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231A -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베어링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베어링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231A
KR19990009231A KR1019970031563A KR19970031563A KR19990009231A KR 19990009231 A KR19990009231 A KR 19990009231A KR 1019970031563 A KR1019970031563 A KR 1019970031563A KR 19970031563 A KR19970031563 A KR 19970031563A KR 19990009231 A KR19990009231 A KR 19990009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bearing
propulsion shaft
bracket
support structure
bear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31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9231A/ko
Publication of KR19990009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231A/ko

Links

Landscapes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을 차체에 고정함과 아울러, 용이한 전, 후 추진축의 조립정렬을 위한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에 있어서, 센터 베어링 하우징의 하부에 양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를 갖는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 양단의 플랜지부를 차체에 볼트로써 고정하며, 상기 센터 베어링 하우징의 하단에 용접되어 상기 브라켓의 하단을 관통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및 이 볼트에 끼워지고 조임과 풀림으로써 센터 베어링 하우징과 브라켓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는 전, 후 추진축의 조립정렬을 너트의 조임과 풀림만으로 가능한 구조를 채용함과 아울러 센터 베어링을 지지하는 역할을 겸하는 구조로서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분할 방식의 추진축 조립 정렬을 위하여 센터 베어링 하우징에 볼트를 용접하고, 이 볼트에 너트를 체결함과 아울러 너트의 체결 정도를 조절하여 조립 정렬을 일치시키는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추진축의 길이가 긴 대형차에서는 고유 진동수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추진축을 2개, 또는 3개로 분할하고, 각 샤프트의 뒷부분을 센터 베어링으로 차체 하부에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추진축의 조립 정렬을 일치시키기 위해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차체 하부와 센터 베어링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의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은 차체, (2)는 추진축, (3)은 센터 베어링, (4)는 센터베어링 하우징, (5)는 브라켓, (6)은 스페이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추진축(2) 일단의 외주에 센터 베어링(3)이 설치되고, 이 센터 베어링(3)의 외주에는 상기한 센터 베어링 하우징(4)이 설치된다. 이 경우에, 상기한 센터 베어링 하우징(4)은 양측에 플랜지(51)가 구비된 브라켓(5)을 매개로 상기 차체에 볼트(52)로써 고정되며, 체결력을 높이기 위하여 센터 베어링 하우징(4)과 상기 브라켓(5)의 접촉부는 용접된다. 한편 전, 후 추진축의 조립정렬을 위하여 추진축(2)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브라켓(5)의 플랜지부(51)와 차체(1)의 하부사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스페이서(6)가 삽입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6)는 전, 후 추진축의 조립정렬 상태를 고려하여 그 설치 두께가 결정되고, 이에 의하여, 차체(1)와 센터 베어링 하우징(4)간의 높이도 결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에서는 전, 후 추진축의 조립정렬을 목적으로 차체와 센터 베어링 하우징간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차체의 하부와 브라켓의 플랜지부 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를 삽입하는데, 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반복적인 진동에 의하여 전, 후 추진축의 조립정렬 상태가 변화하고,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스페이서를 교환함으로써 차체와 센터 베어링 하우징간의 높이를 조절해야 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볼트의 체결을 해제하여 센터 베어링 하우징과 용접으로 일체화된 브라켓을 하방으로 끌어내리고 스페이서를 교환한 후 다시 역순으로 조립한 다음 전, 후 추진축의 조립정렬을 확인하는데, 이 과정에서 조립정렬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다시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등 작업성이 불량하고, 정확한 스페이서 두께를 쉽게 알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체와 센터 베어링 하우징간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전, 후 추진축의 조립정렬을 쉽게 이룰 수 있는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체. 2 : 추진축.
3 : 센터 베어링. 4 : 센터 베어링 하우징.
5 : 브라켓. 6 : 스페이서.
7 : 볼트. 8 : 너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을 차체에 고정함과 아울러, 용이한 전, 후 추진축의 조립정렬을 위한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에 있어서, 센터 베어링 하우징의 하부에 양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를 갖는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 양단의 플랜지부를 차체에 볼트로써 고정하며, 상기 센터 베어링 하우징의 하단에 용접되어 상기 브라켓의 하단을 관통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및 이 볼트에 끼워지고 조임과 풀림으로써 센터 베어링 하우징과 브라켓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는 전, 후추진축의 조립정렬이 상기한 너트의 조임과 풀림으로써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고, 작업공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은 차체. (2)는 추진축, (3)은 센터 베어링, (4)는 센터 베어링 하우징, (5)는 브라켓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의 하부를 지나는 추진축(2) 일단의 외주에 센터 베어링(3)이 설치되고, 이 센터 베어링(3)의 외주에 센터 베어링 하우징(4)이 설치된다. 한편, 양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51)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51)에 볼트공(53)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한 센터 베어링 하우징(4)과 소정간격을 이루는 브라켓(5)이 차체(1)에 볼트(52)로써 체결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5)의 하단을 관통하여 센터 베어링 하우징(4)의 하단에 용접되는 볼트(7)가 구비되며, 이 볼트(7)에 너트(8)가 끼워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너트(8)를 조이게 되면, 센터 베어링 하우징(4)은 브라켓(5)측으로 하향하게 되고, 따라서 센터 베어링 하우징(4)의 내부에 설치된 추진축(2) 또한 브라켓(5)측으로 하향된다. 한편, 너트(8)를 풀게되면 반대되는 작동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전, 후 추진축의 조립정렬을 보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센터 베어링 하우징(4)과 그 하부에 설치된 브라켓(5)의 높이를 너트(8)의 잠김과 풀림으로 조절 가능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 후 추진축의 조립정렬을 너트의 조임과 풀림만으로 가능한 구조를 채용함과 아울러 센터 베어링을 지지하는 역할을 겸하는 구조로서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을 차체에 고정함과 아울러, 용이한 전, 후 추진축의 조립정렬을 위한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에 있어서, 센터 베어링 하우징의 하부에 양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를 갖는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 양단의 플랜지부를 차체에 볼트로써 고정하며, 상기 센터 베어링 하우징의 하단에 용접되어 상기 브라켓의 하단을 관통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및 이 볼트에 끼워지고 조임과 풀림으로써 센터 베어링 하우징과 브라켓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지지구조.
KR1019970031563A 1997-07-08 1997-07-08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베어링 지지구조 KR19990009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563A KR19990009231A (ko) 1997-07-08 1997-07-08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베어링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563A KR19990009231A (ko) 1997-07-08 1997-07-08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베어링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231A true KR19990009231A (ko) 1999-02-05

