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4711A - 변성장치 - Google Patents

변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4711A
KR20010104711A KR1020017010605A KR20017010605A KR20010104711A KR 20010104711 A KR20010104711 A KR 20010104711A KR 1020017010605 A KR1020017010605 A KR 1020017010605A KR 20017010605 A KR20017010605 A KR 20017010605A KR 20010104711 A KR20010104711 A KR 20010104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reaction
gas
reaction section
heat
re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3371B1 (ko
Inventor
마츠이노부키
이케가미슈지
오카모토야스노리
요네모토카즈오
Original Assignee
이노우에 노리유끼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우에 노리유끼,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노우에 노리유끼
Publication of KR20010104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25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in a modular combined reactor/fuel cell structure
    • H01M8/0631Reactor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reactor/fuel c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48Reactors comprising multiple separated flow channels
    • B01J19/2485Monolithic 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48Reactors comprising multiple separated flow channels
    • B01J19/249Plate-type 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5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configuration
    • B01J35/56Foraminous structures having flow-through passages or channels, e.g. grids or three-dimensional monoli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207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 being predominantly horizontal
    • B01J8/021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 being predominantly horizontal in a cylindrical annular shape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207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 being predominantly horizontal
    • B01J8/022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 being predominantly horizontal in a conically shape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24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 B01J8/025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a cylindrical shape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01J8/0403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01J8/044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01J8/044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 B01J8/0449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two or more cylindrical beds
    • B01J8/0453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two or more cylindrical beds the beds being superimposed one above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01J8/0496Heating or cooling the re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06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 C01B3/1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by reaction of water vapour with carbon monoxide
    • C01B3/16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by reaction of water vapour with carbon monoxide using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C01B3/38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using catalysts
    • C01B3/386Catalytic partial combus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C01B3/48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followed by reaction of water vapour with carbon monox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106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 B01J2208/00168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with heat exchange elements outside the bed of solid particles
    • B01J2208/00185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106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 B01J2208/00168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with heat exchange elements outside the bed of solid particles
    • B01J2208/00212Plates; Jackets; Cylinders
    • B01J2208/00221Plates; Jackets; Cylinders comprising baffles for guiding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106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 B01J2208/00309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with two or more reactions in heat exchange with each other, such as an endothermic reaction in heat exchange with an exothermic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477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thermal insulation means
    • B01J2208/00495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thermal insulation means using insulating materials or refrac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53Controlling multiple zones along the direction of flow, e.g. pre-heating and after-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716Means for reactor start-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02Chemical plants
    • B01J2219/00004Scale aspects
    • B01J2219/00006Large-scale industrial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2219/2401Reactors comprising multiple separate flow channels
    • B01J2219/245Plate-type reactors
    • B01J2219/2451Geometry of the reactor
    • B01J2219/2453Plates arranged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2219/2401Reactors comprising multiple separate flow channels
    • B01J2219/245Plate-type reactors
    • B01J2219/2451Geometry of the reactor
    • B01J2219/2455Plates arranged rad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2219/2401Reactors comprising multiple separate flow channels
    • B01J2219/245Plate-type reactors
    • B01J2219/2461Heat exchange aspects
    • B01J2219/2465Two reactions in indirect heat exchange with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2219/2401Reactors comprising multiple separate flow channels
    • B01J2219/245Plate-type reactors
    • B01J2219/2476Construction materials
    • B01J2219/2477Construction materials of the catalysts
    • B01J2219/2479Catalysts coated on the surface of plate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2219/2401Reactors comprising multiple separate flow channels
    • B01J2219/245Plate-type reactors
    • B01J2219/2476Construction materials
    • B01J2219/2483Construction materials of the plates
    • B01J2219/2485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5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artial oxidation step
    • C01B2203/0261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artial oxidation step containing a catalytic partial oxidation step [CPO]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83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CO-shift step, i.e. a water gas shift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4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urification step for the hydrogen or the synthesis gas
    • C01B2203/0435Catalytic purification
    • C01B2203/044Selective oxidation of carbon mon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4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urification step for the hydrogen or the synthesis gas
    • C01B2203/0465Composition of the impurity
    • C01B2203/047Composition of the impurity the impurity being carbon mon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6Integration with other chemical processes
    • C01B2203/066Integration with other chemical processes with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Methods of heating or cooling
    • C01B2203/0805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Methods of heating or cooling
    • C01B2203/0805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38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by heat exchange with exothermic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of fuel
    • C01B2203/0844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by heat exchange with exothermic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of fuel the non-combustive exothermic reaction being another reforming reaction as defined in groups C01B2203/02 - C01B2203/0294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Methods of heating or cooling
    • C01B2203/0872Methods of cooling
    • C01B2203/0883Methods of cooling by indirect heat 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05Arrangement or shape of catalyst
    • C01B2203/1023Catalysts in the form of a monolith or honeycomb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05Arrangement or shape of catalyst
    • C01B2203/1035Catalyst coated on equipment surfaces, e.g. reactor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41Composition of the catalyst
    • C01B2203/1047Group VIII metal catalysts
    • C01B2203/1064Platinum group metal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41Composition of the catalyst
    • C01B2203/1082Composition of suppor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Feed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05Composition of the feed
    • C01B2203/1211Organic compounds or organic mixtures used in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35Hydrocarbons
    • C01B2203/1241Natural gas or meth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4Details of the flowsheet
    • C01B2203/146At least two purification steps in s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6Controlling the process
    • C01B2203/1604Starting up the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80Aspect of 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not covered by groups C01B2203/02 - C01B2203/1695
    • C01B2203/82Several process steps of C01B2203/02 - C01B2203/08 integrated into a singl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2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catalysts, e.g. selective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개질반응부(6)에서 원료가스로부터 부분산화를 포함하는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소가 풍부한 개질가스중의 CO를 저감하고 또한 수소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그 개질가스를 시프트반응부(10)에서 변성촉매에 의해 수성가스 시프트반응시켜서 변성하는 경우에, 시프트반응부(10)에 있어서 개질반응부(6)로부터의 고온의 개질가스를 그대로 시프트반응할 수 있도록 하고, 변성장치를 심플한 구조로 할 목적으로, 개질반응부(6)로부터의 개질가스를 직접 시프트반응부(10)의 개질가스통로(11)에 도입하여 원료가스와 열교환하면서 시프트반응을 행하도록 한다. 개질반응부(6)로부터 나온 개질가스를 반응속도가 빠른 고온상태에서 반응이 평형적으로 유리하게 되는 저온상태까지의 넓은 온도범위에서 변성하고, 변성온도범위의 확대를 도모함과 아울러, 개질가스의 온도제어를 불필요하게 하여 변성장치의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한다.

Description

변성장치{MODIFYING DEVICE}
일반적으로, 탄화수소나 메탄올을 개질하여 수소를 생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이 개질에 의해서 수소를 생성하는 연료개질장치는 연료전지나 수소엔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질장치로서, 종래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11-67256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전지 시스템에 조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연료개질장치는, 부분산화반응에 대해서 활성을 나타내는 촉매가 충전된 연료개질기를 구비하공 있고, 이 연료개질기에 원료가스를 도입하여 그 부분산화반응에 의해 수소를 보유하는 개질가스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이상과 같이 하여 생성된 개질가스중의 CO(일산화탄소)를 저감시키고 또한 수소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질가스를 변성장치의 시프트반응부에 있어서 변성촉매에 의해 수성가스 시프트반응시켜서 변성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즉, 이 수성가스 시프트반응에 있어서는, 다음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산화탄소가 물에 의해 산화되어서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변화한다.
