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859A - 제지기계등의 건조부에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제지기계등의 건조부에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859A
KR20010112859A KR1020017010709A KR20017010709A KR20010112859A KR 20010112859 A KR20010112859 A KR 20010112859A KR 1020017010709 A KR1020017010709 A KR 1020017010709A KR 20017010709 A KR20017010709 A KR 20017010709A KR 20010112859 A KR20010112859 A KR 20010112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negative pressure
boosted
cylind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0518B1 (ko
Inventor
레이요 조키넨
안티 코무라이넨
카리 주피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메트소 페이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메트소 페이퍼 인크.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10112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5/02Drying on cylinders
    • D21F5/04Drying on cylinders on two or more drying cylind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5/02Drying on cylinders
    • D21F5/04Drying on cylinders on two or more drying cylinders
    • D21F5/042Drying on cylinders on two or more drying cylinders in combination with suction or blow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5/02Drying on cylinders
    • D21F5/04Drying on cylinders on two or more drying cylinders
    • D21F5/042Drying on cylinders on two or more drying cylinders in combination with suction or blowing devices
    • D21F5/046Drying on cylinders on two or more drying cylinders in combination with suction or blowing devices using pocket ventilation systems

Landscapes

  • Paper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Nozzles (AREA)
  • Advancing Webs (AREA)

Abstract

웨브(16)가 실린더(10)와 지지 직물(18) 사이의 개방된 닙(K1)으로부터 롤(14)을 향해 전달되는, 제지 기계 등의 건조부 등에서의 방법 및 장치는 송풍 박스(30) 등에 의해 발생되는 음압에 의해 지지된다. 소위 증압된 음압 영역(34')에서, 즉 지지 직물과 실린더 사이의 해제점(40)에 근접한 음압은 이 해제점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보다 더 크다. 본 발명에 따라, 웨브의 속도, 웨브의 고체 함량, 사용되는 펄프의 조성물, 제조되는 종이 또는 판지 특성, 웨브의 g/m2, 공극률, 웨브에서의 견인 작용 또는 웨브 장력과 같은 웨브의 특성, 실린더 온도 및/또는 웨브 파손, 스레딩 상태 또는 정상 주행과 같은 주행 상태와 같이, 웨브의 주행성에 작용하고, 변화될 수 있거나 주행중에 변화하는 하나 이상의 변수에 따라 음압은 증압된 음압 영역(34')에서 제어되어서, 바람직한 주행성이 실린더(10)와 롤(14) 사이에서 유지된다.

Description

제지 기계 등의 건조부에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IN THE DRYING SECTION OF A PAPER MACHINE OR THE LIKE}
이전에는, 와이어가 건조용 실린더의 표면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와이어 포켓에서, 특히 건조용 실린더와 와이어 사이의 개방된 갭에서 음압이 크게 필요하다는 것이 인지되었다. 그러나, 요구되는 음압 수준까지의 전체 포켓의 음압 증가는 특정 단점을 발생시킬 것이다. 전체 포켓 공간이 동일하게 높은 음압 수준까지 도달되어야 하는 경우에 다량의 에너지가 사용되어야 한다. 다수의 공기 누출 지점은 충분히 높은 음압에 도달하는 것과 그것을 유지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충분하게 음압을 증가시키는 것은 송풍 박스의 지원으로 일반적으로 가능하였다.
또한, 높은 음압 수준까지 전체 포켓의 증가하는 음압은 다른 단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포켓 높이의 길이에 대하여 와이어가 오랫동안 주행하는 경우에, 높은 음압은 와이어와 웨브를 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는 송풍 박스의 표면이나 기타 가요성 표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것은 와이어 손상을 발생시키고 주행성을 감소시킨다. 웨브의 중심부와 에지부(edge part)는 다른 방향으로 휠 수 있고, 이것은 웨브의 신장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주행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개방된 닙의 높은 음압은 건조용 실린더상에서 와이어 해제점을 더 높이 이동시킬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었다.
목적은 종이 웨브에서 드로우(draw)를 증가시킴으로써 건조용 실린더와 와이어 사이의 개방된 갭에서 웨브의 주행을 보장하는 것이었다. 드로우는 속도차가 웨브에서 인장을 발생시키도록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너무 높은 드로우는 종이의 장력을 감소시키고, 종이질을 감소시키며, 종종 주행성을 감소시키고, 즉 더 많은 웨브 손상을 발생시키므로, 드로우를 증가시키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전에는, 더 높은 음압을 발생시키도록 실린더와 와이어 사이의 개방된 닙에 특별한 흡입 박스를 배치하는 것도 제안되었다. 미국 특허 공개 제 US 5,341,579 호는 개방된 닙에 특별한 소형 흡입 박스를 배치하는 것을 제안하는데, 이것으로 특정 음압이 이 지점에서 유지된다. 이 흡입 박스(20)와 흡입 롤(12)의 음압은 동일하게 음압 송풍기(32)에 의해 발생된다. 따라서 그것들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없다.
미국 특허 공개 제 US 5,782,009 호는 2개의 건조용 실린더 사이의 포켓에 장착됨으로써, 흡입 박스가 2부분으로 분할되는, 흡입 박스를 제공한다. 더 높은 음압을 가지는 흡입 박스부 1은 건조용 실린더와 와이어 사이의 해제점의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영역은 기계적 밀봉이 지원되는 환경으로부터 구분된다. 웨브의횡방향에서, 더 높은 음압을 가지는 상기 부분 1은 몇개의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고, 여기에서 다른 음압이 웨브 에지의 주행을 보장하도록 발생될 수 있다.
미국 특허 공개 제 US 4,359,827 호는 2개의 건조용 실린더 사이에 형성된 포켓에 배치되는 다중-구획 흡입 박스를 제공한다. 흡입 박스의 한 구역은, 건조용 실린더와 와이어 사이의 해제점 이전에, 와이어의 주행 방향에 관해서 제 1 건조용 실린더의 와이어 전방에 배치된다. 더 높은 음압이 와이어상에 접하는 흡입 박스의 다른 구역보다 흡입 박스의 이 구역에서 발생된다.
본 발명은, 판지 기계 또는 마무리 기계와 같은, 기계 등의 건조부 등에서의, 하기된 독립항의 도입부에 의해 정의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좀더 자세하게는
- 웨브(web)가 실린더(cylinder)와 지지 직물 사이에서, 건조용 실린더, 롤(roll) 등과 같은 실린더상의 와이어(wire) 또는 펠트(felt)와 같은 지지 직물에 의해 전달되고, 지지되며,
- 지지 직물로 지지되면서, 웨브는 개방된 닙(nip)으로부터 실린더와 지지 직물 사이에서, 흡입 롤, 회전 롤, 와이어 안내 롤, 기타 실린더 등과 같은 롤을 향해 안내되고,
- 개방된 닙으로부터 상기 롤을 향한 웨브의 주행은 와이어의 웨브 대향측상에 발생되는 음압에 의해 지지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제지, 판지 또는 마무리 기계 등의 건조부에 적용되도록 의도된다. 그리고 목적은 단일 와이어 또는 쌍을 이룬 와이어 주행이 제공되는 건조부에 본 발명을 적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여기에서 와이어 포켓(wirepocket)은 2개의 건조용 실린더와 그것들 하부의 와이어 주행을 재지향시키는 롤 사이에 형성된다. 목적은 또한 소위 역주행이 제공되는 건조부에, 즉 와이어 주행을 재지향시키는 롤이 건조용 실린더상에 배치되는 상기 건조부에, 또는 건조용 실린더가 2개 이상의 레벨(level)상에서 각각 다른 것상에 배치되는 방법에 본 발명을 적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목적은 상기된 건조부의 조합이 제공되는 건조부에 본 발명을 적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목적은 또한 상기된 기계의 기타 부분에서 적절한 지점에 본 발명을 적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와이어 포켓 영역에서 웨브에 작용하는 힘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의해 발생된 상응하는 음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이 음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에서 발생하는 힘에 대한 대항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단일 와이어 주행이 제공되는 제지기의 건조부에서 2개의 건조용 실린더 사이의 포켓의 수직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가능한 증압된 음압 수준이 제공된 송풍 박스는 포켓에 배치됨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2중 와이어 주행이 구비된 건조부에서 도 3에 따른 해결책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3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3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3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제어 가능한 음압 수준이 구비된 송풍 박스가 포켓에 배치되는, 도 3에 따른 해결책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3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3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필요한 음압이 기계 속도에 따르는 방식을 보여주는 표.
따라서 본 발명의 특별한 목적은, 소위 증압된 음압 영역, 즉 지지 직물과 실린더 사이의 해제점에 근접한 음압이, 소위 더 작은 음압 영역, 즉 이 해제점으로부터 일정 거리의 음압보다 더 높은, 방법 및 장치이다.
이번에는, 건조되는 웨브가, 개방된 닙에서 이용되는 더 높은 음압 수준에도 불구하고, 모든 환경에서 최적의 주행 결과를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것이 의외로 인지된다. 여러가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웨브는 건조용 실린더로부터 항상 적절하게 해제되지 않거나, 해제후에, 웨브는 신장될 수 있어서 그것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와이어를 따를 수 없다. 그곳에서 웨브 손상을 발생시키고 결점이 웨브에 생성된다.
