(11)을 끼워 넣어 상기 장착브래킷(24)의 장공(25)과 메인브래킷(9)의 체결공(10)을 통과하여 보조브래킷(11)의 탭(15)에 볼트(36)와 와셔(37)를 순차적으로 체결한 것이다.
상기 장착브래킷(24)과 걸림쇠(13)가 형성된 보조브래킷(11)의 위치설정은 장공(25)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좌우 양측 도어의 닫힘 상태와 접점의 상태를 고려하여 적정한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하 종래의 인터록 스위치(8)의 작용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1단 스위치접점(22)의 1단 접점(22a)은 도어개폐제어기(미도시)와 연결되고, 2단 접점(22b)은 2단 스위치접점(30)의 1단 접점(30a)과 연결되며, 2단 접점(30b)은 도어개폐제어기와 연결되는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즉, 1단 스위치접점(22)과 2단 스위치접점(30)의 회로가 동시에 닫혀야만 도어개폐제어기가 승강장 도어의 닫힘 상태를 확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운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측의 승강장 도어는 닫히면서 도어로크(1)의 걸림쇠(2)는 보조브래킷(11)의 걸림쇠(13)에 걸려져 잠금 상태가 되고, 동시에 1단 스위치접점(5)과 1단 접점뭉치(20)의 1단 스위치접점(22)이 접촉되어 1단 접점(22a)과 2단접점(22b)을 회로 적으로 연결시키며, 타측의 승강장 도어는 닫히면서 접점브래킷(6)의 2단 스위치접점(7)과 2단 접점뭉치(28)의 2단 스위치접점(30)이 접촉되어 1단 접점(30a)과 2단 접점(30b)을 회로 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예측할 수 없는 원인으로 어느 한쪽의 승강장 도어가 닫히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1단 스위치접점(22) 또는 2단 스위치접점(30)에서 회로가 닫히지 않아 승강기는 운행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인터록 스위치는, 접점이 형성된 판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잦은 접촉 및 분리동작에 의해 장시간 사용시 판스프링이 휘어지게 되어 접점 간의 유격이 발생하므로 접촉신호발생이 부정확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는 승강기의 사고와 직결될 수 있으므로 매우 심각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접점들간의 접촉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구성을 간결하게 하여 작동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인터록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장방형의 케이스 내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스토퍼가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을 회전시켜 스토퍼를 출몰작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걸림부와; 선단에 상기 스토퍼에 인접되는 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에 힌지결합된 굴절브라켓과, 상기 굴절브라켓의 회전시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된 회전부와; 상기 굴절브라켓의 회전반경 내에 설치되며 일면에 제 1접점이 형성된 신호입력부와, 상기 굴절브라켓과 동반 회전되며 상기 제 1접점에 대응되는 제 2접점이 형성된 장착대로 구성된 감지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와 플런저로 구성되며, 상기 플런저가 고정브라켓에 연결된 것으로, 플런저의 인입시 고정브라켓이 회전하여 스토퍼가 케이스 내부로 인입되고, 플런저의 인출시 고정브라켓이 역회전하여 스토퍼가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절브라켓은, 롤러와 대향되는 타단이 상기 케이스에 수직되게 설치된 고정대와 축핀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굴절브라켓의 타단에 형성된 제 1끼움대와, 상기 제 1끼움대에 대응되도록 케이스 내벽에 형성된 제 2끼움대와, 상기 제 1 및 제 2끼움대 사이에 개재된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대는 상기 굴절브라켓의 축핀에 형성된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에 설치되며 선단에 상기 제 2접점이 형성된 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체에는 제 1 및 제 2접점 간의 간극을 조정하기 위한 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편체와 장착대에 나사결합된 조절나사와, 상기 조절나사의 외측에 끼워져 탄지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조절나사의 조임 및 풀림조작에 의해 상기 편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승강기는 통상의 상부,중부,하부승장도어로 구성된 화물용 승강기이며, 하부승장도어(100)부터 상승하여 중첩되면서 개방되도록 한 구조를 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터록 스위치(A)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10)는 하부승장도어(100)에 설치되며, 인터록 스위치(A)는 각 층마다 설치되되, 상기 작동부재(10)와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임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록 스위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록 스위치(A)의 작동관계를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록 스위치(A)는,
장방형의 케이스(2) 내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스토퍼(32)가 형성된 고정브라켓(3)과, 상기 고정브라켓(3)을 회전시켜 스토퍼(32)를 출몰작동시키는 구동수단(4)으로 구성된 걸림부와; 선단에 상기 스토퍼(32)에 인접되는 롤러(5)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2) 내에 힌지결합된 굴절브라켓(6)과, 상기 굴절브라켓(6)의 회전시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7)으로 구성된 회전부와; 상기 굴절브라켓(6)의 회전반경 내에 설치되며 일면에 제 1접점(81)이 형성된 신호입력부(8)와, 상기 굴절브라켓(6)과 동반 회전되며 상기 제 1접점(81)에 대응되는 제 2접점(52)이 형성된 장착대(9)로 구성된 감지부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브라켓(3)은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일단은 케이스(2) 내에 힌지결합되고, 타측면에는 직각삼각형상의 스토퍼(32)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후술될 구동수단(4)의 플런저(42)가 힌지결합된다.
