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519B1 - 1,3-부타디엔의 중합방법 - Google Patents

1,3-부타디엔의 중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519B1
KR100336519B1 KR1019990039324A KR19990039324A KR100336519B1 KR 100336519 B1 KR100336519 B1 KR 100336519B1 KR 1019990039324 A KR1019990039324 A KR 1019990039324A KR 19990039324 A KR19990039324 A KR 19990039324A KR 100336519 B1 KR100336519 B1 KR 100336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niodymium
butadiene
boron trifluoride
polyme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7534A (ko
Inventor
장영찬
곽광훈
김아주
이승훤
Original Assignee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찬구
Priority to KR1019990039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519B1/ko
Publication of KR20010027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5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36/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136/02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136/04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136/06Butadi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3-부타디엔 중합을 통해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을 제조하는 데 있어 할로겐 원소 제공 화합물로 삼불화보론 착화합물을 도입하여 공액 디엔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니오디뮴 화합물,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및 다음 화학식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삼불화보론 착화합물을 투입 순서에 관계없이 혼합하고 숙성시켜 제조된 촉매를 1,3-부타디엔 단량체의 중합촉매로 사용함으로써 고수율로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R1과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릴알킬기이다.
상기 식에서, R3, R4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탄소원자수 1 ∼ 10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릴알킬기 또는 수소 원자이다.
BF3Y
상기 식에서, Y는 H3PO4이다.

Description

1,3-부타디엔의 중합방법{Polymerization of 1,3-butadiene}
본 발명은 1,3-부타디엔의 중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3-부타디엔 중합을 통해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을 제조하는 데 있어 할로겐 원소 제공 화합물로 삼불화보론 착화합물을 도입하여 공액 디엔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니오디뮴 화합물,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및 삼불화보론 착화합물을 투입 순서에 관계없이 혼합하고 숙성시켜 제조된 촉매를 1,3-부타디엔 단량체의 중합촉매로 사용함으로써 고수율로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1,3-부타디엔을 중합하여 폴리부타디엔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중합촉매로써 란타늄 계열의 금속, 즉 주기율표상 원자번호 57의 란타늄부터 71의 루테튬까지의 원소를 이용한 촉매계를 사용하는 방법은 니켈(Ni), 티타늄(Ti), 코발트(Co) 등의 전이금속 화합물을 사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액 디엔(conjugated dienes)을 중합하여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고분자를 제공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볼 때, 매우 높은 시스 함량을 갖는 디엔 고분자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다. 상기 란타늄계열의 금속 중에서도 세륨(Cerium), 란타늄(Lanthanum), 니오디뮴(Neodymium) 및 가돌리늄(Gadolinium) 등이 촉매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니오디뮴(Neodymium)의 촉매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란타늄계 금속을 촉매로 이용한 기존의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이하, 하이 시스 비알(high cis-BR)이라 함)의 제조방법으로 니오디뮴 화합물, 할로겐화규소 또는 할로겐화유기규소 화합물,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및 디엔 화합물을 혼합한 후 숙성시킨 촉매를 이용하는 방법[PCT 제93-05083호]이 개시되어 있고, 희토류 금속 화합물, 루이스 산 및/또는 루이스 염기 및 유기알루미늄 화합물을 디엔 화합물의 존재 또는 비존재 하에서 혼합하여 숙성시킨 후 생성된 착물을 촉매로 이용해 1,3-부타디엔을 중합하고, 이어서 제조된 하이시스비알에 이소시아네이트, 이황화탄소, 에폭시 화합물 또는 할로겐화유기주석 화합물을 가하여 하이시스비알의 구조를 변형시켜 물성을 개선시키는 방법[미국특허 제4,906,706호, 제5,064,910호]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니오디뮴하이드라이드, 염소 제공 화합물 및 전자 주게 리간드를 반응시킨 후 유기알루미늄 화합물을 가하여 제조된 촉매를 사용하여 하이시스비알을 제조하는 방법[미국특허 제4,699,962호]이 개시되어 있고, 또 다른 예로 니오디뮴 화합물, 할로겐화유기 화합물, 수산화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 및 유기알루미늄 화합물을 이용하여 1,3-부타디엔을 중합하는 방법[유럽특허 제127,236호]이 개시되어 있으며, 니오디뮴 화합물, 할로겐화유기 화합물 및 유기알루미늄 화합물을 0℃ 이하의 온도에서 숙성하여 촉매의 활성을 개선시켜 하이시스비알을 제조하는 방법[유럽특허 제375,421호 및 미국특허 제5,017,539호]이 알려져 있다.
