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242A - 인쇄가능한 적층판 - Google Patents

인쇄가능한 적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242A
KR20010112242A KR1020017008901A KR20017008901A KR20010112242A KR 20010112242 A KR20010112242 A KR 20010112242A KR 1020017008901 A KR1020017008901 A KR 1020017008901A KR 20017008901 A KR20017008901 A KR 20017008901A KR 20010112242 A KR20010112242 A KR 20010112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layer
printable laminate
layer
ink
pri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콜린 제이 쿡
헤이즐 에이 와덴
Original Assignee
헌트 그래픽스 유럽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헌트 그래픽스 유럽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헌트 그래픽스 유럽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10112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24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45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containing cationic or anionic groups, e.g. mord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36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tural gums, of proteins, e.g. gelatins, or of macromolecular carbohydrates, e.g. cellul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54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41M5/5281Polyurethanes or polyure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적층판의 박리 또는 분리에 대해 향상된 내성을 갖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필름. 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캐리어 필름 위의 잉크 기록층에서 새로운 잉크 흡수제 재료 및 새로운 접착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열 기록층과 캐리어 필름 기질 사이의 접착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층의 박리 및 분리에 대한 재료의 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잉크 기록층에서 접착제와 잉크 흡수제 제료의 결합을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쇄가능한 적층판{PRINTABLE LAMINATE}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파일 형태의 영상을 디지털적으로 포착하고, 영상을 컴퓨터로 편집하고, 편집된 영상을 기록 매질에 인쇄하고, 그 후 기록 매질의 영상을 표적 기질로 전달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표적 기질은 섬유, 세라믹 재료, 포스터판지, 강성 PVC 또는 인쇄예술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포말 판지 또는 팽창 PVC 판지와 같은 설치판지를 포함하는 많은 재료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잉크-젯 프린터로 형성된 영상을 받고 전달하는 전형적인 기록 매질은 캐리어 및 다음 중 적어도 두 개의 층을 갖는다: 릴리스층, 보호방벽층, 영상 전달층, 및 접착층. "전달필름"에 대한 1998년 2월 16일 출원된 국제특허출원 PCT/GB98/ 00481호에는 오직 한 층을 갖는 전달 필름을 갖는 캐리어가 기재되어 있다. 이 단일층은 열활성 접착제 입자들과 결합제의 혼합물이고, 또한 잉크-흡수성이며, 그것에 의해 다공성 매트릭스로 정의된다. 상업적 인쇄에 사용되는 경우, 이와 같은 전달 필름은 캐리어를 제거하지 않고 표적기질에 접착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캐리어가 인쇄된 영상을 보유하는 층에 붙어 있음으로써, 영상에 대해 물리적 보호가제공된다.
"인쇄가능한 적층판"에 대한 1998년 6월 30일 출원된 (참조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미국 특허출원 09/107,302호는 잉크-젯 프린터로 생성한 영상을 표적 기질에 전달하기 위한 인쇄가능한 적층판 재료를 기재하고 있다. 인쇄가능한 적층판은, 한면에 잉크 흡수제와 열활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영상 기록층이 배치된 캐리어 필름을 갖는다. 잉크 흡수제로는 변형 셀룰로스 재료이나, 셀룰로스 검 또는 음이온으로 단일 하전된 수용성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열활성 접착제는 폴리우레탄이다. 출원 '302호에서, 영상 기록층의 폴리우레탄은 잉크 흡수제 전체에 분포되고 그것에 의해 기록층이 잉크 흡수제를 갖는 균일 혼합물을 형성하는 작은 타래 형태의 구조이다.
미국 특허 5,501,902호에는 스무서(smoothing iron)를 사용하여 177 ℃에서 밀페될 수 있는 복층의 인쇄가능한 전달재료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온도는 인쇄예술 산업에서 일반적인 설치판지에 사용하기에 지나치게 너무 높다. 또한, 특허 '902호에는 입자 크기가 최대 20 ㎛인 분말 폴리머의 사용이 기재되어 있다. 큰 입도는 결과적으로 인쇄 영상의 명료성, 대조 및 명도가 손실된 오톨도톨한 외관을 갖는 인쇄 영상을 생성하기 쉽다.
국제 특허출원 WO 98/02314호는 임시 캐리어로부터 방출되는 인쇄가능한 전달 재료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전달된 영상은 방수성이다. 이 재료는 20 ㎛의 전형적인 크기의 큰 입자의 다공성 매틀릭스를 사용한다. 전달재료는 필름 내부에 잉크를 캡슐에 넣는 폴리머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고온 처리(일반적으로 190 ℃)된다.
국제 출원 PCT/GB98/00481 및 미국특허출원 09/107,30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추가로, 특히 영상 기록층으로부터 캐리어 필름의 분리 또는 박리를 막는 인쇄가능한 적층판의 성능에 대해 더욱 연구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에 알맞는 크기의 영상을 얻기 위해, 또는 종종 몇몇 상업광고 디스플레이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이 불규칙한 외형을 갖는 설치 영상을 얻기 위한 인쇄가능한 적층판의 절단 및 압탕(cropping)이 보호 캐리어 층을 기록층으로부터 분리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캐리어 필름의 분리는 절단 공정 중 절단 날에 의해 가해진 전단, 인장 및 압축력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날에 의해 형성되는 힘은 인쇄가능한 적층판을 가로질러 및 통과하여 당겨지며 재료를 절단하는데 부여된 힘이 영상 전달층의 접착 강복점을 극복하기에 충분할 때, 영상 기록층과 캐리어 층 사이의 접착 결합을 떨어뜨린다.
결합이 떨어진 후, 캐리어 필름은 영상 기록층으로부터 분리되며 캐리어층에 의해 제공된 보호가 상실된다. 그 밖에, 캐리어층의 분리는, 분리에 의해 영상이 흐려지는 "은도금" 효과를 일으켜, 인쇄된 영상의 질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고 또는 그렇지 않으면 영상의 외관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쇄 영상을 표적기질, 특히 포스터판지, 포말판지, 또는 강성 PVC에 전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캐리어 필름 및 영상 기록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인쇄가능한 적층판의 구현예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2는 캐리어 필름, 점탄성 재료층 및 영상 기록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인쇄가능한 적층판의 두번째 구현예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표적 기질에 적층되는 공정에서의 본 발명의 인쇄가능한 적층판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기록층에 새로운 열활성 접착제, 새로운 잉크 흡수제, 및 이들의 결합물을 사용함에 의해, 영상 기록층으로부터 캐리어 필름이 박리하는데 대한 내성이 향상된 인쇄가능한 적층판 재료를 제공한다.
