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715A - 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715A
KR20010101715A KR1020017009401A KR20017009401A KR20010101715A KR 20010101715 A KR20010101715 A KR 20010101715A KR 1020017009401 A KR1020017009401 A KR 1020017009401A KR 20017009401 A KR20017009401 A KR 20017009401A KR 20010101715 A KR20010101715 A KR 20010101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acid
composition
external composition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로 이와이
마사토 하타오
에이이치로 야기
하루히 이와키
후미아키 마쓰자키
Original Assignee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0204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19607A/ja
Application filed by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겜마 아키라
Publication of KR20010101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7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7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아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용 조성물, 특히 아연 화합물과 티올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용 조성물, 및 아연 화합물로서 고급 지방산 아연과 I.0.B.값이 0.1 이상인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를 함유하는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외용 조성물은 냄새의 문제없이 피부 세포 내에서 메탈로티오네인의 생성을 촉진하여 태양으로부터의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external use}
현대사회에서는 피부는 피부 세포에 상해를 주는 다양한 상해 요인에 노출되어 있다. 이들 상해 요인으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태양으로부터의 자외선의 노출이 있다.
자연의 양태광선에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이 포함되지만, 특히 자외선이 피부 상해를 일으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즉, 햇볕에 타는 것은 과도한 자외선 노출에 따른 급성의 염증반응이며, 표피 세포가 상해를 받아 괴사한 표피세포인 햇볕에 탄 세포[썬 번 셀: 헤마톡실린-에오신(HE) 염색으로 균질한 에오신 호염(好染)의 세포질과 공포화(空胞化) 및 헤마톡실린 호염의 농축한 핵을 갖는 세포[참조: 하나다(花田), 히가와가이시(日皮會誌) 106(13), 1559-1561(1996)]이며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표피에 생기는 가장 특이적인 조직학적 변화의 하나라고 되어 있다]를 형성하고, 이후에 색소 침착을 남기는 경우도 많다. 또한, 자외선에의한 만성 반응의 결과, 피부 노화가 촉진되어 전암(前癌) 상태에 도달하는 경우도 있다고 되어 있다.
현재, 이러한 자외선으로부터 생체를 지키기 위해 자외선 흡수제나 자외선 산란제를 함유하는 자외선 방어용의 외용 조성물(썬 스크린)이 범용되고 있다.
태양의 자외선으로부터 생체를 방어할 필요성은 지금의 오존층의 파괴 등의 현상과 아울러 한층 더 중요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부터, 태양의 자외선으로부터 생체를 방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보다 우수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썬 스크린의 기능은 피부 위에서 태양의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흡수하거나 함으로써 자외선이 피부 세포에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생체 자체가 갖는 태양의 자외선에 대한 방어작용을 향상시켜 상기한 썬 번 셀의 발생을 충분하게 방어하는 기능을 갖는 외용제는 아직 제공되고 있지 않다.
태양의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 상해로부터 생체를 방어하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주요한 수단의 하나로서, 자외선 등에 의한 악영향을, 특히 피부 세포 자체에서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물질을 밝혀내고, 이러한 물질의 피부 세포내에서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는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생체는 유해한 자외선에 대하여 생체 자체가 이것을 방어하는 메커니즘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흑화된 피부에 함유되어 있는 멜라닌은 그 자신이 유리 라디칼 소거작용을 가진다는 점에서 유용한 자외선 방어 물질이다. 또한, 피부중의 우로카닌산도 자외선 흡수작용을 가진다는 점에서 자외선에 대하여 방어적으로 작용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또한, 생체 중에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무타제(SOD)나 카탈라제 등의 활성 산소 소거 작용을 갖는 효소나, 글루타티온 등의 생체내 항산화물질 등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방어 물질에 관해서 검토한 결과, 자외선에 대하여 항산화적으로 작용하는 생체내 방어 물질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분자량 약 6000의 금속 결합 단백질인 메탈로티오네인에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자는 메탈로티오네인이 피부 세포 내에서 생성되는 것을 촉진함으로써 태양의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 상해를 방어할 수 있는 신규한 외용제를 제공할 수 있지 않은가라고 생각했다.
메탈로티오네인은 생체 내에서 티오네인로부터 카드뮴, 아연, 구리, 수은, 은, 비스무트 등의 특정한 중금속에 의해 유도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종래부터 메탈로티오네인이 생체 내에서 생성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티오네인으로부터 메탈로티오네인을 유도하는 메탈로티오네인 유도제를 경구투여, 피내주사 또는 복강내 투여하는 것이 주로 실시되고 있으며, 외용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경피적인 메탈로티오네인 유도제에 관한 보고는 거의 없다.
본 발명은 피부 외용제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는 메탈로티오네인을 유도하는 물질로서 각종 아연 화합물에 착안하여, 이것을 외용 조성물에서 배합성분으로서 활용하는 수단에 대해 검토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자는 기본적으로는 본원에서 아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용 조성물(이하, 본 외용 조성물이라고 한다)을 제공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외용 조성물에 함유시킬 수 있는 아연 화합물은 적어도 이의 분자내에 아연원자를 1원자 이상 함유하는, 안전성 면 등에서 외용 조성물에 함유시켜도 지장이 없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글루콘산아연, 염기성 탄산아연, 염화아연, 고급 지방산 아연(라우르산아연, 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아연, 스테아르산아연, 운데실렌산아연, 카푸르산아연, 올레산아연, 로진산아연, 리시놀산아연, 네오데칸산아연 등), 파라페놀설폰산아연, 피리티온아연, 황산아연, 아세트산아연, 산화아연 등을 본 외용 조성물에서 배합할 수 있는 아연 화합물로서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아연 화합물은 본 외용 조성물의 양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할 대상이나 배합량이 상이하다.
본 외용 조성물은
Ⅰ. 아연 화합물과 티올 화합물을 조합하여 배합하는 양태(이것을 본 외용 조성물(A)라고 한다)와,
Ⅱ. 아연 화합물로서 고급 지방산 아연을 선택하며 또한 이것과 I.O.B.값이 0.1 이상인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를 조합하여 배합하는 양태(이것을 본 외용 조성물(B)라고 한다)의 2가지 양태로 대별된다.
Ⅰ.본 외용 조성물(A)에 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외용 조성물(A)는 아연 화합물 및 티올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자는 우수한 항산화작용를 갖는 SH 그룹을 이의 분자내에 갖는 티올 화합물이 태양의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 상해를 방어할 수 있는 성분으로 될 수 있는 것은 아닌가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티올 화합물을 그대로 외용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것 만으로는 원하는 피부 세포 자체에서의 상해 방어작용은 충분하게 발휘되지 않는다.
또한, 티올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빛, 열 및 산소 등에 의한 산화작용 등에 따라 용이하게 변성되며, 티올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용 조성물에서는 티올 화합물에 의한 항산화작용 등의 원래의 기능을 용이하게 잃어버린다. 따라서, 티올 화합물이 함유된 외용 조성물을 보관할 때에는, 예를 들면, 냉소(冷所) 보관, 고가의 차광 용기를 사용하는 차광 보관, 특히 산소투과성이 낮은 밀봉성이 높은 용기 등을 사용하는 기밀(氣密)·밀봉 보관, 또한 사용할 때에 조제 등을 실시하여 티올 화합물의 분해 등을 방지할 필요를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관리상의 제한이 티올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용 조성물을 범용화하는 데에 큰 장해로 되고 있다.
이와 같이 티올 화합물을 안정된 상태로 외용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것은 티올 화합물이 통상적인 상태에서는 곤란하다.
또한, 티올 화합물 자체가 일반적으로 불쾌한 냄새를 수반하며, 또한 수용액에 용해시킴으로써 황에서 유래하는 상당한 악취가 발생한다. 따라서, 외용 조성물에서의 배합량에도 큰 제약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우수한 피부 상해에 대한 저항성을, 피부 세포 자체에 부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 티올 화합물을 상기한 불이익을 끼치지 않고서 외용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수단에 관해서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는 외용 조성물 중에, 티올 화합물과 함께, 먼저 착안한 아연 화합물을 함유시킴으로써 놀랍게도 태양의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 상해에 대한 피부 세포 자체의 저항성을 상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더욱 놀랍게도 상기한 바와 같이 티올 화합물과 아연 화합물을 조합하여 외용 조성물에 배합시킴으로써 외용 조성물에서 티올 화합물의 안정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티올 화합물에 대한 빛, 열, 산화 등의 영향에 따른 분해나, 불쾌한 냄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밝혀냈다.
이와 동일하게 하여, 본 발명자는 본 외용 조성물(A)에 상도(想倒)했다.
본 외용 조성물(A)에 의해 생체내의 SH 함유 단백질인 메탈로티오네인의 생성이 촉진되며, 그 결과 생체내의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어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 상해를 방어할 수 있게 된다고 생각한다.
또한, 외용 조성물의 구체적인 양태에 관계 없이, 본 외용 조성물(A)에서는 함유되는 티올 화합물이 안정화되어 있다.
본 외용 조성물(A)의 필수 함유 성분
본 외용 조성물(A)에 함유시킬 수 있는 티올 화합물은 이의 분자내에 SH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글루타티온, 아세틸화글루타티온, 글루타티온 염산염, 글루타티온 인산염, 글루타티온 황산염 등의 글루타티온 또는 이의 유도체; 시스테인, N-아세틸 시스테인, 염산 시스테인, 황산 시스테인, 인산 시스테인 등의 시스테인 또는 이의 유도체; 머캅토아세트산, 머캅토프로피온산, 암모늄티오락테이트, 모노에탄올아민티오락테이트 등을 본 외용 조성물(A)가 함유하는 티올 화합물로서 예시할 수 있다.
