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3500A - 냉장고 및 탈취 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탈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3500A
KR20010113500A KR1020010033748A KR20010033748A KR20010113500A KR 20010113500 A KR20010113500 A KR 20010113500A KR 1020010033748 A KR1020010033748 A KR 1020010033748A KR 20010033748 A KR20010033748 A KR 20010033748A KR 20010113500 A KR20010113500 A KR 20010113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ld air
refrigerator
refrigerator according
photocatalys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8885B1 (ko
Inventor
오까다다이신
세가와노보루
시무라나오히꼬
이마무라다께시
하또리다까오
오이까와다꾸미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10113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8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6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using an ozone gen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탈취 장치에 있어서 강력한 탈취 작용을 얻는 동시에, 폐기시에 있어서는 특수한 취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냉장고의 냉기 통로에 배치되는 탈취 장치(11)의 송풍 경로(71) 내에, 공간 방전 기구(73), 광촉매 모듈(74) 및 오존 분해 촉매(75)를 배치하여, 공간 방전 기구(73)의 고압 방전에 의해서 발생시킨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 모듈(74)에 광촉매 작용을 행하게 하고, 또, 고전압 방전에 의해서 발생시킨 오존과 오존 분해 촉매(75)에 의한 오존 분해 작용에 의해, 고 내의 냉기에 포함되어 있는 냄새 성분이나 유해 성분을 산화 분해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탈취 장치{REFRIGERATOR AND DEODORIZING DEVICE}
본 발명은, 냉기의 순환 경로 내에, 고 내의 탈취를 행하기 위한 탈취 장치를 배치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및 그 냉장고에 사용되는 탈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장고 내의 탈취에는, 백금 촉매를 제상 히터의 근방에 배치하여 고 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냄새 물질을 흡착하고, 제상시에 히터를 가열하여 냄새 물질을 가열 분해함으로써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냉장고 내의 좋지 않은 냄새를 제거하고, 다른 식품에 냄새가 배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강력한 탈취 효과를 발휘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냉장고에는, 냉장실이나 냉동실에 각각 전용 냉각기를 사용하여 냉장실 내의 습도를 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으로, 식품의 선도 유지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냉장실 내의 습도가 높아지면, 냄새를 보다 쉽게 느끼게 되며, 또, 냉장실 내의 잡균도 보다 번식하기 쉬운 환경으로 되어 버린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보다 강력한 탈취 방식으로서 오존의 산화력을 이용한 탈취 장치가 냉장고에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오존의 산화력을 가지고서도 냄새 성분을 완전히 분해할 수 없고, 중간 생성물이 생성되는데 그치는 경우가 있었다.
또, 예를 들면 산화 티탄 등의 광촉매 재료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광촉매 작용을 이용하여 냄새 성분을 산화 분해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에 따르면, 오존 보다도 강한 산화력을 얻을 수 있지만,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해서 형광관 램프가 필요해진다. 형광관 램프에는 수은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폐기시에 있어서는, 환경 부하를 높이지 않도록 하는 배려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폐기시에 있어서의 취급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탈취 장치에 있어서 강력한 탈취 작용을 얻는 동시에, 폐기시에 있어서는 특수한 취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냉장고 및 그 냉장고에 사용되는 탈취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이며, 탈취 장치의 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2는 냉장고의 종단 측면도.
도3은 도2의 냉기 통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4는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럭도.
도5는 냉동 사이클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행한 실험 결과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이며, R 냉기 생성실 부분의 종단 측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이며, 야채실 부분의 종단 측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9는 탈취 장치의 착탈 형태를, 야채실의 하부 케이스를 떼어 내어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a)는 탈취 장치의 장착 전의 형태, (b)는 탈취 장치의 장착 후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1의 상당도.
도11은 공간 방전 기구 및 광촉매 모듈만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1의 상당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1의 상당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1A, 11B, 11C : 탈취 장치
28 : 제어 장치(제어 수단, 전압 변화 수단)
33 : R 증발기(열 교환기)
38 : 냉기 흡입구
43 : R 팬
70 : 고전압 인가부(전압 변화 수단)
71 : 송풍 경로
73 : 공간 방전 기구(방전 수단)
74 : 광촉매 모듈
75 : 오존 분해 촉매(오존 분해 수단)
76 : 방전 전극
77 : 쌍극(전극)
81 : 공간 방전 기구(방전 수단)
83 : 팬
84 : 탈취 장치
85 : 송풍 경로
86a : 승압 트랜스
88 : 전지
101 : 냉기 통로(순환 경로)
청구항 1에 기재된 냉장고는, 냉기의 순환 경로 내에, 고 내의 탈취를 행하기 위한 탈취 장치를 배치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탈취 장치는, 고전압 방전에 의해서 오존 및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방전 수단과, 광촉매 작용에 의해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냄새 성분이나 유해 물질 등의 분해를 행하는 광촉매 모듈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고 내에 있어서 냉기가 순환하면, 그 순환 경로 내에 배치되어 있는 탈취 장치의 방전 수단에 있어서는, 고전압 방전에 의해서 자외선이 발생된다. 그리고, 광촉매 모듈에 있어서는, 그 자외선을 받아서 광촉매 반응을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순환 냉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냄새 성분은 산화 분해되어 제거된다. 즉, 형광관 램프를 이용하는 일 없이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폐기시에 있어서의 특별한 취급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고전압 방전에 의해서 동시에 오존이 발생하므로, 그 오존의 산화력도 작용하여 냄새 성분은 산화 분해된다. 덧붙여서, 발생한 오존을 순환 냉기에 의해 고 내에 확산시켜 오존 분위기를 형성함으로써, 고 내의 식품 등에 대하여 항균 작용을 이룰 수도 있고, 식품의 선도 유지에 관해서도 효과가 있다.