상기 구동수단(4)은, 솔레노이드(46)와 플런저(42)로 구성되며, 상기 플런저(42)의 일단이 고정브라켓(3)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42)의 외측에 스프링(44)이 끼워져 구성됨으로써 솔레노이드(46)의 전원 인가에 의해 플런저(42)가 인입될 수 있고, 전원 인가 해제시 상기 스프링(44)의 반발력에 의해 플런저(42)가 인출된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42)의 인입시 고정브라켓(3)이 회전하여 스토퍼(32)가 케이스(2) 내부로 인입되고, 플런저(42)의 인출시 고정브라켓(3)이 역회전하여 스 토퍼(32)가 케이스(2) 외부로 인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굴절브라켓(6)은 직선편체의 일측을 만곡시켜 대략 "
Figure 112007040666632-pat00001
"형상인 것으로, 만곡된 단부에는 롤러(5)가 설치되고, 직선 단부는 케이스(2)에 힌지결합된다.
즉, 롤러(5)와 대향되는 타단(직선 단부)이 상기 케이스(2)에 수직되게 설치된 고정대(61)와 축핀(62)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탄성수단(7)은,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절브라켓(6)의 타단, 즉 상기 축핀(62)과 힌지결합된 부위에 형성된 제 1끼움대(71)와, 상기 제 1끼움대(71)에 대응되도록 케이스(2) 내벽에 형성된 제 2끼움대(72)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 1 및 제 2끼움대(71,72)는 상기 코일스프링(94)의 단부가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일면에 단턱이 형성된다.
상기 신호입력부(8)는, 상기 굴절브라켓(6)의 회전반경 내에 설치된 블럭체로써 일면에 제 1접점(81)이 형성된 것으로, 후술될 제 2접점(52)과 접촉시 신호를 받아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함으로써 솔레노이드(46)의 작동의 신호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1 및 제 2접점(52)은 통상 2개로 형성됨이 합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갯수의 증감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장착대(9)는, 상기 굴절브라켓(6)의 축핀(6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제 2접점(52)이 형성된 편체로써, 상기 굴절브라켓(6)의 회전시 동반 회전하여 제 2접점(52)이 제 1접점(81)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대(9)에는 제 1 및 제 2접점(81,52) 간의 간극을 조정하기 위한 조절수단(92)이 더 구비된다.
상기 조절수단(92)은, 상기 장착대(9)에 나사결합된 조절나사(93)와, 상기 조절나사(93)의 외측에 끼워져 탄지되는 코일스프링(94)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조절나사(93)의 조임 및 풀림조작에 의해 상기 장착대(9)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절나사(93)는 조임 및 풀림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머리부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십자 또는 일자 형의 홈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스(2) 내의 일측에는 신호입력부(8) 및 구동수단(4)과 전기적으로 통하도록 연결된 단자부(24)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구동수단(4)이 설치된다.
또한, 고정브라켓(3)의 일단은 케이스(2) 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스토퍼(32)가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중간부에는 구동수단(4)의 플런저(42)가 힌지결합된다.
이후, 케이스(2) 내에 고정대(61)를 설치한 후 굴절브라켓(6)의 직선 단부를 상기 고정대(61)와 축핀(62)으로 끼워 결합시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한다.
이때, 굴절브라켓(6)의 롤러(5)는 케이스(2) 외부로 돌출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32)와 인접되도록 배치된다.
이후, 상기 굴절브라켓(6)의 타단, 즉 상기 축핀(62)과 힌지결합된 부위에 제 1끼움대(71)를 설치하고, 상기 제 1끼움대(71)에 대응되도록 케이스(2) 내벽에 제 2끼움대(72)를 설치한 후 상기 제 1 및 제 2끼움대(71,72) 사이에 탄성수단(7)을 개재한다.
