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393B1 -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393B1
KR102336393B1 KR1020170032396A KR20170032396A KR102336393B1 KR 102336393 B1 KR102336393 B1 KR 102336393B1 KR 1020170032396 A KR1020170032396 A KR 1020170032396A KR 20170032396 A KR20170032396 A KR 20170032396A KR 102336393 B1 KR102336393 B1 KR 102336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uckle
bracket
assembly end
suspens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5764A (ko
Inventor
임동민
이재길
이규완
알란 하셀트 패트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2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393B1/ko
Priority to US15/717,778 priority patent/US10518805B2/en
Priority to CN201710979006.1A priority patent/CN108622192B/zh
Publication of KR20180105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47Hubs characterised by functional integration of other elements
    • B60B27/0063Hubs characterised by functional integration of other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brake caliper mou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0Links, e.g. trac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1Hubs with roller-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2Hubs adapted to be rotatably arranged on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4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steer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9Damper mount on wheel suspension or kn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8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unsprung part of the vehicle, e.g. wheel knuckle or rigid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61Adjustable during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50Constructional features of wheel supports or knuckles, e.g. steering knuckles, spindle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1Assembly proced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60Load
    • B60G2400/64Wheel forces, e.g. on hub, spindle or b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너클에 연결되는 현가장치 구성품 중 일부 변경시 변경된 구성품에 해당하는 포인트만을 변경 가능함으로써 부분별로 재질을 달리하여 중량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너클을 전체적으로 재설계할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KNUCKLE APPARATUS OF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너클에 연결되는 현가장치 구성품을 자유롭게 변경 가능한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시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현가장치가 구비된다.
한편, 동력전달, 차량의 제동, 하중 지지의 역할을 수행하는 차량의 너클은 드라이브샤프트가 연결되는 허브베어링이 구비되고 로워암, 타이로드, 브레이크 캘리퍼 등을 장착하기 위한 연결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기존의 너클의 경우 로워암, 타이로드, 브레이크 캘리퍼 등을 장착하기 위한 연결부가 하나의 물건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서스펜션 지오메트리 또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변경과 같이 부품 변경이 필요한 경우 그에 맞는 너클이 새로 설계되어 제작되어야 한다.
아울러, 너클이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됨에 따라 하나의 재질로만 적용되어야 함으로써 부분별로 재질을 다르게 할 수 있는 상황에서도 동일 재질을 적용해야 하므로 중량 및 재료 측면에서 불리하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2007-0050183 A (2007.05.1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너클에 연결되는 현가장치 구성품 중 일부가 변경시 변경된 구성품에 해당하는 포인트만을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부분별로 재질을 다르게 하여 중량을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너클을 전체적으로 재설계할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는 중앙에 조립단부가 돌출되어 연장된 베어링 유닛; 및 현가장치 구성품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브라켓은 조립단부에 관통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너클 유닛;을 포함한다.
베어링 유닛은, 중앙에 조립단부가 돌출되어 연장된 휠 허브; 및 휠 허브의 조립단부 내부에 마련되는 휠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휠 허브는 중앙에 조립단부가 돌출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플랜지에는 조립단부를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함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어링 유닛은 조립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조립단부의 연장된 끝단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조립단부에 관통 결합된 너클 유닛을 고정하는 락킹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립단부의 끝단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다수의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락킹링의 내주면에는 끼움돌기에 대응되는 다수의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락킹링에는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함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가장치 구성품은 로워암, 쇽업소버로 구성되고, 너클 유닛은 로워암이 연결되는 제1브라켓과 쇽업소버가 연결되는 제2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브라켓은 조립단부가 관통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몸체와 제1몸체에서 연장되어 로워암이 연결되는 제1장착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브라켓의 제1몸체에는 제1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함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브라켓은 조립단부가 관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제2몸체와 제2몸체에서 연장되어 쇽업소버가 연결되는 제2장착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브라켓의 제2몸체에는 제2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함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가장치 구성품은 타이로드를 더 포함하고, 너클 유닛은 타이로드가 연결되는 제3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제3브라켓은 조립단부가 관통되는 제3관통홀이 형성된 제3몸체와 제3몸체에서 연장되어 타이로드가 연결되는 제3장착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브라켓의 제3몸체에는 제3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함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가장치 구성품은 브레이크 캘리퍼를 더 포함하고, 너클 유닛은 브레이크 캘리퍼가 연결되는 제4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제4브라켓은 브레이크 캘리퍼가 관통되는 제4관통홀이 형성된 제4몸체와 제4몸체에서 연장되어 브레이크 캘리퍼가 연결되는 제4장착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브라켓의 제4몸체에는 제4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함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너클 유닛의 복수개의 브라켓은 조립단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장볼트가 체결되고 복수개의 브라켓이 일체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에 따르면, 너클에 연결되는 현가장치 구성품 중 일부 변경시 변경된 구성품에 해당하는 포인트만을 변경 가능함으로써 부분별로 재질을 달리하여 중량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너클을 전체적으로 재설계할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제작 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의 조립도.