이 경우,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방전 수단에 있어서 발생된 오존을 분해하는 오존 분해 수단을, 적어도 방전 수단 및 광촉매 모듈의 하류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고전압 방전에 의해서 발생한 오존은 오존 분해 수단에 의해 분해되기 때문에, 고 내의 오존 농도가 과잉으로 상승하여, 도어를 개방한 때에 사용자가 오존 냄새를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존이 분해되면 활성 산소가 보다 발생하기 쉬워지므로, 보다 강한 산화력이 얻어져, 탈취 효율이 한층 향상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오존 분해 수단을, 열 교환기의 냉기 흡입구 부분에 배치하면 좋다. 즉, 탈취 장치에서 발생한 오존을 고 내에 순환시킬 때, 그대로 냉각기 부분에도 순환시키면, 냉각기 자체나 배관 등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오존 분해 수단을, 열 교환기의 냉기 흡입구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순환 냉기가 열 교환기에 도입되기 전의 단계에서 오존을 분해하여, 내부의 구성 부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광촉매 모듈을, 방전 수단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쌍방에 배치하면 좋고,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방전 수단에 있어서 발생한자외선의 이용 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 청구항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광촉매 모듈을, 탈취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면 좋고, 이와 같이 구성하면, 광촉매 모듈의 표면에 무기물 등의 오염 물질이 부착한 경우 등에, 광촉매 모듈을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하여, 부착한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광촉매 모듈을, 방전 수단을 향하는 면과,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을 교체하여 본체에 대하여 장착 가능하게 구성하면 좋다. 즉, 방전 수단을 향하는 면에 있어서는, 광촉매 반응이 활발하게 작용하게 되어 오염 물질이 부착하기 쉽다. 따라서, 오염 물질의 부착이 어느 정도 진행한 단계에서, 방전 수단을 향하는 면과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을 교체하면, 오염 물질의 부착이 거의 없는 반대측의 면을 이용하여, 광촉매 반응을 양호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광촉매 모듈을, 다공질형의 세라믹으로 구성되는 베이스의 표면에, 광촉매 재료를 고정하여 구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광촉매 모듈을 송풍 경로 내에 배치하여도, 냉기의 유통을 적극적으로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 광촉매 재료를 베이스에 고정하는 면적을 보다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광촉매 반응을 높은 효율로 행할 수 있어, 유해 물질의 분해 제거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 내의 냉기 순환이 행해지는 경우에 더불어 탈취 장치의 방전 수단에 방전을 행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면 좋다. 즉, 냉기 순환이 행해지면, 냄새를 포함한 냉기가 탈취 장치의 내부를 유통하여 탈취가 행해지므로, 탈취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탈취 장치에, 방전 수단 및 광촉매 모듈에 송풍하기 위한 팬을 구비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탈취 장치는, 냉장고가 냉기를 순환시키는지 아닌지에 관계 없이, 독립하여 방전 수단 및 광촉매 모듈에 송풍하여 탈취를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방전 수단을, 2개의 전극 사이에서 직접 방전을 행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탈취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절연물을 거쳐서 방전을 행하는 연면 방전 방식에 비하여 탈취 처리 공간을 많이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극에 오염 물질이 부착한 경우 등에는, 방전 수단을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하여 부착한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방전 수단의 전극 사이에 부(負)극성인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으로, 방전을 행하도록 구성하면, 오존의 발생량을 보다 많게 할 수 있고, 탈취 효율이 향상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방전 수단의 방전 전압을 변화시키는 전압 변화 수단을 구비하면 좋고,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면, 팬의 회전수가 낮아 송풍량이 적어짐에 따라서 인가 전압을 높이도록 변화시킴으로써, 송풍량의 저하에 따른 탈취 효율의 저하를 보상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도어의 개방시에, 방전 수단에 의한 방전을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한 경우에는, 고전압 방전을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광촉매 모듈을, 방전 수단의 전극 사이에 배치하면 좋고,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방전 수단에 있어서 발생한 자외선을 광촉매 모듈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조사시킬 수 있어, 광촉매 반응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탈취 장치를, 냉장고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탈취 장치를 냉장고로부터 떼어 내어, 탈취 작용에 의해서 분해되어 각부에 부착한 물질을 제거하는 등의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탈취 장치를, 전지에 의한 동작이 가능하게 구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탈취 장치는 냉장고와 완전하게 독립한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냉장고 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탈취 장치에 따르면, 탈취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냉장고의 내부에 배치하는 것으로 탈취를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해서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냉장고의 종단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2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1)는 전면이 개구하는 직사각형 상자형을 이루는 것이며, 외측 하우징(2) 내에 내측 하우징(3)을 배치하고, 외측 하우징(2)과 내측 하우징(3) 사이에 발포 우레탄 등의 단열재(4)를 충전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하우징(3)의 내면에는 수평한 합성 수지제의 칸막이판(냉장실 바닥판)(5)이 고정되어 있다. 이 칸막이판(5)은 냉장고본체(1) 내의 상부에 냉장실(저장실)(6)을 형성하는 것이며, 냉장실(6)의 전방 단부에는 R 도어(7)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칸막이판(5)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기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어, 복수의 돌기부 상에는 냉동 케이스(8)가 탑재되어 있다. 이 냉동 케이스(8)는 상면 및 전면이 개구하는 용기형을 이루는 것이며, 냉동 케이스(8)의 하면과 칸막이판(5) 사이에는 냉기 통로(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10)는 냉동 케이스(8)의 전면을 개폐하는 덮개를 도시하는 것이다.
또한, 칸막이판(5)의 하방으로는 소정의 간격에 있어서 지지판(100)이 고정되어 있다. 칸막이판(5)의 전방 단측은 개구하고 있어, 칸막이판(5)과 지지판(100) 사이에 형성되는 냉기 통로(순환 경로)(101)에 대하여 냉장실(6) 측으로부터 냉기를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냉기 통로(101)에는, 탈취 장치(11)가 배치되어 있다. 도3은, 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 탈취 장치(11)의 상세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지지판(100)의 후단측은 야채실(13)에 대하여 개구하고 있어, 냉장실(6) 측으로부터 냉기 통로(101)에 도입된 순환 냉기는, 탈취 장치(11)를 통과한 후, 야채실(13)에 이르도록 되어 있다.