한편, 니오디뮴 화합물,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트리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론 혹은 그 유도체를 디엔 화합물의 존재 또는 비존재 하에서 혼합하여 숙성시킨 후 생성된 착물을 촉매로 이용해 하이시스비알을 제조하는 방법[유럽특허 제667,357호]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는 고수율과 높은 1,4-시스 함량을 동시에 갖는 폴리부타디엔을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폴리부타디엔의 중합촉매로 니오디뮴 화합물,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및 특정의 삼불화보론 착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고수율로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수율로 97% 이상의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1,3-부타디엔 중합방법은 공액 디엔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니오디뮴 화합물,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및 다음 화학식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삼불화보론 착화합물을 혼합하고 숙성시켜 촉매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비극성 용매의 존재 하에서 1,3-부타디엔 중합을 수행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과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탄소원자수 1 ∼ 10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릴알킬기이다.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3, R4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탄소원자수 1 ∼ 10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릴알킬기 또는 수소 원자이다.
화학식 3
BF3Y
상기 식에서, Y는 H3PO4이다.
본 발명은 공액 디엔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1,3-부타디엔 중합용 촉매인 니오디뮴 화합물, 할로겐화유기알루미늄 또는 할로겐화유기 화합물,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중 종래의 할로겐화유기알루미늄 또는 할로겐화유기 화합물 대신 삼불화보론 착화합물을 할로겐 원소 제공 화합물로 도입하여 혼합된 촉매를 이용하는 폴리부타디엔의 신규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촉매 제조에 사용되는 니오디뮴 화합물로는 비극성 용매에 용해도가 좋은 리간드를 함유하고 있는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이 좋다. 이러한 니오디뮴 화합물의 예를 들면 니오디뮴 헥사노에이트, 니오디뮴 헵타노에이트, 니오디뮴 옥타노에이트, 니오디뮴 2-에틸 헥사노에이트, 니오디뮴 나프터네이트, 니오디뮴 스티어레이트, 니오디뮴 버서테이트 등과 같은 탄소수가 6개 이상인 카르복실레이트 염으로 이루어진 니오디뮴 화합물이 적합하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삼불화보론 착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디메틸설파이드,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에틸아민 및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포스포릭 산 등이 있다.
또한, 유기알루미늄 화합물은 통상의 것으로서 다음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알킬알루미늄이다.
화학식 4
상기 식에서 R6, R7및 R8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탄소원자수 1 ∼ 10인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릴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수소원자이다.
상기와 같이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알루미늄 화합물로는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알루미늄, 트리부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헥실알루미늄, 트리옥틸알루미늄 및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등이다.
