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0205A - 신규한 단분자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포함하는 디엔 중합용 촉매 - Google Patents

신규한 단분자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포함하는 디엔 중합용 촉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0205A
KR20010100205A KR1020000013271A KR20000013271A KR20010100205A KR 20010100205 A KR20010100205 A KR 20010100205A KR 1020000013271 A KR1020000013271 A KR 1020000013271A KR 20000013271 A KR20000013271 A KR 20000013271A KR 20010100205 A KR20010100205 A KR 20010100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catalyst
halogen
polymeriza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2764B1 (ko
Inventor
곽광훈
이승훤
장영찬
김아주
Original Assignee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찬구
Priority to KR102000001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764B1/ko
Priority to JP2000204847A priority patent/JP3828340B2/ja
Priority to TW089120926A priority patent/TWI224601B/zh
Priority to AU76916/00A priority patent/AU7691600A/en
Priority to PCT/KR2000/001121 priority patent/WO2001068716A2/en
Priority to EP00309069A priority patent/EP1134233B1/en
Priority to DE60035769T priority patent/DE60035769T2/de
Priority to AT00309069T priority patent/ATE368689T1/de
Priority to US09/690,385 priority patent/US6482930B1/en
Publication of KR20010100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205A/ko
Priority to US10/146,312 priority patent/US650686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08Isop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C07F5/003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without C-Metal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06Butadi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화합물 NdHA4(A: 카르복실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디엔 중합용 촉매에 관한 것으로서, 신규한 단분자 니오디뮴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NdHA4)을 얻고, 여기에 할로겐 화합물 및 유기금속화합물을 포함하여 촉매를 조성하여 1,3-부타디엔(BD) 또는 이소프렌을 중합하는 경우 니오디뮴의 활성도를 4.0 ×10-5mol Nd/100g BD 까지 보이고, 1,4-시스의 함량이 96이상이며, 겔이 없는 폴리디엔을 제공하므로 타이어용 뿐만 아니라 폴리스티렌 개질제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단분자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엔 중합용 촉매{Novel monomeric neodymium carboxylates and their use in the polymerization of conjugated dienes}
본 발명은 신규한 단분자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엔 중합용 촉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할로겐 화합물 및 유기금속화합물 등과 함께 1,3-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 중합에 사용될 수 있는 신규한 단분자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촉매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여러 방법이 있는 데 공통적으로 화학식은 Nd(OOCR)3(여기서, R=알킬기)이다.
WO 제97/36850호와 제98/39283호, 영국특허 제2,140,435호, 유럽특허 제512,346호와 제599,096호, 미국특허 제5,428,119호, 제5,449,387호 및 제5,360,898호, 그리고 Polymer(vol 26,1985, p 147) 등에서는 란타나이드 카르복실레이트염을 란타나이드 클로라이드, 란타나이드 나이트레이트 또는 란타나이드옥사이드와 카르복실레이트 수용액과 반응시킨 후 유기용제로 추출하여 폴리부타디엔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5,220,045호에는 수용액 니오디뮴 나이트레이트를 유기용매에 녹아 있는 유기산과 암모니아나 유기염기 하에서 반응시킨 후에 공비를 이용하여 물을 제거한 후 원하는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Paul, R. C., Singh, G., Ghota, J. S.가 발표(Indian J. Chem. vol 11, p294, 1973)한 리간드 교환법에 의한 란타나이트 카르복실레이드 제조법 등이 있다.
이러한 희토류계 촉매는 일반적으로 니오디뮴 화합물, 유기 알루미늄 조촉매 및 할로겐 화합물로부터 제조되고 있으며, 이중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가 특히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에 의해서는 니오디뮴 촉매의 활성이 불과 7(Porri. L. et al, Polymer Preprint, 1998, Spring p214) 밖에 되지 않으며, 특히 겔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기존의 니오디뮴 카르복실기 촉매를 사용할 때 수용액에서 제조한 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올리고머의 니오디뮴 카르복실기가 다량 존재하고, 이 올리고머가 겔을 형성시키고 수율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며 결과적으로 활성이 낮아지는 데 기인한다. 특히 나이트레이트, 클로라이드, 설페이트류와 같은 염은 생성물에 함유되어 있을 때 제거가 쉽지 않고, 니오디뮴 화합물을 합성할 때 사용되는 물,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등), 에테르(테트라하이드로푸란, 에틸에테르),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등 용매가 니오디뮴 화합물과 배위하여 촉매의 활성도 및 촉매의 응집을 촉진한다(Polyhedron vol8, No. 17, 1989, p2183; J. Mater. Chem. 8, 1998, p2737).