이들 티올 화합물은 다른 함유 성분과의 균형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배합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성, 안전성, 유효성의 점에서 아미노산계의 티올 화합물인 글루타티온 또는 이의 유도체(본 명세서 내에서 글루타티온류라고 한다) 또는 시스테인 또는 이의 유도체(본 명세서 내에서 시스테인류라고 한다)가 본 외용 조성물(A)에서 사용하는 티올 화합물로서 바람직하며, 특히 글루타티온, N-아세틸 시스테인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외용 조성물(A)에서 티올 화합물의 배합량은 외용 조성물의 구체적인 용도, 제형, 다른 함유 성분과의 균형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통상적으로, 외용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0중량%의 범위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중량% 이상 배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1.0중량% 이상 배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본 외용 조성물(A)에서는 특정한 티올 화합물을 1종류만 함유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2종류 이상의티올 화합물을 조합하여 함유시킬 수 있다.
본 외용 조성물(A)에 함유시킬 수 있는 아연 화합물은 적어도 이의 분자내에 아연원자를 1원자 이상 포함하며, 안전성 면 등에서 외용 조성물에 함유시켜도 지장없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글루콘산아연, 염기성 탄산아연, 염화아연, 라우르산아연, 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아연, 파라페놀설폰산아연, 피리티온아연, 스테아르산아연, 황산아연, 운데실렌산아연, 아세트산아연, 로진산아연, 리시놀산아연, 네오데칸산아연, 산화아연 등을 본 외용 조성물(A)에서 배합할 수 있는 아연 화합물로서 예시할 수 있다.
본 외용 조성물(A)에서 아연 화합물의 배합량은 외용 조성물의 구체적인 용도, 제형, 다른 함유 성분과의 균형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외용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0중량%가 바람직하며, 특히 0.05 내지 10.0중량%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합량이 외용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0.01중량% 미만에서는 본 외용 조성물(A)에서 기대되는 티올 화합물의 안정화 향상을 충분하게 기대할 수 없으며, 특히 본 외용 조성물(A)를 태양으로부터의 자외선 방어를 목적으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자외선 방어효과가 충분하게 발휘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외용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20.0중량%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기제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주는 경향이 있다.
본 외용 조성물(A)에서는 특정한 아연 화합물을 1종류만 함유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2종류 이상의 아연 화합물을 조합하여 함유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티올 화합물과 아연 화합물을 조합하여 외용 조성물 중에함유시켜, 본 외용 조성물(A)로 함으로써, 이것을 태양으로부터의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 상해로부터 피부 세포 자체에서 생체를 방어하기 위한 「피부 상해 방지용 외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외용 조성물(A)는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생체 자체가 가지는 생체 방어 메커니즘의 하나인 메탈로티오네인이 피부 세포 내에서 생성되는 것을 촉진하여 자외선 노출 등에 따른 피부 상해를 방지하며, 또한 표피에서 썬 번 셀의 생성을 방지하여 햇볕에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연 화합물의 작용에 따라 원래는 불안정한 티올 화합물의 외용 조성물에서의 안정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외용 조성물(A)에서는 종래와 같은 엄중한 관리, 예를 들면, 차광 용기, 산소투과성이 낮은 용기, 밀봉성이 높은 용기 등에 의한 관리가 필요하지 않으며, 또한 티올 화합물을 목적에 따른 배합량으로 함유시킬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본 외용 조성물(A)에서는 티올 화합물에 의한 항산화작용 등의 우수한 작용을 엄중한 관리없이 경시적으로 현저하게 잃지 않고, 또한 대량으로 티올 화합물을 함유시켜도 변질된 냄새를 수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별도의 측면에서 보면, 본 외용 조성물(A)는 함유시키는 티올 화합물을 어떠한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라도[예: 태양의 자외선으로부터 신체의 방어 등의 피부에서의 산화 상해 방지효과 이외에, 예를 들면, ① 나이 증가에 따른 피부 노화방지나 ② 대기중의 미립자(예: 담배의 연기나 배기 가스 등)에 의한 피부 스트레스의 방지 등에 대하여도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티올 화합물의 외용 조성물에 대한안정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이의 범용성이 크게 향상된 외용 조성물이다.
또한 본 외용 조성물(A)에서는, 상기한 필수성분에 추가하여 다시 항산화제를 함유시키면 티올 화합물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항산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BHT(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BHA(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피로갈롤산 에스테르류, NDGA(노르디하이드로과이어레틴산)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BHT 또는 BHA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항산화제의 본 외용 조성물(A)에서의 배합량은 상기한 필수성분, 즉 티올 화합물과 산화아연의 배합량이나 구체적인 배합 양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외용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0중량%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중량%이다.
Ⅱ.본 외용 조성물(B)에 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외용 조성물(B)는 고급 지방산 아연 및 I.O.B.값이 0.1 이상인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를 함유하는 외용 조성물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탈로티오네인을 유도하는 것에 따른 효과에 관해서 언급되어 있지만, 현실적으로 외용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경피적인 메탈로티오네인 유도제에 관한 보고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그 이유로서, 메탈로티오네인 유도체로서 종래부터 공지되어 있는 염화카드뮴, 염화아연 등은 통상적으로 수용성이므로 경피 흡수성이 매우 낮으며 유일하게경피적인 메탈로티오네인 유도제로서 공지되어 있는 아세트산아연[참조: A.J. M0RGAN, G. LEWIS W.E. VAN DEN H0VEN AND P.J. AKKERB00M,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1993)129, 563-570]도 냄새의 점에서 경피적인 메탈로티오네인 유도제로서 사용하는 데는 곤란을 수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경피 투여에 의해 생체내에서 메탈로티오네인을 유도할 가능성이 확인되며 또한 냄새 문제가 없는 고급 지방산 아연에 착안했다. 그러나, 고급 지방산 아연에는 통상적인 수용성 및 유용성의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대단히 나쁘므로 경피 흡수시키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자는 이것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I.O.B.값이 0.1 이상인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와 고급 지방산 아연을 혼합하면 이러한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에 고급 지방산 아연이 용해되며, 그 결과 고급 지방산 아연을 경피 흡수시킬 수 있게 되며 피부 세포 내에서 메탈로티오네인의 유도능이 비약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한 표피에서의 썬 번 셀의 생성이, I.O.B.값이 0.1 이상인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와 고급 지방산 아연을 혼합하여 경피 투여함으로써 자외선 흡수작용을 갖는 메톡시신남산 유도체만을 경피 투여하는 경우보다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을 알았다.
또한, I.O.B.값(무기성 유기성 평형(Inorganic Organic Balance)의 약칭)은, 말하자면, 당해 오일 성분의 극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무기성의 유기성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값[당해 오일 성분의 분자중의 탄소원자 1개에 대해 「무기성 값」을 100으로 하여 이것을 기준으로 하는 다른 치환기(무기성 기)의 무기성값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값: [① 후지다, 「유기 분석」(1930년) 카니아 서점, ② 후지다, 「유기 화합물의 예측과 유기 개념도(화학의 영역 11-10)」(1957년), ③ 후지다 및 아카쓰카, 「계통적 유기 정성 분석(순수물 편)」 487페이지(1970년) 가미마쇼텐, ④ 고다, 「유기 개념도-기초와 응용」 227페이지(1984년) 산교슛판, ⑥ 야구치, 「유기 개념도에 의한 유화 처방설계」 98페이지(1985년) 니혼에멀젼가부시키가이샤, ⑥ R.H. Ewell, J.M. Harrison, L. Berg: Ind Eng Chem 36, 871(1944)]]이며, 구체적으로는 I.O.B.값은 당해 오일 성분의 무기성 값/당해 오일 성분의 유기성 값으로서 나타낸다.
I.O.B.값이 큰 경우에는 당해 오일상의 무기성이 높으며 극성이 큰 것을 의미한다.
본 외용 조성물(B)의 필수 함유 성분
본 외용 조성물(B)에는 I.O.B.값이 0.1 이상인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이하, 특별히 단정하지 않는 한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라고 한다)를 함유시킨다.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의 I.O.B.값을 0.1 이상으로 함으로써 본 외용 조성물(B)의 또 하나의 필수성분인 고급 지방산 아연을 상용시키는 것이 용이해지며, 이의 경피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I.O.B.값이 0.1 미만이면 극성이 약해지며 충분하게 고급 지방산 아연을 상용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확인된다.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는 이러한 I.O.B.값에 관한 조건(0.1 이상)을 만족시키며, 또한 일반적으로 화장품 등의 외용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오일 성분의 유도체,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오일 성분의 에스테르 유도체, 카복실 유도체, 카복실산염 등이면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 파라메톡시신남산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파라메톡시신남산옥틸이라고 호칭한다), 파라메톡시신남산나트륨, 파라메톡시신남산칼륨, 디파라메톡시신남산모노-2-에틸헥산산글리세릴 등의 파라메톡시신남산의 유도체는 그 자신이 자외선 차폐효과를 가지며 썬 번 셀의 발생 억제에 효과적이며 적절한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로서 들 수 있지만, 한편 석신산 디-2-에틸헥실, 테트라 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트리 2-에틸헥산산글리세릴, 옥탄산세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2-에틸헥산산세틸, 팔미트산 2-에틸헥실,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릴,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아디프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탐산 2-옥틸도데실, 아디프산 디-2-헵틸운데실, 라우르산에틸, 세박산 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디-2-헥실데실, 세박산디이소프로필,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아밀, 시트르산트리에틸 등의 일반적인 오일 성분의 유도체도 사용할 수 있다.
본 외용 조성물(B)에서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는 외용 조성물의 구체적인 용도나 다른 함유 성분과의 균형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배합되지만, 사용성, 안전성, 유효성의 점에서 상기한 파라메톡시신남산 유도체의 하나인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을 선택하여 본 외용 조성물(B)에 배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외용 조성물(B)에서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의 함유량은 본 외용 조성물(B)의 구체적인 용도, 제형, 다른 함유 성분과의 균형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는 외용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0중량%의 범위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중량% 이상 배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1.0중량% 이상 배합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본 외용 조성물(B)에는 특정한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를 1종류만 함유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2종류 이상의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를 조합하여 함유시킬 수 있다.