인쇄가능한 적층판 재료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구조에서 원하는 점탄성을 갖는 중합성 재료층에 의해 제공된 캐리어 필름의 박리에 대해 향상된 내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면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투명한 캐리어 필름, 및 캐리어 필름에 놓인 영상 기록층으로 구성되는 인쇄가능한 적층판이 제공된다. 영상 기록층은 열활성 접착제 및 잉크 흡수제를 포함한다. 열활성 접착제는 폴리우레탄, 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 및 올레핀 및 불포화산 공중합체의 염으로부터 형성된 이오노머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접착 재료이다. 접착제는 수성분산 형태로 이용가능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잉크 흡수제는 양이온성 중합체들의 블랜드, 양이온성 중합체들과 셀룰로스 에테르의 블랜드, 및 폴리비닐 알콜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잉크 흡수제 재료이다. 새로운 접착제 및 접착제와 잉크 흡수제의 결합은, 적층판이 덜 박리되게 하는, 높은 강복점을 갖는 잉크 기록층을 생산한다.
제 1면의 변형에 따르면, 인쇄가능한 적층판은 마주보는 제 1면과 제 2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캐리어 필름; 캐리어 필름의 한 면에 의해 직접 지지되는 내부 표면과 인쇄된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노출된 외부 표면을 갖는 균일한 열가소성 영상 기록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열가소성, 열활성 접착재료는 기록층의 약 40 ~ 60 중량%를 구성하며, 기록층의 나머지 중량의 적어도 75 %는 기타의 잉크 흡수, 열가소성, 양이온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2면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투명한 캐리어 필름, 캐리어 필름에 놓인 점탄성 재료층 및 점탄성 재료층에 놓인 영상 기록층으로 이루어진 특허가능한 적층판을 제공한다. 점탄성 재료는 폴리우레탄, 아크릴, 비닐,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프렌, 및 적층판을 절단하는 날에 의해 부여되는 전단력의 "감속"에 기여하는 물리적 성질을 갖는 올레핀계 중합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열경화성 폴리머이다. 영상 기록층은 올레핀 중합체들과 같은 열활성 접착제에 관하여 앞에서 기재한 것과 같이, 폴리우레탄, 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 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폴리우레탄, 페녹시 수지, 아크릴, 비닐,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프렌, 및 이오노머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열활성 접착제와 함께, 양이온성 폴리머들의 하나이상의 블랜드, 양이온성 폴리머들과 셀룰로스 에테르의 블랜드, 및 폴리비닐알콜일 수 있는 잉크 흡수제를 포함한다. 이것은 상기와 같이 점탄성 재료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영상 기록층의 잉크 흡수제는 첫번째 구현예의 잉크 흡수제에 관하여 기재한 것과 같다. 즉, 양이온성 폴리머들의 블랜드, 양이온성 폴리머들과 셀룰로스 에테르의 블랜드, 및 폴리비닐 알콜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잉크 흡수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성분들 하나 이상의 나머지 각각의 성분들과의 관계 및 특징, 특성 및 요소들의 관계는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히 예시될 것이다.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그림, 구조 및 특성은 동일한 숫자에 의해 확인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번째 구현예에 따른 인쇄 가능한 적층판(10)을 나타낸다. 인쇄가능한 적층판은 제 1 표면과 제 2 표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캐리어 필름(12), 및 내부 표면과 외부표면을 갖고, 영상 기록층의 내부 표면은 캐리어 필름(12)의 한 표면에 완전히 및 단단히 직접 지지되는 영상 기록층(14)을 포함한다. 영상 기록층의 노출된 외부 표면은 통상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도시하지 않음)로 적용되는 잉크 영상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잉크-젯 프린터에 의해 형성된 잉크 침전물(16)의 패턴은 실질적 감성 없이 기록층(14)의 두께를 통해 확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두번째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인쇄가능한 적층판(20)을 나타낸다. 인쇄가능한 적층판(20)은 제 1 표면과 제 2 표면을 갖는 캐리어 필름(12), 마찬가지로 제 1 표면과 제 2 표면을 갖는, 점탄 재료가 캐리어 필름의 표면 중 하나에 완전 및 단단히 접촉하여 그 표면중 하나에 직접 지지되는 점탄성 재료층 (25), 내부 표면이 점탄성 재료층의 다른 표면과 완전 및 단단히 접촉하여 직접 지지되는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을 갖는 영상 기록층(14)을 포함한다. 영상 기록층의노출된 외부표면은 잉크-젯 프린터에 의해 적용되는 영상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영상은 도 1에 관한 상기와 같이 잉크 침전(16) 패턴의 형태를 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첫번째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인쇄가능한 적층판(10)을 설치판지에서 적층되는 방법으로 도시한다. 도 3의 설치판지는, 적어도 한 면이 종이층(34)으로 지지되는 팽창 폴리스티렌층(32)으로부터 형성된 실질적으로 단단한 평면 구조이다. 종이는 그 위에 인쇄가능한 적층판(10)이 접착되는 알맞은 표면을 제공한다. 도 3에서 인쇄가능한 적층판의 영상 기록층(14)은, 영상 기록층에서 잉크 침전(16)의 존재에 의해 증명되는 것과 같이, 적층하기 전에 잉크-젯 프린터에 의해 영상이 인쇄되었다.
영상 기록층은 가열된 적층 롤러(36)로 인쇄가능한 적층판을 접촉함에 의해 영상 기록층에서 접착제가 활성되는 온도까지 가열된다. 롤러 외부의 가열 소자의 사용을 포함하여, 적층판의 영상 기록층을 가열하는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설치판지(30) 및 인쇄가능한 적층판은 접착제가 활성인 동안, 단단한 접촉을 가져오며, 적층 롤러(36)에 의한 열과 핀치 롤러(38)에 의한 압력의 결합은 설치판지에 인쇄가능한 적층판을 단단히 접착시키기에 충분하다.
본 발명은 영상 기록층의 비-용융 전달 또는 캐리어 필름으로부터의 영상 기록층의 방출을 의도함을 이해할 수 있다. 오히려, 캐리어는 인쇄가능한 적층판이 표적 표면에 접착된 후, 영상 기록층 위의 위치에 유지되려고 한다.
본 발명의 캐리어 필름은 고분자 조성을 갖는 투명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캐리어층에 적당한 고분자 필름 재료는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포함한다. 그 밖에, 또한 복층 캐리어 필름은 본 발명에서, 특히 인쇄에서 결이 필요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복층 필름은 벨기에의 아시-도만(Assi-Doman)사의 직조 폴리프로필렌 필름 30 ㎛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50 ㎛의 적층판인 딥 크리스탈(DEEP CRYSTAL)이다. 크리스탈 매트(CRYSTAL MATTT)는 동일사 제품인 유사한 복층 캐리어이다.
선택된 필름 표면은 임의로 화학약품으로 및/또는 필름에 재료의 접착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공정으로 처리된다. 이와 같은 처리 중 하나는 코로나 방전처리 (corona discharge treatment)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캐리어 필름은 전형적으로 36 ~ 250 ㎛ 범위의 두께를 가지며, 약 50 ㎛가 바람직하다.
