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1944A -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가지는 차량 - Google Patents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가지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944A
KR20010091944A KR1020010012225A KR20010012225A KR20010091944A KR 20010091944 A KR20010091944 A KR 20010091944A KR 1020010012225 A KR1020010012225 A KR 1020010012225A KR 20010012225 A KR20010012225 A KR 20010012225A KR 20010091944 A KR20010091944 A KR 20010091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transparent
body cov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6990B1 (ko
Inventor
다키모토사치코
하타야마아츠시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20010091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3/00Other protecto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4Rear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트 장치가 장착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로부터의 누광을 방지하는 것으로, 헤드 램프(30)가 장착된 차체 커버인 핸들 프론트 커버(24)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료로 형성된다. 헤드 램프(30)의 렌즈(39a)에는 핸들 프론트 커버(24)와의 중합부분(Da)의 내면에 알루미늄 증착막에 의해 차광부(Sa)가 형성되고, 헤드 램프(30)의 광이 렌즈(39a)와 핸들 프론트 커버(24)의 상부(24c)의 중합부분(Da)을 투과하여 새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가지는 차량{VEHICLE HAVING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BODY COVER}
본 출원발명은 예컨대 스쿠터형 차량에 적용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가지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에 장착되는 라이트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쿠터형의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차체 커버를 투명물질로 구성하는 것은 일본국 특개소 59-50880호 공보에서 이미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자동 이륜차의 레그 실드를 투명물질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운전자에 대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투명하게 되는 것은 레그 실드뿐이었지만, 레그 실드 이외의 차체 커버를 투명한 재료로 형성하고, 투명한 재료에 의한 독특한 외관을 차량에 주고자 하는 경우, 투명한 차체 커버에 라이트 장치가 장착되는 차량에서는 라이트 장치의 렌즈 구조에 의해 렌즈로부터의 광이 차체 커버를 투과하기 때문에, 원래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광이 새는(이하, 「누광」이라고 한다)일이 있었다.
본 출원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청구항1 내지 청구항4 기재의 발명은 라이트 장치가 장착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로부터의 누광을 방지하는 것을 공통의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가지는 차량의 실시형태인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좌측면도,
도2는 프론트 라이트 장치가 핸들 프론트 커버로부터 벗겨졌을 때의 사시도,
도3은 프론트 라이트 장치의 평면도,
도4는 도3의 IV-IV선 단면도,
도5는 도3의 V-V선 단면도,
도6은 테일 라이트 장치의 렌즈가 베이스 부재로부터 벗겨지고, 하이마운트 스톱 램프가 리어 스포일러로부터 벗겨졌을 때의 사시도,
도7은 테일 라이트 장치의 후면도,
도8은 테일 라이트 장치의 좌측면도,
도9는 도7의 IX-IX선 단면도,
도10은 도7의 X-X선 단면도,
도11은 도7의 XI-XI선 단면도,
도12는 하이마운트 스톱 램프의 평면도,
도13은 도12의 XIII-XIII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 이륜차 2 : 헤드 파이프
3 : 다운 튜브 4L, 4R : 리어 프레임
5 : 전방 크로스 멤버 6 : 중간 크로스 멤버
7 : 후방 크로스 멤버 8 : 후방 스테이
9 : 스티어링 축 10 : 조향 핸들
11 : 프론트 포크 12 : 전륜
13 : 후륜 14 : 파워 유니트
15 : 리어 서스펜션 16 : 프론트 커버
17 : 레그 실드 18 : 프론트 펜더
19 : 플로어 보드 20L, 20R : 사이드 커버
21 : 언더 커버 22L, 22R : 보디 커버
23 : 리어 펜더 24 : 핸들 프론트 커버
24bl : 전방 단부 25 : 핸들 리어 커버
26 : 리어 스포일러 27 : 시트
30 : 헤드 램프 31, 32 : 프론트 윙커 램프
33 : 베이스 부재 34, 35 : 반사부
36, 37 : 벌브 38 : 인너 렌즈
39 : 프론트 렌즈 39a : 중앙 렌즈부
39b : 좌측 렌즈부 39c : 우측 렌즈부
50 : 테일 램프 51, 52 : 리어 윙커 램프
53 : 베이스 부재 54∼56 : 반사부
57∼59 : 벌브 60, 61 : 결합홈
62 : 테일 렌즈 63 : 오목부
64 : 렌즈 65 : 반사 플레이트
66 : 인너 렌즈 67 : 아우터 렌즈
68 : 인너 렌즈 69 : 아우터 렌즈
70, 71 : 윙커 렌즈 80 : 하이마운트 스톱 램프
81 : LED 82 : 기판
83 : 베이스 부재 84 : 렌즈
B : 볼트 C : 차체 커버
Da, Db, Dc, Dd, De : 중합 부분 F : 차체 프레임
LF: 프론트 라이트 장치 LT: 테일 라이트 장치
Sa, Sb, Sc, Sd, Se : 차광부
본 출원의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은 라이트 장치가 장착된 차체 커버를 구비한 차량이고, 상기 차체 커버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라이트 장치의 렌즈에는 상기 차체 커버와의 중합부분에 차광부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가지는 차량이다.
이 청구항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렌즈에 형성된 차광부에 의해, 라이트 장치로부터의 광이 렌즈의 차체 커버와의 중합부분에서 차체 커버를 투과하여 새는 일이 없다. 그 결과,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통한 누광이 방지된다. 그리고, 라이트 장치가 장착되는 차체 커버라는 이유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의 사용이 방해되지 않아,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구비한 차량의 독특한 외관성을 충분히 어필할 수 있다.
