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490B1 -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 - Google Patents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490B1
KR100385490B1 KR10-2001-0016863A KR20010016863A KR100385490B1 KR 100385490 B1 KR100385490 B1 KR 100385490B1 KR 20010016863 A KR20010016863 A KR 20010016863A KR 100385490 B1 KR100385490 B1 KR 100385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ok
door
elevating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6757A (ko
Inventor
김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엘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엘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1-0016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490B1/ko
Priority to EP02252343A priority patent/EP1245765A1/en
Priority to US10/112,889 priority patent/US20020140327A1/en
Publication of KR20020076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4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일측부가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의 상호 마주하는 측벽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걸이수단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승강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벽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부와 연결되어 승강부를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개방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부의 상방향 이동을 막는 스토퍼를 갖는 잠금수단과;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슬라이딩운동을 통하여 케이스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에 힌지결합하여 회동운동을 통하여 인출부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인출부의 전면을 커버한 상태로 인출부와 더불어 케이스측으로 이동하여 케이스를 밀폐시키는 것으로, 내측면에 상기 걸이수단과 결합을 이루는 걸림부가 마련된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부터 인출가능하며 각종 장치를 탑재할 수 있는 인출부와, 상기 케이스를 밀폐하는 도어를 갖는 케이스에 있어서, 인출부에 대해 도어가 잠기고 또한 도어가 상기 인출부에 잠긴 상태로 케이스에 잠기도록 구성하여 이중잠금이 이루어지므로 아무나 케이스를 개방할 수 없어 그만큼 안전하다.

Description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Case having double locking mechanism}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부터 인출가능 하도록 설치되며 각종 장치를 탑재하는 인출부와 상기 케이스를 밀폐하는 도어를 갖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와 인출부가 잠기고 또한 도어가 인출부와 잠긴 상태로 케이스와 잠기도록 구성된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공중전화기의 몸체는 각종 전자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대해 회동하며 케이스를 밀폐하는 도어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내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부품은 케이스 내벽에 지지되며 회로의 구성상 케이스의 내부 깊숙이 설치되어 있는 부품도 있다.
따라서 케이스 내부의 전자부품을 수리하고자 할 경우 수리할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때에는 상관이 없겠으나, 부품이 케이스의 속에 깊숙이 위치하여 있을 경우에는 그 위치에서의 부품의 수리가 불가능하여 케이스로부터 부품을 통째로 빼내어야 수리가 가능하였다.
또한 케이스에 대해 도어를 잠그는데 있어서도 케이스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열쇠구멍에 열쇠를 넣어 돌리기만 하면 케이스로부터 도어가 용이하게 열려 마음만 먹으면 아무라도 도어를 열 수 가 있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부터 인출가능하며 각종 장치를 탑재할 수 있는 인출부와, 상기 케이스를 밀폐하는 도어를 갖는 케이스에 있어서, 인출부에 대해 도어가 잠기고 또한 도어가 상기 인출부에 잠긴 상태로 케이스에 잠기도록 구성하여 이중잠금이 이루어지므로 아무나 케이스를 개방할 수 없어 그만큼 안전하도록 구성한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를 개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에서의 도어에 구비되는 탄성후크를 도시한 절제 사시도.
도 3a,3b,3c는 상기 탄성후크의 동작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에서의 케이스에 대한 도어의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의 잠금수단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4의 Ⅵ-Ⅵ선 단면도.
도 7a,7b,7c,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의 케이스에 대한 도어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케이스 14:도어
16:공간부 18:인출부
20:하부평판 21:수직프레임
22:상부평판 23:걸림로드
24:가이드레일 25:연장부재
26:설치공간 27:지지기둥
28:힌지 29:탄성후크
30:스프링 31:후크하우징
32:연결로드 33:손잡이
34:고정후크 35:걸림홈
36,37:걸이부재 39:걸림홈
40:지지샤프트 41:연결핀
42,45:경사면 44:바닥면
46,47:측벽 48:후면벽
49:전동샤프트 50:제 1회동후크
51:제 2회동후크 53:삽입부
54:제 1승강부재 55:제 2승강부재
56:연결핀 57:잠금수단
58:개방수단 59:회전링크
60:핀 61:장공
62:승강가이드핀 63:와셔
64:승강후크 65:삽입부
66:스토퍼 67,72:키삽입부
68:걸림면 69:아이들핀
70:볼트 71:지지브라켓
73:후크부재 74:수평지지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일측부가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의 상호 마주하는 측벽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걸이수단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승강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벽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부와 연결되어 승강부를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개방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부의 상방향 이동을 막는 잠금수단과;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슬라이딩운동을 통하여 케이스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에 힌지결합하여 회동운동을 통하여 인출부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인출부의 전면을 커버한 상태로 인출부와 더불어 케이스측으로 이동하여 케이스를 밀폐시키는 것으로, 내측면에 상기 걸이수단과 결합을 이루는 걸림부가 마련된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일측벽에 지지되며 케이스내에서 수직으로 위치하는 제 1승강부재와, 타측벽에 지지되되 상기 제 1승강부재와 상호 평행하며 제 1승강부재와 동시에 승강하는 제 2승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이수단은 제 1,2승강부재로부터 도어측으로 각각 수평연장된 후 하부로 절곡 형성된 승강후크이고, 상기 각 승강후크의 하부에는, 중앙부가 제 1,2승강부재에 핀결합하여 제 1,2승강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한 것으로 후단부는 케이스의 후면벽 측으로 연장되고 선단부는 도어측으로 연장된 후 하부로 절곡된 제 1,2회동후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2회동후크의 