CO + H2O →CO2+ H2
그런데, 이 종류의 변성장치는, 시프트반응부의 내열성이 낮고, 개질반응부에서의 고온도(예컨대 700℃)의 개질가스를 그 고온도인 채로 도입하여 반응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시프트반응부를 고온 시프트반응부와 저온 시프트반응부로 나누고, 개질반응부의 개질가스를 예를 들면 400℃로 강온시킨 후에 고온 시프트반응부에 도입시키고, 그 고온 시프트반응부에서 나온 개질가스를 또한 예컨대 200℃로 강온시켜서 저온 시프트반응부에 도입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그 경우, 고온 및 저온 시프트반응부에 각각 유입되는 개질가스의 입구온도를 제어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장치구성이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반응속도가 빠른 고온 조건하에서는 반응을 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개질가스를 변성할 수 있는 온도범위가 한정되어 버리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또한, 고온 조건하의 수성 시프트반응에서는, 촉매의 내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 양을 많게 할 필요가 있고, 그만큼, 열용량이 증대하여 부하변동의 응답성이나 기동시의 특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상기한 변성장치의 구조에 고안을 몰두함으로써 그 시프트반응부에 있어서 개질반응부로부터의 고온의 개질가스를 그대로 시프트반응할 수 있도록 하여, 변성장치를 심플한 구조로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탄화수소계의 원료가스가 부분산화반응에 의해 개질되어서 생성되는 개질가스를 촉매에 의한 수성가스 시프트반응에 의해 변성하기 위한 변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변성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2를 나타내는 도 1 상당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실시예 3을 나타내는 도 4 상당도,
도 6은 실시예 4에 관한 변성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 단면도,
도 8은 실시예 4에 관한 연료전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9는 실시예 5를 나타내는 도 6 상당도,
도 10은 도 9의 Ⅹ-Ⅹ선 단면도,
도 11은 실시예 6을 나타내는 도 10 상당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변성장치의 시프트반응부에 있어서, 개질반응부로부터의 개질가스를 개질반응부로의 원료가스 또는 열회수가스와 열교환시키면서 시프트반응시키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는 개질반응부(6)에서 원료가스로부터 부분산화를 포함하는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소가 풍부한 개질가스를 변성촉매에 의해 수성가스 시프트반응시켜서 변성하는 시프트반응부(10)를 보유하는 변성장치로서, 상기 시프트반응부(10)는 상기 개질반응부(6)에서의 개질가스를 직접 개질가스통로(11)에 도입하여 상기 원료가스와 열교환하면서 시프트반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것으로, 개질반응부(6)로부터의 고온의 개질가스가 직접 시프트반응부(10)에 도입되고, 그 개질가스는 시프트반응부(10)에 있어서, 개질반응부(6)에 공급되는 원료가스통로(3) 내의 원료가스와 열교환되면서 수성가스 시프트반응에 의해 변성된다. 이 때문에, 개질반응부(6)에서 나온 개질가스가 높은 온도인 채로 변성되고, 그 개질가스를 반응속도가 빠른 고온상태에서 반응속도는 느리지만 반응이 평형적으로 유리하게 되는 저온상태까지의 넓은 온도범위에서 변성할 수 있다.
더구나, 개질가스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변성장치의 구성을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또,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의 충전량을 저감하여 그 열용량을 감소할 수 있고, 부하변동의 응답성이나 기동시의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는, 내열성을 보유하는 귀금속계의 촉매로 하거나, 또는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는 Pt 또는 Pt, Ru의 합금을 활성금속으로서 사용한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상기 고온도에서 시프트반응을 행하는데 바람직한 변성촉매가 얻어진다. 즉, 내열성을 보유하는 귀금속계의 촉매로 하면, 촉매의 내구성이 높고, 넓은 온도영역에서 높은 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Pt 또는 Pt, Ru의 합금을 활성금속으로서 사용한 촉매로 하면, 고온에서 활성이 높아져서 메탄화반응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는, 다공질재료에 도포 또는 담지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다공질재료는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시프트반응부(10)에서 변성촉매와 개질가스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서 반응속도를 빠르게 함과 아울러, 열의 복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다공질재료는, 발포금속, 코디어라이트(cordierite) 또는 세라믹의 어느 하나로 하는 것이 좋다. 이것으로, 특히 개질가스와의 접촉면적의 증대를 확보할 수 있는 것에 바람직한 다공질재료가 얻어지다.
상기 시프트반응부(10)의 주위에, 개질반응부(6)에 대하여 원료가스를 공급하는 원료가스통로(3)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으로, 시프트반응부(10) 주위의 원료가스통로(3)의 원료가스가 시프트반응부(10)에서의 반응열에 의해 가열되게 되어, 시프트반응부(10)에서의 반응열을 원료가스의 예열을 위하여 회수하고 이자기열회수에 의해 변성장치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경우, 시프트반응부(10) 및 원료가스통로(3)를 하우징(1) 내에 일체적으로 설치한다. 이것으로 변성장치의 구조를 심플하게 하여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시프트반응부(10)의 반응열 및 현열(顯熱)을 복사에 의해 원료가스통로(3)의 원료가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5)를 설치하여도 된다. 이렇게 하면, 시프트반응부(10)와 원료가스 사이의 열교환속도가 증대하여 전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시프트반응부(10)의 개질가스통로(11)는, 개질가스가 시프트반응부(10)의 중심측에서 외주측으로 향하여 흐르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시프트반응부(10)의 입구부에서 출구부까지의 온도를 다르게 하여 온도분포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경우, 시프트반응부(10)에서의 개질가스의 흐름방향 하류측 부분의 원료가스통로(3)와의 거리를 상류측 부분의 원료가스통로(3)와의 거리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시프트반응부(10)의 복사에 의한 원료가스통로(3)로의 열교환량이 시프트반응부(10)에서의 개질가스의 흐름방향 상하류측 부분에서 서로 다르게 변화하여, 시프트반응부(10)의 출구부분의 온도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5)는 원료가스통로(3)에 면하는 전열핀(16)을 보유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전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열핀(16)을 원료가스통로(3)를 따라서 복수 설치하고, 이들 복수의전열핀(16)의 시프트반응부(10)에서의 개질가스의 흐름방향 상류측의 피치를 하류측보다도 좁게 하는 것이 좋다. 이것으로, 시프트반응부(10)와 원료가스와의 사이의 열교환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개질가스통로(11)에 면하는 개질가스측 전열핀(21)과, 원료가스통로(3)에 면하는 원료가스측 전열핀(22)을 보유하고 있고, 시프트반응부(10)의 반응열 및 현열을 원료가스통로(3)의 원료가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23)를 설치하여도 된다. 그리고,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는 적어도 상기 개질가스측 전열핀(21)에 도포 또는 담지한다. 이렇게 하면, 시프트반응부(10)의 개질가스통로(11)의 개질가스가 개질가스통로(11)에 면하는 개질가스측 전열핀(21)의 변성촉매와 접촉하여 시프트반응한다. 이 반응열은 개질가스측 전열핀(21)에서 원료가스측 전열핀(22)을 통하여 원료가스통로(3)의 원료가스에 전달된다. 이 경우에도 시프트반응부(10)로부터 원료가스로의 전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개질반응부(6), 원료가스통로(3) 및 시프트반응부(10)를 하우징(1) 내에 일체적으로 설치한다. 이것으로, 변성장치의 구조를 더욱 심플하게 하여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개질반응부(6)에서 원료가스로부터 부분산화를 포함하는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소가 풍부한 개질가스를 변성촉매에 의해 수성가스 시프트반응시켜서 변성하는 시프트반응부(10)를 보유하는 변성장치로서, 상기 시프트반응부(10)는 상기 개질반응부(6)에서의 개질가스를 열회수가스와 열교환하면서 시프트반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으로, 개질반응부(6)에서의 고온의 개질가스는 시프트반응부(10)에 있어서 열회수가스와 열교환되면서 수성가스 시프트반응에 의해 변성된다. 이 때문에, 개질반응부(6)에서 나온 개질가스가 높은 온도인 채로 변성되고, 그 개질가스를 반응속도가 빠른 고온상태에서 반응속도는 느리지만 반응이 평형적으로 유리하게 되는 저온상태까지의 넓은 온도범위에서 변성할 수 있다.
