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418A - 레이저 구동장치, 광 헤드장치 및 광 정보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구동장치, 광 헤드장치 및 광 정보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418A
KR20010112418A KR1020017012921A KR20017012921A KR20010112418A KR 20010112418 A KR20010112418 A KR 20010112418A KR 1020017012921 A KR1020017012921 A KR 1020017012921A KR 20017012921 A KR20017012921 A KR 20017012921A KR 20010112418 A KR20010112418 A KR 20010112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variable resistors
variable
variable resistor
se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0027B1 (ko
Inventor
이토다츠오
가도와키신이치
가메이도모타다
야마모토히로아키
곰마요시아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12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3Power control during transducing, e.g. by monito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11B7/1275Two or more lasers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e.g. by electron beams
    • H01S5/042Electrical excitation ;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 H01S5/068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 H01S5/0683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by monitoring the optical output parame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40Arrangement of two or more semiconductor las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S5/02 - H01S5/30
    • H01S5/4025Array arrangements, e.g. constituted by discrete laser diodes or laser 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40Arrangement of two or more semiconductor las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S5/02 - H01S5/30
    • H01S5/4025Array arrangements, e.g. constituted by discrete laser diodes or laser bar
    • H01S5/4087Array arrangements, e.g. constituted by discrete laser diodes or laser bar emitting more than one waveleng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Head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다파장 광원은 CD, DVD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광 디스크의 취급을 필요로 하므로, 본 발명은 복수의 광원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저비용 및 고신뢰성을 갖는 레이저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2파장 LD 장치는 반도체 레이저(1a), 반도체 레이저(1b) 및 광검출기(2)를 포함하며, 반도체 레이저(1a, 1b)의 광출력은 광검출기(2)에 직렬로 접속된 가변저항(4a, 4b)의 전압값을 각각 기초로 하여 APC 회로(6a, 6b)에 의해 제어된다. 선택적으로 2파장 LD장치는 반도체 레이저(1a), 반도체 레이저(1b) 및 광검출기(2)를 포함하며, 반도체 레이저(1a, 1b)의 광출력은 광검출기(2)와 병렬로 접속된 가변저항(4a, 4b)의 중간전위를 각각 기초로 하여 APC 회로(6a, 6b)에 의해 제어된다.

Description

레이저 구동장치, 광 헤드장치 및 광 정보 처리장치{LASER DRIVE DEVICE, OPTICAL HEAD, AND OPTICAL INFORMATION PROCESSOR}
고밀도 및 대용량을 갖는 기억매체로서 피트형 패턴을 갖는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광 메모리 기술은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비디오 디스크, 문서파일 디스크 및 데이터 파일 등으로 그 응용이 확대되고 있다.
광 메모리 기술에 의하여 정보는 미세하게 집광시킨 광빔을 통해 고정확도 및 고신뢰성을 가지고 광 디스크에 기록 및 재생된다. 기록 및 재생동작은 광 메모리 기술에 사용된 광학계에만 의존한다.
광학계의 주요부인 광 헤드장치의 기본적인 기능은 회절한계의 미세한 스폿을 형성하는 수렴, 상기에서 설명한 광학계의 초점제어와 트래킹제어 및 피트신호 검출로 대략 분류된다. 이들 기능은 목적 및 용도에 따라 각종 광학계 및 광전변환 검출방식의 조합으로 실현된다.
한편, 최근에 DVD라고 불리우는 고밀도 및 대용량을 갖는 광 디스크가 실용화되어 동화상과 같은 대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매체로서 각광을 받고있다. DVD 광 디스크는 종래의 광 디스크인 콤팩트디스크(이하 "CD"라 함)에 비해 기록밀도를 더 높게 하기 위하여 정보기록면의 피트사이즈를 더 작게 한다. 따라서, DVD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광 헤드장치는 스폿 직경을 결정하는 광원의 파장 및 수렴렌즈의 개구수(이하 "NA"라 함)가 CD의 경우와 다르다. 참고로, CD에 대한 광원의 파장은 약 0.78㎛이고 수렴렌즈의 NA는 약 0.45인데 반하여, DVD 광 디스크에 대한 광원의 파장은 약 0.63 ~ 0.68㎛이고 NA는 약 0.6이다.