도 1은 와이어 포켓(20)의 영역에서 웨브(16)상에 작용하는 힘(F)을 도시한다. 건조용 실린더(10)와 와이어(18) 사이의 개방된 닙(K1)의 개시부에서, 높고 협소한 "힘 피크(force peak, F1)"가 웨브상에 작용함으로써, 피크의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이러한 피크는 웨브를 신장시키고, 예를 들어 어떤 조건에서는 웨브에 "버블(bubble)"을 발생시키며, 이 "버블"은 더 이상 충분히 와이어를 따를 수 없다. 약한 지점이 "버블"이 위치한 웨브에 형성되고, 이것은 와이어의 주행성을 감소시킨다. 와이어와 롤(14) 사이의 닫힌 닙(K2)에서와 같이, 와이어가 주행하는 경우에 다른 지점에서는, 웨브상에 작용하는 힘(F2)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더 작고 또는, 그것들은 유도되어서 그것들은 와이어에 대해 근접한 웨브를 가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문제점이 최소화된 건조부에 개선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목적은, 웨브의 주행과 함께, 특히 와이어 포켓에서, 주행 상태중에 제어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목적은 특히, 상기된 건조부 주행성과 함께, 개방된 닙에서 웨브의 거동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이 다른 주행 상태에서 최소화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상기된 개방된 닙의 위치에서 높은 음압의 적절한 수준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하기된 독립항의 특징부에 정의된 것에서 특징지워진다.
건조용 실린더와 와이어 사이에 형성된 포켓 공간에서, 제지 기계 건조부의 음압에 대한 개별적인 필요성은, 제조 변수와 주행중인 종이질의, 다수의 인자들로 일반적으로 좌우된다.
어떤 조건에서는, 예를 들어 제지 기계의 속도, 웨브의 고체 함량, 사용되는 펄프 특성, 웨브 특성, 와이어 장력, 건조용 실린더의 온도가 와이어의 개방된 닙에서 건조용 와이어에 대해 근접하게 웨브를 유지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에 특히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서, 이 인자들이 주행성에 특별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추가로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에 대해 웨브를 부착시키는 다른 변화하는 힘을 상쇄시키기 위해, 실린더와 대향하는 웨브측의, 개방된 닙에서 실린더의 표면으로부터 웨브를 해제시키는데에 제어가능한 음압이 요구된다. 포켓 공간의 일반적인 음압 제어로부터 개방된 닙에서 개별적으로 음압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방법에 따라,
- 웨브 속도,
- 웨브의 고체 함량,
- 사용되는 펄프의 조성물,
- 제조되는 종이 또는 판지 특성,
- 웨브의 g/m2,
- 공극률과 같은, 웨브 특성,
- 웨브에 작용하는 드로우, 또는 웨브 장력,
- 실린더 온도 및/또는
- 웨브 파손, 스레딩(threading) 상태 또는 정상 주행과 같은, 주행 상태
와 같이, 웨브의 주행성에 작용하고 변화될 수 있거나 주행중에 변화하는 하나 이상의 변수에 따라 건조부의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 음압(Pnip)이 제어되어서 웨브는 제어된 방식으로 실린더의 표면으로부터 해제되고 최적의 주행성이 실린더와 롤 사이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개별적인 주행과 종이 특성에 의해 한정되는 변수에 따라서 높거나 증압된 음압 영역의 수준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 음압이 더 높을수록
- 습기가 더 많은 웨브,
- 더 빠른 주행 속도,
- 더 고온의 건조용 실린더 표면,
- 더 약한 웨브, 또는
- 목적으로 하는 더 양호한 주행성
을 유지하는데 유리한 것이 인지된다.
웨브의 건조 고체 함량은 건조용 실린더로부터의 웨브 해제에 필수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웨브가 더 많은 습도를 포함하면 실린더로부터 웨브를 해제하기가 더 어려우며, 또한 우수한 주행성을 달성하기가 더 어렵다. 따라서, 전술된 바와 같이 웨브의 건조 고체 함량이 압축에 의해 이미 가능한 한 높은 수준으로 증가시킬 목적이 있으므로, 그 웨브는 건조부에서 우수한 주행성을 지녀야 한다. 주행성에 관련하여 이전과 같은 범위까지는 주의할 필요는 없으며, 웨브의 습도는 건조부에서 나타나는 바, 이때 본 발명이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있어서, 상대 습도 측면에 있어서도 웨브가 압축부로부터 건조부로 향하는 바, 이는 주행성에 영향을 미치는 건조용 실린더로부터의 제어된 해제가 건조용 실린더의 개방 닙에서 높은 음압으로 보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을 적용할 때, 원하는 특성을 갖는 최종 제품이 획득되도록, 예컨대 단지 적합하게 가압되는 벌크(bulk) 제품이 획득될 수 있도록 습도가 선택될 수 있다.
증압된 음압 영역에 있어서, 예컨대 웨브가 65%의 건조 고체 함량에 이를 때까지 즉, 더 높은 음압이 습한 웨브로 인해 또한 그 웨브의 해제를 방지하는 힘을 보상하기 위한 어떠한 것도 필요없는 충분한 강도에 이를 때까지 더 높은 음압을 유지하고 또한 제어할 수 있다. 높은 음압은 전형적으로 건조부의 개시부에서 유지되고 또한 제어되어야 하는 바, 이는 웨브에서의 내부 장력이 그 웨브로 하여금 건조용 실린더의 표면으로부터 제어된 방식으로 해제되게 하고 또한 와이어를 따라가게 하도록 많이 건조되고/또는 위축되기 때문이다. 특히, 그 같은 경우에 있어서, 매우 불량한 품질을 갖는 펄프가 사용되는 경우, 전체 건조부에서 증압된 음압을 사용하는 것은 단점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축 및 건조부에서 전체 폭을 스레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축에서의 스레딩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픽업 롤은 와이어부로부터 나오는 전폭의 웹에 대해 하강되며, 그리고 전폭의 웹은 프레스를 통해 이송되고 지지 직물에 의해 지지된다. 하나의 지지 직물로부터 후속하는 프레스까지의 이송에 있어서, 웨브 이송은 음압의 도움을 받는다. 따라서, 웨브는 프레스로부터 건조부의 제 1 건조용 실린더까지 전폭으로 이송된다. 건조부에 있어서, 웨브는 그것이 전폭을 지닐 수 있도록 건조부를 통해 계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간헐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용 실린더 사이의 포켓에서의 음압과, 포켓의 다른 영역에서의 음압과 증압된 음압 모두가 전환되어야 한다.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의 높은 음압은, 건조용 실린더의 각각의 개방 닙에서 지지 직물에 대해 이동중인 전폭의 웹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부착시킨다.
다른 한편, 프레스로부터 나오는 웨브는 먼저 건조부내의 제 1 건조용 실린더의 조절 블레이드(doctor blade)에서 정지될 수 있으며, 그리고 웨브는 펄프 제조기(pulper)내로 또는 기계의 하부를 향해 하방으로 유동되는 것이 허용된다. 웨브의 펄프 제조기 등으로의 통과는, 웨브의 전체 폭을 넘는 건조부의 제 1 포켓의 영역에서 박스 등에 정렬된 낙하 송풍(drop blow)에 의해, 또한 와이어의 제 1 회전 롤의 흡입뿐 아니라 포켓에 정렬된 박스의 흡입 및 송풍을 차단함으로써 지원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부를 통한 웨브의 실제적인 스레딩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프레스 하중이 원하는 라인 압력에 대해 설정된다. 포켓 영역에서, 흡입과 송풍이 회전 롤 등에서 분사 노즐 및/또는 흡입구가 제공된 박스에서 전환되며, 또한 제 1 건조용 실린더를 넘어 지나가는 웨브는 송풍에 의해 즉시 절단되고, 또한 기계의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부터 모두 동시에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스레딩에 적합하게 조절되는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의 높은 음압은, 전폭의 웨브가 건조 와이어를 따라 건조 영역 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웨브는 포켓에 형성된 음압 및 흡입에 의해 건조부에서의 원하는 지점까지 안내될 때 전폭을 지닐 수 있으며, 그리고 전폭 웨브의 전방 통과는 이 같은 실린더 후에 웨브를 수행하는 송풍 및 흡입을 차단함으로써 적합한 건조용 실린더에서 정지될 수 있다. 웨브가 정지되면 통상적인 리더는 앵글 커터(angle cutter)의 도움으로 웨브로부터 절단될 수 있으며, 이 같은 리더의 도움으로 웨브의 헤드는 통상의 방식으로 건조부의 나머지를 통해 스레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있어서, 건조용 실린더로부터의 웨브의 해제는 다음 식을 따라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 음압(Pnip)을 조절함으로써 다른 구동속도에서 보장될 수 있는바, 그 식은
dp/dx=48μνR2/x4
식중 p=압력
x= 해제 지점으로부터의 거리
μ=공기의 속도
V=웨브의 속도
R=실린더의 반경이다.
이 식은 음압 수준에 대한 제시값(suggestive value)을 제공한다. 계산된 값은 종종 실제 획득된 값보다 높게될 수 있는바, 이때는 실제의 음압 수준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한정하고 있다. 예컨대, 음압의 최대 수준은 웨브와 와이어의 결합된 투과성에 의해 결정된다.
제지 기계의 속도를 높이면 높일수록 건조용 실린더와 통상의 건조부에서의 와이어 사이에서 개방 닙내의 웨브의 통과를 제어하게 되는 것을 더 어렵게 할 것인 바, 이것은 실린더 표면에 비교적 견고하게 부착된 웨브가 속도가 증가한 것보다 많이 건조용 실린더를 따르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수백 미터의 속도의 증가는, 예컨대 500㎩의 음압으로부터 1000㎩의 음압까지의 배가된 음압 수준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 음압을 제어함으로써, 예컨대 이로부터 주행성이 제한됨이 없이 통상적으로 화학적 펄프의 더 작은 양보다 낮은 품질로 되는 펄프를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섬유의 일부는 섬유보다 싼 필러(filler)로 교체될 수 있다. 첨가제의 일부는 값싼 첨가제로 교체될 수 있다. 적절하게 높은 음압 수준은, 웨브가 건조용 실린더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보장한다.