후단부는 후면벽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전동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결합하여 제 1회동후크의 회동토오크가 제 2회동후크측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방수단은 케이스의 외부에서 키를 꼽아 돌려 발생시킨 토오크를 제 1승강부재의 수직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케이스의 일측벽에 고정되며 외부에서 케이스 내부로 키를 꼽을 수 있는 키홈이 형성되어 키를 꼽아 돌리면 축회전하는 키삽입부와; 상기 키삽입부에 고정되어 키삽입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원운동하는 것으로 단부가 상기 제 1승강부재와 핀연결된 회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은 케이스의 외부에서 키를 꼽아 돌려 발생시킨 회전력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제 1승강부재의 상방향 이동을 막는 것으로, 제 1승강부재가 상승하는 경로에 해당하는 케이스의 일측벽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내부에는키홈이 형성되어 있는 키삽입부와; 상기 키삽입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키삽입부의 회전에 의해 원운동하는 것으로 제 1승강부재를 걸어 제 1승강부재가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양측 내벽 상부 및 하부에는 가이드레일이 상호 평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인출부는, 하측의 가이드레일에 가이드되며 수평으로 슬라이딩운동하고 도어의 회동시 도어의 내측면과 접하는 하부평판과; 상기 하부평판과 평행하며 상측의 가이드레일에 가이드되어 수평으로 슬라이딩운동하고 도어의 회동시 도어의 내측면과 접하는 상부평판과; 상기 상부평판과 하부평판을 평행한 상태로 고정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평판은 각각의 선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일정폭을 갖는 설치공간을 가지며 각 설치공간의 내부에는 걸림로드가 수평으로 고정설치 되고,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는 상기 각 걸림로드에 걸려 결합을 이루는 탄성후크와; 상기 상부 및 하부의 탄성후크를 동시에 제어하여 상하의 걸림로드에 각각 결합하고 있는 탄성후크가 각 걸림로드로부터 동시에 분리되도록 상하의 탄성후크와 연결는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후크는, 상기 걸림로드와 대응하는 위치의 도어 내측벽에 고정되는 후크하우징과; 상기 후크하우징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선단부에는 상기 걸림로드에 근접시 걸림로드에 의해 가압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경사면을 통과한 걸림로드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후크부재와; 상기 후크부재의 선단부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걸림홈의 후방에 해당하는 부위의 후크부재에 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후단부가 상기 후크하우징에 지지샤프트에 의해 핀결합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지지샤프트를 감싸며 일단이 후크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고 타단이 후크부재의 바닥면을 선단부측으로 밀어 선단부를 상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2승강부재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제 1,2승강부재에는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양 내측벽에는 상기 각 장공내에 삽입되는 승강가이드핀이 고정되고, 상기 제 1,2승강부재의 상단부에는 아이들핀이 수평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는, 도어가 케이스로 근접하는 동안 상기 아이들핀 하부로 진입하며 아이들핀을 상승시키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을 통과한 아이들핀을 수용하는 걸림홈을 갖는 고정후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는, 상기 고정후크의 경사면이 아이들핀을 상부로 이동시킴에 의해 상승한 제 1 및 제 2승강부재의 승강후크 및 제 1,2회동후크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걸이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이중잠금은 케이스와 도어의 잠금은 물론 도어와 인출부와의 잠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케이스에 도어가 잠겨있는 상태에서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일단 케이스로부터 도어를 이격시켜야 하며, 또한 케이스로부터 도어를 이격시키기 위해서는 두 개의 열쇠가 필요하도록 구성된 잠금방식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를 개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는, 내부에 공간부(16)를 제공하며 내측면 상하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24)이 각각 고정되어 있는 케이스(12)와, 상기 가이드레일(24)에 가이드 되며 슬라이딩 운동을 통하여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되거나 또는 내부공간으로 삽입 수용되는 인출부(18)와, 상기 인출부(18)에 힌지(28) 연결되어 인출부(18)에 대해 회동운동 하는 도어(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2)는 육면체의 형태를 취하며 도 4를 통해 후술하는 바와같이 내부의 양측 벽에는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제 1승강부재(도4의 54) 및 제 2승강부재(도 4의 5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2)는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케이스(12) 내부의 환기를 위하여 임의의 위치에 환기구를 형성할 수 도 있다.
상기 인출부(18)는 상부평판(22)과 하부평판(20) 및 수직프레임(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평판(22) 및 하부평판(20)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호 평행하고 평면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평판(22)과 하부평판(20)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각종 전자부품이나 기타 필요한 내장품을 안정되이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평판(22) 및 하부평판(20) 각각의 측부에는 연장부재(25)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재(25)는 상부평판(22) 및 하부평판(20)의 측부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며 또한 가이드레일(24)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다. 이와같은 슬라이딩 방식은 공지의 것으로 케이스(12)에 대해 상부평판(22) 및 하부평판(20)이 수평으로 자연스럽게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21)은 하부평판(20)에 대해 상부평판(22)을 일정높이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플레이트형 프레임으로서, 평판(20,22)의 뒤쪽부위에 위치하여 하부평판(20) 위에 최대한 넓은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하부평판(22,20)에는 그 선단부로부터 후방의 케이스(12)방향으로 일정폭의 설치공간(26)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각 설치공간(26)은 상하부평판(22,20)을 일정폭 및 길이만큼 절제한 절제부로서 그 내부에는 걸림로드(23)가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걸림로드(23)는 원통형 봉으로서 후술하는 탄성후크(29)와 각각 결합하며 상하부평판(22,2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하부평판(22,20) 사이에는 지지기둥(27)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기둥(27)은 하부평판(20)에 대한 상부평판(22)의 수직높이를 유지하며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부평판(22)의 선단부 일측과 하부평판(20)의 선단부 일측을 연결한다.