상기와 같은 니오디뮴 화합물,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및 삼불화보론 착화합물을 혼합하고 숙성시켜 폴리부타디엔 제조용 중합촉매를 제조하는 바, 이때 촉매 숙성용 용매로는 촉매와 반응성이 없는 비극성 용매를 사용해야 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시클로헥산, 헥산, 헵탄 또는 톨루엔을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촉매숙성시 유기알루미늄 화합물과 니오디뮴 화합물은 1:1 ∼ 200:1의 몰비, 바람직하게는 10:1 ∼ 150:1의 몰비로 함유시키는 것이 좋다. 만일 함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반응 수율이 급격히 떨어지거나 저분자량의 고분자가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삼불화보론 착화합물과 니오디뮴 화합물은 0.1:1 ∼ 10:1의 몰비, 바람직하게는 0.5:1 ∼ 5:1의 몰비로 함유시키는 것이 좋다. 만일 함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반응 수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액 디엔 화합물과 니오디뮴 화합물은 1:1 ∼ 30:1의 몰비, 바람직하게는 2:1 ∼ 10:1의 몰비로 함유시키는 것이 좋다. 만일 함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과량의 공액 디엔 화합물을 사용하게 되면 촉매 용액의 점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숙성촉매를 제조하기 위한 각 촉매의 투입순서는 소량의 1,3-부타디엔이 함유 또는 비함유 되어 있는 니오디뮴 화합물 용액을 질소분위기의 촉매반응기에 넣고, 다음으로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통상의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마지막으로 상기 화학식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삼불화보론 착화합물을 투입한다. 이때, 촉매를 구성하는 화합물의 투입 순서는 상기와 같은 순서로 투입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순서에 변화를 가하여 투입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혼합된 촉매를 숙성시키는 바, 이때 숙성은 5분 ∼ 10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 2시간 동안 -20 ∼ 60℃, 바람직하게는 0 ∼ 5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하여 폴리부타디엔 중합용 촉매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촉매를 사용하여 1,3-부타디엔 단량체를 중합시켜 본 발명에 따른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을 제조하는 바, 중합시 사용되는 비극성 용매로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부탄, 펜탄, 헥산, 이소펜탄, 헵탄, 옥탄, 이소옥탄 등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시클로펜탄, 메틸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 등과 같은 시클로지방족 용매 및 벤젠, 톨루엔,에틸벤젠, 자일렌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용매는 고분자 중합에 큰 영향을 미치며 산소와 물이 제거된 상태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고순도 질소분위기에서 중합은 시작되며, 반응온도는 실온부터 100℃ 사이인 것이 적합하다. 적합한 촉매조건 하에서 2시간동안 적절히 중합하여 90% 이상의 수율로 폴리부타디엔을 얻을 수 있다. 중합반응 후 생성물은 반응정지제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에테르 유기인산과 2,6-디-t-부틸파라크레졸을 첨가한 후 메탄올이나 에탄올에 침전시켜 얻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부타디엔용 촉매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부타디엔은 높은 1,4-시스 함량을 가지며,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반응에 사용한 지글러-나타 촉매는 소량의 1,3-부타디엔을 함유하고 있는 니오디뮴버서테이트(1% 시클로헥산 용액),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15% 헥산 용액), 삼불화보론-디메틸설파이드 (1.5% 톨루엔 용액)이며, 단량체 100g당 2.8×10-4몰의 니오디뮴버서테이트를 사용하였다. 반응 촉매의 숙성은 질소로 충분히 불어넣어 준 후 고무 마개로 밀봉한 100㎖ 둥근 플라스크에 니오디뮴버서테이트,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및 삼불화보론-디메틸설파이드를 1:30:1의 몰비되도록 차례로 가한 후 20℃에서 1시간 동안 수행하여 중합촉매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숙성과정을 거쳐 생성된 중합촉매를 사용하여 1,3-부타디엔 중합을 실시하였는 바, 중합과정은 압력 반응기를 질소로 충분히 불어 넣어 준 후, 중합 용매로 시클로헥산, 지글러-나타 촉매, 그리고 단량체인 부타디엔을 첨가하고 4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이때, 중합용매와 단량체의 비는 5:1 이었으며, 반응 후 산화방지제로 2,6-디-t-부틸파라크레졸, 반응정지제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에테르 유기인산 및 에탄올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실시예 2 ∼ 8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을 제조하되,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촉매를 조성하여 폴리부타디엔을 제조하였다.
