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5878A - 조향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구조 - Google Patents

조향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5878A
KR20010105878A KR1020000026925A KR20000026925A KR20010105878A KR 20010105878 A KR20010105878 A KR 20010105878A KR 1020000026925 A KR1020000026925 A KR 1020000026925A KR 20000026925 A KR20000026925 A KR 20000026925A KR 20010105878 A KR20010105878 A KR 20010105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scopic
tilt
electrodes
separators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우
Original Assignee
배길훈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1020000026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5878A/ko
Publication of KR20010105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87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9Reducing the workload of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재킷의 상단부 내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텔레스코픽 재킷과, 상기 상부재킷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재킷을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텔레스코픽 하우징과, 상기 텔레스코픽 하우징의 외주상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돌출된 버팀편을 형성하는 디스턴스 브래킷과, 상기 차체측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턴스 브래킷의 버팀편 외측면에 위치되는 밀착부를 형성하는 틸트 브래킷과, 상기 틸트 브래킷의 밀착부와 디스턴스 브래킷의 버팀편에 끼워진 지지축을 회전시켜 상기 밀착부와 버팀편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틸트레버 및, 상기 지지축과 같이 회전하면서 상기 텔레스코픽 재킷을 텔레스코픽 하우징에 홀딩시키기 위한 홀딩 블록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향컬럼을 틸트 및 텔레스코픽이 동시에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요구하는 위치에 조향핸들을 적절히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향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구조{tilt and telescopic device of steering column}
본 발명은 조향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재킷의 상단부 내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텔레스코픽 재킷과 텔레스코픽 하우징, 틸트 브래킷에서 회전되는 지지축에 위해 회전하면서 텔레스코픽 재킷을 텔레스코픽 하우징에 홀딩시키기 위한 홀딩 블록을 구비함으로써 조향컬럼을 틸트 및 텔레스코픽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향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가 핸들로 조향조작을 할 때에 운전자가 자신의체형에 맞게 조향핸들의 위치를 조절하여 보다 편안하게 운전조작할 수 있도록 핸들이 장착되는 조향컬럼을 틸트시킬 수 있는 틸트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틸트구조가 구비된 조향컬럼을 도시한 것으로, 중심부에 후방으로 향하는 밀착부(123)를 갖는 상부 브래킷(121)이 캡슐(127)을 통해 차체측에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 브래킷(121)의 밀착부(123)쪽에는 조향컬럼의 상부재킷(111)과 일체로 용접되면서 다수개의 버팀편(133)이 횡방향으로 부착되는 디스턴스 브래킷(131)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부 브래킷(121)의 밀착부(123)에는 각각 가이드 슬롯(125)이 형성됨과 더불어 디스턴스 브래킷(131)에는 진원의 조립홀(1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브래킷(121)의 가이드 슬롯(125)과 디스턴스 브래킷(131)의 조립홀(135)을 통해 지지축(143)이 끼워져 있고, 이 지지축(143)의 양측 선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브래킷(121)의 밀착부(123)에서 가압부재(147)가 지지축(143)의 나사부에 끼워져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143)의 한측 선단부에는 틸트레버(141)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틸트레버(141)를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틸트레버(141)의 회전운동으로 지지축(143)이 함께 회전되게 되고, 그 지지축(143)의 회전운동으로 지지축(143)의 나사부에 조립된 양측의 가압부재(147)가 상부 브래킷(121)의 밀착부(123)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지지축(143)을 따라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147)가 상부 브래킷(121)의 밀착부(123)에서 이격되면,가압부재(147)에 의해 상부 브래킷(121)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부 브래킷(121)의 밀착부(123)와 디스턴스 브래킷(131)의 버팀편(133)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므로, 디스턴스 브래킷(131)과 상부재킷(111)이 상부 브래킷(121)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조향핸들을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지지축(143)이 상부 브래킷(121)의 가이드 슬롯(125)을 따라 이동되게 되고, 핸들의 위치를 적절히 선정한 다음 틸트레버(141)를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틸트레버(141)에 의해 지지축(143)이 함께 회전됨과 동시에 지지축(143)의 회전운동으로 가압부재(147)가 상부 브래킷(121)쪽으로 이동되면서 상부 브래킷(121)을 가압하여 주게 된다.
그러므로 상부 브래킷(121)의 밀착면과 상부재킷(111)을 지지하고 있는 디스턴스 브래킷(131)의 버팀편(133)이 서로 밀착되면서 이들 면사이에 작용하는 면압과 마찰력으로 조향핸들이 결합된 조향컬럼의 상부재킷(111)을 소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조향컬럼에는 상부 브래킷(121)과 디스턴스 브래킷(131)의 각도변화를 통해 조절되는 틸트기능만을 구비하고 있고 조향핸들을 축방향으로 위치조절하는 텔레스코픽 기능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운자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요구되는 위치에 조향핸들을 위치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향컬럼을 틸트 및 텔레스코픽이 가능하도록 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요구하는 위치에 조향핸들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향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틸트구조가 구비된 조향컬럼을 보인 부분 절개 단면도.
