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4743A - 기능 부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구조체 및 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 부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구조체 및 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94743A KR20010094743A KR1020017008379A KR20017008379A KR20010094743A KR 20010094743 A KR20010094743 A KR 20010094743A KR 1020017008379 A KR1020017008379 A KR 1020017008379A KR 20017008379 A KR20017008379 A KR 20017008379A KR 20010094743 A KR20010094743 A KR 200100947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ester fiber
- creep
- weight
- fiber
- function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08G63/668—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72—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65—Ethers
- D06M13/17—Polyoxyalkyleneglycol eth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3—Polyeth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2—Poly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로서, 이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본문에서 정의된 크립 촉진 계수 (C) 가 4 이상을 갖는 크립 촉진 화합물을 0.001∼2 중량% 함유하고 있는 기능 부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구조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여된 기능의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종래부터,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제전(制電), 흡수, 오염방지, 흡습, 발수, 발유, 항필(pill), 방염(防炎), 난연, 방융(防融), 항균, 방취 등의 기능성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 섬유를 여러 가지 기능 부여제로 처리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통상, 기능 부여제는 섬유의 표면에 부착되어 기능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따라서 세탁이나 드라이크리닝 등에 의해 그 기능 부여제가 용이하게 탈락되어, 그 기능의 내구성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섬유 표면에 중합성의 기능 부여제를 적용하여 고분자량의 수지피막을 형성함으로써, 그 수용성 및 용제용해성을 저하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섬유의 감촉 경화가 크고, 또한 세탁 등의 비빔 작용에 의한 물리적 마찰에 의해, 수지피막이 박리되기 쉬워, 그 내구성에는 역시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59-66570 호에는 고속방사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내부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기능 부여제로 후가공했을 때의 기능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방법에서는 사용가능한 섬유가 한정된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캐리어라 불리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팽윤시키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로의 염료의 흡진성을 높이거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수축이나 자기신장을 제어하는 것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9-31842 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9-111654 호) 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캐리어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팽윤시키는 효과는 뛰어나지만, 특이한 냄새를 갖기 때문에, 천연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복합섬유 구조물 등의 특수한 염색용도를 제외하면, 작업환경면이나 배수처리 관점에서 현재로는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유연한 촉감을 유지한 상태로, 반영구적으로 개질기능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가 요망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결점을 개선하여, 유연한 촉감을 가지며, 세탁 등에 대한 기능의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 및 그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폴리에스테르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를 기능 부여제로 처리할 때, 그 처리전 또는 동시에,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에 대해, 팽윤시켜 크립을 촉진하는 특정 화합물을 사용할 때, 원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가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기능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로써, 이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하기 식 (1) 로 정의된 크립 촉진 계수 (C) 가 4 이상을 갖는 크립 촉진 화합물을 0.001∼2 중량% 함유하고 있는 기능 부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가 제공된다.
크립 촉진 계수 (C) = (크립 촉진 화합물 중에서의 신장율 Lc) ÷(공기중에서의 신장율 La) (1)
(여기서, Lc 는 120 데닐/36 필라멘트, 신장도 120∼140 %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 배향계의 한쪽 가장자리에 부력을 제거한 실질적인 중량이 50 g 인 추를 달고, 30 ℃ 의 항온상태로 유지한 크립 촉진 화합물 중에 4 시간 침지한 후의 신장율을, 침지전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 값이다.
