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147A -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147A
KR20010109147A KR1020010029710A KR20010029710A KR20010109147A KR 20010109147 A KR20010109147 A KR 20010109147A KR 1020010029710 A KR1020010029710 A KR 1020010029710A KR 20010029710 A KR20010029710 A KR 20010029710A KR 20010109147 A KR20010109147 A KR 20010109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driver
lines
gate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8097B1 (ko
Inventor
헤비구찌히로유끼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10109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0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66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with the matrix divided into s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화소밀도가 높아져도 드라이버와 배선의 접속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며, 화상신호를 입력하기 어려워지는 일이 없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 (1) 는, 표시영역 (8) 에서의 복수의 소스선 (2) 이 각각 2 분할되고, 2 분할된 복수의 소스선 (2) 의 일측 (2a) 에 화상신호를 공급하는 제 1 소스 드라이버 (4), 타측 (2b) 에 화상신호를 공급하는 제 2 소스 드라이버 (5), 2 분할된 복수의 소스선의 일측 (2a) 과 교차하는 복수의 게이트선 (3a) 에 주사신호를 공급하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6), 타측 (2b) 과 교차하는 복수의 게이트선 (3b) 에 주사신호를 공급하는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7) 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소스 드라이버 (4, 5) 의 1 출력으로부터의 화상신호를 3 개의 소스선으로 전환하여 공급하는 3 : 1 디멀티플렉서 (10, 11) 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세화에 적합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 (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 라 약칭하는 경우도 있음) 의 분야에서는, 최근 한층 더 화질향상이 요구되고 있어 고정세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각 화소의 스위칭 소자에 박막 트랜지스터 (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 라 약칭함) 를 사용한 TFT 형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방식의 LCD 의 경우, 고정세화에 따른 화소피치의 축소와 화소수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다수의 신호선 (소스선) 에 대해 상하 2 변으로부터 복수의 드라이버 IC 가 서로 나누어 화상신호를 공급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도 3 은, 이 종류의 TFT-LCD 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예의 LCD (100) 에서는, 표시영역 (101) 내에 복수의 소스선 (102) (S1, S2, …, S3m-1, S3m) 과 복수의 게이트선 (103) (G1, …, Gn) 이 매트릭스형으로 설치되고, 이들 소스선 (102) 과 게이트선 (103) 으로 구획된 영역이 개개의 화소가 된다. 각 게이트선 (103) 에 대해 주사신호를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 게이트 드라이버 (104) (드라이버 IC) 가 도 3 중의 표시영역의 좌측변을 따라 실장되는 한편, 각 소스선 (102) 에 대해 화상신호를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 2 개의 소스 드라이버 (105, 106)(드라이버 IC) 가 표시영역 (101) 의 상측변 및 하측변을 따라 실장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복수의 소스선 (102) 은 2 개 1 조로 하여,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좌단 조의 2 개의 소스선 (102) 은 하측의 제 2 소스 드라이버 (106) 에, 그 오른쪽 이웃하는 조의 2 개의 소스선 (102) 은 상측의 제 1 소스 드라이버 (105) 에 접속되는 것과 같이, 1 조씩 상하의 소스 드라이버 (105, 106) 에 교대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인접하는 소스선 (102) 사이의 간격을 화소피치 (P) 로 하면, 소스 드라이버 (105, 106) 의 인접하는 출력단자간의 간격에 대응하는 접속피치 (P0) 는, 만약 모든 소스선을 표시영역의 1 변측에 실장한 1 개의 소스 드라이버로 구동하는 경우는 대략 P0= P 가 되지만, 상기 구성의 경우는 소스 드라이버 (105, 106) 에 교대로 접속하는 만큼 접속피치를 넓힐수 있어 대략 P0= 2P 로 할 수 있다. 이것은, 소스선을 1 개씩 상하의 소스 드라이버에 교대로 접속했다 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화소피치가 매우 작아지더라도, 소스 드라이버와 각 소스선의 접속을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선의 주사에 관해서는, 도 3 과 같이, 게이트선 (103) 이 n 개 있다고 하면, 그 n 개의 게이트선 (103) 을 1 개씩 주사하면서 구동하는 방법 (선순차 구동) 을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프레임 주파수를 60 Hz (1 초간에 60 회 프레임을 변경함) 로 하면, 1 개의 게이트선 (103) 에 접속된 TFT 가 on 으로 되어 있는 시간, 즉 1 개의 화소에 화상신호를 입력하는 시간 (t0) 은 대략t0= (1/60) ×(1/n) 이 된다.