구 분 중합촉매1),2) 구성몰비 중합시간(시)
실시예 1 니오디뮴버서테이트/Al(i-Bu)3/BF3SMe2 1:30:1 2
실시예 2 니오디뮴버서테이트/Al(i-Bu)3/BF3SMe2 1:30:1.5 2
실시예 3 니오디뮴버서테이트/Al(i-Bu)3/BF3SMe2 1:30:2 2
실시예 4 BF3NH2Et/니오디뮴버서테이트/Al(i-Bu)3 0.5:1:30 2
실시예 5 BF3NH2Et/니오디뮴버서테이트/Al(i-Bu)3 1:1:30 2
실시예 6 BF3NH2Et/니오디뮴버서테이트/Al(i-Bu)3 2.5:1:30 2
실시예 7 니오디뮴버서테이트/Al(i-Bu)3/BF3H3PO4 1:30:1.5 2
실시예 8 니오디뮴버서테이트/Al(i-Bu)3/BF3H3PO4 1:30:3 2
(주)1) 니오디뮴 함량: 2.8×10-4㏖/100 g의 부타디엔 단량체2) 중합촉매를 구성하는 성분의 투입순서
비교예 1 ∼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1,4-시스 폴리부타디엔을 제조하되, 촉매 제조시 삼불화보론 착화합물 대신에 디에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다음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건 하에서 중합을 실시하였다.
구 분 중합촉매1),2) 구성몰비 중합시간(시)
비교예 1 니오디뮴버서테이트/AlEt2Cl/AlMe3 1:1.5:30 7
비교예 2 니오디뮴버서테이트/AlEt2Cl/AlMe3 1:0.5:30 48
비교예 3 니오디뮴버서테이트/AlEt2Cl/AlEt3 1:1.5:30 48
(주)1) 니오디뮴 함량: 2.8×10-4㏖/100 g의 부타디엔 단량체2) 중합촉매를 구성하는 성분의 투입순서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한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에 대하여 1,4-시스 함량과 전체 수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1,4-시스 함량은 모레로 방법(Chim. Indust., Vol41, p758,1959)에 의거 측정하였다.
구분 1,4-시스 함량(%) 수율(%)
실시예 1 97.7 100
실시예 2 98.8 100
실시예 3 98.9 92
실시예 4 98.9 100
실시예 5 97.4 100
실시예 6 97.9 95
실시예 7 98.7 100
실시예 8 98.7 100
비교예 1 94.3 7
비교예 2 88.3 5
비교예 3 88.0 77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공액 디엔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니오디뮴 화합물,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및 삼불화보론 착화합물을 혼합한 후 숙성시켜 착물을 만들고 이를 촉매로 사용해 비극성 용매에서 1,3-부타디엔을 단량체로 이용하여 중합하는 경우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을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7)

  1. (정정)공액 디엔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니오디뮴 화합물,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및 다음 화학식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삼불화보론 착화합물을 혼합하고 숙성시켜 제조된 촉매를 이용하여 비극성 용매의 존재 하에 1,3-부타디엔 중합을 수행하는 1,3-부타디엔의 중합방법.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과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탄소원자수 1 ∼ 10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릴알킬기이다.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3, R4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탄소원자수 1 ∼ 10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릴알킬기 또는 수소 원자이다.
    화학식 3
    BF3Y
    상기 식에서, Y는 H3PO4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니오디뮴 화합물은 니오디뮴 헥사노에이트, 니오디뮴 헵타노에이트, 니오디뮴 옥타노에이트, 니오디뮴 2-에틸 헥사노에이트, 니오디뮴 나프터네이트, 니오디뮴 스티어레이트 및 니오디뮴 버서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그 이상의 카르복실레이트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부타디엔의 중합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알루미늄 화합물은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알루미늄, 트리부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헥실알루미늄, 트리옥틸알루미늄 및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부타디엔의 중합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삼불화보론 착화합물은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디메틸설파이드,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에틸아민 및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포스포릭 산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부타디엔의 중합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삼불화보론 착화합물과 니오디뮴 화합물은 0.1:1 ∼ 10:1 몰비로 혼합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부타디엔의 중합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촉매숙성은 5분 ∼ 10시간 동안 -20 ∼ 60℃ 사이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부타디엔의 중합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공액 디엔 화합물과 니오디뮴 화합물은 1:1 ∼ 30:1 몰비로 혼합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부타디엔의 중합방법.
