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9837A - 분말상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조성물을 이용한 분말혼합물 - Google Patents

분말상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조성물을 이용한 분말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9837A
KR20010099837A KR1020017007737A KR20017007737A KR20010099837A KR 20010099837 A KR20010099837 A KR 20010099837A KR 1020017007737 A KR1020017007737 A KR 1020017007737A KR 20017007737 A KR20017007737 A KR 20017007737A KR 20010099837 A KR20010099837 A KR 20010099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eovacidium
cyclodextrin
culture
powder
cultur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하라테츠야
휴가마코토
Original Assignee
휴가 마코토
가부시끼가이샤 헬스 서포트 재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가 마코토, 가부시끼가이샤 헬스 서포트 재팬 filed Critical 휴가 마코토
Publication of KR20010099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83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69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microbial origin, e.g. xanthan or dextran
    • A23L29/271Curdlan; beta-1-3 glucan; Polysaccharides produced by agrobacterium or alcalige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 A61K47/69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using cyclo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chemistry (AREA)
  • Botan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을 분체화하는 동시에 유지의 응집성이 우수한 혼합물이다.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을 호스트성분으로서의 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처리한 분말상 포접체의 형태로 해서 물리성 및 보존성을 개선한 것으로, 바람직게하게는 상기 분말상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조성물에 키토산을 첨가해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분말상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분말혼합물{POWDERY COMPOSITIONS OF LIQUID AUREOBASIDIUM CULTUR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OWDERY MIXTURES BY USING THESE COMPOSITIONS}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은 후생성고시 제120호에 따른 식품첨가물이며, 「오레오바시듐으로부터 얻어진, β-1, 3-1, 6-글루칸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이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은 오레오바시듐(Aureobacidium)족의 미생물균주를 통상은, 호기액체배양함으로써 생산되는 β-1, 3-1, 6-글루칸을 포함하는 배양액이다.
이러한 배양액은 건강목적을 위한 식품첨가물로서 주목을 모으고, 특히 암억제효과에 관해서 기대되며, 주목받아 오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고 평성3-48201호 공보명세서에는 오레오바시듐족의 미생물균쥬를 배양하는 방법, 및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배양생산물로서 주 구성당이 글루코스이며, β-1, 3결합주쇄 및 β-1, 6결합비환원성 말단분기로 이루어진 결합방식을 나타내는 다당물질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입수할 수 있는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은 담황색 점조액체로 세균이 번식하기 쉬우므로, 보관조건에 따라서는 곰팡이가 발생하며, 장기보관이 곤란하다라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 그것을 이용할 때, 점조인 것으로부터 취급이 번거롭다라는 문제도 있었다.
또,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은 응집성을 갖고 있지만, 단체로서의 응집성은 비교적 약하고, 지방 등의 유지를 응집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1목적은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의 보관성과 취급성을 개선하기 위해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의 분말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그 제2목적은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의 분말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지방 등의 유지의 응집성이 우수한 혼합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식품첨가물로서의 담황색 점조성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의 물리성 및 보존성을 개선해서 이루어진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분말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점조성의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을 분말화하는 것에 착안하여, 이 분말화를 위해 여러가지 기술을 검토, 연구, 시험, 평가해서 시클로덱스트린을 호스트성분으로서 채용하는 포접화기법이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예상이상의 성과를 주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은 게스트성분으로서의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을 호스트성분으로서의 시클로덱스트린으로 처리한 분말상 포접체의 형태로서 물리성 및 보존성을 개선한 오레오바시듐의 분말체를 제공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시클로덱스트린으로서 α-, β- 및 γ-시클로덱스트린 중 α-시클로덱스트린을 50wt%이상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오레오바시듐 배양액과 시클로덱스트린의 중량비는 통상은 20:1∼5:1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다. 이 혼합물의 점도가 너무 높을 경우에는 물을 적당량 첨가해서 그 점도값을 적당한 범위내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은 카오린용액에 대해서 현저한 응집활성을 나타내며, 알루미늄이온과 정량적으로 반응해서 섬유블록을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알루미늄이온을 생성하는 대표적인 물질로서는 황산알루미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원 발명자는 이 오레오바시듐 응집성에 착안해서 이것을 이용해서 유지를 응집분리하는 것을 시도했다.