그런데,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일반적인 구조에서는 1 개의 소스선 (102) 이 표시영역 (101) 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1 화소당 기생용량을 C 로 하면, n 개의 화소분의 기생용량이 소스선 1 개에 의거하는 부하가 된다. 즉, 1 개의 소스선의 기생용량 (C0) 은 C0= n ×C 이다.
여기서, 「소스 드라이버에서 본 화상신호의 입력용이성」 이란 개념을 생각해보면, 화상신호는 입력시간이 길어질수록 입력하기 쉽고, 소스선의 기생용량이 커질수록 입력하기 어려워진다. 즉, 소스 드라이버에서 본 입력용이성 (E) 은, 입력시간 (t) 에 비례하고 소스선의 기생용량 (C) 에 반비례한다고 생각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E = t/c 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 3 에 나타낸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E0= t0/C0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최근의 TFT-LCD 는, 고정세화가 점점 진행되는 경향이 있고, 화소밀도 (단위길이 또는 단위면적당 화소수) 가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화소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화소피치가 작아지고, 이에 따라 드라이버와 LCD 의 배선과의 접속피치가 좁아져, 접속이 기술적으로 곤란해지고 있다. 특히, 게이트선측에 비해 소스선측은 원래 좁은 피치이기 때문에 문제는 심각하여, 도 3 과 같이 다수의 소스선을 2 개의 소스 드라이버에 양분하는 구성을 채택했지만 한계에 이르고 있다.
또, 디스플레이 전체의 화소수가 증가함에 따라, 1 화소당의 입력시간이 감소하고, 또한 1 개의 소스배선에 의거하는 기생용량이 증가하여, 화상신호를 입력하기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사용하는 드라이버의 처리능력이나 전류구동능력이 부족해질 우려가 있고, 그 경우, 보다 고성능이며 고가인 드라이버가 필요로 된다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화소밀도가 높아져도 드라이버와 LCD 배선의 접속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며, 화상신호 입력이 어려워지지 않는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도 2 는 디멀티플렉서의 비율과, 입력용이성 및 접속피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은 종래의 일례로서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표시장치
2, 2a, 2b : 소스선
3, 3a, 3b : 게이트선
4 : 제 1 소스 드라이버
5 : 제 2 소스 드라이버
6 :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7 :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8 : 표시영역
9 : 화소
10, 11 : 3 : 1 디멀티플렉서 (전환수단)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대향배치한 한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이 끼워지고, 상기 한쌍의 기판중의 한쪽 기판상에 복수의 소스선과 복수의 게이트선이 매트릭스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소스선이 각각 소스선이 연장하여 있는 방향으로 2 분할되고, 2 분할된 복수의 소스선 일측에 화상신호를 공급하는 제 1 소스 드라이버와 타측에 화상신호를 공급하는 제 2 소스 드라이버가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2 분할된 복수의 소스선 일측과 교차하는 복수의 게이트선에 주사신호를 공급하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와 타측과 교차하는 복수의 게이트선에 주사신호를 공급하는 제 2 게이트 드라이버가 각각 설치되고, 각 소스 드라이버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소정 개수의 소스선으로 전환하여 공급하는 전환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이하의 작용에 의해 접속피치와 입력용이성의 쌍방을 만족할 수 있다.
예컨대, 소스선을 2 분할하고, 2 분할된 소스선의 일측과 교차하는 게이트선을 담당하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와, 타측과 교차하는 게이트선을 담당하는 제 2 게이트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상기 전환수단이 없는 구성을 가정한다. 이 경우, 2 개의 게이트 드라이버에서 게이트선을 동시에 주사하면, 도 3 에 나타낸 n 개의 게이트선을 주사하는 종래예의 t0에 비해, 1 화소에 신호를 입력하는 시간 (t1) 은, t1= (1/60) ×(2/n) = 2t0가 되어 2 배가 된다.