즉, 개질반응부(6)에서의 고온의 개질가스와 열회수가스의 열교환에 의해, 시프트반응부(10)에 있어서 개질가스의 입구측에서는 온도가 높아져서 반응속도가 증대하는 한편, 출구측에서는 온도가 내려가서 반응속도가 저하하고, 열평형적으로 CO농도를 저감할 수 있다.
더구나, 개질가스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어 변성장치의 구성을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또, 시프트반응부(10)에서의 열교환에 의해 그 고온의 배열을 열회수가스로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의 충전량을 저감하여 그 열용량을 감소할 수 있고, 부하변동의 응답성이나 기동시의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경우, 상기와 같이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는 내열성을 보유하는 귀금속계의 촉매로 한다. 이 내열성을 보유하는 귀금속계 촉매의 내구성은 높기 때문에 넓은 온도영역에서 높은 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는 Pt 또는 Pt, Ru의 합금을 활성금속으로서 사용한 촉매로 하면, 고온에서 활성이 높아지게 되어 메탄화반응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는 다공질재료에 도포 또는 담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것으로, 시프트반응부(10)에서 변성촉매와 개질가스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서 반응속도를 빠르게 함과 아울러, 열의 복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다공질재료는 발포금속, 코디어라이트 또는 세라믹의 어느 하나로 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특히 개질가스와의 접촉면적의 증대를 확보할 수 있는 다공질재료가 용이하게 얻어진다.
상기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촉매담체에 도포 또는 담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것으로, 개질가스통로(11)에 면하는 촉매를 열회수가스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하는데 바람직한 촉매담체가 얻어진다.
상기 열회수가스가 흐르는 열회수가스통로(37)를 촉매담체의 주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촉매담체가 열회수가스통로(37)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열회수가스는 공기로 할 수 있다. 이 공기를 열회수가스로 함으로써 고온의 열회수에 있어서 부분 부하시에도 안정된 열교환을 행할 수 있어, 이용하기 쉬운 열회수가스가 용이하게 얻어진다.
또, 상기 열회수가스는 연료전지(31)에서의 산소극(34)측(공기극측)의 배출가스(오프가스)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연료전지(31)의 배출가스를 열회수가스로 하면, 상기와 같이 공기를 열회수가스로서 새롭게 준비할 필요가 없고, 연료전지(31)의 기존의 배출가스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또, 공기를 열회수가스로서흐르게 하기 위한 블로어나 그 동력이 불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변성장치(A)를 나타내고, 이 변성장치(A)는 연료전지 시스템(도 8 참조)에 있어서, 도시가스 및 가습공기를 포함하는 원료가스로부터 개질된 개질가스를 수성가스 시프트반응시켜서 변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1은 변성장치(A)의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하우징(1)이고, 이 하우징(1)의 내부에는 원통형의 격벽(2)이 하우징(1) 내를 내측공간 및 외측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이 격벽(2)은 하우징(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격벽(2)에 있어서 하우징(1) 저부측(도 1에서 상측)의 단부는 부분적으로 절결되어 상기 내측 및 외측공간 끼리가 연통하여 있고, 이 연통부와 외측공간 자체가 원료가스통로(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원료가스통로(3)에 있어서 외측공간의 하우징(1) 개구측(도 1에서 하측)의 단부는 원료가스 입구(4)로 되고, 이 원료가스 입구(4)는 도면 밖의 원료가스관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원료가스관에서 공급된 원료가스(도시가스 및 가습공기를 포함한다)를 원료가스 입구(4)를 거쳐 하우징(1)과 격벽(2) 사이의 원료가스통로(3)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격벽(2) 내의 내측공간에 있어서 하우징(1) 저부측에는 상기 원료가스르 개질하여 원료가스로부터 부분산화를 포함하는 반응에 의해 수소가 풍부한 개질가스를 생성하는 개질반응부(6)가 설치되고, 이 개질반응부(6)의 하우징(1) 저부측의 입구부(6a)는 상기 하우징(1) 저부에 대응하는 원료가스통로(3)에 연통하고 있다.
상기 개질반응부(6)는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지만, 격벽(2) 내에 장전된 벌집구조를 보유하는 세라믹이나 알루미늄 등의 원기둥형 모노리스(monolith)로 이루어지고, 이 모노리스에 있어서 하우징(1)의 축심방향(도 1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가스통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모노리스에는 Pt, Rh, Ru 등의 귀금속계의 촉매가 담지되어 있고, 이 모노리스 가스통로를 통과하는 동안에원료가스가 촉매에 의해 부분산화반응하여 수소가 풍부한 개질가스로 개질된다.
또한, 상기 격벽(2) 내의 내측공간에 있어서 개질반응부(6) 주위에는 내화성의 단열재(7)가 기밀하게 충전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이 단열재(7)에 의해 개질반응부(6)와 원료가스통로(3) 사이의 열이동량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격벽(2) 내의 내측공간에서 하우징(1) 개구측(도 1에서 아래쪽)의 공간에는 개질가스중의 CO농도를 저감하고 또한 수소의 수량(收量)을 높이기 위하여, 개질가스를 변성촉매에 의해 수성가스 시프트반응시켜서 변성하는 시프트반응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시프트반응부(10) 주위에 개질반응부(6)에 대하여 원료가스를 공급하는 원료가스통로(3)가 설치되고, 이들 시프트반응부(10) 및 원료가스통로(3)는 상기 개질반응부(6)와 함께 하우징(1) 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시 시프트반응부(10)는, 상기 개질반응부(6)의 출구부(6b)로부터의 개질가스를 직접 개질가스통로(11)에 도입하여 상기 원료가스와 열교환하면서 시프트반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프트반응부(10)는 발포금속(발포메탈), 코디어라이트, 세라믹으로 구성된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는 촉매담체(12)를 보유하고, 이 촉매담체(12)에 시프트반응을 행하게 하기 위한 변성촉매가 도포 또는 담지되어 있다. 상기 변성촉매는 내열성을 보유하는 귀금속계의 촉매로, Pt 또는 Pt, Ru의 합금을 활성금속으로서 사용한 것이다.
