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247B1 - 차량의 너클 - Google Patents

차량의 너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247B1
KR101607247B1 KR1020150073173A KR20150073173A KR101607247B1 KR 101607247 B1 KR101607247 B1 KR 101607247B1 KR 1020150073173 A KR1020150073173 A KR 1020150073173A KR 20150073173 A KR20150073173 A KR 20150073173A KR 101607247 B1 KR101607247 B1 KR 101607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knuckle body
mounting
knuckle
assembl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3645A (ko
Inventor
권태성
이성근
권익진
김현우
정세웅
박민국
권순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to KR102015007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24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3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의 너클이 개시된다.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소재로 제작되고 조립홀이 형성된 너클 바디, 상기 너클 바디의 조립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휠 베어링을 장착할 수 있는 휠 베어링 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휠 베어링 부싱은,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소재로 제작된 제1부싱,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제1부싱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부싱 및, 상기 제1부싱의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3부싱을 포함하여, 경량화된 너클과 부싱의 견고한 결합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너클{Knuckl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너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으로 제작된 너클 바디에 다른 부품들을 장착 혹은 연결하기 위한 부싱이 견고하게 조립된 차량의 너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임의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장치로서, 운전자가 직접 조향 조작을 하여 그 조작력을 조향 기어 및 링크 등에 전달하기 위해 스티어링 핸들과 조향축 및 조향칼럼 등으로 구성된 조작기구와, 상기 조향칼럼의 회전을 감속하여 조작력을 크게 함과 동시에 조작기구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기어장치 및, 이 기어장치의 작동을 차륜에 전달하고 또 좌우 차륜의 관계 위치를 바르게 지지하기 위해 피트먼 아암과 드래그 아암, 너클 및 타이 로드 등으로 구성된 링크기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너클은 통상적으로 크롬-몰리브덴 합금강과 같은 스틸 소재를 열처리 및 기계 가공을 통해 제작되어 오고 있었다.
최근에는 차량의 연비 향상 요구와 더불어 차량으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가 이슈가 되면서 차량은 경량화를 추구하고 있고, 차량을 구성하는 부품들 중에 샤시 부품들에게도 경량화가 경량화가 요구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차량의 경량화 추세에 부응하여 종래에 스틸 소재로 제작되어 온 차량의 너클을 스틸 소재보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신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의 경량화 추세에 부응하기 위해 스틸 소재보다 상대적으로 가벼우면서 스틸 소재가 가지는 물리적 특성과 거의 동등한 특성을 보유할 수 있는 신소재로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을 이용하여 제작된 너클 바디에 다른 부품들을 장착 혹은 연결하기 위한 부싱을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부싱과 너클 바디의 조립 결합성이 향상되어,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된 너클 바디에 상기 부싱을 매개로 다른 부품들을 안정되게 장착 혹은 연결할 수 있고, 또한 너클 바디의 경량화에 따라 차량의 중량을 저감시키고, 차량의 연비 및 성능의 향상과 더불어 차량의 매연가스로 인한 환경 오염도 줄일 수 있는 차량의 너클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너클은,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소재로 제작되고 조립홀이 형성된 너클 바디, 상기 너클 바디의 조립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휠 베어링을 장착할 수 있는 휠 베어링 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너클 바디의 한쪽 측면을 따라 브래이크 캘리퍼를 장착하기 위한 제1마운팅 플랜지가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마운팅 플랜지의 한쪽 선단부와 근접한 부위에서 제1마운팅 플랜지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상기 너클 바디로부터 타이로드를 연결하기 위한 제1축돌출부가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너클 바디의 한쪽 부위에서 상기 너클 바디의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너클 바디로부터 로워 아암을 연결하기 위한 제2축돌출부가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너클 바디의 조립홀을 중심으로 상기 제2축돌출부의 맞은편 부위에서 상기 너클 바디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스트럿 어셈블리를 장착하기 위한 제2마운팅 플랜지가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마운팅 플랜지와, 제2마운팅 플랜지, 제1축돌출부 및 제2축돌출부에는 각각 부싱 조립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각 부싱 조립홀에 부싱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운팅 플랜지와, 제2마운팅 플랜지, 제1축돌출부 및 제2축돌출부의 각 부싱의 