캐리어 필름 및 영상 기록층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 구현예의 기록층은 열활성 접착제 및 잉크-흡수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구현예에서 사용하기 위한 열활성 접착제는 폴리 우레탄, 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 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오노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접착제이다. 본 발명의 이 구현예에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 흡수제는 양이온성 중합체들의 블랜드, 양이온성 중합체들과 셀루로스 에테르의 블랜드, 및 폴리비닐알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은, 영국 체셔 치어들 소재, BASF Corp.의 등급 DS 3507, DS 3459, 200A의 LUPHEN-D; 영국 워체스터셔 드로이트위치 소재, Baxendne의 233-22, 242-67, 280-42 및 755 등급의 WITCOBOND; 및 영국 체셔 노쓰윅 소재, 제네카 레이진스의 NEOREZ R-563과 같은 시판중인 재료를 예로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예는, 영국 노팅햄셔 뉴왁 소재 코로나 어드헤시브사의 CRODALAM 29-188; EP1, EP400, 및 EF424 및 EF41등급의 VINNAPAS, 및 독일 뮌헨, 와커-케미사의 VINNOL CE752와 같은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적당한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로는 영국 브레이드포드 웨스트 요오크셔 소재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제품인, 등급 LS20, 및 C44 GLASCOL; BASF 사의 ACRONAL 290D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알맞는 이오노머 공중합체는 올레핀과 불포화산의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된 금속, 암모늄 또는 아민염이다. 올레핀은 전형적으로 C-C 올레핀이다. 산성 공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해 올레핀과 공중합되는 불포화산들은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및 기타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산을 포함한 불포화산이다. 염을 형성하기 위해 공중합체와 결합하는 적당한 재료에는 금속들, 및/ 또는 나트륨, 칼륨, 아연, 암모니아, 및 아민과 같은 중화제가 포함된다. 이오노머 공중합체의 예는 네덜란드 헤르그바르트, 파라멜트사의 1088 및 1127 등급의 AQUASEAL; 및 네덜란드, 아머스포트 소재 모르톤 인터내셔날 비브이의 ADCOTE 37 R220 등 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흡수제로서 사용되는 양이온성 중합체는 삼가질소 또는 사가질소를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삼가질소는 일급, 이급 또는 삼급 아민 또는 아미노-화합물, 폴리아민, 아미드, 락탐, 피롤리돈, 아민 옥사이드 및 방향족질소고리(헤테로시클릭)와 같은 작용기에서 선형 또는 시클릭 구조의 일부로서 존재할 수 있다. 사가질소는 전형적으로 삼가아민과 알킬 또는 알킬아릴 할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원칙적으로는, 삼가질소 또는 고리질소를 함유하는 어느 폴리머는 사가질소 화합물로 전환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특정 양이온성 중합체는 비닐 피롤리돈 동종중합체, 비닐 피릴리돈-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 에스테르-비닐 피롤리돈 공중합체, 아크릴 에스테르-양이온 치환된 아크릴 모노머 공중합체, 폴리옥사졸린, 및 양이온-치환 아크릴 에스테르-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사용하기 위한 비닐 피롤리돈 동종중합체의 예로는 BASF 사의 등급 K30 및 K60의 LUVISKOL; 영국, 써리, 길포드, 인터내셔날 스페셜티 프로덕츠사의 PVP K-60; 및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사의 GLASCOL DP6-7132이다. 본 발명의 비닐 피롤리돈-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예로는 BASF사의 LUVISKOL VA64; 인터내셔날 스페셜티 프로덕츠사의 PVP/VA S-630; 및 BASF사의 COLLACRAL VL 등이다. 양이온-치환된 아크릴 모노머와 공중합된 아크릴 에스테르는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사의 DP6-2779 및 DP6-2724 등급의 GLASCOL라는 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양이온-치환 아크릴 에스테르와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의 예는 BASF 사의 등급 CL 750 및 CF 604의 SEDIPUR 라는 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폴리옥사졸린의 예는 영국, 도어셋, 겔링햄 소재, 시그마 알드리치 컴파니 리미티드사의 폴리(2-에틸-2-옥사졸린)이다.
상기 확인된 흡수제 재료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열가소성 잉크 흡수제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다른 타입의 흡수제 재료는 변형된 셀룰로스 재료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변형 셀룰로스 재료이다. 적당한 잉크 흡수제는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및 셀룰로스 검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열가소성 변형 셀룰로스는, 델라웨어, 윌밍톤, 헤르쿨레스사의 Klucel E 변형 셀룰로스 분말이다. 열가소성이 아닌 기타 적당한 재료는 블라노스 셀룰로스 검(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셀룰로스 에테르로 기재된다. 상기의 GLASCOL DP6 또한 적당하지만 열가소성 재료는 아니다.
본 발명의 이 구현예에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콜의 예는 다음과 같다; 영국 에섹스 해로우 소재, 해로우 케미칼 컴퍼니의 MOWIOL 8-88, ALCOTEX 55-002H, 및 ALCOTEX SG; 및 와커-케미사의 POLYVIOL M05/140이다.
열활성 접착제와 잉크 흡수제는 함께 영상 기록층의 총중량의 90 ~ 100 %를 이룬다. 바람직하게, 열활성 접착제 및 잉크 흡수제는 기록층의 92 ~ 99 %, 더욱 바람직하게는 97 ~ 99 %를 이룬다. 열활성 접착제는 영상기록층 총 중량의 약 33 ~ 77 % pph(patrs per hundred weight) 및 더욱 바람직하게, 40 ~ 65 pph를 이루며, 기록층의 나머지 중량의 적어도 75 %는 다른,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양이온성 폴리머 재료인 잉크 흡수제로 구성된다. 잉크 흡수제는 바람직하게 영상 기록층 총 중량의 20 ~ 66 pph, 더욱 바람직하게 30 ~ 50 pph를 이룬다. 영상 기록층의 나머지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제조시 영상 기록층의 취급 및 적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임의로 계면활성제 및 증점제를 포함한다. 캐리어 필름 위에 형성된 영상 기록층은 10 ~ 45 ㎛범위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약 26 ㎛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이 구현예에서 기록층은 에멀젼, 바람직하게는 물-기재 에멀젼 상태로 캐리어 필름에 도포되며, 접착제의 필름 형성 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건조된다. 영상 기록층의 적용은 독트 블레이드 또는 기타 스프레딩 장비로 영상 기록층을 스프레딩하고, 재료를 드랍코팅하고, 및 바람직하게 적당한 층을 형성하도록 재료를 분무하는 것을 포함하는 어느 적당한 수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건조된 필름의 구조는 필수적으로 수용성 잉크 흡수제의 연속층에 걸쳐 분포된 접착제 입자들의 구조이다. 접착제 입자의 크기는 0.08 ~ 3.0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0.1 ㎛ 이다. 그밖에, 접착제 입자는 타래 같은 입체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캐리어 필름의 박리에 대한 강화된 내성이, 인쇄가능한 적층판 구조에 연합된 신장가능 점탄성 중합재료의 층의 내포물을 통해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신장가능"이라는 용어는 주어진 힘에 의해 늘어나거나 그렇지 않으면 뒤틀리며 파손에 저항하는 재료의 성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이 구현예에서, 점탄성 재료층은 캐리어 필름 위에 놓이며, 영상 기록층은 점탄성 재료층 위에 놓인다.
