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059A - 전자빔 편향장치와 컬러 표시관 - Google Patents

전자빔 편향장치와 컬러 표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059A
KR20010112059A KR1020010017588A KR20010017588A KR20010112059A KR 20010112059 A KR20010112059 A KR 20010112059A KR 1020010017588 A KR1020010017588 A KR 1020010017588A KR 20010017588 A KR20010017588 A KR 20010017588A KR 20010112059 A KR20010112059 A KR 20010112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electron beam
coils
pair
nec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사키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ublication of KR20010112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05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5Dynam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7Auxiliary coil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써 XH오차 보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양방향 YV오차를 확실히 보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전자빔 편향장치와 이것을 사용하는 컬러표시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전자빔 편향장치는 내부에 전자총들이 수평방향으로 늘어선 네크부와, 그 네크부로부터 확경되어 있어 상기 전자총들로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컬러표시관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어 그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전자빔 편향장치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한쌍의 수평 편향코일과, 서로 수평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한쌍의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네크부의 외측에 상호 수직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한쌍의 코일로서 구성되며, 이 한쌍의 코일은 각각 상기 네크부의 관지름 방향에 YV오차 보정방향에 따라 역방향 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는 보정용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빔 편향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각종 색수차를 광범위하게 보정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화질의 컬러표시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빔 편향장치와 컬러 표시관{Beam deflection system and color tube}
본 발명은 전자빔 편향장치와 컬러표시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컬러표시관 의 화상색수차(畵像色收差)를 간단한 구성으로써 보정할 수 있는 전자빔 편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브라운관 또는 전자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컬러화상 표시용 전자관(이하 "컬러표시관"이라고 칭함)(100) 은 도 8에서처럼 관형상의 네크부(102)와 이로부터 확경되어 있는 표시부(103)을 구비한 컬러표시관 본체(101)과 그 바깥쪽에 배치된 전자빔 편향장치(이하 "편향요크"라고 칭함)(104)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컬러표시관(100)에는 컬러표시관 본체(101)의 네크부(1021)의 내부에R(RED), G(GREEN),B(BLUE) 광3원색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3개의 전자빔(E)를 발생하는 3개의 전자총(105)이 수평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그때 표시부(103)의 앞면에 R.G.B 형광체 도트(dots)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도트에 각 화상신호 전자빔(E)가 주사되어 소정의 화상이 나타나게 된다.
한편, 컬러표시관 본체(101)의 네크부(102)부터 표시부(103)까지 관체 주위에는 전자빔(E)의 진로를 수직 및 수평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요크(104)가 마련된다.
상기 편향요크(104)는 일반적으로 도 8에서와 같이 컬러표시관 본체(101)의 축선(P)과 동축으로 네크부쪽으로부터 표시부쪽에는 확경되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수직방향 대향 배치된 한쌍의 수평 편향코일(106)과, 이 수평 편향코일(106)을 내면에 장착한 코일 세퍼레이터(107)을 사이에 두고 그 외측 둘레에 서로 수평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한쌍의 수직 편향코일(108) 및 그 외측둘레에 있는 고리형상의 페라이트 코어(109)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편향요크(104)에 한쌍의 수평 편향코일(106)은 전자빔(E) 진로에 수직자계를 주어 전자빔(E)를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고 한쌍의 수직 편향코일(108)은 전자빔(E) 진로에 수평자계를 주어 전자빔(E)를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게 된다.
코일 세퍼레이터(107)는 수평 편향코일(106)과 수직 편향코일(108)을 상호 격리시키고 이들의 위치가 편의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한편, 페라이트 코어(109)는 수평 편향코일(106)과 수직 편향코일(108)에 의해 전자빔(E) 진로에 만들어지는 자속밀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에는 네크부쪽 끝도선이 축선에 대해 돌기테꼴로 방사방향으로 올라감긴 부분을 가진 벤드(bend)형과 그 올라감긴 부분이 없는 벤드리스(bendless) 형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편향요크는 컬러표시관 본체 축선관 동축적이며, 컬러표시관 본체의 내부 구비된 3개의 전자총은 중앙의 G용 전자총이 축선에 있고 B용, R용 전자총이 각각 그 양쪽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R.G.B 세 전자빔을 각 편향요크에 의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킬 때 원 주사위치가 축선으로부터 벗어난 B용, R용 전자빔은 집속각이 각각 변화해 표시부에 소정 형광 도트로부터 벗어난 도트에 주사되어 화상 색수차가 발생하게된다.