내측 하우징(3) 내에는 칸막이판(5)의 하방에 위치하여 단열 칸막이판(12)이 고정되어 있다. 이 단열 칸막이판(12)은 합성 수지제의 케이스 내에 발포 스티롤을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단열 칸막이판(12)과 칸막이판(5) 사이에는 야채실(저장실)(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야채실(13)은 냉기 통로(101)에 배치된 탈취장치(11)를 거쳐서 냉장실(6) 내에 통하는 것(냉장실(6)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야채실(13)의 전방 단부에는 V 도어(14)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야채실(13) 내에는 하부 케이스(15)가 수납되어 있다. 이 하부 케이스(15)는 상면이 개구하는 용기형을 이루는 것이며, 하부 케이스(15)에는 상부 케이스(16)가 탑재되어 있다. 이 상부 케이스(16)는 하부 케이스(15)의 상면 중 전방 단부를 제외한 부분을 폐쇄하는 것이며, 상면이 개구하는 용기형을 이루고 있다. 이 상부 케이스(16)의 상면에는 덮개(17)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단열 칸막이판(12)의 하방에는 냉동실(19)이 형성되어 있다. 이 냉동실(19)은 상방의 야채실(13) 및 냉장실(6)에 대하여 열적으로 격리된 것이며, 냉동실(19)의 전방 단부에는 상측 도어(20) 및 하측 도어(21)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냉동실(19) 내에는 냉동 케이스(22 및 23)가 상하 2단으로 수납되어 있다.
냉장고 본체(1)의 하단부에는 기계실(24)이 형성되어 있고, 기계실(24) 내에는 냉동 사이클의 압축기(2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압축기(25)는 압축 모터(26)를 구동 전원으로 하는 왕복형이며, 압축 모터(26)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회로(27)를 거쳐서 제어 장치(제어 수단, 전압 변화 수단)(2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28)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구성된 것이며, 냉장고 본체(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기(25)의 토출구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 사이클의 콘덴서(29)를 거쳐서 유로 밸브(30)의 입력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이 유로 밸브(30)는 밸브 모터(31)(도4 참조)의 정역전에 의거하여 RF 출력 포트 및 F 출력 포트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밸브 모터(31)는, 구동 회로(27)를 거쳐서 제어 장치(2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유로 밸브(30)의 RF 출력 포트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 캐필러리 튜브(32)를 거쳐서 R 증발기(33)의 입구에 접속되어 있으며, R 증발기(열 교환기)(33)의 출구에는 F 증발기(34)의 입구가 접속되어 있다. 이 F 증발기(34)의 출구는 압축기(25)의 흡입구에 접속되어 있으며, RF 출력 포트의 개방시에는 압축기(25)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R 증발기(33) 및 F 증발기(34)의 쌍방으로 공급된다.
유로 밸브(30)의 F 출력 포트에는 F 캐필러리 튜브(35)의 입구가 접속되어 있다. 이 F 캐필러리 튜브(35)의 출구는 R 증발기(33)의 출구와 F 증발기(34)의 입구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F 출력 포트의 개방시에는 압축기(25)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F 증발기(34) 만으로 공급된다.
다시 도2를 참조하여, 야채실(13)의 후방부에는, R 냉기 생성실(36)이 형성되어 있고, R 증발기(33)는 R 냉기 생성실(36) 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 R 냉기 생성실(36)은 원통형의 냉기 토출구(37) 및 냉기 흡입구(38)를 가지는 것이며, 냉기 토출구(37)는 상부 케이스(16) 내에 삽입되어 있다.
냉장실(6) 내에는 대략 L 자형의 덕트 커버(39)가 고정되어 있다. 이 덕트 커버(39)는 합성 수지제를 재료로 형성된 것이며, 덕트 커버(39)에는 냉장실(6) 내에 개구하는 복수의 냉기 토출 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덕트 커버(39)는 내측 하우징(3)의 후방판과 협동하여 L 자 통로형의 냉기 덕트(41)를 구성하는 것이며, 냉기 덕트(41)의 상단부는 냉장실(6) 내에 개구하고, 냉기 덕트(41)의 하단부는 R 냉기 생성실(36) 내에 통하고 있다.
R 냉기 생성실(36) 내에는 R 팬 모터(42)가 수납되어 있고, R 팬 모터(42)는, 구동 회로(27)를 거쳐서 제어 장치(2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R 팬 모터(42)의 회전축에는, R 팬(송풍 팬)(43)이 연결되어 있어, R 팬(43)의 회동시에는 하기의 경로로 냉기가 순환한다. 또, 부호(44)는 R 팬 모터(42) 및 R 팬(43)으로부터 구성되는 R 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R 팬 장치(44)는, R 증발기(33)와 동시에 R 냉각 장치(45)를 구성하고 있다.
<냉장실(6), 야채실(13)에 있어서의 냉기의 순환 경로에 관해서>
공기의 일부가 R 냉기 생성실(36) 내로부터 냉기 토출구(37)를 통하여 상부 케이스(16) 내에 토출되어, 덮개(17)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냉기 유출 구멍(46)을 통하여 상부 케이스(16)의 전방으로 방출된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5)의 전면에 따라서 하방으로 흐르고, 하부 케이스(15)의 하면에 따라서 후방으로 흘러, 냉기 흡입구(38)를 통하여 R 냉기 생성실(36) 내에 복귀된다. 이 때, R 증발기(33)가 공기를 냉각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냉풍화하고, 야채실(13) 내를 냉각한다.
공기의 나머지가 R 냉기 생성실(36) 내로부터 냉기 덕트(41)의 복수의 냉기 토출 구멍(40) 및 상단부를 통하여 냉장실(6) 내에 토출되어, 냉장 케이스(8)의 하방의 냉기 통로(9) 내에 유입한다. 그리고, 탈취 장치(11) 및 냉기 통로(101)를통하여 야채실(13) 내에 유입하고, 냉기 유출 구멍(46)을 통하여 상부 케이스(16)의 전방으로 흐른다. 이 후, 하부 케이스(15)의 전면에 따라서 하방으로 흐르고, 하부 케이스(15)의 하면에 따라서 후방으로 흘러, 냉기 흡입구(38)를 통하여 R 냉기 생성실(36) 내에 복귀된다. 이 때, R 증발기(33)가 공기를 냉각함으로써 냉풍화하여, 냉장실(6) 내 및 야채실(13) 내를 냉각한다. 즉, 탈취 장치(11)는 순환 냉기의 귀순환 경로 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냉동실(19)의 후방부에는 F 냉기 생성실(47)이 형성되어 있고, F 냉기 생성실(47)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냉기 토출구(48) 및 냉기 흡입구(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F 냉기 생성실(47) 내에는 F 증발기(34) 및 F 팬 모터(50)가 수납되어 있으며, F 팬 모터(50)는, 구동 회로(27)를 거쳐서 제어 장치(2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F 팬 모터(50)의 회전축에는, F 팬(51)이 연결되어 있고, F 팬(51)의 회전시에는 하기의 경로로 냉기가 순환한다. 또, 부호(52)는 F 팬 모터(50) 및 F 팬(51)으로 구성되는 F 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F 팬 장치(52)는, F 증발기(34)와 동시에 F 냉각 장치(53)를 구성하고 있다.