또, 소스선을 2 분할함으로써 1 개의 소스선에 매달리는 화소수 (게이트선의 개수) 가 n/2 가 되므로, 1 화소당 기생용량을 C 로 하면, 1 개의 소스선의 기생용량 (C1) 은, C1= (n/2) ×C = (1/2) ×C0이 되어 1/2 이 된다.
따라서, 소스 드라이버에서 본 입력용이성 (E1) 은, E1= t1/C1= 4E0가 되어 종래의 4 배로 입력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접속피치의 관점에서 보면, 전환수단이 없는 경우에는 소스선의개수와 동수만큼의 소스 드라이버의 출력수가 필요로 되어, 접속피치 (P1) 는 화소피치 (P) 와 같아진다. 그 결과, 접속피치 (P1) 가 도 3 에 나타낸 종래예의 접속피치 (P0) 의 반으로 되어버리기 때문에, 소스 드라이버와 소스선의 접속이 기술적으로 곤란해져, 고화소밀도의 LCD 에서는 현실적이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각 소스 드라이버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소정 개수의 소스선에 대해 전환하여 공급하는 전환수단을 설치하기로 하였다. 이로써, 소스 드라이버의 출력수를 소스선의 개수보다도 적게 할 수 있고, 접속피치 (P1) 를 도 3 에 나타낸 종래예의 접속피치 (P0) 와 동등하게 또는 그 이하로 할 수 있다.
단, 전환수단을 설치한 경우, 1 개의 소스 드라이버로부터의 출력을 복수개의 소스선에 시간적으로 양분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1 화소당 입력시간이 짧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환수단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소스 드라이버에서 본 입력용이성 (E1) 은 종래의 4 배이지만, 전환수단을 설치하여 양분하는 소스선의 개수를 많이 할수록 입력용이성은 종래의 4 배에서 작아져 가고, 극단적으로 많게 하면 종래보다도 입력하기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전환수단에서 양분하는 소스선의 개수를 적절히 설정하면, 신호의 입력용이성, 소스 드라이버와 소스선의 접속용이성의 쌍방을 만족하는 LCD 를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양분하는 소스선의 개수, 즉 「상기 소정 개수의 소스선」 은, 2 개 내지 4 개의 소스선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3 개의 소스선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각 소스 드라이버로부터의 화상신호를 3 개의 소스선으로 전환하여 공급하는 전환수단을 갖는 상기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써, 상기 제 1 소스 드라이버 및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의 인접하는 출력으로서 역극성의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트반전구동용 소스 드라이버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크로스토크가 적은 도트반전구동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TFT 형 액티브 매트릭스 액정표시장치의 개략구성도로써, 도면중 부호 2 (2a, 2b) 는 소스선, 3 (3a, 3b) 은 게이트선, 4 는 제 1 소스 드라이버, 5 는 제 2 소스 드라이버, 6 은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7 은 제 2 게이트 드라이버이다.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 (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영역 (8) 에 복수의 소스선 (2) (S1, S2, …, S3m-1, S3m) 과 복수의 게이트선 (3) (G1, …, Gn) 이 매트릭스형으로 형성되고, 이들 소스선 (2) 과 게이트선 (3) 으로 구획된 영역이 개개의 화소를 구성하고 있다. 각 화소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TFT 및 화소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소스선 (2) 이 각각 소스선 (2) 의 연재방향으로 2 분할되고, 2 분할된 복수의 소스선 (2) 의 일측 (2a) (도 1 중의 상측) 에 대해 화상신호를 공급하는 제 1 소스 드라이버 (4) 와, 타측 (2b) (도 1 중의 하측) 에 대해 화상신호를 공급하는 제 2 소스 드라이버 (5) 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2 분할된 복수의 소스선 (2) 의 일측 (2a) 과 교차하는 복수의 게이트선 (3a) (G1∼Gn/2) 에 대해 주사신호를 공급하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6) 와, 타측 (2b) 