도 2는 종래 조향컬럼의 틸트구조를 보인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향컬럼 틸트 및 텔레스코픽 구조를 보인 조향컬럼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향컬럼 틸트 및 텔레스코픽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조향컬럼의 평면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텔레스코픽 하우징을 보인 것으로,
도 5a는 정면도.
도 5b는 평단면도.
도 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홀딩 블록을 보인 것으로,
도 6a는 정면도.
도 6b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상부재킷 13 : 하부재킷
15 : 텔레스코픽 재킷 16 : 틸트부싱
17 : 가이드부싱 21 : 틸트 브래킷
25 : 가이드 슬롯 27 : 캡슐
31 : 디스턴스 브래킷 41 : 틸트레버
43 : 지지축 51 : 텔레스코픽 하우징
53 : 관통홀 55 : 지지부
56 : 결합홀 57 : 홀딩 블록
59 : 고정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부재킷의 상단부 내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텔레스코픽 재킷과, 상기 상부재킷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재킷을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텔레스코픽 하우징과, 상기 텔레스코픽 하우징의 외주상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돌출된 버팀편을 형성하는 디스턴스 브래킷과, 상기 차체측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턴스 브래킷의 버팀편 외측면에 위치되는 밀착부를 형성하는 틸트 브래킷과, 상기 틸트 브래킷의 밀착부와 디스턴스 브래킷의 버팀편에 끼워진 지지축을 회전시켜 상기 밀착부와 버팀편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틸트레버 및, 상기 지지축과 같이 회전하면서 상기 텔레스코픽 재킷을 텔레스코픽 하우징에 홀딩시키기 위한 홀딩 블록을 포함하는 조향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텔레스코픽 하우징의 후측 원주상에는 내부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양측에 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지지축이 통과하는 결합홀이 관통된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딩블록이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관통홀쪽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향컬럼의 틸트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재킷(11)의 상단부 내측에는 텔레스코픽 재킷(15)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상부재킷(11)의 상단에는 텔레스코픽 재킷(15)을 축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원통형의 텔레스코픽 하우징(51)이 고정된다. 이때, 텔레스코픽 하우징(51)의 후측 원주상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로 관통된 관통홀(53)이 형성되고, 그 관통홀(53)의 양측에 후방으로 돌출되면서 결합홀(56)이 관통된 지지부(55)가 형성된다.
그리고, 텔레스코픽 하우징(51)의 외주상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버팀편(33)을 형성하는 디스턴스 브래킷(31)이 부착되고, 그 디스턴스 브래킷(31)의 외측에는 버팀편(33) 외측면에 위치되는 밀착부(23)를 형성하는 틸트 브래킷(21)이 캡슐(27)을 통해 차체측에 고정된다.
또한, 틸트 브래킷(21)의 밀착부(23)에는 각각 가이드 슬롯(25)이 형성됨과 동시에 디스턴스 브래킷(31)에는 진원의 조립홀(35)이 형성되며, 틸트 브래킷(21)의 가이드 슬롯(25)과 디스턴스 브래킷(31)의 조립홀(35) 및 텔레스코픽 하우징(51)의 지지부(55)에 형성된 결합홀(56)을 통해 지지축(43)이 끼워지고, 이지지축(43)의 양측 선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또한, 틸트 브래킷(21)의 밀착부(23)에서 가압부재(45)가 지지축(43)의 나사부에 끼워져 나사 결합되며, 지지축(43)의 한측 선단부에는 틸트레버(41)가 일체로 부착된다.
한편, 텔레스코픽 하우징(51)의 지지부(55) 내측에는 지지축(43)과 같이 회전하면서 관통홀(53)을 통해 텔레스코픽 재킷(15)을 텔레스코픽 하우징(51)에 홀딩시키기 위한 홀딩 블록(57)이 설치된다. 이 홀딩 블록(57)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심에 관통된 고정홀(59)을 통해 지지축(43)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조향핸들을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틸팅 및 텔레스코픽시키기 위해 틸트레버(41)를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틸트레버(41)의 회전운동으로 지지축(43)이 함께 회전되게 되고, 그 지지축(43)의 회전운동으로 지지축(43)의 나사부에 조립된 양측의 가압부재(45)가 틸트 브래킷(21)의 밀착부(23)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지지축(43)을 따라 이동되게 된다. 또한, 이때의 홀딩 블록(57)은 지지축(43)에 의해 같이 회전하면서 텔레스코픽 재킷(15)의 관통홀(53)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압부재(45)에 의해 틸트 브래킷(21)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틸트 브래킷(21)의 밀착부(23)와 디스턴스 브래킷(31)의 버팀편(33)사이에 유격이 형성되고, 또한 홀딩 블록(57)에 의한 텔레스코픽 재킷(15)과 텔레스코픽 하우징(51)의 홀딩이 해제되므로, 디스턴스 브래킷(31)과 상부재킷(11)이 틸트 브래킷(21)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됨은 물론 텔레스코픽 재킷(15)이 텔레스코픽 하우징(51) 및 상부재킷(11)에서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조향핸들을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지지축(43)이 틸트 브래킷(21)의 가이드 슬롯(25)을 따라 이동되게 됨은 물론 텔레스코픽 재킷(15)이 텔레스코픽 하우징(51)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조향핸들의 위치를 적절히 선정한 다음 틸트레버(41)를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지지축(43)은 함께 회전되면서 가압부재(45)를 틸트 브래킷(21)쪽으로 이동시켜 틸트 브래킷(21)의 밀착부(23)를 가압함과 동시에, 홀딩 블록(57)을 회전시켜 텔레스코픽 재킷(15)과 텔레스코픽 하우징(51)을 홀딩시킴으로써 조향핸들을 최적의 위치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향컬럼을 틸트 및 텔레스코픽이 동시에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요구하는 위치에 조향핸들을 적절히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상부재킷의 상단부 내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텔레스코픽 재킷과, 상기 상부재킷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재킷을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텔레스코픽 하우징과, 상기 텔레스코픽 하우징의 외주상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돌출된 버팀편을 형성하는 디스턴스 브래킷과, 상기 차체측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턴스 브래킷의 버팀편 외측면에 위치되는 밀착부를 형성하는 틸트 브래킷과, 상기 틸트 브래킷의 밀착부와 디스턴스 브래킷의 버팀편에 끼워진 지지축을 회전시켜 상기 밀착부와 버팀편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틸트레버 및, 상기 지지축과 같이 회전하면서 상기 텔레스코픽 재킷을 텔레스코픽 하우징에 홀딩시키기 위한 홀딩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하우징의 후측 원주상에는 내부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양측에 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지지축이 통과하는 결합홀이 관통된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딩 블록이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관통홀쪽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구조.