따라서 CD와 DVD 광 디스크 두 종류의 광 디스크(에 정보)를 하나의 광 정보 처리장치에 의해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광학계를 갖는 광 헤드장치를 필요로 한다. 특히, 최근에 추가로 기록할 수 있는 CD의 파생형태로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CD-R은 디스크상의 반사막이 0.78㎛의 파장에 대해서 최적화되어 있고 DVD용 파장에서는 정보재생을 할 수 없기 때문에, DVD 및 CD 뿐만 아니라 CD-R상의 정보도 기록 및 재생하는 광 정보 처리장치는 파장이 0.78㎛ 과 0.63 ~ 0.68㎛인 두개의 광원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한편, 광 헤드장치의 소형화, 박형화 및 저비용의 요구로부터 CD와 DVD의 광학계는 공용화하는 경향이 있고, 예를 들어, CD와 DVD용 두 종류의 광 디스크사이에서 수렴용 렌즈만을 전환하는 방식 및 수렴용 렌즈도 공용화하여 DVD 광 디스크에 대해서는 NA만을 크게하고, CD에 대해서는 NA를 작게 하도록 기계적 또는 광학적으로 바꾸는 등의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한 칩의 반도체 레이저(예를 들어, LD:레이저 다이오드)에 적외선 레이저 방사층 및 적색 레이저 방사층을 형성하여 광원도 집적화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또한, 단일의 패키지내에 두 종류의 반도체 레이저 칩을 실장한 2파장 광원도 개발되었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두 개의 광원을 총괄하여 편의상 2파장 LD라 부르도록 한다. 이하에 2파장 LD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종래 LD 구동회로의 블록도이고, 도 10에 있어서 참조번호 1은 반도체 레이저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2는 포토다이오드로서 반도체 레이저(1)의 출력을 모니터하는 광검출기이다. 참조번호 3은 공통단자, 참조번호 4는 가변저항, 참조번호 5는 연산증폭기, 참조번호 6은 자동 전력 제어 회로(이하 "APC 회로"라 함)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LD 구동회로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10에 있어서, 공통단자(3)는 전원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양전위로 유지된다. APC 회로(6)가 동작을 시작할 때 반도체 레이저(1)에 전류가 흘러 반도체 레이저(1)는 발광한다. 포토다이오드(2)가 반도체 레이저(1)로부터 방사된 광의 일부를 수광할 때, 방사광의 강도에 대응하는 전류가 공통단자(3)로부터 포토다이오드(2) 및 가변저항(4)을 경유하여 접지에 흐르게 되므로 가변저항(4)의 양단에 전압이 발생한다. 가변저항(4)의 전압은 연산증폭기(5)에 의해 검출되어 APC 회로(6)에 피드백된다. APC 회로(6)는 가변저항(4)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이 되도록 반도체 레이저(1)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반도체 레이저(1)의 광 출력을 일정하게유지한다. 가변저항(4)의 저항값은 반도체 레이저(1)의 광 출력이 희망하는 값을 갖도록 조정된다.
비록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의 예에서는 반도체 레이저에 대해 하나의 출력 모니터용 광 검출기를 사용할지라도 최근에 개발이 추진되고있는 2파장 LD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광원에 대해 하나의 출력 모니터용 광검출기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도 11은 2파장 LD의 회로블록도이고, 도 11에 있어서, 참조번호 1a는 제 1 반도체 레이저, 참조번호 1b는 제 2 반도체 레이저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2는 포토다이오드로서 반도체 레이저의 출력을 모니터하는 광검출기이다. 참조번호 3은 공통단자를 나타낸다. 광원의 저비용화 및 소형화의 요구 때문에, 회로는 하나의 광 검출기(2)만을 사용하고 광 검출기(2)의 출력단자도 한 개만을 사용한다. 비록 도 11에서 1a 및 1b가 두 개의 반도체 레이저일지라도, 이들 레이저는 단일 레이저 칩의 분리된 발광층이어도 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파장 LD를 구동하는 회로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LD 구동회로를 사용할 때, 회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도 12는 2파장 LD를 구동하는 회로의 블록도이고, 도 12에서 도 11과 동일물에 있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서, 참조번호 4a 및 4b는 가변저항, 참조번호 5a 및 5b는 연산증폭기, 참조번호 6a 및 6b는 APC 회로, 참조번호 7a 및 7b는 전자스위치를 나타낸다.
도 12의 반도체 레이저 구동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제 1 반도체레이저(1a)를 구동하는 경우에 전자스위치(7a)는 접속상태로 설정되는데 반하여 전자스위치(7b)는 단절상태로 설정된다.
APC 회로(6a)에 의해 제 1 반도체 레이저(1a)가 발광을 시작할 때, 전류는 전자스위치(7a, 7b)의 작용에 의해 가변저항(4a)을 통하여 광검출기(2)에 흐른다. 이 후, 제 1 반도체 레이저(1a)는 종래의 LD 구동회로에서와 같이 가변저항(4a)의 저항값을 조정하여 희망하는 광출력에서 구동될 수 있다.
제 2 반도체 레이저(1b)를 구동하는 경우에 전자스위치(7a)는 단절상태로 설정되는데 반하여 전자스위치(7b)는 접속상태로 설정된다. 전류가 가변저항(4b)을 통해 광검출기(2)에 흐르므로 제 2반도체 레이저는 가변저항(4b)의 저항값을 조정하여 희망하는 광출력에서 발광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동작에 있어서, APC 회로(6a, 6b)뿐만 아니라 전자스위치(7a, 7b)도 제어계(도시생략)에 의해 자동적이고 선택적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2파장 LD 구동회로는 전자스위치(7a, 7b)를 필요로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2파장 LD 구동회로는 전자스위치(7a, 7b)의 접속상태에서 온도변화로 야기된 저항값의 변화 때문에 연산증폭기(5a, 5b)의 검출 전압값이 변화하여 반도체 레이저(1a, 1b)의 출력을 변화시키는 또 다른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2파장 LD 구동회로에 의해 구동된 2파장을 사용하는 광 헤드장치 및 광 정보 처리장치의 비용을 증가시키고 온도특성도 열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광 디스크 또는 광 카드와 같은 광 매체 또는 광 자기매체에 정보를 기록, 재생 또는 소거하는 광 정보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른 파장을 갖는 레이저광을 방사하는 광 헤드장치와 그 광 헤드장치에 사용된 레이저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LD 구동장치의 회로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LD 구동장치의 회로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LD 구동장치의 회로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LD 구동장치의 회로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LD 구동장치의 회로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저항의 각종 접속형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LD 구동장치의 회로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광 헤드장치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광 정보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10은 종래의 LD 구동회로의 블록도.
도 11은 2파장 LD의 회로블록도.