본 외용 조성물(B)에는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와 함께 고급 지방산 아연을 함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고급 지방산 아연은 안전성면 등에서 외용 조성물에 함유시켜도 지장이 없는 고급 지방산 아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6이상의 지방산 아연이 이러한 고급 지방산 아연에 해당되며, 이의 바람직한 탄소수는 8 내지 20이다. 이러한 탄소수가 8 미만이거나 20을 초과하면, 고급 지방산 아연의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에 대한 용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확인된다.
본 외용 조성물(B)에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고급 지방산 아연으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르산아연, 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아연, 스테아르산아연, 운데실렌산아연, 카프르산아연, 올레산아연, 로진산아연, 리시놀산아연, 네오데칸산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본 외용 조성물(B)에서 고급 지방산 아연의 함유량은 본 외용 조성물(B)의 구체적인 용도, 제형, 다른 함유 성분과의 균형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고급 지방산 아연은 외용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0중량%의 범위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5 내지 10.0중량%의 범위로 배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고급 지방산 아연의 함유량이 외용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0.01중량% 미만에서는 본 외용 조성물(B)에 대해서 기대되는 피부 상해 방지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20.0중량%를 초과하면 기제의 안정성에 대하여 악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강해진다.
본 외용 조성물(B)에서는 특정한 고급 지방산 아연을 1종류만 함유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2종류 이상의 고급 지방산 아연을 조합하여 함유시킬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하여,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와 고급 지방산 아연을 조합하여 함유시킴으로써 원래는 상용되기 어려운 고급 지방산 아연이 상용되며, 고급 지방산 아연의 경피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본 외용 조성물(B)를 태양으로부터의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 상해로부터 피부 세포 자체에서 생체를 방어하기 위한「피부 상해 방지용 외용 조성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외용 조성물(B)는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생체 자체가 가지는 생체 방어 메커니즘의 하나인 메탈로티오네인이 피부 세포 내에서 생성되는 것을 촉진하여 자외선 노출 등에 의한 피부 상해를 방지하며, 또한 표피에서 썬 번 셀의 생성을 방지하여 햇볕에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로서 파라메톡시신남산 유도체를 선택함으로써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 자신에 의해서도 자외선의 노출로부터 피부를 차폐할 수 있게 되며, 상승적으로 태양으로부터의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 장애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외용 조성물(B)에는 냄새의 문제가 없으며, 이러한 점에서도 경피 투여에 적합하다.
Ⅲ.본 외용 조성물의 구체적인 양태
본 외용 조성물(A, B 모두) 중에는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약효에 관계되는 성분, 예를 들면, 보습(保濕)제, 미백제, 소염제, 부활(賦活)제, 혈행 촉진제, 항지루(脂漏)제, 식물 추출액, 각종 비타민, 자외선 차폐제, 기타, 통상적으로 외용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은 범위로 배합할 수 있다.
특히, 본 외용 조성물을, 특히 자외선 방어라는 점에서 특화한 외용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외선 차폐제와 조합함으로써 태양으로부터의 자외선에 대한 방어효과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단, 본 외용 조성물(B)에서 필수성분으로서 배합되는 파라메톡시신남산 유도체 등의 I.O.B.값이 0.1 이상인 자외선 흡수제는 본 외용 조성물(B)에서 일반성분으로부터는 제외된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아미노벤조산(이하, PABA라고 약칭한다), PABA 모노글리세린 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 PABA 에틸 에스테르, N,N-디에톡시 PABA 에틸 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에틸 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부틸 에스테르 등의 파라아미노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사이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3,4,5-트리메톡시신남산 3-메틸-4-[메틸비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코프틸 등의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하이드록시-3-카복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3-(4'-메틸벤질리덴)-d,l-캄포르, 3-벤질리덴-d,l-캄포르,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 에틸 에스테르, 2-페닐-5-메틸벤즈옥사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사라딘,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지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르닐리덴)-3-펜탄-2-온 등의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산화티타늄 등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능이 우수한 분말 성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외용 조성물」이란 외피에 적용되는 화장품, 의약품, 의약 부외품 등을 의미하며, 이의 제형은 수용액계, 가용화계, 유화계, 분말계, 유액계, 겔계, 연고계, 에어졸계, 수-유 2층계, 수-유-분말 3층계 등의 폭넓은 제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초 화장품이면 세안료, 화장수, 유액, 크림, 젤, 에센스(미용액), 팩·마스크 등의 제품 형태로서 상기한 다양한 제형에 따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메이크업 화장품이면 파운데이션 등의 제품 형태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 또는 의약 부외품이면 각종 연고제 등의 제품 형태로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본 외용 조성물은 제형 및 제품 형태가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본 외용 조성물에는 상기의 원하는 제형 및 제품 형태에 따라 상기한 필수성분이나 임의의 약효에 관련되는 성분 등에 추가하여 통상적으로 외용 조성물에 이용되는 공지된 기제 성분을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로 배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성분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아보가드유, 동백유, 달맞이꽃 기름, 터틀유, 마카데미아 너트유, 옥수수 기름,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유, 난황유, 참기름, 파시크유, 소맥 배아유, 산다화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사플라워유, 면실유, 들기름, 대두유, 낙화생유, 차실(茶室)유, 비자나무 기름, 미강유, 중국 오동나무 기름, 일본 오동나무 기름, 호호바 기름,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릴 등의 액체 유지;
카카오 기름, 야자유, 말 기름, 경화 야자유, 팜유, 우지, 양 기름, 경화 우지, 팜핵유, 돼지 기름, 우골(牛骨) 기름, 목납핵유, 경화유, 우각(牛脚) 기름, 목납, 경화 피마자유 등의 고체 유지;
밀납, 칸데리라 납, 면실유 납, 카르나우바 납, 미연유 납, 패각충 납, 경납, 몬탄 납, 미강유 납, 라놀린, 카포크 납, 아세트산 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 납,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환원 라놀린, 죠죠바납, 경질 라놀린, 세락 납, POE 라놀린 알콜 에테르, POE 라놀린 알콜 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 에테르,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POE 수소 첨가 라놀린 알콜 에테르 등의 납류; 유동 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렌,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란, 바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탄 왁스 등의 탄화수소유;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베헤닐)산, 올레산,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운데실렌산, 톨유 지방산, 이소스테아르산, 리놀산, 리놀렌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의 고급 지방산;
라우릴 알콜,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베헤닐 알콜, 미리스틸 알콜, 올레일 알콜, 세트스테아릴 알콜 등의 직쇄 알콜,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릴 에테르(바틸 알콜), 2-데실테트라데칸올, 라놀린 알콜, 콜레스테롤, 피트스테롤, 헥실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 알콜, 옥틸도데칸올 등의 측쇄 알콜 등의 고급 알콜;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아세트산라놀린,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디펜타에리트리톨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렌글리콜, 피마자유 지방산메틸, 올레산올레일, 팔미트산 2-헵틸운데실, 팔미트산 2-헥실데실 등의 I.O.B.값이 0.1 미만이거나 측정할 수 없는 합성 에스테르유(이들 합성 에스테르유는 본 외용 조성물(A) 및 B의 일반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석신산 디-2-에틸헥실, 테트라 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트리 2-에틸헥산산글리세릴, 옥탄산세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2-에틸헥산산세틸, 팔미트산 2-에틸헥실,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릴,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아디프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탐산 2-옥틸도데실, 아디프산 디-2-헵틸운데실, 라우르산에틸, 세박산 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디-2-헥실데실, 세박산디이소프로필,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아밀, 시트르산트리에틸 등의 I.O.B.값이 0.1 이상인 합성 에스테르유(이들 합성 에스테르유는 본 외용 조성물(A)의 일반 성분으로서만 사용할 수 있다);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등의 쇄상 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폴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등의 환상 폴리실록산, 3차원 망목구조를 형성하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등의 실리콘류;
