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0527A - 전기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0527A
KR20010090527A KR1020010015128A KR20010015128A KR20010090527A KR 20010090527 A KR20010090527 A KR 20010090527A KR 1020010015128 A KR1020010015128 A KR 1020010015128A KR 20010015128 A KR20010015128 A KR 20010015128A KR 20010090527 A KR20010090527 A KR 20010090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exhaust tube
vacuum cleaner
intake air
electric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3988B1 (ko
Inventor
마쯔모또유끼미찌
오오따히로시
오오니시유우지
기무라겐지
쯔지이다까유끼
사또마사히로
니노미야고오지
하야시가즈마사
Original Assignee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8850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6929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386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05195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41333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01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42811A external-priority patent/JP3476076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찌다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20010090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47L9/108Dust compres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03Vacuum clea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전기 진공 청소기에서, 노즐을 갖는 노즐 유닛과 흡기를 발생시키는 전기 송풍기의 사이에 설치된 흡기로에, 먼지를 흡기로부터 분리하는 분리기가 배열된다. 분리된 먼지를 수용하는 집진 챔버를 분리기에 설치한다. 필터를 설치한 배출구를 측면에 갖는 배기 튜브를 분리기에 구비하고, 배기 튜브를 거쳐서 분리기 내의 흡기를 흡기로의 하류측으로 배출한다. 필터의 청소를 위해 브러시를 갖는 청소 부재를 구비한다. 필터에 접촉한 상태로 청소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필터에 부착한 먼지를 빼내고 쓴다. 청소 부재는 수동 조작에 의해, 전동기에 의해, 또는 흡기류에 의해서 이동된다.

Description

전기 진공 청소기{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전기 진공 청소기, 특히 흡기류를 선회시켜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형 집진기를 갖는 전기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기 송풍기의 구동에 의한 흡기를 선회시켜 먼지를 흡기류로부터 분리하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갖는 전기 진공 청소기가 제안되어 있다. 도49는 이러한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바닥면 F에 면한 노즐(4a)을 갖는 노즐 유닛(4)에는 연결관(3)이 연결되어 있다. 연결관(3)에는 싸이클론 집진기(5)가 결합되어 있다.
싸이클론 집진기(5)는 결합 부재(10) 및 흡입 호스(2)를 거쳐서 전기 송풍기(1a)를 갖는 전기 진공 청소기 주본체(1)에 연통하여, 흡기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결합 부재(10)의 일부를 굴곡하여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10a)을 형성하다. 핸들(10a) 상에는 여러가지 조작을 하는 조작키나 운전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 등을 갖는 조작부(10g)가 제공된다.
전기 송풍기(1a)가 구동되면, 노즐 유닛(4)의 노즐(4a)을 통해 화살표 f1과 같이 공기가 흡입되고, 흡기는 연결관(3)을 거쳐서 유입구(5a)를 통해 싸이클론 집진기(5)로 유입된다. 싸이클론 집진기(5) 내에서 공기는 선회하면서 먼지를 분리제거하고, 전기 송풍기(1a)의 흡인력에 의해 전기 진공 청소기 주본체(1)로부터 화살표 f2와 같이 외부로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50의 사시도, 도51의 수직 단면도 및 도52의 수평 단면도로 싸이클론 집진기(5)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싸이클론 집진기(5)는 유입구(5a)가 형성된 흡기 가이드(20)를 상부에 갖고 있고, 흡기 가이드(20)에 의해 연결관(3)에 결합되어 있다. 또, 싸이클론 집진기(5)는 대체로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관(3)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입된 공기는 싸이클론 집진기(5)의 내벽(5c)의 접선 방향으로 유입구(5a)를 통해 싸이클론 집진기(5)로 흘러들어간다.
결합 부재(10)는 일체로 형성된 결합관(10b)을 갖는다. 결합관(10b)은 일단에 폐쇄 단부면(10c)을 갖고 이 단부에서 싸이클론 집진기(5) 내에 돌입하고 있다. 결합관(10b)의 외주면에는 유입구(5a)보다 낮은 위치에 배출구(5b)가 형성되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싸이클론 집진기(5) 밖으로 배출된다. 배출구(5b)에는 다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메쉬 필터가 끼워지게 된다.