<냉장실(19)에 있어서의 냉기의 순환 경로에 관해서>
공기가 F 냉기 생성실(47) 내로부터 냉기 토출구(48)를 통하여 냉동실(19) 내에 토출되어, 냉기 흡입구(49)를 통하여 F 냉기 생성실(47) 내에 복귀된다. 이 때, F 증발기(34)가 공기를 냉각함으로써 냉풍화하고, 냉장실(19) 내를 냉각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6) 내 및 냉동실(19) 내에는 R 온도센서(54) 및 F 온도 센서(55)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R 온도 센서(54) 및 F 온도 센서(55)는 냉장실(6) 내의 온도에 따른 전압 레벨의 온도 신호(Vr) 및 냉동실(19) 내의 온도에 따른 전압 레벨의 온도 신호(Vf)를 출력하는 서미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제어 장치(2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28)에는 R 증발기 온도 센서(56) 및 F 증발기 온도 센서(57)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R 증발기 온도 센서(56) 및 F 증발기 온도 센서(57)는 R 증발기(33) 및 F 증발기(34)에 부착구(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부착된 서미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R 증발기(33)의 표면 온도에 따른 전압 레벨의 온도 신호(Vre) 및 F 증발기(34)의 표면 온도에 따른 전압 레벨의 온도 신호(Vfe)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R 도어 스위치(102) 및 V 도어 스위치(103)는, 각각 R 도어(7) 및 V 도어(14)의 개폐를 검출하는 스위치이며, 그 개폐 검출 신호도 역시 제어 장치(28)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28)의 내부(ROM)에는 운전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고, 제어 장치(28)는 R 온도 센서(54)로부터의 온도 신호(Vr 내지 F) 증발기 온도 센서(57)로부터의 온도 신호(Vfe)에 의거하는 압축 모터(26), 밸브 모터(31), R 팬 모터(42), F 팬 모터(50)를 구동 제어하여 냉각 운전 등을 실행한다. 또, 제어 장치(28)는, 고전압 인가부(전압 변화 수단)(70)를 구동 제어하여, 탈취 장치(11)의 전극에 - 수 kV 정도의 펄스형 고전압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도1은, 탈취 장치(11)의 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직사각형 상자 모양의 송풍 경로(71)의 내부에는, 예비 필터(72), 공간 방전 기구(방전 수단)(73), 광촉매 모듈(74) 및 오존 분해 촉매(오존 분해 수단)(7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R 냉기 생성실(36) 내의 R 팬(43)이 회전함으로써, 송풍 경로(71)의 도1 중 좌측 단부측인 유입구(71a)로부터 고 내의 냉기가 유입하여, 상기 각 홈 구성 요소를 통과시킴으로써 탈취 작용을 이루게 한 후, 도1 중 우측 단부측의 유출구(71b)로부터 탈취 후의 냉기를 냉기 통로(101)에 유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예비 필터(72)는, 송풍 경로(71)에 있어서 최상유측에 배치되어 있고, 냉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필터링하도록 되어 있다.
예비 필터(72)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는 공간 방전 기구(73)는, 예를 들면 텅스텐 등으로 와이어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방전 전극(76)과, 외형이 평탄형으로 형성된 2매의 쌍극(전극)(77)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방전 전극(76)은, 냉기의 유통 방향을 가로 지르도록 하여, 도1 중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일열로,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2매의 쌍극(77)은, 그들 방전 전극(76)을, 냉기의 유통 방향에 있어서 전방후로부터 끼어들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쌍극(77)에는, 냉기를 유통 시키기 위한 슬릿(77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방전 전극(76), 쌍극(77) 사이에 부극성의 고전압이 인가되어 방전이 행해짐으로써, 자외선(파장 380 nm 이하)이나 오존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방전 전극(76) 및 쌍극(77) 사이에는, 광촉매 모듈(74)이 배치되어 있다. 광촉매 모듈(74)은, 다공질형의 세라믹(예를 들면, 알루미나, 실리카 등)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의 표면에 산화 티탄 등의 광촉매 재료를 도포하고, 그광촉매 재료를 건조 또는 소결시킴으로써 베이스 표면에 고정한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간 방전 기구(73)는, 광촉매 모듈(74)과 동시에, 송풍 경로(71)에 대하여 도1 중 화살표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지만, 송풍 경로(71)의 관벽에는, 공간 방전 기구(73)가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가 부착되어 있고, 그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송풍 경로(71)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공간 방전 기구(73) 및 광촉매 모듈(74)을 화살표 방향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서 도6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 장치(28)는, 냉장실(6)에 관하는 온도 설정 정보나 R 온도 센서(54)의 온도 정보 등에 의거하여, 냉각 운전을 행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유로 밸브(30)의 RF 출력 포트를 개방하여, R 증발기(33)에 압축기(25)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공급하는 동시에, R 팬 장치(45)를 구동하여 냉장실(6) 및 야채실(13) 내에 냉기를 순환시킨다. 그리고, 제어 장치(28)는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개시한다. 그러면, 방전 전극(76)과 쌍극(77) 사이에서 고전압 방전이 행해지고, 자외선이나 오존이 발생된다.
이 때, 냄새 성분을 포함한 고 내의 냉기는, R 팬(43)의 회전에 의해서 유입구(1a) 측으로부터 유입하고, 예비 필터(2)에 의해 필터링된 후, 쌍극(77)의 슬릿(77a)을 거쳐서 공간 방전 기구(73)에 이른다. 공간 방전 기구(73)에 있어서는, 고전압 방전에 의해 발생한 자외선이 광촉매 모듈(74)에 조사되고, 산화 티탄이 그 자외선의 광 에너지를 받아 활성을 띠어 광촉매 작용을 이루며, 순환 냉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암모니아 등의 냄새 성분을 산화 분해한다.