조립홀에는 연통하는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부싱은 상부 부싱과 하부 부싱으로 각각 분할해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부싱은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어 상기 조립홈의 상부벽에 걸리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하단 플랜지와, 상기 조립홀의 주변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상단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부싱은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어 상기 조립홈의 하부 바닥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상단 플랜지와, 상기 조립홀의 주변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하단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마운팅 플랜지와, 제2마운팅 플랜지, 제1축돌출부 및 제2축돌출부의 각 부싱의 조립홀에는 연통하는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부싱은 상기 부싱의 조립홀에 삽입되어 서로 나사로 체결되는 상부 부싱과 하부 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부싱은 상기 조립홀의 주변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부싱은 상기 조립홈의 주변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하부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너클에 의하면,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너클 바디에 조향장치의 타이로드와, 현가장치의 로워 아암 및 스트럿 어셈블리, 제동장치의 브레이크 캘리퍼를 연결 혹은 장착하기 위한 부싱이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너클 바디를 다수개의 너클 조각 플레이트로 제작하여 상기 부싱과 함께 조립하는 경우에는, 상기 부싱에 다수개의 걸림 플랜지가 형성함과 더불어 너클 바디에는 상기 걸림 플랜지가 삽입되어 걸리는 조립홈을 형성하여, 부싱이 너클 바디의 조립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에 다수개의 걸림 플랜지와 조립홈의 상호 작용으로 부싱이 너클 바디에 견고하게 결합됨에 따라 부싱의 너클 바디에 대한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다수개의 너클 조작 플레이트들을 서로 결합시켜 너클 바디를 먼저 제작한 다음에 너클 바디에 조립홀을 형성하고, 상기 조립홀에 부싱을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부싱을 상부 부싱과 하부 부싱으로 2피스로 제작된 다음에 너클 바디의 조립홀에 각각 삽입되어서 나사로 서로 체결하고 나서 너클 바디에 접착제로 접착됨에 따라 부싱의 너클 바디에 대한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휠 베어링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휠 베어링 부싱은,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로 일정한 테이퍼 각도를 갖는 테이퍼면이 형성된 2개의 제1, 2부싱과, 이 제1부싱에 압입되어 접착되는 스틸 소재의 제3부싱으로 구성되어, 휠 베어링을 휠 베어링 부싱에 압입하여 조립하면서 휠 베어링 부싱에 외력이 작용하거나, 혹은 휠 베어링이 휠 베어링 부싱에 조립된 상태에서 휠 베어링을 통해 휠 베어링 부싱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상기 테이퍼면의 쐐기 작용으로 3개의 제1, 2, 3 부싱이 축방향으로 쉽게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싱들이 너클 바디로부터도 축방향으로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어, 부싱 상호간 및 너클 바디에 대한 부싱의 조립 결합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너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너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베어링 부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베어링 부싱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싱과 너클 바디의 결합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싱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너클은, 너클 바디(10)와, 제1마운팅 플랜지(20), 제1축돌출부(30), 제2축돌출부(40), 제2마운팅 플랜지(50) 및, 휠 베어링 부싱(60)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너클 바디(10)은 다각형 바디 형상을 하고서 대체로 중앙 부위에는 조립홀이 형성되고, 이 조립홀에는 휠 베어링을 끼워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휠 베어링 부싱(6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마운팅 플랜지(20)는 너클 바디(10)의 한쪽 측면을 따라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대체로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축돌출부(30)는 제1마운팅 플랜지(20)의 한쪽 선단부와 근접한 부위에서 제1마운팅 플랜지(20)에 대해 대체로 직각 방향으로 너클 바디로(10)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축돌출부(40)는 너클 바디(10)의 한쪽 부위에서 너클 바디(10)의 평면에 대해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너클 바디(10)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마운팅 플랜지(50)는 너클 바디(10)의 조립홀을 중심으로 상기 제2축돌출부(40)의 맞은편 부위에서 너클 바디(10)에 대해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너클 바디(10)와, 제1마운팅 플랜지(20), 제1축돌출부(30), 제2축돌출부(40) 및, 제2마운팅 플랜지(50)는 각각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1마운팅 플랜지(20)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에 스틸 소재로 제작된 부싱(70)이 관통해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마운팅 플랜지(20)의 부싱(70)을 매개로 브레이크 캘리퍼가 장착될 수 있다.
