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052Y1 - 자동차용 볼 조인트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볼 조인트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052Y1
KR200142052Y1 KR2019950027682U KR19950027682U KR200142052Y1 KR 200142052 Y1 KR200142052 Y1 KR 200142052Y1 KR 2019950027682 U KR2019950027682 U KR 2019950027682U KR 19950027682 U KR19950027682 U KR 19950027682U KR 200142052 Y1 KR200142052 Y1 KR 200142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joint
connecting rod
bearing
case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7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8556U (ko
Inventor
김홍규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50027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052Y1/ko
Publication of KR9700185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85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0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85Manufacture of ball-joints and parts thereof, e.g. assembly of ball-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F16C11/0628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with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37/00Repair or repla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프런트 서스펜션이나 키 잡이용 드래그 링크의 이음매에 적용하는 볼 조인트(BALL-JOINT)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볼 조인트의 연결봉에 결합되는 베어링 외륜의 양측에 나선공을 형성하여, 상기 베어링의 내,외륜을 덮어 고정시키는 케이스의 양측으로 외륜과 접하는 부위에 나선공을 형성하고 연결봉이 결합하는 베어링의 외륜과 케이스를 분해 조립 가능하게 볼트로 체결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봉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너클과 볼트로 체결시켜 취부할 수 있게 하므로서 연결봉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베어링의 케이스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소착시 수리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볼 조인트의 기능과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볼 조인트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볼 조인트 취부구조
제1도는 종래의 볼 조인트 취부구조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볼 조인트 취부구조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너클 2 : 연결봉
3 : 결합공 4 : 너트
5 : 베어링 케이스 6 : 베어링
7, 7' : 나선공 8, 8' : 볼트
9 : 플랜지 61, 62 : 제1 및 제2결합부재
91 : 리브
본 고안은 자동차의 프런트 서스펜션이나 키 잡이용 드래그 링크의 이음매에 적용하는 볼 조인트(BALL-JOINT)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볼 조인트의 연결봉에 결합되는 베어링 외륜의 양측에 나선공을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의 내,외륜을 덮어 고정시키는 케이스의 양측으로 외륜과 접하는 부위에 나선공을 형성하고 연결봉이 결합하는 베어링의 외륜과 케이스를 분해 조립 가능하게 볼트로 체결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봉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너클과 볼트로 체결시켜 취부할 수 있게 하므로 서 연결봉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베어링의 케이스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소착시 수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자동차용 볼 조인트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독립식의 현가장치에서는 조향너클 등은 일반적으로 볼 조인트를 거쳐서 장치되어 있다.
예를들면 상기와 같은 볼 조인트 취부구조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향 너클(10)에 형성되는 결합공(30)에 연결봉(20)이 삽입되어 너트(40)로 고정되고 상기 연결봉(20)이 베어링 케이스(50)내부에 설치되는 베어링(60)에 압입식 또는 삽입식으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볼 조인트 취부구조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볼 조인트 취부구조 연결봉(20)이 너클(10)에 형성되는 결합공(30)에 결합되어 단순히 너트(40)로 체결 고정되므로서 연결봉(20)의 강성과 내구성이 저하되어 연결봉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베어링(60)이 베어링 케이스(50)내부에 압입 설치되어 분리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베어링(60)의 소착시 연결봉(20)과 베어링(60)의 분리 조립이 용이하지 않아 수리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볼 조인트의 기능과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져 자동차용 볼 조인트의 연결봉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감싸며 양측에 나선공이 형성된 제1결합부재 및 제2결합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재의 외부를 감싸는 케이스와 상기 제1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위치의 케이스의 양측에 나선공을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와 제1 및 제2결합부재를 분해 조립 가능하게 볼트로 체결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봉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너클과 볼트로 체결시켜 취부할 수 있게 하므로서 연결봉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베어링과 케이스를 용이하게 분해조립할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케이스와 제1 및 제2결합부재와 결합/분해를 용이하게 함으로서, 베어링의 소착시 수리 작업이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을 보면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차용 볼 조인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의 너클(1)에 형성되는 결합공(3)에 취부되는 연결봉(2)과 결합되며 제1결합부재(61)와 제2결합부재(62)로 분리되며 상기 제1결합부재(61) 양측에 나선공(7)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재(61)(62)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베어링 케이스(5)의 양측에 즉, 상기 제1결합부재(61)에 형성된 나선공(7)의 위치에 또 다른 나선공(7')을 형성하여 제1결합부재(61)와 베어링 케이스(5)를 볼트(8)와 너트(4)의 의해 분해 및 조립 가능하게 구성된다.