Family

ID=6603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563A KR19990009231A (ko) 1997-07-08 1997-07-08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베어링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92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069B1 (ko) * 2008-12-02 2011-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추진축 센터베어링 높이 조절장치
KR101299368B1 (ko) * 2012-03-29 2013-08-26 현대제철 주식회사 구름 베어링 고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069B1 (ko) * 2008-12-02 2011-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추진축 센터베어링 높이 조절장치
KR101299368B1 (ko) * 2012-03-29 2013-08-26 현대제철 주식회사 구름 베어링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9231A (ko) 자동차 추진축의 센터베어링 지지구조
JPS6113698Y2 (ko)
KR100521160B1 (ko) 볼트 체결구조
JPH0849344A (ja) 梁の補強部材
JPH0872571A (ja) デフハウジングの駆動反力支持構造
KR200250461Y1 (ko) 자동차용브라켓트
JPH0849345A (ja) 梁の補強部材
KR0116021Y1 (ko) 자동차용 리어 콘솔 마운팅 장치
KR0138863Y1 (ko) 리어시트 사이드부 장착구조
JPH0260830A (ja) エンジンマウント装置
KR100527505B1 (ko) 차량용 리어 액슬 조립 구조
KR100483121B1 (ko) 변속기 마운팅 브래킷의 보강 부착구조
JPH1035239A (ja) スタビライザ支持構造
KR100293779B1 (ko) 프론트 서브프레임과 로워암의 장착구조
KR200376841Y1 (ko) 차량의 바디업 용 스페이서
KR19980049043A (ko) 서브프레임과 로어암의 장착구조
KR19980077908A (ko) 트랜스미션 마운팅 장치
KR19980027232A (ko) 카울 크로스 멤버 마운팅부 구조
JP2006192976A (ja) ステアリングメンバ取付部構造
KR19980047600A (ko) 철제 범퍼를 갖는 화물차량의 등화 관제등 조립구조
KR19980060255U (ko) 자동차용 엔진의 엔진 브라켓
JPH0338443A (ja) 自動車用バンパの取付構造
KR19980043911A (ko) 크로스 멤버 장착구조
KR19980052780U (ko) 자동차 액슬멤버마운팅구조
KR19980049059U (ko) 센터루프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