또한, La 는 상기와 동일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 배향계에 부력을 제거한 실질적인 중량이 50 g 인 추를 달고, 30 ℃ 의 공기중에 4 시간 방치한 후의 신장율을, 방치전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 값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기능 부여제로 처리할 때, 그 처리전 또는 동시에 상기 식 (1) 로 정의된 크립 촉진 계수 (C) 가 4 이상을 갖는 크립 촉진 화합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부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부여된 기능의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구조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크립 촉진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적당히 팽윤시키는 화합물이며, 소위 통상의 캐리어는 포함되지 않는다. 여기서 말하는 캐리어란, 예컨대 「염색노트 제 22 판」(시끼센샤) 나 「섬유가공」의 13 권 10 호 (1961 년), 957 ∼964 페이지에 기재된, 미쯔이시 켄 저 「Polyester Fiber 의 염색에 있어서의 Carrier 에 대해」, 또는 「섬유가공」의 11 권 12 호 (1959 년), 1188∼1192 페이지에 기재된, 시미즈 토오루 저 「테트론의 캐리어 염색 (하)」 등에 예시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캐리어로는 벤조산, 벤조산 에스테르 등의 벤조산 유도체; 살리틸산, 살리틸산에스테르 등의 살리틸산 유도체; 페놀, m-크레졸 등의 페놀류; 모노클로로벤젠, 트리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방향족 화합물류; 아세트페논 등의 케톤류; 할로겐화 페놀류; 오르토페닐페놀 등의 페닐페놀류; 아니솔 등의 에테르류; 디 및 트리페닐메탄류; 디페닐 유도체; 메틸나프탈렌, 나프톨 등의 나프탈렌류 및 아닐린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의 크립 촉진 화합물은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크립 촉진 계수가 4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크립 촉진 계수 (C) = (크립 촉진 화합물 중에서의 신장율 Lc) ÷(공기중에서의 신장율 La)
(여기서,
Lc 는 120 데닐/36 필라멘트, 신장도 120∼140 %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 배향계의 한쪽 가장자리에 부력을 제거한 실질적인 중량이 50 g 인 추를 달고, 30 ℃ 의 항온상태로 유지한 크립 촉진 화합물 중에 4 시간 침지한 후의 신장율을, 침지전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 값이고,
또한, La 는 상기와 동일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 배향계에 부력을 제거한 실질적인 중량이 50 g 인 추를 달고, 30 ℃ 의 공기중에 4 시간 방치한 후의 신장율을, 방치전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 값이다).
상기 크립 촉진 계수가 4 미만인 경우는 본 발명의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크립 촉진 화합물을 기능처리제와 병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병용이란, 적어도 기능처리제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 의 처리가 종료되기 이전의 단계에 있어서, 기능 부여제와 크립 촉진 화합물을 공존시키는 것을 말하며, 기능 부여제 및 크립 촉진 화합물의 첨가의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기능 부여제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처리란, 폴리에스테르의 섬유계조 또는 그것으로 이루어진 직물, 편물, 부직포 등의 섬유구조체를, 기능처리제를 함유하는 수용액, 수계 에멀젼 또는 유기용매의 용액에 침지한 후, 가열처리하거나, 폴리에스테르 섬유계조 또는 그것으로 이루어진 직물, 편물, 부직포 등의 섬유구조체를 염색할 때 염욕에 기능처리제를 첨가하는 등, 그 자체 종래 공지의수단을 채택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방사공정이나 연신공정, 가연이나 다른 섬유계조와의 혼섬공정에 있어서, 오일제 부여 롤러와 같은 롤러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형태, 나아가서는 제직의 준비공정에 있어서, 풀이 부착된 롤러와 같은 롤러를 사용하여 부착시키는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염색할 때의 염욕에 기능처리제 및 크립 촉진 화합물을 첨가하여 염색과 동시처리하는 것이 내구성 향상효과가 크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크립 촉진 화합물로는 하기 일반식 (2) 로 표시되는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분자량 2,000 이하인 것이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다.