이후, 상기 굴절브라켓(6)의 회전반경 내에 신호입력부(8)를 설치하되, 그 제 1접점(81)이 스토퍼(32)를 향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굴절브라켓(6)의 축핀(62)에 장착대(9)의 일단을 설치하고, 타단에 형성된 제 2접점(52)이 상기 제 1접점(81)과 대향되도록 배치하여 감지부를 구성한다.
이렇게 결합이 완료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록 스위치(A)의 작동관계를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도어가 닫힌 상태이며, 승강기가 운행중인 상태이다.
이때는, 하부승장도어(100)에 부착된 작동부재(10)가 상기 인터록 스위치(A)와 이격된 상태이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32)와 롤러(5)가 케이스(2)의 외 측으로 돌출된 상태이며, 제 1 및 제 2접점(81,52)은 아직 분리된 상태인 것이다.
도 7b는 승강기가 원하는 층에 도착하여 하부승장도어가 상승하기 시작하는 상태이며, 이때는 승강기의 운행은 중지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리는 동안 하부승장도어(100)가 상승하면서 작동부재(10)가 스토퍼(32)를 밀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고정브라켓(3)이 회전하여 스토퍼(32)가 인입되고, 연이어 작동부재(10)가 롤러(5)도 밀어 내측으로 회전시켜 인입시키게 된다.
이때, 장착대(9)에 형성된 제 2접점(52)이 신호입력부(8)의 제 1접점(81)과 접촉됨으로써 신호가 발생하며, 하부승장도어(100)가 열리고 있음을 인지하게 된다.
도 7c는 하부승장도어(100)가 완전히 상승하여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하부승장도어(100)의 상승에 동반하여 상승하는 작동부재(10)가 스토퍼(32)를 완전히 밀쳐 내고 지나가는 순간 고정브라켓(3)은 플런저(42)에 감긴 스프링(44)의 반발력에 의해 역회전함으로써 스토퍼(32)가 인출된다.
따라서, 작동부재(10)는 스토퍼(32)에 걸려진 상태에 놓이게 되며, 롤러(5)는 여전히 내측으로 밀려난 상태인 것이며, 여전히 제 2접점(52)과 제 1접점(81)은 접촉된 상태이다.
즉, 제 1 및 제 2접점(81,52)의 접촉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받아 제어부에서 는 도어가 열린상태로 인지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솔레노이드(46)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불시에 스토퍼(32)가 인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작동부재(10)가 걸림 상태로 지속적으로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상태에서 화물의 선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7d는 출발신호를 부여받아 작동부재(10)와 스토퍼(32)가 해제되기 시작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즉, 작업자가 승강기의 제어패널을 조작하여 승강기의 출발신호를 부여하면, 솔레노이드(46)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플런저(42)가 인입되고, 이에 연동하여 고정브라켓(3)이 회전하여 스토퍼(32)가 인입됨으로서 작동부재(10)의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도 7e는 하부승장도어(100)가 완전히 하강하여 인터록 스위치(A)를 해제시킴으로써 승강기가 운행 가능한 상태가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스토퍼(32)의 인입에 의해 걸림상태가 해제된 하부승장도어(100)는 도어닫힘 신호에 따라 하강하여 닫히게 되며, 롤러(5) 및 굴절브라켓(6)은 작동부재(10)가 미는 힘이 제거되었으므로 역회전함으로써 롤러(5)가 케이스(2)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 1 및 제 2접점(81,52)이 분리됨으로써, 하부승장도어(100)가 완전히 하강하였음을 인지하게 되고, 곧바로 승강기의 운행이 시작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접점들간의 접촉력이 향상될 수 있고, 구성을 간결하게 하여 작동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장방형의 케이스(2) 내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스토퍼(32)가 형성된 고정브라켓(3)과, 상기 고정브라켓(3)을 회전시켜 스토퍼(32)를 출몰작동시키는 구동수단(4)으로 구성된 걸림부와;
    선단에 상기 스토퍼(32)에 인접되는 롤러(5)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2) 내에 힌지결합된 굴절브라켓(6)과, 상기 굴절브라켓(6)의 회전시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7)으로 구성된 회전부와;
    상기 굴절브라켓(6)의 회전반경 내에 설치되며 일면에 제 1접점(81)이 형성된 신호입력부(8)와, 상기 굴절브라켓(6)과 동반 회전되며 상기 제 1접점(81)에 대응되는 제 2접점(52)이 형성된 장착대(9)로 구성된 감지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은, 솔레노이드(46)와 플런저(42)로 구성되며, 상기 플런저(42)가 고정브라켓(3)에 연결된 것으로, 플런저(42)의 인입시 고정브라켓(3)이 회전하여 스토퍼(32)가 케이스(2) 내부로 인입되고, 플런저(42)의 인출시 고정브라켓(3)이 역회전하여 스토퍼(32)가 케이스(2) 외부로 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브라켓(6)은 상기 롤러(5)와 대향되는 타단이 상기 케이스(2)에 수직되게 설치된 고정대(61)와 축핀(62)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7)은, 상기 굴절브라켓(6)의 타단에 형성된 제 1끼움대(71)와, 상기 제 1끼움대(71)에 대응되도록 케이스(2) 내벽에 형성된 제 2끼움대(72)와, 상기 제 1 및 제 2끼움대(71,72) 사이에 개재된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대(9)는, 상기 굴절브라켓(6)의 축핀(6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제 2접점(52)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굴절브라켓(6)의 회전시 동반 회전하여 제 2접점(52)이 제 1접점(81)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대(9)에는 제 1 및 제 2접점(81,52) 간의 간극을 조정하기 위한 조 절수단(92)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92)은, 상기 장착대(9)에 나사결합된 조절나사(93)와, 상기 조절나사(93)의 외측에 끼워져 탄지되는 코일스프링(94)으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조절나사(93)의 조임 및 풀림조작에 의해 상기 장착대(9)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