제1축돌출부(30)에도 스틸 소재로 제작된 부싱(70)이 관통해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축돌출부(30)에는 조향장치를 구성하는 타이로드가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2축돌출부(40)에도 스틸 소재로 제작된 부싱(70)이 관통해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2축돌출부(40)에는 차량의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로워 아암이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2마운팅 플랜지(50)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에 스틸 소재로 제작된 부싱(70)이 관통해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2마운팅 플랜지(20)의 부싱(70)을 매개로 차량의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스트럿 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너클 바디(10)는 3개의 너클 조각 플레이트(100, 110, 120)가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3개의 너클 조각 플레이트(100, 110, 120)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3개의 너클 조각플레이트(100, 110, 120)가 조합되어,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카본 섬유 + 에폭시 수지가 혼합된 충진물(130)이 삽입되어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충진물(130)은 3개의 너클 조각플레이트(100, 110, 120) 및 각 부싱을 서로 접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너클의 구조적인 강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베어링 부싱(60)은,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소재로 제작된 2개의 제1부싱(62) 및 제2부싱(64)과, 스틸 소재로 제작된 제3부싱(6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부싱(62)은 2개의 제1-1부싱(62a)과 제1-2부싱(62b)으로 2피스로 분할해서 제작된 다음에, 예를 들면 접착제로 축방향으로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1-1부싱(62a)과 제1-2부싱(62b)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는 각각 한쪽 테두리로부터 다른쪽 테두리로 갈수록 경사진 테이퍼면(6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면(62c)의 경사각도는, 바람직하기로 3° 이상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부싱(62a)과 제1-2부싱(62b)이 축방향으로 서로 접착되어 결합되었을 때에, 2개의 제1-1부싱(62a)과 제1-2부싱(62b)이 서로 접합되는 접합부를 기준으로 각각의 테이퍼면(62c)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접합부의 외경이 가장 크게 되어 대경부(62d)를 구성하고, 상기 테이퍼면(62c)의 외경 및 내경은 상기 대경부(62d)를 기준으로 축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상기 한쪽 제1-1부싱(62a)에는 반원호 형상의 공구 조립홈(62f)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구 조립홈(62f)은 공구를 이용하여 너클에 여러 가지 부품들을 연결하거나 체결할 때에 공구와 부싱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쪽 제1-1부싱(62a)에는 원형의 조립홀(62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홀(62e)은 센서 등과 같은 부품들을 조립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싱(64)은 대체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제2-1부싱(64a)과 제2-2부싱(64b)으로 2피스로 제작된 다음에 원주 방향으로 예를 들면 접착제를 매개로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즉 접합선(64d)을 기준으로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싱(64)은 제1부싱(62)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2개의 제2-1부싱(64a)과 제2-2부싱(64b)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는 제1부싱(62)의 테이퍼면(62c)과 동일하게 테이퍼면(64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면(64c)의 경사각도는, 바람직하기로 3° 이상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제2-1부싱(64a)과 제2-2부싱(64b)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면(64c)은 대경부(64e)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대경부(64e)의 내경 및 외경이 가장 크고, 상기 대경부(64e)를 기준으로 축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테이퍼면(64c)의 내경 및 외경은 점차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싱(64)이 제1부싱(62)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면 제1부싱(62)의 조립홀(62e)과 매칭되는 제2-1부싱(64a)의 소정 부위에 원호 형상의 조립홈(64f)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홈(64f)은 제1부싱(62)의 조립홀(62e)과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싱(64)이 제1부싱(62)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면, 제1부싱(62)의 대경부(62d)는 제2부싱(64)의 대경부(64e)와 겹쳐지게 되고, 제2부싱(64)의 내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면(64c)에 제1부싱(62)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면(62c)이 밀착되게 된다.