상기 변성촉매(12)는 하우징(1)의 저부측에서 개구측을 향하여 외경이 차츰 작아지는 원추대 형상의 것으로, 그 중심부에는 하우징(1)의 축선방향으로 관통하여 개질가스통로(11)의 일부를 구성하는 중심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심구멍(13)의 개질반응부(6)와 반대측의 하류측 단부는 닫혀 있고, 개질반응부(6)의 출구부(6b)에서 시프트반응부(10)로 도입된 개질가스의 대부분이 촉매담체(12)의 중심구멍(13)으로 흐르고, 그 중심구멍(13)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촉매담체(12)를 통하여 촉매담체(12)의 외주면과 격벽(2) 사이의 공간으로 흐르는 한편, 나머지의 개질가스는 촉매담체(12)의 상류측 끝면에서 직접 촉매담체(12) 내로 들어가고, 마찬가지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촉매담체(12) 외주면의 공간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고, 이들 개질가스의 흐름에 따라서 상기 개질가스통로(11)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촉매담체(12)의 원추대 형상에 의해 시프트반응부(10)의 촉매담체(12) 외주면에 있어서, 개질가스의 흐름방향 하류측 부분(도 1 하측부분)의 원료가스통로(3)와의 거리가, 동 상류측 부분(도 1 상측부분)의 원료가스통로(3)와의 거리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 촉매담체(12)의 외주면은 격벽(2) 주위의 원료가스통로(3)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것으로 시프트반응부(10)의 반응열 및 현열을 복사에 의해 원료가스통로(3)의 원료가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5)가 설치되어 있다(열교환시의 열의 이동을 도면에서 흰색 화살표로 나타낸다). 이 열교환기(15)는 격벽(2)의 외주면에 있어서 시프트반응부(10)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원료가스통로(3)로 향하도록 돌출된 복수의 전열핀(16, 16, …)을 보유하고, 이들 전열핀(16, 16, …)은 원료가스통로(3)를 따라서 병렬되어 있고, 그 피치는 시프트반응부(10)에서의 개질가스의 흐름방향 상류측(도 1 상측)의 쪽이 하류측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프트반응부(10)에서의 하우징(1) 개구측의 단부는 개질가스출구(18)로 되고, 이 개질가스출구(18)는 도면밖의 연료전지(도 8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19는 하우징(1)의 주위를 단열을 위하여 덮는 단열재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변성장치(A)의 정상운전시, 원료가스관에서 공급된 원료가스(도시가스 및 가습공기를 포함한다)가 원료가스입구(4)를 거쳐 하우징(1) 내로 도입되고, 그 하우징(1)과 격벽(2) 사이의 원료가스통로(3)에 공급된다. 이 원료가스통로(3)의 원료가스는 열교환기(15)에 의해 시프트반응부(10)의 반응열 및 현열을 복사에 의해 받아서 소정온도로 예열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개질가스와의 열교환에 의해 예열된 원료가스는 원료가스통로(3)를 하우징(1) 저부측으로 흐르고, 그 사이에 개질반응부(6)의 반응열이 단열재(7) 및 격벽(2)을 거쳐 원료가스에 전달되고, 이 전열에 의해 원료가스가 더욱 가열된다.
상기 원료가스통로(3)를 통과한 원료가스는 하우징(1) 저부측의 입구부(6a)에서 개질반응부(6) 내로 유입되고, 그 벌집구조의 모노리스에서의 가스통로에서 촉매와 반응하고, 그 부분산화를 포함하는 반응에 의해 수소가 풍부한 개질가스로 개질된다. 상기 개질반응부(6)에서의 반응열은, 후속하여 원료가스통로(3)를 흐르는 원료가스에 단열재(7) 및 격벽(2)을 통하여 전달된다.
상기 개질반응부(6)에서 원료가스로부터 생성된 고온도의 개질가스는, 개질반응부(6)의 출구부(6b)로부터 하우징(1) 개구측의 격벽(2) 내의 시프트반응부(10)로 도입되어 그 촉매담체(12)를 통과하고, 이 촉매담체(12)를 통과하는 동안에 촉매담체(12)상의 변성촉매에 의해 수성가스 시프트반응으로 되어서 CO가 저감되고 또한 수소수율이 높아진 개질가스로 변성된다. 그리고, 이 시프트반응부(10)를 나온 개질가스는 개질가스출구(18)를 거쳐 송출되고, 그 후에 연료전지에 공급된다.
그 때, 상기 시프트반응부(10)의 반응열 및 현열을 복사에 의해 원료가스통로(3)의 원료가스와 열교환시키도록 열교환기(1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프트반응부(10)에 있어서는 개질가스가 원료가스통로(3) 내의 원료가스와 열교환하여 강온되면서 변성된다. 이 때문에, 개질반응부(6)의 출구부(6b)에서 나온 고온의 개질가스가 그 높은 온도인 채로 직접 시프트반응부(10)에 도입되어 변성되게 된다. 그런 까닥에, 개질가스를 반응속도가 빠른 고온상태에서 반응속도가 느리지만 반응이 평형적으로 유리하게 되는 저온상태까지의 넓은 온도범위에서 변성할 수 있다.
또, 이렇게 하여 개질반응부(6)로부터의 개질가스를 직접 시프트반응부(10)에 도입하여 변성하기 때문에, 그 개질반응부(6)로부터의 개질가스의 온도제어는 불필요하게 되어, 변성장치(A)의 구성을 심플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의 양을 저감할 수 있고, 그 열용량의 감소에 의해 부하변동의 응답성이나 기동시의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는 Pt 또는 Pt, Ru의 합금이 활성금속으로서 사용되어 내열성을 보유하므로, 상기 고온도에서의 시프트반응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변성촉매는 발포금속, 코디어라이트 또는 세라믹의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표면적이 큰 다공질재료에 도포 또는 담지되어 있기 때문에, 시프트반응부(10)에서 변성촉매와 개질가스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서 반응속도를 빠르게 함과 아울러 열의 복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개질반응부(6)의 출구부(6b)에서 시프트반응부(10)로 도입된 개질가스는 촉매담체(12)의 중심측에서 외주측으로 향하여 흐른다. 즉, 그 개질가스의 대부분이 촉매담체(12)의 중심구멍(13)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촉매담체(12)를 통하여 촉매담체(12) 외주면과 격벽(2)의 사이의 공간으로 흐르고, 나머지의 개질가스는 촉매담체(12)의 상류측 끝면에서 직접 촉매담체(12) 내로 들어가서, 마찬가지로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서 촉매담체(12) 외주면의 공간으로 흐른다. 이것으로, 시프트반응부(10)의 입구부에서 출구부까지의 온도를 다르게 하여 온도분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프트반응부(10)에서의 촉매담체(12)가 원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의 개질가스의 흐름방향 하류측 부분의 원료가스통로(3)와의 거리가 동 상류측 부분의 원료가스통로(3)와의 거리보다도 크기 때문에, 상기 시프트반응부(10)의 복사에 의한 원료가스통로(3)로의 열교환량이 시프트반응부(10)에서의 개질가스의 흐름방향 상하류측 부분에서 서로 다르게 변화하고, 시프트반응부(10)의 출구부의 온도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시프트반응부(10) 주위의 원료가스통로(3)의 원료가스가 열교환기(15)에 의해 시프트반응부(10)의 반응열을 전달하여 가열되므로, 시프트반응부(10)에서의 반응열을 원료가스의 예열을 위하여 회수할 수 있고, 이 자기열회수에 의해 변성장치(A)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열교환기(15)는 원료가스통로(3)에 면하는 전열핀(16, 16, …)을 보유하기 때문에, 시프트방응부(10)와 원료가스 사이의 열교환속도가 증대하여 전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열교환기(15)의 전열핀(16, 16, …)은 원료가스통로(3)를 따라서 복수 설치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전열핀(16, 16, …)의 피치가 개질가스의 흐름방향 상하류측에서 다르고, 그 상류측의 피치가 하류측보다도 좁기 때문에, 시프트반응부(10)와 원료가스통로(3)의 원료가스와의 사이의 열교환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질반응부(6), 원료가스통로(3) 및 시프트반응부(10)가 하우징(1) 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변성장치(A)의 구조를 심플하게 하여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고(또한, 이하의 각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시프트반응부(10)의 구조를 바꾼 것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변성장치(A)의 하우징(1)은 바닥이 있는 각통형상의 것으로, 그 하우징(1)의 내부에는 한쌍의 대향하는 격벽(2, 2)이 하우징(1) 내를 하나의 내측공간 및 2개의 외측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이들 양 격벽(2, 2)은 하우징(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상기 각 격벽(2)에 있어서 하우징(1) 저부측(도 3에서 상측)의 단부는 절결되어 상기 내측 및 외측공간끼기가 연통되어 있고, 이 내측 및 외측공간 사이의 연통부와 내외측 공간자체가 원료가스통로(3)로 구성되어 있다.