청구항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 기재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가지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렌즈면에 실시된 표면처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청구항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차광부는 렌즈면에 표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되므로, 불투명한 차체 커버에 장착되는 종래의 라이트 장치를 그대로 이용하고, 단순히 그 렌즈면인 외면 또는 내면에 표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차광부가 형성된다. 그 결과,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용의 라이트 장치를 새롭게 설계할 필요 없이, 기존의 라이트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용 라이트 장치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2 기재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가지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장치는 헤드 램프이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렌즈의 내면에 형성된 차열성을 가지는 막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이 청구항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차열성을 가지는 막에 의해 차체 커버를투과하는 누광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렌즈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막에 의한 열차폐 작용으로 헤드 램프 벌브의 발열에 의한 렌즈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청구항2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고가의 내열성 렌즈를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염가인 렌즈를 사용하고 이에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비용 삭감이 가능하다.
청구항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2 기재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가지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장치는 테일 램프이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렌즈의 외면에 도장된 흑색막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이 청구항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헤드 램프에 비해 발열량이 적은 광원을 사용하는 테일 램프 렌즈의 외면을 흑색 도료로 도장하는것만의 간단한 처리에 의해, 누광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청구항2 기재의 발명의 효과인 비용 상승의 억제를 더욱 철저하게 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출원발명의 실시형태를 도1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출원발명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가지는 차량인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1)의 좌측면도이고, 그 차체 프레임(F)은 전단부에 위치하는 헤드 파이프(2)와, 헤드 파이프(2)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운 튜브(3)와, 다운 튜브(3) 하부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차체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리어 프레임(4L, 4R)과, 양 리어 프레임(4L, 4R)의 사이에 위치하고, 전방에서 순차로 각각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크로스 멤버(5)와, 중간 크로스 멤버(6)와, 후방크로스 멤버(7)를 구비한다. 또한, 이 명세서에 있어서, 「전후 좌우」는 차량의 전후 좌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각 리어 프레임(4L, 4R)의 후단부는 이들 단면이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하여 차체 중심으로 향해 만곡하고, 이들 단면 사이에 걸쳐 고정 장착된 후방 스테이(8)를 통하여 연결된다.
헤드 파이프(2)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스티어링 축(9)의 상단부에는 조향 핸들(10)이, 또한 하단부에는 프론트 포크(11)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프론트 포크(11)의 하단부에는 전륜(12)이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파워 유니트(14)의 후단부는 후륜(13)을 축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리어서스펜션(15)을 통하여 후방 크로스 멤버(7)에 지지되고, 파워 유니트(14)의 전단부는 중간 크로스 멤버(6)에 지지 행거(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문지도리 지지되고, 파워 유니트(14)가 차체 프레임(F)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 지지된다.
차체 프레임(F), 스티어링 축(9) 및 조향 핸들(10)은 다수의 합성 수지제의 커버로 구성되는 차체 커버(C)에 의해 덮여진다. 즉, 이 차체 커버(C)는 헤드 파이프(2)의 전부 및 전륜(12)의 상부를 덮는 프론트 커버(16)와, 프론트 커버(16)의 후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되어 헤드 파이프(2) 및 다운 튜브(3)의 각 후부와 운전자의 레그부 전방을 덮는 레그 실드(17)와, 프론트 커버(16) 및 레그 실드(17)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되고, 전륜(12)의 후부를 덮는 프론트 펜더(18), 레그 실드(17)의 후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되어 운전자의 발밑을 지지하는 플로어 보드(19)와, 프론트 펜더(18)의 후측 가장자리부와 플로어 보드(19)의 좌우 양측가장자리부에 접합되어 리어 프레임(4L, 4R)의 좌우 양측부를 덮는 좌우 한쌍의 사이드 커버(20L, 20R)와, 양 사이드 커버(20L, 20R)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되어 플로어 보드(19)의 하면을 덮는 언더 커버(21)와, 플로어 보드(19)의 상측 가장자리부와 양 사이드 커버(20L, 20R)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되는 좌우 한쌍의 보디 커버(22L, 22R)와, 양 보디 커버(22L, 22R)의 하측 가장자리부에서 연장되어 후륜(13)의 상부를 덮는 리어 펜더(23)와, 스티어링 축(9)의 상부 및 조향 핸들(10)의 각 전부를 덮는 핸들 프론트 커버(24), 및 스티어링 축(9)의 상부 및 조향 핸들(10)의 각 후부를 덮는 핸들 리어 커버(2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자동 이륜차(1)는 후술하는 헤드 램프(30), 좌우의 프론트 윙커 램프(31, 32), 테일 램프(50), 좌우의 리어 윙커 램프(50, 52) 및 하이 마운트 스톱 램프(80)의 각종 라이트 장치를 구비한다. 그 중, 헤드 램프(30)와 그 좌우 양측방에 인접하여 배치된 좌우 한쌍의 프론트 윙커 램프(31, 32)가 일체화되어 구성된 프론트 라이트 장치(LF)는 핸들 프론트 커버(24)에 장착되고, 또한 테일 램프(50)와 그 좌우 양측방에 인접하여 배치된 좌우 한쌍의 리어 윙커 램프(51, 52)가 일체화되어 구성된 테일 라이트 장치(LT)는 보디 커버(22L, 22R)의 후단부에 장착된다. 또한, 하이마운트 스톱 램프(80)는 후방 스테이(8)에 고정되어 보디 커버(22L, 22R)의 후단부 상면을 덮는 리어 스포일러(26)에 장착된다.