(식 중,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 은 0∼2 의 정수이고,
n 은 2∼10 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로는 실질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이들에 필요에 따라 공지의 제3 성분을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가 적절히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주된 반복단위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특히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가 전 반복단위의80 % 이상을 차지하는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그 제조법에 의한 제약을 받지 않고, 목적에 따라 FOY (Fully Oriented Yarn; 완전 배향 섬유), POY (Partially-Oriented Yarn; 부분 배향 섬유), USY (Ultra Speed spinning Yarn; 초고속 방사 섬유) 등의 어떤 섬유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합방사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에의 적응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능 부여제는 염색, 제전, 흡수, 오염방지, 흡습, 친수, 발수, 발유, 항필(pill), 방염, 난연, 방융, 항균, 방취 등의 기능성을 섬유에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것을 말하며, 통상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제전, 흡수, 오염방지, 흡습, 친수성 부여를 위한 화합물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블록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N-메티롤아크릴산아미드 등이 예시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블록 공중합체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테레프탈산-알킬렌글리콜-폴리알킬렌글리콜, 테레프탈산-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테레프탈산-알킬렌글리콜-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에테르,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알킬렌글리콜-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에테르 등의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고, 편말단 또는 양말단이 음이온화되어 있어도 된다. 이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하는 알킬렌글리콜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이 적합하며, 폴리알킬렌글리콜로는 통상 평균분자량이 400∼12,000, 바람직하게는 600∼6,000 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폴리알킬렌글리콜의 모노에테르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모노메틸에테르, 모노에틸에테르, 모노페닐에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블록 공중합체의 편말단 또는 양말단이 음이온화된 폴리에스테르 개질제로는 예컨대, 카르복실기에 의해 음이온화되어 있는 것, 술폰산 염기에 의해 음이온화되어 있는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발수, 발유성 부여를 위한 화합물로는 예컨대 알루미늄 비누, 아세트아세트산부틸에스테르/부틸티타네이트 착화합물, 스테아르산크로믹클로라이드, 스테아로일메틸아미드메틸렌피리디늄염 등이 있고, 또 폴리아크릴산플루오로화알킬에스테르 등의 유기불소화합물, 메틸하이드로디엔, 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 화합물 등이 예시된다.
방염, 난연성 부여를 위한 화합물로는 예컨대 인함유 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티오요소포르말린 반응물 등이 있다. 그러한 화합물에는 예컨대 트리스디브로모프로필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클로라이드, 및 하기화학식으로 나타내는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등이 있다.
항균, 방취성 부여를 위한 화합물로는 예컨대 제 4 급 암모늄 화합물, 유기수은 화합물, 페놀류 및 그 염소화물, 나프텐산 등의 유기산의 금속염 등이 있고, 그러한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N-플루오로디클로로메틸티오프탈이미드, N-디메틸-N'-페닐-N'-(플로로디클로로메틸티오)술파미드, 2-(4-티아조일)벤즈이미다졸, 2-클로로-2-(2,4-디클로로페녹시)페놀, 크롤헥시딘 등이 예시된다.
염색을 위한 염료로는 폴리에스테르를 염색가능한 공지의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분산염료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분산 염료란, 물에 난용성이며 수중에 분산한 계로부터 소수성 섬유의 염색에 사용되는 염료를 말하며, 벤젠아조계 (모노아조, 디스아조 등), 복소환 아조계 (티아졸아조, 벤조티아졸아조, 퀴놀린아조, 피리딘아조, 이미다졸아조, 티오페논아조 등), 안트라퀴논계, 축합계 (퀴노프탈린, 스티릴, 쿠마린 등) 를 들 수 있다. 또한, C.I.Name 에 의한 분류에서, Disperse Yellow, Disperse Orange, Disperse Red, Disperse Violet, Disperse Blue, Disperse Green, Disperse Brown 으로 분류되는 분산염료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기능 부여제로서 사용되는 상기 화합물의 분자량은 2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그 이상 큰 경우에는 섬유내부로의 흡진이 적어져, 기능 부여효과가 작은 경우가 있다. 한편, 분자량이 50∼200 정도인 저분자 화합물이라도, 본 발명의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기능 부여제의 섬유로의 함유량은 0.01∼15 중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 중량% 이다. 이 함유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화합물에 따라서는 기능 부여효과가 낮은 경우가 있고, 또 세탁내구성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한편, 표면에의 기능 부여제의 함유량이 많아져 15 중량%를 초과하면, 촉감 변화가 커지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립 촉진 화합물에 의한, 기능 부여제의 내구성 향상의 작용기구는 아직 명확하지는 않지만,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내부 미세 구조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추정된다. 즉, 크립 촉진 계수 4 이상의 크립 촉진 화합물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적당히 팽윤되고, 비결정 영역의 자유체적이 확대된다. 그 결과, 기능 부여제가, 폴리에스테르의 표면으로부터 어느 정도 내부에까지 침투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있다고 추정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섬유중에서의 크립 촉진 계수 4 이상의 크립 촉진 화합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0.01∼2 중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5 중량% 이다. 이 함유량은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핵자기공명) 일본전자 JEOL A-600 (600 MHz)) 에 의해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인분석방법으로는 포백 50 mg 을 중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중클로로포름=1/1 혼합 용매 0.6 ml 에 용해하여 600M-프로톤 NMR 을 이용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크립 촉진 계수 4 이상의 크립 촉진 화합물을 0.001∼2 중량% 함유시키기 위해서는 크립 촉진 화합물의 종류 및 처리시의 욕비에 따라 변화하는데, 포백에 대해 0.01∼10 중량% 의 비율로 처리액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중의 물성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크립 촉진 계수
(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 배향계의 제조
0.3 중량% 의 산화티탄 미립자를 포함하는 고유점도[η]=0.64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직경 0.3 mm, 랜드 길이 0.6 mm 의 원형 토출구를 36 개 갖는 마우스피스로부터, 마우스피스 온도 280 ℃ 에서, 44 g/분의 속도로 압출한 다음, 3300 m/분의 속도로 감았다. 이렇게 하여 120 데닐/36 필라멘트, 신장도 130 %, 고유점도[η]=0.62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 배향계를 얻었다.