건조부의 효율 및 종이 주행성은 실제로 종래의 것보다 높은 수준으로 최적화될 수 있는 바, 이는 단지 기계 속도, 종이의 건조 고체 함량 및/또는 종이의 질에 따라 개방 닙에서 음압 수준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을 적용하면 종종 종래보다 높은 수준까지 건조용 실린더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바, 이는 조절 가능한 증압된 음압에 따라 고온에 의한 웹의 강도의 변화에 대해 보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종종 건조용 실린더의 고온으로 인해 건조부에 특별한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예컨대, 프레스부와 건조부간의 드로우의 차이는 주로 주행성을 기초로 하여 선택된다. 발명을 적용하면, 특히, 음압 제어의 조절로 개방 닙에서의 주행성을 개선시키면 다른 지역에서의 장력의 차이 또한 선택할 수 있다. 드로우의 차이의 선택은 다공성과 같은 종이질, 종이 특성, 파단강도를 기초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기계의 속도가 증가하면, 통상의 해결 방안에서의 프레스와 건조부 사이의 드로우의 차이는 웨브의 질이 감소할 정도로 많이 증가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압의 제어는, 유공성과 같이 웨브의 질의 특성이 적어도 실제적으로 이같은 거리를 넘어 변하지 않을 낮은 수준으로 드로우의 차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드로우에서의 전형적인 전체적인 차이는, 웨브가 65%의 고체 함량까지 건조되기 전에는 4.5%보다 낮게 유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적용하면 3% 이하로도 유지될 수 있다.
종래에는 조절된 방식으로 건조용 실린더로부터 웨브를 해제하는데 필요한 드로우의 차이를 획득하기 위해 건조부를 다른 그룹으로 분리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책에 의하면, 종래와 동일한 양에서 주행성에 영향을 줄 필요가 없으며, 종래보다 긴 건조 그룹이 건조부의 개시부에 배치될 수 있다.
1500 내지 2500 m/m, 대표적으로 약 2000 m/m의 속도를 갖는 빠른 제지기에본 발명을 적용하면, 건조부의 개시부에 단일 와이어 주행 건조 그룹을 배치할 수 있는 바, 그 그룹은 전형적으로 8개이상, 바람직하게는 10개, 또는 그 이상의 건조용 실린더를 지닌다. 긴 건조 그룹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의하면,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 주행상태에 따라, 500㎩이상, 더 일반적으로는 1000㎩이상, 그러나 20000㎩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0㎩ 이하의 음압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전술된 값으로부터 음압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음압 수준은 음압(Proll)보다 높은 것이 전형적인 바, 이는 와이어의 회전 롤의 표면에서 효과가 있다. 포켓의 다른 부분에서의 음압 수준은, 약 10내지 7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전형적으로는 200 내지 300㎩의 수준으로 현저히 낮게 된다.
증압된 음압 영역이 실린더의 개방 닙에서 와이어 주행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전형적이므로, 증압된 음압 영역은 실린더와 와이어 사이의 실제 해제 지점 이전의 짧은 거리에서 시작하여 필요한 이격 방향을 향해 연장하게 된다. 가장 큰 음압이 필요한 곳은 특히 해제 지점에 존재한다. 구동 중 해제 지점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음압의 제공이 모든 주행 상태 동안 발휘될 수 있도록 송풍 박스가 배치되어야 한다. 단일 와이어 구동이 제공된 건조부에 있어서, 증압된 음압 영역은 전형적으로 5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의 길이를 갖는 개방 닙에서 하나의 영역으로 될 수 있는 것이 전형적이다. 증압된 음압 영역의 길이라 함은 시일(seal), 스로틀링 수단, 송풍 노즐과 같은 2개의 수단 사이에서 웨브의 이동 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하는 바, 그 같은 수단들의 사이에는 이 영역에 인접한 공간에서보다 포켓 공간에서 더 높은 음압이 생성된다.
증압된 음압을 갖는 영역은 웨브의 횡단 방향으로 좁은 갭형 영역을 형성한다. 그 영역이 작으면, 그것에 관련된 누설은 작으며, 음압은 쉽고 저렴한 비용으로도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된다. 영역이 웨브의 이동방향으로 짧아지면, 매우 짧은 순간 동안에만 웨브와 지지 직물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에 따라 높은 음압에도 불구하고, 해로운 신장 또는 다른 불리한 변화를 형성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압이 극복해야할 힘의 장점, 즉, "힘 피크"는 매우 제한된 영역에 위치한다. 증압된 음압 영역은 개방 닙의 방향으로 즉, 웨브의 이동방향으로 와이어와 건조용 실린더 사이의 해제 지점으로부터 최대 3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40㎜, 전형적으로는 80㎜로 연장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응하게, 증압된 음압 영역은 웨브의 이동 방향에 대해 와이어와 건조용 실린더 사이의 해제 지점으로부터 최대 3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 전형적으로는 70㎜로 연장될 것이다.
본 발명은, 건조용 실린더로부터 나오는 와이어 경로의 전방의 와이어 포켓에 정렬되고 웨브의 전체폭을 지나 연장하는 송풍 박스, 송풍 박스 결합체, 또는 흡입 박스 또는 흡입 박스 조립의 도움으로 생성되는 건조부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박스에 의해 생성된 음압의 도움으로 웨브는 개방 닙 후방으로 원하는 거리를 지나서도 와이어에 부착되어 유지된다. 통상의 건조부에 있어서, 송풍 박스 또는 흡입 박스는 그 포켓의 대부분을 점유하는 바, 소위 그 와이어 포켓은 2개의 건조용 실린더와 그들 사이의 회전 롤 사이에 형성되며, 회전 롤은 예컨대 흡입 롤로 된다.
본 발명의 적용에 적합한 송풍 박스는, 와이어와 실린더 사이의 실제 해제 지점으로부터 웨브의 이동 방향을 향하는 짧은 거리로 연장하도록 와이어와 실린더 사이의 개방 닙에서 주로 실린더로부터 이격되는 와이어의 측방에 배치되고 또한 송풍 공기를 발생시키는 수단이 결합되는 것이 대표적이다. 송풍 박스에는 와이어에 인접하고 웨브의 이동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된 분사 노즐과 같은 2개의 노즐, 또는 하나의 분사 노즐 및 하나의 시일링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분사노즐 또는 시일은 와이어와 실린더 사이의 개방 닙에 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와이어와 실린더 사이의 실제 해제 지점 이전에 배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 2 노즐 또는 시일은 예컨대, 흡입 롤 또는 회전 롤의 폐쇄 닙(갭)과 제 1 노즐 및 개방 닙으로부터 일정거리에서 웨브의 이동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제 2 건조용 실린더 또는 건조용 실린더들 사이의 롤에서 포켓의 다른 측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분사 노즐들이 송풍 장치와 와이어 사이의 갭으로부터 멀리 공기 제트를 송풍하도록 송풍 장치에 배치됨으로써, 노즐로부터 배출된 공기 제트는 여분의 공기가 갭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또는 송풍장치와 와이어 사이의 갭으로부터의 공기를 그들의 분사 효과로 흡입하는 것을 차단하며, 이에 따라 웨브를 지지하는데 필요한 음압은 갭에 유지된다.
실제 증압된 음압 영역은 와이어와 송풍 박스 사이의 갭을 스로틀링 수단, 분사 노즐 등의 도움으로 2개의 영역으로 분리함으로써, 또한 웨브의 이동 방향에 대해 갭의 제 1 부-영역(sub-region)에, 즉, 와이어의 해제 지점 둘레의 영역을 커버하는 부분에 음압을 증가시킴으로써 제공된다. 갭의 제 2 부-영역에서, 실제로 더 작은 음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갭을 분리하는 스로틀링 수단이 기계적 시일을 단순화한다면, 증압된 음압 영역내의 음압은 예컨대 제 1 분사노즐의 공기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이 같은 조절에 의해,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 음압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스로틀링 수단에 의해, 그 같은 조절은 음압 영역의 다른 부분내의 음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른 한편, 스로틀링 수단이 분사 노즐이라면, 분사 노즐의 공기 유동을 조절함으로써 증압된 음압 영역내의 음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음압 영역으로부터 스로틀링 수단에 의해 분사된 공기는 음압 영역의 나머지 부분으로 유동되는 것이 허용되는 바, 이는 이 공기의 양이 음압 영역의 사이즈에 비해 실제로 작거나, 또는 이같이 배출된 공기가 노출 후 즉시 가이드 플레이트 또는 방출 채널에 의해 음압 영역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안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송풍 박스는 흡입 채널과 같이 음압을 발생시키는 수단에 접속되는 것이 전형적이며, 또한 실린더로부터 이격되는 지지 직물 또는 와이어의 그 측면성에 주로 분사 송풍 박스와 동일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송풍 박스는 직접 및/또는, 건조용 실린더 사이에 배치되며 웨브의 이동방향을 고치는 흡입 롤을 통해 포켓의 외측에 배치되고 음압을 발생시키는 수단에 접속될 수 있다. 흡입 박스와 와이어 사이의 갭들은 기계적 시일링 돌출부들 또는 분사 노즐을 편향시키거나 가요성에 의해 시일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압된 음압으로 분리된 부영역은 또한 송풍장치들에 의해 발생된 가장 다양한 종류의 다른 음압 영역들에서 발생될 수 있다. 2중 와이어 주행 또는 단일 와이어 주행이 제공된 건조부에 와이어 주행의 일부를 커버하거나, 또는 예컨대 제지기에서 웨브가 롤로부터 배치되고/또는 음압의 도움으로 와이어에 부착되어 유지되고 또한 증압된 음압이 제공된 더 작은 음압 영역이 통상의 음압에 부가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어떤 다른 와이어 주행 또는 펠트 주행을 커버하는 송풍 박스로 될 수 있다.