도 4 내지 9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의 조립도이고, 도 4 내지 9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조립단부(122)가 돌출되어 연장된 베어링 유닛(100); 및 현가장치 구성품(300)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브라켓은 조립단부(122)에 관통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너클 유닛(20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베어링 유닛(100)과, 너클 유닛(2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베어링 유닛(100)에는 내부에 휠 베어링(140)이 구비되며 휠이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볼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 유닛(100)에는 조립단부(122)가 돌출 형성되고 너클 유닛(200)을 이루는 복수개의 브라켓이 조립단부(122)에 순차적으로 관통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너클 유닛(200)의 경우 복수개의 브라켓으로 구성되는데, 이 브라켓은 각기 다른 현가장치 구성품(300)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일례로, 너클에 연결되는 현가장치의 구성품이 로워암(320), 쇽업소버(340), 타이로드(360)일 경우 로워암(320)에 연결되게 형성된 브라켓, 쇽업소버(340)에 연결되게 형성된 브라켓, 타이로드(360)에 연결되게 형성된 브라켓이 각각 구비되며, 이러한 각기 다른 브라켓들이 베어링 유닛(100)의 조립단부(122)에 관통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너클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로워암(320), 쇽업소버(340), 타이로드(360)는 전달되는 충격이 서로 상이한바, 각 브라켓의 강도를 상이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강도를 상이하게 설정함에 따른 재질 변화에 의해 중량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현가장치 구성품(300)을 이루는 로워암(320), 쇽업소버(340), 타이로드(360) 중 어느 하나의 사양이 변경되더라도, 그에 해당하는 브라켓만 변경된 사양에 적합한 브라켓으로 변경해줌으로써 부품 변경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에 너클 전체를 변경해야 했던 문제를 변경 포인트만 변경 가능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유닛(100)은, 중앙에 조립단부(122)가 돌출되어 연장된 휠 허브(120); 및 휠 허브(120)의 조립단부(122) 내부에 마련되는 휠 베어링(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어링 유닛(100)은 조립단부(122)가 형성된 휠 허브(120)와 휠 허브(120) 내부에 마련되는 휠 베어링(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휠 베어링(140)은 외륜, 볼 또는 롤러, 내륜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휠 베어링(140)이 휠 허브(120) 내부에 마련됨은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것인바, 그 구체적인 연결구조는 설명하지 않는다.
단, 베어링 유닛(100)의 휠 허브(120)에는 조립단부(122)가 연장되게 형성되며, 조립단부(122)는 휠 허브(120)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조립단부(122)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너클 유닛(200)을 이루는 복수개의 브라켓이 관통 연결될 수 있도록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 유닛(10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단부(122)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조립단부(122)의 연장된 끝단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조립단부(122)에 관통 결합된 너클 유닛(200)을 고정하는 락킹링(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락킹링(160)은 조립단부(122)를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조립단부(122)에 끼움 결합되게 형성되어 조립단부(122)에 관통 결합된 너클 유닛(200)이 조립단부(12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여기서, 조립단부(122)의 끝단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다수의 끼움돌기(122a)가 돌출 형성되고, 락킹링(160)의 내주면에는 끼움돌기(122a)에 대응되는 다수의 끼움홈(16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조립단부(122)의 외주면에 끼움돌기(122a)를 형성하고 락킹링(160)의 내주면에 끼움홈(160a)을 형성해줌으로써, 더 강한 고정력으로 락킹링(160)이 