그러나,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이 현저한 응집효과를 나타내는 대상물로서는 카오린용액과 같은 물질에 한정되어 있고, 유지에 대해서는 현저한 응집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그러나, 오레오바시듐 배양액과 시클로덱스트린을 혼합해서 이루어진 분말체는 황산알루미늄과 함께 유지에 혼합하면 유지에 대해서 현저한 응집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의 우수한 응집성과 시클로덱스트린의 포접기능이 협동해서 유지를 응집하는 효과로서 우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상기 황산알루미늄은 식용으로 공급할 수 없고, 인체에 무해하다라고는 할 수 없으므로, 유지분 등을 응집해서 제거하는 비누, 세제 등에 포함시키는것도 결코 바람직한 물질은 아닌 것은 명백하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황산알루미늄과 같이 물에 용해해서 양이온을 발생하는 것으로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의 응집성을 보조하는 물질을 조사하는 동안, 고분자의 다당체로 물에 녹으면 양으로 대전되는 특성을 갖는 키토산을 황산알루미늄대신에 사용하는 것에 착안한 것이다.
키토산은 잘 알려져 있듯이 게껍질에서 추출된 것으로, 식용으로 공급할 수 있는 인체에 전혀 무해한 물질이며, 건강식품의 첨가물로서 잘 알려져 있으며, 그 효과로서는 혈압을 내리고, 혈전을 막고, 면역력을 높이고, 박테리아나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며 섭취한 식물의 지방을 흡착해서 그 대로 배출하는(다이어트)작용이 있고, 화장품으로서 보습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사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을 포접한 시클로덱스트린의 분말(이하, 간단히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분말」이라 함)에 키토산을 첨가한 분말혼합물을 제공했다. 이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분말과 키토산의 혼합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0:1∼1:5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다.
종래,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을 황산알루미늄과 함께 사용해서 응집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을 첨가하고, 그 용액에 황산알루미늄을 첨가하는 공정이 필요했다. 그러나,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을 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해서 분체화하고, 다시 여기에 키토산을 상기 혼합비율로 혼합한 분말혼합물로 했을 때에는 그 분말혼합물을 동시에 유지에 첨가해서 유지의 응집을 행할 수 있었다. 이것은 키토산의 분말상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에 대한 혼합비율이 종래의 100:1에서 20:1에 비해, 크게 증대하고 있는 것도 관계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분말과 키토산을 혼합한 것은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의 의료효과에, 키토산의 면역력을 높이고, 혈액을 내리고, 혈전을 방지한다라는 효과가 추가되어 의료보조품 또는 건강식품으로서의 우수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이 혼합분말은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분말의 유지응집효과에 키토산의 다이어트작용이 추가되므로 체내의 지방을 제거하는 우수한 다이어트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오레오바시듐 배양액분말의 유지응집효과에 키토산의 화장품으로서의 보습효과가 추가되므로 이들을 원료로서 우수한 화장품, 보디샴프 등의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에 적당량의 시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고, 얻어지는 액상혼합물을 교반해서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을 게스트성분으로 하고 시클로덱스트린을 호스트성분으로 하는 포접체를 포함하는 액체혼합물을 만들며, 계속해서 이 액체혼합물을 분무건조시킴으로써 분말상의 포접체를 얻는다.
교반공정은 고전단교반기, 예를 들면 호모디나이저를 이용해서 심한 교반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시간은 교반의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은 500∼10000rpm으로 10∼90분, 바람직하게는 교반기의 2000rpm의 회전속도로 20∼40분 정도로 적절한 포접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 이 교반공정의 시간의 적어도 일부에서 바람직하게는 전부에 걸쳐 교반하의 혼합물에 초음파를 인가함으로써 포접처리의 진행이 현저히 촉진되어 작업효율의 향상에 바람직한 결과를 부여한다.
이러한 교반공정이 종료된 후, 혼합물을 분무건조처리한다. 이 분무건조온도는 제품의 건조효율과 분해방지의 양면으로부터 검토하면, 약 150℃∼180℃, 바람직하게는 160℃∼175℃의 범위이다.
분무건조에 의해 얻어지는 분말은 자유유동성을 나타내며, 양호한 취급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계량작업을 용이화한다. 또, 이 분말에 적당한 부형제 및 필요에 따라 골재를 첨가해서 정제시험을 실시한 결과, 여러가지 치수의 것에 대해서 적당한 강도 및 형상유지성이 달성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범용에 적당한 크기의 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용도를 위해서는 부형제없이 정제해도 만족할 수 있는 제품이 얻어지는 것도 판명되었다. 또, 장기방치저장시험에 있어서도 대조체의 미처리 오레오바시듐 배양액과 비교해서 초기곰팡이발생을 인지할 때까지 훨씬 긴 기간이 경과했다.