비누용 소지, 라우르산나트륨, 팔미트산나트륨 등의 지방산 비누,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칼륨 등의 고급 알킬황산 에스테르염, POE 라우릴에테르황산트리에탄올아민, POE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등의 POE 알킬에테르황산 에스테르염,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등의 N-아실사르코신염,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나트륨, 라우릴메틸타우린나트륨 등의 고급 지방산 아미드설폰산염, POE 올레일에테르인산나트륨, POE 스테아릴에테르인산나트륨 등의 POE 알킬에테르인산 에스테르염, 디-2-에틸헥실설포석신산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도폴리옥시에틸렌설포석신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설포석신산나트륨 등의 설포석신산염, 리니어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리니어 도데실벤젠설폰산트리에탄올아민, 리니어 도데실벤젠설폰산 등의 알킬벤젠설폰산염, N-라우로일글루탐산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탐산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탐산모노나트륨 등의 N-아실글루탐산염, 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릴황산나트륨 등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황산 에스테르염, 로트유 등의 황산화유, POE 알킬에테르카복실산, POE 알킬알릴에테르카복실산염, α-올레핀설폰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설폰산염, 2급 알콜황산 에스테르염, 고급 지방산알킬올아미드황산 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석신산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디트리에탄올아민, 카제인나트륨 등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등의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염화세틸피리디늄 등의 알킬피리디늄염, 알킬4급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리포늄염, POE 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알콜 지방산 유도체, 염화벤즈알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의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2-운데실-N,N,N-(하이드록시에틸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하이드록사이드-1-카복시에틸옥시 2나트륨염 등의 이미다졸린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2-헵타데실-N-카복시메틸-N-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설포베타인 등의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등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산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산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모노면실유지방산글리세린, 모노에르카산글리세린, 세스퀴올레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α,α'-올레산피로글루탐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모노말산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모노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POE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 소르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등의 POE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 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 소르비트펜타올레에이트, POE 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POE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 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 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모노올레에이트, POE 디스테아레이트, POE 디올레에이트 등의 POE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라우릴에테르, POE 올레일에테르, POE 스테아릴에테르, POE 베헤닐에테르, POE 2-옥틸도데실에테르, POE 콜레스테릴에테르 등의 POE 알킬 에테르류, POE 옥틸페닐에테르, POE 노닐페닐에테르, POE 디노닐페닐에테르 등의 POE 알킬페닐 에테르류, 플루로닉 등의 플루로닉형류, POE·POP 세틸에테르, POE·P0P 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 모노부틸에테르, POE·P0P 수소 첨가 라놀린, POE·POP 글리세린에테르 등의 POE·POP 알킬에테르류, 테트로닉 등의 테트라 POE·테트라 POP 에틸렌디아민 축합물류, POE 피마자유, POE 경화 피마자유, POE 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 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 경화 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탐산모노이소스테아르산디에스테르, POE 경화 피마자유 말레산 등의 POE 피마자유 또는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POE 소르비트 밀납 등의 POE 밀납·라놀린 유도체,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의 알칸올아미드, POE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 POE 알킬아민, POE 지방산아미드, 자당지방산 에스테르, POE 노닐페닐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사이드, 트리올레일인산 등의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의 방부제;
에데트산나트륨염, EDTA 등의 금속 이온 봉쇄제;
아라비아 검, 트라가간트 검, 갈락탄, 구아 검, 갤롭 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시드(마르멜로), 알긴 콜로이드[갈조(褐藻) 추출물], 전분(쌀, 옥수수, 감자, 소맥), 글리틸리틴산 등의 식물계 고분자, 크산탄검, 덱스트란, 석시노글루칸, 플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등의 천연 수용성 고분자;
카복시메틸전분,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스, 니트로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셀룰로스황산나트륨,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CMC), 결정 셀룰로스, 셀룰로스 분말 등의 셀룰로스계 고분자,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등의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복시비닐 중합체(카보폴), 알킬 변성 카복시비닐 중합체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 4000, 600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중합체 등의 합성 수용성 고분자;
벤토나이트,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비검), 라포나이트, 헥트라이트, 무수 규산 등의 무기 수용성 고분자;
카제인, 덱스트린, 젤라틴, 펙틴산나트륨, 메틸셀룰로스, CMC,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PVA, PVM, PVP,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카복시비닐 중합체, 로커스트빈 검, 구아 검, 타마린도 검, 디알킬디메틸암모늄황산셀룰로스, 크산탄 검,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벤토나이트, 헥트라이트 등의 증점제;
견운모(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흑운모, 버미큘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 황산칼슘(소석고), 인산칼슘, 불소아파타이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등), 질화붕소 등의 무기 분말,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테트라플루오르화 에틸렌 분말, 셀룰로스 분말 등의 유기 분말 등의 분말 성분;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등의 무기 백색 안료와 산화철(벤가라), 티타늄산철
등의 무기 적색계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 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 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카본 블랙, 저차 산화티타늄 등의 무기 흑색계 안료, 망간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의 무기 자색계 안료,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타늄산코발트 등의 무기 녹색계 안료, 군청, 감청 등의 무기 청색계 안료, 산화티타늄코발트운모, 산화티타늄코발트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타늄코발트활석, 착색 산화티타늄코데드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물고기 비늘 껍질 등의 펄 안료, 알루미늄 파우더, 구리 파우더 등의 금속 분말안료,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오렌지색 203호, 오렌지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및 청색 404호 등의 유기안료,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오렌지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청색 1호 등의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안료, 클로로필, β-카로틴 등의 천연색소, 티타늄 옐로, 카사민, 홍화 적 등의 색제; 향료, 물, 알콜 등.
본 외용 조성물의 구체적인 처방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한다.
다음에 본 발명을 본 외용 조성물(A)와 (B)로 나누어 실시예에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않는다. 또한, 배합량에 관해서는 특별히 단정하지 않는 한 당해 성분이 배합되는 대상에 대한 중량%를 나타낸다.
1.본 외용 조성물(A)에 관한 실시예
시험예 A
본 외용 조성물(A)가 그 소기의 효과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하기의 시험을 실시한다.
1A.자외선 방어시험(썬 번 셀 생성 억제 시험)
남자인 건강한 사람에 있어서 티올 화합물 및/또는 아연 화합물의 혼합물을 등에 도포하여 썬 번 셀(햇볕에 타는 것에 의해 상해를 받은 표피 세포: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에 의해 균질한 에오신 호염의 세포질과 공포(空胞)화 및 헤마톡실린 호염의 농축한 핵을 갖는 세포로서 확인할 수 있다)의 생성 억제작용에 관해 검토한다.
즉, 상기 남자인 건강한 사람의 등에 3일 동안,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조제한 하기의 「티올 화합물·각종 금속 화합물 혼합의 W/O 유화 조성물」을 도포한다. 이러한 W/O 유화 조성물의 최종 도포 24시간 후에 남자인 건강한 사람의 등에 2×105J/m2의 자외선(UVB+UVA)을 조사한 다음, 24시간 후에 남자인 건강한 사람의 등의 피부를 채취하여 조직 절편표본을 제작하여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실시한다.
이와 동일하게 하여 제작한 조직 염색표본의 썬 번 셀수를 계수하고, 이의 수에 의해 썬 번 셀 생성 억제작용을 하기의 4개로 분류한다.
그 결과를 표 1A에 기재한다.
티올 화합물·각종 금속 화합물 혼합의 W/O 유화 조성물의 처방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0.5중량%
이소스테아르산 3.0
유동 파라핀 15.0
티올 화합물(표 1A 기재) 1.0
각종 금속 화합물(표 1A 기재) 1.0
정제수 79.5
판정 기준
1mm 2 당 썬 번 셀수(X)
×: 많은 썬 번 셀이 확인된다. 2개< X
△: 중정도의 썬 번 셀이 확인된다. 1개< X≤ 2개
○: 약간의 썬 번 셀이 확인된다. 0개< X≤ 1개
◎: 썬 번 셀이 확인되지 않는다. 0개
티올 화합물 각종 금속염 판정 결과
×
산화알루미늄 ×
염화마그네슘 ×
황산제일철 ×
산화티타늄 ×
글루콘산아연
염기성 탄산아연
스테아르산아연
운데실렌산아연
산화아연
미리스트산아연
라우르산아연
글루타티온
N-아세틸시스테인
글루타티온 글루콘산아연
글루타티온 염기성 탄산아연
글루타티온 스테아르산아연
글루타티온 운데실렌산아연
글루타티온 산화아연
글루타티온 미리스트산아연
N-아세틸시스테인 라우르산아연
N-아세틸시스테인 글루콘산아연
표 1A에 의해 글루타티온이나 N­아세틸시스테인 등의 티올 화합물의 투여가 썬 번 셀의 생성 억제작용을 가지며, 아연 화합물에도 약간의 썬 번 셀의 생성 억제작용이 확인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그리고, 아연 화합물과 티올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놀랍게도 썬 번 셀 생성 억제작용으로서 나타나는 자외선 방어작용이 비약적으로 증대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2A.티올 화합물 안정화 시험
티올 화합물인 글루타티온의 냄새 안정화에 관해서 각종 금속의 염 및 산화물의 분말을 글루타티온과 조합하여 배합하여 냄새의 변화를 평가한다.
즉, 표 2A에 기재된 각종 금속 분말을 함유하는 하기 처방의 분말 혼합 수용액을 50℃에서 2주간 방치하여 상기 각 수용액의 냄새 변화를 전문 패널 3명이 관능 평가하고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한다. 그 결과를 아울러 표 2A에 기재한다.
판정 기준
◎: 전혀 불쾌한 냄새가 없다
○: 거의 불쾌한 냄새는 없다
△: 약간의 불쾌한 냄새가 있다
×: 불쾌한 냄새가 있다
금속염 화합물 혼합 수용액 처방
정제수 98.0중량%
글루타티온 1.0
각종 금속염 화합물(표 2A 기재) 1.0
각종 금속 분말 평가 결과
대조군(정제수 99%와 글루타티온 1%) ×
산화알루미늄 ×
황산알루미늄 ×
염화마그네슘 ×
황산마그네슘 ×
질산마그네슘 ×
황산제일철 ×
산화티타늄 ×
알루미나 처리 산화티타늄 ×
황산아연
탄산아연
글루콘산아연
염기성 탄산아연
염화아연
라우르산아연
팔미트산아연
파라페놀설폰산아연
운데실렌산아연
스테아르산아연
표 2A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글루타티온에 아연염 화합물을 가한 분말 혼합 수용액은 모두 불쾌한 냄새가 없으며 안정적이다.
따라서, 글루타티온에 아연염 화합물을 가하면 불쾌한 냄새가 없으며 안정적인 외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하기의 표 3A, 표 4A 및 표 5A에 기재된 처방에 따라 유액을 제조하고, 상기한 「티올 화합물 안정화 시험」을 실시한다. 그 결과를 아울러 각 표에 기재한다.