상기 제1부싱(62)의 대경부(62d)의 직경은 상기 제2부싱(64)의 내측 테이퍼면(64c)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부싱(64)에 제1부싱(62)의 축방향으로 끼워져 조립된 상태에서 제1부싱(62) 혹은 제2부싱(64)에 축방향으로 분리시키는 외력이 작용하여 제1부싱(62)과 제2부싱(64)이 축방향으로 서로 분리되는 상대 운동이 발생할 경우에, 제1부싱(62)의 대경부(62d)가 제2부싱(64)의 테이퍼면(64c)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제1부싱(62)의 대경부(62d)와 제2부싱(64)의 테이퍼면(64c) 사이에는 쐐기 작용이 발생하여 제1부싱(62)과 제2부싱(64)은 축방향으로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3부싱(66)의 외주면에도 테이퍼면(66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면(66c)의 경사각도는, 바람직하기로 3° 이상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면(66c)은 축방향 혹은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중앙에 위치된 대경부(66a)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대경부(66a)의 외경 및 내경이 가장 크고, 상기 대경부(66a)를 기준으로 축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면(66c)의 외경은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부싱(66)의 대경부(66a)의 외경은 제1부싱(62)의 내측 테이퍼면(62c)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부싱(66)이 제1부싱(62)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면, 제3부싱(66)의 대경부(66a)는 제1부싱(62)의 대경부(62d)과 겹쳐지게 된다.
상기 제1부싱(62)과 제2부싱(64) 및 제3부싱(66)이 축방향으로 끼워져 서로 결합되면, 각각의 테이퍼면들은 서로 밀착됨과 더불어 제1부싱(62)의 대경부(62d)와 제2부싱(64)의 대경부(64e) 및 제3부싱(66)의 대경부(66a)는 서로 겹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각 부싱들이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휠 베어링을 제3부싱(66)에 압입하여 조립함에 따라 제3부싱(66)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거나, 혹은 휠 베어링이 제3부싱(66)에 조립된 상태에서 휠 베어링이 통해 외력이 제3부싱(66)에 가해질 경우에, 상기 외력은 제3부싱(66)을 제1부싱(6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는 바, 제3부싱(66)의 대경부(66a)는 제1부싱(62)의 내측 테이퍼면(62c)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부싱(62)과 제3부싱(66) 사이의 축방향 이탈 운동은 제3부싱(66)의 대경부(66a)와 제1부싱(62)의 내측 테이퍼면(62c) 사이의 쐐기 작용을 발생시켜 제1부싱(62)과 제3부싱(66) 사이의 축방향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부싱 내지 제3부싱들이 축방향으로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너클 바디(10)의 조립홀에 끼워져 결합된 경우에도, 각 부싱의 외주면에 형성된 대경부와 테이퍼면들이 너클 바디(10)의 조립홀에 대해 축방향으로 쐐기작용을 발생시켜 각 부싱들이 너클 바디(10)로부터 축방향으로 쉽게 분리되지 않고 안정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너클 바디(10)의 제1마운팅 플랜지(20), 제1축돌출부(30), 제2축돌출부(40), 제2마운팅 플랜지(50)에 각각 끼워져 조립되는 부싱(70)은 너클 바디(10)로부터 축방향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는 조립구조를 갖는다.
즉 너클 바디(10)가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된 3개의 너클 조각 플레이트(100, 110, 120)를 서로 접합시켜 제작할 경우에, 상기 부싱(70)을 3개의 너클 조각 플레이트(100, 110, 120)와 함께 조립할 수 있다.
3개의 너클 조각 플레이트(100, 110, 120)에는 각각 상기 부싱(70)이 끼워지는 조립홀이 형성된다.
상기 부싱(70)은 상기 조립홀에 삽입되어 3개의 너클 조각 플레이트(100, 110, 120)와 함께 조립되는 바, 부싱(70)은 상부 부싱(72) 및 하부 부싱(74)으로 2피스로 제작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한 몸체의 부싱으로 제작되어 3개의 너클 조각 플레이트(100, 110, 120)에 조립될 수 있다.
3개의 너클 조각 플레이트(100, 110, 120)들이 서로 겹쳐져 조립될 경우에, 예를 들면 제3너클 조작 플레이트(120)가 가운데에 배치됨과 더불어 그 상하에 제1너클 조각 플레이트(100)가 겹쳐져서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3너클 조각 플레이트(120)에는 상기 조립홀과 연통하는 조립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부싱(72)에는 상기 조립홈(140)에 삽입되어 조립홈(140)의 상부벽에 걸리는 하단 플랜지(72a)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너클 조각플레이트(10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상단 플랜지(72b)도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부싱(74)에는 상기 조립홈(140)에 삽입되어 조립홈(140)의 하부 바닥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상단 플랜지(74a)와, 상기 제1너클 조각플레이트(100)의 하부면에 축방향으로 걸리는 하단 플랜지(74b)도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부싱(70)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를 형성하고, 너클 바디(10)의 조립홀에는 상기 플랜지들이 걸리는 조립홈을 형성함으로써, 부싱(70)이 너클 바디(10)에 조립된 상태에서 플랜지와 조립홈의 상호 작용으로 부싱이 너클 바디(10)로부터 축방향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부싱(70)과 너클 바디(10)의 조립 결합성이 향상된다.
