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706Y1 -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706Y1
KR200147706Y1 KR2019960033747U KR19960033747U KR200147706Y1 KR 200147706 Y1 KR200147706 Y1 KR 200147706Y1 KR 2019960033747 U KR2019960033747 U KR 2019960033747U KR 19960033747 U KR19960033747 U KR 19960033747U KR 200147706 Y1 KR200147706 Y1 KR 200147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nia
alarm
terminal
rear board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515U (ko
Inventor
경용현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2019960033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706Y1/ko
Publication of KR19980020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5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7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7Testing the correctness of wire connections in electric apparatus or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Cable)의 탈장 감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필요한 신호선의 추가없이도 케이블 탈장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한 데이지 체인(Daisy Chain)으로 후면보드간에 연결된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각 후면보드에 두 개씩의 탈장입력경보단자와 탈장출력경보단자가 필요하며 탈장이 발생해 양쪽의 후면보드에서 동시에 탈장이 감지되는 경우에 각각의 후면보드에 연결된 경보수집케이블을 통해 경보신호가 동시에 전달되어 경보수집케이블의 신호선 중에 일부를 탈장을 위해 배정해야 하므로, 여분의 경보신호선의 확보에 있어 불리하고 불필요한 경보신호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의해 경보수집을 위하여 각 후면보드의 탈장출력경보단자를 다음 후면보드의 탈장입력경보단자에 직접 접속하고 해당 탈장입력경보단자와 탈장단자를 접속하여 탈장단자로부터 탈장신호를 인가받아 확인하므로서 불필요한 신호선의 추가없이도 케이블 탈장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여분의 경보신호선의 확보에 유리하다.

Description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
본 고안은 케이블(Cable)의 탈장 감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필요한 신호선의 추가없이도 케이블 탈장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한 데이지 체인(Daisy Chain)으로 후면보드간에 연결된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지 체인 방식은 인터럽트 요구를 발생하는 장치가 많이 있을 경우에 요구 처리 회로를 직렬로 정렬시켜 CPU에서 가까운 것부터 우선 순위를 할당하여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방식, 또는 신호를 전송할 경우에 데이지 체인 신호를 요구하지 않는 장치에서 가끔 사용하고 있며, 버스상에서 해당 장치의 전기적인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장치의 우선 순위에 의해 실제로 요구하는 첫 번째의 장치는 필요한 작업을 하고 데이지 체인을 끊음으로써 응답하는 버스를 통해 전달하는 방법을 말한다.
그리고, 해당 데인지 체인 방식으로 동일한 신호선의 그룹이 여러 후면보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후면보드에 연결되는데, 이렇게 종래의 데이지 체인으로 후면보드간에 연결된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은 제1후면보드(11)와, 제2후면보드(12)와, 제3후면보드(13)와, 경보수집프로세서(14)로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해당 제1후면보드(11)는 출력경보단자(OALARM)와 입력경보단자(IALARM)와 두 개의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1, COFFIN2)와 두 개의 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1, COFFOUT2)를 구비하며, 케이블이 시작되고 출력경보신호를 인가하고 입력경보신호를 인가받는다.
해당 제2후면보드(12)는 해당 제1후면보드(11)의 출력경보단자(OALARM)와 입력경보단자(IALARM)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출력경보단자(OALARM)와 입력경보단자(IALARM), 해당 제1후면보드(11)의 제2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2)와 제2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2)에 교차되어 접속되어 있는 제1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1)와 제1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1), 제2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2)와 제2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2) 및 탈장단자(COFF)를 구비하며, 해당 제1후면보드(11)로부터 제1케이블(x)을 통해 출력경보신호를 인가받고 제2케이블(y)을 통해 인가되는 입력경보신호를 해당 제1후면보드(11)에 인가하고 탈장신호와 탈장입력경보신호를 인가한다.
해당 제3후면보드(13)는 해당 제2후면보드(12)의 출력경보단자(OALARM)와 입력경보단자(IALARM)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서로간에 접속되어 있는 출력경보단자(OALARM)와 입력경보단자(IALARM), 해당 제2후면보드(12)의 제2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2)와 제2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2)에 교차되어 접속되어 있는 제1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1)와 제1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1), 제2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2)와 제2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2) 및 탈장단자(COFF)를 구비하며, 마지막으로 연결되고 해당 제2후면보드(12)로부터 출력경보신호를 인가받고 입력경보신호를 해당 제2후면보드(12)에 인가하고 탈장신호와 탈장입력경보신호를 인가한다.
해당 경보수집프로세서(14)는 해당 제1후면보드(11)에 장착되어 있고 해당 제2와 제3후면보드(12, 13)의 탈장단자(COFF)와 제1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1)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해당 제1후면보드(11)로부터 입력경보신호를 인가받고 해당 제2와 제3후면보드(12, 13)로부터 탈장신호와 탈장입력경보신호를 각각 인가받아 탈장의 위치를 감지한다.