(실시예1)
시판되는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상표 「라쿠쇼」;가부시키가이샤 헬스 서포트 재팬:동경) 700중량부와 α-시클로덱스트린을 약 70wt%함유하는 시클로덱스트린(상표 「K-100」:시오미즈미나토세이토 제품) 300중량부와의 혼합물에 물 1000중량부를 첨가하고, 호모디나이저로 세게 교반했다. 교반조건은 처음 10분간은 회전수를 4000rpm으로 하고, 계속해서 15분간은 회전수를 2000rpm으로 했다. 이 교반공정에 의해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을 게스트로 해서, 호스트의 시클로덱스트린의 중앙공동내에 넣어진 포접화가 행해졌다. 교반공정의 종료후, 혼합물액을 스프레이드라이어등으로 약 170℃분무건조하고, 분말상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조성물을 얻었다. 이 분말은 황산알루미늄과 함께 사용해서 충분한 응집효과를 발휘했다.
다음에, α-CD, β-CD, γ-CD를 각각 오레오바시듐 배양액과 혼합한 경우의 분체화의 상태에 대해서 실험했다. 상기 실시예1과 같은 조건으로 α-CD, β-CD, γ-CD를 각각 사용한 경우의 분말품을 황산알루미늄과 함께 사용하여, 응집작용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표에 있어서 ○는 응집작용이 있는 경우이며, ×는 응집작용은 약간 인지되지만, 현저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α-CD β-CD γ-CD
분체화의 평가 × ×
다음에, α-CD를 β-CD와 γ-CD의 혼합물(1:1)로 혼합하고, 이들 함유율을 바꾼 경우의 응집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α-CD (β-CD)+(γ-CD) 분체화의 평가
10(wt%) 90(wt%) ×
30 70 ×
50 50
70 30
80 20
이상의 결과로부터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을 α- CD를 50wt%이상 함유하는 시클로덱스트린과 혼합한 경우에 양호한 응집성을 갖는 분체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안정성 시험]
(1)제조직후
본 발명의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분말상 포접체형태의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조성물의 안정성 유지를 체크하기 위해, 상기 특허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상기 배양액의 알루미늄이온에 의해 신속응집성(겔화)의 성질을 이용했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분말상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조성물(시료A)20중량부를 물100중량부와 혼합하고, 잘 교반해서 용액상으로 만들고, 이것에 황산알루미늄 25중량% 수용액 20중량부를 첨가한 결과 바로 겔화하여 곤약상으로 되었다. 비교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원료(시료B:대조체)20부로 같은 시험을 반복한 결과, 동일한 겔화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포접처리 및 분무건조처리를 거쳐도 배양액 내용물이 열화, 분해 및 기타 변질되는 일없이 실질적으로 안정되게 유지되는 것을 이것에 의해 알 수 있다.
(2)저장후
상기와 같은 시료A 및 B를 봄부터 여름에 걸친 7월중순부터 9월중순의 3개월간(동경), 실내에서 넓은 입구의 마개가 있는 병에 넣어 개방, 방치저장한 후에 상기 (1)과 같은 시험을 실시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시료A는 신선품과 동등의 굳기의 겔형성을 나타냈다. 시료B에 있어서는, 저장 1주일간에 표면부에 곰팡이의 발생이 시작되고, 2주일간에 표면전체가 곰팡이로 뒤덮여지는 상태로 되고, 악취가 생기게 되었다. 사용할 수 있는 상태는 아니고, 내용물의 변질, 열화내지 분해가 명료했다. 본 발명에 의한 시료A에 대해서는 시험기간종료직전에 표면부에 약간의 곰팡이발생이 인지되었지만 전면에 미치는 것은 아니고, 악취발생도 인지되지 않았다.
(실시예2)
실시예1에 있어서 사용한 오레오바시듐 배양액과 시클로덱스트린의 양을 각각 900중량부 및 100중량부로 바꾸고, 교반공정의 후단(2000rpm×15분)간의 90kHz(1kW공칭 출력)의 초음파를 인가한 것이외에는 실시예1의 조작을 반복했다. 여기에서 얻어진 조성물은 안정성시험에서 현저히 딱딱하게 겔화했다. 이것을 제외하고, 안정성시험(1) 및 (2) 및 정제시험에서는 실시예1의 결과와 거의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3)
(1)유지응집시험
물 100ml의 비커에 라유를 3mg첨가해서 잘 교반하고, 여기에 ①오레오바시듐 배양액, ②시클로덱스트린, ③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을 포접해서 이루어진 시클로덱스트린의 분말, ④키토산(코요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을 단체로 또는 혼합해서 각각 10mg첨가해서 교반한 경우의 라유의 응집상태를 관찰했다. 또, 상기 혼합은 혼합비율을 등량으로 했다. 라유가 직경 3mm이상의 구형으로 응집한 것을 ○로 평가하고, 2mm이상 3mm미만의 구형으로 응집한 것을 △로 평가하고, 2mm미만의 것을 ×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3에 나타냈다. 여기에서, 실험에 라유를 사용한 것은 라유는 적색의 유지로 시각적으로 응집의 유무를 확인하기 쉽기 때문이다.