과 교차하는 복수의 게이트선 (3b) (Gn/2+1∼Gn) 에 대해 주사신호를 공급하는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7) 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제 1 소스 드라이버 (4) 와 복수의 소스선 (2a) 사이, 및 제 2 소스 드라이버 (5) 와 복수의 소스선 (2b) 사이에, 각 소스 드라이버 (4, 5) 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소정 개수의 소스선 (2a, 2b) 으로 전환하여 공급하는 디멀티플렉서 (10, 11) (전환수단) 가 각각 개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각 소스 드라이버 (4, 5) 의 하나의 출력으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인접하는 3 개의 소스선 (2a, 2b) 사이에서 전환하여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후의 설명에서는 이 형태의 디멀티플렉서를 3 : 1 디멀티플렉서라 부른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제 1, 제 2 소스 드라이버 (4, 5) 는, 모두 도트반전구동용 소스 드라이버로, 인접하는 출력이 역극성의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3 : 1 디멀티플렉서 (10, 11) 는 3 개 1 조로 된 복수의 소스선 (2a, 2b) 의 모든 조에 대해 동일한 타이밍으로 각 조중의 좌단의 소스선, 중앙의 소스선, 좌단의 소스선중 어느 것을 동시에 선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제 1,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4, 5) 는 각각이 독립적으로 게이트선 (3a, 3b) 을 주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예컨대 제 1 게이트 드라이버 (6) 는 게이트선 G1에서 Gn/2방향으로 (도 1 중의 위에서 아래로 향해) 주사하고, 그와 동시에 제 2 게이트 드라이버 (7) 는 게이트선 Gn에서 Gn/2+1방향으로 (도 1 중의 아래에서 위를 향해) 주사한다. 즉, 게이트선 G1과 Gn이 동시에 on 으로 되고, 게이트 Gn/2과 Gn/2+1이 동시에 on 으로 되도록 한다. 이 주사방법을 채택하면, 표시영역 (8) 의 상하에서 화상의 경계가 눈에 잘 띄지 않게 된다. 단, 주사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디멀티플렉서의 1 출력으로부터 화상신호를 양분하는 소스선의 개수의 최적값에 대해 고찰한다.
먼저, 소스선을 2 분할하여 각각에 소스 드라이버를 접속한 상태에서 디멀티플렉서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예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의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입력시간 (t1) 이 종래예의 2 배가 되고, 소스선의 기생용량 (C1) 이 종래예의 1/2 이 되어, 소스 드라이버에서 본 입력용이성 (E1) 은 종래예의 4 배로 향상된다. 그에 반해, 접속피치 (P1) 가 종래예의 반이 되므로, 소스 드라이버와 소스선의 접속이 기술적으로 곤란해진다.
여기서, 디멀티플렉서의 비율 (「디멀티플렉서의 1 출력에 대응하는 소스선의 개수 : 1 출력」으로 정의함) 과, 입력용이성 및 접속피치의 관계를 도 2 에 나타낸다. 도면중의 「」이 소스 드라이버에서 본 입력용이성, 「」이 접속피치를 나타낸다. 또, 입력용이성의 E0의 레벨로 그은 파선, 접속피치의 2P=P0의 레벨로 그은 파선은 각각 종래예의 레벨을 나타내고 있고, 이러한 파선의 상측에 있다면 종래예보다도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디멀티플렉서가 없는 경우란, 다르게 표현하면, 1 : 1 디멀티플렉서가 있는 경우에 상당한다. 도 2 에서, 디멀티플렉서의 비율이 1 : 1 인 곳을 보면, 입력용이성에 관해서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4E0로 종래예에 비해 매우 우수한 반면, 접속피치는 1P, 즉 종래의 반으로 종래예에 비해 떨어진다.
다음, 비율이 2 : 1 인 디멀티플렉서를 채택한 경우, 소스 드라이버의 출력수는 소스선의 개수의 반이면 되므로, 접속피치 (P2) 는 화소피치 (P) 의 2 배가 되고 종래예의 P0= 2P 와 동등하다. 입력용이성에 대해서는, 신호선을 2 분할함으로써 기생용량 (C2) 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C2= C1= (1/2) ×C0가 되지만, 2 : 1 디멀티플렉서의 채택에 의해 입력시간이 t2= (1/2) ×t1= t0가 되므로, 입력용이성 (E2) 은 E2= t2/C2= 2E0가 된다. 따라서, 이 구성의 경우, 접속피치는 종래 레벨을 유지한 채 입력용이성을 종래의 2 배로 할 수 있다.