상기 지지기둥(27)에는 도어(14)와 연결되는 힌지(28)가 고정된다. 상기 도어(14)는 상기 힌지(28)에 결합하여 인출부(18)의 전방에서 회동 가능하다.
상기 힌지(28)에 의해 인출부(18)의 전방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14)는, 인출부(18)측으로 회동하여 인출부(18)와 결합하고 그 상태로 케이스(12)측으로 이동하여 케이스(12)와 결합하여 케이스(12)를 밀폐하는 것으로, 그 내측면에는 탄성후크(29)와 고정후크(34) 및 걸이부재(36,37)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탄성후크(29)는 상기 걸림로드(23)를 걸어 인출부(18)에 대해 도어(14)가 결합하도록 하는 후크로서, 상기 걸림로드(23)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에 두 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후크(29) 중 상측의 탄성후크는 상부평판(22)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로드(23)에 결합하는 것이고, 하측의 탄성후크(29)는 하부평판(20)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로드(23)에 결합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 각 탄성후크(29)는, 후크하우징(31)과, 상기 후크하우징(31)의 내부에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후크부재(73)와, 상기 후크부재(73)의 선단부를 상부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크하우징(31)은 도어(14) 내측면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후크부재(73)의 상방향 회동각을 제한하여 후크부재(73)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후크부재(73)는 후크하우징(31)의 내부에서 지지샤프트(도 2의 40)에 의해 핀 연결되는 것으로, 선단부에는 경사면(도 2의 4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42)의 뒤쪽에는 걸림홈(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42)은 걸림로드(23)의 외주와 접하며 걸림로드(23)에 의해 하부로 밀리는 가압력을 받는 부위이다. 또한 상기 걸림홈(39)은 걸림로드(23)가 삽입되는 부위로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샤프트(40)의 외주에 감기는 스프링(30)은 후크부재(73)의 후단부를 탄성 가압하여 후크부재(73)의 선단부를 도 2의 화살표 b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한편, 상기 상부 및 하부의 탄성후크(29)는 동시에 작동한다. 즉, 상부의 후크부재(73)가 상부평판(22)의 걸림로드(23)에 결합하는 동안 하측의 후크부재(73)도 하부평판(20)의 걸림로드(23)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는 상 하부의 후크부재(73)를 각 걸림로드(23)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하부의 후크부재(73)의 선단을 동시에 하부로 회동시켜야 함을 의미한다.
상기 각 걸림로드(23)로부터 후크부재(73)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연결로드(3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로드(32)는 사용자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조절로드로서 중앙부에는 손잡이(33)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로드(32)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후크부재(73)에 연결핀(도 2의 41)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33)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각 후크부재(73)의 선단부는 스프링(30)의 탄성력을 이기며 하부로 회동한다. 상기 손잡이(33)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후크부재(73)의 선단부는 다시 상부로 원위치된다. 이 때 후크부재(73) 상면의 수평지지면(도 2의 74)은 후크하우징(31)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후크부재(73)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후크(34)는 도어(14)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평판형 부재로서 선단에는 경사면(45)이 형성되고 경사면(45)의 뒤쪽에는 걸림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후크(34)는, 케이스(12)에 대해 도어(14)를 근접시키는 동안 후술할 제 1승강부재(도 4의 54) 및 제 2승강부재(도 4의 55)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 아이들핀(도 4의 69, idle pin)하부로 진입하며 아이들핀(69)을 상부로 밀어 올려 제1,2승강부재(54,55)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걸림홈(35)내에 아이들핀(69)을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고정후크(34)는 일정두께를 갖는 평판형 플레이트로서 그 연장길이는 도 7c와 같이 케이스(12)에 도어(14)를 밀폐했을 때 걸림홈(35)내에 아이들핀(도 4의 69)이 삽입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고정후크(34)와 함께 도어(14) 내측면에 고정되는 걸이부재(36,37)는 후술하는 승강후크(도 4의 64) 및 제 1,2회동후크(도 4의 50,51)의 삽입부(65,53)가 삽입하여 걸리는 부위이다. 상기 각 걸이부재(36,37)는 대략 'ㄷ'자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도면상 상측부에 고정된 걸이부재(36)는 승강후크(64)와 결합하고, 하측부에 구비되어 있는 걸이부재(37)는 제 1,2회동후크(50,51)와 결합한다.
결국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어(14)는 탄성후크(29) 및 걸림로드(23)에 의해 인출부(18)와 결합한다. 또한 상기 도어(14)는 고정후크(34) 및 아이들핀(69)과 걸이부재(36,37) 및 후크(64,50,51)에 의해 케이스(12)와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에서의 도어에 구비되는 탄성후크를 도시한 부분 절제 사시도로서 도 1의 상측 탄성후크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같이, 후크부재(73)의 선단부에는 경사면(4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42)의 뒤쪽에는 걸림홈(39)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39)의 뒤쪽에는 지지샤프트(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샤프트(40)는 후크부재(73)를관통하여 후크하우징(31)에 결합하여 후크하우징(31)에 대해 후크부재(73)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걸림홈(39)은 내부에 걸림로드(23)를 수용하는 홈이다.