실험1 실험2 실험3 실험4 실험5 실험6 실험7 실험8 실험9
첨가 첨가 첨가 첨가
첨가 첨가 첨가 첨가
첨가 첨가
첨가 첨가 첨가 첨가 첨가
평가 × × × × × ×
다음에, 키토산의 혼합비율을 바꾸어 응집성의 실험을 행했다. 이 실험에서는 키토산10mg에 대해서,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을 포접해서 이루어진 시클로덱스트린의 분말(CD분말)의 첨가량만큼을 여러가지 값으로 바꾸어 상기 동일한 응집성의 평가를 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키토산(mg)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CD분말(mg) 0.5 0.8 1.0 2.5 5.0 10.0 50.0 75.0 100
평가 × ×
이상의 결과로부터,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을 포접해서 이루어진 시클로덱스트린의 분말(CD분말)에 대해서 10:1에서 1:5의 범위내에서 유지에 대한 우수한 응집성이 얻어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상기 실험예에서는 유지로서 라유를 이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이외의 호마유, 샐러드유 등에 있어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조성물은 게스트성분으로서의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을 호스트성분으로서의 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처리한 분말상 포접체의 형태로서 물리성 및 보존성을 개선한 것으로, 종래의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이 점조성의 액체였던 것을 분체화함으로써 그 보관성과 취급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그응용분야 및 개발영역을 대폭 확대했다.
또, 본 발명의 분말상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조성물에 키토산을 첨가해서 이루어진 분말혼합물은 유지에 대해서 현저한 응집효과를 나타내며, 또 키토산은 식용으로 공급할 수 있는 물질이므로, 비누, 화장품 등의 재료로서뿐만 아니라 의약품, 건강식품, 다이어트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성이 우수한 혼합물이다.

Claims (7)

  1. 게스트성분으로서의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을 호스트성분으로서의 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처리한 분말상 포접체의 형태로서 물리성 및 보존성을 개선한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시클로덱스트린이 α-, β- 및 γ-시클로덱스트린 중 α-시클로덱스트린을 50wt%이상 함유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조성물.
  3.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에 적당량의 시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고, 얻어지는 액상혼합물을 교반해서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을 게스트성분으로 하고 시클로덱스트린을 호스트성분으로 하는 포접체를 포함하는 액체혼합물로 만들고, 계속해서 이 액체혼합물을 분무건조함으로써 분말상의 포접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레오바시듐 배양액의 분말체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교반공정에 있어서, 교반되고 있는 액체혼합물에 초음파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오레오바시듐 배양액과 시클로덱스트린의 중량비가 20:1∼5:1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의 분말상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조성물에 키토산을 첨가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혼합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상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조성물과 키토산의 혼합비율을 중량비로, 10:1∼1:5로 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혼합물.