도 12는 2파장 LD의 구동회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제 1 반도체 레이저
1b : 제 2 반도체 레이저
2 : 포토다이오드
3 : 공통단자
4a, 4b : 가변저항
5a, 5b : 연산증폭기
6a, 6b : APC 회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저비용이며 특성의 열화가 없는 레이저 구동장치뿐만 아니라 그 구동장치를 이용한 광 헤드장치 및 광 정보 처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은 n개의 레이저 광원 L1 ~ Ln(n은 2 이상의 자연수)과,
상기 n개의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와,
상기 광검출기에 접속된 n개의 가변저항 VR1 ~ VRn과,
상기 가변저항에 관한 n 종류의 전압 V1 ~ Vn을 검출하는 전압검출수단과,
전압값이 소정의 값에 대응하게 검출되도록 상기 레이저 광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저항 VR1 ~ VRn은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전압 검출의 대상은 하나의 가변저항 또는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가변저항으로 구성된 직렬회로이며,
가변저항 또는 직렬회로는 서로 다른 가변저항을 항상 포함하는 레이저 구동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2 발명은 n개의 레이저 광원 L1 ~ Ln(n은 2 이상의 자연수)과,
상기 n개의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와,
상기 광검출기에 접속된 n개의 가변저항 VR1 ~ VRn과,
상기 가변저항에 관한 n 종류의 전압 V1 ~ Vn을 검출하는 전압검출수단과,
전압값이 소정의 값에 대응하게 검출되도록 상기 레이저 광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저항 VR1 ~ VRn은 서로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전압검출수단은 기준전압에 관한 상기 가변저항의 중간전위의 전압 V1 ~ Vn을 검출하는 레이저 구동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3 발명은 n개의 레이저 광원 L1 ~ Ln(n은 2 이상의 자연수)과,
상기 n개의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와,
상기 광검출기에 접속된 n개의 가변저항 VR1 ~ VRn과,
상기 가변저항에 관한 n종류의 전압 V1 ~ Vn을 검출하는 전압검출수단과,
전압값이 소정의 값에 대응하게 검출되도록 상기 레이저 광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저항 VR1 ~ VRn은 일부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또 일부는 서로 병렬로 접속되며,
직렬로 접속된 가변저항군에 관해서,
전압검출의 대상은 하나의 가변저항 또는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가변저항으로 구성된 직렬회로이고,
가변저항 또는 직렬회로는 서로 다른 가변저항을 항상 포함하며,
병렬로 접속된 가변저항군에 관해서,
상기 전압검출수단은 기준전압에 관하여 병렬로 접속된 가변저항의 중간전위의 전압을 검출하는 레이저 구동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4 발명은,
상기 n은 2개이고 상기 가변저항은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압검출수단은 상기 가변저항 각각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는 상기 제 1 발명에 따르는 레이저 구동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5 발명은,
상기 n은 2개이고 상기 가변저항은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압검출수단은 상기 가변저항의 한쪽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양쪽 가변저항으로 구성된 직렬회로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며, 이들 2개의 검출된 전압을 각각 이용하여 가변저항의 양단전압을 검출하는 상기 제 1 발명에 따르는 레이저 구동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6 발명은,
상기 n은 2개이고 상기 가변저항은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압검출수단은 (1) 기준전위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가변저항의 한쪽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고, (2) 상기 기준전위에 대하여 상기 한쪽의 가변저항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다른 가변저항의 단자의 전위를 검출하며, (3) 상기 검출된 전위로부터 상기 검출된 양단 전압을 감산하여 상기 다른 가변저항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는 상기 제 1 발명에 따르는 레이저 구동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7 발명은,
상기 n은 2개이고 상기 가변저항은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가변저항의 한쪽은 소정의 기준전위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압검출수단은 기준전위에 대하여 기준전위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가변저항의 상기 한쪽의 전위와 상기 기준전위에 대하여 가변저항의 상기 한쪽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다른 가변저항의 전위를 검출하는 상기 제 1 발명에 따르는 레이저 구동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8 발명은,
제 1내지 제 7 발명중 어느 하나에 따르는 레이저 구동장치와,
상기 레이저 구동장치로부터 방사된 광을 광 정보 매체로 집광하는 수단과,
상기 광 정보 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광 헤드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9 발명은 광 정보 매체의 구동기구와,
제 8 발명에 따르는 광 헤드장치와,
상기 광 헤드장치로부터 얻어진 포커스 에러신호 및 트래킹 에러신호를 각각이용하는 포커스 서보기구와,
트래킹 서보기구와,
상기 서보기구를 실현하는 전기회로와,
전원을 적어도 포함하는 광 정보 처리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LD 구동장치의 회로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 12에 나타낸 것과 동일물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와 다르게, 도 1은 가변저항(4a, 4b)이 광검출기(2)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과 연산증폭기(5b)가 가변저항(4b)의 양단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연산증폭기는 본 발명에 따른 전압검출수단의 일례이다. 연산증폭기는 이후에 설명한 실시예에서도 전압검출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2파장 LD 구동장치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제 1 반도체 레이저(1a)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의 일례인 APC 회로(6a)에 의해 발광될 때, 전류는 가변저항(4b, 4a)을 통해 광검출기(2)에 흐른다. 이와 동시에, 가변저항(4b, 4a)의 양단에는 각각 가변저항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전압이 발생된다. 가변저항(4a)의 양단의 전압은 연산증폭기(5a)에 의해 검출되고 APC 회로(6a)에 피드백된다.
APC 회로(6a)는 가변저항(4a)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이 되도록 제 1 반도체 레이저(1a)의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가변저항(4a)의 저항값을 미리 조정함으로써 제 1 반도체 레이저(1a)를 희망하는 광출력으로 발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반도체 레이저(1b)를 구동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의 일례인 APC 회로(6b)가 제 2 반도체 레이저(1b)에 전류를 흘리기 시작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전류가 가변저항(4b, 4a)을 통해 광검출기(2)에 흐른다. 이와 동시에, 가변저항(4b, 4a)의 양단에는 각각 가변저항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전압이 발생된다.