상기와 같은 색수차 형태로는 도 10에서와 같이 표시부 화상면 B상. R상 수평방향(H방향) 컨버젼스(convergence)가 어긋나는 경우(이하 "XH오차"라고 함)가 있으며, 도 11에서와 같이 B상. R상 수직축(V축)이 경사 교차하는 경우(이하 "YH크로스"라 칭함)가 있다.
또한 도 12에서와 같이 B상. R상 수직방향(V방향) 컨버젼스가 어긋나는 경우(이하 "YV오차"라 함)가 있다.
이러한 색수차들은 전자빔과 편향요크 축선과의 어긋남에 기인할 뿐만이 아니라 편향요크를 컬러표시관 본체에 장착할 때 쌍방축의 어긋남이라든지 기울기 등에 의해 발생되므로 이 색수차들은 각 표시관들에 의해 보정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세 종류의 색수차중 특히 YV오차를 보면 YV오차 보정을 위해 수직 편향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 또는 수평대향의 한쌍의 보정용코일로써 수평자계를 조정하는 방법이 종래부터 검토되어왔다. 그러나 수직 편향코일로써 조정하는 경우에는 YV오차는 보정되지만 중앙빔인 G용 전자빔의 경로가 기울어지므로 변형이 커진다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XH오차 보정을 위해 철편 또는 페라이트 코어로 된 보정편을 네크부 좌,우에 장착시킨뒤 그 위치를 이동시켜 조정하는 방법이 종래부터 사용되어 왔으나, 이와 같이 YV오차 보정용코일을 네크부 좌,우에 붙일 경우 이 보정용코일과 상기 보정편은 상호 위치적으로 간섭되므로 보정편의 가동범위가 제한되어 XH오차 보정 범위가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XH오차 보정용 보정편과의 간섭을 피하려 YV오차 보정용코일을 네크부에 수직방향으로 상,하 설치하여 수직자계로서 조정하는 방법도 제안되었지만, 한쌍의 코일의 접속방향에 대응해 B화상이 외측이고 R화상이 내측 내측인 경우의 YV오차나 R화상이 외측이고 B화상이 내측인 경우의 YV오차나 어느 한쪽에만 제한적으로 보정하게 된다. 즉, 상기 2방향 YV오차를 모두 보정하기 위한 요구를 만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써 XH오차 보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양방향 YV오차를 확실히 보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전자빔 편향장치와 이것을 사용하는 컬러표시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표시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YV오차 보정용코일 구성을 나타낸 등가회로도.
도 4는 한 방향 YV오차를 보정할 때 보정용코일의 작용을 나타낸 모식도.
(a) 상편향 상태
(b) 하편향 상태
도 5는 다른 방향 YV오차를 보정할 때 보정용코일의 작용을 나타낸 모식도.
(a) 상편향 상태
(b) 하편향 상태
도 6은 도 4에 대응하는 YV오차를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도 5에 대응하는 YV오차를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종래 컬러표시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9는 편향요크를 구성하는 각 코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색수차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중 하나로서 XH오차를 나타냄.
도 11은 색수차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중 하나로서 YH크로스를 나타냄.
도 12는 색수차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중 하나로서 YV오차를 나타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컬러표시관 2 : 컬러표시관 본체
3 : 네크부 4 : 표시부
5 : 편향요크(전자빔 편향장치) 6b, 6g, 6r : 전자총
7 : 수평 편향코일 9 : 수직 편향코일
11 : YV오차 보정용코일 12 : 중앙빔 보정용코일
13 : 제1코일 14 : 제2코일
15 : 가변저항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빔 편향장치는 내부에 전자총들이 수평방향으로 늘어선 네크부와, 그 네크부로부터 확경되어 있어 상기 전자총들로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컬러표시관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어 그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전자빔 편향장치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한쌍의 수평 편향코일과, 상호 수평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한쌍의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네크부의 외측에 상호 수직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한쌍의 코일로서 구성되며, 이 한쌍의 코일은 각각 상기 네크부의 관지름 방향에 YV오차 보정방향에 따라 역방향 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는 보정용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도 1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표시관 개요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컬러표시관(1)은 도 1에서와 같이 컬러표시관 본체(2)와 이의 네크부(3)부터 표시부(4)까지 관체 주위에 배치되어 있어 전자빔(E)의 진로를 수직 및 수평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요크(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컬러표시관 본체(2)는 네크부(3)과 표시부(4)를 구비하고 있는데, 도 2에서와 같이 네크부(3)의 내부에는 R.G.B의 각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3개의 전자빔(E)을 주사하는 3개의 전자총(6b),(6g),(6r)이 수평으로 일렬 배열되어 있다.