그리고, 차체 커버(C)를 구성하는 커버중, 프론트 커버(16), 프론트 펜더(18), 양 사이드 커버(20L, 20R), 양 보디 커버(22L, 22R), 리어 스포일러(26)및 핸들 프론트 커버(24)는 모두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료인 합성 수지,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스틸렌수지(AES 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PP 수지), 아크릴수지로 형성되고, 한편, 레그 실드(17), 플로어 보드(19), 리어 펜더(23), 언더 커버(21) 및 핸들 리어 커버(25)는 모두 불투명한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자동 이륜차(1)의 차체 커버(C)의 내부 부품은 이들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의 외측에서 투시가능하다.
또한, 양 보디 커버(22L, 22R)의 상방에 배치되는 시트(27)는 양 보디 커버(22L, 22R)에 의해 그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덮는 동시에, 상기 개구를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하, 프론트 라이트 장치(LF), 테일 라이트 장치(LT) 및 하이마운트 스톱 램프(80)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내지 도5을 참조하면, 프론트 라이트 장치(LF)는 합성 수지제의 베이스 부재(33)를 가지고, 베이스 부재(33)의 좌우방향의 중앙에, 전방으로 향해 개방한 개구(34a)를 가지는 동시에, 반사면이 되는 내면부분에 알루미늄 증착막이 형성되고, 광원인 벌브(36)를 수용하는 중앙 반사부(34)와, 중앙 반사부(34)의 좌측방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좌전방으로 향해 개방한 개구(35a)를 가짐과 동시에, 반사면이 되는 내면부분에 알루미늄 증착막이 형성되고, 광원인 벌브(37)를 수용하는 좌측 반사부(35)와, 도시되지 않지만, 중앙 반사부(34)의 우측방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우측 전방을 향해 개방된 개구를 가짐과 동시에, 좌측 반사부(35)와 동일하게, 반사면이 되는 내면부분에 알루미늄 증착막이 형성되고, 광원인 벌브를 수용하는 우측 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측 반사부(35)에는 노란색으로 착색된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인너 렌즈(38)가 개구(35a)를 덮어 장착되고, 우측 반사부에도, 좌측 반사부(35)와 동일한 인너 렌즈가 그 개구를 덮어 장착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33)에는 그 전방에서 좌측 반사부(35)에 장착된 인너 렌즈(38)와 우측 반사부에 장착된 인너 렌즈와 중앙 반사부(34)의 개구(34a)를 덮는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프론트 렌즈(39)가 베이스 부재(33)의 외주면측에 결합되어 장착된다. 이 프론트 렌즈(39)는 중앙 반사부(34)의 개구(34a)를 덮는 중앙 렌즈부(39a)와, 좌측 반사부(35)의 인너 렌즈(38) 및 우측 반사부의 인너 렌즈를 각각 덮는 좌측 렌즈부(39b) 및 우측 렌즈부(39c)를 가진다. 그러므로, 헤드 램프(30)는 중앙 반사부(34), 벌브(36) 및 중앙 렌즈부(39a)를 구비하고, 좌측 프론트 윙커 램프(31)는 좌측 반사부(35), 벌브(37), 인너 렌즈(38) 및 좌측 렌즈부(39b)를 구비하고, 그리고 우측 프론트 윙커 램프(32)는 우측 반사부, 벌브, 인너 렌즈 및 우측 렌즈부(39c)를 구비한다.
도4를 참조하면, 중앙 렌즈부(39a)는 전방을 향한 전부(39d)와, 전부(39d)의 상측에 있는 산형상을 한 상부(39e)와, 전부(39d)의 하측에 있는 평판상의 하부(39f)를 가지고, 그 중, 전부(39d)는 상방으로 향해 기울어져 후방으로 경사져 있고, 그 경사 도중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후퇴한 단부(39d1)를 경계로 하방 경사부(39d2) 및 상방 경사부(39d3)를 가지고 있다.