물론, 예컨대 기계적 시일, 유동 배리어 플레이트 또는 분사 노즐과 같은 다수의 스로틀링 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는 박스와 와이어 주행 사이의 음압 영역을 2개의 다른 영역보다 많이 분리하기 위함이다. 거기에는 엇갈리는 음압들을 갖는 다양한 연속적인 음압 영역들이 있을 수 있다.
실제 송풍 장치는 단일의 간단한 박스 구조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조직형 박스 구성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조적 박스 구성 요소들 사이에는, 음압 영역으로부터 다른 영역 또는 주위로 공기를 이송시키기 위해 예컨대 공기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음압을 발생시키는 노즐은,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음압 영역내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되고/또는 박스와 와이어 사이의 원하는 지점에서 분사효과를 발생시키는 간단한 갭 노즐(gab nozzle)로 될 수 있다. 특정 분사 노즐들이 송풍 박스에 사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 바, 그 노즐은 예컨대 종이 럼프(lump)가 노즐에 대해 와이어를 밀어낼 때와 같이 필요시 와이어로부터 유연하게 멀리 이동하는 분사노즐에 탄성적으로 또는 피봇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그 노즐들은 와이어를 절단시키지 않는다.
증압된 음압 영역으로부터 멀리 공기를 안내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볼록한 표면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 바, 그 표면은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로 이용하여 공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또한 증압된 음압 영역 외부에도 제어 가능하게 향하게 할 수 있다.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는 표면에 의해 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바, 그 공기는 증압된 음압 영역으로부터 공기 배출 개구부를 향해 더 작은 음압 영역내로 또는 배출 개구부내로도 배출되며, 공기는 또한 그 배출 개구부로부터 분사에 의해 또는 흡입에 의해 원하는 공간내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으로 발생된 음압은,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 이 영역에 흡입 발생 수단을 배치시킴으로써 더 증압될 수 있다. 흡입은 증압된 음압 영역에 접속되는 흡입 개구부를 송풍 박스에 형성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입 개구부는 예컨대 흡입 채널을 통해 흡입을 발생시키는 장치와 연통한다. 송풍 박스에 배치되어 흡입을 발생시키는 수단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음압 수준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박스의 분사 노즐들을 각각 제어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그 노즐들은 송풍을 발생시키는 공통 수단에 접속될 수 있다.
흡입은 특히 스로틀링 수단이 기계적 제한 수단일 때 사용되는 것이 유리할수 있는 바, 그 제한 수단 자체는 활성적이지 못하며 음압을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증가시키지 못한다. 그러나, 흡입은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경우에는 음압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흡입 개구부의 전방에 네트 등을 배치하여 음압 영역내로 들어오는 종이 린트(lint)가 흡입 채널에 이르지 못하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흡입 박스가 있는 경우와는 대조적으로, 박스 및 와이어는 흡입이 본 발명에 따른 송풍 박스 해결책과 관련하여 사용될 때 상호 접촉을 이루지 않는 바, 여기서 공기는 와이어와 박스 사이의 증압된 음압 영역을 형성하는 수단의 위치에 송풍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웨브에 작용하는 힘(F)과, 2개의 건조용 실린더(10,12), 회전 롤(14), 웨브(16) 및 와이어(18) 사이에 형성된 포켓(20)에서의 이 같은 힘들에 대해 보상하는 음압(P)을 개략도로 보여준다. 도 2의 경우에 있어서, 회전롤은 예컨대 천공되거나 홈이 형성된 흡입 롤로 될 수 있는바, 여기서 음압은 롤의 단부에서 축을 지나 제공된다. 음압은 포켓 공간에 인접한 주변부를 통해 회전 롤에 제공된다. 종이 웨브(16)는 와이어(18)에 의해 지지된 권취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실린더(10,12)를 지나, 또한 선택적으로 회전 롤(4)을 지나 주행함으로써, 그 웨브는 실린더와 회전 롤 사이에 포켓을 형성한다.
와이어(18)는 소위 개방 닙(22)에서의 제 1 실린더(10)의 주변으로부터 해제되어 회전 롤(14)로 주행하는 바, 이는 와이어가 제 1 실린더와 회전롤 사이에서 소위 입력 와이어 주행(24)을 형성하기 위해서다. 상응하게, 와이어는 소위 출력 와이어 주행(26)이라 칭하는 회전 롤로부터 제 2 건조용 실린더(12)를 향해 이동하여 폐쇄 닙(28)을 통과하여 제 2 건조용 실린더를 지나 이동한다.
포켓의 입력측에는 개방 닙(22)과 폐쇄 닙(22')에서 포켓의 외측으로 와이어로부터 웨브를 해제시키는 힘 피크(F1, F2)가 형성된다. F1은 실제로 F2보다 크다. 이 같은 힘들 중 작은 해제력(F3)이 웨브에 작용한다. 회전 롤(14)에서 원심력(Fc)은 롤의 주위로부터 웨브를 해제시키게 된다. 포켓의 출력측인 개방 닙(28') 및 폐쇄 닙(28)에서, 웨브를 해제하는 힘 피크(F4, F5)가 형성된다.
송풍 박스 또는 흡입 박스는 웨브를 해제하는 힘을 보상하기 위해 포켓 내에 장착되는 바, 이 박스는 웨브를 해제시키는 힘들을 보상하는 음압을 웨브의 타측에 생성시킨다. 개방 닙(22)에는 증압된 음압 영역(Anip)이 배치되는 바, 여기서 음압은 Pnip이며, 포켓의 다른 영역에는 더 작은 음압 영역(Apocket)으로 설정되며, 여기서 음압은 Ppocket이다. 음압(Proll)을 갖는 흡입부가 회전 롤에 배치된다.
포켓의 출력측상의 개방 닙에 형성되고 웨브를 해제하는 힘(F1)이 예컨대 파단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이동 매개변수에 따라 변하면, 증압된 음압(Pnip)은 제어된 방식으로 변화된 힘(F1')을 보상하도록 값(Pnip')으로 상응하게 제어될 수 있다.
도 3은 2개의 건조용 실린더(10,12) 사이의 포켓(20)에서 원하는 음압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해결책을 보여준다. 도 3은 도 2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도 3의 경우에 있어서, 웨브를 지나 연장하는 송풍 박스(30)는 그것의 측부(32)들 중 하나가 입력 와이어 주행(24)과 함께 상대적으로 좁은 갭(34)을 형성하도록 포켓(20)에 장착되는 바, 여기서 송풍 박스는 음압을 발생시킨다. 송풍 박스측(32)의 상부에는 박스(30)로부터 와이어(18)를 향해 돌출하는 분사 송풍 노즐(36)이 배치되지만, 와이어를 터치하지는 않는다. 송풍 노즐(36)은 개방 닙(22) 상부의 박스에 배치됨으로써, 공기는 와이어의 이동 방향에 대해 주로 노즐의 노즐 갭(38)으로부터 배출되며, 또한 그 공기는 와이어(18)와 실린더(10)사이의 실제 해제 지점(40) 상부에 있는 지점에서 즉, 와이어 이동 방향에 대해 해제 지점 이전에서 배출된다. 노즐(36)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와이어와 함께 이동하는 공기가 박스(30)와 와이어 사이의 갭(34)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더욱이 갭에 음압을 형성하는 갭으로부터 멀리 공기를 분사한다. 노즐(36)은 와이어를 향해 적합한 방식으로 노즐을 가압하는 스프링(42)에 의해 박스에 고정되지만, 예컨대 종이 럼프가 와이어와 실린더 사이에 노즐을 통과할 때 그 노즐을 박스내로 밀려지게 할 수 있다. 노즐(36)은, 그 노즐로부터 배출된 공기유동을 안내하는 공지된 코안다 표면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송풍 박스(30)의 타단부의 하단에는 제 2 노즐인 단순한 갭형 노즐(44)이 형성되는 바, 그 노즐은 회전 롤의 회전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이 롤(14)과와이어(18) 사이의 폐쇄 닙을 향해 회전 롤과 함께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는 공기 제트를 지닌다. 노즐의 송풍은 또한 박스와 와이어 사이의 갭으로부터 멀리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많은 건조부들에 있어서, 예컨대 출원인으로부터의 백(Vac) 롤과 같은 흡입 롤이 회전 롤로 사용되는 바, 그 롤은 화살표로 표시된 방식으로 포켓 영역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한다.