또한, 순환 냉기는, 공간 방전 기구(73)를 통과할 때 고전압 방전에 의해 발생한 오존과 혼합되어, 후단의 오존 분해 촉매(75)에 이른다. 오존 분해 촉매(75)에 있어서는, 냉기 중의 냄새 성분 등과 혼합된 상태의 오존이 분해되면 활성 산소가 발생하여, 그 활성 산소의 산화력에 의해서 냄새 성분 등이 산화 분해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탈취된 냉기가, 송풍 경로(71)의 유출구(71b)로부터 고 내에 유출한다.
여기서, 도6은,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행한 실험 결과의 일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각종 방식의 탈취 장치를 이용하여 냉장고 내의 암모니아를 분해 제거시킨 경우에 있어서, 시간의 경과에 따르는 냉장고 내의 암모니아 잔존율(%)을 측정했다. 심볼“△”로 표시한 것은, 가열 분해형 촉매를 이용하여 구성된 종래의 탈취 장치의 경우이고, 심볼“◇”,“○”로 표시한 것은, 본 실시예의 탈취 장치(11)의 경우에서, 각각 공간 방전 기구(3)에 있어서 방전을 행한 경우(ON), 행하지 않은 경우(OFF)에 대응한다.
이 도6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탈취 장치(11)는, 공간 방전 기구(3)가 OFF의 경우에서도, 종래의 탈취 장치에 비해서 암모니아의 잔존율이 크게 저하하고 있지만, 공간 방전 기구(3)를 ON한 경우는 또 양호한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의 냉기 통로(101)에 배치되는 탈취장치(11)의 송풍 경로(71) 내에, 공간 방전 기구(73), 광촉매 모듈(74) 및 오존 분해 촉매(75)를 배치하고, 공간 방전 기구(73)의 고전압 방전에 의해서 발생시킨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 모듈(74)에 광촉매 작용을 이루게 하고, 또, 고전압 방전에 의해서 발생시킨 오존 분해 촉매(75)에 의한 오존 분해 작용에 의해, 고 내의 냉기에 포함되어 있는 냄새 성분이나 유해 성분을 산화 분해하도록 했다.
즉, 고전압 방전에 의해서 발생되는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하여 냄새 성분 등의 분해, 제거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탈취용의 흡착제의 교환이나 약제 성분의 보충 등을 행하는 필요가 없다. 또한, 광촉매 작용과 오존 분해 작용을 조합시키는 것으로, 보다 광범위하게 걸친 냄새 성분 등을 분해할 수 있다. 그리고, 형광관 램프를 이용하지 않고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폐기시에 있어서의 특별한 취급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또, 오존 분해 촉매(75)에 의해 오존을 분해함으로써, 냉장실(6) 또는 야채실(13) 내의 분위기 중의 오존 농도가 과잉으로 상승하여, 사용자가 R 도어(7)나 V 도어(14)를 개방한 때에 오존 냄새를 느끼거나(예를 들면 농도 0. 02 내지 0. 03 ppm의 경우), 또는, 고 내의 각부재가 부식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공간 방전 기구(73)를 송풍 경로(7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했기 때문에, 방전 전극(76)이나 쌍극(77), 또는 광촉매 모듈(74)에 오염 물질이 부착한 경우 등에 공간 방전 기구(73)를 탈취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하여, 이들에 부착한 오염 물질을 예를 들면 물세정 등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또, 공간 방전 기구(73)를, 와이어형상의 방전 전극(76)과 외형 평판형의 쌍극(77)으로 구성했으므로, 절연물을 거쳐서 방전을 행하는 연면(沿面) 방전 방식에 비하여 탈취 처리 공간을 많이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76, 77) 사이에 부극성의 고전압을 인가하도록 했기 때문에, 오존의 발생량을 보다 많이 할 수 있어, 탈취 효율이 향상된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8)는, 공간 방전 기구(73)에 대하는 전압 인가를 R 팬(43)의 운전과 동기시키고, 또, 공간 방전 기구(73)의 인가 전압을, R 팬(43)의 송풍량에 따라서 변화시키도록 했다. 따라서, 송풍 경로(71) 내에 고 내 냉기가 유통하는 경우에 더불어 탈취 장치(11)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탈취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R 팬(43)의 회전수가 낮아 냉기의 유량이 적어지는데에 따라서 인가 전압을 높이는 것으로, 유량의 저하에 따른 탈취 효율의 저하를 보상할 수 있다.
또, 광촉매 모듈(74)을, 공간 방전 기구(73)의 전극(76, 77) 사이에 배치했기 때문에, 공간 방전 기구(73)에 있어서 발생한 무지향성의 자외선을 광촉매 모듈(74)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조사시킬 수 있어, 광촉매 반응을 보다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광촉매 모듈(74)을, 송풍 경로(71) 내에 있어서 공간 방전 기구(73)의 상류측과 하류측과의 쌍방으로 배치했으므로, 공간 방전 기구(73)에 있어서 발생한 자외선의 이용 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덧붙여서, 광촉매 모듈(74)을, 다공질형의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의 표면에 산화 티탄을 고정하여 구성했으므로, 광촉매 모듈(74)을 송풍 경로(71) 내에 배치하여도, 냉기의 유통을 적극적으로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 산화 티탄을베이스로 고정하는 면적을 보다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고가인 재료인 산화 티탄의 사용량을 적극적으로 작게한 상태에서도 광촉매 반응을 높은 효율로 행할 수 있어, 유해 물질의 분해 제거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제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다른 부분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7은, 도3 상당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탈취 장치(11)는, 제1 실시예의 냉기 통로(101) 대신에, R 냉기 생성실(36)의 내부에 있어서 R 팬(43)의 상방측에, 유입구(71a)가 R 팬(43) 측이 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오존 분해 촉매(78)가, R 냉기 생성실(36)의 냉기 흡입구(38)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오존 분해 촉매(775)에 의해 냉기 흡입구(38)에 있어서도 오존을 분해함으로써, R 냉기 생성실(36) 내에 배치되어 있는 R 증발기 포레이트(33)나 그 밖의 배관 등을 오존의 산화력에 의해 부식시켜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오존 농도를 0.05 ppm 이하로 하면 좋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탈취 장치(11A)는, 냉장고 본체(1)와는 별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본체(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해진다. 그리고,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취 장치(11A)는, 야채실(13) 내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15)와 단열 칸막이판(1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냉기 통로(79)에 배치되어 있고, 탈취 장치(11A)의 유입구(71b)는, R 냉기 생성실(36)의 냉기 흡입구(38)와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9는, 탈취 장치(11A)의 착탈 상태를, 하부 케이스(15)를 제거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즉, 도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취 장치(11A)의 우측부의 후단측으로부터는, 교류 100V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플러그(80)가 연장되어 있고, 도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취 장치(11A)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전원 플러그(80)를 냉기 흡입구(38)의 옆에 배치되어 있는 소켓(81)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탈취 장치(11A)를 냉장고 본체(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했기 때문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방전 전극(76)이나 쌍극(77), 또는 광촉매 모듈(74)에 오염 물질이 부착한 경우 등에 공간 방전 기구(73)를 탈취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하여, 이들 부착한 오염 물질을 예를 들면 물세정 등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업무용이나 차량 탑재용 냉장고와 같이, 용적이 비교적 크고 고 내 분위기 중에 냄새 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빈번하게 보수를 필요로 하는 경우 등에 적합하다.