본 발명의 이 구현예 사용하는 캐리어 필름은 상기와 동일하다.
점탄성 재료는 캐리어 필름 및 또한 잉크 흡수층에 양호한 접착을 나타내는 점탄성 물리적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중합체이다. 점탄성 재료의 원하는 특성은 실온 미만 및 전형적으로 -55 ℃에서 +10 ℃ 사이의 T(유리전이 온도)를 포함한다. 모듈(저장 모듈 또는 G')은 5 x 10 내지 2 x 10 dyne/cm가 바람직하다. 점도(손실 모듈)는 2.2 x 10 내지 4 x 10 Poise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탄성 재료의 물리적 특성의 일반 설명과 같이, 재료는 인쇄가능한 적층판을 절단 및 압탕에 적용되는 힘 또는 여러 힘을 받을 때 파손에 저항하며 신장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점탄성 재료층을 미국 특허 출원 09/107/302호에 게재된 인쇄가능한 적층판과 기타 인쇄가능한 적층판, 특히 캐리어층이 적층판에 의해 보유되는 적층판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을 것이다..
점탄성 재료는 폴리우레탄, 아크릴, 비닐,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프렌, 및 올레핀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로 이루어진다. 비닐의 범위에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당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이 구현예에서, 유용한 아크릴의 특정 예로는 영국 버어크셔, 슬로우프 소재, 내셔날 서치 앤드 케미칼 컴퍼니의 DUROTAK; BASF의 ACRONAL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접착층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비닐은 독일 뮌헨 소재, 와커 케미사의 VINNAPAS EP1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의 예는 영국 에섹스 해로우 소재, 도버스트랜드 리미티드의 REVINEX 80R10이다.
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는 영국 체스터 소재, 쉘 케미칼스에서 시판되는 KRATON D 및 KRATON G이다.
폴리클로로프렌은 독일 도마겐 소재, 바이어 에이.지.의 DISPERCOLL C 및 BAYPREN으로 시판된다.
적당한 올레핀 중합체에는 BASF사의 OPPANOL로 시판되는 폴리이소부티렌이포함된다. 기타 올레핀 중합체에는 폴리부타디엔 및 폴리이소프렌이 포함된다.
점탄성 재료층은 인쇄가능한 적층판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량의 다양한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재료는 재료의 원하는 점탄성 및 신장특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가소제를 포함한다. 그 밖에, 캐리어층을 통과하고 결과적으로 영상 기록층에서 영상에 도달하는 광스펙트럼의 다양한 세그멘트의 여과를 돕기 위해 점탄성 재료에 광흡수제를 첨가할 수 있다. 특히, 태양광 및 인공광의 액틴화 효과에 의해 잉크 흡수층에 유지되는 영상을 감성시키는 경향이 있는 UV 스펙트럼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자외선 흡수 재료를 접착제 층에 첨가할 수 있다.
적당한 가소제로는, 영국 헤르트포드셔 비숍스 스토르트포드소재, 알콜스 리미티드의 프탈레이트 에스테르, 영국 맨체스터 소재 시바의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및 영국 체셔 런콘 소재, 아이씨아이 클로-케미칼스의 염소화 파라핀등이 있다. 적당한 광흡수제는 널리 알려져 있으며, 영국 맨체스터 소재, 시바 케미칼스의 TINUVINR과 같은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구현예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중합체 중 몇몇은 실온에서 사용할 때 특히 끈끈하다. 그러므로 캐리어 필름은 접착제 층의 반대쪽에 있는 필름의 표면 위를 방출-코팅 재료로 처리되어, 필름이 필름감개 또는 롤로부터 쉽게 풀릴 수 있고 및 인쇄가능한 적층판의 인쇄 또는 장착에 사용하기 위해 필요할 때 풀릴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출 코팅은 접착제 산업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영국 버어크셔 윈저 소재, 에머랄드 케미칼스에서 시판되는 ESCOAT P(폴리비닐 옥타데실 카바메이트)와 같은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구현예의 영상 기록층은 열활성 접착제 및 잉크 흡수제를 포함한다. 열활성 접착제는 (모두 본 발명의 첫번째 구현예의 영상 기록층에서 발견된 열활성 접착제에 대한 참조로서 위에서 기재된 것과 같이) 폴리우레탄, 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 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오노머 공중합체, (모두 본 발명의 현 구현예의 기재된 것과 같이 점탄성 재료에 대한 참조로서 위에서 기재된 것과 같이) 폴리우레탄, 아크릴, 비닐,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프렌 및 올레핀 중합체, 및 페녹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이다. 현 구현예에서 사용되는 잉크 흡수제는 (모두 본 발명의 첫번째 구현예의 잉크 흡수제에 대한 참조로서 위에서 기재된 것과 같이) 양이온성 중합체들의 블랜드, 양이온성 중합체들과 셀룰로스 에테르의 블랜드, 및 폴리비닐 알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기록층에서 열활성 접착제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페녹시 수지는 사우스 캐롤리나 록힐 소재, 페녹시 어쏘시에이트의 PKHW-35로 시판되는 수지이다. 페녹시 수지가 영상 기록층에 사용될 때, 전하 리버서로서 작용하도록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페녹시 수지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중의 음이온성 분산제의 형태로 공급되는 페녹시 수지와 음이온성 분산제는 일반적으로 (영상 기록층에서 사용되는 잉크 흡수제와 같은) 양이온성 중합제와 양립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의해 페녹시 수지의 음전하를 감소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영상 기록층에서 음이온성 페녹시 수지와 양이온성 중합체 사이에 "브릿지"로 작용한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유용성은 페녹시 수지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의 용도를 넘어 확장된다. 실제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어느 음이온성 접착제는 양쪽성 계면 활성제의 사용에 의해 향상된 양이온성 잉크 흡수제와의 양립성을 가진다. 적당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영국 험버사이드 스네이쓰 소재, 크로다 서펙턴츠 리미티드의 CRODATERIC CYNA이다.
점탄성 재료는 수성 분산제, 유기 용매로 형성된 용액 또는 고온 용융물의 형태로 캐리어 필름 위에 직접 도포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점탄성 재료층은 결합된 점탄성 재료층 및 영상 기록층의 60 ~ 80 중량%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점탄성 재료는 점탄성 재료층과 영상 기록층의 결합된 양의 62.5 ~ 80.0 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 70.0 ~ 75.0 중량%를 구성한다.