다음, 비율이 4 : 1 인 디멀티플렉서를 채택한 경우, 소스 드라이버의 출력수는 소스선의 개수의 1/4 이면 되므로, 접속피치 (P4) 는 화소피치 (P) 의 4 배가 되고 종래예의 2 배가 된다. 입력용이성에 대해서는, 기생용량 (C4) 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C4= C2= (1/2) ×C0이지만, 4 : 1 디멀티플렉서의 채택에 의해 입력시간이 t4= (1/4) ×t1= (1/2) ×t0가 되므로, 입력용이성 (E4) 은, E4= t4/C4= E0가 된다. 따라서, 이 구성의 경우, 입력용이성은 종래 레벨을 유지한 채 접속피치를 종래의 2 배로 할 수 있다.
다음, 본 실시형태의 3 : 1 디멀티플렉서를 채택한 경우, 소스 드라이버의출력수는 소스선의 개수의 1/3 이면 되므로, 접속피치 (P3) 는 화소피치 (P) 의 3 배가 된다. 따라서, 종래예의 P0= 2P 에 대해 3/2 배 넓어지므로, 접속에 관해서는 종래보다 여유가 생긴다. 입력용이성에 대해서는, 기생용량 (C3) 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C3= C4= C2= C1= (1/2) ×C0로 종래예의 반이지만, 3 : 1 디멀티플렉서의 채택에 의해 입력시간이 t3= (1/3) ×t1= (2/3) ×t0가 되므로, 입력용이성 (E3) 은 E3= t3/C3= (4/3) ×E0가 된다. 따라서, 접속피치가 종래의 3/2 배로 넓어지고, 입력용이성도 4/3 배로 향상되어, 쌍방의 관점에서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피치, 입력용이성 중 어느 하나를 종래예의 레벨로 유지한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종래예보다 개선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2 : 1 디멀티플렉서 또는 4 : 1 디멀티플렉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속피치, 입력용이성 쌍방을 종래예보다 개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3 : 1 디멀티플렉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비율이 5 : 1, 또는 그 이상인 디멀티플렉서를 채택하면, 도 3 에서 알 수 있듯이, 접속피치는 넓어지지만 입력용이성이 종래 이하로 되어 버린다. 따라서, 종래의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한, 입력용이성 면에서는 엄격해지지만, 소스 드라이버의 입력능력이 향상되어 입력용이성의 문제가 해소되고, 접속피치만이 문제가 되는 경우에는, 5 : 1 이상의 디멀티플렉서를 사용하는 것에도 의미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 (1) 에서는, 소스선 (2) 을 2 분할하여 각각에 제 1, 제 2 소스 드라이버 (4, 5) 를 접속한 상태에서 3 : 1 디멀티플렉서 (10, 11) 를 도입함으로써, 도 3 에 나타낸 종래예에 비해 접속피치가 넓고, 입력용이성이 향상된 액정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고정세화에 의한 화소피치의 축소, 화소밀도의 증대 등이 있더라도, 소스 드라이버와 소스선의 접속이 기술적으로 가능해져, 드라이버의 입력능력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도 적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제 2 소스 드라이버 (4, 5) 에 도트반전구동용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하고 있지만, 도트반전구동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3 : 1 디멀티플렉서의 사용이 적합하다. 왜냐하면, 3 : 1 디멀티플렉서의 동작이, 3 개 1 조로 된 복수의 소스선의 모든 조에 대해 동일한 타이밍으로 각 조중의 좌단의 소스선, 중앙의 소스선, 좌단의 소스선 중 어느 것을 동시에 선택하도록 해두기만 하면, 간단하게 도트반전구동을 실현할 수 있다. 만약 2 : 1 디멀티플렉서나 4 : 1 디멀티플렉서를 채택한 경우, 이 소스 드라이버로 도트반전구동을 실현하고자 하면, 디멀티플렉서의 동작을 보다 복잡하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각 소스 드라이버가 인접하는 출력, 인접하는 소스선 모두 인접하는 것끼리의 극성이 역극성이 되는 구동방법을 취하면, 크로스토크가 적어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각 화소에 입력신호의 극성을 프레임마다 반전하는 것이 좋은 것은, 잔상 대책의 관점에서도 당연하다.