한편, 중앙 반사부(34)는 벌브(36)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산형상의 상벽(34b) 및 평판상의 하벽(34c)을 구비하고, 상벽(34b)의 외면(표면)에 중앙 렌즈부(39a)의 상부(39e)가 재치됨과 동시에 결합되고, 하벽(34c)의 외면(하면)에 형성된 결합부에 중앙 렌즈부(39a)의 하부(39f)에 형성된 결합부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하벽(34c)은 그 전방 단부가 중앙 렌즈부(39a)의 전부(39d) 내면에 접하도록, 중앙 렌즈부(39a) 하부(39f)의 내면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라이트 장치(LF)가 핸들 프론트 커버(24)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프론트 렌즈(39)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핸들 프론트 커버(24)의 개구(24a) 상측 가장자리부(24b)의 전방 단부(24bl)(이 전방 단부(24b1)는 핸들 프론트 커버(24) 상부(24c)의 전방 단부이기도 하고, 도3에 2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은 중앙 렌즈부(39a)에 대해서는 단부(39d1)의 상방에 위치하고, 좌측 렌즈부(39b)에 대해서는 좌 측 반사부(35)의 상벽(35b) 전방 단부(35b1)의 상방에서 조금 후방에 위치하고(도5 참조), 우측 렌즈부(39c)에 대해서도 우측 반사부 상벽 전방 단부의 상방으로부터 조금 후방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중앙 렌즈부(39a) 단부(39d1)의 후부와 상방 경사부(39d3)와 상부(39e)는 핸들 프론트 커버(24)의 상부(24c)에 의해 덮여진다. 그리고, 중앙 렌즈부(39a)의 전부(39d) 및 상부(39e)에는 평면에서 봐서 핸들 프론트 커버(24)의 상부(24c)와의 중합부분(Da)의 내면에 벌브(36)의 광이 직접 닿는 영역을 포함하고, 전방 단부(Sa1)가 핸들 프론트 커버(24) 개구(24a)의 상측 가장자리부(24b)의전방 단부(24b1)와 대략 일치하는 위치에 있고, 후단(Sa2)이 중앙 반사부(34) 상벽(34b)의 전방 단부(34b1)로부터 중앙 렌즈부(39a)의 상부(39e)와 겹치는 부분에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위치에 있고, 좌단(Sa3)이 중앙 반사부(34) 좌벽의 상단(상벽(34b)의 좌단에 상당)보다 조금 좌측방의 위치에 있으며(도3 참조), 우단(Sa4)이 중앙 반사부(34) 우벽 상단(상벽(34b)의 우단에 상당)보다 조금 우측방의 위치에 있는 (도3 참조) 범위에서, 알루미늄 증착처리가 실시되어 알루미늄 증착막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헤드 램프(30)의 벌브(36)에서의 광이 중앙 렌즈부(39a)의 핸들 프론트 커버(24)의 상부(24c)와의 중합부분(Da)을 통해 상방으로 누광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부(Sa)가 형성된다. 또한, 이 소정 거리는 전방 단부(34b1)로부터의 광이 새는 상황에 따라 누광이 거의 없도록 적절히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좌측 프론트 윙커 램프(31)의 벌브(37) 및 우측 프론트 윙커 램프(32)의 벌브로부터의 광은 전술과 같이 핸들 프론트 커버(24) 개구(24a)의 상측 가장자리부(24b)의 전방 단부(24b1)가 좌측 반사부(35) 상벽(35b)의 전방 단부(35b1)보다 조금 후방에 위치하고, 또한 우측 반사부의 상벽 전방 단부보다 조금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좌측 렌즈부(39b) 및 우측 렌즈부(39c)에서의 광이 핸들 프론트 커버(24)의 상부(24c)를 통해 상방으로 누광하는 일이 없다. 또한, 헤드 램프(30)의 벌브(36)로부터의 좌우방향에의 광은 중앙 반사부(34)의 좌벽 및 우벽(모두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차폐된다.
다음에, 도6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테일 라이트 장치(LT)를 설명하면, 이 테일 라이트 장치(LT)는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같이, 후방 스테이(8)에 볼트(B)에 의해 결합된 합성 수지제 베이스 부재(53)를 가지고, 베이스 부재(53)의 좌우방향의 중앙에, 후방으로 향해 개방되는 개구(54a)를 가짐과 동시에, 반사면이 되는 내면부분에 알루미늄 증착막이 형성되고, 광원인 벌브(57)를 수용하는 중앙 반사부(54)와, 도11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중앙 반사부(54)의 좌측방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좌측 후방으로 향해 개방한 개구(55a)를 가짐과 동시에, 반사면이 되는 내면부분에 알루미늄 증착막이 형성되고, 광원인 벌브(58)를 수용하는 좌측 반사부(55)와, 도10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중앙 반사부(54)의 우측방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우측 후방으로 향해 개방된 개구(56a)를 가짐과 동시에, 반사면이 되는 내면부분에 알루미늄 증착막이 형성되고, 벌브(59)를 수용하는 우측 반사부(5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 반사부(54)의 좌벽(54d)은 좌측 반사부(55)의 우벽(55b)과, 베이스 부재(53)와 일체의 바닥벽(53a)을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좌벽(54d), 우벽(55b) 및 바닥벽(53a)에 의해, 상방에서 하방으로 향해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좌측방 결합홈(60)을 형성하고 있고, 또한, 도6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중앙 반사부(54)의 우벽(54e)도 상기 우벽(54e), 우측 반사부(56)의 좌벽(56b) 및 베이스 부재(53)와 일체의 바닥벽에 의해, 차체 좌우방향의 중심선에 대해 좌측방 결합홈(60)과 대칭으로 우측방 결합홈(61)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중앙 반사부(54)에는 도7 및 도9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적색으로 착색된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테일 렌즈(62)가 장착된다. 즉, 테일 렌즈(62)에 있어서, 그 상측 가장자리부(62a)는 중앙 반사부(54)의 상벽(54b)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오목부(63)가 형성된 하측 가장자리부(62b)는 넘버 플레이트를 비추기 위한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렌즈(64)를 통해 중앙 반사부(54)의 하벽(54c)에 걸리고, 오목부(63)의 상측 가장자리부(중앙 반사부(54)의 하측 가장자리부(62b)의 중앙부에 상당)의 좌우 양단에서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테일 렌즈(62)의 좌측 가장자리부(62c)(도11 참조)는 후술하는 인너 렌즈(68) 및 아우터 렌즈(69)의 각 우측 가장자리부(68b, 69b)와 함께 좌측방 결합홈(60)에서 아우터 렌즈(69)에 결합되고, 우측 가장자리부(62d)는 후술하는 인너 렌즈(66) 및 아우터 렌즈(67)의 각 좌측 가장자리부와 함께 우측방 결합홈(61)에서 아우터 렌즈(67)에 결합된다. 또한, 테일 렌즈(62)의 오목부(63)내의 베이스 부재(53)에는 반사 플레이트(65)가 장착된다.