또, 시프트반응부(10)에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촉매담체(12)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 대신에, 시프트반응부(10)에 대응하는 부분의 양 격벽(2, 2)의 내면 사이에는 양 격벽(2, 2) 사이의 개질가스통로(11)(내부공간)로 향하도록 하우징(1)의 중심선 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개질가스측 전열핀(21, 21, …)이 일체로 건너질러 놓여져 있다.
한편, 상기 각 격벽(2)의 외면에는 원료가스통로(3)로 향하도록 하우징(1)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원료료가스측 전열핀(22, 22, …)이 돌출되어 있고, 이들 개질가스측 전열핀(21, 21, …)과 원료가스측 전열핀(22, 22, …)에 의해 개질가스통로(11) 내의 개질가스와 원료가스통로(3) 내의 원료가스의 사이에서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23)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질가스통로(11)에 면하는 각 개질가스측 전열핀(21), 각 격벽(2) 및 하우징(1)은 금속제의 것으로, 촉매담체를 구성하고 있고, 이 각 개질가스측 전열핀(21)의 표면, 각 격벽(2)의 내면 및 하우징(1)의 내면에 시프트반응부(10)를 이루는 변성촉매가 도포 또는 담지되어 있다(이 변성촉매의 위치를 도 4에 있어서 굵은 실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1과 같다. 또한, 상기 변성촉매는 적어도 각 개질가스측 전열핀(21, 21, …)의 표면에 도포 또는 담지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경우, 개질반응부(6)의 출구부(6b)에서 나온 고온의 개질가스가 시프트반응부(10)의 개질가스통로(11)로 공급되면, 그 개질가스는 개질가스통로(11)를 흐르는 동안에, 개질가스통로(11)에 면하는 각 개질가스측 전열핀(21) 표면, 격벽(2) 내면 및 하우징(1) 내면의 변성촉매와 접촉하여 시프트반응한다. 그리고, 이 반응열은 개질가스측 전열핀(21, 21, …)으로부터 원료가스측 전열핀(22, 22, …)을 통하여 원료가스통로(3)의 원료가스에 전달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 시프트반응부(10)에서 원료가스로의 전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3)
도 5는 실시예 3을 나타내고, 상기 실시예 2의 구성에 있어서, 하우징(1)이나 격벽(2) 등의 형상을 변경한 것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하우징(1) 및 격벽(2)은 서로 동심상으로 배치된 원통형의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23)의 원료가스측 전열핀(22, 22, …)은 격벽(2)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있는 한편, 개질가스측 전열핀(21, 21, …)은 격벽(2) 내면에 개질가스통로(11)를 복수의 부분으로 구획하도록 돌출설치되고, 이 각 개질가스측 전열핀(21)의 표면 내지 격벽(2)의 내면에 변성촉매가 담지 또는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는, 원료가스통로(3), 개질반응부(6) 및 시프트반응부(10)를 하우징(1) 내에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있지만, 개질반응부(6)는 별체로 하고, 원료가스통로(3) 및 시프트반응부(10)만을 하우징(1) 내에 일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실시예 4)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나타내고,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시프트반응부(10)에 있어서 개질가스를 원료가스와 열교환시키면서 시프트반응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개질가스를 열회수가스와 열교환시키면서 시프트반응시키도록 한 것이다.
즉, 도 8은 실시예 4에 관한 연료전지 시스템을 나타내고, 31은 공지의 고체고분자형 연료전지로서, 이 연료전지(31)는 고체고분자로 이루어지는 전해질의 전지본체(3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촉매전극인 애노드로서의 수소극(33)(연료극) 및 캐소드로서의 산소극(34)(공기극)을 구비하고, 상기 수소극(33)에 대하여 수소를 포함하는 개질가스를, 또 산소극(34)에 대하여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를 각각 공급하여 전극반응을 행하게 하고, 양 전극(33, 34)간에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연료전지(31)의 수소극(33)은 수소극 배출가스통로(36)를 통하여, 또 산소극(34)은 산소극 배출가스통로로서의 열회수가스통로(37)를 통하여 각각 배출가스용 버너(38)에 접속되어 있고, 연료전지(31)의 수소극(33)에서 배출된 수소극측 배출가스와, 산소극(34)에서 배출된 산소극측 배출가스를 각각 배출가스용 버너(38)로 보내어 연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K는 상기 도시가스와 가습공기를 포함하는 원료가스를 개질하여 수소가 풍부한 개질가스를 생성하여 상기 연료전지(31)의 수소극(33)에 공급하는 개질장치로, 이 개질장치(K)는 변성장치(A)에서의 상기 개질반응부(6) 및 시프트반응부(10)의 외에, 고온측 및 저온측의 CO선택산화반응부(40, 4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개질반응부(6) 및 시프트반응부(10)는 상기 각 실시예 1~3과는 달리, 별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질반응부(6)와 시프트반응부(10)의 사이의 개질가스통로(11)에는 원료가스 예열기(5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원료가스 예열기(52)에 의해, 개질반응부(6)에서 생성된 개질가스를 시프트반응부(10)에서의 CO변성을 위하여 냉각하여 그 배열을 회수함과 아울러, 그 회수한 배열에 의해 개질반응부(6)에 공급되는 원료가스통로(3) 내의 원료가스를 예열한다.