아울러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후크부재(73)를 화살표 b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후크부재(73)의 후단 바닥면(44)을 가압하고 타단부가 후크하우징(31)의 내측벽을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곧, 상기 스프링(30)은 후크하우징(31)에 지지된 상태로 후크부재(73)의 후단부를 가압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후크부재(73)의 후단부 상면은 평평한 부위로서 수평지지면(7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평지지면(74)은 수평으로 평평하게 가공된 부위로서 후크하우징(31)의 내측면과 접한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면(74)이 후크하우징(31)의 내측면에 지지되므로 후크부재(73)의 상방향 회동각도가 제한되어 도 3a에서와 같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a와 3b 및 3c는 상기 탄성후크의 동작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어(도 1의 14)가 인출부(도 1의 18)의 걸림로드(23)에 도달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측 및 하측의 후크부재(73)는 각각 스프링(30)에 의해 화살표 b방향으로 탄성지지 되어있고 수평지지면(74)이 후크하우징(31)의 저면과 접하여 있다. 또한 인출부(18)에 구비되어 있는 상하 걸림로드(23)는 상기 후크부재(73)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로 도어(14)를 인출부(도 1의 l8)측으로 회동시켜 도 3b에서와 같이 탄성후크(29)를 걸림로드(23)측으로 근접시키면, 후크부재(73)의 경사면(42)은 걸림로드(23)의 하부로 진입하며 걸림로드(23)에 의해 하부로 밀려 화살표 g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스프링(30)은 점점 압축되며 후크부재(73)의 수평지지면(74)은 후크하우징(31)의 저면으로부터 벌어지고 연결로드(32)는 화살표 d방향을 따라 하부로 이동함은 물론이다.
계속하여 상기 도어(14)를 인출부(18)측으로 완전히 가압하면 도 3c에서와 같이, 각 걸림로드(23)는 걸림홈(39) 내부로 삽입되고 그 순간 후크부재(73)는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회동하여 수평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걸림홈(39)내에 걸림로드(23)가 삽입되고 후크부재(73)가 수평을 유지하여 도어(14)와 인출부(18)의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 과정을 거쳐 인출부(18)에 도어(14)가 결합한 상태에서, 도어(14)를 인출부(18)로부터 다시 분리시키고자 하면, 상기 후크부재(73)의 선단부를 하부로 회동시켜 걸림로드(23)가 걸림홈(39)으로부터 수평으로 빠져나가는 경로를 확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연결로드(32)의 손잡이(33)를 하부로 이동시켜야 한다.
상기 손잡이(33)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연결로드(32)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연결핀(41)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후크부재(73)의 선단부는 하부로 회동하고, 그 상태로 도어(14)를 걸림로드(23)로부터 이격시키면 된다.
결국 상기 인출부(18)에 대해 도어(14)를 가압하면 도어(14)와 인출부(18)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33)를 하부로 이동시킨 상태로 인출부(18)와도어(14)를 이격시키면 분리가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에서의 케이스에 대한 도어의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케이스(12)의 양측 측벽(46,47)에는 제 1승강부재(54) 및 제 2승강부재(55)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승강부재(54)의 하측부에는 제 1회동후크(50)가 구비되고, 제 2승강부재(55)의 하측부에는 제 2회동후크(51)가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제 1승강부재(54) 및 제 2승강부재(55)는 동시에 승강하는 것으로서, 상승은 상기 고정후크(34) 또는 후술할 개방수단(58)에 의해 구현되고 하강은 자체의 자중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승강부재(54)는 일정두께를 갖는 평판형 부재이며, 케이스(12)의 측벽(46)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측부 및 중앙부에는 장공(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장공(61)의 내부에는 승강가이드핀(62)이 삽입된다. 상기 승강가이드핀(62)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46)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장공(61)에 삽입되어 제 1승강부재(54)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며, 제 1승강부재(54)를 수직으로 위치시킨다.
아울러 상기 승강가이드핀(62)이 장공(61)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각 승강가이드핀(62)은 와셔(도 6의 63)를 개재시킨 상태로 볼트(도 6의 70)와 결합되어, 제 1승강부재(54)가 와셔(63)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 1승강부재(54)의 상단부에는 아이들핀(69)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아이들핀(69)은 제 1승강부재(54)에 대해 회전이 가능한 원통형 핀으로서 상기 고정후크(34)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즉, 상기 아이들핀(69)은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승강부재(54)측으로 도어(14)가 근접하는 동안 고정후크(34)의 경사면(45)이 상기 아이들핀(69)을 상부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위치 지워 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승강부재(54)의 중앙부에는 도어(14)측으로 수평 연장된 후 하부로 절곡 형성된 승강후크(64)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승강후크(64)는 제 1승강부재(54)가 승강할 때 동시에 승강하는 것으로, 하부로 절곡된 선단 부위는 도어의 일측 걸이부재(36)에 삽입되는 삽입부(65)이다.
한편 상기 제 1승강부재(54)의 하단부에는 걸림면(6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면(68)은 제 1승강부재(54)의 하단에 마련한 하나의 걸림턱으로서 후술하는 스토퍼(도 5의 66)에 의해 걸려 제 1승강부재(54)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승강부재(54)의 하측부에 구비되는 제 1회동후크(50)는 그 중앙부가 제 1승강부재(54)에 연결핀(56)으로 연결되어 제 1승강부재(54)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제 1회동후크(50)의 선단부는 도어(14)측으로 연장된 후 하부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절곡부는 걸이부재(37)에 삽입되는 삽입부(53)이다. 또한 상기 제 1회동후크(50)의 후단부는 전동샤프트(49)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동샤프트(49)는 양단이 제 1회동후크(50) 및 제 2회동후크(51)에 각각 결합하며, 그 상태로 케이스의 후면벽(48)에 지지브라켓(71)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부재이다. 상기 전동샤프트(49)는 케이스(12) 내에서 수평으로 위치한다.