흡기 가이드(20)에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밸브(13)가 제공된다. 유입된 공기의 진공압에 의해 밸브(13)는 공기류의 방향으로 휘어지고, 이는 도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구(5a)에서 공기가 싸이클론 집진기(5)의 접선방향으로 흐르게 한다. 이에 따라 유입된 공기가 싸이클론 집진기(5)의 내벽(5c)에 충돌하여 나선형 공기류로 선회하여, 원심력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여 제1 집진 챔버(7) 내에 퇴적된다.
또한, 흡기가 흐르고 있지 않은 때에는 밸브(13)는 탄성에 의해 유입구(5a)를 폐쇄하여, 먼지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진공 청소기가 수납된 경우, 수집된 먼지가 주변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집진 챔버(7)의 하부에는 대체로 동축으로 제2 집진 챔버(8)가 설치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격벽(9)이 배열된다. 도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9)에는 개구(9a)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9a)에는 다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메쉬형 필터가 끼워진다. 필터는 나일론계 등의 수지나 메쉬형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되고, 이중 성형, 용접 또는 접착 등에 의해 격벽(9)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미세한 먼지는 개구(9a)의 필터를 통과하여 제2 집진 챔버(8) 내에 수용된다.
전기 송풍기(1a)의 구동에 의해 흡인된 공기와 같이 싸이클론 집진기(5) 내에 유입되는 먼지에는, 매우 미세한 먼지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미세한 먼지는 매우 가벼워서 싸이클론 집진기(5) 내에서 선회하는 기류의 원심력에 의해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유입된 공기가 배출구(5b)를 통해 배출될 때, 미세한 먼지가 배출구(5b)의 필터에 흡착하여, 필터가 막히게 된다. 이 경우, 필터의 막힌 부분으로 배출구(5b)에는 통기 저항이 생겨서 전기 송풍기(1a)의 출력에 대하여 충분한 흡기가 얻어지지 않고, 흡입 효율이 저하한다.
또한, 전기 송풍기(1a)가 정지한 후에도 많은 먼지가 배출구(5b)에 흡착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청소하지 않으면, 전기 진공 청소기의 운전시마다 잇달아 먼지가 쌓여서 상술한 필터의 막힘에 의한 흡입 효율의 저하가 현저해지게 된다. 따라서, 배출구(5b)의 청소 등의 정기적인 보수가 필수적이며, 많은 시간 및 수고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배출구(5b)는 싸이클론 집진기(5) 내에 돌입하는 결합관(10b)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싸이클론 집진기(5)로부터 착탈이 용이하지 않고, 배출구(5b)가 청소 등에 의해 잘 보수되기 어렵게 한다. 따라서, 먼지가 붙은 배출구(5b)를 천 등으로 문질러 청소할 때, 떨어진 먼지가 청소자의 손가락에 부착하여 비위생적이고, 또한 바닥면에 떨어져 또 더럽혀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배출구(5b)의 구석구석까지 완전히 청소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수고가 필요하고, 사용자 선호도의 관점에서 불만족스럽게 한다.