또한, 상기 시프트반응부(10)에 상기 CO 선택산화반응부(40, 41)가 각각 개질가스통로(11)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각 CO 선택산화반응부(40, 41)는 시프트반응부(10)에서 변성된 개질가스를 선택부분산화촉매에 의해 수소분위치하에서 반응시켜, 개질가스중의 일산화탄소를 제거하여 그 CO농도를 더욱 저감하는 것이다. 그리고, 저온측의 CO 선택산화반응부(41)가 개질가스통로(11)를 통하여 상기 연료전지(31)의 소수극(33)에 접속되어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에는 냉각수 공급시스템이 부설되고, 이 냉각수 공급시스템은 온수를 저류하는 저탕탱크(4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저탕탱크(43)의 공급부에는 냉각수통로(44)의 상류단이 접속되고, 이 냉각수통로(44)의 하류단은 동일 저탕탱크(43)의 회수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 냉각수통로(44)의 상류단에는 순환펌프(4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순환펌프(45)에 의해 물을 저탕탱크(43)와 냉각수통로(44)의 사이에서 순환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순환펌프(43) 하류측의 냉각수통로(44)에는 순환펌프(45)에서 토출된물에 의해 연료전지(31)를 냉각하여 그 배열을 회수하는 열교환기로 이루어지는 전지냉각부(46)와, 상기 배출가스용 버너(38)로부터 배출된 연료가스를 냉각하여 그 배열을 회수하는 열교환기로 이루어지는 버너열 회수부(47)가 각각 상류측부터 차례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49는 공기를 토출하는 블로어로, 이 블로어(49)에는 공기공급통로(50)의 상류단이 접속되고, 이 공기공급통로(50)의 하류단은 연료전지(31)의 산소극(34)에 접속되어 있고, 블로어(49)로부터의 공기(산소)를 공기공급통로(50)를 통하여 연료전지(31)의 산소극(34)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연료전지(31)의 산소극(34)과 배출가스용 버너(38)의 사이의 열회수가스통로(37)의 도중에는, 저온측의 CO 선택산화반응부(41)로부터 연료전지(31)에 이르는 개질가스를 냉각하여 그 배열을 회수하는 열교환기(51)와, 고온측의 CO 선택산화반응부(40)에서 저온측의 CO 선택산화반응부(41)에 이르는 개질가스를 냉각하여 그 배열을 회수하는 열교환기(52)와, 시프트반응부(10)에서 생성된 개질가스를 냉각하여 그 배열을 회수하는 열교환기(53)가 병렬로 분기되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3개의 열교환기(51~53) 하류측의 열회수가스통로(37)에는 시프트반응부(10)에 설치되어 있고 그 시프트반응부(10)에 있어서 개질반응부(6)로부터의 개질가스를 냉각하여 그 배열을 회수하는 열교환기(26)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으로, 시프트반응부(10)는 개질반응부(6)에서의 개질가스를 상기 열교환기(26)에서 열회수가스와 열교환하면서 시프트반응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변성장치(A)에서의 시프트반응부(10)의 하우징(1)은 각통형상의 것으로, 그 하우징(1)의 내부는 1쌍의 마주보는 격벽(2, 2)에 의해 하나의 내측공간과 2개의 외측공간으로 구획되어 있고, 내측공간이 개질가스통로(11)로, 또 양 외측공간이 열회수가스통로(37)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열회수가스통로(37)는 개질가스통로(11) 내의 후술하는 촉매담체(12)의 주위에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의 내면과 양 격벽(2, 2)의 내면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개질가스통로(11))에는 발포금속(발포메탈), 코디어라이트 또는 세라믹으로 구성된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는 촉매담체(12)가 개질가스통로(11)에 면하도록 배치되고, 이 촉매담체(12)에 시프트반응을 행하기 하기 위한 내열성을 보유하는 귀금속계의 변성촉매가 도포 또는 담지되어 있다. 상기 변성촉매는 구체적으로는 Pt 또는 Pt, Ru의 합금을 활성금속으로서 사용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각 격벽(2)의 외면에는 열회수가스통로(37)에 면하고 또한 그 내부의 열회수가스의 흐름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전열핀(16, 16, …)이 돌출되어 있고, 이들 전열핀(16, 16, …) 및 격벽(2, 2)에 의해 개질가스통로(11) 내의 개질가스와 열회수가스통로(37) 내의 열회수가스(연료전지(31)의 산소극(34)측의 배출가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시키는 상기 열교환기(26)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개질반응부(6)에서 나온 고온의 개질가스가 시프트반응부(10)의 개질가스통로(11)에 공급되면, 그 개질가스는 개질가스통로(11)를 흐르는 동안에, 촉매담체(12)에 도포 또는 담지되어 있는 변성촉매와 접촉하여 시프트반응한다. 그리고, 이 반응열은 열교환기(26)의 전열핀(16,16, …) 및 격벽(2, 2)을 통하여 열회수가스통로(37) 내의 열회수가스(연료전지(31)의 산소극(34)측의 배출가스)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개질반응부(6)에서의 고온의 개질가스가 시프트반응부(10)에 있어서, 연료전지(31)의 산소극(34)측의 배출가스로 이루어지는 열회수가스와 열교환되면서 수성가스 시프트반응에 의해 변성되므로, 개질반응부(6)에서 나온 개질가스가 높은 온도인 채로 변성되고, 그 개질가스를 반응속도가 빠른 온도상태에서 반응속도는 느리지만 반응이 평형적으로 유리하게 되는 저온상태까지의 넓은 온도범위에서 변성할 수 있다. 즉, 개질반응부(6)에서의 고온의 개질가스와 열회수가스의 열교환에 의해, 시프트반응부(10)에 있어서 개질가스의 입구측에서는 온도가 높아져서 반응속도가 증대하는 한편, 출구측에서는 온도가 낮아져서 반응속도가 저하하여, 열평형적으로 CO농도를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개질가스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어, 변성장치(A)의 구성을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또,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의 충전량을 저감할 수 있고, 그 열용량을 감소시켜서 부하변동의 응답성이나 기동시의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가 내열성을 보유하는 귀금속계의 촉매이므로 넓은 온도영역에서 높은 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는, Pt 또는 Pt, Ru의 합금을 활성금속으로서 사용한 것이므로, 고온에서 활성이 높아지고, 메탄화반응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는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는 촉매담체(12)에 도포 또는 담지되어 있기 때문에, 시프트반응부(10)에서 변성촉매와 개질가스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서 반응속도를 빠르게 함과 아울러, 열의 복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다공질재료는 발포금속, 코디어라이트 또는 세라믹의 어느 하나이기 때문에, 특히 개질가스와의 접촉면적의 증대를 확보할 수 있는 다공질재료가 용이하게 얻어진다.
그리고, 상기 열회수가스통로(37)가 부분적이기는 하지만 촉매담체(12)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촉매담체(12)가 열회수가스통로(37)에 의해 둘러싸여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열회수가스통로(37)는 개질가스통로(11)의 촉매담체(12) 주위 전체를 둘러싸도록 설치하여도 된다.
그리고 또, 상기 열회수가스는 연료전지(31)에서의 산소극(34)측의 배출가스이므로, 공기를 열회수가스로서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그 공기를 새롭게 준비할 필요가 없고, 연료전지(31)의 기존의 배출가스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공기를 열회수가스로서 흐르게 하기 위한 블로어나 그 동력도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열회수가스로서 공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 공기를 열회수가스로 함으로써 고온의 열회수에 있어서 부분부하시에도 안정된 열교환을 행할 수 있어, 이용하기 쉬운 열회수가스가 용이하게 얻어지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5)
도 9 및 도 10은 실시예 5를 나타내고, 상기 실시예 4에서의 시프트반응부(10)의 구조를 바꾼 것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변성장치(A)의 시프트반응부(10)에서의 하우징(1) 내의 양 격벽(2, 2) 내면 사이에, 양 격벽(2, 2)간의 개질가스통로(11)(내부공간)에 면하고 또한 그 내부의 개질가스의 흐름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개질가스측 전열핀(21, 21, …)이 일체로 가로질러 놓여져 있다. 한편, 각 격벽(2)의 외면에는 열회수가스통로(37)에 면하도록 하우징(1)의 축선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열회수가스측 전열핀(25, 25, …)이 돌출설치되어 있고, 이들 개질가스측 전열핀(21, 21, …)과 열회수가스측 전열핀(25, 25, …)에 의해 개질가스통로(11) 내의 개질가스와 열회수가스통로(37) 내의 열회수가스 사이에서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26)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질가스통로(11)에 면하는, 각 개질가스측 전열핀(21)의 표면, 각 격벽(2)의 내면 및 하우징(1)의 내면(이들은 금속제로 촉매담체를 구성하고 있다)에 시프트반응부(10)를 이루는 변성촉매(그 위치를 도 10에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가 도포 또는 담지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4와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개질반응부(6)에서의 온도의 개질가스가 시프트반응부(10)의 개질가스통로(11)에 공급되면, 그 개질가스는 개질가스통로(11)를 흐르는 동안에, 개질가스통로(11)에 면하는 각 개질가스측 전열핀(21) 표면, 격벽(2)의 내면 및 하우징(1) 내면의 변성촉매와 접촉하여 시프트반응한다. 그리고, 이 반응열은 개질가스측 전열핀(21, 21, …)에서 열회수가스측 전열핀(25, 25, …)을 통하여 열회수가스통로(37)의 열회수가스에 전달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상기 실시예 4와 같이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 변성촉매는 금속제의 촉매담체를 이루는 각 개질가스측 전열핀(21)의 표면, 각 격벽(2)의 내면 및 하우징(1)에 도포 또는 담지되어 있으므로, 시프트반응부(10)에서 개질가스로부터 열회수가스로의 전열효율을 높일 수 있고, 개질가스통로(11)에 면하는 변성촉매를 열회수가스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하는데 바람직한 촉매담체가 얻어진다.