더욱이, 제 2 분사 노즐(46)은 제 2 실린더(12)의 폐쇄 닙(28)에 근접한 송풍 박스(30)에 배치되는 바, 그 위치는 폐쇄 닙의 약간 후방에, 즉, 와이어가 실린더에 이미 부착되어 있는 지점에 배치된다. 공기 제트는 공기가 노즐과 와이어 사이의 갭을 통해 음압 포켓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같은 방식에 있어서, 음압은 전체 포켓내에 유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필요하다면 박스에, 예컨대 노즐(44)의 상부에, 공기 제트를 웨브를 향해 직접 송풍시켜 웨브(16)로 하여금 스레딩면의 개구부에서 와이어(18)가 회전 롤(14)을 따르는 것을 방지하는 소위 하강 노즐(도시않됨)이 장착될 수 있다. 하강 노즐은 웨브를 실린더(10) 하부의 닥터 블레이드(11)를 향해 통과하게 함으로써, 닥터 블레이드는 웨브를 하방으로 안내하여 예컨대, 기계하부의 펄프기 등으로 안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로틀링 수단(50)은 제 1 노즐(36)로부터 짧은 거리에서 송풍 박스에 배치되는바, 스로틀링 수단은 박스(30)와 와이어(18)사이의 갭(34)을 2개의 부분 즉, 증압된 음압을 지니는 부분(34')과 더 작은 음압을 지니는 부분(34'')으로 분리한다. 도 3의 경우에 있어서, 스로틀링 수단은 부분(34'')으로부터 부분(34')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시키는 기계적 시일이다. 분사 노즐(36)은 도 3의 경우에 포켓(20)의 작은 부분(34')으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도록 배치됨으로써, 포켓의 다른 부분에서의 음압에 비해 이 작은 부분에서의 매우 높은 음압을 발생시키기가 비교적 용이하다. 원한다면 공기를 웨브의 이동 방향으로 능동적으로 제거하는 스로틀링 수단(50)으로서 또 다른 분사노즐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증압된 음압 영역(34')에 음압을 발생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도 3에 나타난 경우에 있어서, 해당 영역에서의 와이어와 박스간의 갭을 더 작은 음압을 지니는 다른 영역들로부터 절연시킴으로써 와이어 해제 지점(40)에서 음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박스에 탄성적으로 고정된 스로틀링 수단 또는 탄성 스로틀링 수단은, 그것이 와이어에 매우 가깝게, 예컨대 와이어로부터 10㎜미만의 거리까지 돌출하여 주위 공간의 잔여부로부터 음압 영역(34')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도록 박스에 배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와이어로부터 노즐(36)의 거리가 20㎜미만, 10㎜미만까지 짧아지고, 이 노즐로부터의 공기제트가 충분할 때, 본 출원인은 어떤 다른 작용없이 많은 주행 요구들에 대해 충분한 개방 닙에서 음압을 획득한다. 포켓의 다른 부분에 있어서 음압을 실제로 더 낮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바, 이것은 이같은 영역들에 대해 충분하게 된다. 이같은 방식에서는 굽힘이 회피되어, 이로 인해 주행성이 개선된다.
구역(34')에서의 증압된 음압은 와이어 해제 지점(40)에서 실린더(10)의 표면으로부터 웨브를 해제하는데 일조하여 웨브를 와이어에 확실하게 부착한다. 구역(34'')에서의 더 작은 음압은 웨브를 유지하는데 충분한 바, 그 웨브는 와이어에 부착된 실린더로부터 해제 롤까지 이미 해제되어 있는 상태이다. 전형적으로 흡입은 회전 롤의 표면에 부착된 웨브를 유지하도록 회전 롤에 배치된다. 흡입부는 또한 포켓에 영향을 미친다. 제 2 분사노즐(46)은 박스와 제 2 건조용 실린더 사이의 갭을 시일하여 포켓내의 음압을 보장하며, 뿐만 아니라 웨브는 폐쇄 닙(28)에 파우치를 형성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있어서, 전형적으로 200 내지 300㎩의 음압과 같이 비교적 낮은 음압이 갭(34')을 제외한 포켓의 다른 부분에서는 충분하게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해결책에 있어서, 송풍 박스는 비교적 협소하여 포켓의 일부만을 점유한다. 비교적 넓은 공기 공간이 회전 롤과 박스 사이에 잔존한다. 원한다면, 전체 포켓 공간 거의를 점유할 만큼 크게 송풍 박스 구조를 만들 수 있으며 또한 단지 작은 공기 갭만이 박스(30)의 저부와 회전롤 사이에 존재하도록 그 송풍박스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노즐(44)은 폐쇄 닙의 측부상에, 즉, 떠나는 웨브(26)의 측부상에 박스의 저부 에지에 배치될 수 있다.
공통의 송풍 공기 공급부 또는 각각의 노즐에서 개별적으로 조절되는 공기 공급부가 박스(30)내의 송풍 노즐들에 대해 배치될 수 있다. 노즐(36)이 그 자신의 공급부를 지니면, 증압된 음압 수준은 이 노즐로 분리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공급부는 음압이 조절되는 것에 관련하여 그 같은 구동 매개 변수들에 의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있어서, 노즐(36)과 스로틀링 수단(50) 사이에는,필요시 더 많은 공기가 증압된 음압 영역으로부터 갭(34')을 통해 제거될 수 있는 전체 웨브를 횡단하여 연장하는 갭과 같은 흡입 채널(52)에 접속된 흡입 개구부(54)를 형성할 수 있다.
흡입 개구부의 전방에는 종이 린트 또는 다른 폐물(rubbish)이 흡입 채널에 이르는 것을 차단하는 네트 등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 채널은, 웹 파단이 발생할 때 흡입 채널이 공기를 갭(34') 내로 송풍하여 갭을 청소하도록 송풍기에 접속될 수 있다.
흡입 작동은 송풍 노즐(36)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바, 그 노즐은 지지 직물 및 웨브가 박스에 너무 근접하게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송풍은 지지 직물이 박스 구조체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있어서,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의 음압 수준은 부가적으로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음압 수준은 흡입 개구부(54)를 통한 공기의 배출을 제어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분사 노즐로부터 송풍된 공기 유동은 원하는 경우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음압 수준은 웨브(24)로부터 스로틀링 수단(50) 및/또는 노즐(36)의 코안다 표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또는 예컨대 분사 노즐(36)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2중 와이어 주행이 구비된 건조부에 적용된다. 건조부의 상부 와이어(18)는, 제 1 건조용 실린더(10)로부터 회전 롤(14)을 지나 제 2 실린더(12)까지 권취방식으로 통과한다. 이 방식에 있어서, 와이어와 회전 롤로 한정된 포켓(20)은 실린더들 사이에 형성된다. 포켓에는 도 3의 그것과 주로 유사한 송풍 박스(30)가 배치되는바, 여기서 분사 노즐(36)과 스로틀(50)은 와이어 해제 지점에서 증압된 음압 영역(34')을 형성한다. 또한 제 2 송풍 노즐(46)은 누설 공기가 포켓 공간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송풍 박스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응하는 송풍 박스는, 그것이 짧은 거리를 지나 낮은 와이어(18')상에서 구동하도록 웨브를 저부 건조용 실린더(10')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낮은 와이어 주행의 영역에서 도 4에 도시된 건조부에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변형예를 보여준다. 도 3과 동일한 참조번호가 도 5에 사용되었다. 도 5의 박스(30)의 저부는, 그것이 회전 롤(14)의 주변의 대부분을 커버하도록 확장된다. 이 방식에 있어서 회전 롤의 주변과 박스의 저표면 사이에는 작은 갭(31)이 존재한다. 공기가 회전 롤을 따라 갭(31)을 통해 와이어 입력측의 갭(34)까지 통과하는 것은, 갭(31)의 개구부에 배치된 시일링 돌기(33)등에 의해 도 5의 경우에 방지된다. 그리고 박스는, 회전 롤(14)과 와이어 주행(24) 사이의 폐쇄 닙에서 도 3에 따른 공기 송풍기(44)를 지니지 않는다. 도 5의 경우에는 박스(30)와 제 2 실린더(12)사이에서 분사 노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출력 와이어 주행(26)과 박스(30) 사이의 갭(37)이 상방으로 확장될 수 있으므로, 갭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갭으로부터 쉽게 제거된다. 도 5의 경우에 있어서, 롤(14)은 갭(34,31,37)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롤이다.
도 6은 도 3 및 도 5의 변형예로서 송풍 박스(30)는 포켓(20)의 대부분을 커버한다. 박스의 제 1 측부는 건조용 실린더(10)와 와이어 사이의 해제 지점에서 증압된 음압 영역(34')을 형성한다. 송풍 박스는 증압된 음압 영역으로 향하는 흡입부를 갖는 분리 흡입 박스(30'')를 지닌다.
박스(30)의 제 2 측은 제 2 실린더(12)와 와이어 사이의 해제 지점에 매우 근접하게 연장된다. 협소한 갭만이 박스벽과 출력 와이어 주행행(26) 사이에 존재하므로, 갭은 포켓의 외측으로부터 포켓내로의 공기의 유동을 제한한다. 이 방식에 있어서, 원하는 음압이 포켓에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또한 도 3의 변형예를 보여준다. 전술된 도면과 동일한 참조번호가 도 7에 사용되었다. 도 7의 송풍 박스(30)는 도 3의 박스보다 작으며, 이것은 제 2 건조용 실린더(12)까지 연장하지 않는다. 박스형이 사용될 수 있는바, 이는 박스에 의해 제공된 음압이 회전 롤(14)과 제 2 건조용 실린더 사이의 와이어 주행(26)에서 필요하지 않게 됨을 전제로 한다. 박스(30)의 노즐(36,44)은 다른 송풍 채널(30'a, 30'b)에 접속되는 바, 그 채널들은 분리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탄성 스로틀링 수단(50)은, 음압 영역을 다른 음압 수준이 유지될 수 있는 2개의 부분(34',34'')으로 분리한다.
도 8은 도 3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준다. 이전 도면들과 동일한 참조번호가 도 8에 사용된다. 도 8에 있어서, 전체 포켓의 대부분의 사이즈를 차지하는 흡입 박스(60)는 포켓 공간(20)에 배치된다. 협소한 갭(62,62')은 흡입 박스와 와이어 주행들의 사이에 형성된다. 개구부(66)를 지니는 흡입 박스의 저부(64)가 회전 롤(14)의 형태를 따르도록 절곡됨으로써, 협소한 공간(68)이 흡입 박스와 롤 사이에 존재한다. 공간의 돌출부들이 와이어 주행들에서 기계적 수단(70, 70')으로 시일된다. 흡입 박스의 표면은 예컨대 천공되는 방식으로 개방됨으로써, 흡입 박스는 회전 롤에서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회전 롤은 와이어 주행과 흡입 박스 사이의 갭(62,62')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웨브의 이동에 필요한 갭들에 음압을 발생시킨다.