한편, 종래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하여 높은 1,4-시스를 갖는 폴리부타디엔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를 들면, (1)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2)알킬알루미늄 화합물 및 (3)루이스산으로 이루어진 촉매와 비극성용매 존재 하에 1,4-시스-폴리부타디엔을 제조하는 방법이 유럽특허 제11184호와 제652240호 및 미국특허 제4,260,707호와 제5,017,53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고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디엔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활성이 높으며, 겔형성이 없는 촉매를 개발하고자 연구노력한 결과, 니오디뮴 촉매의 제조시 단분자 형태의 니오디듐 촉매를 합성하여, 이를 할로겐 화합물 및 유기금속화합물과 함께 폴리디엔의 제조에 사용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이 높고, 폴리디엔의 제조시 겔의 형성이 없 는 신규한 단분자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와같은 신규한 단분자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를 포함하는 1,3-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 중합용 촉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촉매를 사용하여 1,4-시스의 함량이 96이상인 폴리디엔을 제조하는 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규한 단분자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는 NdHA4(여기서, A는 탄소원자수 8∼20의 카르복실레이트이다)로 표현되는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엔 중합용 촉매는 (가)NdHA4(여기서, A는 탄소원자수 8∼20의 카르복실레이트이다);
(나) 할로겐 화합물; 및
(다) 유기금속화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니오디뮴 화합물은 NdHA4로 표시되며, 여기서 A는 탄소원자수 8∼20의 카르복실레이트이다.
상기 구조식에서 A의 구체적인 예로는 네오데카노에이트(또는 버스테이트), 옥토에이트 또는 나프터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클로로벤젠과 같은 유기용매 하에서 니오디뮴 아세테이트 또는 니오디뮴 알콕사이드와 카르복실산의 리간드교환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한 카르복실산으로는 버스틱산, 2-에틸헥사노익산, 나프틴산 또는 스티어릭산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단분자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NdHA4)은 할로겐화합물 및 유기금속화합물과 섞인 후 활성화되어 폴리디엔 촉매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NdHA4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니오디뮴화합물이 갖는 최소 배위수인 8을 만족시킨 화합물로서, 단분자의 구조를 가져 니오디뮴화합물의 엉김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저장안정성이 뛰어나며, 니오디뮴 활성이 높고, 이를 사용하여 중합시 폴리디엔의 겔 형성을 막을 수 있다.
특히, 비수용액 중합법을 이용하여 얻은 니오디뮴 네오데카노에이트는 중성이고, 물이 배위되지 않으며, 소듐 네오데카노에이트 염이 불순물로 배위되지 않아 물성조절이 용이하고, 겔형성의 염려가 없다.
한편, 상기의 (가)니오디뮴 화합물을 포함하여 1,3-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 중합에 사용되는 촉매를 구성하는 각각의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나)할로겐 화합물
할로겐 화합물은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들 들면, R1 nAlXn-3로 표시되는 알루미늄할로겐화합물(여기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 아릴기이고, X는 할로겐원자이며, n은 3이하의 정수이다) 또는 상기 알루미늄할로겐화합물에서 알루미늄을 보론, 실리콘, 주석 또는 티타늄으로 치환시킨 무기할로겐화합물 또는 유기할로겐 화합물인 바, 여기서 유기할로겐 화합물은 특히t-알킬할로겐화합물(탄소원자수 4∼20)이다.
(다)유기금속화합물
유기금속화합물 또한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AlR2 3로 표시되는 알킬알루미늄화합물, MgR2 2로 표시되는 알킬마그네슘화합물 또는 LiR2로 표시되는 알킬리튬화합물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아릴알킬, 알콕시기이다.
구체적으로 유기금속화합물로는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알루미늄, 트리부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헥실알루미늄,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디부틸마그네슘, 디에틸마그네슘 또는 n-부틸리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분자 니오디뮴 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할로겐 화합물 및 유기금속화합물과 혼합한 후 활성화하여 이를 폴리디엔 중합용 촉매로 사용하는 바,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촉매와 비극성용매의 존재 하에 디엔을 20∼200℃의 온도로 30분∼3시간 동안 중합시킨다.