조립단부(122)에 체결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휠 허브(120)는 중앙에 조립단부(122)가 돌출된 플랜지(124)가 형성되고, 플랜지(124)에는 조립단부(122)를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함몰홈(12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락킹링(160)에는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함몰홈(16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휠 허브(120)의 플랜지(124)에 형성되는 함몰홈(126)과 락킹링(160)에 형성되는 함몰홈(126)은 중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너클의 전체 중량 감소시 차량의 주행 및 조향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되는바, 휠 허브(120)와 락킹링(160)에는 함몰홈(164)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휠 허브(120)와 락킹링(160)의 중량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가장치 구성품(300)은 로워암(320), 쇽업소버(340)로 구성되고, 너클 유닛(200)은 로워암(320)이 연결되는 제1브라켓(220)과 쇽업소버(340)가 연결되는 제2브라켓(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너클에 연결되는 현가장치 구성품(300)으로, 로워암(320)과 쇽업소버(3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로워암(320)과 쇽업소버(340)가 연결될 경우 너클 유닛(200)은 로워암(320)이 연결되는 제1브라켓(220)과 쇽업소버(340)가 연결되는 제2브라켓(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브라켓(220)과 제2브라켓(240)이 베어링 유닛(100)에 조립된 상태에서, 제1브라켓(220)을 통해 로워암(320)이 연결되고 제2브라켓(240)을 통해 쇽업소버(340)가 연결됨으로써 너클에 현가장치 구성품(300)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제1브라켓(220)는 조립단부(122)가 관통되는 제1관통홀(224)이 형성된 제1몸체(222)와 제1몸체(222)에서 연장되어 로워암(320)이 연결되는 제1장착단부(22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브라켓(220)은 제1몸체(222)의 중앙에 제1관통홀(224)이 형성되어 조립단부(122)가 관통 연결되고 제1몸체(222)에서 제1장착단부(226)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로워암(320)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제1장착단부(226)의 경우 좌륜 또는 우륜에 적용되는 로워암(320)에 따라 제1몸체(222)에서 연장되는 방향이 다르게 설계될 수 있으며, 제1장착단부(226)의 연장된 끝단에는 로워암(320)이 볼조인트를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너클 브라켓에 로워암(320)이 볼조인트 연결되는 구조는 일반적인 것인바, 구체적인 설명과 도면은 도식하지 않았다.
특히, 제1브라켓(220)의 제1몸체(222)에는 제1관통홀(224)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함몰홈(22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1브라켓(220)의 제1몸체(222)에는 다수의 함몰홈(228)이 형성됨으로써 제1브라켓(220)의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물론, 함몰홈(228)은 다수개로 분할하여 형성하지 않고 제1몸체(22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1브라켓(220)의 강도 및 볼트 체결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제2브라켓(240)은 조립단부(122)가 관통되는 제2관통홀(244)이 형성된 제2몸체(242)와 제2몸체(242)에서 연장되어 쇽업소버(340)가 연결되는 제2장착단부(24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2브라켓(240)은 제2몸체(242)의 중앙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어 조립단부(122)가 관통 연결되고 제2몸체(242)에서 제2장착단부(246)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쇽업소버(340)가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장착단부(246)의 경우 좌륜 또는 우륜에 적용되는 쇽업소버(340)에 따라 제2몸체(242)에서 연장되는 방향이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장착단부(246)의 연장된 끝단에는 쇽업소버(34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장착단부(246)와 쇽업소버(340)의 연결시 별도의 브라켓을 통해 볼팅 체결될 수 있으며, 너클에 쇽업소버(340)가 체결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통상적인 기술인바 상세하게 도식하지 않았다.