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다른 부분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제4 실시예의 탈취 장치(11B)에서는, 공간 방전 기구(73) 대신에 공간 방전 기구(방전 수단)(81)가 배치되어 있다. 공간 방전 기구(81)를 구성하는 복수매(방전 전극 76의 수 + 1)의 쌍극(전극)(82)은, 단책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방전 전극(76)과 동일한 배열에 있어서, 방전 전극(76)과 교대로 또 그 평면이 냉기의 유통 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광촉매 모듈(74)은, 공간 방전 기구(81)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쌍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 공간 방전 기구(81)는, 제1 실시예의 공간 방전 기구(73)와 마찬가지로, 송풍 경로(7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공간 방전 기구(73)와는 독립하여 배치되어 있는 광촉매 모듈(74)도, 마찬가지로 착탈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4 실시예의 탈취에 관한 작용은,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지만, 쌍극(82)의 평면이 냉기의 유통 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 경로(71) 내에 있어서의 냉기의 유통을 적극적으로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도11은, 공간 방전 기구(81) 및 그 후단의 광촉매 모듈(74) 부분만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4 실시예에서는, 광촉매 모듈(74)을 송풍 경로(71)에 대하여 착탈시킬 때, 광촉매 모듈(74)이 공간 방전 기구(81) 측으로 향하는 면(A면)과 그 뒤에 맞닿는 B면이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공간 방전 기구(81)에 향하는 A면에 있어서는, 광촉매 반응이 활발하게 작용하는 것으로부터 오염 물질이 부착하기 쉽다. 따라서, 오염 물질의 부착이 어느 정도 진행한 단계에서, 광촉매 모듈(74)을 떼어 내어 세정 등을 행하기 전에 A면과 B면을 교체하면, 오염 물질의 부착이 거의 없는 B면을 이용하여 잠정적으로 광촉매 반응을 양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된다.
이상과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르면, 광촉매 모듈(74)을, 공간 방전 기구(81)를 향하는 A면과,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B면을 교체하여, 탈취 장치(11B) 본체에대하여 장착 가능하게 구성했기 때문에, 오염 물질의 부착이 어느 정도 진행되어 광촉매 반응이 저하한 경우라도, A면과 B면을 교체하면, 잠정적으로 광촉매 반응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촉매 모듈(74)을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12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다른 부분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제5 실시예의 탈취 장치(11C)는, 탈취 장치(11C)의 본체 내에 송풍용 팬(83)을 내장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5 실시예에 따르면, 탈취 장치(11C)의 팬(83)은, 냉장고 본체(1)의 R 팬(43)과는 독립하여 운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냉장고가 에너지 절약 운전시나 제상 운전시 등에 있어서 R 팬(43)을 정지시키고 있는 경우라도, 탈취 장치(11C)의 팬(83)을 운전시키면, 탈취 장치(11C)는 탈취 작용을 이룰 수 있다. 덧붙여서, 냉기를 순환시키지 않는 직냉 방식의 냉장고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1 또는 제5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다른 부분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제6 실시예의 탈취 장치(84)는, 전지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냉장고 본체(1)와는 완전하게 독립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 경로(85)의 하방측에는 기계실(86)이 형성되어 있고, 그 기계실(86)의 내부에는 승압 트랜스(87a)를 포함하는 고전압 인가부(87), 전지(88) 및 송풍용 팬(83)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DC 모터)(91)가 내장되어 있다. 또, 송풍 경로(85)의 유출구(85b)는, 도13 중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송풍 경로(85)는 대략 L 자형으로 되어 있다.
고전압 인가부(87)는, 전지(88)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도시하지 않은 교류 변환부에 의해서 일단 교류로 변환하면 승압 트랜스(87a)에 의해 승압하고, 승압 트랜스(87a) 이차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직류 변환부에 의해서 재차 직류로 변환하여, 최종적으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부극성의 펄스형 고전압을 방전 전극(76), 쌍극(77) 사이에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6 실시예에 따르면, 탈취 장치(84)는, 승압 트랜스(87a)를 이용하는 것으로 전지(88)에 의한 동작이 가능해지고, 냉장고와 완전하게 독립한 구성으로 되므로, 냉장고 내의 임의의 위치, 예를 들면, 비교적 냄새가 강한 식품을 s 저장하고 있는 부근 등에 배치하여, 탈취 작용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탈취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냉장고라도, 그 내부에 탈취 장치(84)를 배치하는 것으로 탈취 작용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하고 또 도면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와 같은 변형 또는 확장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광촉매 모듈(74)의 A면과 B면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광촉매 모듈(74)은, 공간 방전 기구(73, 81)의 상류측, 하류측의 어느 한쪽만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광촉매 모듈(76)에 인가하는 전압의 극성은, 정극성이라도 좋다. 또, 인가전압은, 펄스형의 전압에 한하지 않고, 정당적인 교류 전압, 직류 전압 등이라도 좋다.
또, 인가 전압은, 송풍 경로(71)의 풍량에 관계 없이 일정하게 설정하더라도 좋다.
또, 제어 장치(28)는, R 도어(7) 또는 V 도어(14)가 개방한 경우에, 탈취 장치(11)의 운전을 정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가 도어(7 또는 14)를 개방하여 고 내의 식료품 등을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고전압 방전을 정지 시킬 수 있다.
방전 기구는, 탈취 능력의 설정에 의해서는 연면 방전형의 전극 구성이여도 좋다.