실시예 비교예
1A 2A 3A 4A 5A 1A
유동 파라핀 30.0 30.0 30.0 30.0 30.0 30.0
2-에틸헥산산세틸 5.0 5.0 5.0 5.0 5.0 5.0
호호바유 5.0 5.0 5.0 5.0 5.0 5.0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1.0 1.0 1.0 1.0 1.0 1.0
글루콘산아연 5.0 5.0 5.0 5.0 5.0 -
유기 변성 벤토나이트 1.5 1.5 1.5 1.5 1.5 1.5
1,3-부틸렌글리콜 5.0 - 5.0 5.0 5.0 5.0
EDTA.3Na.2H2O 0.5 0.5 - 0.5 0.5 0.5
아세트산토코페롤 1.0 1.0 1.0 - 1.0 1.0
메틸파라벤 0.5 0.5 0.5 0.5 - 0.5
글루타티온 1.0 1.0 1.0 1.0 1.0 1.0
정제수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냄새 평가 ×
실시예 비교예
6A 7A 8A 9A 10A 2A
유동 파라핀 30.0 30.0 30.0 30.0 30.0 30.0
2-에틸헥산산세틸 5.0 5.0 5.0 5.0 5.0 5.0
호호바유 5.0 5.0 5.0 5.0 5.0 5.0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1.0 1.0 1.0 1.0 1.0 1.0
염기성 탄산아연 5.0 5.0 5.0 5.0 5.0 -
유기 변성 벤토나이트 1.5 1.5 1.5 1.5 1.5 1.5
1,3-부틸렌글리콜 5.0 - 5.0 5.0 5.0 5.0
EDTA.3Na.2H2O 0.5 0.5 - 0.5 0.5 0.5
아세트산토코페롤 1.0 1.0 1.0 - 1.0 1.0
메틸파라벤 0.5 0.5 0.5 0.5 - 0.5
N-아세틸시스테인 1.0 1.0 1.0 1.0 1.0 1.0
정제수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냄새 평가 ×
실시예 비교예
11A 12A 13A 14A 15A 3A
유동 파라핀 30.0 30.0 30.0 30.0 30.0 30.0
2-에틸헥산산세틸 5.0 5.0 5.0 5.0 5.0 5.0
호호바유 5.0 5.0 5.0 5.0 5.0 5.0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1.0 1.0 1.0 1.0 1.0 1.0
염화아연 5.0 5.0 5.0 5.0 5.0 -
유기 변성 벤토나이트 1.5 1.5 1.5 1.5 1.5 1.5
1,3-부틸렌글리콜 5.0 - 5.0 5.0 5.0 5.0
EDTA.3Na.2H2O 0.5 0.5 - 0.5 0.5 0.5
아세트산토코페롤 1.0 1.0 1.0 - 1.0 1.0
메틸파라벤 0.5 0.5 0.5 0.5 - 0.5
글루타티온 5.0 5.0 - - - 5.0
N-아세틸시스테인 - - 5.0 5.0 5.0 -
항산화제① - 1.0 - - - 1.0
항산화제② - - 1.0 - 1.0 -
정제수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냄새 평가 ×
항산화제 ①: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항산화제 ②: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표 3A 내지 표 5A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티올 화합물과 아연 화합물을 조합하여 배합한 각 실시예의 외용 조성물은 가혹한 조건으로 경시적으로 방치해도 티올 화합물의 변질 등에 유래한다고 생각되는 불쾌한 냄새는 확인되지 않으며, 매우 안정적인 것이 판명된다. 또한, 처방중에 항산화제를 가하는 경우에는 티올 화합물을 특별히 고농도로 배합하는 경우라도 안정화 효과가 우수하다.
하기에 본 외용 조성물(A)의 일반적인 처방예를 실시예로서 기재한다. 하기의 어느 처방예에서도, 처방중의 티올 화합물은 50℃에서 2개월간 방치해도 안정적이며 배합한 티올 화합물의 변성 등에 따른 불쾌한 냄새의 발생은 확인되지 않으며, 본 외용 조성물(A)는 어떠한 제형에서도 티올 화합물의 안정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며, 소기의 효과의 하나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된다.
또한, 하기의 어느 처방예에서도 상기한 자외선 방어시험에서 썬 번 셀의 생성 억제작용을 나타내며, 티올 화합물과 아연 화합물을 조합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자외선 방어작용이 발휘될 수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실시예 16A: 분말 들이 젤
하기에 기재된 처방의 젤을, 수상을 교반 용해시켜 이중에 알콜상을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조제한다.
성분 배합량(중량%)
A.수상
정제수 나머지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5.0
프로필렌글리콜 5.0
글리틸리틴산디칼륨 0.1
히알루론산나트륨 0.05
카복시비닐 중합체 0.5
수산화칼륨 0.2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설폰산나트륨 0.1
글루타티온 0.5
글루콘산아연 0.5
B.알콜상
에탄올 10.0
POE(25)옥틸도데실에테르 0.5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0.05
아세트산토코페롤 0.1
메틸파라벤 0.1
향료 적량
실시예 17A: 유액(1)
하기에 기재된 처방의 유액(乳液)을, 유성(油性) 성분을 수상 성분에 첨가하면서 유화기로 유화함으로써 조제한다.
성분 배합량(중량%)
A.유상
스테아르산 2.0
세탄올 1.0
와셀린 2.0
유동 파라핀 9.0
2-에틸헥산산세틸 1.0
호호바유 1.0
스쿠알란 2.0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3.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2.0
달맞이꽃 기름 0.5
디파라메톡시신남산모노­2­에틸헥산산글리세릴 1.5
POE(10)모노올레이트 0.1
부틸파라벤 0.2
향료 적량
B.수상
프로필렌글리콜 5.0
1,3-부틸렌글리콜 2.0
알부틴 5.0
카복시비닐 중합체 0.2
트리에탄올아민 0.2
N-아세틸시스테인 3.0
황산아연 1.0
아황산수소나트륨 0.5
정제수 나머지
실시예 18A: 유액(2)
실시예 17A와 동일하게 하여 하기 처방의 유액을 조제한다.
성분 배합량(중량%)
A.유상
스테아르산 2.0
세탄올 1.0
와셀린 2.0
유동 파라핀 9.0
2-에틸헥산산세틸 1.0
호호바유 1.0
스쿠알란 2.0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3.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2.0
달맞이꽃 기름 0.5
파라아미노벤조산 1.5
POE(10)모노올레이트 0.1
스테아르산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5.0
(평균 입자 직경 0.02μm)
부틸파라벤 0.2
향료 적량
B.수상
프로필렌글리콜 5.0
1,3-부틸렌글리콜 2.0
알부틴 5.0
카복시비닐 중합체 0.2
트리에탄올아민 0.2
N-아세틸시스테인 3.0
아연화 5.0
정제수 나머지
실시예 19A: 크림(1)
하기에 기재된 처방의 크림을, 유성 성분을 수상 성분에 첨가하면서 유화기로 유화함으로써 조제한다.
성분 배합량(중량%)
A.유상
스테아르산 2.0
스테아릴알콜 7.0
환원 라놀린 2.0
올리브유 1.0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린 3.0
옥틸도데칸올 5.0
POE(25)세틸에테르 3.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살릴실산옥틸 0.5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0.5
염기성 탄산아연 5.0
프로필파라벤 0.3
향료 적량
B.수상
1,3-부틸렌글리콜 6.0
디프로필렌글리콜 3.0
글리세린 4.0
트라넥삼산 2.0
인산-L-아스코르브산마그네슘 0.1
판토텐산 0.1
글루타티온 2.0
정제수 나머지
실시예 20A: 크림(2)
실시예 19A와 동일하게 하여 하기 처방의 크림을 조제한다.
성분 배합량(중량%)
A.유상
스테아르산 2.0
스테아릴알콜 7.0
환원 라놀린 2.0
올리브유 1.0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린 3.0
옥틸도데칸올 5.0
POE(25)세틸에테르 3.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 2-에틸헥실 0.5
팔미트산덱스트린 처리 산화아연 5.0
(평균 입자 직경 0.04μm)
라우르산아연 2.5
프로필파라벤 0.3
향료 적량
B.수상
1,3-부틸렌글리콜 6.0
디프로필렌글리콜 3.0
글리세린 4.0
트라넥삼산 2.0
인산-L-아스코르브산마그네슘 0.1
판토텐산 0.1
글루타티온 2.0
정제수 나머지
실시예 21A: 2층형 화장수(1)
하기에 기재된 처방의 2층형 화장수를, 수상을 교반 분산하여 이중에 알콜상을 첨가함으로써 조제한다.
성분 배합량(중량%)
A.수상
정제수 나머지
프로필렌글리콜 4.0
아란토인 0.2
식염 0.1
벤토나이트 1.0
활석 0.5
셀룰로스 분말 0.5
실리카 1.0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설폰산나트륨 0.1
글루타티온 0.5
염기성 탄산아연 1.0
B.알콜상
에탄올 15.0
메틸파라벤 0.1
멘톨 0.05
P0E(60)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O.5
아세트산토코페롤 0.01
향료 적량
실시예 22A: 2층형 화장수(2)
실시예 21A와 동일하게 하여 하기 처방의 2층형 화장수를 조제한다.
성분 배합량(중량%)
A.수상
정제수 나머지
프로필렌글리콜 4.0
아란토인 0.2
식염 0.1
벤토나이트 1.0
활석 0.5
셀룰로스 분말 0.5
실리카 1.0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설폰산나트륨 0.1
글루타티온 0.5
미리스트산아연 1.5
미립자 산화아연 1.0
(평균 입자 직경 0.02μm)
B.알콜상
에탄올 15.0
메틸파라벤 0.1
멘톨 0.05
POE(60)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0.5
아세트산토코페롤 0.01
향료 적량
실시예 23A: 필 오프형 팩(1)
하기에 기재된 조성의 필 오프형 팩을, 수상을 교반 용해하여 이중에 알콜상을 첨가함으로써 조제한다.
성분 배합량(중량%)
A.수상
정제수 나머지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5.0
폴리비닐알콜 13.0
플라센터 추출물 0.3
N-아세틸시스테인 0.5
시트르산아연 1.0
미립자 산화아연 1.0
(평균 입자 직경 0.1μm)
B.알콜상
에탄올 7.0
POE(20)올레일알콜에테르 1.0
메틸파라벤 0.2
미리스트산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1.0
향료 적량
실시예 24A: 필 오프형 팩(2)
실시예 23A와 동일하게 하여 하기 처방의 필 오프형 팩을 조제한다.
성분 배합량(중량%)
A.수상
정제수 나머지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5.0
폴리비닐알콜 13.0
플라센터 추출물 0.3
N-아세틸시스테인 0.5
글루타티온 5.0
파라페놀설폰산아연 1.0
피리티온아연 0.5
스테아르산아연 0.2
황산아연 0.2
아연화 1.0
미립자 산화아연 1.0
(평균 입자 직경 0.1μm)
B.알콜상
에탄올 7.0
POE(20)올레일알콜에테르 1.0
메틸파라벤 0.2
미리스트산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1.0
향료 적량
실시예 25A: 햇볕에 타는 것을 방지하는 크림(1)
하기에 기재된 처방의 햇볕에 타는 것을 방지하는 크림을, 유성 성분을 수상성분에 첨가하면서 유화기로 유화함으로써 조제한다.