도 6을 참조하면, 3개의 너클 조각 플레이트(100, 110, 120)들이 먼저 조립되어 너클 바디(10)를 형성하고, 너클 바디(10)의 제1마운팅 플랜지(20), 제1축돌출부(30), 제2축돌출부(40), 제2마운팅 플랜지(50)에 각각 상기 부싱(70)을 끼워서 조립하기 위한 부싱 조립홀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부싱(70)을 상부 부싱(76)과 하부 부싱(78)으로 2피스로 분할해서 제작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상기 하부 부싱(78)을 너클 바디(10)의 부싱 조립홀의 한쪽 입구를 통해 삽입한 다음에 상부 부싱(76)을 부싱 조립홀의 다른쪽 입구를 통해 삽입하여, 2개의 부싱(76, 78)을 서로 나사(79)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나사(79)는 상부 부싱(76)의 내주면에 형성됨과 더불어 하부 부싱(78)에는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서로 반대로 형성하여 2개의 부싱을 나사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나사로 체결된 부싱(70)은 너클 바디(10)의 부싱 조립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접착제로 너클 바디(10)에 일체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부싱(76)에는 너클 바디(10)의 조립홀의 주변에 안착되어 축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 플랜지(76a)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 부싱(78)에도 너클 바디(10)의 조립홀의 주변에 안착되어 축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 플랜지(78a)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너클 바디(10)가 3개의 너클 조각 플레이트(100, 110, 120)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2개의 너클 조각 플레이트들을 서로 결합시켜 너클 바디(10)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너클 바디
20: 제1마운팅 플랜지
30: 제1축돌출부
40: 제2축돌출부
50: 제2마운팅 플랜지
60: 휠 베어링 부싱
70: 부싱
100, 110, 120: 너클 조각 플레이트
130: 충진물
140: 조립홈

Claims (2)

  1.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소재로 제작되고 조립홀이 형성된 너클 바디;
    상기 너클 바디의 조립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휠 베어링을 장착할 수 있는 휠 베어링 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너클 바디의 한쪽 측면을 따라 브래이크 캘리퍼를 장착하기 위한 제1마운팅 플랜지가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마운팅 플랜지의 한쪽 선단부와 근접한 부위에서 제1마운팅 플랜지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상기 너클 바디로부터 타이로드를 연결하기 위한 제1축돌출부가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너클 바디의 한쪽 부위에서 상기 너클 바디의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너클 바디로부터 로워 아암을 연결하기 위한 제2축돌출부가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너클 바디의 조립홀을 중심으로 상기 제2축돌출부의 맞은편 부위에서 상기 너클 바디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스트럿 어셈블리를 장착하기 위한 제2마운팅 플랜지가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마운팅 플랜지와, 제2마운팅 플랜지, 제1축돌출부 및 제2축돌출부에는 각각 부싱 조립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각 부싱 조립홀에 부싱이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제1마운팅 플랜지와, 제2마운팅 플랜지, 제1축돌출부 및 제2축돌출부의 각 부싱의 조립홀에는 연통하는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부싱은 상부 부싱과 하부 부싱으로 각각 분할해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부싱는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어 상기 조립홈의 상부벽에 걸리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하단 플랜지와, 상기 조립홀의 주변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상단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부싱은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어 상기 조립홈의 하부 바닥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상단 플랜지와, 상기 조립홀의 주변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하단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너클.