(ii) 크립 촉진 계수 (C) 의 측정
얻어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 배향계의 한쪽 가장자리에 부력을 제거한 실질적인 중량이 50 g 인 추를 달고, 30 ℃ 의 항온상태로 유지한 크립 촉진 화합물 중에 4 시간 침지한 후의 신장율을, 방치전의 길이를 기준으로 계산하여, 이것을 Lc(%) 로 한다.
상기와 동일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 배향계에 부력을 제거한 실질적인 중량이 50 g 인 추를 달고, 30 ℃ 의 공기중에 4 시간 방치한 후의 신장율을, 방치전의 길이를 기준으로 계산하여, 이것을 La(%) 로 한다. 크립 촉진 계수는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다.
크립 촉진 계수 (C) = (크립 촉진 화합물 중에서의 신장율 Lc) ÷(공기중에서의 신장율 La)
(2) 마찰대 전압
JIS L1094 법 (5.2) 에 따라 측정하였다.
(3) 친수성
수평에서 포백에 대해, 0.5 cc 증류수를 5 cm 의 높이에서 적하하여, 물이 포백에 흡수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4) 오염방지성
0.62 g 의 카본블랙 (미쯔비시가세이 #100) 과 12.68 g 의 B 중유 및 1986.70 g 의 모터오일 (다이어크린 모터오일 M-2) 로 이루어진 인공오일 오염에 포백을 침지하고, 이어서 맹글 (mangle) 로 짠 후, 80 ℃ 에서 4 시간 건열처리를 행한 후, 1 kg 이 되도록 부하포를 더하고, 물 30 ℓ에 가정용 세제 아타크를 20 g 첨가하여, 25 ℃ 에서 10 분간 세탁하여, 세탁 전후의 포백의 색차이로부터, 오염방지성을 ΔE 로서 구했다.
(식 4) ΔE = (ΔL2+ Δa2+ Δb2)1/2
(5) 세탁내구성
JIS L0217 법에 의한 세탁을 10 회 행한다.
(4) 크립 촉진 화합물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중의 함유량의 측정
포백 50 mg 을 중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중클로로포름=1/1 혼합 용매 0.6 ml 에 용해하여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일본전자 JEOL A-600 (600 MHz); 이하, NMR 이라 함)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경사로서 50 데닐/24 필라멘트의 세미달 FOY 사(絲), 위사(緯絲)로서 75 데닐/36 필라멘트의 세미달 FOY 사를 배치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55 g/㎡ 의 타프타를 제직하였다. 이들 FOY 사는 모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이다.
이 직물을 크립 촉진 화합물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분자량=266, 크립 촉진 계수=5.2) 와 친수성 부여제인 편말단 봉쇄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블록 공중합물 (분자량 1 만, 다까마쯔유시(주) 제조, SR-1000) 과의 병용처리액으로 처리하였다.