증압된 음압 영역은 시일링 수단(72,72')으로 상부(63)를 갭으로부터 절연시키고 갭의 상부를 흡입 개구부(74)에 접속시킴으로써 입력 갭(62)의 상부에 형성되는 바, 배출 채널(76)은 흡입 개구부를 통해 분리적으로 제어된 배출 송풍기(75)에 접속된다. 각각의 상황에 대해 최적화되는 증압된 음압 수준이 갭(63)으로부터 배출된 공기 유동을 조절함으로써 와이어 해제 지점의 영역에서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 음압 수준은 제어된 방식으로 웹을 건조용 실린더로부터 회전 롤을 안내한다.
이것은 물론, 갭(62)으로부터 공기를 분사시키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송풍 노즐을 흡입 박스에 접속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도 3의 변형 실시예이다. 도 9에는 다양한 부분으로 구성되는 박스(30)가 도시되어 있는 바, 여기에는 2개의 양압 박스 부분(30'a, 30b')과 하나의 음압 박스 부분(30'')이 있으며, 박스부분들은 한편으로 제 1 실린더(10)와 와이어(18) 사이의 해제 지점(40)과 다른 한편으로 제 2 건조용 실린더(12)와 와이어 사이의 결합 지점 사이에 주로 장착되는 바, 이 장착 지점은 회전 롤(14)로부터 일정거리에 있다. 박스는 주로 포켓의 상부만을 점유한다. 음압은 롤(14)의 흡입 효과에 의해 부가적으로 송풍 박스에 배치된 분사 노즐(36,46)에 의해 포켓(20)에발생됨으로써, 분사 노즐은 포켓으로부터 공기를 제거하거나 적어도 공기가 포켓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증압된 음압이 분사 노즐(50)에 의해 증압된 음압 영역(34')에 발생되는 바, 그 분사 노즐 와이어에 근접한 송풍 박스의 하부(30b')에 또한 와이어의 이동 방향으로 와이어 해제 지점(40)으로부터 짧은 거리에 배치된다. 와이어와 박스 사이의 갭(34')으로부터 포켓의 저부로 공기가 분사된다. 갭(34')으로부터 분사노즐에 의해 제거된 공기의 양은 작으며 또한 박스 하부의 포켓에 음압 수준에 현저하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공기는 2방향의 분사에 의해 증압된 음압 영역(34')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부가적이거나 선택적으로, 공기는 흡입 박스부(30'')에 형성된 흡입 개구부(54)를 통해 또한 제어판이 제공된 배출 채널(52)을 통해 배출된다. 흡입의 도움으로만 공기가 배출되기를 원한다면, 분사 노즐은 시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9는 제어판(80',82')이 구비된 채널(80,82)을 보여주는 바, 공기는 그 채널을 통해 송풍기(84)의 도움으로 송풍 박스 부분으로 송풍되며, 각각의 박스부는 증압된 음압 영역의 경계들에서 분사 노즐(36,50)에 연결된다. 증압된 음압 영역의 음압은 도 9에 도시된 제어판(52',80',82')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므로, 음압은 이전의 구동 상황에 관해 원하는 양을 지닐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0은 도 3의 다른 하나의 변형예를 보여준다. 분사 노즐(50)이 증압된 음압 영역의 기부변에서 도 10의 송풍박스에 배치됨으로써, 그 분사노즐은 영역(34')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영역(3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박스(30)의 하부에 장착된 채널(86)의 도움으로 박스(30)와 제 2 건조부(12) 사이의 갭을 통해 포켓(20)으로부터 외부를 향한다. 채널(86)의 입력 개구부(88)는 증압된 음압 영역을 떠나는 공기 유동을 위해 개방된다. 부가적으로 채널(86)은 회전 롤(14)의 표면까지 거의 연장하도록 하방을 향해 굽혀지는 형상을 지님으로써, 협소한 공간(90)은 채널(86)이 롤(14) 사이에 형성되는 바, 그 공간은 포켓의 출력측(20'')으로부터 그것의 입력측(20')까지 회전 롤의 회전 방향으로 이같은 유동을 제한한다.
도 11은, 우수한 주행성을 이룰 수 있는 다른 기계속도에서의 음압 제한을 보여주는 하나의 실시예로서의 표이다. 곡선 (a)는 구동 조건이 양호한 경우를 나타내며, 여기서 비교적 작은 통상적인 음압이 우수한 주행성을 이룰 수 있다. 곡선 (b)는 주행 조건이 불량한 경우를 나타내지만, 여기서 비교적 높은 음압이 우수한 주행성을 제공할 수 있다. 곡선(b')은 일부의 구동 조건이 우수하고 일부는 불량한 상태를 나타내는 바, 여기서 적절하게 증압된 음압은 나쁜 상태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주행성을 제공한다. 주행 조건이 매우 불량하다면, 어떤 경우에, 즉, 주행 조건이 불량한 경우에 음압을 증가시킴으로써 곡선(b) 하부에서 우수한 주행성을 달성할 수 있지만, 이것은 모든 경우에서 가능하지는 않다. 종종, 구동 조건들은, 음압이 곡선 (a)와 곡선 (b) 사이의 어떤 부분으로 되도록 조절될 것이다.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 그 음압은 측정치에 따라 또는 속도, 건조 고체 함량, 드로우의 차이, 또는 웨브의 장력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 결정된 변화하는 변수에 따라 제어된다. 조절에 필요함을 관찰하기 위해 또한 정확한 제어 수준을 설정하기 위한 측정 경보는 예컨대, 프로세스 정보로부터 제어장치에 획득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어의 필요성을 또한 시각적인 검사에 의해 관찰할 수 있다. 예컨대, 원하는 웨브 인장력은 종종 시각 검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압 수준은 예컨대 3%의 원하는 드로우의 차이가 프레스에 획득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므로, 종이의 특성은 다른 공정의 필요성에 따라 최적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예시적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된 범위내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조부에서만 주행성의 개선에 대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프레스로부터 건조부로 웨브를 안내하는 방식과 같이 다른 대상에 대한 적용을 찾을 수 있다.
증압된 음압 영역은 웨브를 지나 연장할 수 있거나, 또는 단지 횡방향으로 웨브의 일부를 지나서만 횡으로 연장할 수 있다. 증압된 음압 영역은, 예컨대 웨브의 에지 영역에서만 또는 스레딩 영역에서의 전방측상에만 배치된다. 구동 조건들에 따른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의 음압의 조절에 부가하여, 그 음압은 웨브의 이동 방향으로 웨브의 다른 지역에서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Claims (27)

  1. 판지 기계 또는 마무리 기계와 같은 제지 기계 등의 건조부 등에서의 방법으로서,
    - 웨브는 와이어 또는 펠트와 같은 지지 직물에 의해 건조용 실린더, 롤 등과 같은 실린더를 지나 그 실린더와 지지 직물 사이에서 지지되고 이송되며
    - 지지 직물에 의해 지지된 웨브는 실린더와 지지 직물 사이의 개방 닙으로부터 흡입 롤, 회전 롤, 와이어 안내 롤 제 2 실린더 등과 같은 롤을 향해 안내되고,
    - 개구부로부터 개방 닙을 향하는 웨브의 주행은 웨브에 대향하는 와이어의 측부상에 형성된 음압에 의해 지지되며, 소위 증압된 음압영역, 즉, 지지 직물과 실린더 사이의 해제 지점에 근접한 위치에서의 음압은 소위 작은 음압영역, 즉, 이 해제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는 위치에서의 음압보다 높게 되는 제지기의 건조부 등에서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압(Pnip)은
    - 웨브의 속도
    - 웨브의 고체함량
    - 사용되는 펄프의 성분
    - 생산되는 종이 또는 판지의 질
    - 웨브의 그램에이지(grammage)
    - 유공성과 같은 웨브의 특성
    - 웨브에 작용하는 드로우, 또는 웨브의 장력
    - 실린더 온도, 및/또는
    - 정상주행, 스레딩 상태 또는 웨브 파단과 같은 주행 상태와 같이 웨브의 구동중에 작용하고 변할 수 있고 주행중 변하는 하나 이상의 변수에 따라 상기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 제어됨으로써, 실린더와 롤 사이에 원하는 주행성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등의 건조부 등에서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의 음압(Pnip)은 500㎩ 이상, 더 일반적으로는 1000㎩ 이상, 그러나 전형적으로 20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0㎩ 이하로 되며,
    - 더 작은 음압 영역에서의 음압(Pwire)은 10 내지 7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가장 전형적으로는 200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웨브가 실린더로부터 웨브의 이동을 조절하는 롤까지 안내되는 건조부에서,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의 음압(Pnip)은 웨브의 이동의 방향을 수정하는 표면상에 분포하는 음압(Proll)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음압(Pnip)은, 원하는 드로우의 차이가 종이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프레스에서 획득되도록 증압된 음압 프레스 영역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음압 영역은 지지 직물과 건조용 실린더 사이의 해제 지점으로부터 개방 닙의 방향으로, 즉, 웨브의 이동 방향으로 거의 300㎜, 바람직하게 40 내지 140㎜, 전형적으로는 80㎜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증압된 음압 영역은 지지 직물과 건조용 실린더 사이의 해제 지점으로부터 웨브의 이동 방향에 대해 거의 3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 전형적으로 70㎜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건조부에서 웨브의 이동은 개구부 닙에 형성된 증압된 음압(Pnip)에 의해 지지되며, 이때 웨브의 건조 고체 함량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웨브의 이동은 음압에 의해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 지지되며, 상기 음압이 낮으면 웨브의 건조 고체 함량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웨브의 이동은 음압에 의해 증압된 음압 영역에 지지되며, 상기 음압이 높으면 웨브의 강도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웨브의 이동은 음압에 의해 증압된 음압 영역에 지지되며, 화학적 펄프가 적으면 건조될 함량의 웹은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웨브의 이동은, 전체폭을 따른 스레딩을 사용하는 건조부의 개구부에 각각의 건조용 실린더의 개방 닙에서 주로 발생된 증압된 음압(Pnip)에 의해 건조부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전체폭을 따로 스레딩하는 동안, 정상적인 주행 또는 웹 파단 동안보다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의 증압된 음압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웨브의 이동은 건조부에서 각각의 건조부의 개방닙에서 주로 발생된 증압된 음압에 의해 지지되며 연한 펄프로 형성된 웨브의 건조가 취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 직물과 송풍 박스 사이의 상기 증압된 음압 영역을발생시키도록 웨브에 대향하는 지지 직물의 측부에 송풍 박스가 배치되는 건조부에서,
    - 공기는 증압된 음압 영역의 입력측에서 송풍 박스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분사 노즐에 의해 증압된 음압 영역으로부터 분사되며,
    - 공기는 송풍 박스의 증압된 음압 영역의 출력측에 배치된 스로틀링 수단에 의해 증압된 음압 영역으로 유도하는 것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공기는 증압된 음압영역에서 송풍박스에 배치된 흡입부를 발생시키는 수단에 의해 증압된 음압 영역으로부터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웨브의 대향측에 있는 지지 직물의 측방에 송풍 박스가 배치되는 건조부에서 지지 직물과 송풍 박스 사이에 상기 증압된 음압 영역을 발생시키기 위해,
    - 공기는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 송풍 박스에 배치된 수단에 의해 증압된 음압 영역으로부터 흡입되며,