한편 상기 편향요크(5)는 도 1에서와 같이 컬러표시관 본체(2)의 축선(P)과 동축으로 네크부(3)쪽으로부터 표시부(4)쪽으로 확경하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수직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한쌍의 수평 편향코일(7)와 이 수평 편향코일(7)를 내면에 장착한 코일 세퍼레이터(8)을 사이에 두고 그 외측둘레에서 서로 수평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한쌍의 수직 편향코일(9) 및 그 외측둘레에 있는 고리형상의 페라이트 코어(1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편향요크(5)는 벤드형 코일을 채용한 일예이다.
상기와 같은 실시형태인 경우 수평 편향코일(7)과 수직 편향코일(9)의 끝도선이 축선(P)에 대해 돌기테꼴로 올라감긴 부분인 벤드부(7a),(9a)의 뒤쪽에 YV오차 보정용코일(11)이 있다.
이 YV오차 보정용코일(11)은 컬러표시관 본체(2)의 네크부(3)의 위아래에 서로 수직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한쌍의 코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YV오차 보정용코일(11)은 네크부(3)의 관지름 방향에 YV오차 보정방향에 따라, 즉 B화상이 화면 바깥쪽에 R화상이 화면 안쪽에서 이그러지는 것을 보정하거나 또는 B화상이 화면의 안쪽에 R화상이 화면의 바깥쪽에 이그러지는 것을 보정하는 가에 따라 역방향 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의 편향요크(5)는 도 2에서와 같이 컬러표시관 본체(2)의 축선(P)와 동축으로 네크부(3)쪽으로부터 "ㄷ"자형 코어 주위에 도선을 감은 두 코일들이 서로 수직방향으로 대향 배치되고 세 전자총들중 중앙총{G용 전자총(6g)}으로부터의 전자빔(E)의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려는 한쌍의 중앙빔 보정용코일(12)이 구비된다.
그리고 네크부(3)의 위아래로 배치된 각 YV오차 보정용코일(11)은 도 3의 등가회로로 설명하면 상호 역방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제1코일(13)과 제2코일(14)이 직력접속된 것인데, 상기 제1코일(13)과 제2코일(14) 사이의 접속점(X)가 가변저항(15)의 중간탭(16)에 접속됨으로써 이 접속점(X)의 전위가 가변저항(15)로서 조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YV오차 보정용코일(11)은 한 코어상에 도선을 여러겹을 감은 일련의 코일로 이루어지는데, 그 이중 감긴중 한쪽이 제1코일(13)을 이루고, 다른 쪽이 제2코일(14)을 구성하게 되며, 이러한 제1코일(13) 및 제2코일(14)은 끝단에서 상호 이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코일(13) 및 제2코일(14)에 흐르는 전류는 제1코일(13)과 제2코일(14)의 상역으로 흘러 각각 역방향 자계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접속점(X)의 전위를 조정함으로써 제1코일(13) 및 제2코일(14) 전류밸런스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어떤 한 방향으로의 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YV오차 보정용코일(11)은 수직 편향코일(9)과 직렬로 접속되며, 네크부(3) 좌,우에는 도시되지 않은 XH오차 보정용 보정편이 관지름 방향에 이동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도 4는 한 방향 YV오차를 보정할 때 보정용코일의 작용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도 4를 참조해 yv오차 보정용코일(11)의 작용이 설명된다.
한편 도 4의 (a) 및 도 5의 (a)는 각 전자총(6b),(6g),(6r)으로부터의 전자빔(E)를 표시부(4)의 위쪽으로 편향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b) 및 도 5의 (b)는 아래쪽으로 편향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여기서 B.G.R의 각 전자빔(E)은 도면에서 전방으로 주사되는 것으로 한다.