쌍극(77)은, 메쉬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공간 방전 기구(73)의 인가 전압은, 송풍량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단순히 탈취 능력의 강약 설정에 따라서 변화시켜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고 내에 있어서 냉기가 순환하면, 그 순환 경로 내에 배치되어 있는 탈취 장치의 방전 수단에서는 고전압 방전에 의해 자외선이 발생하므로, 광촉매 모듈이 그 자외선을 받아서 활성화하고 광촉매 반응을 작용시켜, 순환 냉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냄새 성분이 산화 분해된다. 즉, 형광관 램프를 이용하지 않고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폐기시에 있어서의 특별한 취급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또, 고전압에 의해서 동시에 오존이 발생하므로, 그 오존의 산화력도 작용하므로 탈취 성분은 산화 분해되기 때문에, 광촉매 모듈에 의한 분해 작용과 더불어, 보다 많은 종류의 냄새 물질을 분해 제거할 수 있다. 덧붙여서, 발생한 오존을 순환 냉기에 의해 고 내에 확산시켜서 오존 분위기를 형성함으로써, 고 내의 식료품 등에 대하여 항균 작용을 이룰 수 있으므로, 식품의 선도 유지에 관해서도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방전 수단에 있어서 발생된 오존을 분해하는 오존 분해 수단을 적어도 방전 수단 및 광촉매 모듈의 하류측에 배치하므로, 고전압에 의해서 발생한 오존은 분해되게 되고, 고 내의 오존 농도가 과잉으로 상승하여, 도어를 개방한 때에 사용자가 오존 냄새를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오존이 분해됨으로써 활성 산소가 보다 발생하기 쉬워지게 되므로, 보다 강한 산화력이 얻어지고, 탈취 효율이 한층 향상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오존 분해 수단을 열교환기의 냉기 흡입구 부분에 배치하므로, 순환 냉기가 열 교환기에 들어가기 전의 단계에서 오존을 분해하여, 내부의 구성 부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광촉매 모듈을, 방전 수단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쌍방에 배치하므로, 방전 수단에 있어서 발생한 자외선의 이용 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광촉매 모듈을, 탈취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하므로, 광촉매 모듈의 표면에 무기물 등의 오염 물질이 부착한 경우 등에, 광촉매 모듈을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하여, 부착한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광촉매 모듈을, 방전 수단을 향하는 면과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을 교체하여 본체에 대하여 장착 가능하므로 오염 물질의 부착이 어느 정도 진행한 단계에서, 방전 수단을 향하는 면과 그 반대 측에 위치하는 면을 교체함으로써 오염 물질의 부착이 거의 없는 반대측의 면을 이용하여 광촉매 반응을 양호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광촉매 모듈을, 다공질형의 세라믹으로 구성되는 베이스의 표면에 광촉매 재료를 고정하므로, 광촉매 모듈을 송풍 경로 내에 배치하더라도, 냉기의 유통을 적극적으로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 광촉매 재료를 베이스에 고정하는 면적을 보다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광촉매 반응을 높은 효율로 행할 수 있어, 유해 물질의 분해 제거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고 내의 냉기 순환이 행해지는 경우에 더불어 방전 수단에 방전을 행하게 하므로 탈취 작용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탈취 장치에, 방전 수단 및 광촉매 모듈에 송풍하기 위한 팬을 구비하므로, 탈취 장치는, 냉장고가 냉기를 순환시키는지 아닌지에 관계 없이, 독립하여 방전 수단 및 광촉매 모듈에 송풍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방전 수단을, 2개의 전극 사이에서 직접 방전을 행하는 동시에 냉장고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하므로, 절연물을 거쳐서 방전을 행하는 연면 방전 방식에 비하여 탈취 처리 공간을 많이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극에 오염 물질이 부착한 경우 등에는, 방전 수단을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하여 부착한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방전 수단의 전극 사이에 부극성의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방전을 행하기 때문에, 오존의 발생량을 보다 많게 할 수 있어, 탈취 효율이 향상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전압 변화 수단은, 방전 수단의 방전 전압을 변화시키므로, 예를 들면, 팬의 회전수가 낮고 송풍량이 적어짐에 따라서 인가 전압을 높임으로써, 송풍량의 저하에 따른 탈취 효율의 저하를 보상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도어의 개폐시에 방전 수단에 있어서의 방전을 정지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한 경우에, 고전압 방전을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광촉매 모듈을, 방전 수단의 전극 사이에 배치하면 좋고,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방전 수단에 있어서 발생한 자외선을 광촉매 모듈에 대하여 조사할 수 있어, 광촉매 반응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탈취 장치를, 냉장고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해지므로, 탈취 장치를 냉장고로부터 떼어 내고, 탈취 작용에 의해서 분해되어 각부에 부착한 물질을 제거하는 등의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업무용이나 차량 탑재용 등의 대용량 냉장고 등에 적합하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냉장고에 따르면, 탈취 장치를 전지에 의한 동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탈취 장치를, 사용자가 소망하는 곳에 배치하여 탈취 작용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된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탈취 장치에 따르면, 탈취 장치를, 탈취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냉장고의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탈취를 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7)

  1. 냉기의 순환 경로 내에, 고 내의 탈취를 행하기 위한 탈취 장치를 배치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탈취 장치는, 고전압 방전에 의해서 오존 및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방전 수단과, 광촉매 작용에 의해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냄새 성분이나 유해 물질 등의 분해를 행하는 광촉매 모듈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방전 수단에 있어서 발생된 오존을 분해하는 오존 분해 수단을, 적어도 방전 수단 및 광촉매 모듈의 하류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오존 분해 수단을, 열 교환기의 냉기 흡입구 부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촉매 모듈을, 방전 수단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쌍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촉매 모듈은, 탈취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광촉매 모듈은, 방전 수단을 향하는 면과,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을 교체하여, 본체에 대하여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촉매 모듈은, 다공질형 세라믹으로 구성되는 베이스의 표면에, 광촉매 재료를 고정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 내의 냉기 순환이 행해지는 경우에 더불어, 방전 수단에 방전을 행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취 장치는, 방전 수단 및 광촉매 모듈에 송풍하기 위한 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전 수단은, 2개의 전극 사이에서 직접 방전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탈취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전 수단의 전극 사이에, 부극성의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방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전 수단의 방전 전압을 변화시키는 전압 변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의 개방시에, 방전 수단에 의한 방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촉매 모듈을, 방전 수단의 전극 사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취 장치는, 냉장고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탈취 장치는, 적어도 방전 수단의 동작이 전지에 의한 전원 공급에 의해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기재된 냉장고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KR10-2001-0033748A 2000-06-16 2001-06-15 냉장고 및 탈취 장치 KR100438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81518A JP3754601B2 (ja) 2000-06-16 2000-06-16 冷蔵庫