점탄성 재료층 내에, 점탄성 재료는 층의 최대 100 중량%까지 포함될 수 있다. 가소재는, 존재한다면, 점탄성 재료층 총 중량의 최대 30 %까지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하게, UV 광흡수제는, 존재한다면, 점탄성 재료층 총 중량의 2.0 ~ 5.0 %을 이룰 수 있다.
점탄성 재료층은 전형적으로 20 ~ 50 ㎛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25 ~ 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35 ㎛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이 구현예에서, 기록층은 에멀젼의 형태, 바람직하게 물-기재 에멀젼의 형태로 캐리어 필름에 도포된 다음, 건조된다. 건조된 필름의 구조는 수용성 잉크 흡수제의 필수적인 연속층을 통해 분포된 접착 입자들의 구조이다. 접착제입자들의 크기는 0.08 ~ 3.0 ㎛ 이며, 0.1 ㎛의 입도가 바람직하다. 접착제 입자들은 타래와 같은 입체구조를 갖는다.
잉크 흡수층은 분산된 접착제를 함유하는 수용액 형태로 접착제 층에 걸쳐 도포될 수 있고, 층은 접착제 분산의 온도를 형성하기 위해 최소한의 필름 아래에서 건조된다.
열활성 접착제 및 잉크 흡수제는 함께 영상 기록층 총 중량의 93 ~ 98%를 이룬다. 바람직하게, 열활성 접착제 및 잉크 흡수제는 기록층 전체 중량의 94 ~ 98%, 바람직하게는 97 ~ 98%를 이룬다. 열활성 접착제는 영상 기록층의 총 중량의 48 ~ 64 pph 이룬다. 바람직하게, 열활성 접착제는 영상 기록층 총 중량의 50 ~ 60 pph, 더욱 바람직하게 57.8 ~ 59.8 pph을 이루는 반면, 잉크 흡수제는 영상 기록층 총 중량의 34 ~ 50pph, 바람직하게 39 ~ 49 pph, 더욱 바람직하게 39.2 ~ 41.2 pph를 이룬다. 영상 기록층의 나머지는 계면활성제 및/또는 농후제로 구성된다.
영상 기록층은 점탄성 재료 층 위에 직접 놓이고 건조를 촉진하기 위한 조건을 겪게된다. 그러나, 더 나은 결과는 잉크 기록 재료를 릴리스 시트에 놓고, 영상 기록층의 건조를 촉진하는 조건을 겪게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건조시, 영상 기록층은 점탄성 재료 층 위에 직접 놓여진다. 방출 시트는 점탄성 재료층 위에 영상 기록층을 놓기 전 또는 놓은 후 제거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캐리어 필름 및 잉크 흡수층을 갖는 인쇄가능한 실시예의 군을 실시예 1-6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는 각 식에서 적어도 하나는 열가소성인 잉크 흡수제를 사용한 반면, 실시예 5 및 6은 명백히 열가소성이 아닌 잉크 흡수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잉크 흡수제 층으로 코팅하기 위한 캐리어 필름 조각을 준비하였다. 사용한 캐리어 필름은 영국, 윌트셔 스윈든 소재, 호우크스트 트레스파판에서 ETICOURT ETM으로 시판되는 오리엔트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이었다. 캐리어 필름의 두께는 약 57 ㎛였다.
영상 기록층의 혼합물은 다음에 표시된 성분들 및 양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설명 중량 건조중량
GLASCOL LS20 폴리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50.7 중량% 49.6 중량%
탈염수 (희석제) 24.4 중량%
LUVISKOL VA64 비닐 피롤리돈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24.4 중량% 49.7 중량%
LUMITEN AFK (계면활성제) 0.5 중량% 0.7 중량%
혼합물을 캐리어 필름에 도포하고 약 50 ℃에서 건조하였다. 충분한 양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건조 후 잉크 흡수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양이 평방미터 당 약 25 g 이 되도록 하였다.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고 소재, 앤캐드사의 잉크젯 프린터 CHROMA 24를 사용하여 영상을 인쇄한 적층판으로 시험 프린트를 제조하였다. 이 실시예의 인쇄된 적층판의 샘플 두개를 이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100 ℃, 압력 80 psi에서, 공급속도 2 feet/분으로 조절된 롤러 적층기를 사용하여, 3 mm 두께의 포말 판지 조각에첫번째 샘플을 적층하고, 3 mm 두께의 팽창 PVC 판지 조각에 두번째 샘플을 적층하였다. 적층 후, 인쇄가능한 적층판 및 설치판지를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샘플 당김 시험을 사용하여 각 샘플의 표적 판지에 대한 적층판의 접착을 시험하였다. 시험 중, 견인력을 설치판지로부터 인쇄가능한 적층판의 분리가 발생할 때까지 적용하였다. 적층판이 설치판지의 표면종이의 일부 또는 전체와 함께 당겨지면, 접착능은 양호하다고 간주된다. 인쇄가능한 적층판이 표면종이의 일부를 가져감 없이 설치판지로부터 벗겨지면, 접착능은 불량하다고 판단된다. 비종이-코팅 판지의 경우, 적층판이 판지에서 어렵게 분리되거나 캐리어가 영상을 함유하는 층으로부터 박리되면, 접착은 양호하다고 판단된다. 실시예의 인쇄가능한 적층판은 설치판지에 대해 양호한 접착을 제공한다고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캐리어 필름을 사용하여, 적층판 평방미터당 잉크 흡수제 층 25 g(건조중량)의 코팅을 도포하여 인쇄가능한 적층판을 제조하였다. 잉크 흡수제층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성분 설명 중량 건조중량
AQUASEAL 1127 이오노머 14.1 중량% 48.4 중량%
LUVISKOL VA64 비닐 피롤리돈 에스테르 공중합체 14.1 중량% 48.6 중량%
탈염수 희석제 14.1 중량%
0.88 sg 암모니아 중화제 0.5 중량%
붕산 산성화제, 침전제 0.7 중량% 2.4 중량%
LUMITEN AFK 계면활성제 0.3 중량% 0.6 중량%
영상 기록층을 건조시키고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영상으로 인쇄하였다. 100 ℃, 압력 80 psi, 공급속도 2 피트/분으로 조절된 롤러 적층기를 사용하여, 3 mm 두께의 포말 판지 조각에 실시예 2의 첫번째 샘플을 적층하고, 3 mm 두께의 팽창 PVC 판지에 두번째 샘플을 적층하였다. 팽창 PVC 판지 및 포말 판지 모두에 대해 접착은 매우 양호하다고 확인되었다.
실시예 3A
인쇄가능한 적층판을 코로나 방전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여, 캐리어 필름에 평방미터당 35 g의 영상 기록층 재료를 도포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잉크 흡수층을 58 ℃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잉크 흡수층의 식은 다음과 같다.