    - 공기는 증압된 음압 영역의 입력 및/또는 출력측에서 송풍 박스에 배치된 분사 노즐 및/또는 스로틀링 수단에 의해 증압된 음압 영역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판지 기계 또는 마무리 기계와 같은 제지 기계 등의 건조부에서의 장치로서, 건조부는 건조용 실린더, 롤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 와이어 또는 펠트와 같은 지지 직물, 회전 롤, 와이어 안내 롤, 와이어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제 2 실린더 등과,
    - 실린더와 지지 직물 사이에서 상기 실린더상의 지지직물에 의해 지지되는 웨브를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
    - 지지 직물에 의해 지지될 때 상기 실린더와 지지 직물 사이의 개방 닙으로부터 상기 롤을 향해 웨브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
    - 웨브가 개방 닙으로부터 상기 롤까지 통과할 때 지지 직물에 대항하는 웨브의 측부상에 웨브의 이동을 지지하는 음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음압 발생 수단은
    - 지지 직물과 실린더 사이의 해제 지점을 커버하는 영역에서 증압된 음압과
    - 상기 해제 지점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있는 영역에 더 작은 음압을 발생시키는 음압 발생을 지니는 제지기의 건조부에서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 웨브의 속도
    - 웨브의 고체함량
    - 사용되는 펄프의 성분
    - 생산되는 종이 또는 판지의 질
    - 웨브의 그램에이지
    - 유공성과 같은 웨브의 특성
    - 웨브에 작용하는 드로우, 또는 웨브의 장력
    - 실린더 온도, 및/또는
    - 웨브 파단과 같은 주행상태, 스레딩 상태 또는 정상 주행과 같이 웨브의 구동중에 작용하고 변할 수 있고 주행중 변하는 하나 이상의 변수에 따라 상기 증압된 음압 영역에 음압(Pnip)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더함으로써, 원하는 주행성이 실린더와 롤 사이에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등의 건조부에서의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웨브의 이동을 지지하는 음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은
    - 증압된 음압 영역의 입력 경계부에서, 즉, 웨브의 이동방향에 관련하여 볼 때 입력측상의 영역의 경계부에, 송풍 박스와 지지 직물 사이로부터 공기를 분사시키기 위해 분사 노즐이 배치되며,
    - 증압된 음압 영역의 출력부에서, 즉, 웨브의 이동방향에 관련하여 볼 때 영역의 출력측상의 경계부에, 공기가 증압된 음압 영역으로 유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로틀링 수단이 배치되는 송풍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과 스로틀링 수단 사이의 송풍 박스에는 증압된 음압 영역을 음압 발생 수단에 접속시키기 위한 수단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웨브의 이동을 지원하는 음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은
    - 증압된 음압 영역에서 송풍 흡입 박스와 지지 직물 사이에 음압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에 접속되며,
    - 증압된 음압 영역의 입력 경계부 및 출력 경계부에, 즉, 웨브의 이동 방향에 대해 입력측 및 출력측의 경계부에, 공기가 증압된 음압 영역으로 유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일이 배치되는 흡입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증압된 음압 영역의 입력 경계부에 배치된 시일은 증압된 음압 영역으로부터 공기를 분사시키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증가된 음압 영역에서의 음압은 500㎩이상, 유리하게는 1000㎩ 이상, 그러나 20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0㎩ 이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17 항에 있어서, 증압된 음압 영역은 지지 직물과 건조용 실린더 사이의 해제 지점으로부터 연장하는 영역에서 발생되며
    -웨브의 이동 방향으로 최대 300㎜, 바람직하게 40 내지 140㎜, 대표적으로는 80㎜ 거리에 생성되며,
    - 웨브의 이동 방향을 향해 최대 3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 대표적으로는 70㎜ 거리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17 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다른 방식으로 측정되거나 측정치에 의해 획득된 속도에 따라 증압된 음압 영역내의 음압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17 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다른 방식으로 측정되거나 측정치에 의해 획득된 건조 고체 함량에 따라 증압된 음압 영역의 음압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17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육안 검사와 같은 다른 방식으로 결정되거나 측정에 의해 획득된 웨브 장력 또는 드로우 차이에 따라 증가된 음압 영역내의 음압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17 항에 있어서, 장치에는 단일 와이어 주행 또는 2중 와이어 주행이 제공된 제지기가 건조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1-7010709A 1999-02-22 2000-02-21 제지기 등의 건조부에서 웨브를 지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460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90370 1999-02-22
FI990370A FI110625B (fi) 1999-02-22 1999-02-22 Puhalluslaite paperikoneessa tai vastaavassa
FI19991908 1999-09-08
FI991908A FI106568B (fi) 1999-02-22 1999-09-08 Menetelmä ja laite paperikoneen tai muun vastaavan kuivatusosass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859A true KR20010112859A (ko) 2001-12-22
KR100460518B1 KR100460518B1 (ko) 2004-12-08

Family

ID=85538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709A KR100460518B1 (ko) 1999-02-22 2000-02-21 제지기 등의 건조부에서 웨브를 지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01-7010710A KR100460517B1 (ko) 1999-02-22 2000-02-21 제지 기계등의 송풍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710A KR100460517B1 (ko) 1999-02-22 2000-02-21 제지 기계등의 송풍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6574884B1 (ko)
EP (2) EP1194641B1 (ko)
JP (3) JP3574791B2 (ko)
KR (2) KR100460518B1 (ko)
CN (2) CN1188571C (ko)
AT (2) ATE268831T1 (ko)
AU (2) AU2807500A (ko)
CA (2) CA2371804C (ko)
CZ (2) CZ20013030A3 (ko)
DE (4) DE60011397T2 (ko)
DK (1) DK1194641T3 (ko)
ES (2) ES2173050T3 (ko)
FI (2) FI110625B (ko)
PL (2) PL194976B1 (ko)
PT (2) PT1194641E (ko)
WO (2) WO20000506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0625B (fi) 1999-02-22 2003-02-28 Metso Paper Inc Puhalluslaite paperikoneessa tai vastaavassa
FI114935B (fi) * 2000-06-09 2005-01-31 Metso Paper Inc Menetelmä ja järjestelmä paperikoneessa tai vastaavassa rainan siirtämiseksi puristinosalta kuivatusosalle
FI111174B (fi) 2000-10-27 2003-06-13 Metso Paper Inc Menetelmä ja laite rainan päänviennissä paperikoneen tai vastaavan kuivatusosassa
FI118811B (fi) * 2000-11-06 2008-03-31 Metso Paper Inc Päällepuhalluskuivatusyksikkö ja kuivatusosa
DE10140801A1 (de) * 2001-08-20 2003-03-06 Voith Paper Patent Gmbh Vorrichtung zur Behandlung einer Faserstoffbahn
FI111280B (fi) 2001-11-08 2003-06-30 Metso Paper Inc Puhalluslaatikko rainan kulun ohjaamiseksi
FI120746B (fi) 2001-12-19 2010-02-15 Metso Paper Inc Paperi- tai kartonkikoneen kuivatusosa
JP3723158B2 (ja) 2002-05-30 2005-12-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ドライヤ真空ボックス
FI115232B (fi) * 2002-11-19 2005-03-31 Metso Paper Inc Tiivistejärjestely liikkuvaa kudosta vasten
FI119152B (fi) * 2004-06-03 2008-08-15 Metso Paper Inc Menetelmä ja sovitelma paperikoneessa tai vastaavassa kuivatettavan, yleensä viiraa vasten tuetun liikkuvan rainan läheisyydessä, tiivistyslaite sekä paperikone
FI20050596A0 (fi) * 2005-06-06 2005-06-06 Metso Paper Inc Järjestely ja menetelmä kuivatussylinterien välisen taskutilan tiivistämiseksi paperikoneessa tai vastaavassa
US20070180729A1 (en) * 2006-01-26 2007-08-09 Girolamo Paul A Blow box apparatus
US20070193057A1 (en) * 2006-01-26 2007-08-23 Girolamo Paul A Rotatable vacuum transfer roll apparatus
FI20065061L (fi) * 2006-01-30 2007-07-31 Metso Paper Inc Menetelmä ja laite kuiturainakoneen, kuten paperi- tai kartonkikoneen kuivatusosassa
FI119029B (fi) * 2006-01-30 2008-06-30 Metso Paper Inc Menetelmä ja laite kuiturainakoneen, kuten paperi- tai kartonkikoneen kuivatusosassa
FI124219B (fi) 2007-11-14 2014-05-15 Valmet Technologies Inc Kaavinlaitteisto päänvientinauhan irrottamiseksi liikkuvasta pinnasta kuiturainakoneella
JP5048846B2 (ja) * 2007-12-31 2012-10-17 メッツォ ペーパ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抄紙機若しくはその類の乾燥セクションにおける省エネルギ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AT506409B1 (de) * 2008-06-17 2009-09-15 Andritz Ag Maschf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führung einer materialbahn
AT506408B1 (de) * 2008-06-17 2009-09-15 Andritz Ag Maschf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führung einer materialbahn
AT506407B1 (de) * 2008-06-17 2009-09-15 Andritz Ag Maschf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führung einer materialbahn