또,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액정표시장치 전체의 소스선, 게이트선의 개수, 디멀티플렉서의 비율, 구동방법, 드라이버 IC 의 수, 주사방법 등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화상신호의 입력용이성, 드라이버와 LCD 배선과의 접속용이성의 쌍방을 만족할 수 있고, 고정세화에 적합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대향배치한 한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이 끼워지고, 상기 한쌍의 기판중의 한쪽 기판상에 복수의 소스선과 복수의 게이트선이 매트릭스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각 소스선이 그 소스선이 연장하여 있는 방향으로 2 분할되고, 그 2 분할된 복수의 소스선의 일측에 화상신호를 공급하는 제 1 소스 드라이버와 타측에 화상신호를 공급하는 제 2 소스 드라이버가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2 분할된 복수의 소스선의 일측과 교차하는 복수의 게이트선에 주사신호를 공급하는 제 1 게이트 드라이버와 타측과 교차하는 복수의 게이트선에 주사신호를 공급하는 제 2 게이트 드라이버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소스 드라이버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소정 개수의 소스선으로 전환하여 공급하는 전환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소스선이 2 개 내지 4 개의 소스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소스선이 3 개의 소스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3 항에 기재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써, 상기 제 1 소스 드라이버및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의 인접하는 출력으로서 역극성의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1-0029710A 2000-05-31 2001-05-29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408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63615A JP2001343946A (ja) 2000-05-31 2000-05-31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0-163615 2000-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147A true KR20010109147A (ko) 2001-12-08
KR100408097B1 KR100408097B1 (ko) 2003-12-03

Family

ID=1866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710A KR100408097B1 (ko) 2000-05-31 2001-05-29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24786B2 (ko)
JP (1) JP2001343946A (ko)
KR (1) KR100408097B1 (ko)
CN (1) CN1144089C (ko)
TW (1) TW55614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2446B2 (en) 2006-09-18 2010-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4911B2 (ja) * 2002-03-29 2008-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と液晶表示装置
JP2004046066A (ja) * 2002-05-17 2004-02-12 Sharp Corp 信号出力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6809719B2 (en) * 2002-05-21 2004-10-26 Chi Mei Optoelectronics Corporation Simultaneous scan line driving method for a TFT LCD display
KR100925453B1 (ko) * 2002-08-02 2009-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515318B1 (ko) * 2003-07-30 2005-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0649244B1 (ko) * 2003-11-27 2006-1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역다중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89376B1 (ko) * 2003-11-27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역다중화기를 이용한 발광 표시 장치
JP2005338421A (ja) * 2004-05-27 2005-12-08 Renesas Technology Corp 液晶表示駆動装置および液晶表示システム
JP4228999B2 (ja) * 2004-05-27 2009-02-2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モジュール,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表示装置
KR100578806B1 (ko) * 2004-06-30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역다중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패널
KR101112213B1 (ko) * 2005-03-30 2012-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7609238B2 (en) * 2006-06-21 2009-10-27 Himax Technologies, Inc. Dual-scan circuit for driving an OLED display device
TWI358710B (en) * 2007-03-05 2012-02-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
TW201005715A (en) * 2008-07-23 2010-02-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962921B1 (ko) * 2008-11-07 2010-06-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9147372B2 (en) * 2011-03-31 2015-09-2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TW201322227A (zh) * 2011-11-18 2013-06-01 Au Optronics Corp 顯示面板及其源極驅動架構
CN103839523A (zh) * 2012-11-20 2014-06-0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降低液晶面板功耗的装置及方法
CN103034007B (zh) * 2012-12-14 2015-02-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器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N104503179B (zh) * 2012-12-14 2017-08-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器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JP2015087688A (ja) * 2013-11-01 2015-05-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2243267B1 (ko) 2013-11-26 2021-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551569B1 (ko) * 2014-04-24 2015-09-09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안전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4103240B (zh) * 2014-06-26 2017-04-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驱动方法和驱动电路
US20160055789A1 (en) * 2014-08-20 2016-02-25 Innolux Corporation Display pael
KR102279886B1 (ko) * 2015-01-05 2021-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147360B2 (en) * 2015-03-31 2018-12-04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Rugged display device architecture
CN104992686A (zh) * 2015-07-21 2015-10-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驱动装置