이와같은 촉매시스템을 사용하여 폴리디엔을 중합하는 경우 1,4-시스의 함량이 96이상인 폴리디엔을 제조할 수 있는 바, 촉매활성이 높으며(4.0 ×10-5mol Nd/100g BD), 폴리디엔의 제조시 겔의 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촉매는 (가)단분자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나)할로겐화합물 및 (다)유기금속화합물을 질소분위기 중에서 혼합한 후, 비극성 용매 중에서 -30∼60℃의 온도에서 5분∼2시간 동안 숙성하여 사용하거나, 부타디엔과 용매가 들어 있는 반응기에 촉매 (나)-(다)-(가), (다)-(나)-(가) 또는 (가)-(나)-(다)를 순차적으로 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가)성분에 대한 (나)성분의 몰비는 1:1∼1:20이 바람직하고, (가)성분에 대한 (다)성분의 몰비는 1:20∼1:200이 바람직하다.
중합에 사용되는 용매는 촉매성분들과 반응성이 없는 비극성용매가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펜탄, 헥산, 이소펜탄, 헵탄, 옥탄, 이소옥탄 등과 같은 지방족탄화수소계 용매; 시클로펜탄, 메틸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 등과 같은 시클로지방족탄화수소계 용매;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촉매를 제조할 때 디엔을 첨가할 수도 있는데, 디엔의 첨가에 의해 촉매의 활성을 유지할 수 있고, 침전의 생성을 막을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폴리부타디엔의 물성을 조절할 수 있다. 디엔의 첨가량은 (가)성분인 니오디뮴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에 대하여 2∼10배의 양이다.
촉매를 제조하기 위한 각 성분의 투입순서는 디엔이 함유되어 있는 니오디뮴카르복실레이트 용액을 질소분위기의 촉매반응기에 넣고, 그 다음 할로화합물과 유기금속화합물을 투입하는데, 투입순서는 공정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촉매를 사용하여 비극성용매 중에서 1,3-부타디엔을 20∼200℃의 온도로 30분∼3시간 동안 중합시키면, 1,4-시스의 함량이 95이상이고,분자량이 100,000∼2,000,000이며, 무니점도(ML1+4,100℃)가 10∼100정도인 폴리부타디엔을 얻을 수 있다.
폴리부타디엔의 제조시 1,3-부타디엔과 비극성용매의 비율은 1:1∼10이 바람직하다.
한편, 1,3-부타디엔의 중합반응을 완료시키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반응정지제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포스페이트와 산화방지제인 2,6-디-t-부틸파라크레졸을 첨가한다. 최종적으로 폴리부타디엔은 메틸알코올이나 에틸알코올 혹은 스팀을 부가하여 폴리부타디엔을 침전시켜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NdH(neodecanoate)4제조
클로로벤젠(80㎖), 니오디뮴 아세테이트(3.2g), 네오데카노익산(A, NEO ACIDS C10/Exxon Chemicals, 8.6g, 분자량 173.7)을 100㎖ 둥근플라스크에 넣고 교반하면서 비점까지 가열하여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진공(10torr)을 이용하여 클로로벤젠을 로터리-진공증류장치(50℃)를 통하여 제거하고, 젤크로마토그라피(Bio-RAD, S-X12, 톨루엔)를 이용하여 니오디뮴 단분자를 분리하여 푸른 보라색의 생성물을 얻었다(수율 80).
질량분석(MALDI Mass Spectroscopy)을 통하여 구조를 확인한 결과, 생성물은 NdH(neodecanoate)4([M+1]=838.7)이었다.
실시예 2:NdH(C8H15COOH)4제조
클로로벤젠(80㎖), 니오디뮴 아세테이트(3.2g), 2-에틸헥사노익산(C8H15COOH, 7.3g)을 100㎖ 둥근플라스크에 넣고 교반하면서 비점까지 가열하여 3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진공(10 torr)을 이용하여 클로로벤젠을 로터리-진공증류장치(50℃)를 통하여 제거한 후, 젤크로마토그라피 통과후 푸른 보라색의 생성물을 얻었다(수율 74).