또한, 우측 반사부(56)에는 도6, 도7 및 도10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노란색으로 착색된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인너 렌즈(66)가 직선상의 좌측 가장자리부(56b) 및 활모양 가장자리부(56c)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56a)를 덮어 장착되고, 그 외방측에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아우터 렌즈(67)가 장착된다. 즉, 우측 반사부(56)의 활모양 내벽(56c1)의 외면에 인너 렌즈(66)의 활모양 가장자리부(66a)가 재치되어 결합되고, 인너 렌즈(66)의 좌측 가장자리부가 우측방 결합홈(61)에 결합하고, 또한 그 외방측에 간극을 두고, 활모양 외벽(56c2)의 내면에 아우터 렌즈(67)의 활모양 가장자리부(67a)가 재치되어 결합되며, 아우터 렌즈(67)의 직선상의 좌측 가장자리부(67b)가 우측방 결합홈(61)내에서 인너렌즈(66)의 좌측 가장자리부와 결합된다.
또한, 도11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좌측 반사부(55)에도 우측 반사부(56)와 동일한 형태에 의해, 노란색으로 착색된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인너 렌즈(68)가 직선상의 좌측 가장자리부(55b) 및 활모양 가장자리부(55c)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55a)를 덮어 장착되고, 그 외방측에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아우터 렌즈(69)가 장착된다. 즉, 좌측 반사부(55)의 활모양 내벽(55c1)의 외면에 인너 렌즈(68)의 활모양 가장자리부(68a)가 재치되어 결합되고, 인너 렌즈(68)의 우측 가장자리부(68b)가 좌측방 결합홈(60)에 결합하고, 또한 그 후방(외방)에 간극을 두고, 활모양 외벽(55c2)의 내면에 아우터 렌즈(69)의 활모양 가장자리부(69a)가 재치되어 결합되며, 아우터 렌즈(69)의 직선상 우측 가장자리부(69b)가 좌측방 결합홈(60)내에서 인너 렌즈(68)의 좌측 가장자리부(68b)와 결합된다.
그러므로, 테일 램프(50)는 중앙 반사부(54)와, 벌브(57)와, 테일 렌즈(62)를 구비하고, 좌우 리어 윙커 램프(51, 52)는 각각 반사부(55, 56)와 벌브(58, 59)와 인너 렌즈(66, 68) 및 아우터 렌즈(67, 69)로 이루어지는 좌우 윙커 렌즈(70, 71)를 구비한다.
그리고, 보디 커버(22L, 22R)가 차체 프레임(F)측에 고정되고, 보디 커버(22L, 22R)의 후단부(22La, 22Ra)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가 열린 절결로 이루어지는 개구(22a)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22a)에 후방 스테이(8)에 고정된 베이스 부재(53)에 각 렌즈(62, 66∼69)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도8 내지 도11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개구(22a) 가장자리부(22b)의 후단(22bl)(이 후단(22b1)은 보디 커버(22L,22R) 후단부(22La, 22Ra)의 후단이기도 하다)이 테일 렌즈(62) 상측 가장자리부(62a)의 외방측에 위치하고, 좌우 아우터 렌즈(67, 69)의 활모양 가장자리부(67a, 69a)의 외방측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테일 렌즈(62)의 상측 가장자리부(62a)와 양 아우터 렌즈(67, 69)의 활모양 가장자리부(67a, 69a)는 보디 커버(22L, 22R)의 후단부(22La, 22Ra)에 의해 덮여진다. 그리고, 도9를 참조하면, 테일 렌즈(62)의 상측 가장자리부(62a)에는 보디 커버(22L, 22R) 후단부(22La, 22Ra)와의 중합부분(Db)의 외면에 벌브(57)의 광이 직접 닿는 영역을 포함하고, 후단(Sb1)이 개구(22a) 가장자리부(22b)의 후단(22b1)과 대략 일치하는 위치에 있으며, 전방 단부(Sb2)가 중앙 반사부(54) 상벽(54b)의 후단(54b1)으로부터 테일 렌즈(62)의 상측 가장자리부(62a)와 겹치는 부분에서 전방에 소정 거리의 위치에 있고, 또한 좌단(Sb3)이 상측 가장자리부(62a)의 좌단 위치에 있으며(도7 참조), 우단(Sb4)이 상측 가장자리부(62a) 우단의 위치에 있는(도7 참조)범위에서, 흑색도료에 의한 도장이 실시되어 흑색막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테일 렌즈(50)의 벌브(57)로부터의 광이 테일 렌즈(62)와 보디 커버(22L, 22R)의 후단부(22La, 22Ra)와의 중합부분(Db)을 통하고, 또한 리어 스포일러(26)를 통해, 외방으로 누광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부(Sb)가 형성된다. 