US10339882B2 (en) * 2015-12-09 2019-07-02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Fault-tolerant AMLCD display
KR102454228B1 (ko) 2016-04-29 2022-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비전 장치
TWI575427B (zh) 2016-07-07 2017-03-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面板及其感測方法
KR20180057101A (ko) * 2016-11-21 2018-05-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
CN106710562B (zh) * 2017-03-15 2019-04-2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3921A (ja) * 1987-03-31 1988-10-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0467091A (ja) 1990-07-09 1992-03-0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液晶表示装置
US5598180A (en) * 1992-03-05 1997-01-28 Kabushiki Kaisha Toshiba Active matrix type display apparatus
JPH06149183A (ja) * 1992-11-05 1994-05-27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CN1044292C (zh) * 1993-05-13 1999-07-21 卡西欧计算机公司 显示器驱动设备
TW277129B (ko) 1993-12-24 1996-06-01 Sharp Kk
JPH08334743A (ja) * 1995-06-07 1996-12-17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3110980B2 (ja) * 1995-07-18 2000-11-2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ション 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方法
JPH09130708A (ja) * 1995-10-31 1997-05-16 Victor Co Of Japan Ltd 液晶画像表示装置
KR100224738B1 (ko) 1995-12-28 1999-10-15 손욱 단순 행렬형 엘시디의 구동 방법
TW334554B (en) * 1995-12-30 1998-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 driving circuit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JPH09319342A (ja) * 1996-03-26 1997-12-12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6124853A (en) * 1996-09-03 2000-09-26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Power dissipation control for a visual display screen
US5903250A (en) * 1996-10-17 1999-05-11 Prime View International Co. Sample and hold circuit for drivers of an active matrix display
JP2980042B2 (ja) * 1996-11-27 1999-11-22 日本電気株式会社 走査回路
US6118425A (en) * 1997-03-19 2000-09-12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for
JPH10293561A (ja) * 1997-04-17 1998-11-04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0430091B1 (ko) * 1997-07-10 2004-07-1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3516840B2 (ja) * 1997-07-24 2004-04-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3450164B2 (ja) * 1997-09-26 2003-09-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ットマトリクス表示装置
TW491954B (en) * 1997-11-10 2002-06-21 Hitachi Device E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1999028896A1 (fr) * 1997-11-28 1999-06-10 Seiko Epson Corporation Circuit de commande pour dispositif electro-optique, procede de commande du dispositif electro-optique, dispositif electro-optique, et dispositif electronique
JP3129271B2 (ja) * 1998-01-14 2001-01-29 日本電気株式会社 ゲートドライバ回路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H11249627A (ja) * 1998-03-04 1999-09-17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JPH11327518A (ja) * 1998-03-19 1999-11-26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JP3490353B2 (ja) * 1998-12-16 2004-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用駆動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液晶モジュール
JP2000275611A (ja) * 1999-03-29 2000-10-06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JP3789066B2 (ja) * 1999-12-08 2006-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2446B2 (en) 2006-09-18 2010-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8111366B2 (en) 2006-09-18 2012-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8097B1 (ko) 2003-12-03
TW556146B (en) 2003-10-01
US20010052888A1 (en) 2001-12-20
CN1144089C (zh) 2004-03-31
US6924786B2 (en) 2005-08-02
CN1326107A (zh) 2001-12-12
JP2001343946A (ja) 200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09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6583777B2 (en) 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substrate for the same
US8766970B2 (en) Pixel circuit,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646280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split gate lines
JP5059363B2 (ja) 液晶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895303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65221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277182B1 (ko) 액정표시소자
US6552705B1 (en) Method of driving flat-panel display device
US20040246213A1 (en) Display panel having crossover connections effecting dot inversion
JP2001042287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982877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液晶表示装置
US887876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0728959A (zh) 液晶显示装置
JP4387362B2 (ja) ピクセルマトリックス及びそのピクセルユニット
KR20020072723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10017524A (ko) 도트 반전 구동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
JP2014026069A (ja) 液晶表示装置
JP3491814B2 (ja) 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19990080837A (ko) 액정표시소자
JP4181804B2 (ja) 液晶表示装置
JP3803020B2 (ja) 液晶表示装置
CN113885260B (zh) 显示面板
JPH10239710A (ja) 液晶表示装置
KR101127858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