한편, 상기 제 2승강부재(55)는 케이스 내부의 타측 측벽(47)에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면(68)을 제외하면 제 1승강부재(54)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제 2승강부재(55)의 하측부에 구비되는 제 2회동후크(51)도 제 1회동후크(50)와 동일한 동작 및 기능을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전동샤프트(49)는 후면벽(48)에 수평으로 지지된 상태로 양단이 제 1회동후크(50) 및 제 2회동후크(51)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샤프트(49)는 제 1회동후크(50)가 화살표 m방향으로 회동하면 그 회동력을 제 2회동후크(51)에 전달하고 제 2회동후크(51)가 화살표 m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한다. 상기 제 2회동후크(51)가 화살표 m방향으로 회동하면 제 2승강부재(55)는 상부로 이동하고 삽입부(65)도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개방수단(58)은 제 1승강부재(54)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제 1승강부재(54)의 측부에 위치한다. 상기 개방수단(58)은 케이스(12)의 측벽(46)에 지지되며 내부에 열쇠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키삽입부(72)와, 상기 키삽입부(72)에 고정되어 키삽입부(72)의 회전에 의해 원운동하는 회전링크(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삽입부(72)는 원통의 형태를 가지며 키를 꼽아 돌리면 축회전한다.
상기 회전링크(59)의 단부는 제 1승강부재(54)에 핀(60) 연결된다. 따라서 결국 키삽입부(72)를 회전시키면 키삽입부(72)의 회전토오크는 상기 회전링크(59)에 전달되고 회전링크(59)에 핀(60) 연결되어 있는 제 1승강부재(54)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개방수단(58)의 하측부에는 잠금수단(57)이 설치된다. 상기 잠금수단(57)도 개방수단(58)과 마찬가지로 케이스(12)의 외부에서 열쇠에 의해 조작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잠금수단(57)은 걸림면(68)의 상부에서 회전하는 것으로서 스토퍼(도 5의 66)를 갖는다. 상기 잠금수단(57)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해 후술된다.
한편, 상기 양측의 승강후크(64)의 전방에는 걸이부재(36)가 위치하고, 제 1회동후크(50) 및 제 2회동후크(51)의 전방에는 다른 걸이부재(37)가 각각 위치하여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상기 잠금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잠금수단(57)은 키삽입부(67)와, 상기 키삽입부(67)와 연결되며 키삽입부(67)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스토퍼(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삽입부(67)는 측벽(46)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키삽입홈(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키삽입홈(미도시)은 외부에서 키를 꼽아 키삽입부(67)를 돌릴 수 있도록 마련한 것임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키삽입홈에 키를 꽂아 돌리면 돌리면 상기 스토퍼(66)가 화살표 p방향으로 원운동하며 걸림면(68)에 걸쳐진다. 이와같이 스토퍼(66)가 걸림면(68)위에 걸쳐지면 제 1승강부재(54)가 상부로 상승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이다.
도 6은 상기 도 4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케이스(12)의 일측벽(46)에 승강가이드핀(62)이 상하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승강가이드핀(62)은 제 1승강부재(54)에 형성된 장공(61)에 각각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가이드핀(62)은 제 1승강부재(54)의 자중에 의해 장공(61)의 상부에 위치하여 있다.
상기 각 승강가이드핀(62)의 단부에는 와셔(63) 및 볼트(70)가 구비된다. 상기 와셔(63)는 볼트(70)에 의해 승강가이드핀(62)측으로 지지되는 것으로, 제 1승강부재(54)가 승강가이드핀(6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승강부재(54)의 상단부에는 아이들핀(69)이 구비된다. 상기 아이들핀(69)은 제 1승강부재(54)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고 그 하부로 상기 고정후크(도 4의 34)가 진입하는 동안 상부로 밀려 제 1승강부재(54)를 전체적으로 상승시킨다.
도 7a,7b,7c,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의 케이스에 대한 도어의 결합 방식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제 1승강부재와 제 2승강부재는 동일한 동작을 하므로 본 도면에는 제 1승강부재 만을 도시하여 설명하였다.
도 7a는 도어(14)가 케이스 측으로 근접하여 도어(14)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후크(34)가 아이들핀(69)을 상부로 밀어 올리며 진행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후크(34)의 선단부에는 경사면(4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어(14)가 케이스에 근접함에 따라 상기 경사면(45)이 아이들핀(69)의 하부로 진입하며 하부로 쳐져 있는 제 1,2승강부재(54,55)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시한 바와같이, 잠금수단(57)은 개방되어 있고 개방수단(58)도 별다른 동작을 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후크(34)의 경사면(45)과 아이들핀(69)이 접하여 있는 한편 승강후크(64)의 전방에는 걸이부재(36)가 위치하고 제 1회동후크(50)의 전방에 하측의 걸이부재(37)가 위치하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제 2회동후크(도 4의 51)의 전방에도 걸이부재(37)가 위치할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 상태에서 도 7b와 같이 도어(14)를 케이스측으로 더욱 이동시키면 아이들핀(69)이 경사면(45)을 타고 수직으로 상승하여 제 1승강부재(54)를 상부로 상승시킨다. 상기 제 1승강부재(54)가 상승함에 따라 각 장공(61)내의 승강가이드핀(62)은 장공(61)에 대해 하부로 이동하며 제 1승강부재(54)의 수직이동을 가이드 한다.