다음 상기 연결봉(2)에 리브(91)를 갖는 플랜지(9)를 형성하여 너클(1)과 볼트(8')로 체결시켜 취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지 연결봉(2)을 베어링(6)을 제1 및 제2결합부재(61)(62)사이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6)의 외측에 베어링 케이스(5)를 결합하여 상기 제1결합부재(61)와 베어링 케이스(5)에 형성되는 나선공(7)(7')으로 볼트(8)를 체결하여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재(61)(62)와 케이스(5)를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설치하고, 상기 연결봉(2)에 형성되어 플랜지(9)를 너클(1)에 볼크(8')로 체결하여 볼 조인트를 취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볼 조인트를 구성하는 베어링(6)과 케이스(5)를 볼트(8)로 체결 설치하여 분해 조립이 용이하게 되므로 베어링의 소착시 상기 케이스(5)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수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봉(2)에 리브(91)를 갖는 플랜지(9)가 일체로 형성되어 너클(1)에 볼트(8')로 체결하여 취부하므로서 상기 플랜지(9)에 리브(91)가 형성되어 연결봉(2)의 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볼 조인트의 연결봉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결합부재의 양측에 나선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재를 덮어 고정시키는 케이스의 양측으로 외륜과 접하는 부위에 나선공을 형성하여 제1 및 제2결합부재와 케이스의 분해/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연결봉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너클과 볼트로 체결시켜 취부할 수 있게 하므로서, 연결봉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베어링과 케이스를 용이하게 분해 조립할 수가 있다.
또 베어링의 소착시 수리 작업이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보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볼 조인트의 기능과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용 볼 조인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볼 조인트의 너클에 취부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제1 및 제2결합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며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베어링 케이스로 구성되어 분해/조립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볼 조인트 취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에 리브를 갖는 플랜지를 형성하여 너클과 볼트로 체결시켜 취부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볼 조인트 취부구조.
KR2019950027682U 1995-10-04 1995-10-04 자동차용 볼 조인트 취부구조 KR200142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682U KR200142052Y1 (ko) 1995-10-04 1995-10-04 자동차용 볼 조인트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682U KR200142052Y1 (ko) 1995-10-04 1995-10-04 자동차용 볼 조인트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556U KR970018556U (ko) 1997-05-26
KR200142052Y1 true KR200142052Y1 (ko) 1999-06-01

Family

ID=1942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7682U KR200142052Y1 (ko) 1995-10-04 1995-10-04 자동차용 볼 조인트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0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556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3801B1 (en) Hinged/split reinforced clam shell bushing
US4938448A (en) Mounting mechanism for a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compressor
KR860003948A (ko) 스티어링 너클 조립체
US20030053853A1 (en) Inner tie rod to relay rod fastening and adjustment system
KR200142052Y1 (ko) 자동차용 볼 조인트 취부구조
JP2008012971A (ja) 被取付部材の取付構造
KR10233639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US3967857A (en) Spindle for a vehicle wheel, provided with at least one ball joint
JPH0332419Y2 (ko)
JP2833173B2 (ja) メンバ構造
JP4211552B2 (ja) ブッシュ構造
KR200153097Y1 (ko) 자동차의 어퍼 현가 암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어퍼 암 축의 구조
KR100223472B1 (ko) 차량의 너클 조립체
KR200149128Y1 (ko) 차량용 프론트 범퍼의 사이드 스테이 고정구조
KR0166311B1 (ko) 자동차의 타이로드 연결구조
KR0166312B1 (ko) 자동차의 타이로드 연결구조
JPH0733976Y2 (ja) ステアリング機構の連結支持装置
KR200252714Y1 (ko) 자동차 덱크로스멤버 결합구조
KR100764165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마운팅 구조
JP2000108976A (ja) 防振バーハンドル
JP3063821B2 (ja) 車両のプロペラシャフト構造
KR0125220Y1 (ko) 자동차용 토크로드의 부쉬
KR19980020166A (ko) 자동차용 링크연결장치
KR19990009231A (ko)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베어링 지지구조
KR19980043719U (ko) 휠 하우스 부의 강성 보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