가변저항(4b)의 양단의 전압은 연산증폭기(5b)에 의해 검출되고 APC 회로(6a)에 피드백된다. APC 회로(6b)는 가변저항(4b)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이 되도록 제 2 반도체 레이저(1b)의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가변저항(4b)의 저항값을 미리 조정함으로써 제 2 반도체 레이저(1b)를 희망하는 광출력으로 발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LD 구동장치는 반도체 레이저의 개수에 대응하는 수의 가변저항을 직렬로 접속하여 각각의 연산증폭기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가변저항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므로 전자스위치 없이 저비용 및 안정된 동작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본 실시예는 두 개의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하도록 구성하였다 하더라도, 반도체 레이저의 개수에 대응하는 수의 가변저항을 직렬로 접속하여 세 개 이상(n개)의 반도체 레이저가 사용되는 경우라도 각 가변저항의 전압값을 검출하고 그 전압값을 피드백하여 각 반도체 레이저의 광 출력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 2 실시예)
도 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LD 구동장치의 회로블록도이다. 도 2에서 도 1에 나타낸 것과 동일물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참조번호 5c는 연산증폭기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구성에서 도 1과 다른점은 연산증폭기(5b)의 하나의 입력이 접지되는 점과, 연산증폭기(5c)가 연산증폭기(5b)와 연산증폭기(5a) 사이의 출력의차를 취해서 APC 회로(6b)에 그 차를 피드백하는 점이다. 제 2 실시예에서, 이들 연산증폭기는 본 발명에 따른 전압검출수단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2파장 LD 구동장치는 반도체 레이저(1a, 1b)를 구동하는 동작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2파장 구동장치에서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고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지만, 가변저항(4b)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연산증폭기(5b, 5c)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점이 다르다.
이 구성에 있어서, 연산증폭기(5a, 5b)의 입력에 접지되어 있는 입력부는 실제 회로에서 공통이고, APC 회로측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단에서 연산증폭기(5a, 5b)의 접지되어 있는 이외의 입력단자는 총 두 개의 채널로 구성됨에 따라, 제 2 실시예는 세 개의 채널을 사용하는 제 1 실시예에 비해 연산증폭기의 단자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회로 전체의 구성을 단순화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제 3 실시예)
도 3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LD 구동장치의 회로블록도이다. 도 3에서 도 2에 나타낸 것과 동일물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참조번호 5c는 연산증폭기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구성에서 도 2에 나타낸 구성과 다른 점으로는 연산증폭기(5b)가 생략되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2파장 LD 구동장치에서는 반도체 레이저(1a, 1b)를 구동하는 동작이 제 1 실시예의 2파장 구동장치에서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고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지만, 제 3 실시예는 가변저항(4b)의 양단 전압을검출하는 수단으로서 연산증폭기(5a, 5c)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점이 다르다.
이 구성에서 연산증폭기(5c)의 입력중의 하나가 연산증폭기(5a)의 출력이기 때문에 제 3 실시예는 실제 제작에 있어서 연산증폭기(5a, 5c)를 서로 집적화함으로써 제 2 실시예에 사용된 연산증폭기보다 더 작은 수의 연산증폭기 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외부단자를 감소하여 회로 전체의 구성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제 4 실시예)
도 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LD 구동장치의 회로블록도이다. 도 4에서 도 2의 것과 동일물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나타낸 구성이 도 2에 나타낸 구성과 다른점은 연산증폭기(5c)가 생략된 것과 연산증폭기(5b)로부터의 출력이 APC 회로(6b)에 직접 입력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2파장 LD 구동장치에서는 반도체 레이저(1a, 1b)를 구동하는 동작이 제 1 실시예의 2파장 구동장치에서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고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지만, 제 4 실시예는 기준전위(제 4 실시예의 접지전위)와 가변저항(4b)의 광검출기측 전위 사이의 전위차를 APC 회로(6b)에 피드백될 전압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점이 다르다.
따라서, 제 4실시예는 레이저로부터의 광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도 또한 다르다. 특히, 기준전위에 근접하는 전위로 설정된 가변저항(4a)에 대응하는 제 1 반도체 레이저(1a)를 방사하여 가변저항(4a)의 저항값을 조정한 후 가변저항(4b)에 대응하는 제 2 반도체 레이저(1b)를 방사하여 가변저항(4b)의 저항값을 조정한다.
이것은 가변저항(4b)이 먼저 조정된 후 가변저항(4b)이 조정될 때, 기준전위와 가변저항(4b)측 전위 사이의 전위차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또한, APC 회로(6b)에서의 제어에 이용될 소정의 전압은 가변저항(4a, 4b)의 합성저항을 고려하여 결정된 값을 물론 가지고 있다.
이런 구성은 제 3 실시예와 같이 작은 수의 연산증폭기로 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외부단자를 감소하여 회로구성을 단순화하며, 연산증폭기(5a, 5b)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발광하고 있는 반도체 레이저에 대한 연산증폭기 이외의 연산증폭기는 동작하지 않게 함으로써 제 3 실시예보다 소비전력을 더 삭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가 각각 두 개의 가변저항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하더라도 세 개 이상의 가변저항이 직렬로 접속되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6(a)는 세 개의 가변저항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일례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제어하기 위해 이용될 검출전압은 가변저항(40a, 40b 및 40c) 각각의 양단전압이거나 이후에 설명하는 다른 전압이어도 된다. 즉, 가변저항(40a, 40b 및 40c)을 연속적으로 제 1, 제 2 및 제 3 가변저항으로 나타낼 때 세 가지 종류의 전압중 제 1 전압은 가변저항(40a)의 양단전압, 제 2 전압은 직렬회로로 구성된 가변저항(40a, 40b)의 양단전압, 제 3 전압은 가변저항(40c)의 양단전압을 취한다.