또한 상기 제 1승강부재(54)가 상승함에 따라 승강후크(64)도 상승하고 제 1회동후크(50)도 화살표 s방향으로 회동하여 선단의 삽입부(53)가 상승한다. 이와동시에 걸이부재(36,37)는 승강후크(64)의 삽입부(65) 및 제 1회동후크(50)의 삽입부(53)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제 1승강부재(54)에 핀(60) 연결되어 있는 회전링크(59)도 회전함을 알 수 있다.
계속하여 도 7c에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스에 대해 도어(14)를 완전히 밀착하면 아이들핀(69)은 경사면(45)으로부터 걸림홈(35)으로 이동하여 걸림홈(35) 내부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제 1승강부재(54)가 하부로 이동한다. 제 1승강부재(54)가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승강후크(64)의 삽입부(65)는 걸이부재(36)내에 삽입되어 결합을 이루고, 제 1회동후크(50) 및 제 2회동후크(도 4의 51)의 삽입부(53)는 걸이부재(37)내에 각각 삽입된다.
결국 케이스에 대한 도어의 결합은 네 개의 걸이부재(36,37)와 양측의 고정후크(34)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모두 여섯 군데에서 록킹이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 단계를 거쳐 케이스에 대한 도어의 록킹이 일단 이루어지면, 도 7d에서와 같이 잠금수단(57)을 회전시켜 스토퍼(66)가 걸림면(68) 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잠금을 완료한다. 이 때 상기 스토퍼(66)와 키삽입부(67)는 걸림면(68) 상에서 수직으로 위치되도록 함이 좋다. 이러한 잠금수단(57)의 위치 조절은 임의의 보조스토퍼(미도시)를 마련하여 충분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걸림면(68) 위에 스토퍼(66)가 위치하게 되면 개방수단(58)의 회전링크(59)를 아무리 강하게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제 1승강부재(54)의 상방향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케이스에 도어가 닫혀 잠겨있는 상태에서 도어(14)를 다시 개방하기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잠금수단(57)의 키삽입부(67)에 개방용 열쇠(미도시)를 삽입하여 스토퍼(66)를 도 7d의 화살표 p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7c의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제 1승강부재(54)가 상승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
이와같이, 잠금수단(57)이 풀린 상태에서 개방수단(58)에 열쇠를 넣어 회전링크(59)를 도 7c의 화살표 r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열쇠의 회전토오크는회전링크(59)를 통하여 제 1승강부재(54)로 전달되고, 제 1승강부재(54)는 승강가이드핀(62)에 의해 가이드 되며 도 7b와 같이 상승한다. 이 때 상기 제 1승강부재(54)와 제 2승강부재(도 4의 55)는 동시에 승강함은 물론이다.
이는 제 1회동후크(50)와 제 2회동후크(51)의 후단부가 전동샤프트(도 4의 49)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능한 것이다. 즉, 제 1승강부재(54)가 상승하면 제 1회동후크(50)가 도 7b에서와 같이 회전하고, 제 1회동후크(50) 후단부의 전동샤프트(49)는 축회전하게 된다. 상기 전동샤프트(49)의 회전토오크는 제 2회동후크(51)로 전달되어 제 2회동후크(51)를 상부로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제 2승강부재(55)가 상승하는 것이다.
결국 상기 회전링크(59)의 회전에 의해 제 1승강부재(54) 및 제 2승강부재(55)의 상승이 이루어지고, 이와동시에 각 아이들핀(69)은 걸림홈(35)으로부터 빠지고 각 삽입부(53,65)도 각각의 걸이부재(37,36)로부터 빠진다. 이 상태에서 회전링크(59)를 회전시키는 열쇠를 놓으면 다시 7c의 상태로 돌아감은 물론이다.
여하튼 도 7b의 상태에서 도어(14)를 케이스로부터 이격시키고 회전링크(59)에 토오크를 전달하던 열쇠를 빼면, 도 7a와 같이 케이스(12)로부터 도어(14)가 완전히 분리되고 제 1,2승강부재(54,55)는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원위치된다.
결국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스(12)에 도어(14)를 결합시키기 위하여는 도어(14)를 먼저 인출부(18)와 결합시켜야 하고, 반대로 도어(14)를 인출부(18)로부터 개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어(14)를 케이스(12)로부터 분리하여야 한다.