중합예 1
400㎖ 압력유리반응기에 질소를 충분히 불어 넣어준 후, 시클로헥산(150㎖), 1,3-부타디엔(30g), 염화디에틸알루미늄 및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및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을 부가하고, 40℃에서 30분간 숙성시킨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단분자 니오디뮴 네오데카노에이트를 부가하고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니오디뮴 네오데카노에이트는 1.0의 시클로헥산 용액이고, 염화디에틸알루미늄 및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및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은 15의n-헥산용액이며, 각 촉매성분의 몰비는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단분자 니오디뮴 네오데카노에이트중 니오디뮴의 함량은 단분자 100g당 0.9×10-4몰이다.
그 다음, 2,6-디-t-부틸파라크레졸, 폴리옥시에틸렌포스페이트 및 에탄올을 부가하여 폴리부타디엔을 얻었다.
생성된 폴리부타디엔의 용액점도(Solution Viscosity)는 5.3톨루엔 용액에서우베로드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무니점도(Mooney Viscosty), 시스함량(cis-content), 분자량(Mw) 및 분자량 분포(Molecular Weight Distribution)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중합예 2∼3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단분자 니오디뮴 네오데카노에이트로 상기 중합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부타디엔을 제조하여, 용액점도, 무니점도, 시스함량, 분자량, 분자량분포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중합예 Nd 함량(10-4mol/단분자 100g) 몰비(molar ratio) S/M SV MV cis 함량() Mw(105) MWD
NdN / DEAC / Al(D/T)
1 0.9 1 / 3 / 60(30/30) 5 226 35.3 97.2 3.38 3.92
2 0.6 1 / 3 / 90(20/50) 4 230 44.8 96.3 4.05 3.80
3 0.3 1 / 3 / 170(20/150) 4 297 51.2 97.0 4.42 3.72
NdN : NdH(neodecanoate)4DEAC : Diethylaluminum chlorideD : Diisobutylaluminum hydrideT : Triisobutylaluminum
중합예 6∼8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니오디뮴 촉매(NdH(8H15COO)4)로 상기 중합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부타디엔을 제조하였다. 용액점도, 무니점도, 시스함량, 분자량, 분자량분포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중합예 Nd 함량(10-4mol/단분자 100g) 몰비(molar ratio) S/M SV MV cis() Mw(105) MWD
NdO / DEAC / Al(D/T)
4 1.1 1 / 3 / 70(20/50) 5 277 40.1 96.5 4.13 3.90
5 0.7 1 / 3 / 60(10/70) 5 468 65.8 97.2 5.20 4.20
6 0.4 1 / 3 /140(40/100) 5 299 54.6 96.5 5.07 4.23
Nd : NdH(octoate)4DEAC : Diethylaluminum chlorideD : Diisobutylaluminum hydrideT : Triisobutylaluminum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분자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를 디엔중합촉매로 사용하는 경우 니오디뮴 높은 활성도(4.0 ×10-5mol Nd/100g BD)를 보였고, 시스함량이 96이상이며, 겔이 없는 폴리부타디엔을 얻을 수 있었다.

Claims (9)

  1.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단분자 니오디뮴 화합물.
    NdHA4
    상기 식에서, A는 탄소원자수 8∼20의 카르복실레이트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NdHA4는 NdH(네오데카노에이트)4, NdH(옥토에이트)4및 NdH(나프터네이트)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한 단분자 니오디뮴 화합물.
  3. (가) 제 1 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단분자 니오디뮴 화합물;
    (나) 할로겐 화합물; 및
    (다) 유기금속화합물을 포함하는 디엔 중합용 촉매.
  4. 제 3 항에 있어서, (나)할로겐 화합물은 R1 nAlXn-3로 표시되는 알루미늄할로겐화합물(여기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 아릴기이고, X는 할로겐원자이며, n은 3이하의 정수이다), 또는 상기 알루미늄할로겐화합물에서 알루미늄이 보론, 실리콘, 주석 및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으로 치환된 무기할로겐화합물 또는 유기할로겐화합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엔 중합용 촉매.
  5. 제 4 항에 있어서, 유기할로겐화합물은t-알킬할로겐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엔 중합용 촉매.
  6. 제 3 항에 있어서, (다)유기금속화합물은 AlR2 3로 표시되는 알킬알루미늄화합물(여기서,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아릴알킬, 알콕시기이다), MgR2 2(여기서, R2는 상기와 같다)로 표시되는 알킬마그네슘화합물 및 LiR2(여기서, R2는 상기와 같다)로 표시되는 알킬리튬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엔 중합용 촉매.