또는, 세 가지 종류의 전압중 제 1 전압은 가변저항(40a)의 양단전압, 제 2 전압은 직렬회로로 구성된 가변저항(40a, 40b)의 양단전압, 제 3 전압은 직렬회로로 구성된 가변저항(40a, 40b 및 40c)의 양단전압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세 가지 종류의 전압중 제 1 전압은 가변저항(40a)의 양단전압, 제 2 전압은 직렬회로로 구성된 가변저항(40a, 40b)의 양단전압, 제 3 전압은 직렬회로로 구성된 가변저항(40b 및 40c)의 양단전압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하나의 레이저 광원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는 전압을 검출하는 경우, 그 검출 대상은 하나의 가변저항에 한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가변저항으로 구성된 직렬회로이어도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미 조정되어 있는 가변저항을 포함하는 직렬회로가 대상으로 사용될 때, 이미 조정되어 있는 가변저항은 변화될 수 없으므로 직렬회로는 아직 조정되어 있지 않은 가변저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아직 조정되어 있지 않은 가변저항은 레이저의 광 출력을 조정하기 위해 조정되어야 한다.
즉, 복수종류의 전압이 필요할 때, k 번째(k = 1~n) 전압(Vk)의 검출대상이 되고 복수의 가변저항으로 구성된 직렬회로는 아직 조정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k 번째 저항 또는 이미 조정되어 있는 1번째에서 k-1번째 저항을 포함해야 한다. k 번째 및 n 번째 저항의 서수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가변저항군의 일단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카운트된다.
요컨대, 가변저항 또는 직렬회로는 서로 다른 가변저항을 항상 포함해야 한다.
(제 5 실시예)
도 5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LD 구동장치의 회로블록도이다. 도 5에서 도 4에나타낸 것과 동일물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서 참조번호 100a 및 100b는 가변저항(4a, 4b)의 슬라이더를 각각 나타내며, 슬라이더(100a, 100b)의 전위(이하, 가변저항(4a, 4b)의 중간전위라 부른다)와 접지 전위 사이의 전위차는 저항선을 따라 슬라이더(100a, 100b)를 슬라이딩시켜 변화시킬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구성이 도 4에 나타낸 구성과 다른점은 가변저항(4a, 4b)이 서로 병렬이 되도록 광검출기(2)에 접속되는 점과 가변저항(4a, 4b)의 중간전위가 연산증폭기(5a, 5b)로 입력된다는 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LD 구동장치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제 1 반도체 레이저(1a)가 APC 회로(6a)에 의해 발광될 때, 가변저항(4a, 4b)을 통해 광검출기(2)에 전류가 흐른다. 이와 동시에, 가변저항의 합성저항값에 따르는 전압이 가변저항(4a, 4b)의 양단에 발생된다. 가변저항(4a)의 중간전위는 연산증폭기(5a)에 의해 검출되고 APC 회로(6a)에 피드백된다.
APC 회로(6a)는 가변저항(4a)의 중간전위가 소정의 전위가 되도록 제 1 반도체 레이저(1a)의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제 1 반도체 레이저(1a)는 가변저항(4a)의 슬라이더(100a)를 조정하여 희망하는 광출력으로 발광될 수 있다.
다음에, 제 2 반도체 레이저(1b)가 구동될 때, APC 회로(6b)는 제 2 반도체 레이저(1b)에 전류를 흘리기 시작하므로,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가변저항(4a, 4b)을 통해 광검출기(2)에 전류가 흐른다.
가변저항(4b)의 중간전위는 연산증폭기(5b)에 의해 검출되고 APC 회로(6b)에 피드백된다. APC 회로(6b)는 가변저항(4b)의 중간전위가 소정의 전위가 되도록 제 2 반도체 레이저(1b)의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제 2 반도체 레이저(1b)는 가변저항(4b)의 슬라이더(100b)를 조정하여 희망하는 광출력으로 발광될 수 있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LD 구동장치는 반도체 레이저의 개수에 대응하는 수의 가변저항을 서로 병렬로 접속하여 각 연산증폭기는 상기와 같이 가변저항의 중간전위를 각각 검출하도록 구성되므로 제 4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연산증폭기(5b)의 입력이 연산증폭기(5a)의 입력보다 더 크고 APC 회로(6a, 6b)에 대한 피드백 전압이 제 4 실시예와 관련하여 동등하지 않더라도, 제 5 실시예는 그러한 동등하지 않은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없고 동일한 종류의 APC 회로(6a, 6b)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세 개 이상의 가변저항이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D 구동장치의 가변저항은 직렬회로부분(40a, 40b, 40c)과 예를 들어 가변저항(40b)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병렬회로부분(40d, 40e, 40f)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병렬회로부분은 엄밀하게는 40b를 포함하지만, 여기에서는 40b가 직렬회로부분에 포함된다.
이런 경우, 제 1내지 제 4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직렬회로부분에 적용하고 제 5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병렬회로부분에 적용한다.