특히, 제2브라켓(240)의 제2몸체(242)에는 제2관통홀(244)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함몰홈(24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2브라켓(240)의 제2몸체(242)에는 다수의 함몰홈(248)이 형성됨으로써 제2브라켓(240)의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물론, 함몰홈(228)은 다수개로 분할하여 형성하지 않고 제2몸체(24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2브라켓(240)의 강도 및 볼트 체결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가장치 구성품(300)은 타이로드(360)를 더 포함하고, 너클 유닛(200)은 타이로드(360)가 연결되는 제3브라켓(260)을 더 포함하며, 제3브라켓(260)은 조립단부(122)가 관통되는 제3관통홀(264)이 형성된 제3몸체(262)와 제3몸체(262)에서 연장되어 타이로드(360)가 연결되는 제3장착단부(26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너클에 연결되는 현가장치 구성품(300)으로, 타이로드(360)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타이로드(360)는 제3브라켓(260)에 연결되어 제1브라켓(220) 및 제2브라켓(240)과 함께 베어링 유닛(100)에 조립됨에 따라 너클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제3브라켓(260)에는 제3관통홀(264)과 제3장착단부(266)가 형성된 제3몸체(262)로 이루어지며, 제3장착단부(266)에는 타이로드(360)가 연결된다. 여기서, 제3브라켓(260)의 제3장착단부(266)는 좌륜 또는 우륜에 따른 타이로드(360)가 연결됨에 따라 제3몸체(262)에서 연장되는 방향이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3장착단부(266)의 연장된 끝단에는 타이로드(360)와 볼조인트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볼조인트 연결을 위한 구조는 너클에 타이로드(360)를 연결하는 통상의 구조를 적용 가능한바, 그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특히, 제3브라켓(260)의 제3몸체(262)에는 제3관통홀(264)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함몰홈(26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3브라켓(260)의 제3몸체(262)에는 다수의 함몰홈(228)이 형성됨으로써 제3브라켓(260)의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물론, 함몰홈(228)은 다수개로 분할하여 형성하지 않고 제3몸체(26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3브라켓(260)의 강도 및 볼트 체결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가장치 구성품(300)은 브레이크 캘리퍼(380)를 더 포함하고, 너클 유닛(200)은 브레이크 캘리퍼(380)가 연결되는 제4브라켓(280)을 더 포함하며, 제4브라켓(280)은 브레이크 캘리퍼(380)가 관통되는 제4관통홀(284)이 형성된 제4몸체(282)와 제4몸체(282)에서 연장되어 브레이크 캘리퍼(380)가 연결되는 제4장착단부(28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너클에 연결되는 현가장치 구성품(300)으로, 브레이크 캘리퍼(380)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브레이크 캘리퍼(380)는 제4브라켓(280)에 연결되어 다른 브라켓들과 함께 베어링 유닛(100)에 조립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제4브라켓(280)에는 제4관통홀(284)과 제4장착단부(286)가 형성된 제4몸체(282)로 이루어지며, 제4장착단부(286)에는 브레이크 캘리퍼(380)가 연결된다. 여기서, 제4장착단부(286)가 제4몸체(282)에서 연장되는 방향은 브레이크 캘리퍼(380)의 설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캘리퍼(380)의 견고한 고정 및 위치 고정을 위해, 제4장착단부(286)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제4몸체(282)에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브레이크 캘리퍼(380)와 볼팅 체결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4브라켓(280)의 제4몸체(282)에는 제4관통홀(284)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함몰홈(28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4브라켓(280)의 제4몸체(282)에는 다수의 함몰홈(288)이 형성됨으로써 제4브라켓(280)의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물론, 함몰홈(288)은 다수개로 분할하여 형성하기 않고 제4몸체(28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4브라켓(280)의 강도 및 볼트 체결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클 유닛(200)의 복수개의 브라켓은 조립단부(122)가 연장된 방향으로 장볼트(B)가 체결되고 복수개의 브라켓이 일체로 체결될 수 있다.
이렇게, 너클 유닛(200)의 복수개의 브라켓은 베어링 유닛(100)의 조립단부(122)에 관통 결합된 상태에서 장볼트를 통해 위치가 고정되게 설치됨으로써 베어링 유닛(100)과 너클 유닛(200)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각각의 브라켓에 형성되는 함몰홈은 상호 대향하는 브라켓의 일면에는 함몰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타면에는 함몰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게 하여, 각 브라켓을 조립단부에 결합시 브라켓 간에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하고 견고한 고정력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브라켓은 조립단부에 삽입되는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설계에 따라 적절히 위치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에 따르면, 너클에 연결되는 현가장치 구성품(300) 중 일부 변경시 변경된 구성품에 해당하는 포인트만을 변경 가능함으로써 부분별로 재질을 달리하여 중량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너클을 전체적으로 재설계할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제작 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베어링 유닛 120:휠 허브
122:조립단부 124:플랜지
126:함몰홈 140:휠 베어링
160:락킹링 200:너클 유닛
220:제1브라켓 222:제1몸체
224:제1관통홀 226:제1장착단부
240:제2브라켓 242:제2몸체
244:제2관통홀 246:제2장착단부
260:제3브라켓 262:제3몸체
264:제3관통홀 266:제3장착단부
280:제4브라켓 282:제4몸체
284:제4관통홀 286:제4장착단부
300:현가장치 구성품 320:로워암
340:쇽업소버 360:타이로드
380:브레이크 캘리퍼

Claims (16)

  1. 중앙에 조립단부가 돌출되어 연장된 베어링 유닛;
    현가장치 구성품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브라켓은 조립단부에 관통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너클 유닛;을 포함하며,
    베어링 유닛은 조립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조립단부의 연장된 끝단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조립단부에 관통 결합된 너클 유닛을 고정하는 락킹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어링 유닛은, 중앙에 조립단부가 돌출되어 연장된 휠 허브; 및