성분 배합량(중량%)
A.유상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5.0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0
메틸폴리실록산 5.0
POE 글리세롤트리이소스테아르산 에스테르 1.5
유기 변성 점도 광물(벤톤 38) 0.5
실리콘 수지 5.0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05
메틸파라벤 0.5
알루미나 처리 산화티타늄 5.0
피리티온아연 1.0
향료 적량
B.수상
1,3-부틸렌글리콜 5.0
글리세린 5.0
EDTA·3Na-2H2O 0.5
글루타티온 1.0
정제수 나머지
실시예 26A: 햇볕에 타는 것을 방지하는 크림(2)
실시예 25A와 동일하게 하여 하기 처방의 햇볕에 타는 것을 방지하는 크림을 조제한다.
성분 배합량(중량%)
A.유상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5.0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0
메틸폴리실록산 5.0
POE 글리세롤트리이소스테아르산 에스테르 1.5
유기 변성 점도 광물(벤톤 38) 0.5
실리콘 수지 5.0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05
메틸파라벤 0.5
알루미나 처리 산화티타늄 5.0
실리콘 처리 산화아연 5.0
(평균 입자 직경 0.02μm, 실리콘 처리는 일본 특허공보 제(평)1-54381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처리한다.)
운데실렌산아연 0.3
향료 적량
B.수상
1,3-부틸렌글리콜 5.0
글리세린 5.0
EDTA·3Na-2H2O 0.5
글루타티온 1.0
정제수 나머지
I.본 외용 조성물(B)에 관한 실시예
시험예 B
1B.메탈로티오네인 유도시험
남자인 건강한 사람에 있어서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I.O.B.값이 0.1 이상), 고급 지방산 아연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등에 도포하여 메탈로티오네인 유도작용에 관해서 검토한다.
즉, 남자인 건강한 사람의 등에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조제한 하기의「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고급 지방산 아연 혼합의 W/O 유화 조성물」을 도포한다. 「메톡시신남산 유도체·고급 지방산 아연 혼합의 W/O 유화 조성물」의 도포 15시간 후에 등의 피부를 채취[생검(生檢)]하여 조직 절편표본을 제작하고, 항 마간(馬肝) 메탈로티오네인 항체(DAKO사)를 사용하여 면역조직 화학적 염색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한 조직 염색표본에 관해서, 메탈로티오네인 항체에 의한 염색성을 조사하여 하기의 「판정 기준」에 따라서 네 가지로 분류한다.
그 결과를 표 1B에 기재한다.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고급 지방산 아연 혼합의 W/O 유화 조성물의 처방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0.5중량%
이소스테아르산 3.0중량%
유동 파라핀 15.0중량%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표 1B에 기재) 1.0중량%
고급 지방산 아연(표 1B에 기재) 1.0중량%
정제수 79.5중량%
판정 기준
×: 메탈로티오네인이 확인되지 않는다(염색 양성 세포가 30% 미만)
△: 메탈로티오네인이 약간 확인된다(염색 양성 세포가 30 내지 50% 미만)
○: 메탈로티오네인이 중간 정도 확인된다(염색 양성 세포가 30 내지 80% 미만)
◎: 메탈로티오네인이 충분히 확인된다(염색 양성 세포가 80% 이상)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 고급 지방산아연 판정 결과
×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파라메톡시신남산옥틸) ×
라우르산아연 ×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파라메톡시신남산옥틸) 라우르산아연
미리스트산아연 ×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파라메톡시신남산옥틸) 미리스트산아연
파라메톡시신남산에틸 ×
스테아르산아연 ×
파라메톡시신남산에틸 스테아르산아연
파라메톡시신남산이소프로필 ×
운데실렌산아연 ×
파라메톡시신남산이소프로필 운데실렌산아연
올레산아연 ×
파라메톡시신남산이소프로필 올레산아연
석신산 디2-에틸헥실 ×
석신산 디2-에틸헥실 라우르산아연
트리 2-에틸헥산산글리세릴 ×
트리 2-에틸헥산산글리세릴 미리스트산아연
테트라 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
테트라 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스테아르산아연
옥탄산세틸 ×
옥탄산세틸 운데실렌산아연
표 1B의 결과에 의해, 고급 지방산 아연 단독 또는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I.O.B.값이 0.1 이상) 단독의 경피 투여에는 피부 세포 내에서의 메탈로티오네인 유도작용은 확인되지 않는 데 대하여, 고급 지방산 아연과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를 조합하여 경피 투여하면 메탈로티오네인 유도작용이 비약적으로 증대하는 것이 명백해졌다.
이 결과는 고급 지방산 아연이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에 용해됨으로써 경피흡수되어 피부 세포 내에서 메탈로티오네인을 유도하는 것을 나타낸다.
2B.썬 번 셀 생성 억제 시험
남자인 건강한 사람에 있어서,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 고급 지방산 아연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등에 도포하고 도포후에 썬 번 셀 생성 억제작용에 관해서 검토한다.
즉, 남자인 건강한 사람의 등에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조제한 하기의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고급 지방산 아연 혼합의 W/O 유화 조성물」을 3일 동안 도포한다. 「메톡시신남산 유도체·고급 지방산 아연 혼합의 W/O 유화 조성물」의 최종 도포 24시간 후에 등 부분 피부 표면을 닦아서 취한 후에 상기한 남자인 건강한 사람의 등에 2×105J/m2의 자외선(UVB+UVA)을 조사한 다음, 24시간 후에 등의 피부를 채취(바이오 푸쉬)하여 조직 절편표본을 제작하여 헤마톡신-에오신 염색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한 조직 염색표본의 썬 번 셀수를 세어 그 수에 따라 썬 번 셀 생성 억제작용을 하기의 판정 기준에 따라서 네 가지로 분류한다.
그 결과를 표 2B에 기재한다.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고급 지방산 아연 혼합의 W/O 유화 조성물의 처방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0.5중량%
이소스테아르산 3.0중량%
유동 파라핀 15.0중량%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표 2에 기재) 1.0중량%
고급 지방산 아연(표 2에 기재) 1.0중량%
정제수 79.5중량%
판정 기준
1mm 2 당의 썬 번 셀수(X)
×: 다수의 썬 번 셀이 확인된다 2개< X
△: 중간 정도의 썬 번 셀이 확인된다 1개< X≤ 2개
○: 약간의 썬 번 셀이 확인된다 0개< X≤ 1개
◎: 썬 번 셀이 확인되지 않는다 0개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 고급 지방산 아연 판정 결과
×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파라메톡시신남산옥틸)
라우르산아연 ×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파라메톡시신남산옥틸) 라우르산아연
미리스트산아연 ×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파라메톡시신남산옥틸) 미리스트산아연
파라메톡시신남산에틸
스테아르산아연 ×
파라메톡시신남산에틸 스테아르산아연
파라메톡시신남산이소프로필
운데실렌산아연 ×
파라메톡시신남산이소프로필 운데실렌산아연
올레산아연 ×
파라메톡시신남산이소프로필 올레산아연
석신산 디-2-에틸헥실 ×
석신신 디-2-에틸헥실 라우르산아연
트리 2-에틸헥산산글리세릴 ×
트리 2-에틸헥산산글리세릴 미리스트산아연
테트라 2-에틸헥산산 펜타에리트리톨 ×
테트라 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스테아르산아연
옥탄산세틸 ×
옥탄산세틸 운데실렌산아연
표 2B의 결과로부터, 고급 지방산 아연 단독의 경피 투여에는 썬 번 셀의 생성 억제작용은 확인되지 않으며, 메톡시신남산 유도체 단독의 경피 투여에는 당해자외선 흡수작용에 따른 썬 번 셀의 생성 억제작용이 약간 확인되는 데 대하여, 고급 지방산 아연과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I.O.B.값이 0.1 이상)을 조합하여 경피 투여하면 놀랍게도 썬 번 셀의 생성 억제작용이 비약적으로 증대하는 것이 명백해졌다.
이 결과는 고급 지방산 아연과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를 조합하여 경피 투여하면 메탈로티오네인의 유도작용이 비약적으로 증대하는 것에 대응하고 있으며, 고급 지방산 아연이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에 용해됨으로써 경피흡수되어 피부 세포 내에서 메탈로티오네인을 유도하고, 메탈로티오네인의 항산화적 작용에 의해 썬 번 셀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고급 지방산 아연과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를 조합하여 경피 투여함으로써 썬 번 셀의 생성이 억제되며, 그 결과 자외선에 의한 피부 상해, 특히 햇볕에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하기에 본 외용 조성물의 일반적인 처방을 실시예로서 기재한다.
이들 실시예의 조성물에 관해서 상기한 메탈로티오네인 유도작용 시험 및 썬 번 셀 억제작용 시험을 실시한 바, 어느 조성물에 대해서도 각각 「○」 및 「◎」의 판정결과가 얻어진다. 또한, 각 조성물의 냄새에 관해서 전문 패널 3명이 관능평가한 바, 어느 조성물에 대해서도 「냄새의 문제는 전혀 없다」라는 판정결과가 얻어졌다.
따라서, 본 외용 조성물은 어느 제형에서도 소기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됐다.