(실시예 6)
도 11은 실시예 6을 나타내고, 상기 실시예 5의 구성에 있어서, 하우징(1)이나 격벽(2) 등의 형상을 원형으로 변경한 것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3과 같이, 하우징(1) 및 격벽(2)은 서로 동심상으로 배치된 원통형의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열교환기(26)의 열회수측 전열핀(25, 25, …)은 격벽(2)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있는 한편, 개질가스측 전열핀(21, 21, …)은 격벽(2)의 내면에 개질가스통로(11)를 복수의 부분으로 구획하도록 돌출되고, 이 각 개질가스측 전열핀(21)의 표면 내지 격벽(2)의 내면(모두 금속제의 촉매담체)에 변성촉매가 담지 또는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시 실시예 5와 같은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와 같이 연료전지 시스템 이외에 사용되는 개질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은 개질반응부에서 나온 개질가스를 반응속도가 빠른 고온상태에서 반응이 평형적으로 유리하게 되는 저온상태까지의 넓은 온도범위에서 변성하고, 변성온도범위의 확대를 도모함과 아울러, 개질가스의 온도제어를 불필요하게 하여 변성장치의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시프트반응부의 변성촉매의 충전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어, 연료전지나 수소엔진 등의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산업상의 이용가능성은 높다.

Claims (23)

  1. 개질반응부(6)에서 원료가스로부터 부분산화를 포함하는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소가 풍부한 개질가스를, 변성촉매에 의해 수성가스 시프트반응시켜서 변성하는 시프트반응부(10)를 보유하는 변성장치로서,
    상기 시프트반응부(10)는 상기 개질반응부(6)로부터의 개질가스를 직접 개질가스통로(11)에 도입하여 상기 원료가스와 열교환하면서 시프트반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는 내열성을 보유하는 귀금속계의 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는 Pt 또는 Pt, Ru의 합금을 활성금속으로서 사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는 다공질재료에 도포 또는 담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다공질재료는 발포금속, 코디어라이트 또는 세라믹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개질반응부(6)에 대하여 원료가스를 공급하는 원료가스통로(3)가 시프트반응부(10)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시프트반응부(10) 및 원료가스통로(3)는 하우징(1) 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시프트반응부(10)의 반응열 및 현열을 복사에 의해 원료가스통로(3)의 원료가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시프트반응부(10)의 개질가스통로(11)는, 개질가스가 시프트반응부(10)의 중심측에서 외주측으로 향해서 흐르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시프트반응부(10)에서의 개질가스의 흐름방향 하류측 부분의 원료가스통로(3)와의 거리가 상류측 부분의 원료가스통로(3)와의 거리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열교환기(15)는 원료가스통로(3)에 면하는 전열핀(16)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전열핀(16)은 원료가스통로(3)를 따라서 복수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전열핀(16)의 시프트반응부(10)에서의 개질가스의 흐름방향 상류측의 피치가 하류측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개질가스통로(11)에 면하는 개질가스측 전열핀(21)과, 원료가스통로(3)에 면하는 원료가스측 전열핀(22)을 보유하고 있고, 시프트반응부(10)의 반응열 및 현열을 원료가스통로(3)의 원료가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23)가 설치되고,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가 적어도 상기 개질가스측 전열핀(21)에 도포 또는 담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개질반응부(6), 원료가스통로(3) 및 시프트반응부(10)는 하우징(1) 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15. 개질반응부(6)에서 원료가스로부터 부분산화를 포함하는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소가 풍부한 개질가스를, 변성촉매에 의해 수성가스 시프트반응시켜서 변성하는시프트반응부(10)를 보유하는 변성장치로서,
    상기 시프트반응부(10)는 상기 개질반응부(6)로부터의 개질가스를 열회수가스와 열교환하면서 시프트반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는 내열성을 보유하는 귀금속계의 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는 Pt 또는 Pt, Ru의 합금을 활성금속으로서 사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는 다공질재료에 도포 또는 담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다공질재료는 발포금속, 코디어라이트 또는 세라믹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시프트반응부(10)의 변성촉매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촉매담체에 도포 또는 담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회수가스가 흐르는 열회수가스통로(37)가 촉매담체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회수가스는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23.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회수가스는 연료전지(31)에서의 산소극(34)측의 배출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장치.
KR1020017010605A 1999-12-28 2000-11-08 변성장치 KR100723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72696 1999-12-28
JP37269699 1999-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711A true KR20010104711A (ko) 2001-11-26
KR100723371B1 KR100723371B1 (ko) 2007-05-31

Family

ID=18500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605A KR100723371B1 (ko) 1999-12-28 2000-11-08 변성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14944B1 (ko)
EP (1) EP1167282B1 (ko)
JP (1) JP4736299B2 (ko)
KR (1) KR100723371B1 (ko)
CN (1) CN1310829C (ko)
DE (1) DE60034223T2 (ko)
WO (1) WO20010478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0253B2 (en) 2006-11-03 2011-03-22 Samsung Sdi Co., Ltd. Reformer for fuel cell and fuel cell using the same
US8409306B2 (en) 2009-03-03 2013-04-02 Samsung Sdi Co., Ltd. Fuel reform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6298B2 (ja) * 1999-12-28 2011-07-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部分酸化改質装置
US6906164B2 (en) 2000-12-07 2005-06-14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process using a pipe reactor
JP4122767B2 (ja) * 2001-12-20 2008-07-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改質装置
CN100564246C (zh) 2003-02-14 2009-12-0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氢生成装置及燃料电池发电系统
JP4354792B2 (ja) * 2003-12-12 2009-10-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燃料電池発電装置
CN1914118B (zh) * 2004-01-30 2010-08-11 出光兴产株式会社 改性器
KR100542217B1 (ko) 2004-06-07 2006-01-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개질기
KR100551053B1 (ko) 2004-06-29 2006-02-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개질기 및 이를 채용한 연료 전지시스템
JP2006073264A (ja) * 2004-08-31 2006-03-16 Toshiba Fuel Cell Power Systems Corp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及び温水生成方法
JPWO2006049299A1 (ja) 2004-11-08 2008-05-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US7964176B2 (en) * 2005-03-29 2011-06-21 Chevron U.S.A.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rmally integrated hydrogen generation system
WO2007110587A2 (en) * 2006-03-24 2007-10-04 Ceres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imited Sofc stack system assembly with thermal enclosure
JP4299868B2 (ja) * 2006-07-28 2009-07-22 クロリンエンジニアズ株式会社 水素燃焼装置
KR100859940B1 (ko) * 2006-11-02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개질장치
US7943094B2 (en) 2006-12-07 2011-05-17 Grupo Petrotemex, S.A. De C.V. Polyester production system employing horizontally elongated esterification vessel
US7863477B2 (en) 2007-03-08 2011-01-04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production system employing hot paste to esterification zone