  7.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유기금속화합물은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알루미늄, 트리부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헥실알루미늄,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디부틸마그네슘, 디에틸마그네슘 및 n-부틸리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엔 중합용 촉매.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엔은 1,3-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엔 중합용 촉매.
  9. 제 3 항의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1,4-시스 함량이 95이상이고, 분자량이 100,000∼2,000,000이며, 무니점도 10∼100인 폴리디엔.
KR1020000013271A 2000-03-16 2000-03-16 신규한 단분자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포함하는 디엔 중합용 촉매 KR100352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271A KR100352764B1 (ko) 2000-03-16 2000-03-16 신규한 단분자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포함하는 디엔 중합용 촉매
JP2000204847A JP3828340B2 (ja) 2000-03-16 2000-07-06 単分子カルボン酸ネオジム化合物及びこの化合物を含むジエン重合用触媒
TW089120926A TWI224601B (en) 2000-03-16 2000-10-06 Novel monomeric neodymium carboxylate and its use in polymerization of conjugated diene
PCT/KR2000/001121 WO2001068716A2 (en) 2000-03-16 2000-10-09 Novel monomeric neodymium carboxylate and its use in polymerization of conjugated diene
AU76916/00A AU7691600A (en) 2000-03-16 2000-10-09 Novel monomeric neodymium carboxylate and its use in polymerization of conjugated diene
EP00309069A EP1134233B1 (en) 2000-03-16 2000-10-16 Novel monomeric neodymium carboxylate and its use in polymerization of conjugated diene
DE60035769T DE60035769T2 (de) 2000-03-16 2000-10-16 Neodymium-Carboxylatederivate und ihre Verwendung für die Polymerisation von konjugierten Dienen
AT00309069T ATE368689T1 (de) 2000-03-16 2000-10-16 Neodymium-carboxylatederivate und ihre verwendung für die polymerisation von konjugierten dienen
US09/690,385 US6482930B1 (en) 2000-03-16 2000-10-17 Monomeric neodymium carboxylate and its use in polymerization of conjugated diene
US10/146,312 US6506865B2 (en) 2000-03-16 2002-05-15 Monomeric neodymium carboxylate and its use in polymerization of conjugated die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271A KR100352764B1 (ko) 2000-03-16 2000-03-16 신규한 단분자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포함하는 디엔 중합용 촉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120A Division KR100384813B1 (ko) 2002-06-14 2002-06-14 고 1,4-시스 폴리부타디엔 및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205A true KR20010100205A (ko) 2001-11-14
KR100352764B1 KR100352764B1 (ko) 2002-09-16

Family

ID=1965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271A KR100352764B1 (ko) 2000-03-16 2000-03-16 신규한 단분자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포함하는 디엔 중합용 촉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6482930B1 (ko)
EP (1) EP1134233B1 (ko)
JP (1) JP3828340B2 (ko)
KR (1) KR100352764B1 (ko)
AT (1) ATE368689T1 (ko)
AU (1) AU7691600A (ko)
DE (1) DE60035769T2 (ko)
TW (1) TWI224601B (ko)
WO (1) WO2001068716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0764A1 (ko) * 2014-11-20 2016-05-2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액 디엔의 중합용 촉매 조성물
WO2023158211A1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촉매 조성물 제조방법 및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WO2023158209A1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촉매 조성물 제조방법 및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WO2023158210A1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촉매 조성물 제조방법 및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WO2023158208A1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촉매 조성물 제조방법 및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4737B1 (fr) * 2000-10-03 2003-08-29 Rhodia Terres Rares Compose anhydre a base d'un halogenure de terre rare ou de gallium,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on utilisation comme catalyseur
WO2002028776A1 (fr) * 2000-10-03 2002-04-11 Rhodia Electronics And Catalysis Composes d'addition de terre rare ou de gallium, procedes pour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catalyseur
JP3984459B2 (ja) * 2001-11-20 2007-10-03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用ゴム組成物
US7094849B2 (en) 2003-12-15 2006-08-22 Bridgestone Corporation Bulk polymerization process for producing polydienes
DE102004022676A1 (de) * 2004-05-07 2005-12-15 Bayer Ag Hydrierte Copolymerisate aus nicht substituierten und substituierten konjugierten Dienen