아울러 상기 인출부(18) 및 케이스(12)에 대한 도어(14)의 결합은 도어(14)를 인출부(18) 및 케이스(12)측으로 단순히 가압하면 이루어진다. 이에 반해 인출부(18) 및 케이스(12)로부터 도어(14)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잠금수단(57)의 스토퍼(66)를 걸림면(68)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개방수단(58)의 회전링크(59)를 회전시켜야 하고 또한 손잡이(도 1의 33)에 외력을 가하여 연결로드(32)를 하부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부터 인출가능하며 각종 장치를 탑재할 수 있는 인출부와 상기 케이스를 밀폐하는 도어를 갖는 케이스에 있어서, 인출부에 대해 도어가 잠기고 또한 도어가 상기 인출부에 잠긴 상태로 케이스에 잠기도록 구성하여 이중잠금이 이루어지므로 아무나 케이스를 개방할 수 없어 그만큼 안전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내부에 공간부(16)를 가지며 일측부가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 케이스(12)와;
    상기 케이스(12)내의 상호 마주하는 측벽(46,47)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걸이수단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승강부와;
    상기 케이스(12)의 일측벽(46)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부와 연결되어 승강부를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개방수단(58)과;
    상기 케이스(12)의 일측벽(46)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부의 상방향 이동을 막는 잠금수단(57)과;
    상기 케이스(12)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슬라이딩운동을 통하여 케이스(12)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18)와;
    상기 인출부(18)에 힌지결합하여 회동운동을 통하여 인출부(18)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인출부(18)의 전면을 커버한 상태로 인출부(18)와 더불어 케이스(12)측으로 이동하여 케이스(12)를 밀폐시키는 것으로, 내측면에 상기 걸이수단과 결합을 이루는 걸림부가 마련된 도어(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일측벽(46)에 지지되며 케이스(12)내에서 수직으로 위치하는 제 1승강부재(54)와, 타측벽(47)에 지지되되 상기 제 1승강부재(54)와 상호 평행하며 제 1승강부재(54)와 동시에 승강하는 제 2승강부재(55)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이수단은 제 1,2승강부재(54.55)로부터 도어(14)측으로 각각 수평연장된 후 하부로 절곡 형성된 승강후크(64)이며,
    상기 각 승강후크(64)의 하부에는, 중앙부가 제 1,2승강부재(54,55)에핀(56)결합하여 제 1,2승강부재(54,55)에 대해 회전가능한 것으로 후단부는 케이스의 후면벽(48) 측으로 연장되고 선단부는 도어(14)측으로 연장된 후 하부로 절곡된 제 1,2회동후크(50,51)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2회동후크(50,51)의 후단부는 후면벽(48)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전동샤프트(49)의 양단에 각각 결합하여 제 1회동후크(50)의 회동토오크가 제 2회동후크(51)측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수단(58)은 케이스(12)의 외부에서 키를 꼽아 돌려 발생시킨 토오크를 제 1승강부재(54)의 수직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케이스(12)의 일측벽(46)에 고정되며 외부에서 케이스 내부로 키를 꼽을 수 있는 키홈이 형성되어 키를 꼽아 돌리면 축회전하는 키삽입부(72)와; 상기 키삽입부(72)에 고정되어 키삽입부(72)를 회전시킴에 따라 원운동하는 것으로 단부가 상기 제 1승강부재(54)와 핀(60)연결된 회전링크(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57)은 케이스(12)의 외부에서 키를 꼽아 돌려 발생시킨 회전력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제 1승강부재(54)의 상방향 이동을 막는 것으로, 제 1승강부재(54)가 상승하는 경로에 해당하는 케이스의 일측벽(46)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내부에는 키홈이 형성되어 있는 키삽입부(67)와; 상기 키삽입부(67)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키삽입부(67)의 회전에 의해 원운동하는 것으로 제 1승강부재(54)를 걸어 제 1승강부재(54)가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2)의 양측벽(46,47) 상부 및 하부에는 가이드레일(24)이 상호 평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인출부(18)는, 하측의 가이드레일(24)에 가이드되며 수평으로 슬라이딩운동하고 도어(14)의 회동시 도어(14)의 내측면과 접하는 하부평판(20)과; 상기 하부평판(20)과 평행하며 상측의 가이드레일(24)에 가이드되어 수평으로 슬라이딩운동하고 도어(14)의 회동시 도어(14)의 내측면과 접하는 상부평판(22)과; 상기 상부평판(22)과 하부평판(20)을 평행한 상태로 고정 지지하는 수직프레임(21)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평판(22,20)은 각각의 선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일정폭을 갖는 설치공간(26)을 가지며 각 설치공간(26)의 내부에는 걸림로드(23)가 수평으로 고정설치 되고,
    상기 도어(14)의 내측면에는 상기 각 걸림로드(23)에 걸려 결합을 이루는 탄성후크(29)와; 상기 상부 및 하부의 탄성후크(29)를 동시에 제어하여 상하의 걸림로드(23)에 각각 결합하고 있는 탄성후크(29)가 각 걸림로드(23)로부터 동시에 분리되도록 상하의 탄성후크(29)와 연결되는 연결로드(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후크(29)는, 상기 걸림로드(23)와 대응하는 위치의 도어 내측벽에 고정되는 후크하우징(31)과; 상기 후크하우징(31)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선단부에는 상기 걸림로드(23)에 근접시 걸림로드(23)에 의해 가압되는 경사면(42)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경사면(42)을 통과한 걸림로드(23)가 삽입되는 걸림홈(39)이 형성되어 있는 후크부재(73)와; 상기 후크부재(73)의 선단부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로드(32)는 상기 걸림홈(39)의 후방에 해당하는 부위의 후크부재(73)에 핀(41)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73)는 후단부가 상기 후크하우징(31)에 지지샤프트(40)에 의해 핀결합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지지샤프트(40)를 감싸며 일단이 후크하우징(31)의 내벽에 지지되고 타단이 후크부재(73)의 바닥면(44)을 선단부측으로 밀어 선단부를 상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승강부재(54,55)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제 1,2승강부재(54,55)에는 하나 이상의 장공(61)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2)의 양 내측벽(46,47)에는 상기 각 장공(61)내에 삽입되는 승강가이드핀(62)이 고정되고, 상기 제 1,2승강부재(54,55)의 상단부에는 아이들핀(69)이 수평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4)의 내측면에는, 도어가 케이스로 근접하는 동안 상기 아이들핀 (69)하부로 진입하며 아이들핀(69)을 상승시키는 경사면(45)과 상기 경사면(45)을 통과한 아이들핀(69)을 수용하는 걸림홈(35)을 갖는 고정후크(3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4)의 내측면에는, 상기 고정후크(34)의 경사면(45)이 아이들핀(69)을 상부로 이동시킴에 의해 상승한 제 1 및 제 2승강부재(54,55)의 승강후크(64) 및 제 1,2회동후크(50,51)의 삽입부(65,53)가 삽입되는 걸이부재(36,3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
KR10-2001-0016863A 2001-03-30 2001-03-30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 KR100385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863A KR100385490B1 (ko) 2001-03-30 2001-03-30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