실시예 1B: 분말 들이 젤
하기에 기재된 처방의 젤을, 수상을 교반 용해시켜 이중에 알콜상을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조제한다.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A.수상
정제수 잔량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5.0
프로필렌글리콜 5.0
글리틸리틴산디칼륨 0.1
히알루론산나트륨 0.05
글루타티온 2.0
카복시비닐 중합체 0.5
수산화칼륨 0.2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설폰산나트륨 0.1
B.알콜상
에탄올 10.0
라우르산아연 2.0
옥틸신남산메틸 10.0
POE(25)옥틸도데실에테르 0.5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I.O.B.= 0.35) 0.05
아세트산토코페롤 0.1
메틸파라벤 0.1
향료 적량
실시예 2B: 유액
하기에 기재된 처방의 유액을, 유성 성분을 수상 성분에 첨가하면서 유화기로 유화함으로써 조제한다.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A.유상
스테아르산 2.0
세탄올 1.0
와세린 2.0
유동 파라핀 9.0
2-에틸헥산산세틸 1.0
호호바유 1.0
스쿠알란 2.0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3.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2.0
라우르산아연 1.0
옥틸신남산메틸 10.0
달맞이꽃 기름 0.5
디파라메톡시신남산모노-2­에틸헥산산글리세릴 1.5
(I.O.B.= 0.52)
POE(10)모노올레에이트 0.1
스테아르산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평균 입자 직경 0.02μm) 5.0
부틸파라벤 0.2
향료 적량
B.수상
프로필렌글리콜 5.0
1,3-부틸렌글리콜 2.0
알부틴 5.0
카복시비닐 중합체 0.2
트리에탄올아민 0.2
N-아세틸시스테인 3.0
아연화 5.0
정제수 잔량
실시예 3B: 크림
하기에 기재된 처방의 크림을, 유성 성분을 수상 성분에 첨가하면서 유화기로 유화함으로써 조제한다.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A.유상
스테아르산 2.0
스테아릴알콜 7.0
환원 라놀린 2.0
올리브유 1.0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3.0
옥틸도데칸올 5.0
POE(25)세틸에테르 3.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 2-에틸헥실 0.5
(I.0.B.= 0.35)
팔미트산덱스트린 처리 산화아연 5.0
(평균 입자 직경 0.04μm)
미리스트산아연 2.0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2.0
옥틸신남산메틸 10.0
프로필파라벤 0.3
향료 적량
B.수상
1,3-부틸렌글리콜 6.0
디프로필렌글리콜 3.0
글리세린 4.0
트라넥삼산 2.0
인산-L-아스코르브산마그네슘 0.1
판토텐산 0.1
글루타티온 2.0
정제수 잔량
실시예 4B: 2층형 화장수
하기에 기재된 처방의 2층형 화장수를, 수상을 교반 분산하여 이중에 알콜상을 첨가함으로써 조제한다.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A.수상
정제수 잔량
프로필렌글리콜 4.0
아란토인 0.2
식염 0.l
벤토나이트 1.0
활석 0.5
셀룰로스 분말 0.5
실리카 1.0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설폰산나트륨 0.1
미립자 산화아연(평균 입자 직경 0.02μm) 1.0
B.알콜상
에탄올 15.0
스테아르산아연 2.0
파라메톡시신남산이소프로필(I.0.B.= 0.49) 3.0
옥틸신남산에틸 8.0
메틸파라벤 0.1
멘톨 0.05
POE(60)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0.5
아세트산토코페롤 0.01
향료 적량
실시예 5B: 필 오프형 팩
하기에 기재된 조성의 필 오프형 팩을, 수상을 교반 용해하여 이중에 알콜상을 첨가함으로써 조제한다.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A.수상
정제수 잔량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5.0
폴리비닐알콜 13.0
플라센터 추출물 0.3
N-아세틸시스테인 0.5
글루타티온 5.0
아연화 1.0
미립자 산화아연(평균 입자 직경 0.1μm) 1.0
B.알콜상
에탄올 7.0
POE(20)올레일알콜에테르 1.0
운데실렌산아연 0.5
파라메톡시신남산옥틸(I.0.B.= 0.35) 5.0
메틸파라벤 0.2
향료 적량
실시예 6B: 햇볕에 타는 것을 방지하는 크림
하기에 기재된 처방의 햇볕에 타는 것을 방지하는 크림을, 유성 성분을 수상성분에 첨가하면서 유화기로 유화함으로써 조제한다.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A.유상
라우르산아연 1.0
운데실렌산아연 0.3
옥틸신남산메틸 10.0
파라메톡시신남산나트륨(I.O.B.≥ 3.ll) 1.0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0
메틸폴리실록산 5.0
POE 글리세롤트리이소스테아르산 에스테르 1.5
유기 변성 점도 광물(벤톤 38) 0.5
실리콘 수지 5.0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05
메틸파라벤 0.5
알루미나 처리 산화티타늄 5.0
실리콘 처리 산화아연 5.0
(평균 입자 직경 0.02μm, 실리콘 처리는 일본 특허공보 제(평)1-54381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실시한다.)
향료 적량
B.수상
1,3-부틸렌글리콜 5.0
글리세린 5.0
EDTA·3Na-2H20 0.5
글루타티온 1.0
정제수 잔량
실시예 7B: 분말 들이 젤
하기에 기재된 처방의 젤을, 수상을 교반 용해시켜 이중에 알콜상을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조제한다.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A.수상
정제수 잔량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5.0
프로필렌글리콜 5.0
글리틸리틴산디칼륨 0.1
히알루론산나트륨 0.05
글루타티온 2.0
카복시비닐 중합체 0.5
수산화칼륨 0.2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설폰산나트륨 0.1
B.알콜상
에탄올 10.0
라우르산아연 2.0
옥틸신남산메틸 10.0
POE(25)옥틸도데실 에테르 0.5
석신산 디2-에틸헥실(I.0.B.= 0.32) 0.05
아세트산토코페롤 0.1
메틸파라벤 0.1
향료 적량
실시예 8B: 유액
하기에 기재된 처방의 유액을, 유성 성분을 수상 성분에 첨가하면서 유화기로 유화함으로써 조제한다.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A.유상
스테아르산 2.0
세탄올 1.0
와셀린 2.0
유동 파라핀 9.0
2-에틸헥산산세틸 1.0
호호바유 1.0
스쿠알란 2.0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3.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2.0
라우르산아연 1.0
테트라 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10.0
(I.0.B.= 0.35)
달맞이꽃 기름 0.5
디파라메톡시신남산모노­2­에틸헥산산글리세릴 1.5
POE(10)모노올레에이트 0.1
스테아르산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평균 입자 직경 0.02μm) 5.0
부틸파라벤 0.2
향료 적량
B.수상
프로필렌글리콜 5.0
1,3-부틸렌글리콜 2.0
알부틴 5.0
카복시비닐 중합체 0.2
트리에탄올아민 0.2
N-아세틸시스테인 3.0
아연화 5.0
정제수 잔량
실시예 9B: 크림
하기에 기재된 처방의 크림을, 유성 성분을 수상 성분에 첨가하면서 유화기로 유화함으로써 조제한다.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A.유상
스테아르산 2.0
스테아릴알콜 7.0
환원 라놀린 2.0
올리브유 1.0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I.0.B.= 0.34) 3.0
옥틸도데칸올 5.0
POE(25)세틸에테르 3.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 2-에틸헥실 0.5
팔미트산덱스트린 처리 산화아연 5.0
(평균 입자 직경 0.04μm)
미리스트산아연 2.0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2.0
트리 2-에틸헥산산글리세릴 10.0
프로필파라벤 0.3
향료 적량
B.수상
1,3-부틸렌글리콜 6.0
디프로필렌글리콜 3.0
글리세린 4.0
트라넥삼산 2.0
인산-L-아스코르브산마그네슘 0.l
판토텐산 0.1
글루타티온 2.0
정제수 잔량
실시예 10B: 2층형 화장수
하기에 기재된 처방의 2층형 화장수를, 수상을 교반 분산하여 이중에 알콜상을 첨가함으로써 조제한다.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A.수상
정제수 잔량
프로필렌글리콜 4.0
아란토인 0.2
식염 0.1
벤토나이트 1.0
활석 0.5
셀룰로스 분말 0.5
실리카 1.0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설폰산나트륨 0.1
미립자 산화아연(평균 입자 직경 0.02μm) 1.0
B.알콜상
에탄올 15.0
스테아르산아연 2.0
파라메톡시신남산이소프로필(I.O.B.= 0.49) 3.0
옥탄산세틸 8.0
메틸파라벤 0.1
멘톨 0.05
POE(60)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0.5
아세트산토코페롤 0.01
향료 적량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용 조성물은 냄새의 문제없이 피부 세포 내에서 메탈로티오네인의 생성을 촉진하여 태양으로부터의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2)

  1. 아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티올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티올 화합물이 글루타티온류 또는 시스테인류인 외용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아연 화합물이 산화아연, 글루콘산아연, 염기성 탄산아연, 염화아연, 라우르산아연, 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아연, 파라페놀설폰산아연, 피리티온산아연, 스테아르산아연, 황산아연, 운데실렌산아연, 아세트산아연, 로진산아연, 리시놀산아연 및 네오데칸산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연 화합물인 외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아연 화합물이 산화아연인 외용 조성물.
  6. 제2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연 화합물의 함유량이, 외용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0중량%인 외용 조성물.
  7. 제2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티올 화합물의 함유량이, 외용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0중량%인 외용 조성물.
  8. 제2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함유되어 있는 티올 화합물이 안정화되어 있는 외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아연 화합물이 고급 지방산 아연이며, I.O.B.값이 0.1 이상인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를 함유하는 외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I.O.B.값이 0.1 이상인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가 오일 성분의 에스테르 유도체, 오일 성분의 카복실 유도체 또는 오일 성분의 카복실산염인 외용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I.O.B.값이 0.1 이상인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가 파라메톡시신남산 유도체, 석신산 디-2-에틸헥실, 테트라 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트리 2-에틸헥산산글리세릴, 옥탄산세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2-에틸헥산산세틸, 팔미트산 2-에틸헥실,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릴,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아디프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탐산 2-옥틸도데실, 아디프산 디-2-헵틸운데실, 라우르산에틸, 세박산 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디-2-헥실데실, 세박산디이소프로필,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아밀 및 시트르산트리에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인 외용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I.O.B.값이 0.1 이상인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가 파라메톡시신남산 유도체인 외용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파라메톡시신남산 유도체가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인 외용 조성물.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급 지방산 아연이 라우르산아연, 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아연, 스테아르산아연, 운데실렌산아연, 카프르산아연, 올레산아연, 로진산아연, 리시놀산아연 및 네오데칸산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고급 지방산 아연인 외용 조성물.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O.B.값이 0.1 이상인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의 함유량이, 외용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0중량%인외용 조성물.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급 지방산 아연의 함유량이, 외용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0중량%인 외용 조성물.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급 지방산 아연이, I.O.B.값이 0.1 이상인 극성 오일 성분 유도체에 용해되어 있는 상태인, 피부 상해 방지용 외용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 상해 방지용 외용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상해를 방지하는, 피부 상해 방지용 외용 조성물.