  2.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소재로 제작되고 조립홀이 형성된 너클 바디;
    상기 너클 바디의 조립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휠 베어링을 장착할 수 있는 휠 베어링 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너클 바디의 한쪽 측면을 따라 브래이크 캘리퍼를 장착하기 위한 제1마운팅 플랜지가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마운팅 플랜지의 한쪽 선단부와 근접한 부위에서 제1마운팅 플랜지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상기 너클 바디로부터 타이로드를 연결하기 위한 제1축돌출부가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너클 바디의 한쪽 부위에서 상기 너클 바디의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너클 바디로부터 로워 아암을 연결하기 위한 제2축돌출부가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너클 바디의 조립홀을 중심으로 상기 제2축돌출부의 맞은편 부위에서 상기 너클 바디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스트럿 어셈블리를 장착하기 위한 제2마운팅 플랜지가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마운팅 플랜지와, 제2마운팅 플랜지, 제1축돌출부 및 제2축돌출부에는 각각 부싱 조립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각 부싱 조립홀에 부싱이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각 부싱은 상기 부싱의 조립홀에 삽입되어 서로 나사로 체결되는 상부 부싱과 하부 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부싱은 상기 조립홀의 주변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부싱은 상기 조립홈의 주변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너클.
KR1020150073173A 2015-05-26 2015-05-26 차량의 너클 KR101607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173A KR101607247B1 (ko) 2015-05-26 2015-05-26 차량의 너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173A KR101607247B1 (ko) 2015-05-26 2015-05-26 차량의 너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200A Division KR101549916B1 (ko) 2014-03-03 2014-03-03 차량의 너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645A KR20150103645A (ko) 2015-09-11
KR101607247B1 true KR101607247B1 (ko) 2016-04-11

Family

ID=5424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173A KR101607247B1 (ko) 2015-05-26 2015-05-26 차량의 너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2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2582B2 (en) 2018-08-08 2021-12-07 Skf Aerospace France S.A.S. Lightweight suspension upright or knuck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9583A (zh) * 2015-12-18 2016-05-04 南宁学院 一种fsc赛车的通用型转向节
KR101857170B1 (ko) * 2016-09-09 2018-05-16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너클 및 그 제조방법
KR102654916B1 (ko) * 2016-11-25 2024-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너클
KR102336393B1 (ko) * 2017-03-15 202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KR101983268B1 (ko) * 2017-08-11 2019-09-03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너클 및 그 제조방법
IT201800007980A1 (it) 2018-08-08 2020-02-08 Skf Ab Montante o articolazione di sospensione a basso pes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3001278U1 (de) 2013-02-08 2013-02-22 SGF SüDDEUTSCHE GELENKSCHEIBENFABRIK GMBH & CO. KG Elastischer Gelenkkörper mit bauraumsparender Bundbuchsenanordn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3001278U1 (de) 2013-02-08 2013-02-22 SGF SüDDEUTSCHE GELENKSCHEIBENFABRIK GMBH & CO. KG Elastischer Gelenkkörper mit bauraumsparender Bundbuchsenanordnu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복합재 적용 자동차 스티어링 너클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기계가공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50 (2012.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2582B2 (en) 2018-08-08 2021-12-07 Skf Aerospace France S.A.S. Lightweight suspension upright or knuck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645A (ko) 2015-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247B1 (ko) 차량의 너클
US9328749B2 (en) Bracket-less clamping assembly
KR101549916B1 (ko) 차량의 너클
US20120098228A1 (en) Stamped arm control
JP6310489B2 (ja) ドライブシャフ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186426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US11718370B2 (en) Spindle and suspension system for recreational vehicles
US20160318363A1 (en) Wheel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US9533537B2 (en) Rubber bearing connection
US20190193504A1 (en) Strut-type suspension apparatus
US9682742B2 (en) Motorcycle suspension
KR102084258B1 (ko) 현가 암 및 볼 조인트
KR20170004769A (ko) 휠 허브
JP2015168393A (ja) ストラット式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10118665B2 (en) Pivot bearing
JP2013208986A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US20160223039A1 (en) Driven wheel assembly and automotive vehicle equipped with such an assembly
EP3632717B1 (en) Joint structure of stabilizer link
JP2007302110A (ja) 車両用操舵装置
KR101929045B1 (ko)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1252043A (zh) 制动器总成及轮毂
JPS6042070B2 (ja) 自動二輪車のフロントフオ−ク取付け構造
KR101382830B1 (ko) 드라이브 샤프트의 조인트와 휠 허브의 연결구조
KR10233639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너클 장치
JP2010089559A (ja) 車輪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