성분 설명 중량 건조중량
WICTOBOND 232-22 폴리우레탄 59.2 중량% 55.3 중량%
LUVISKOL VA64 비닐 피롤리돈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 16.6 중량% 38.8 중량%
탈염수 희석제 16.6 중량%
GLASCOL DP6-7132 양이온성 중합체 6.7 중량% 4.9 중량%
LUMITEN IRA 계면활성제 0.9 중량% 1.0 중량%
잉크 흡수층을 건조시킨 후, CHROMA 24 잉크 젯 프린터의 GS 잉크 셋으로 실시예 1과 같이 인쇄하였다. 인쇄된 영상을 건조시키고, 100 ℃, 압력 80 psi에서, 공급속도 2 피트/분으로 조절된 롤러 적층기를 사용하여, 인쇄영상의 첫번째 샘플을 3 mm의 포말 판지에 적층하고, 두번째 샘플은 3 mm 두께의 팽창 PVC 판지에 적층하였다. 벗김 시험에서, 포말 판지 및 팽창 PVC 판지 모두에 대해 적층판의 접착은 매우 우수하다고 확인되었다.
실시예 3B
성분 설명 중량 건조중량
WICTOBOND 232-22 폴리우레탄 43.48 중량% 45.66 중량%
LUVISKOL VA64 비닐 피롤리돈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18.60 중량% 48.83 중량%
탈염수 희석제 34.98 중량%
KLUCEL E 변형 셀룰로스 1.82 중량% 4.77 중량%
LUMITEN IRA 계면활성제 0.56 중량% 0.74 중량%
실시예 3B는 실시예 3A의 잉크 흡수제(양이온성 폴리머들의 블랜드)가 비교적 소량의 셀룰로스 에테르와 더욱 블랜드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A와 상당히 유사하다. 실시예 3B에 따른 영상층의 바람직한 건조 중량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딥 크리스탈 또는 크리스탈 매트 캐리어 필름 위에서, 평방미터당 28 ~ 30 g이다. 이것은 각각 광택 및 매트 생성물을 제공한다. 단순한 광택 효과는 50 ㎛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코팅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폴리우레탄의 건조중량%는 40 ~ 50 %의 범위이고; 양이온성 폴리머 블랜드의 범위는 45 ~ 50 %; 셀룰로스 에테르의 범위는 3 ~ 10 %일 수 있다. 효과적인 건조중량의 범위는 25 ~ 35 g/m2, 바람직하게는 28 ~ 30 g/m2일 수 있다.
실시예 4
코로나 방전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잉크 흡수층 재료의 혼합물을 평방 미터당 건조중량 35 g의 양으로 도포하는 캐리어 필름으로 사용하였다. 영상 기록층 재료의 식은 다음과 같다.
성분 설명 중량 건조중량
CRODALAM-29-188 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 59.6 중량% 57.2 중량%
LUVISKOL VA64 비닐 피롤리돈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15.8 중량% 36.1 중량%
탈염수 희석제 15.8 중량%
GLASCOL DP6-7132 양이온성 중합체 7.9 중량% 5.7 중량%
LUMITEN IRA 계면활성제 0.9 중량% 1.0 중량%
잉크 흡수층 재료를 캐리어 필름에 도포하고 58 ℃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하였다. 그 후, 인쇄가능한 적층판을 인쇄하고 상기의 실시예들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3 mm 두께의 포말 판지 및 3 mm 두께의 팽창 PVC 판지에 적층하였다. 벗김 시험은 포말 판지 및 팽창 PVC 판지 모두에 대한 접착이 매우 우수함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내지 4는 흡수제 재료중 적어도 하나는 열가소성 접착 특성을 갖는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증한다(예를 들면, 비닐 피롤리돈-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 LUVISKOL VA 64, PVP/VA S-630 및 Collacol VL; Klucel; 및 폴리옥사졸린).
실시예 5
상기 실시예와 같이, 인쇄가능한 적층판을 코로나 방전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영상 기록층을 형성하여 제조하였다. 영상 기록층은 평방미터당 건조중량이 35 g이며 58 ℃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되었다. 영상 기록층 재료의 식은 다음과 같다.
성분 설명 중량 건조중량
ACRONAL 290D 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 30.3 중량% 76.9 중량%
LUVISKOL VA64 비닐 피롤리돈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4.2 중량% 21.3 중량%
탈염수 희석제 64.8 중량%
LUMITEN IRA 계면활성제 0.7 중량% 1.8 중량%
상기 실시예와 같이, 인쇄가능한 적층판을 영상으로 인쇄하고, 건조시키고, 샘플을 3 mm 포말 판지에 적층시켰고 두번째 샘플은 3mm 팽창 PVC 판지에 적층시켰다. 벗김 시험에서, 포말 판지와 팽창 PVC 판지 모두에 대해 접착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6
잉크 흡수층을 형성하기 위해 성분들의 혼합물을 코로나 방전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도포하였다. 잉크 흡수층의 건조 중량은 평방미터당 약 35 g 이었다. 재료를 적용시킨 후, 잉크 흡수층을 58 ℃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잉크 흡수 혼합물의 식을 다음의 성분들로 제조하였다.
성분 설명 중량 건조중량
WICTOBOND 755 폴리우레탄 31.9 중량% 57.9 중량%
MOWIOL 8-88 폴리비닐알콜 13.4 중량% 40.6 중량%
탈염수 희석제 53.8 중량%
LUMITEN AFK 계면활성제 0.9 중량% 1.5 중량%
상기 실시예들과 같이, 인쇄가능한 적층판을 잉크 젯 프린터로 인쇄하였다. 적층판의 첫번째 샘플을 3 mm 포말 판지에 붙이고 두번째 샘플을 3 mm 팽창 PVC 판지에 붙였다. 벗김 시험은 포말 판지와 팽창 PVC 판지 모두에 대해 접착이 매우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점탄성 재료층을 갖는 인쇄가능한 적층판의 추가 샘플을 실시예 7, 8 및 9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캐리어 필름, 점탄성 중합체층 및 영상 기록층으로 이루어진 인쇄 가능한 적층판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두께가 23 ㎛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아크릴 공중합체로 코팅하여 점탄성 재료층을 형성하였다. 사용된 아크릴 폴리머는 영국의 내셔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 리미티드사에서 시판되는 180-1846이다. 점탄성 재료를 평방미터당 건조중량 30 g의 동일한 양으로 도포하였다.
영상 기록층을 다음의 조성으로 형성하였다.