처리방법으로는 미니컬러식 염색기를 이용하여, 5 g 의 직물을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를 0.15 g (3 % owf) 및 그 편말단 봉쇄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블록 공중합물을 0.025 g (0.5 % owf) 함유하는 200 g 의 수계 가공제액 중에 넣고, 130 ℃ 에서 30 분간 처리한 후, 2 g/ℓ의 탄산나트륨 및 2 g/ℓ의 하이드로설파이드나트륨 및 2 g/ℓ의 스코어롤 (가오 제조 넘버 400) 을 포함하는 80 ℃ 의 수중에서 15 분간 환원세정을 실시한 다음 따뜻한 물로 세정하고, 120 ℃ 에서 5 분간 건조시킨 후, 180 ℃ 에서 1분간 열세팅하였다. 이 포백 50 mg 을 중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중클로로포름 =1/1 혼합 용매 0.6 ml 에 용해하여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일본전자 JEOL A-600 (600 MHz) 이하 NMR 이라 함) 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PET 에 기인하는 피크 ① 외에,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에 기인하는 피크 ②, ③ 이 얻어졌다. 피크 ① 과 피크 ②, ③ 을 이용하여, 이하의 식을 사용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의 함유량을 조사하면 0.1 중량% 였다.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함유량 (중량%) = 100 ×A/(A+B)
여기서,
A = ((피크 ② 의 적분값 + 피크 ③ 의 적분값))/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의 수소원자수)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의 분자량
B = (피크 ① 의 적분값/4) ×PET 의 분자량
이 포백의 마찰대 전압 및 마찰대 전압의 세탁내구성을 조사하면 각각 500 V 와 600 V 로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사용한 처리액 중의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의 양을 0.05 g 으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의 함유량을 조사하면 0.05 중량% 였다. 이 포백의 마찰대 전압 및 마찰대 전압의 세탁내구성을 조사하면 각각 450 V 와 620 V 로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대신,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분자량 280, 크립 촉진 계수=5.0) 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틸에테르의 함유량을 조사하면 0.08 중량% 였다. 이 포백의 마찰대 전압 및 마찰대 전압의 세탁내구성을 조사하면 각각 470 V 와 650 V 로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를 사용하지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 포백 중에는 크립 촉진 화합물은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이 포백의 마찰대 전압 및 마찰대 전압의 세탁내구성을 조사하면 각각 500 V 와 2500 V 이 되어 세탁내구성이 떨어졌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사용한 처리액 중의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의 양을 5 g 으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의 함유량을 조사하면 3 중량% 였다. 이 포백은 수축되어 촉감이 딱딱해졌다.
비교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대신,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분자량=500, 크립 촉진 계수=2.5) 를 1 g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의 함유량을 조사하면 0.1 중량% 였다. 이 포백의 마찰대 전압 및 마찰대 전압의 세탁내구성을 조사하면 각각 510 V 와 2500 V 이 되어 세탁내구성이 떨어졌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실시예 1 에 있어서, 친수가공제인 편단말 봉쇄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블록 공중합물 (분자량 1 만, 다까마쯔유시(주) 제조, SR-1000) 을 사용하지 않는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의 함유량을 조사하면 0.1 중량% 였다. 이 포백의 마찰대 전압 및 마찰대 전압의 세탁내구성을 조사하면 각각 4000 V 와 3900 V 로 불량한 결과가 되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크립 촉진계수 | 크립 촉진화합물함유량(wt%) | 마찰대 전압(V) | 친수성 (s) | 오염방지성(ΔE) | ||||
세탁전 | 세탁10회 | 세탁전 | 세탁10회 | 세탁전 | 세탁10회 | |||
실시예1 | 5.2 | 0.1 | 500 | 600 | 1 이하 | 1 | 5 | 8 |
실시예2 | 5.2 | 0.05 | 450 | 620 | 1 이하 | 1 | 5 | 8 |
실시예3 | 5 | 0.08 | 470 | 650 | 1 이하 | 1 | 5 | 8 |
비교예1 | - | 0 | 500 | 2500 | 1 이하 | 30 | 5 | 20 |
비교예2 | 5.2 | 3 | 촉감악화 | |||||
비교예3 | 2.5 | 0.1 | 510 | 2500 | 1 이하 | 30 | 5 | 20 |
비교예4 | 5.2 | 0.1 | 4000 | 3900 | 180 | 180 | 25 | 25 |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의 마찰대 전압은 세탁 10 회후에도 양호하며 촉감도 양호한 데 비해, 비교예 1, 비교예 3 및 비교예 4 는 내구성이 떨어지고, 비교예 2 는 촉감이 악화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촉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세탁 등에 대한 기능의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9)
- 기능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로서, 이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하기 식 (1) 로 정의된 크립 촉진 계수 (C) 가 4 이상을 갖는 크립 촉진 화합물을 0.001∼2 중량% 함유하고 있는 기능 부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크립 촉진 계수 (C) = (크립 촉진 화합물 중에서의 신장율 Lc) ÷(공기중에서의 신장율 La) (1)(여기서,Lc 는 120 데닐/36 필라멘트, 신장도 120∼140 %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 배향계의 한쪽 가장자리에 부력을 제거한 실질적인 중량이 50 g 인 추를 달고, 30 ℃ 의 항온상태로 유지한 크립 촉진 화합물 중에 4 시간 침지한 후의 신장율을, 침지전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 값이다.또한, La 는 상기와 동일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 배향계에 부력을 제거한 실질적인 중량이 50 g 인 추를 달고, 30 ℃ 의 공기중에 4 시간 방치한 후의 신장율을, 방치전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 값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 크립 촉진 화합물이 하기 식 (2) 로 표시되는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인 기능 부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식 중,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m 은 0∼2 의 정수이고,n 은 2∼10 의 정수를 나타낸다.