JP5072191B2 (ja) * 2005-03-30 2012-11-1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共役ジエン重合用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共役ジエン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ITMI20080570A1 (it) * 2008-04-02 2009-10-03 Polimeri Europa Sp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polibutadiene ramificato ad alto contenuto in unita' 1,4-cis
EP2311889A1 (de) * 2009-10-16 2011-04-20 LANXESS Deutschland GmbH Neodym-katalysierte Polybutadiene
US9000107B2 (en) 2011-01-31 2015-04-07 Bridgestone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polydienes
US9362560B2 (en) 2011-03-08 2016-06-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ilicate cathode for use in lithium ion batteries
US9281515B2 (en) 2011-03-08 2016-03-08 Gholam-Abbas Nazri Lithium battery with silicon-based anode and silicate-based cathode
JP6231997B2 (ja) 2012-02-27 2017-11-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高シスポリジエンを調製する方法
US20150087500A1 (en) 2013-09-26 2015-03-26 Lg Chem, Ltd, Novel neodymium compound and catalyst for diene polymerization including the same
KR101627406B1 (ko) * 2013-09-26 2016-06-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네오디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엔 중합용 촉매
CN105330773B (zh) * 2014-07-10 2018-04-1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稀土催化剂用组合物和一种稀土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6057985A1 (en) 2014-10-10 2016-04-14 Bridgestone Corporation Polymerization catalyst composition and method of employing same
US10316121B2 (en) 2015-01-28 2019-06-11 Bridgestone Corporation Cis-1,4-polydienes with improved cold flow resistance
EP3250616B1 (en) 2015-01-28 2019-01-23 Bridgestone Corporation Aged lanthanide-based catalyst systems and their use in the preparation of cis-1,4-polydienes
JP6268119B2 (ja) * 2015-04-09 2018-01-2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ポリブタジエン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ゴム組成物及びタイヤ
US10202474B2 (en) 2015-09-11 2019-02-12 Bridgestone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polydienes
US10730985B2 (en) 2016-12-19 2020-08-04 Bridgestone Corporation Functionalized polymer, process for preparing and rubber compositions containing the functionalized polymer
CN111630075B (zh) 2017-12-15 2023-04-28 株式会社普利司通 官能化聚合物、用于制备该官能化聚合物的方法和含有该官能化聚合物的橡胶组合物
WO2019133633A1 (en) 2017-12-30 2019-07-04 Bridgestone Corporation Composition including multiple terminally functionalized polymers
JP7213980B2 (ja) * 2018-12-21 2023-01-2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変性共役ジエン系重合体及びこれを含むゴム組成物
EP3875502B1 (en) * 2018-12-21 2023-02-15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modified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US11584808B2 (en) 2019-12-30 2023-02-21 Bridgestone Corporation Polymerization catalyst composition and method of employing same
CN111848849B (zh) * 2020-07-01 2021-02-19 浙江传化合成材料有限公司 镍系顺丁橡胶和稀土系顺丁橡胶的连续制备工艺
EP4206234A1 (en) 2020-08-27 2023-07-05 DIC Corporation Polymerization catalyst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polymerization catalyst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conjugated diene polym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51542B (it) * 1982-04-15 1986-12-24 Anic Spa Procedimento per la polimerizzazione di diolefine coniugate e mezzi adatti allo scopo
IT1164238B (it) * 1983-05-25 1987-04-08 Anic Spa Procedimento per la polimerizzazione del butadiene
IT1191614B (it) * 1985-05-15 1988-03-23 Enichem Elastomers Procedimento migliorato per la polimerizzazione o copolimerizzazione del butadiene
IT1191612B (it) * 1985-05-15 1988-03-23 Enichem Elastomers Procedimento migliorato per la polimerizzazione o copolimerizzazione del butadiene
GB8830007D0 (en) * 1988-12-22 1989-02-15 Enichem Elastomers Polymerization of butadiene
IT1230756B (it) * 1989-02-17 1991-10-29 Enichem Elastomers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polibutadiene a lavorabilita' migliorata.
EP0564081B1 (en) 1992-02-28 1997-04-23 Sentrachem Limited Production of an organic salt of a rare earth metal
US5449387A (en) 1992-06-17 1995-09-12 Rhone-Poulenc Chemicals Limited Cerium (IV) catalyst compounds and promoting combustion of hydrocarbon fuels therewith
FR2698290B1 (fr) * 1992-11-23 1995-03-24 Michelin & Cie Catalyseur de polymérisation de dioléfines, son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son application à la préparation de polymères.