성분 설명 중량 건조중량
KLUCEL E 변형 셀룰로스 7.6 중량% 38.9 중량%
WBV 110 비닐 수지 22.8 중량% 57.1 중량%
탈염수 희석제 68.1 중량%
LUMITEN AFK 계면활성제 0.7 중량% 2.1 중량%
PLURONIC PE6100 계면활성제 0.4 중량% 1.9 중량%
암모니아 SG=0.88 중화제 0.4 중량%
영상 기록층을, 네덜란드 아펠도른 소재 렉삼 릴리스사의 POLY-SLIK 110-80과 같은, 릴리스 라이너 위에 직접 평방미터당 건조 코팅 중량 24 ~ 28 g으로 도포시켰다. 그 후, 영상 기록층을 신장가능한 중합체 층에 적층시키고 릴리스 라이너를 제거하였다. 그 후, 잉크 기록층을 크로마 24 잉크젯 프린터로 GS 잉크 셋의 영상을 인쇄하였다. 영상을 건조시킨 다음, 인쇄가능한 적층판을 온도 100 ℃, 압력 80 psi, 공급속도 2 feet/분으로 조절된 롤러 적층기를 사용하여 포말 판지 표적 기질에 접착시켰다. 잉크 기록층 표면과 포말 판지사이에 만족스런 수준의 접착이 얻었졌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본 실시예에서, 50 ㎛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필름 평방미터당 건조중량 20 g의 양으로 신장가능한 중합체로서 폴리우레탄 분산으로 코팅하였다.
영상 기록층을 다음 식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설명 중량 건조중량
LUVISKOL K 90 비닐 피롤리돈 15.0 중량% 97.4 중량%
탈염수 희석제 84.2 중량%
LUMITEN IRA 계면활성제 0.8 중량% 2.6 중량%
영상기록층을 평방키터당 건조 코팅 중량 14 ~ 18 g 범위로 릴리스 라이너 위에 형성하고, 미리 캐리어 필름 위에 형성된 점탄성 재료층으로 전달하였다. 영상을 실시예 7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기록층의 외표면 위에 인쇄하고, 샘플을 상기와 같이 포말 판지에 적층하였다.
벗김 시험에서, 영상 표면과 판지 사이에 만족스런 수준의 접착을 얻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일 조성의 잉크 기록을 덜 점탄성 프라이머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위에 코팅하면, 필름과 영상 코팅 사이에 보잘것 없는 수준의 접착이 얻어졌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것은 본 발명의 구조 및 재료가 본 분야에서 알려진 기타의 재료보다 박리에 대해 더 큰 내성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9
본 실시예에서, 캐리어 필름을 평당미터당 코팅 중량 28 ~ 32 g 범위로, 점탄성 중합체(실시예 7에서와 같은 National 180-1846)로 코팅하고, 건조시켰다.
영상 기록층은 다음 식의 페녹시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성분 설명 중량 건조중량
PKLHW-35 페녹시 수지 69.6 중량% 77.0 중량%
암모니아 알칼리 및 중화제 0.8 중량%
CRODATERIC CYNA 양쪽성 계면활성제 1.7 중량% 2.5 중량%
NATIONAL 072-0202 PVA(수용액) 13.9 중량% 9.7 중량%
GLASCOL DP6-7132 양이온성 중합체 11.6 중량% 10.8 중량%
탈염수 (희석제) 2.4 중량%
영상 기록층을 릴리스 라이너 위에 도포하고 건조시켰다. 그 후, 영상기록층을 캐리어 필름 위에 이미 형성된 점탄성 재료층으로 전달하였다. 영상을 기록층에 인쇄하고, 실시예 7의 조건을 사용하여 포말 판지 위에 적층하였다. 영상층과 포말 판지 사이에 만족스런 수준의 접착이 얻어졌다.
당업자들에게는 본 발명의 의도 및 범위를 벗어남 없이 쉽게 상기의 구조 및 재료의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분명할 것이다.

Claims (34)

  1. 마주보는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필름 캐리어;
    캐리어의 상기 면 중 하나에 의해 직접 지지되는 내부 표면 및 인쇄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노출된 외부 표면을 갖는 열가소성 영상 기록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영상 기록층은 함께 영상 기록층의 총 중량의 적어도 90 %를 이루는 열활성 접착제 및 잉크 흡수제를 포함하고;
    상기 열활성 접착제는 폴리우레탄, 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 공중합체 및 이오노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접착제이며; 및
    상기 잉크 흡수제는 양이온성 중합체들의 블랜드, 양이온성 중합체들과 셀룰로스 에테르의 블랜드, 및 폴리비닐알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잉크 흡수제 재료인 인쇄가능한 적층판.
  2. 제 1항에 있어서, 열활성 접착제가 기록층 총 중량의 33 ~ 77 pph를 이루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3. 제 2항에 있어서, 열활성 접착제가 기록층 총 중량의 적어도 48.3 pph를 이루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4. 제 1항에 있어서, 잉크 흡수제 재료가 기록층 총 중량의 적어도 20 pph를 이루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5. 제 4항에 있어서, 잉크 흡수제가 기록층 총 중량의 적어도 32 pph를 이루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6. 제 1항에 있어서, 기록층이 실질적으로 투명하거나 또는 시일링 동안 열과 압력의 적용에 의해 투명해지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플루오라이드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8. 제 1항에 있어서, 기록층이 잉크 흡수제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층을 통해 분포된 0.08 ~ 3.0 ㎛ 범위의 열활성 접착제 입자들 형태의 구조를 갖는 건식 필름인 인쇄가능한 적층판.
  9. 제 8항에 있어서, 열활성 접착제가 타래같은 입체구조를 갖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10. 제 1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인 인쇄가능한 적층판.
  11. 제 1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올레핀과 불포화산 공중합체의 염으로부터 형성된 이오노머인 인쇄가능한 적층판.
  12. 제 1항에 있어서, 열활성 접착제가 폴리우레탄이고, 잉크 흡수제는 양이온성 중합체들과 셀룰로스 에테르의 블랜드인 인쇄가능한 적층판.
  13. 제 1항에 있어서, 열활성 접착제가 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이고 잉크 흡수제가 양이온성 중합체들의 블랜드인 인쇄가능한 적층판.
  14. 제 1항에 있어서, 열활성 접착제가 이오노머 공중합체이고 잉크 흡수제가 양이온성 중합체들의 블랜드인 인쇄가능한 적층판.
  15. 제 1항에 있어서, 열활성 접착제가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이고 잉크 흡수제가 양이온성 중합체들의 블랜드인 인쇄가능한 적층판.
  16. 제 1항에 있어서, 열활성 접착제가 폴리우레탄이고 잉크 흡수제가 양이온성 중합체들의 블랜드인 인쇄가능한 적층판.
  17. 제 1항에 있어서, 열활성접착제가 폴리우레탄이고 잉크 흡수제가 폴리비닐알콜인 인쇄가능한 적층판.
  18. 제 12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영상층 총 충량의 40 ~ 50 pph 범위를 이루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19. 제 18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중합체가 영상층 총 충량의 40 ~ 50 pph를 이루고 셀룰로스 에테르가 영상층 총 중량의 3 ~ 10 pph를 이루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20. 제 19항에 있어서, 영상 기록층이 평방미터당 25 ~ 35 g의 건조 코팅 중량을 갖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21. 제 19항에 있어서, 영상층의 두께가 26 미크론인 인쇄가능한 적층판.