  20. 제18항에 있어서, 메탈로티오네인의 생성을 촉진하는, 피부 상해 방지용 외용 조성물.
  21. 제18항에 있어서, 피부 세포 내의 썬 번 셀의 생성을 억제하는, 피부 상해 방지용 외용 조성물.
  22. 제18항에 있어서, 햇볕에 타는 것을 방지하는, 피부 상해 방지용 외용 조성물.
KR1020017009401A 1999-01-28 2000-01-27 외용 조성물 KR200101017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20489 1999-01-28
JP11020489A JP2000219607A (ja) 1999-01-28 1999-01-28 外用組成物
JPJP-P-1999-00081643 1999-03-25
JP8164399 1999-03-25
JPJP-P-2000-00010787 2000-01-19
JP2000010787 2000-01-19
PCT/JP2000/000401 WO2000044341A1 (fr) 1999-01-28 2000-01-27 Compositions destinees a un usage exter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715A true KR20010101715A (ko) 2001-11-14

Family

ID=2728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401A KR20010101715A (ko) 1999-01-28 2000-01-27 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145707A4 (ko)
KR (1) KR20010101715A (ko)
AU (1) AU2319400A (ko)
WO (1) WO20000443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574B1 (ko) * 2019-10-08 2021-02-01 주식회사 에스엔비아 싸이올 화합물 소취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054800A (en) 1999-06-25 2001-01-31 Arch Chemicals, Inc. Pyrithione biocides enhanced by silver, copper, or zinc ions
US7674785B2 (en) 2000-06-22 2010-03-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pical anti-microbial compositions
EP1496887B1 (en) 2002-04-22 2016-08-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zinc containing material in an aqueous surfactant composition
ATE460918T1 (de) * 2002-05-10 2010-04-15 Maria Klewinghaus 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als pharmazeutische oder kosmetische formulierung zur äusserlichen anwendung
US9381148B2 (en) 2003-03-18 2016-07-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comprising particulate zinc material with a high relative zinc lability
US9381382B2 (en) 2002-06-04 2016-07-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comprising a particulate zinc material, a pyrithione or a polyvalent metal salt of a pyrithione and a gel network
US8491877B2 (en) * 2003-03-18 2013-07-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comprising zinc-containing layered material with a high relative zinc lability
WO2004062580A2 (en) * 2003-01-03 2004-07-29 Epien Medical, Inc Odorless formulation for treating mucosal discontinuities
JP2004277308A (ja) * 2003-03-13 2004-10-07 Mitsui & Co Ltd 紫外線誘導活性酸素抑制剤
JP2007261946A (ja) * 2004-06-18 2007-10-11 Ajinomoto Co Inc アシルアミノ酸亜鉛塩から成る炎症抑制剤
US20070009472A1 (en) * 2005-07-06 2007-01-11 Niebauer Michael F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non-binding thickener with a metal ion
US7993629B2 (en) 2008-12-23 2011-08-09 Avon Products, Inc.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CIS-6-nonenol and its derivatives and methods for treating skin
EP2283805A1 (en) * 2009-07-28 2011-02-16 Sirvis BV Compositions comprising a zinc containing compound dissolved in a hydrophobic phase
MX368365B (es) 2009-12-22 2019-09-30 Avon Prod Inc Composiciones estimuladoras de paxilina y usos cosmeticos de las mismas.
EP2588068A2 (en) * 2010-06-30 2013-05-08 Galderma S.A. Moisturizing composition with spf 30
JP6983664B2 (ja) * 2016-01-29 2021-12-17 株式会社カネカ ペプチド含有組成物並びにペプチドの安定化剤、安定化方法及び保存方法
GB201614961D0 (en) * 2016-09-02 2016-10-19 Relaxsol Ltd Compounds and compositions for use
PL3538058T3 (pl) * 2016-11-10 2022-04-19 Givaudan Sa Środek dezodoryzujący zawierający neodekanian cynku
CN116115526A (zh) * 2023-02-16 2023-05-16 塔里木大学 一种以骆驼驼峰和蛭石为原料制备护肤防晒霜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9964A (en) * 1965-07-13 1969-02-25 Martin M Rieger Cosmetic stick composition
DE2608123B2 (de) * 1975-03-12 1981-07-23 Colgate-Palmolive Co., 10022 New York, N.Y. Antischweißmittel in Aerosolform
AU8561975A (en) * 1975-05-23 1977-04-21 Dart Ind Inc Deodorant
FR2394290A1 (fr) * 1977-06-13 1979-01-12 Unilever Nv Composition desodorisante pour application topique sur la peau
NO149199C (no) * 1977-08-26 1984-03-07 Unilever Nv Antitranspirasjonspreparat.
US4384974A (en) * 1979-07-27 1983-05-24 Revlon, Inc. Stable water-in-oil emulsions
US4508705A (en) * 1980-07-02 1985-04-02 Lever Brothers Company Skin treatment composition
US4664909A (en) * 1980-12-29 1987-05-12 Colgate-Palmolive Company Stable suspension of powder in alcoholic media
SU1165396A1 (ru) * 1983-04-21 1985-07-07 Краснодар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ищев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Крем дл кожи лица
IL95393A0 (en) * 1989-08-18 1991-06-30 John Morris Co Odor-masked and stabilized compositions for treating keratinous tissue,skin conditions,and promoting wound healing
FR2651125B1 (fr) * 1989-08-23 1992-10-02 Roussel Uclaf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de type "pates a l'eau".
TW222591B (ko) * 1991-08-30 1994-04-21 Procter & Gamble
TW233264B (ko) * 1992-02-03 1994-11-01 Otsuka Pharma Co Ltd
DE4223464A1 (de) * 1992-07-16 1994-01-20 Bayer Ag Kosmetisches Sonnenschutzmittel
DE4238032A1 (de) * 1992-11-11 1994-05-19 Henkel Kgaa Hautkonditionierende Bernsteinsäure-Derivate
JPH10505326A (ja) * 1994-07-01 1998-05-26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落屑組成物
JPH08268856A (ja) * 1995-03-31 1996-10-15 Shiseido Co Ltd 日焼け止め化粧料
KR100472632B1 (ko) * 1995-09-29 2005-07-04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유중수형에멀션화장품조성물
US5733535A (en) * 1995-10-25 1998-03-31 The Procter & Gamble Co.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N-acetylcysteine and odor masking materials
US5667791A (en) * 1996-05-31 1997-09-16 Thione International, Inc. X-ray induced skin damage protective composition
JPH10130130A (ja) * 1996-10-24 1998-05-19 Rejino Color Kogyo Kk 日焼け止め化粧料製造用ペース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12211A (ja) * 1997-01-29 1998-08-11 Natl Inst For Res In Inorg Mater 化粧料
JPH10259142A (ja) * 1997-03-14 1998-09-29 Shiseido Co Ltd 化粧料
TW575422B (en) * 1997-03-30 2004-02-11 Shiseido Co Ltd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stress
US6169114B1 (en) * 1997-09-26 2001-01-02 Shiseido Company, Ltd. Endermic liniment containing a thiol compound and zinc oxide
DE19811692A1 (de) * 1998-03-18 1999-09-23 Merck Patent Gmbh Sonnenschutzformulierungen mit Wirkung gegen Herpes Simplex Viren
BR9914250B1 (pt) * 1998-10-02 2012-08-21 compostos de bifenila substituìdos por cánfora ou derivados de hidantoìna, processo de preparação dos referidos compostos, formulação cosmética contendo os mesmos e uso não terapêutico relacionad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574B1 (ko) * 2019-10-08 2021-02-01 주식회사 에스엔비아 싸이올 화합물 소취용 조성물
WO2021071308A1 (ko) * 2019-10-08 2021-04-15 주식회사 에스엔비아 싸이올 화합물 소취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44341A1 (fr) 2000-08-03
EP1145707A4 (en) 2005-08-31
AU2319400A (en) 2000-08-18
EP1145707A1 (en) 200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1715A (ko) 외용 조성물
JP3542665B2 (ja) 抗老化皮膚外用剤、コラーゲン架橋阻害皮膚外用剤及び抗紫外線皮膚外用剤
KR100844036B1 (ko) 화장료
JP5352117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3660656B2 (ja) 皮膚外用剤
JP5461010B2 (ja) 皮膚外用剤
JP6136043B1 (ja) リップル相含有組成物、αゲル形成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皮膚外用組成物およびαゲル組成物
JPH09255526A (ja) 老化防止化粧料
JPH09291019A (ja) 紫外線吸収性組成物
KR100570505B1 (ko) 피부외용제
KR100379661B1 (ko) 피부 외용제
JP2981523B2 (ja) 皮膚外用剤
JPH0640886A (ja) 皮膚外用剤
JP2005001999A (ja) 紫外線防護用化粧料
JP2000219607A (ja) 外用組成物
WO2017130655A1 (ja) αゲル形成用組成物及びαゲル組成物
JP3925961B2 (ja) 化粧料
JPH09235216A (ja) 紫外線吸収性皮膚化粧料
JP2001270815A (ja) 外用組成物
EP0914815A1 (en)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stress
JP3441387B2 (ja) 保湿剤及び皮膚化粧料並びに入浴剤
JP2002265342A (ja) 紫外線防御化粧料
JPH08259424A (ja) 油中水型乳化製剤
JP3520149B2 (ja) 肌荒れ改善用皮膚外用剤
JP3459856B2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