EP02252343A EP1245765A1 (en) 2001-03-30 2002-03-28 Cabinet having double locking mechanism
US10/112,889 US20020140327A1 (en) 2001-03-30 2002-04-01 Cabinet having double locking mechanis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863A KR100385490B1 (ko) 2001-03-30 2001-03-30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757A KR20020076757A (ko) 2002-10-11
KR100385490B1 true KR100385490B1 (ko) 2003-05-27

Family

ID=1970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863A KR100385490B1 (ko) 2001-03-30 2001-03-30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20140327A1 (ko)
EP (1) EP1245765A1 (ko)
KR (1) KR1003854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800B1 (ko) * 2020-06-12 2020-07-30 (주)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국선과 구내선의 접속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6366B1 (en) 1999-10-26 2002-12-17 Rackable Systems, Llc High density computer equipment storage system
US7529097B2 (en) * 2004-05-07 2009-05-05 Rackable Systems, Inc. Rack mounted computer system
CN2886635Y (zh) * 2005-12-30 2007-04-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脑壳体
US20080100190A1 (en) * 2006-11-01 2008-05-01 Jui-Lien Yang Auto-returning track device
DE102007032578A1 (de) 2007-07-09 2009-01-15 Adc Gmbh Anschlussmodul für die Telekommunikations- und Datentechnik
DE102008011159A1 (de) * 2008-02-26 2009-08-27 Adc Gmbh Trägersystem zur Aufnahme von Komponenten der Telekommunikations- und Datentechnik
US20100027212A1 (en) * 2008-07-17 2010-02-04 Advanced Shielding Technologies Europe S.L. Environmental disaster data protection system
JP4745427B2 (ja) * 2009-07-14 2011-08-10 富士通株式会社 物品保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ラック装置
US9332842B2 (en) * 2012-03-28 2016-05-10 BIOMéRIEUX, INC. Sliding hinges and related methods and devices suitable for apparatus for automated evaluation of microorganism growth in test samples
US20150076978A1 (en) * 2013-09-16 2015-03-19 Jeffrey S. Ellingson Self-Draining Gasket for an Enclosure
EP3262261B1 (en) * 2015-02-26 2020-09-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door and suspension mechanism assembly and an assembly of an elongated housing and a door and suspension mechanism assembly
US10039211B2 (en) 2015-03-09 2018-07-31 Vapor IO Inc. Rack for computing equipment
US10117360B2 (en) 2015-03-09 2018-10-30 Vapor IO Inc. Out-of-band data center management via power bus
US10454772B2 (en) 2015-10-30 2019-10-22 Vapor IO Inc. Compact uninteruptable power supply
CN107412822B (zh) * 2017-04-28 2023-08-29 火星人厨具股份有限公司 一种改进结构的消毒柜
CN110284777A (zh) * 2019-06-12 2019-09-27 和信精密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用于机柜门的简易快拆锁
CN114245642B (zh) * 2021-12-21 2022-07-08 兰州工业学院 一种用于电子信息用的设备保护装置及其保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7461A (en) * 1967-07-17 1969-09-16 Us Navy Cabinet securing mechansim
US3764171A (en) * 1971-09-30 1973-10-09 Amerock Corp Latch for a trash compactor drawer or the like
EP0847120A3 (fr) * 1996-12-09 1999-02-17 Barat S.A. Armoire étanche pour le réseau urbain d'alimentation en énergie électrique et/ou électromagnétique
US6170928B1 (en) * 1998-06-29 2001-01-09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latch door for electrical cabinets
EP1001120B8 (de) * 1998-11-09 2005-09-28 KARL SIMON GmbH & Co. KG Verschluss
US6729701B2 (en) * 2001-06-29 2004-05-04 Justrite Manufacturing Company Llc Safety cabin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800B1 (ko) * 2020-06-12 2020-07-30 (주)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국선과 구내선의 접속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45765A1 (en) 2002-10-02
KR20020076757A (ko) 2002-10-11
US20020140327A1 (en) 200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5490B1 (ko) 이중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케이스
US6581332B1 (en) Remote controllable device for opening/closing of a window
EP0290208B1 (en) Hinged flange pole
RU98117136A (ru) Банковский автомат с увеличенным доступом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KR100704451B1 (ko) 문 자동개폐장치
KR20090096209A (ko) 전동 슬라이딩 압착 기밀문
KR100943890B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의 자동 및 수동 전환장치
KR101075216B1 (ko) 비상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
KR200216904Y1 (ko) 창문 개폐장치
CN112751272B (zh) 一种全自动超大电流切换开关
CN216121525U (zh) 一种低压开关柜的抽屉解锁机构
US6864444B2 (en) Locking device
CN106401448A (zh) 电动卷闸门自动防撬锁
KR100910157B1 (ko) 창문 자동 개폐장치용 랙의 높이조절장치
US4618177A (en) Automatic latching mechanism for overhead doors
KR100760617B1 (ko)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
JP4509814B2 (ja) 塵芥収集車の扉ロック装置
CN221429259U (zh) 网络安全机房用运维装置
CN220022092U (zh) 一种后上门与电缆室门联锁装置的开关柜
CN211309685U (zh) 一种垃圾桶的控制装置
KR102284723B1 (ko)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192549B1 (ko) 내부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
CN217307069U (zh) 一种具有自锁功能的开关柜活门
KR200204454Y1 (ko)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
KR200366084Y1 (ko) 완전매립형 컴퓨터용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