KR1020070054381A 2007-06-04 2007-06-04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 KR100760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381A KR100760617B1 (ko) 2007-06-04 2007-06-04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381A KR100760617B1 (ko) 2007-06-04 2007-06-04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0617B1 true KR100760617B1 (ko) 2007-09-20

Family

ID=3873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381A KR100760617B1 (ko) 2007-06-04 2007-06-04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6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518B1 (ko) 2016-04-27 2016-10-13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승강기 랜딩 도어 방폭형 인터록 장치
KR102603954B1 (ko) 2023-07-26 2023-11-21 주식회사 한림기업 소형 화물용 승강기의 외부도어 개폐 기능의 이중 안전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4620A (ko) * 1996-05-20 1997-12-10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개폐장치
KR19980041108U (ko) * 1996-12-23 1998-09-15 백영문 엘리베이터 상승 도어 장치
KR19990037326U (ko) * 1998-03-03 1999-10-0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도어슈 설치구조
KR20020093535A (ko) * 2001-06-09 2002-12-16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록킹장치
KR20060040602A (ko) * 2005-12-20 2006-05-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4620A (ko) * 1996-05-20 1997-12-10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개폐장치
KR19980041108U (ko) * 1996-12-23 1998-09-15 백영문 엘리베이터 상승 도어 장치
KR19990037326U (ko) * 1998-03-03 1999-10-0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도어슈 설치구조
KR20020093535A (ko) * 2001-06-09 2002-12-16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록킹장치
KR20060040602A (ko) * 2005-12-20 2006-05-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518B1 (ko) 2016-04-27 2016-10-13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승강기 랜딩 도어 방폭형 인터록 장치
KR102603954B1 (ko) 2023-07-26 2023-11-21 주식회사 한림기업 소형 화물용 승강기의 외부도어 개폐 기능의 이중 안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790B1 (ko) 카 도어 록
KR100305555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EP3255006B1 (en) A maintenance safety device for elevator and a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4203795B (zh) 电梯安全装置
KR100903971B1 (ko)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
KR100385490B1 (ko)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
CN101117870A (zh) 电梯轿门锁
CN110067487A (zh) 一种多级别防护的防盗门
KR100760617B1 (ko)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
CN2937389Y (zh) 屏蔽门锁紧装置
CN205932869U (zh) 简易杂物电梯门锁
CN111717767B (zh) 一种门刀联动装置及其构成的门刀的工作方法
CN216038094U (zh) 电梯门联动控制机构
CN206376646U (zh) 一种电磁驱动式挂锁装置
KR100340316B1 (ko)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안전 잠금장치
EP2292547B1 (en) Interlock mechanism for a landing door
KR200481777Y1 (ko)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 무빙잠금장치
CN1827514A (zh) 防坠落电梯层门闭锁装置
KR101843325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개폐장치
US11390491B2 (en) Device for unlocking a landing door
CN111573486A (zh) 一种集成轿门锁门刀
CN105668394A (zh) 一种自锁型电梯组件
CN106494976A (zh) 一种电梯厅门门锁短路保护装置
CN218642230U (zh) 一种快速开启的电梯门锁机构
CN219892869U (zh) 一种建筑电气线缆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0126

Effective date: 201109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