또한, 이 소정거리는 중앙 반사부(54) 상벽(54b)의 후단(54b1)으로부터의 광이 새는 상황에 따라, 누광이 거의 없도록 적절히 결정되는 것으로, 이 실시형태에서 전방 단부(Sb2)는 상측 가장자리부(62a) 상벽(54b)과의 당접부(62a1) 근방까지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10을 참조하면, 우측방 리어 윙커 램프(52)의 아우터 렌즈(67)의 활모양 가장자리부(67a)에는 우측 보디 커버(22R)의 후단부(22Ra)와의 중합부분(Dc)의 외면에, 벌브(59)의 광이 직접 닿는 영역을 포함하고, 후단(Sc1)이 개구(22a) 가장자리부(22b)의 후단(22b1)과 대략 일치하는 위치에 있으며, 전방 단부(Sc2)가 우측 반사부(56)의 활모양 내벽(56c1)의 후단(56c11)으로부터 아우터 렌즈(67)의 활모양 가장자리부(67a)와 겹치는 부분에서 전방으로 소정거리의 위치에 있고, 또한 상부 좌단(Sc3)이 활모양 가장자리부(67a)의 상부 좌단의 위치에 있고(도7 참조), 하부 좌단(Sc4)이 활모양 가장자리부(67a)의 하부 좌단의 위치에 있는(도7 참조) 범위에서, 흑색도료에 의한 도장이 실시되어 흑색막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우측 리어 윙커 램프(52)의 벌브(59)로부터의 광이 우측 윙커 렌즈(71)와 우측 보디 커버(22R)의 후단부(22Ra)와의 중합부분(Dc)을 통하고, 또한 리어 스포일러(26)를 통해, 외방측으로 누광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부(Sc)가 형성된다. 또한, 이 소정거리는 우측 반사부(56)의 활모양 내벽(56c1)의 후단(56c11)으로부터의 광의 새는 상황에 따라, 누광이 거의 없도록 적절히 결정되는 것으로, 이 실시형태에서 전방 단부(Sc2)는 활모양 가장자리부(67a)의 외벽(56c2)과의 당접부(67a1) 근방까지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동일하게 도8 및 도11을 참조하면, 좌측 리어 윙커 램프(51)의 아우터 렌즈(69)의 활모양 가장자리부(69a)에는 좌측 보디 커버(22L) 후단부(22La)와의 중합부분(Dd)의 외면에 벌브(58)의 광이 직접 닿는 영역을 포함하고, 후단(Sd1)이 개구(22a) 가장자리부(22b)의 후단(22b1)과 대략 일치하는 위치에 있고, 전방단부(Sd2)가 우측 반사부(55)의 활모양 내벽(55c1)의 후단(55c11)으로부터 아우터 렌즈(69)의 활모양 가장자리부(69a)와 겹치는 부분에서 전방으로 소정거리의 위치에 있으며, 또한 상부 우단(Sd3)이 활모양 가장자리부(69a)의 상부 우단 위치에 있고(도7 참조), 하부 우단(Sd4)이 활모양 가장자리부(69a)의 하부 우단 위치에 있는(도7 참조)범위에서, 흑색 도료에 의한 도장이 실시되어 흑색막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좌측 리어 윙커 램프(51)의 벌브(58)로부터의 광이 좌측 윙커 렌즈(70)와 좌측 보디 커버(22L) 후단부(22La)와의 중합부분(Dd)을 통하고, 또한 리어 스포일러(26)를 통해, 외방으로 누광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부(Sd)가 형성된다. 또한, 이 소정거리는 좌측 반사부(55)의 활모양 내벽(55c1)의 후단(55c11)으로부터의 광이 새는 상황에 따라, 누광이 거의 없도록 적절히 결정되는 것으로, 이 실시형태에서 전방 단부(Sd2)는 활모양 가장자리부(69a) 외벽(55c2)과의 당접부(69a1) 근방까지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음에, 도6, 도12 및 도13을 참조하여 하이마운트 스톱 램프(80)에 대해 설명한다. 리어 스포일러(26) 후단부(26a)의 하면에 장착되는 하이마운트 스톱 램프(80)는 광원인 다수의 LED(81)가 부착된 기판(82)이 고정되어 리어 스포일러(26)에 볼트 결합되는 합성 수지제의 불투명한 베이스 부재(83)와, 베이스 부재(83)에 걸리는 적색으로 착색된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렌즈(84)를 구비하고, 렌즈(84)는 그 전단부(84a)가 베이스 부재(83)의 외주에 끼워짐으로써, 베이스 부재(83)에 장착된다. 그리고, 하이마운트 스톱 램프(80)가 리어 스포일러(26)에, 한쌍의 브래킷(83a, 83a)을 통하여 고정될 때, 렌즈(84) 후단부의 좌우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홈(84b)에, 리어 스포일러(26)의 후단에 형성된 돌출편(26b)이 결합된다.
하이마운트 스톱 램프(80)가 리어 스포일러(26)에 장착된 상태에서 렌즈(84)의 리어 스포일러(26)의 내면과 대향하는 상부 전체는 리어 스포일러(26)의 후단부(26a)에 의해 덮여진다. 그리고, 렌즈(84)의 상부에는 리어 스포일러(26)의 후단부(26a)와의 중합부분(De)의 외면에 LED(81)의 광이 직접 닿는 영역을 포함하고, 베이스 부재(83)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최전단부(84c)를 제외한 부분전체에, 흑색도장에 의한 도장이 실시되어 흑색막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LED(81)로부터의 광이 렌즈(84)와 리어 스포일러(26)의 후단부(26a)와의 중합부분(De)을 통해 상방으로 누광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부(Se)가 형성된다.