(제 6 실시예)
도 7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LD 구동장치를 나타낸다. 도 7에서 도 5에 나타낸 것과 동일물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나타낸 구성이 도 5에 나타낸 구성과 다른점은 반도체 레이저(1a, 1b)가 하나의 캐비넷(101)에 수용된다는 점과 광검출기(2)가 분리된 부품으로서 상기 캐비넷(101)의 외부에 설치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디스크 표면에 있는 광의 양을 엄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을 때 광검출기(2)를 전면 광 모니터로서 사용하는 CD-R, CD-RW 기록장치 또는 DVD-RAM, DVD-R, DVD-RW 기록장치와 같은 장치일 경우의 구성이다.
비록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6 실시예에 따른 LD 구동장치가 반도체 레이저(1a, 1b)를 구동하기 위한 동작에서 제 5 실시예에 따른 LD 구동장치로부터 실질적으로 변화가 없다고 하더라도, 제 6 실시예에 따른 LD 구동장치는 광검출기(2)에 의해 검출된 광의 양에 따라 반도체 레이저(1a, 1b)를 구동시키는 전류를 제어하여 일정한 광 출력을 유지시키는 효과뿐만 아니라 APC 회로를 동적으로 제어하여 광 출력을 제어하는 효과도 제공한다.
이런 구성은 하나의 광 검출기에 의해 각 레이저의 디스크 표면에 있는 광의 양의 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제 6 실시예에서 가변저항(4a, 4b)이 서로 병렬로 접속되었다 하더라도 이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의 제 1내지 제 5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 어떤접속형태를 채택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제 7 실시예)
도 8(a) 및 8(b)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광 헤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8은 2파장 수광-발광 유니트를 나타내며, 2파장 LD, 광 정보매체로부터 반사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 및 홀로그램(hologram)을 가지고 있다. 참조번호 9는 홀로그램을 나타내며, 광을 굴절시켜 상기에서 설명한 광검출기에 광을 리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참조번호 10은 집광렌즈, 참조번호 11은 벤딩 미러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12는 파장선택성 개구를 나타내며 0.65㎛의 파장을 갖는 모든 광과 대물렌즈(13)의 NA에 대하여 0.45의 영역에서 단지 0.78㎛의 파장을 갖는 광만을 투과시킨다. 참조번호 13은 대물렌즈, 참조번호 14는 CD 광 디스크, 참조번호 15는 DVD 광 디스크를 나타낸다.
또한, 도 8(a)는 CD의 재생상태를 나타내며, 2파장 수광-발광 유니트(8)로부터 방사되고 0.78㎛의 파장을 가지고 있는 레이저광은 집광렌즈(10)에 의해 평행한 광으로 변환되고, 벤딩미러(11)에 의해 만곡된 광 경로를 따라 리드되어 파장선택성 개구(12)에 입사된다.
파장선택성 개구(12)에 의해 죄어진 레이저광은 대물렌즈(13)에 의해 CD 광 디스크(14)에 집광된다. CD 광 디스크(14)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광은 대물렌즈(13)에서 벤딩미러(11)를 경유하여 집광렌즈(10)까지 역으로 되돌아가고 홀로그램(9)에 의해 회절되며 2파장 수광-발광 유니트(8)의 광검출기에 의해 광전변환되어 전기신호로서 검출된다.
다음에, 도 8(b)은 DVD의 재생상태를 나타내며, 2파장 수광-발광 유니트(8)로부터 방사되고 0.65㎛의 파장을 가지고 있는 레이저광은 집광렌즈(10)에 의해 평행한 광으로 변환되고, 벤딩미러(11)에 의해 만곡된 광 경로를 따라 리드되어 파장선택성 개구(12)에 입사된다.
파장선택성 개구(12)를 통해 전송된 레이저광은 대물렌즈(13)에 의해 DVD 광 디스크(15)에 집광된다. DVD 광 디스크(15)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광은 대물렌즈(13)에서 벤딩미러(11)를 경유하여 집광렌즈(10)까지 역으로 되돌아가고 홀로그램(9)에 의해 회절되며 2파장 수광-발광 유니트(8)의 광검출기에 의해 광전변환되어 전기신호로서 검출된다.
CD 광 디스크 및 DVD 광 디스크중 어느 한쪽의 경우에, 광검출기에 의해 광전변환되어 검출된 전기신호는 광 디스크상에 피트열의 rf신호 또는 피트열을 추적하기 위한 서보신호로서 이용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CD재생시에 공지된 3-빔 방법은 서보를 트래킹하기위해 이용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에 따른 광 헤드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구동장치를 사용할 때 저비용으로 양호한 온도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 8 실시예)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광 정보 처리장치를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에서 참조번호 16은 제 6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 광 헤드장치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17은 광 디스크, 참조번호 18은 광 디스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모터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19는 회로기판, 참조번호 20은 전원을 나타낸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고 있는 제 8 실시예에 따른 광 정보 처리장치는 아래에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한다. 광 디스크(17)는 모터(18)에 의해 회전된다. 광 헤드장치(16)는 광 디스크(17)의 위치관계에 대응하는 신호를 회로기판(19)에 보낸다. 회로기판(19)은 이 신호를 연산하여 광 헤드장치(16) 또는 광 헤드장치(16)내의 대물렌즈를 미세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광 헤드장치(16) 또는 광 헤드장치(16)내의 대물렌즈는 구동기구(도시생략)에 의해 광 디스크(17)에 대하여 포커스 서보 및 트래킹 서보를 실행하기 때문에, 광 디스크(17)에 대하여 정보의 판독, 기록 또는 소거를 실행한다. 참조번호 20은 전원 또는 외부전원에 대한 커넥터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회로기판(19), 광 헤드장치의 구동기구, 모터(18) 및 대물렌즈의 구동장치에 전기를 공급한다.