    휠 허브의 조립단부 내부에 마련되는 휠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휠 허브는 중앙에 조립단부가 돌출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플랜지에는 조립단부를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함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조립단부의 끝단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다수의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락킹링의 내주면에는 끼움돌기에 대응되는 다수의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락킹링에는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함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현가장치 구성품은 로워암, 쇽업소버로 구성되고,
    너클 유닛은 로워암이 연결되는 제1브라켓과 쇽업소버가 연결되는 제2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1브라켓은 조립단부가 관통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몸체와 제1몸체에서 연장되어 로워암이 연결되는 제1장착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브라켓의 제1몸체에는 제1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함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제2브라켓은 조립단부가 관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제2몸체와 제2몸체에서 연장되어 쇽업소버가 연결되는 제2장착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2브라켓의 제2몸체에는 제2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함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12. 청구항 7에 있어서,
    현가장치 구성품은 타이로드를 더 포함하고,
    너클 유닛은 타이로드가 연결되는 제3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제3브라켓은 조립단부가 관통되는 제3관통홀이 형성된 제3몸체와 제3몸체에서 연장되어 타이로드가 연결되는 제3장착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3브라켓의 제3몸체에는 제3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함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14. 청구항 7에 있어서,
    현가장치 구성품은 브레이크 캘리퍼를 더 포함하고,
    너클 유닛은 브레이크 캘리퍼가 연결되는 제4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제4브라켓은 브레이크 캘리퍼가 관통되는 제4관통홀이 형성된 제4몸체와 제4몸체에서 연장되어 브레이크 캘리퍼가 연결되는 제4장착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제4브라켓의 제4몸체에는 제4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함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너클 유닛의 복수개의 브라켓은 조립단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장볼트가 체결되고 복수개의 브라켓이 일체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KR1020170032396A 2017-03-15 2017-03-15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KR102336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396A KR102336393B1 (ko) 2017-03-15 2017-03-15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US15/717,778 US10518805B2 (en) 2017-03-15 2017-09-27 Knuckle apparatus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
CN201710979006.1A CN108622192B (zh) 2017-03-15 2017-10-19 用于车辆悬架系统的转向节机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396A KR102336393B1 (ko) 2017-03-15 2017-03-15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764A KR20180105764A (ko) 2018-10-01
KR102336393B1 true KR102336393B1 (ko) 2021-12-08

Family

ID=6352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396A KR102336393B1 (ko) 2017-03-15 2017-03-15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18805B2 (ko)
KR (1) KR102336393B1 (ko)
CN (1) CN1086221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715B1 (ko) * 2018-12-28 2020-04-1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우측 호환 가능형 조향 너클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8566A (ja) 2001-08-03 2003-02-18 Koyo Seiko Co Ltd 車両用軸受装置の支持体
JP2006057677A (ja) * 2004-08-18 2006-03-02 Nissin Kogyo Co Ltd ベアリングの支持構造
KR100779351B1 (ko) 2006-12-26 2007-11-23 위아 주식회사 차량용 프레스타입 스티어링 너클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8480A (en) * 1970-10-13 1975-09-30 Dayton Walther Corp Interlocking knuckle assembly
US3852872A (en) * 1972-10-13 1974-12-10 Dayton Walther Corp Method of making a knuckle assembly
US3940159A (en) * 1974-10-31 1976-02-24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Steering knuckle assembly
IT8352875V0 (it) * 1983-01-26 1983-01-26 Riv Officine Di Villar Perosa Cuscinetto di supporto per una ruota di un veicolo
US4722540A (en) * 1984-11-13 1988-02-02 The Budd Company Steering knuckle assembly
US5120150A (en) * 1990-09-07 1992-06-09 The Budd Company Stamped steering knuckle for mounting suspension components
JPH08324450A (ja) * 1995-06-05 1996-12-10 Honda Motor Co Ltd アルミニウム押出材製自動車用ナック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9533315C1 (de) * 1995-09-08 1996-11-28 Lucas Ind Plc Achsschenkel in Verbundbauweise
DE19538212A1 (de) * 1995-10-13 1997-04-17 Lucas Ind Plc Achsbaugruppe
IT1292328B1 (it) * 1997-05-23 1999-01-29 Skf Ind Spa Procedimento per il montaggio di un gruppo cuscinetto-mozzo nel montante della sospensione di un autoveicolo.