KR1020000026925A 2000-05-19 2000-05-19 조향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구조 KR200101058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925A KR20010105878A (ko) 2000-05-19 2000-05-19 조향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925A KR20010105878A (ko) 2000-05-19 2000-05-19 조향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878A true KR20010105878A (ko) 2001-11-29

Family

ID=19669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925A KR20010105878A (ko) 2000-05-19 2000-05-19 조향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58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817B1 (ko) * 2002-09-17 2008-01-14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틸트장치 및 텔레스코픽장치
WO2012115315A1 (ko) 2011-02-22 2012-08-30 주식회사 티에프티 난연성 섬유강화 플라스틱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난연성 섬유강화 플라스틱 성형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8470A (ja) * 1986-01-30 1987-08-05 Mazda Motor Corp チルトアンドテレスコピツク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H0292779A (ja) * 1988-09-29 1990-04-03 Fuji Kiko Co Ltd チルト及びテレスコ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
JPH0899640A (ja) * 1994-09-30 1996-04-16 Fuji Kiko Co Ltd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
KR19990025171A (ko) * 1997-09-11 1999-04-06 오상수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와 텔리스코픽 구조
JPH11278283A (ja) * 1998-03-31 1999-10-12 Fuji Kiko Co Ltd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
JP2000016305A (ja) * 1998-04-30 2000-01-18 Yamada Seisakusho Kk 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の位置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8470A (ja) * 1986-01-30 1987-08-05 Mazda Motor Corp チルトアンドテレスコピツク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H0292779A (ja) * 1988-09-29 1990-04-03 Fuji Kiko Co Ltd チルト及びテレスコ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
JPH0899640A (ja) * 1994-09-30 1996-04-16 Fuji Kiko Co Ltd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
KR19990025171A (ko) * 1997-09-11 1999-04-06 오상수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와 텔리스코픽 구조
JPH11278283A (ja) * 1998-03-31 1999-10-12 Fuji Kiko Co Ltd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
JP2000016305A (ja) * 1998-04-30 2000-01-18 Yamada Seisakusho Kk 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の位置調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817B1 (ko) * 2002-09-17 2008-01-14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틸트장치 및 텔레스코픽장치
WO2012115315A1 (ko) 2011-02-22 2012-08-30 주식회사 티에프티 난연성 섬유강화 플라스틱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난연성 섬유강화 플라스틱 성형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268B2 (en) Telescoping-tilting devic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US5738377A (en) Shock absorbing plate for a vehicle steering wheel
US20080022796A1 (en) Steering apparatus equipped with ring type support yoke
EP1488984A3 (en) Tilt steering assembly
JP2007168708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222050A (ja) 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4098933A (ja) ミラー駆動装置
KR20010105878A (ko) 조향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구조
KR100746665B1 (ko) 방사상 고정 기어를 구비한 틸트식 조향장치
JP3728371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5839749A (en) Caster angle control system for vehicles
JP2010058729A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とそのヒンジ機構
JPH08295247A (ja) ステアリング機構
JP2001233223A (ja) 舵取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取付具
JP2005119369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4178321B2 (ja)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2087287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299031Y1 (ko) 자동차용조향장치의액티브센터필구조
JP3871553B2 (ja) ラックピニオン式舵取装置
US20240083489A1 (en) Steering device and liner slot of steering device
KR102535490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
JPH1129051A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WO2022138191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H09124289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マスト支持装置
JP2534940Y2 (ja) 後輪操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