KR1019990039324A 1999-09-14 1999-09-14 1,3-부타디엔의 중합방법 KR100336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324A KR100336519B1 (ko) 1999-09-14 1999-09-14 1,3-부타디엔의 중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324A KR100336519B1 (ko) 1999-09-14 1999-09-14 1,3-부타디엔의 중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534A KR20010027534A (ko) 2001-04-06
KR100336519B1 true KR100336519B1 (ko) 2002-05-11

Family

ID=1961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324A KR100336519B1 (ko) 1999-09-14 1999-09-14 1,3-부타디엔의 중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5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437B1 (ko) 2017-10-30 2020-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액디엔 중합용 촉매의 제조방법, 촉매 및 이를 이용한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4412A (en) * 1979-08-07 1981-03-09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Production of low-molecular-weight cis-polybutadiene
EP0127236A1 (en) * 1983-05-25 1984-12-05 ENICHEM ELASTOMERI S.p.A. Butadiene polymerisation process
US5017539A (en) * 1988-12-22 1991-05-21 Enichem Elastomers Ltd. Polymerization of butadiene
US5412045A (en) * 1994-09-16 1995-05-02 Polysar Rubber Corporation Preparation of high cis-1,4-polybutadiene with reduced gel
US5428119A (en) * 1993-11-09 1995-06-27 Polysar Rubber Corporation Process for polybutadiene production using catalyst with high activit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4412A (en) * 1979-08-07 1981-03-09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Production of low-molecular-weight cis-polybutadiene
EP0127236A1 (en) * 1983-05-25 1984-12-05 ENICHEM ELASTOMERI S.p.A. Butadiene polymerisation process
US5017539A (en) * 1988-12-22 1991-05-21 Enichem Elastomers Ltd. Polymerization of butadiene
US5428119A (en) * 1993-11-09 1995-06-27 Polysar Rubber Corporation Process for polybutadiene production using catalyst with high activity
US5412045A (en) * 1994-09-16 1995-05-02 Polysar Rubber Corporation Preparation of high cis-1,4-polybutadiene with reduced g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534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581B1 (ko)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의 제조방법
US4461883A (en) Process for producing conjugated diene polymer using a solubilized lanthanum carboxylate catalyst
US6482930B1 (en) Monomeric neodymium carboxylate and its use in polymerization of conjugated diene
KR100298571B1 (ko)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의 제조방법
KR100472649B1 (ko) 조절된 저온흐름성을 갖는 고 1,4-시스 폴리부타디엔의제조방법
US6482906B1 (en) Process for preparing and using neodymium neodecanoate
KR100348763B1 (ko)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의 분지도 조절방법
US4562172A (en) Method of preparing high cis-1,4 diene polymers having good green strength and tack
EP1092735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high 1,4-CIS polybutadiene containing hydroxyl groups at ends thereof using molecular oxygen
KR20040098437A (ko) 고 1,4-시스 폴리부타디엔-폴리우레탄 공중합체 및 그제조방법
KR100336519B1 (ko) 1,3-부타디엔의 중합방법
KR100250231B1 (ko) 고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의 분자량분포 조절방법
KR100295600B1 (ko) 높은1,4-시스함량을갖는폴리부타디엔의제조방법
KR100264513B1 (ko) 고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의 분지도 조절방법
KR20040013253A (ko) 초분지형 고 1,4-시스 폴리부타디엔의 제조방법
KR100403090B1 (ko)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의 제조방법
KR20090016983A (ko) 이형원자가 배위된 단분자 알루미늄과 코발트가 함유된촉매와 이를 이용한 폴리부타디엔의 제조방법
KR100462664B1 (ko) 1,4-시스 폴리부타디엔의 제조방법
CN112142893A (zh) 聚异戊二烯及其制备方法
US3462405A (en) Preparation of polymerization catalyst
KR100462663B1 (ko)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의 제조방법
KR100384813B1 (ko) 고 1,4-시스 폴리부타디엔 및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4154819A (ja) 共役ジェン類重合体の製造方法
KR100305670B1 (ko) 단분자 형태의 알루미늄 촉매를 이용한 높은 1,4-시스 함량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의 제조방법
KR100308781B1 (ko) 폴리부타디엔의 분자량 조절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