US6138357A (en) * 1997-12-08 2000-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king knuckle assembly
US6179308B1 (en) * 2000-02-07 2001-01-30 General Motors Corporation Wheel end assembly for four wheel steer vehicle
EP1512610B1 (de) * 2003-09-05 2007-12-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 subsidary of Ford Motor Company Schwenklager für ein Fahrzeug
JP4186897B2 (ja) * 2004-09-15 2008-11-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793698B1 (ko) 2005-11-10 2008-01-11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의 너클
JP2007330281A (ja) * 2006-06-12 2007-12-27 Toyo Seat Co Ltd 車両シート用ナックル装置
KR20090115601A (ko) 2008-05-02 2009-11-05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차량의 허브 베어링 결합 구조
JP2010047043A (ja) 2008-08-19 2010-03-04 Ntn Corp 駆動輪用軸受装置、およびこの軸受装置を備えたアクスルユニット
CN102216096B (zh) * 2008-09-26 2013-09-25 M.B.格瑞德V/迈尔斯B.格瑞德公司 车辆悬架
KR20100048382A (ko) 2008-10-31 2010-05-1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휠엔드 구조
KR20120008877A (ko) * 2010-07-20 2012-0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101765953B1 (ko) * 2011-12-07 2017-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너클구조
KR20130087848A (ko) 2012-01-30 2013-08-07 주식회사 일진베어링 차축 조립체 및 차축 조립체 결합 방법
FR3004993B1 (fr) * 2013-04-29 2015-05-0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orte-moyeu pour une rou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tranches de profiles extrudes
CN103569199B (zh) * 2013-11-21 2016-01-20 湖北航天技术研究院特种车辆技术中心 一种气制动车轮用转向节总成
KR101549915B1 (ko) * 2013-12-04 2015-09-04 주식회사 일진 차량의 너클 및 그 제조방법
CN204222565U (zh) * 2014-10-30 2015-03-25 方盛车桥(苏州)有限公司 新型独立悬架前桥总成
CN204432766U (zh) * 2015-02-12 2015-07-01 威海伯特利萨克迪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汽车转向节结构
KR101607247B1 (ko) * 2015-05-26 2016-04-11 주식회사 일진 차량의 너클
DE102017103610A1 (de) * 2017-02-22 2018-08-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adträger zur Erfassung von Kräft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8566A (ja) 2001-08-03 2003-02-18 Koyo Seiko Co Ltd 車両用軸受装置の支持体
JP2006057677A (ja) * 2004-08-18 2006-03-02 Nissin Kogyo Co Ltd ベアリングの支持構造
KR100779351B1 (ko) 2006-12-26 2007-11-23 위아 주식회사 차량용 프레스타입 스티어링 너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22192A (zh) 2018-10-09
US20180265126A1 (en) 2018-09-20
KR20180105764A (ko) 2018-10-01
CN108622192B (zh) 2022-02-15
US10518805B2 (en)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1241B1 (en) Single-shaft damping joint for connecting vehicle chassis parts
US6513801B1 (en) Hinged/split reinforced clam shell bushing
CA2791465C (en) Rotatable bar pin bushing assembly
US8434770B2 (en) Transverse link on a motor vehicle
KR101972245B1 (ko) 완충기
US20100006382A1 (en) Bracket for mounting shock absorber
WO2017056546A1 (ja) ブラケット付き筒形防振装置
KR10233639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US6398451B1 (en) Mounting arrangement
GB2285845A (en) Rubber mounting with inner and outer sleeves
KR101450319B1 (ko) 조향장치 기어 하우징의 마운팅 부시
CN113874232A (zh) 商用车的转向节、商用车的车桥组件和车桥
CN110997459B (zh) 车轮悬架
US9752614B2 (en) Wheel suspension bearing, wheel suspension bearing assembly and motor vehicle
CA2428792C (en) Anti-walkout spool bushing
KR101929045B1 (ko)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25322A (ko) 공용형 트레일링암 부시유닛
WO2019201510A1 (en) Wheel
KR20180068573A (ko) 서스펜션용 인슐레이터
KR102654916B1 (ko) 차량용 너클
JP4211552B2 (ja) ブッシュ構造
KR20140019502A (ko)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
JP2012081822A (ja) 車輪用転がり軸受装置
KR200142052Y1 (ko) 자동차용 볼 조인트 취부구조
JP2015063278A (ja) 防護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