또한, 해당 제1과 제2케이블(x, y)에 포함된 신호 및 수는 출력경보신호, 입력경보신호, 탈장입력경보신호, 탈장출력경보신호 및 제1신호~제N신호(Signal1~SignalN)로 구성되며 해당 제1과 제2경보수집케이블(CABLE1, CABLE2)에 포함된 신호 및 수는 탈장신호와 제1경보신호~제M경보신호(Alarm1~AlarmM)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데이지 체인으로 후면보드간에 연결된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제1케이블(x)을 통한 제1후면보드(11)의 출력경보신호가 제2후면보드(12)를 거쳐서 제3후면보드(13)에 인가되고, 해당 제3후드보드(13)가 제2케이블(y)을 통한 출력경보단자(OALARM)와 입력경보단자(IALARM)를 접속하므로서, 해당 출력경보신호는 다시 해당 제2후면보드(12)를 거쳐서 해당 제1후면보드(11)로 인가되어 입력경보신호로 경보수집프로세서(14)에서 감지하게 된다.
또한, 해당 제1후면보드(11)에서의 제2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2)와 제2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2)가 해당 제1케이블(x)을 통하여 다음의 제2후면보드(12)의 제1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1)와 제1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1)에 교차되어 각각 연결되고 해당 제2후면보드(12)에서의 제2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2)와 제2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2)가 해당 제2케이블(y)을 통한 다음의 제3후면보드(13)의 제1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1)와 제1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1)에 교차되어 각각 연결되며, 해당 각각의 후면보드(11~13)에서의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1, COFFIN2)가 풀-엎(Pull-up) 처리가 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해당 각각의 후면보드(11~13)는 탈장입력경보신호를 감지하여 제1과 제2경보수집케이블(CABLE1, CABLE2)를 통해 해당 경보수집프로세서(14)로 연결된다.
그리고 또한, 해당 제1후면보드(11)는 출력경보단자(OALARM)를 그라운드 처리해 주어야 하고 해당 제3후면보드(13)는 스트랩(Strap)을 이용하여 출력경보단자(OALARM)와 입력경보단자(IALARM)를 연결시켜 주어야 하며, 해당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1,COFFIN2)는 각 후면보드에서 풀-엎 처리를 해 주어야 하나 마지막으로 연결된 해당 제3후면보드(13)에서는 출력경보단자(OALARM)와 입력경보단자(IALARM)가 연결된 부분에서의 제2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2)는 그라운드 처리한다. 그리고, 해당 제1과 제2경보수집 케이블(CABLE1, CABLE2)을 통한 해당 제2과 제3후면보드(12, 13)에서의 탈장단자(COFF)는 그라운드 처리되어야 한다.
한편, 만약 해당 후면보드(11~13)간의 어느 케이블인가가 탈장되어 데이지 체인으로 연결된 케이블의 일부가 끊어지게 되면, 해당 경보수집프로세서(14)는 `하이'레벨의 입력경보신호를 인가받게 되고, 해당 탈장입력경보신호가 `하이'레벨이 된 후면보드(11~13)에서는 해당 경보수집케이블(CABLE1, CABLE2)을 통해서 해당 경보수집프로세서(14)로 탈장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해당 제1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1)는 도 1에 도시된 파선으로 된 부분을 통하여 경보수집케이블(CABLE1, CABLE2)의 경보신호선으로 연결된다. 즉, 경보수집케이블(CABLE1, CABLE2)의 경보전용선 중 M 개의 경보신호(Alarm1~AlarmM) 중 하나의 경보신호에 연결되어 경보수집케이블(CABLE1, CABLE2)을 통해 해당 제1후면보드(11)로 인가되어 해당 경보수집프로세서(14)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경보수집을 위해서 각 후면보드에 두 개씩의 탈장입력경보단자와 탈장출력경보단자가 필요하며 탈장이 발생하여 양쪽의 후면보드에서 동시에 탈장이 감지되는 경우에 각각의 후면보드에 연결된 경보수집케이블을 통해 경보신호가 동시에 전달되어 경보수집케이블의 신호선 중에 일부를 탈장을 위해 배정해야 하므로, 여분의 경보신호선의 확보에 있어 불리하고 불필요한 경보신호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불필요한 신호선의 추가없이도 케이블 탈장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여분의 경보신호선의 확보에 유리하도록 한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있어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제1후면보드 22 : 제2후면보드
23 : 제3후면보드 24 : 경보수집프로세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지 체인으로 연결된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후면보드(21)와, 제2후면보드(22)와, 제3후면보드(23)와, 경보수집프로세서(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후면보드(21)는 그라운드 처리된 출력경보단자(OALARM1), 입력경보단자(IALARM1) 및 그라운드 처리된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1)와 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1)를 구비하며, 케이블이 시작되고 출력경보신호를 인가하고 입력경보신호를 인가받는다.