US7892498B2 (en) * 2007-03-08 2011-02-22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production system employing an unagitated esterification reactor
US7872089B2 (en) * 2007-07-12 2011-01-18 Eastman Chemical Company Multi-level tubular reactor with internal tray
US7858730B2 (en) 2007-07-12 2010-12-28 Eastman Chemical Company Multi-level tubular reactor with dual headers
US7842777B2 (en) 2007-07-12 2010-11-30 Eastman Chemical Company Sloped tubular reactor with divided flow
US7868130B2 (en) 2007-07-12 2011-01-11 Eastman Chemical Company Multi-level tubular reactor with vertically spaced segments
US7872090B2 (en) 2007-07-12 2011-01-18 Eastman Chemical Company Reactor system with optimized heating and phase separation
US7868129B2 (en) 2007-07-12 2011-01-11 Eastman Chemical Company Sloped tubular reactor with spaced sequential trays
US7847053B2 (en) 2007-07-12 2010-12-07 Eastman Chemical Company Multi-level tubular reactor with oppositely extending segments
US7829653B2 (en) 2007-07-12 2010-11-09 Eastman Chemical Company Horizontal trayed reactor
JP5234401B2 (ja) 2007-12-06 2013-07-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システム
US8114175B2 (en) * 2008-08-14 2012-02-14 Delphi Technologies, Inc. Fuel cell hydrocarbon reformer having rapid transient response and convective cooling
JP2010105847A (ja) * 2008-10-30 2010-05-13 Hitachi Ltd 改質装置
JP5447895B2 (ja) * 2009-12-01 2014-03-19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自熱式の気相脱水素を実施するための反応器
JP5675490B2 (ja) * 2011-05-13 2015-02-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モジュール
EA201490316A1 (ru) * 2011-08-02 2014-11-28 Басф Се Непрерывный способ проведения автотермического газофазного дегидрирования
JP5723819B2 (ja) * 2012-03-30 2015-05-27 東芝燃料電池システム株式会社 改質器および燃料電池発電装置
EP2679279B1 (en) * 2012-06-28 2018-07-25 Zodiac Aerotechnics Oxygen breathing device and method for maintaining an emergency oxygen system
CN102886231B (zh) * 2012-10-08 2014-10-22 中国石油化工集团公司 Co全径向等温变换炉
CN102886229B (zh) * 2012-10-08 2014-10-08 中国石油化工集团公司 一种co全径向等温变换炉
CN103449365B (zh) * 2013-04-28 2015-09-30 山东齐鲁科力化工研究院有限公司 高浓度co耐硫变换工艺及其装置
US10479680B2 (en) * 2015-01-14 2019-11-19 Raven Sr, Llc Electrically heated steam reforming reactor
DK3646932T3 (da) * 2017-07-21 2023-09-11 Daikin Ind Ltd Airconditionerings- og køleanordning til container i køretøj
CN111346590B (zh) * 2020-03-31 2021-10-08 上海岚泽能源科技有限公司 整体型反应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9299A (en) * 1973-10-01 1975-09-30 United Technologies Corp Fuel cell system including reform reactor
JPS59193825A (ja) * 1983-04-18 1984-11-02 Sumitomo Chem Co Ltd 解熱鎮痛剤の製造方法
JPS60181588A (ja) * 1984-02-28 1985-09-17 Nissan Motor Co Ltd 熱交換器
DE3663652D1 (en) * 1985-03-05 1989-07-06 Ici Plc Steam reforming hydrocarbons
US4909808A (en) * 1987-10-14 1990-03-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Steam reformer with catalytic combustor
EP0361648B1 (en) * 1988-07-22 1993-04-07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Hydrogen production including a shift reaction process
US5071627A (en) * 1989-12-04 1991-12-10 Mobil Oil Corp. Reactor system for conducting a chemical conversion
US6096106A (en) * 1990-04-03 2000-08-01 The Standard Oil Company Endothermic reaction apparatus
JPH05109422A (ja) * 1991-10-14 1993-04-30 Toshiba Corp 燃料電池発電プラントの熱交換装置
JPH05237394A (ja) * 1992-02-26 1993-09-17 Arakawa Chem Ind Co Ltd 固定化Ptクラスター錯体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
GB9225188D0 (en) * 1992-12-02 1993-01-20 Rolls Royce & Ass Combined reformer and shift reactor
DE9320711U1 (de) * 1993-07-21 1995-01-19 Fraunhofer Ges Forschung Chemischer Reaktor mit integriertem Brenner
JP3663653B2 (ja) * 1995-02-27 2005-06-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水素発生装置
FI98603C (fi) * 1995-11-09 1997-07-25 Neste Oy Menetelmä vesikaasun siirtoreaktiokatalyyttien valmistamiseksi ja katalyytin käyttö
KR100285165B1 (ko) * 1996-06-28 2001-09-22 이마이 기요스케 개질장치
US6126908A (en) * 1996-08-26 2000-10-03 Arthur D. Litt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hydrocarbon fuel into hydrogen gas and carbon dioxide
US6245303B1 (en) * 1998-01-14 2001-06-12 Arthur D. Little, Inc. Reactor for producing hydrogen from hydrocarbon fuels
JPH10106606A (ja) * 1996-09-30 1998-04-24 Sanyo Electric Co Ltd 水素製造装置及び水素製造方法
US6409974B1 (en) * 1998-12-11 2002-06-25 Uop Llc Water gas shift process and apparatus for purifying hydrogen for use with fuel cells
JPH1136351A (ja) * 1997-07-14 1999-02-09 Takenaka Masakazu バランサー構造付き重量蓋
JPH11106204A (ja) * 1997-10-01 1999-04-20 Sanyo Electric Co Ltd 水素製造装置及び水素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0253B2 (en) 2006-11-03 2011-03-22 Samsung Sdi Co., Ltd. Reformer for fuel cell and fuel cell using the same
US8409306B2 (en) 2009-03-03 2013-04-02 Samsung Sdi Co., Ltd. Fuel refor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67282B1 (en) 2007-04-04
EP1167282A4 (en) 2005-04-13
EP1167282A1 (en) 2002-01-02
WO2001047801A1 (fr) 2001-07-05
DE60034223T2 (de) 2007-08-23
KR100723371B1 (ko) 2007-05-31
JP4736299B2 (ja) 2011-07-27
US6814944B1 (en) 2004-11-09
CN1341076A (zh) 2002-03-20
CN1310829C (zh) 2007-04-18
DE60034223D1 (de)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371B1 (ko) 변성장치
US5470670A (en) Fuel cell
US20040126288A1 (en) Hydrogen generator for fuel cell
US20020071972A1 (en) Fuel cell battery with heating and an improved cold-start performance, and method for cold-starting of a fuel cell battery
JP2008521184A (ja) 化学反応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US20020028366A1 (en) Fuel cell waste energy recovery combustor
JP5220445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CA2355952C (en) Fluid processing apparatus
JPH06310158A (ja) 内部改質形燃料電池装置および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2002124289A (ja)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システム
JP3667231B2 (ja) 燃料電池装置
JP2002083624A (ja) 熱的に統合された等温のco洗浄サブシステムを有する燃料電池システム
JP4751580B2 (ja) 発電装置
JP2002198074A (ja) 制御可能な改質温度プロフィールを維持するための多段階燃焼プロセス
JP4090234B2 (ja) 水素含有ガス生成装置
JP4778198B2 (ja) 発電装置
JP2002289244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3924407B2 (ja) 燃料改質器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US11923572B2 (en) Fuel cell module
JP4942292B2 (ja) 発電装置
JPS61158672A (ja) 空冷式燃料電池の昇温方法
JP3948885B2 (ja) 燃料電池における水素含有ガス生成装置
JPH0380102A (ja) 燃料改質装置
JP5378032B2 (ja)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装置
JP2008204662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