먼저 도 6에서처럼 R화상(실선으로 표시)이 화면의 안쪽에, 그리고 B화상(파선으로 표시)은 화면의 바깥쪽에 어긋난 방향의 YV오차를 보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빔(E)를 위쪽으로 편향시킬 때에는 도 4의 (a)에서와 같이 수직 편향코일(9)에 의해 도면의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의 자계(파넌 화살표 M0방향)가 생긴다.
이때, YV오차 보정용코일(11)의 가변저항(15)를 조정하여 상기 YV오차 보정용코일(11)의 외측끝으로부터 내측끝으로의 자계(실선화살표 M1)를 발생시키면 수직 편향코일(9)에 의한 자계 M0와 YV오차 보정용코일(11)에 의한 자계 M1이 중첩되어 R 전자빔쪽에는 오른쪽부터 왼쪽으로의 자계가 강화되고, B 전자빔쪽에는 오른쪽부터 왼쪽으로의 자계가 약화된다.
여기서, R 전자빔이 받는힘 Fr이 B 전자빔이 받는힘 Fb보다 크게 되어 R 전자빔쪽이 보다 강하게 상측으로 편향된다.
한편, 다른편으로 전자빔(E)를 아래쪽으로 편향시킬 때에는 도 4의 (b)에서와 같이 수직 편향코일(9)에 의해 도면의 왼쪽부터 오른쪽으로의 자계(파선 화살표 M2방향)가 생성된다.
이때 YV오차 보정용코일(11)의 가변저항(15)을 조정하여 그 YV오차 보정용코일(11)의 내측끝으로부터 외측 끝으로의 자계(실선 화살표 M3방향)를 발생시키면 수직 편향코일(9)에 의한 자계 M2와 YV오차 보정용코일(11)에 의한 자계 M3가 중첩되어 R 전자빔쪽에는 왼쪽부터 오른쪽으로의 자계가 강화되고, B 전자빔쪽에는 왼쪽부터 오른쪽으로의 자계가 약화된다.
여기서, 상기 R 전자빔이 받는힘 Fr이 B 전자빔이 받는힘 Fb 보다 크게 되어 R 전자빔쪽이 보다 강하게 하향 편향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도 4의 (a)에서와 같이 상향 편향때에 YV오차 보정용코일(11)의 외측끝으로부터 내측끝으로의 자계 M1이 생기고 도 4의 (b)에서와 같이 하향 편향때에 YV오차 보정용코일(11)의 내측끝으로부터 외측끝으로의 자계 M3가 생기도록 가변저항(15)를 조정함으로써 도 6의 도면 왼쪽처럼 R화상이 화면의 내측으로 그리고 B화상은 화면의 외측으로 이그러지는 방향의 YV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도 7에서처럼 B화상(파선으로 표시)이 내측에 그리고, R화상(실선으로 표시)이 화면의 외측에 어긋난 방향의 YV오차를 보정하는 경우가 설명된다.
이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자빔(E)를 위쪽으로 편향시킬 때에는 도 5의 (a)에서와 같이 수직 편향코일(9)에 의해 도면의 오른쪽부터 왼쪽으로의 자계 M0가 생긴다.
이때, 도 4의 (a)의 경우와는 반대로 YV오차 보정용코일(11)의 내측끝으로부터 외측끝으로의 자계 M3를 발생시키면 B 전자빔쪽에는 오른쪽부터 왼쪽으로의 자계가 강화되고, R 전자빔쪽에는 오른쪽부터 왼쪽으로의 자계가 약화된다.
여기서, 상기 B 전자빔이 받는힘 Fb가 R 전자빔이 받는 힘 Fr보다 크게 되어 B 전자빔쪽이 보다 강하게 상향 편향된다.
다른편으로서 전자빔(E)를 아래쪽으로 편향시킬 때에는 도 5의 (b)에서와 같이 수직 편향코일(9)에 의해 도면의 왼쪽부터 오른쪽으로의 자계 M2가 생성된다.
이때, 도 4의 (b)의 경우와는 반대로 YV오차 보정용코일(11)의 외측끝으로부터 내측끝으로의 자계 M1을 발생시키면 B 전자빔쪽에는 왼쪽부터 오른쪽으로의 자계가 강화되고, R 전자빔쪽에는 왼쪽부터 오른쪽으로의 자계가 약화된다.
여기서 상기 B 전자빔이 받는 힘 Fb가 R 전자빔이 받는힘 Fr 보다 크게 되어 B 전자빔쪽이 보다 강하게 하향 편향된다.