  22. 마주보는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캐리어 필름;
    캐리어 필름의 한 면에 의해 직접 지지되는 내부 표면 및 인쇄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노출된 외부표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열가소성 영상 기록층; 및
    (ⅰ)40 ~ 65 중량%의 제 1의 열가소성, 열활성 접착제 ; 및
    (ⅱ)나머지의 적어도 75 %의 제 2의 잉크 흡수성, 열가소성, 양이온성 중합체 재료로 구성된 기록층으로 이루어진 인쇄가능한 적층판.
  23. 제 22항에 있어서, 제 1 재료가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이고, 제 2 재료가 비닐 피롤리돈-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인 인쇄가능한 적층판.
  24. 제 22항에 있어서, 제 1 재료가 이오노머 공중합체이고 제 2 재료가 비닐-피롤리돈-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인 인쇄가능한 적층판.
  25. 제 22항에 있어서, 제 1 재료가 폴리우레탄이고, 제 2 재료가 비닐 피롤리돈-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이고, 상기 나머지 중량의 적어도 5 %는 비닐피롤리돈 동종중합체인 인쇄가능한 적층판.
  26. 제 1 재료가 폴리우레탄이고, 기타 재료는 비닐-피롤리돈-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이며, 상기 나머지 중량의 적어도 5%는 변형 셀룰로스인 인쇄가능한 적층판.
  27. 제 22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중합체가 삼가 질소 또는 사가 질소를 함유하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28. 마주보는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필름 캐리어;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을 갖고, 상기 내부 표면은 캐리어의 상기 면 중 하나에 의해 직접 지지되는 점탄성층;
    상기 점탄성층의 외부 표면에서 직접 지지되는 내부 표면 및 인쇄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노출된 표면을 갖는 열가소성 기록층;
    상기 점탄성층은 폴리우레탄, 아크릴, 비닐,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프렌 및 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가능한, 점탄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층은 양이온성 중합체들의 블랜드, 양이온성 중합체들과 셀룰로스 에테르의 블랜드, 폴리비닐알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잉크 흡수제를 포함하며; 및
    열활성 접착제는 폴리우레탄, 아크릴, 비닐, 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이오노머 공중합체,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프렌, 올레핀 중합체 및 페녹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록층 중에서, 잉크 흡수제와 열활성 접착제의 결합중량이 영상 기록층의 적어도 93%를 이루며; 점탄성 중합체 중에서, 점탄성층의 적어도 60 중량%를 이루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가 점탄성층의 최대 30 중량%까지 포함하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31. 제 28항에 있어서, 기록층이 잉크 흡수제의 실질적으로 연속인 층 내에 분포하는, 직경 0.08 ~ 3 ㎛의 열활성 접착제의 입자 형태 구조를 갖는 건식 필름인 인쇄가능한 적층판.
  32. 제 28항에 있어서, 기록층이 시일링동안 열과 압력의 적용에 의해 투명해지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것인 인쇄가능한 적층판.
  33. 제 32항에 있어서, 캐리어가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34. 캐리어 필름;
    점탄성층; 및
    영상 기록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탄성층은 하나 이상의 신장가능한 점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인쇄가능한 적층판.
KR1020017008901A 1999-01-15 2000-01-13 인쇄가능한 적층판 KR200101122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203099A 1999-01-15 1999-01-15
PCT/GB2000/000085 WO2000041891A1 (en) 1999-01-15 2000-01-13 Printable lamin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242A true KR20010112242A (ko) 2001-12-20

Family

ID=2287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901A KR20010112242A (ko) 1999-01-15 2000-01-13 인쇄가능한 적층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144196A1 (ko)
JP (1) JP2003534144A (ko)
KR (1) KR20010112242A (ko)
CN (1) CN1139497C (ko)
AU (1) AU1994500A (ko)
TW (1) TW524758B (ko)
WO (1) WO200004189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335B1 (en) * 2002-09-11 2003-11-05 Shinwoo Hi Tech Co Ltd Real picture printer board with plotter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100518789B1 (ko) * 2002-12-04 2005-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158219B1 (ko) * 2010-11-10 2012-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쿠션지 및 이를 이용한 방열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5856A1 (en) * 1999-10-01 2001-04-12 Foto-Wear, Inc. Image transfer material with image receiving layer and heat transfer process using the same
US6881458B2 (en) * 2002-06-03 2005-04-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k jet receptive coating
JP2014205246A (ja) * 2013-04-10 2014-10-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物製造用用紙および記録物
CN108909230B (zh) * 2018-07-06 2020-04-10 福州艾瑞数码影像有限公司 弱溶剂型墨水的喷墨打印介质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5652A (en) * 1979-04-09 1980-09-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ransparent sheet material
US5270103A (en) * 1990-11-21 1993-12-14 Xerox Corporation Coated receiver sheets
DE69604643T2 (de) * 1995-12-07 2000-06-15 Du Pont Empfangsschicht für Tintenstrahlaufzeichnung
EP0858913A1 (en) * 1997-02-17 1998-08-19 Hunt Europe Limited Transfer fil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335B1 (en) * 2002-09-11 2003-11-05 Shinwoo Hi Tech Co Ltd Real picture printer board with plotter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100518789B1 (ko) * 2002-12-04 2005-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158219B1 (ko) * 2010-11-10 2012-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쿠션지 및 이를 이용한 방열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41891A1 (en) 2000-07-20
AU1994500A (en) 2000-08-01
TW524758B (en) 2003-03-21
JP2003534144A (ja) 2003-11-18
CN1340005A (zh) 2002-03-13
CN1139497C (zh) 2004-02-25
EP1144196A1 (en) 200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82931B1 (en) Receptor sheet for recording by ink-jet
JPH11511404A (ja) 水活性化ポリマー及び接着剤像転写技術
JP2591952B2 (ja) 被熱転写シート
JP3517047B2 (ja) インク受容層形成用シート
KR20010112242A (ko) 인쇄가능한 적층판
US6541101B1 (en) Printable laminate with viscoelastic layer
JP2005506915A (ja) 転写印刷方法及び転写印刷シート
US6627297B1 (en) Printable laminate
EP1091853B1 (en) Printable laminate
JP2004205827A (ja) 熱転写型画像保護シート
JP2018089899A (ja) 保護層転写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069191B2 (ja) 転写箔および転写像形成方法
JP2835720B2 (ja) 被熱転写シート
JP7119651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
JP3508233B2 (ja) 化粧シート
JP5144098B2 (ja) 接着シート及び表面シート付き接着シート
JP3511634B2 (ja) ラベル用感圧接着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H11129637A (ja) 受像シート
JP3622940B2 (ja) 再剥離可能な情報記録用感圧接着シート
JP3054067B2 (ja) 印刷用シート
JP2000229473A (ja) インクジェット用被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87043A (ja) インクジェット用接着シート及びラベル
JPH03140298A (ja) 感圧接着性シート
JP2006341418A (ja) インク受像層転写シート
JPH0822623B2 (ja) 画像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