상기 제2후면보드(22)는 상기 제1후면보드(21)의 출력경보단자(OALARM1)와 입력경보단자(IALARM1)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출력경보단자(OALARM2)와 입력경보단자(IALARM2), 상기 제1후면보드(21)의 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1)에 접속되어 있는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2), 그라운드 처리된 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2) 및 해당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2)에 접속되어 있는 탈장단자(COFF1)를 구비하며, 상기 제1후면보드(21)로부터 제1케이블(x)을 통해 출력경보신호를 인가받고 제2케이블(y)을 통해 인가되는 입력경보신호를 상기 제1후면보드(21)에 인가하고 탈장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제3후면보드(23)는 상기 제2후면보드(22)의 출력경보단자(OALARM2)와 입력경보단자(IALARM2)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서로간에 접속되어 있는 출력경보단자(OALARM3)와 입력경보단자(IALARM3), 상기 제2후면보드(22)의 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2)에 접속되어 있는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3), 그라운드 처리된 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3) 및 해당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3)에 접속되어 있는 탈장단자(COFF2)를 구비하며, 케이블의 마지막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후면보드(22)로부터 출력경보신호를 인가받고 입력경보신호를 상기 제2후면보드(22)에 인가하고 탈장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경보수집프로세서(24)는 상기 제1후면보드(21)에 장착되어 있고 제1과 제2경보수집케이블(CABLE1, CABLE1)을 통해 상기 제2와 제3후면보드(22, 23)의 탈장단자(COFF)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후면보드(21)로부터 입력경보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제2후면보드(22)로부터 해당 제1경보수집케이블(CABLE1)과 상기 제3후면보드(23)로부터 해당 제2경보수집케이블(CABLE2)을 통해 탈장신호를 각각 인가받아 탈장의 위치를 감지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지 체인으로 연결된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데이지 체인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의 신호선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하여 케이블의 신호 수를 줄이고 경보수집케이블의 신호선을 다른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데, 해당 각 후면보드(21~23)의 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를 그라운드 처리하고 다음 후면보드의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에 연결하므로서, 제1과 제2케이블(x, y)의 탈장시에 입력경보신호를 경보수집프로세서(24)에서 감지하여 어느 후면보드간의 케이블의 탈장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고 다음으로 경보수집케이블(CABLE1, CABLE2)을 통한 탈장신호를 검색하므로서 탈장된 케이블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케이블(x)을 통한 제1후면보드(21)의 출력경보신호가 제2후면보드(22)를 거쳐서 제2케이블(y)을 통해 제3후면보드(23)에 인가되고, 해당 제3후드보드(23)가 출력경보단자(OALARM3)와 입력경보단자(IALARM3)를 접속하므로서, 해당 입력경보단자(IALARM3)로부터의 입력경보신호는 다시 해당 제2후면보드(22)를 거쳐서 해당 제1후면보드(21)로 인가되어 경보수집프로세서(14)에서 감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후면보드(21)에서의 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1)는 상기 제1케이블(x)을 통하여 다음의 제2후면보드(22)의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2)에 직접 연결되고 해당 제2후면보드(22)에서의 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2)도 역시 상기 제2케이블(y)을 통하여 다음의 제3후면보드(23)의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3)에 직접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후면보드(11~13)에서의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1, COFFIN2, COFFIN3)는 풀-엎 처리되고 해당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1)는 그라운드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제2와 제3후면보드(22, 23)의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2, COFFIN3)는 탈장단자(COFF1,COFF2)에 연결되어 제1과 제2경보수집케이블(CABLE1, CABLE2)을 통해서 해당 경보수집프로세서(14)로 탈장신호를 인가한다.
한편, 만약 상기 후면보드(21~23)간의 어느 케이블인가가 탈장되어 데이지 체인으로 연결된 케이블의 일부가 끊어지게 되면, 상기 경보수집프로세서(24)는 `하이'레벨의 입력경보신호를 인가받게 되고, 상기 탈장입력경보신호가 `하이'레벨이 된 후면보드에서는 상기 경보수집케이블(CABLE1, CABLE2)을 통해서 상기 경보수집프로세서(24)로 탈장신호를 인가하여 해당 케이블의 정확한 탈장 위치가 감지되게 된다.