JP2000-181518 2000-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500A true KR20010113500A (ko) 2001-12-28
KR100438885B1 KR100438885B1 (ko) 2004-07-03

Family

ID=18682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748A KR100438885B1 (ko) 2000-06-16 2001-06-15 냉장고 및 탈취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754601B2 (ko)
KR (1) KR100438885B1 (ko)
CN (1) CN1144995C (ko)
ID (1) ID30533A (ko)
SG (1) SG94842A1 (ko)
TW (1) TW47479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832B1 (ko) * 2000-11-20 2004-11-0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탈취 장치
KR100620882B1 (ko) * 2003-10-31 2006-09-1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광촉매 반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8706B2 (ja) * 2001-09-28 2007-12-26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3933525B2 (ja) * 2002-05-30 2007-06-20 株式会社東芝 脱臭装置
CN100340831C (zh) * 2004-01-20 2007-10-03 河南新飞电器有限公司 光触媒负离子杀菌冰箱
CN1325862C (zh) * 2004-01-20 2007-07-11 河南新飞电器有限公司 一种光触媒负离子杀菌冰箱
CN100441989C (zh) * 2004-07-12 2008-12-1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冰箱用去除异味装置
JP2009030921A (ja) * 2007-07-30 2009-02-12 Panasonic Corp 直冷式冷蔵庫および除菌装置
JP2009030917A (ja) * 2007-07-30 2009-02-12 Panasonic Corp 直冷式冷蔵庫および除菌装置
CN102080915B (zh) * 2007-04-20 2013-12-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冷藏库
JP5211574B2 (ja) * 2007-07-30 2013-06-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JP2008286462A (ja) * 2007-05-17 2008-11-27 Panasonic Corp 冷蔵庫
JP5359139B2 (ja) * 2008-04-25 2013-1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JP2010203696A (ja) * 2009-03-04 2010-09-16 Panasonic Corp 冷蔵庫
JP5248275B2 (ja) * 2008-11-18 2013-07-31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2010164284A (ja) * 2009-01-19 2010-07-29 Toshiba Corp 冷蔵庫
CN101929786B (zh) * 2009-06-22 2013-01-30 株式会社东芝 冰箱
JP5622438B2 (ja) * 2010-05-10 2014-11-12 ボストン・コム株式会社 保冷庫
JP2013015268A (ja) * 2011-07-04 2013-01-24 Sharp Corp 冷蔵庫
JP5861204B2 (ja) * 2012-03-06 2016-02-16 株式会社増田研究所 小型脱臭器
WO2016147792A1 (ja) * 2015-03-19 2016-09-22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空気清浄機
WO2016175274A1 (ja) * 2015-04-28 2016-11-03 シャープ株式会社 光触媒モジュール、それを備える冷蔵庫
KR20170003283A (ko) 2015-06-30 2017-01-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정화 선도유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36453B1 (ko) * 2016-06-15 2024-02-1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탈취 모듈 및 탈취 모듈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
KR102653707B1 (ko) * 2016-06-02 2024-04-0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탈취 모듈 및 탈취 모듈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
WO2017209434A1 (ko) 2016-06-02 2017-12-07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탈취 모듈 및 탈취 모듈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
KR102629959B1 (ko) * 2017-01-24 202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N110975560A (zh) * 2019-12-30 2020-04-10 哈尔滨工业大学(深圳) VOCs废气净化处理方法和装置
CN111981757A (zh) * 2020-09-03 2020-11-24 苏州大学 一种冰箱冷藏区的除异味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9481A (ja) * 1988-02-26 1989-09-01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等の脱臭装置
DE69008601T2 (de) * 1989-03-31 1994-08-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erät zum Deodorieren mit Ozon.
FR2693259B1 (fr) * 1992-03-13 1995-07-21 Decupper Jean Dispositif pour l'equipement de chambres froides utilisees pour le stockage de produits alimentaires.
JPH06249560A (ja) * 1993-02-26 1994-09-06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832B1 (ko) * 2000-11-20 2004-11-0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탈취 장치
KR100620882B1 (ko) * 2003-10-31 2006-09-1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광촉매 반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94842A1 (en) 2003-03-18
JP2001355958A (ja) 2001-12-26
ID30533A (id) 2001-12-20
TW474796B (en) 2002-02-01
JP3754601B2 (ja) 2006-03-15
KR100438885B1 (ko) 2004-07-03
CN1330254A (zh) 2002-01-09
CN1144995C (zh) 200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8885B1 (ko) 냉장고 및 탈취 장치
US7056476B2 (en) Refrigerator and deodorizer producing ozone by high-voltage discharge
JP2637693B2 (ja) 冷蔵庫の多機能付加装置
JP4526475B2 (ja) 冷蔵庫
JP4526478B2 (ja) 冷蔵庫
TWI409421B (zh) Refrigerators and sterilization devices
KR100438882B1 (ko) 냉장고
JP2011038771A (ja) 冷蔵庫
KR100454832B1 (ko) 탈취 장치
JP2005201542A (ja) 冷蔵庫
KR100406093B1 (ko) 탈취 장치 및 냉장고
JP4285245B2 (ja) 冷蔵庫
JP2008014572A (ja) 冷蔵庫
JPH0692825B2 (ja) 空気浄化装置
JP2005207639A (ja) 冷蔵庫
JP2002277152A (ja) 冷蔵庫
JP2009030918A (ja) 直冷式冷蔵庫および除菌装置
JP3240838B2 (ja) 車両コンテナ用オゾン脱臭殺菌装置
KR0117180Y1 (ko) 냉장고의 살균 및 탈취장치
JP2005069649A (ja) 冷蔵庫
JP2007170780A (ja) 冷蔵庫
CN117989793A (zh) 杀菌净味装置、制冷设备及杀菌净味控制方法
KR100672548B1 (ko) 냉장고의 살균 및 탈취 장치
JPS63189768A (ja) 冷蔵庫
JPH07104094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