KR1020017007737A 1999-10-19 2000-10-18 분말상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조성물을 이용한 분말혼합물 KR200100998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652999 1999-10-19
JP99-296529 1999-10-19
JP2000297248A JP2001186862A (ja) 1999-10-19 2000-09-28 粉末状アウレオバシジウム培養液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組成物を用いた粉末混合物
JP2000-297248 2000-09-28
PCT/JP2000/007235 WO2001029184A1 (fr) 1999-10-19 2000-10-18 Compositions pulverulentes de culture d'aureobasidium, procedes de production de ces compositions et de melanges pulverulents au moyen de ces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837A true KR20010099837A (ko) 2001-11-09

Family

ID=26560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737A KR20010099837A (ko) 1999-10-19 2000-10-18 분말상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조성물을 이용한 분말혼합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20006450A1 (ko)
EP (1) EP1142987A4 (ko)
JP (1) JP2001186862A (ko)
KR (1) KR20010099837A (ko)
CN (1) CN1335885A (ko)
AU (1) AU7948100A (ko)
BE (1) BE1013461A3 (ko)
FR (1) FR2800093B1 (ko)
GR (1) GR1003679B (ko)
IT (1) ITPN20000064A1 (ko)
WO (1) WO20010291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3611B2 (ja) * 2004-09-30 2010-11-04 株式会社Adeka アウレオバシジウム培養物
AU2006339194B2 (en) * 2006-02-28 2012-03-01 Suntory Holdings Limited Gene encoding protein responsible for flocculation property of yeast and use thereof
EP2116593B1 (en) * 2007-01-25 2017-12-27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Method for production of dry yeast containing s-adenosyl-l-methionine and having excellent storage stability, product produced by the method, and molded composition of the dry yeast
RU2552927C2 (ru) * 2010-03-13 2015-06-10 Истпонд Лабораториз Лимитед Жиросвязыва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KR20160083884A (ko) * 2013-11-01 2016-07-12 스페리움 바이오메드 에스.엘. 치료제 및 미용제의 경피 전달을 위한 봉입체
JP5717224B1 (ja) * 2014-08-28 2015-05-13 株式会社ビオコスモ 粉末状の機能性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69B2 (ja) * 1979-01-25 1985-01-11 第一糖業株式会社 食品の改質法
JPS57149301A (en) * 1981-03-11 1982-09-14 Daiichi Togyo Kk Novel polysaccharide having coagulating property
JPH0739508B2 (ja) * 1986-11-11 1995-05-01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プルラン・ポリエチレングリコ−ル会合物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H01218573A (ja) * 1988-02-25 1989-08-31 Yoshio Tanaka ドナリエラ藻体含有固形状食品の製造法
JPH04288001A (ja) * 1991-01-11 1992-10-13 Kiteii:Kk 植物葉の緑色維持方法
JPH10276739A (ja) * 1997-04-09 1998-10-20 Hiroshi Hattori β−1,3−1,6グルカン又はそのアルカリ塩を含む飲食物の製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PN20000064A1 (it) 2002-04-18
AU7948100A (en) 2001-04-30
FR2800093B1 (fr) 2002-05-31
FR2800093A1 (fr) 2001-04-27
EP1142987A4 (en) 2004-06-16
US20020006450A1 (en) 2002-01-17
JP2001186862A (ja) 2001-07-10
GR20000100350A (el) 2001-06-29
CN1335885A (zh) 2002-02-13
EP1142987A1 (en) 2001-10-10
BE1013461A3 (nl) 2002-02-05
GR1003679B (el) 2001-10-03
WO2001029184A1 (fr) 200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1847B2 (en) Microcrystalline cellulose compositions
EP1483299B1 (en) Cell wall derivatives from biomass and preparation thereof
EP2764045B1 (en) Stabilizer composition of co-attrited microcrystalline cellulose and carboxymethylcellulose, method for making, and uses
JP2008106178A (ja) 水溶性高分子乾燥組成物
CA2632430A1 (en) Cellulose gel formulations
JPWO2019208668A1 (ja) 軟カプセル皮膜組成物
JP5449008B2 (ja) 皮膚保護用アルカリ度制御組成物及びその使用
JP2022522484A (ja) パラミロンの組成物、調製、および使用
KR20010099837A (ko) 분말상 오레오바시듐 배양액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조성물을 이용한 분말혼합물
EP3928847B1 (en) Antimicrobial flexible play composition
SE437112B (sv) Foderprodukt med gelad eller fortjockad vattenfas
JP3847845B2 (ja) コンドーム用潤滑性薬剤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コンドーム
Sudha et al. Introduction to marine biopolymers
WO2021195820A1 (en) Two-part composition for caring for keratin materials
EP4261233A1 (en) A natural and biodegdradable rheology modifier
JP2020059834A (ja) 増粘剤
JP5605772B2 (ja) 有機液体吸収剤及びオイルゲルの製造方法
JP7311926B1 (ja) 分散安定剤、分散安定化方法、および固形物を含有する液状組成物
KR102123608B1 (ko) 하이드로겔을 함유하는 스크럽 조성물
KR102496590B1 (ko) 가교제의 독성 물질 억제 활성으로 조직 내 염증 방지효과 및 우수한 피부 수복효과를 나타내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JP6511554B1 (ja) 水系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22123016A1 (en) Cosmetic substrate of natural origin
WO2023198586A1 (en) A natural and biodegdradable rheology modifier
Freitas et al. 3 Production and Food
JP2000007707A (ja) グリコーゲン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