예를 들어, 해당 제2케이블(y)이 탈장되면 제2경보수집케이블(CABLE2)를 통해 유출되는 탈장신호가 `하이'레벨로 해당 경보수집프로세서(24)에 인가되며, 만약 입력경보신호와 함께 인가되는 경우에는 제3후면보드(23)에 연결된 해당 제2케이블(y)이 탈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해 경보수집을 위하여 각 후면보드의 탈장출력경보단자를 다음 후면보드의 탈장입력경보단자에 직접 접속하고 해당 탈장입력경보단자와 탈장단자를 접속하여 탈장단자로부터 탈장신호를 인가받아 확인하므로서 불필요한 신호선의 추가없이도 케이블 탈장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여분의 경보신호선의 확보에 유리하다.

Claims (1)

  1. 데이지 체인으로 연결된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에 있어서, 그라운드 처리된 출력경보단자(OALARM1), 입력경보단자(IALARM1) 및 그라운드 처리된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1)와 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1)를 구비하며, 케이블이 시작되고 출력경보신호를 인가하고 입력경보신호를 인가받는 제1후면보드(21)와; 상기 제1후면보드(21)의 출력경보단자(OALARM1)와 입력경보단자(IALARM1)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출력경보단자(OALARM2)와 입력경보단자(IALARM2), 상기 제1후면보드(21)의 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1)에 접속되어 있는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2), 그라운드 처리된 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2) 및 해당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2)에 접속되어 있는 탈장단자(COFF1)를 구비하며, 상기 제1후면보드(21)로부터 제1케이블(x)을 통해 출력경보신호를 인가받고 제2케이블(y)을 통해 인가되는 입력경보신호를 상기 제1후면보드(21)에 인가하고 탈장신호를 인가하는 제2후면보드(22)와; 상기 제2후면보드(22)의 출력경보단자(OALARM2)와 입력경보단자(IALARM2)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서로간에 접속되어 있는 출력경보단자(OALARM3)와 입력경보단자(IALARM3), 상기 제2후면보드(22)의 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2)에 접속되어 있는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3), 그라운드 처리된 탈장출력경보단자(COFFOUT3) 및 해당 탈장입력경보단자(COFFIN3)에 접속되어 있는 탈장단자(COFF2)를 구비하며, 케이블의 마지막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후면보드(22)로부터 출력경보신호를 인가받고 입력경보신호를 상기 제2후면보드(22)에 인가하고 탈장신호를 인가하는 제3후면보드(23)와; 상기 제1후면보드(21)에 장착되어 있고 제1과 제2경보수집케이블(CABLE1, CABLE1)을 통해 상기 제2와 제3후면보드(22, 23)의 탈장단자(COFF)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후면보드(21)로부터 입력경보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제2후면보드(22)로부터 해당 제1경보수집케이블(CABLE1)과 상기 제3후면보드(23)로부터 해당 제2경보수집케이블(CABLE2)을 통해 탈장신호를 각각 인가받아 탈장의 위치를 감지하는 경보수집프로세서(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
KR2019960033747U 1996-10-14 1996-10-14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 KR200147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747U KR200147706Y1 (ko) 1996-10-14 1996-10-14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747U KR200147706Y1 (ko) 1996-10-14 1996-10-14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515U KR19980020515U (ko) 1998-07-15
KR200147706Y1 true KR200147706Y1 (ko) 1999-06-15

Family

ID=1946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747U KR200147706Y1 (ko) 1996-10-14 1996-10-14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7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515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8183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providing tone and intermittent link onto a cable to assist identifying the cable
KR200147706Y1 (ko) 케이블의 탈장감지시스템
US4692691A (en) Test system for keyboard interface circuit
US4092714A (en) Parallel command-status interface through multiplexed serial link
SU1115064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верки монтажа
JPH0785562B2 (ja) 通信装置間の障害検出方式
JP3247974B2 (ja) Cpu装置の動作確認方式
KR19980048984A (ko) 연결상태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는 신호케이블
JP2000171515A (ja) 接続診断回路
JPS62111543A (ja) 多重伝送制御装置
JP2898024B2 (ja) 入出力ターミナル
JPH11338594A (ja) 接触不良検出回路
JPH04288652A (ja) 伝送装置用回路
CA2073151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nternal faults i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by pipeline processing
JPH04137200A (ja) センサー出力信号読取装置
JPS62243053A (ja) バスシステム
JP2800765B2 (ja) 光バースト信号出力制御回路
JPH0611533A (ja) 複数の電子回路接続のフェールセーフ回路
JPH07122654B2 (ja) 電子回路の試験方法
KR960027833A (ko) 전전자 교환기의 패킷 통합시험장치 및 방법
JPH08115274A (ja) データ通信機能を備えた制御装置
JPH07129291A (ja) バス接続装置
JPH0466437B2 (ko)
JPS63126017A (ja) 装置間雑音抑止方式
JPH04317150A (ja) 入出力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