-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크립 촉진 화합물을 0.01∼0.5 중량% 함유하고 있는 기능 부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
- 기능 부여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대해, 착색, 제전, 흡수, 오염방지, 흡습 및 난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섬유인 기능 부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주된 반복단위로 하는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섬유인 기능 부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
-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기능 부여제로 처리할 때, 그 처리전 또는 동시에 하기식 (1) 로 정의된 크립 촉진 계수 (C) 가 4 이상을 갖는 크립 촉진 화합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부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의 제조방법:크립 촉진 계수 (C) = (크립 촉진 화합물 중에서의 신장율 Lc) ÷(공기중에서의 신장율 La) (1)(여기서,Lc 는 120 데닐/36 필라멘트, 신장도 120∼140 %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 배향계의 한쪽 가장자리에 부력을 제거한 실질적인 중량이 50 g 인 추를 달고, 30 ℃ 의 항온상태로 유지한 크립 촉진 화합물 중에 4 시간 침지한 후의 신장율을, 침지전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 값이고,또한, La 는 상기와 동일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 배향계에 부력을 제거한 실질적인 중량이 50 g 인 추를 달고, 30 ℃ 의 공기중에 4 시간 방치한 후의 신장율을, 방치전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 값이다).
- 제 6 항에 있어서, 크립 촉진 화합물이 하기 식 (2) 로 표시되는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인 기능 부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의 제조방법.(식 중,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m 은 0∼2 의 정수이고,n 은 2∼10 의 정수를 나타낸다).
- 제 6 항에 있어서, 기능 부여제가 염료, 제전제, 흡수제, 오염방지제, 방습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인 기능 부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의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주된 반복 단위로 하는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섬유인 기능 부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의 구조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31343199 | 1999-11-04 | ||
JP1999-313431 | 1999-11-04 | ||
PCT/JP2000/007664 WO2001032975A1 (fr) | 1999-11-04 | 2000-10-31 | Fibres en polyester a fonctionnalite conferee, structure etablie a partir de ces fibres et procede de fabrication corresponda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94743A true KR20010094743A (ko) | 2001-11-01 |
Family
ID=1804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7008379A KR20010094743A (ko) | 1999-11-04 | 2000-10-31 | 기능 부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구조체 및 그의제조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1154070A4 (ko) |
KR (1) | KR20010094743A (ko) |
CN (1) | CN1335903A (ko) |
WO (1) | WO200103297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09486A (ja) * | 2001-04-12 | 2002-10-23 | Teijin Ltd | 機能付与された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繊維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N101855394B (zh) * | 2007-11-09 | 2012-06-20 | 可隆株式会社 | 蠕变特性优异的工业用高韧度聚酯纤维及其制造 |
WO2010143317A1 (ja) * | 2009-06-12 | 2010-12-16 | 互応化学工業株式会社 | 抗菌性組成物、抗菌性ポリエステル系繊維、及び抗菌性ポリエステル系繊維の製造方法 |
EP2484819A4 (en) * | 2009-09-30 | 2013-07-31 | Kolon Inc | MARINE POLYESTER 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CN101962862B (zh) * | 2010-09-26 | 2013-12-18 | 无锡恒诺纺织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抗静电功能的针织面料及其加工方法 |