또한, 각각의 구동회로에 전원 또는 외부전원의 접속단자를 설치하여도 아무 문제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구동장치는 각 실시예의 LD 구동장치에 대응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전위검출수단은 각 실시예의 연산증폭기에 대응하며, 본 발명에 따른 출력제어수단은 각 실시예의 APC 회로에 대응한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반도체 레이저가 애노드 공통모드로 예시되었다 하더라도, 전원이 접지전위에 치환될 때만은 캐소드 공통모드로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광검출기와 반도체 레이저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변저항에 의해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의 자동 전력 제어 구동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비용 및 온도특성의 관점에서 유리한 레이저 구동장치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비용이고 양호한 온도특성을 갖는 광 헤드장치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광 디스크 미디어에 대응할 수 있고 저비용이며 양호한 온도특성의 광 정보 처리장치를 얻을 수 있게 한다.

Claims (9)

  1. n개의 레이저 광원 L1 ~ Ln(n은 2 이상의 자연수)과,
    상기 n개의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와,
    상기 광검출기에 접속된 n개의 가변저항 VR1 ~ VRn과,
    상기 가변저항에 관한 n 종류의 전압 V1 ~ Vn을 검출하는 전압검출수단과,
    전압값이 소정의 값에 대응하게 검출되도록 상기 레이저 광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저항 VR1 ~ VRn은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전압 검출의 대상은 하나의 가변저항 또는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가변저항으로 구성된 직렬회로이며,
    가변저항 또는 직렬회로는 서로 다른 가변저항을 항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구동장치.
  2. n개의 레이저 광원 L1 ~ Ln(n은 2 이상의 자연수)과,
    상기 n개의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와,
    상기 광검출기에 접속된 n개의 가변저항 VR1 ~ VRn과,
    상기 가변저항에 관한 n 종류의 전압 V1 ~ Vn을 검출하는 전압검출수단과,
    전압값이 소정의 값에 대응하게 검출되도록 상기 레이저 광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저항 VR1 ~ VRn은 서로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전압검출수단은 기준전압에 관한 상기 가변저항의 중간전위의 전압 V1 ~ Vn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구동장치.
  3. n개의 레이저 광원 L1 ~ Ln(n은 2 이상의 자연수)과,
    상기 n개의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와,
    상기 광검출기에 접속된 n개의 가변저항 VR1 ~ VRn과,
    상기 가변저항에 관한 n 종류의 전압 V1 ~ Vn을 검출하는 전압검출수단과,
    전압값이 소정의 값에 대응하게 검출되도록 상기 레이저 광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저항 VR1 ~ VRn은 일부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또 일부는 서로 병렬로 접속되며,
    직렬로 접속된 가변저항군에 관해서,
    전압검출의 대상은 하나의 가변저항 또는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가변저항으로 구성된 직렬회로이고,
    가변저항 또는 직렬회로는 서로 다른 가변저항을 항상 포함하며,
    병렬로 접속된 가변저항군에 관해서,
    상기 전압검출수단은 기준전압에 관하여 병렬로 접속된 가변저항의 중간전위의 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구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개이고 상기 가변저항은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압검출수단은 상기 가변저항 각각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구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개이고 상기 가변저항은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압검출수단은 상기 가변저항의 한쪽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양쪽 가변저항으로 구성된 직렬회로의 양단전압을 검출하며, 이들 2개의 검출된 전압을 각각 이용하여 가변저항의 양단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구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개이고 상기 가변저항은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압검출수단은 (1) 기준전위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가변저항의 한쪽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고, (2) 상기 기준전위에 대하여 상기 한쪽의 가변저항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다른 가변저항의 단자의 전위를 검출하며, (3) 상기 검출된 전위로부터 상기 검출된 양단 전압을 감산하여 상기 다른 가변저항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구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개이고 상기 가변저항은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가변저항의 한쪽은 소정의 기준전위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압검출수단은 기준전위에 대하여 기준전위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가변저항의 상기 한쪽의 전위와 상기 기준전위에 대하여 가변저항의 상기 한쪽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다른 가변저항의 전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구동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레이저 구동장치와,
    상기 레이저 구동장치로부터 방사된 광을 광 정보 매체로 집광하는 수단과,
    상기 광 정보 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헤드장치.
  9. 광 정보 매체의 구동기구와,
    제 8항에 기재된 광 헤드장치와,
    상기 광 헤드장치로부터 얻어진 포커스 에러신호 및 트래킹 에러신호를 각각이용하는 포커스 서보기구와,
    트래킹 서보기구와,
    상기 서보기구를 실현하는 전기회로와,
    전원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처리장치.