SE532624C2 (sv) * 2008-06-19 2010-03-09 Andritz Technology And Asset Management Gmbh Kylning av en cellulosamassabana
FI124037B (fi) * 2008-09-03 2014-02-14 Ev Group Oy Laite sekä menetelmä paperin irtoamisen parantamiseksi paperikoneen kuivatussylinteriltä
FI20095042A (fi) * 2009-01-20 2010-07-21 Metso Paper Inc Menetelmä ja järjestely rainan päänviennin helpottamiseksi paperikoneen kuivatusosalla
CN101487198B (zh) * 2009-02-10 2011-07-20 湖南正大轻科机械有限公司 高速纸机纸幅稳定器
FI124766B (fi) * 2010-06-30 2015-01-15 Valmet Technologies Inc Menetelmä kuiturainan käyristymän hallitsemiseksi ja kuiturainakoneen kuivatusosa
FI124504B (fi) * 2011-03-08 2014-09-30 Valmet Technologies Inc Ajettavuuskomponentti ja menetelmä paperikoneen ajettavuuskomponentin käyttötehokkuuden parantamiseksi
FI20116291A (fi) * 2011-12-20 2013-06-21 Metso Paper Inc Ajettavuuskomponentti, järjestelmä ja menetelmä paperin kuivaamiseksi
EP2803765A1 (en) * 2013-05-17 2014-11-19 Brunnschweiler S.A. Method and system for the stabilization of paper applicable in paper drying machines and processes
US10030882B2 (en) 2013-07-12 2018-07-24 Best Technologies, Inc. Low flow fluid controller apparatus and system
US11429121B2 (en) 2013-07-12 2022-08-30 Best Technologies, Inc. Fluid flow device with sparse data surface-fit-based remote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EP3019834B1 (en) 2013-07-12 2022-03-16 John C. Karamanos Fluid control measuring device
US11815923B2 (en) 2013-07-12 2023-11-14 Best Technologies, Inc. Fluid flow device with discrete point calibration flow rate-based remote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CN103750534A (zh) * 2013-12-19 2014-04-30 云南中烟昆船瑞升科技有限公司 一种再造烟叶片基转移装置
SE538854C2 (sv) 2014-01-09 2017-01-03 Valmet Oy Rullstol för mottagande och upprullning av en pappersbana, som kommer från en torkcylinder i en pappersmaskin, till en rulle, samt en pappersmaskin som använder en rullstol
US10434796B2 (en) * 2017-03-17 2019-10-08 Ricoh Company, Ltd. Dryer, printer, and liquid applicator
DE102019124500A1 (de) * 2019-09-12 2020-09-10 Voith Patent Gmbh Vorrichtung zur Trocknung einer Faserstoffbahn
CN114541166B (zh) * 2022-01-29 2024-03-08 江苏理文造纸有限公司 一种可形成双级真空区的稳纸箱及造纸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9827B1 (en) 1979-11-05 1994-03-29 Keith V Thomas High speed paper drying
FI59637C (fi) 1979-11-20 1981-09-10 Valmet Oy Anordning i torkpartiet av en pappersmaskin
BR8607355A (pt) * 1986-04-08 1989-08-15 Beloit Corp Caixa de sopro para um secador e processo de manutencao de uma trama em conformidade proxima com um feltro
FI80491C (fi) 1987-09-02 1990-06-11 Valmet Paper Machinery Inc Foerfarande och torkningsgrupp i maongcylindertorken av en pappersmaskin.
DE3914761A1 (de) * 1989-03-08 1990-11-15 Voith Gmbh J M Leitwalze fuer ein poroeses band, beispielsweise fuer ein trockensieb einer papiermaschine
FI82850C (fi) * 1989-03-21 1991-04-25 Valmet Paper Machinery Inc Foerfarande och anordning i torkningspartiet av en belaeggningsmaskin eller pappersmaskin.
DE9110134U1 (ko) 1991-08-16 1991-09-26 J.M. Voith Gmbh, 7920 Heidenheim, De
DE4141296A1 (de) 1991-12-14 1993-06-17 Voith Gmbh J M Vorrichtung zur abnahme einer bahn von einem trockenzylinder
WO1994003675A1 (de) * 1992-07-31 1994-02-17 J.M. Voith Gmbh Anordnung mit einer saugwalze
US5515619A (en) * 1993-08-06 1996-05-14 J.M. Voith Gmbh Flexibly mounted sealing strips of a vacuum roll for a web dryer
US5535527A (en) 1995-06-07 1996-07-16 Valmet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multi-cylinder dryer of a paper machine
DE29601543U1 (de) * 1996-01-30 1996-03-28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Vorrichtung zum Führen einer Faserstoffbahn in einer einreihigen Trockenpartie
FI110625B (fi) 1999-02-22 2003-02-28 Metso Paper Inc Puhalluslaite paperikoneessa tai vastaavassa
FI4349U1 (fi) * 1999-10-22 2000-02-28 Valmet Corp Paperikoneen kuivatusosassa käytettävään puhalluslaatikkoon sovitettav a tiivistävä suut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90370A0 (fi) 1999-02-22
CN1119454C (zh) 2003-08-27
WO2000050692A1 (en) 2000-08-31
JP2005248416A (ja) 2005-09-15
JP3574791B2 (ja) 2004-10-06
KR100460517B1 (ko) 2004-12-08
DE1194641T1 (de) 2002-10-17
DE60011397D1 (de) 2004-07-15
PT1155189E (pt) 2004-10-29
PL364775A1 (en) 2004-12-13
JP2002538318A (ja) 2002-11-12
FI19991908A (fi) 2000-08-22
DE1155189T1 (de) 2002-07-04
CN1188571C (zh) 2005-02-09
CA2362186A1 (en) 2000-08-31
DK1194641T3 (da) 2005-06-20
ES2173050T3 (es) 2005-09-16
CN1341182A (zh) 2002-03-20
ATE295913T1 (de) 2005-06-15
EP1194641A1 (en) 2002-04-10
DE60020238T2 (de) 2006-01-12
CZ20013031A3 (cs) 2002-07-17
PL364691A1 (en) 2004-12-13
DE60011397T2 (de) 2005-06-30
CA2371804C (en) 2006-05-30
CA2371804A1 (en) 2000-08-31
JP3800316B2 (ja) 2006-07-26
KR20010113035A (ko) 2001-12-24
FI110625B (fi) 2003-02-28
AU2807400A (en) 2000-09-14
EP1155189A1 (en) 2001-11-21
US6574884B1 (en) 2003-06-10
CA2362186C (en) 2006-08-01
EP1155189B1 (en) 2004-06-09
CN1341181A (zh) 2002-03-20
WO2000050693A1 (en) 2000-08-31
PL194976B1 (pl) 2007-07-31
KR100460518B1 (ko) 2004-12-08
FI106568B (fi) 2001-02-28
DE60020238D1 (de) 2005-06-23
AU2807500A (en) 2000-09-14
US6910282B1 (en) 2005-06-28
PL195509B1 (pl) 2007-09-28
EP1194641B1 (en) 2005-05-18
JP2002543296A (ja) 2002-12-17
ATE268831T1 (de) 2004-06-15
ES2173050T1 (es) 2002-10-16
ES2169711T1 (es) 2002-07-16
CZ20013030A3 (cs) 2002-07-17
PT1194641E (pt) 2005-09-30
ES2169711T3 (es) 2005-02-16
FI990370A (fi) 2000-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12859A (ko) 제지기계등의 건조부에서 방법 및 장치
FI76142B (fi) Fickventilationsfoerfarande och -anordning i en pappersmaskins maongcylindertork.
US4551203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guiding a paper web from the press section to the drying section
EP1543194B1 (en) Forming of a paper or board web in a twin-wire former
US6148831A (en) Method for cleaning a web
JPS6262993A (ja) 抄紙機のツイン・ワイヤ−式乾燥機に関する方法及び装置
US6533899B1 (en) Device for conveying and guiding a lead-in strip of a web in a paper machine
JP2851369B2 (ja) 抄紙機の乾燥部において使用するウエブの通紙を補強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54387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the flutter of a paper web in the dryer section of a papermaking machine between two single felt configurations therein
US5105561A (en) Web and support belt separation for dry end of paper machine
WO2010084241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facilitating web threading in a paper machine's drying section
CA2190563C (en) Device and method to stabilize sheet between press section and dryer section of a paper-making machine
CA2424999C (en)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a drying cylinder and a reel-up of a paper machine
US5720852A (en) Method and device for stabilizing the running of a paper web in connection with a paper guide roll
US6662468B2 (en) Dryer section of a paper or board machine
US20070245589A1 (en) Runnability of Web in a Material Web Machine
WO2001040573A1 (en) Method for supporting web and web support device
CA2427591C (en) Device for conveying and guiding a lead-in strip of a web in a paper machine
WO2000071812A1 (en) Press section with web stabiliz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