이러한 결과로 도 5의 (a)에서와 같이 상향 편향때에 yv오차 보정용코일(11)의 내측끝으로부터 외측끝으로의 자계 M3가 생성되고, 도 5의 (b)에서와 같이 하향 편향때에 YV오차 보정용코일(11)의 외측끝으로부터 내측끝으로의 자계 M1이 생기도록 가변저항(15)을 조정함으로써, 도 7에서처럼 B화상이 화면의 내측으로 그리고 R화상이 화면의 외측으로 이그러지는 방향의 YV오차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편향요크(5)에 의하면 YV오차 보정용코일(11)의 가변저항(15)을 조정하는 것 만으로 상기 2개 방향의 YV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에 수직 편향코일(9) 자체의 전류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라스터를 변형하지 않는다.
그리고 YV오차 보정용코일(11)은 네크부(3)의 외측에서 상,하 대향되어 있으므로 네크부(3)의 좌,우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XH오차 보정용 보정편과는 위치적 상호간섭이 없게 되므로 XH오차 역시 충분히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XH오차도 보정할 수 있음과 도불어 간단한 구성으로 2개 방향의 YV오차들을 보정할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편향요크(5)는 중앙빔 보정용코일(12)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G 전자빔의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과 동시에 각 중앙빔 보정용코일(12)의 내측공간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YV오차 보정용코일(11)을 설치할 수 있어 편향요크의 크기를 박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편향요크(5)를 갖춤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각종 색수차를 광범위하게 보정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화질의 컬러표시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yv오차 보정용코일로서 한 코어상에 도선 겹감기를 이용하여 YV오차 보정용코일이 소형으로 되지만, 특히 장치의 크기가 문제되지 않는 경우에는 역방향 자계발생코일을 관지름 방향에 2단중첩으로 구성해도 가능하다.
그리고, YV오차 보정용코일을 구성하는 제1코일의 전류평형을 조정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가변저항이 사용되었지만, 가변저항을 사용하지 않고 각 코일에 독립전압을 공급하고, 이렇게 공급되는 전압을 개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중앙빔 보정용코일이 사용되었으나, 편향코일 본체쪽에서 위치조정을 해도 가능하며,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편향요크는 벤드형 코일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벤드리스형 코일에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빔 편향장치는 상호 수직방향으로 대향된 한쌍의 코일로 이루어진 yv오차 보정용코일의 자계 조정만으로써 2개 방향의 YV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때 수직 편향코일 자체의 전류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라스터가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YV오차 보정용코일은 네크부 좌,우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XH오차 보정용 보정편과는 위치적으로 상호 간섭이 없게 되므로 XH오차 역시 충분히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빔 편향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각종 색수차를 광범위하게 보정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화질의 컬러표시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내부에 전자총들이 수평방향으로 늘어선 네크부와, 그 네크부로부터 확경되어 있어 상기 전자총들로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컬러표시관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어 그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전자빔 편향장치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한쌍의 수평 편향코일과, 서로 수평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한쌍의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네크부의 외측에 상호 수직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한쌍의 코일로서 구성되며, 이 한쌍의 코일은 각각 상기 네크부의 관지름 방향에 YV오차 보정방향에 따라 역방향 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는 보정용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빔 편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코일을 구성하는 각 코일은 상호 역방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제1,2코일이 직렬접속으로 되어 있고, 이 제1코일과 제2코일 사이의 접속점 전위는 가변저항으로써 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빔 편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용코일을 구성하는 제1,2코일은 한 개씩 코어상에 한 개 이상으로 구성하고, 각 코일의 끝끼리 이어져 일련 코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빔 편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 들중 중앙총으로부터의 전자빔의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는 한쌍의 중앙빔 보정용코일이 있고, 상기 제1,2코일로 이루어진 각 보정용코일이 또한 상기 각 중앙빔 보정용코일 안쪽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빔 편향장치.
  5. 제 1 항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 편향장치와 컬러표시관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표시관.