다음에, 전술과 같이 구성된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핸들 프론트 커버(24)에 장착된 헤드 램프(30)의 중앙 렌즈부(39a)와, 보디 커버(22L, 22R)에 장착된 테일 램프(50)의 테일 렌즈(62) 및 양 리어 윙커 램프(51, 52)의 윙커 렌즈(70, 71)와, 리어 스포일러(26)에 장착된 하이마운트 스톱 램프(80)의 렌즈(84)에 각각 형성된 차광부(Sa, Sb, Sd, Sc, Se)에 의해 각 램프(30, 50, 51, 52, 80)로부터의 광이 각 렌즈(39, 62, 70, 71, 84)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인 핸들 프론트 커버(24), 보디 커버(22L, 22R) 또는 리어 스포일러(26)와의 중합부분(Da, Db, Dd, Dc, De)에서 그들 차체 커버를 투과하여 새는 일이 없다.
그 결과,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핸들 프론트 커버(24), 보디 커버(22L, 22R)및 리어 스포일러(26)를 통한 광의 누광이 방지된다. 그리고, 이들 램프(30, 50, 51, 52, 80)가 장착되는 차체 커버라는 이유로,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핸들 프론트 커버(24), 보디 커버(22L, 22R) 및 리어 스포일러(26)의 사용이 방해되지 않고,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구비한 차량의 독특한 외관성을 충분히 어필할 수 있다.
각 차광부(Sa, Sb, Sd, Sc, Se)는 각 렌즈(39, 62, 70, 71, 84)의 외면 또는 내면에 증착 또는 도장이라는 표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되므로, 불투명한 핸들 프론트 커버, 보디 커버 및 리어 스포일러에 각각 장착되는 종래의 헤드 램프, 테일 램프, 리어 윙커 램프 및 하이마운트 스톱 램프를 그대로 이용하고, 단순히 그 렌즈의 외면 또는 내면에 표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차광부(Sa, Sb, Sd, Sc, Se)가 형성된다.
그 결과,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핸들 프론트 커버(24), 보디 커버(22L, 22R) 및 리어 스포일러(26)용의 각 램프(30, 50, 51, 52, 80)를 새롭게 설계할 필요없이, 기존의 각 램프를 이용함으로써,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핸들 프론트 커버(24), 보디 커버(22L, 22R) 및 리어 스포일러(26)용 각 램프(30, 50, 51, 52, 80)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헤드 램프(30)의 중앙 렌즈부(39a)에 형성되어 있는 차광부(Sa)가 알루미늄 증착막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핸들 프론트 커버(24)의 상부를 투과하는 누광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알루미늄 증착막에서의 반사에 의해, 전방에의 투광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헤드 램프(30)를 구성하는 프론트 렌즈(39)의 중앙 렌즈부(39a)의 내면에 있어서, 중앙 렌즈부(39a)의 하부(39f)는 중앙 반사부(34) 하벽(34c)의 외측에 있고, 또한 하방 경사부(39d2)는 핸들 프론트 커버(24)의 개구(24a)에서 노출되어 있고, 차량 주행시에는 주행풍에 의해 냉각되는데 대해, 알루미늄 증착막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하방 경사부(39d2)보다 후퇴한 위치에 있어 벌브(36)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데다, 핸들 프론트 커버(24)에 의해 덮여져 있으므로, 중앙 렌즈부(39a)에서 특히 고온이 되는 부분이지만, 중앙 렌즈부(39a)의 내면에 형성된 알루미늄 증착막에 의한 열차폐 작용으로 벌브의 발열에 의한 중앙 렌즈부(39a), 따라서 프론트 렌즈(39)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고가의 내열성 렌즈를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염가인 렌즈를 사용하고 또한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비용 삭감을 할수 있다.
헤드 램프(30)에 비해 발열량이 적은 광원을 사용하는 테일 램프(50), 리어 윙커 램프(51, 52) 및 하이마운트 스톱 램프(80)의 각 렌즈(62, 70, 71, 84)의 차광부(Sb, Sd, Sc, Se)는 각 렌즈(62, 70, 71, 84)의 외면을 흑색도료로 도장하는 것만의 간단한 처리에 의해 형성되고, 그 차광부(Sb, Sd, Sc, Se)에 의해 누광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불투명한 보디 커버 및 리어 스포일러에 각각 장착되는 종래의 테일 램프, 리어 윙커 램프 및 하이마운트 스톱 램프를 그대로 이용함에 의한 투명 또는 반투명한 각 차체 커버용의 각 램프(50, 5l, 52, 80)의 비용 상승의 억제를 더 철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전술과 같은 구성이고, 알루미늄 증착막은 헤드 램프(30)의 중앙 렌즈부(39a) 내면에 형성되었는데, 단순히 차광을 위해서라면, 중앙 렌즈부(39a)의 외면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프론트 라이트 장치(LF)는 헤드 램프(30)와 프론트 윙커 램프(31, 32)가 일체화된 것인데, 이들 램프가 별체여도 되고, 동일하게 테일 라이트 장치(LT)는 테일 램프(50)와 리어 윙커 램프(51, 52)가 일체화된 것이지만, 이들 램프가 별체여도 된다. 또한, 테일 라이트 장치(LT)의 각 렌즈(62, 70, 71) 및 하이마운트 스톱 라이트(80) 렌즈(84)의 각각의 렌즈 외면에 흑색막을 형성하는 대신에, 이들 렌즈의 내면에 흑색막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흑색막 대신에, 이들 렌즈의 외면 또는 내면에 흑색 테이프를 붙여도 된다.