US5428119A (en) * 1993-11-09 1995-06-27 Polysar Rubber Corporation Process for polybutadiene production using catalyst with high activity
DE4436059A1 (de) * 1994-10-10 1996-04-11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ttels Nd-Katalysatoren polymerisierten Dienkautschuken mit niedrigem cold-flow und geringem Eigengeruch
DE19512127A1 (de) * 1995-04-04 1996-10-10 Bayer Ag Neuer Katalysator für die Gasphasenpolymerisation von konjugierten Dienen
US5783676C1 (en) 1996-03-29 2002-03-12 Rhodia Rare Earths Inc Synthesis of solid powdery rare earth carboxylates by a precipitation method
US6054563A (en) * 1997-03-05 2000-04-25 Rhodia Chimie Preparation of solid, powdery rare earth carboxylates by evaporation method
IT1296572B1 (it) * 1997-11-27 1999-07-14 Enichem Spa Complessi catalitici a base di lantanidi per la (co)polimerizzazione di dieni coniugati
KR100344230B1 (ko) * 1999-10-13 2002-07-24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산소분자를 이용한 하이드록시 고 1,4-시스 폴리부타디엔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0764A1 (ko) * 2014-11-20 2016-05-2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액 디엔의 중합용 촉매 조성물
WO2023158211A1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촉매 조성물 제조방법 및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WO2023158209A1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촉매 조성물 제조방법 및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WO2023158210A1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촉매 조성물 제조방법 및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WO2023158208A1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촉매 조성물 제조방법 및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34233B1 (en) 2007-08-01
KR100352764B1 (ko) 2002-09-16
WO2001068716A2 (en) 2001-09-20
JP2001261683A (ja) 2001-09-26
US6506865B2 (en) 2003-01-14
WO2001068716A3 (en) 2002-08-22
AU7691600A (en) 2001-09-24
DE60035769T2 (de) 2008-04-30
ATE368689T1 (de) 2007-08-15
TWI224601B (en) 2004-12-01
EP1134233A1 (en) 2001-09-19
US6482930B1 (en) 2002-11-19
DE60035769D1 (de) 2007-09-13
JP3828340B2 (ja) 2006-10-04
US20020173606A1 (en) 200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2764B1 (ko) 신규한 단분자 니오디뮴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포함하는 디엔 중합용 촉매
KR100356384B1 (ko) 폴리디올레핀제조용촉매계와그제조방법
KR100365581B1 (ko)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의 제조방법
KR100416409B1 (ko) 실록산 화합물로 말단 변성된 고 1,4-시스 폴리부타디엔의제조방법
JP4208346B2 (ja) 共役ジエンの重合における有機亜鉛及び希土類触媒系
KR100298571B1 (ko)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의 제조방법
KR100348763B1 (ko)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의 분지도 조절방법
US5877336A (en) Synthesis of tributyltin lithium
KR100344230B1 (ko) 산소분자를 이용한 하이드록시 고 1,4-시스 폴리부타디엔의 제조방법
KR100384813B1 (ko) 고 1,4-시스 폴리부타디엔 및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264513B1 (ko) 고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의 분지도 조절방법
KR20090016983A (ko) 이형원자가 배위된 단분자 알루미늄과 코발트가 함유된촉매와 이를 이용한 폴리부타디엔의 제조방법
KR100729433B1 (ko) 높은 용해도를 갖는 단분자 니켈 카르복실레이트 및 이를이용한 디엔 중합용 촉매
JPH0359083B2 (ko)
KR100295600B1 (ko) 높은1,4-시스함량을갖는폴리부타디엔의제조방법
KR101627406B1 (ko) 신규한 네오디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엔 중합용 촉매
KR100336519B1 (ko) 1,3-부타디엔의 중합방법
KR100305670B1 (ko) 단분자 형태의 알루미늄 촉매를 이용한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의 제조방법
KR100462663B1 (ko)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의 제조방법
JPH04154819A (ja) 共役ジェン類重合体の製造方法
KR100308781B1 (ko) 폴리부타디엔의 분자량 조절 방법
KR100403090B1 (ko)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