KR1020017012921A 2000-02-10 2001-02-07 레이저 구동장치, 광 헤드장치 및 광 정보 처리장치 KR100630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33636 2000-02-10
JP2000033636 2000-02-10
PCT/JP2001/000848 WO2001059897A1 (fr) 2000-02-10 2001-02-07 Dispositif de commande de laser, tete optique et processeur d'information op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418A true KR20010112418A (ko) 2001-12-20
KR100630027B1 KR100630027B1 (ko) 2006-09-27

Family

ID=1855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921A KR100630027B1 (ko) 2000-02-10 2001-02-07 레이저 구동장치, 광 헤드장치 및 광 정보 처리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43303B2 (ko)
EP (1) EP1170840B1 (ko)
JP (1) JP4659323B2 (ko)
KR (1) KR100630027B1 (ko)
CN (1) CN1181602C (ko)
AU (1) AU3223501A (ko)
DE (1) DE60143464D1 (ko)
WO (1) WO20010598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4304B2 (ja) * 1999-07-09 2011-01-05 ソニー株式会社 レーザ装置、光学ヘッド及び光記録再生装置
JP3844290B2 (ja) * 2001-01-24 2006-11-08 シャープ株式会社 ホログラムレーザ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
JP4449260B2 (ja) * 2001-06-19 2010-04-14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レーザダイオード駆動回路
DE10229234A1 (de) * 2002-06-28 2004-02-12 Deutsche Thomson-Brandt Gmbh Eigensicherer Pickup für Wiedergabe- oder Aufzeichnungsgeräte unterschiedlicher optischer Aufzeichnungsträger
KR100499007B1 (ko) * 2002-12-30 2005-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홀로그램 광학소자를 이용한 광 픽업장치 및 홀로그램패턴형성방법
JP4309212B2 (ja) 2003-09-04 2009-08-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ーザパワー制御装置
DE102004023167A1 (de) * 2004-05-07 2005-12-15 Deutsche Thomson-Brandt Gmbh Aufzeichnungs- oder Wiedergabegerät für optische Aufzeichnungsträger mit einem Laserdiodenschaltkreis
KR100544204B1 (ko) * 2004-06-24 2006-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출력 제어장치
US7636377B2 (en) * 2005-03-25 2009-12-22 Lsi Corporation Optical disc recorder laser power control
CN101083458A (zh) * 2006-06-02 2007-12-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阻值变换电路及使用该阻值变换电路的光源控制电路
US7801193B2 (en) * 2008-02-20 2010-09-21 Arima Lasers Corporation Laser diode module with an adjustable monitoring current
JP2011165292A (ja) * 2010-02-15 2011-08-25 Panasonic Corp 光集積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3303A (en) * 1984-07-18 1986-07-29 Iwatsu Electric Co., Ltd. Level compensation circuit
US4985896A (en) * 1985-03-29 1991-01-15 Canon Kabushiki Kaisha Laser driving device
JPS63198387A (ja) * 1987-02-13 1988-08-17 Hitachi Ltd 半導体レ−ザアレイ装置
JPH04176176A (ja) * 1990-11-07 1992-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レーザアレイ装置とその駆動方法
JPH0623267U (ja) * 1992-08-28 1994-03-2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レーザ発光装置の光出力切替装置
JPH087316A (ja) * 1994-06-21 1996-01-12 Canon Inc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3371563B2 (ja) * 1994-08-09 2003-01-27 安藤電気株式会社 レーザダイオードの発光駆動回路
JPH09204676A (ja) * 1996-01-24 1997-08-05 Sony Corp 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5936986A (en) * 1996-07-30 1999-08-10 Bayer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driving a laser diode
JPH10190115A (ja) * 1996-12-20 1998-07-21 Canon Inc マルチビーム書込装置
JP3677915B2 (ja) * 1997-01-22 2005-08-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光量制御装置
JPH10242502A (ja) * 1997-02-21 1998-09-11 Sony Corp 光半導体素子及び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JP3375850B2 (ja) * 1997-05-28 2003-02-10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365724B2 (ja) * 1997-08-12 2003-01-14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11213402A (ja) * 1998-01-27 1999-08-06 Funai Electric Co Ltd 多層記録媒体再生装置
JP4604304B2 (ja) * 1999-07-09 2011-01-05 ソニー株式会社 レーザ装置、光学ヘッド及び光記録再生装置
JP2001244555A (ja) * 2000-03-01 2001-09-07 Pioneer Electronic Corp 自動電力制御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223501A (en) 2001-08-20
KR100630027B1 (ko) 2006-09-27
JP4659323B2 (ja) 2011-03-30
EP1170840B1 (en) 2010-11-17
US6643303B2 (en) 2003-11-04
CN1181602C (zh) 2004-12-22
DE60143464D1 (de) 2010-12-30
EP1170840A4 (en) 2006-09-13
US20030095579A1 (en) 2003-05-22
WO2001059897A1 (fr) 2001-08-16
CN1363126A (zh) 2002-08-07
EP1170840A1 (en)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95296C (zh) 光盘记录和再现装置的激光二极管驱动电路和放大电路
US6445670B1 (en) Laser power control device, optical head and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7002881B2 (en) Light receiving amplification element
JP4844072B2 (ja) 受光増幅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630027B1 (ko) 레이저 구동장치, 광 헤드장치 및 광 정보 처리장치
KR20070026202A (ko) 광 검출기 회로, 레이저 광 방사량 제어 신호를 유도하기위한 방법, 광 픽업 장치, 및 광 디스크 장치
JP4090476B2 (ja) 光電流増幅回路、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882301B1 (ko) 레이저 다이오드·드라이버 및 그것을 구비한 n파장 대응광 픽업
JP2001266388A (ja) レーザー駆動装置、光ヘッド装置及び光情報処理装置
US20070035801A1 (en) Light receiving element circuit and optical disk device
JP3604125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7889625B2 (en) Optical pickup and optical disk dr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4234833A (ja) 互換型光ピックアップ及びその光出力量検出方法
JP2001267694A (ja) レーザ装置、光ヘッド装置および光情報処理装置
KR100463424B1 (ko) 광 픽업장치의 광검출기
JP2002109771A (ja) 光学装置
JP2008152849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光検出器
KR20020063668A (ko) 멀티 파장의 발광부가 적층 형성된 레이저 다이오드를포함한 광픽업 장치
JP2003228867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6216140A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学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3216822A (ja) 光ヘッド装置
JP2000163783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7080471A (ja) 受光素子回路及び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