또한, 좌우의 프론트 윙커 램프의 렌즈와 핸들 프론트 커버와의 중합부분으로부터 누광이 생기는 경우에는 이들 렌즈에 차광부를 형성한다. 또한, 좌우의 리어 윙커 램프(51, 52)의 윙커 렌즈(70, 71)는 2중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지만, 한겹의 렌즈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차량은 스쿠터형의 자동 이륜차(1)이지만, 본 출원발명은 스쿠터형의 자동 삼륜차, 기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에 라이트 장치가 장착되는 어떠한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4)

  1. 라이트 장치가 장착된 차체 커버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체 커버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라이트 장치의 렌즈에는 상기 차체 커버와의 중합부분에 차광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가지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렌즈면에 실시된 표면처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가지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장치는 헤드 램프이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렌즈의 내면에 형성된 차열성을 가지는 막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가지는 차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장치는 테일 램프이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렌즈의 외면에 도장된 흑색막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가지는 차량.
KR10-2001-0012225A 2000-03-17 2001-03-09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가지는 차량 KR100396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76129 2000-03-17
JP2000076129A JP2001260965A (ja) 2000-03-17 2000-03-17 透明または半透明な車体カバーを有する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944A true KR20010091944A (ko) 2001-10-23
KR100396990B1 KR100396990B1 (ko) 2003-09-03

Family

ID=18593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225A KR100396990B1 (ko) 2000-03-17 2001-03-09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가지는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01260965A (ko)
KR (1) KR100396990B1 (ko)
CN (1) CN1167568C (ko)
ES (1) ES2207349B1 (ko)
IT (1) ITTO20010238A1 (ko)
TW (1) TW58758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8844A (ja) * 2002-11-25 2004-06-2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ヘッドランプ
JP4358061B2 (ja) * 2004-07-30 2009-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前部灯火装置
JP2009046066A (ja) * 2007-08-22 2009-03-05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の前照灯装置及び該前照灯装置を備えた自動二輪車
JP2010202129A (ja) * 2009-03-05 2010-09-16 Stanley Electric Co Ltd 自動二輪車の光漏れ防止構造
JP5324407B2 (ja) * 2009-12-07 2013-10-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後部構造
JP5564388B2 (ja) * 2010-09-30 2014-07-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火器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CN102069747A (zh) * 2010-12-31 2011-05-25 东莞市龙行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的车灯结构
CN104340304B (zh) * 2013-07-29 2017-09-19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机动二轮车用的后组合灯
JP6025764B2 (ja) * 2013-07-29 2016-1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の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
JP6238951B2 (ja) * 2015-12-18 2017-11-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ヘッドライト装置
CN106369519B (zh) * 2016-08-26 2020-10-27 嘉兴海拉灯具有限公司 一种汽车车灯安装方法
IT202200005108A1 (it) * 2022-03-16 2023-09-16 Piaggio & C Spa Motociclo a tre ruote con gruppo ottico posterio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5668A (en) * 1988-06-17 1989-12-05 Mag Instrument, Inc. Heat shield
JPH02244501A (ja) * 1989-03-17 1990-09-28 Stanley Electric Co Ltd 自動車用前照灯
DE8905535U1 (de) * 1989-05-02 1989-06-29 Torringen, Hans, 5060 Bergisch-Gladbach Halbkugelförmige Reflektorschale aus Metall für Halogenlampen
JP2779698B2 (ja) * 1990-08-07 1998-07-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カウリ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07349B1 (es) 2005-07-16
TW587581U (en) 2004-05-11
ITTO20010238A1 (it) 2002-09-15
CN1314278A (zh) 2001-09-26
ITTO20010238A0 (it) 2001-03-15
JP2001260965A (ja) 2001-09-26
KR100396990B1 (ko) 2003-09-03
CN1167568C (zh) 2004-09-22
ES2207349A1 (es) 200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990B1 (ko)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가지는 차량
US7588356B2 (en) Structure of tail light for motorcycle
US8118460B2 (en) Motorcycle headlamp
JP5908813B2 (ja) 乗物用ヘッドランプユニット
JP2007030592A (ja) 車両用ライト装置及び該ライト装置を備えた自動二輪車
JP6116935B2 (ja) 自動二輪車の前照灯装置
JP2010165583A (ja) 自動二輪車のポジションライトおよび灯火装置
EP3222503B1 (en) Front structure of saddle ride type vehicle
US9310043B2 (en) Vehicle turn signal light device structure having a light shielding plate
WO2016158889A1 (ja) ヘッドライト
JP2007030809A (ja) 自動二輪車のランプユニット
JP2012195261A (ja) 前照灯装置
JP2003203508A (ja) 車両用前照灯
JP6192238B2 (ja) 自動二輪車
WO2009118998A1 (ja) 鞍乗型車両
JP6827525B2 (ja) 鞍乗型車両の灯火装置
JP2016016679A (ja) 鞍乗型車両
JP7124118B2 (ja) 鞍乗型車両の灯火装置
JP6096533B2 (ja) 鞍乗型車両の灯火器
WO2023182044A1 (ja) 車両用灯具
JP6321238B2 (ja) 鞍乗型車両の灯火器
JP2011116143A (ja) 鞍乗型車両
JP2019502598A (ja) 自動二輪車用のフロントライト構造
JP2011192415A (ja) ヘッドライト装置
JP2010012805A (ja) 自動二輪車の前照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