KR1020010017588A 2000-06-13 2001-04-03 전자빔 편향장치와 컬러 표시관 KR200101120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77468A JP2002025472A (ja) 2000-06-13 2000-06-13 電子ビーム偏向装置およびカラー表示管
JP2000-177468 2000-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059A true KR20010112059A (ko) 2001-12-20

Family

ID=1867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588A KR20010112059A (ko) 2000-06-13 2001-04-03 전자빔 편향장치와 컬러 표시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18716B2 (ko)
JP (1) JP2002025472A (ko)
KR (1) KR20010112059A (ko)
CN (1) CN114878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31966A (zh) * 2023-12-19 2024-03-22 中山大学 一种闪放治疗用嵌套马鞍形扫描磁铁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0947A (ja) * 1985-10-04 1987-04-14 Hitachi Ltd 偏向ヨ−ク
JPS6290094A (ja) * 1985-10-16 1987-04-24 Toshiba Corp カラ−受像管
JPH0696695A (ja) * 1992-09-14 1994-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
JPH06292214A (ja) * 1993-03-31 1994-10-18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装置
JPH08102270A (ja) * 1994-09-30 1996-04-16 Matsushita Electron Corp カラー受像管装置
JPH1012160A (ja) * 1996-06-25 1998-01-16 Sony Corp 偏向ヨーク及び陰極線管装置
JPH10302675A (ja) * 1997-04-25 1998-11-13 Matsushita Electron Corp カラー受像管装置
JPH11176358A (ja) * 1997-12-09 1999-07-02 Totoku Electric Co Ltd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用偏向ヨー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935B2 (ja) * 1984-05-30 1995-05-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偏向ヨ−ク装置
JPH11261839A (ja) * 1998-03-13 1999-09-24 Sony Corp 画歪補正装置
US6326742B1 (en) * 1998-10-28 2001-12-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CRT with cross-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US6346769B1 (en) * 1999-02-22 2002-02-12 Sony Corporation Electron beam deflection device for cathode ray tube
JP2000277037A (ja) * 1999-03-29 2000-10-06 Sony Corp 偏向ヨークおよび陰極線管
KR100371452B1 (ko) * 1999-03-31 2003-02-0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음극선관장치
JP2001023541A (ja) * 1999-07-12 2001-01-26 Matsushita Electronics Industry Corp カラー受像管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0947A (ja) * 1985-10-04 1987-04-14 Hitachi Ltd 偏向ヨ−ク
JPS6290094A (ja) * 1985-10-16 1987-04-24 Toshiba Corp カラ−受像管
JPH0696695A (ja) * 1992-09-14 1994-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
JPH06292214A (ja) * 1993-03-31 1994-10-18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装置
JPH08102270A (ja) * 1994-09-30 1996-04-16 Matsushita Electron Corp カラー受像管装置
JPH1012160A (ja) * 1996-06-25 1998-01-16 Sony Corp 偏向ヨーク及び陰極線管装置
JPH10302675A (ja) * 1997-04-25 1998-11-13 Matsushita Electron Corp カラー受像管装置
JPH11176358A (ja) * 1997-12-09 1999-07-02 Totoku Electric Co Ltd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用偏向ヨー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25472A (ja) 2002-01-25
US6518716B2 (en) 2003-02-11
CN1329352A (zh) 2002-01-02
US20020011789A1 (en) 2002-01-31
CN1148780C (zh) 2004-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8297B2 (ko)
JP3061389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US4039989A (en) Deflection system for a color television display tube
KR20010112059A (ko) 전자빔 편향장치와 컬러 표시관
KR20010086319A (ko)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US5719542A (en) Convergence yoke for improving focus characteristics
CN100375215C (zh) 具有会聚校正装置的彩色阴极射线管
US6373202B1 (en) Color cathode ray tube
US6984929B1 (en)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with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JP2656591B2 (ja) 偏向装置及びそれを構成する偏向ヨーク
JPH1064449A (ja) 偏向ヨーク
JP3150387B2 (ja) カラー受像管用偏向装置およびカラー受像管装置
JP3215132B2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装置
KR100356962B1 (ko) 편향요크
KR100356297B1 (ko) 편향요크
US6252359B1 (en) Deflection apparatus
JPH07326303A (ja) ビデオ画像表示装置
KR200143631Y1 (ko) 편향요크의 컨버젼스 요크코일 장치
KR100786829B1 (ko)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
KR100410950B1 (ko) 편향 요크
KR100410960B1 (ko) 편향요크
KR100786852B1 (ko)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20010084389A (ko) 편향요크
Sluyterman A new coma correction system
JPH07212778A (ja) カラー陰極線管用偏向ヨー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