CN113853460A (zh) * | 2019-05-28 | 2021-12-28 | 东丽株式会社 | 聚酯系纤维结构物、其制造方法、服装和寝具 |
JP6892541B1 (ja) * | 2020-06-30 | 2021-06-23 | 美津濃株式会社 | 繊維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
JP7552214B2 (ja) * | 2020-10-06 | 2024-09-18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前処理液、前処理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インクセット、ならびに画像形成方法 |
CN115961377B (zh) * | 2023-02-07 | 2024-01-30 | 上海康君丝新材料有限公司 | 抗菌聚酯纤维的生产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8440B1 (ko) * | 1969-01-21 | 1977-03-09 | ||
JPS5836269A (ja) * | 1981-08-25 | 1983-03-03 | 東海製油工業株式会社 | ポリエステル繊維の改質処理方法 |
JPS61225331A (ja) * | 1985-03-27 | 1986-10-07 | Shoko Kagaku Kenkyusho:Kk | 水不溶性物質の瞬間固着法 |
EP0386256B1 (en) * | 1988-08-04 | 1996-05-01 | Teijin Limited | Aroma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fibers thereof |
JPH07216733A (ja) * | 1994-02-02 | 1995-08-15 | Sanyo Chem Ind Ltd | 繊維用紡糸油剤 |
JP3279120B2 (ja) * | 1995-03-20 | 2002-04-30 | 東レ株式会社 | 脱臭繊維構造物の製造方法 |
JPH10292263A (ja) * | 1997-04-10 | 1998-11-04 | Toray Ind Inc | 繊維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2000
- 2000-10-31 CN CN00802553A patent/CN1335903A/zh active Pending
- 2000-10-31 WO PCT/JP2000/007664 patent/WO2001032975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0-10-31 KR KR1020017008379A patent/KR2001009474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0-10-31 EP EP00970238A patent/EP1154070A4/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154070A4 (en) | 2003-01-02 |
WO2001032975A1 (fr) | 2001-05-10 |
CN1335903A (zh) | 2002-02-13 |
EP1154070A1 (en) | 2001-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616183A (en) | Polyester sheath-core conjugate filaments | |
US4027346A (en) | Polyester fiber treated with anionic polyalkylene oxide emulsified polyester polyether finish | |
KR20010094743A (ko) | 기능 부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구조체 및 그의제조방법 | |
JP2007182652A (ja) | ポリエステル系繊維の難燃加工剤とその加工方法 | |
EP3321418B1 (en) | Stainproof fiber structure | |
JP2809640B2 (ja) | 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DE60027951T2 (de) | Cellulosefasern enthaltendes Flächengebilde | |
JPH05295673A (ja) | 常圧可染型ポリエステル繊維とポリウレタン繊維との混用布帛染色製品 | |
JP2002309486A (ja) | 機能付与された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繊維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S6290312A (ja) | 改質ポリエステル繊維 | |
JP2670964B2 (ja) | 繊維用処理剤 | |
ITMI971922A1 (it) | Procedimento di tintura e tintura-finitura di materiali tessili contenenti fibra rigenerata di cellulosa modificata | |
JP2002309485A (ja) | ポリエステル繊維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US6235063B1 (en) | Fiber treating composition | |
JPS6335824A (ja) | 防汚性ポリエステル繊維 | |
JP2852495B2 (ja) | セルロース系織物の形態安定加工法 | |
WO2023032387A1 (ja) | 繊維布帛及び繊維布帛の染色方法 | |
JPS5927771B2 (ja) | ナンネンシヨリホウホウ | |
JP3257158B2 (ja) | ポリエステル系繊維構造物の染色方法 | |
JP2852494B2 (ja) | セルロース系織物の形態安定加工方法 | |
JPH08199425A (ja) | 高染着性ポリエステル系繊維および高染着性ポリエステル系繊維構造物ならびにその染色方法 | |
JP4002158B2 (ja) | カチオン染料可染性セルロース系繊維及びその織編物 | |
JP3580110B2 (ja) | ポリエステル繊維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PL93133B1 (ko) | ||
JP2507585B2 (ja) | ポリエステル繊維の親水性改善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