또한, 격벽(9)의 개구(9a)에 필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이 조각 등의 비교적 거친 먼지가 제1 집진 챔버(7) 내에 퇴적하면, 개구(9a)의 필터의 일부 혹은 전부가 막혀서, 마지막 미세한 먼지를 제2 집진 챔버(8) 내에 충분히 수용할 수 없게 되는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다음 운전시, 제1 집진 챔버(7) 내에 남은 먼지가 싸이클론 집진기(5) 내에서 선회하는 기류에 감아 올려지고, 그 결과 상술한 배출구(5b)에의 먼지의 흡착이 더욱 발생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기로 내에 배치된 필터의 청소 등의 보수가 용이한 전기 진공 청소기, 특히, 집진기에 생성된 원심력에 의해서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식 전기 진공 청소기로서, 집진기의 배출구에 설치된 필터의 보수가 용이한 전기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노즐을 갖는 노즐 유닛과, 흡기를 발생시키는 전기 송풍기와, 상기 노즐 유닛과 상기 전기 송풍기 사이에 설치된 흡기로와, 상기 흡기로에 배치되어 자체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를 나선형 기류로 선회시켜 흡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로서, 상기 싸이클론 집진기에는 흡기를 흡기로의 하류측으로 유출시키는 제거가능한 배기 튜브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배기 튜브를 싸이클론 집진기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기 튜브의 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배기 튜브를 물로 세척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노즐을 갖는 노즐 유닛과, 흡기를 발생시키는 전기 송풍기와, 상기 노즐 유닛과 상기 전기 송풍기 사이에 설치된 흡기로와, 상기 흡기로에 배치되어 자체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를 나선형 기류로 선회시켜 흡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로서, 상기 싸이클론 집진기에는 분리된 먼지를 수용하는 집진 챔버가 제공된다. 여기서, 집진 챔버는 개구를 가지고 흡기의 선회방향을 따라 배열된 격벽이 제공된, 흡기의 유입부에 가까운 제1 구획과 흡기의 유입부로부터 먼 제2 구획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분리된 먼지를 흡기의 유입부로부터 먼 제2 구획에 격벽의 개구를 거쳐서 유도하여 넣어, 격벽에 의해서 먼지가 흡기에 다시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집진 챔버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보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노즐을 갖는 노즐 유닛과, 흡기를 발생시키는 전기 송풍기와, 상기 노즐 유닛과 상기 전기 송풍기 사이에 설치된 흡기로와,상기 흡기로에 배치되어 자체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를 나선형 기류로 선회시켜 흡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로서, 상기 싸이클론 집진기는 분리된 먼지를 수용하는 착탈가능한 집진 챔버와, 집진 챔버를 착탈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집진 챔버는 착탈가능하므로, 보수가 용이하다. 더구나, 유지 기구를 구비하므로, 원하지 않았던 집진 챔버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노즐을 갖는 노즐 유닛과, 흡기를 발생시키는 전기 송풍기와, 노즐 유닛과 전기 송풍기의 사이에 설치된 흡기로와, 흡기로에 배치되어 흡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기를 구비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는 분리기에 연통하여 분리된 먼지가 수집되는 착탈가능한 집진 챔버와, 분리기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흡기로의 하류측으로 유출시키는 필터와, 집진 챔버가 착탈되는 동안 집진 챔버의 운동에 인터록되는 방법으로 필터를 청소하는 청소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필터는 집진 챔버가 착탈될 때마다 자동적으로 청소되기 때문에, 보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노즐을 갖는 노즐 유닛과, 흡기를 발생시키는 전기 송풍기와, 노즐 유닛와 전기 송풍기의 사이에 설치된 흡기로와, 흡기로에 배치되어 흡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기를 구비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는 분리기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분리된 먼지를 수용하는 착탈가능한 집진 챔버와; 주연면에 형성된 필터가 설치된 배출구를 갖고, 배출구가 집진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집진 챔버의 벽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집진 챔버로 삽입되고, 흡기가 집진 챔버로부터 배출구를 통해 먼지 흡입로의 하류측으로 유출시키는 배기 튜브와; 집진 챔버의 개구의 모서리에 제공된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청소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필터의 보수가 용이하다. 배기 튜브는 흡기로에 고정될 수도 있고, 집진 챔버에 부착될 수도 있다. 집진 챔버의 착탈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노즐을 갖는 노즐 유닛과, 흡기를 발생시키는 전기 송풍기와, 상기 노즐 유닛과 상기 전기 송풍기 사이에 설치된 흡기로와, 상기 흡기로에 배치되어 자체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를 나선형 기류로 선회시켜 흡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는 싸이클론 집진기 내에 축적된 먼지를 압축하는 압축 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먼지를 압축함으로써 간단히 집진부의 자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축적된 먼지를 버리는 빈도를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먼지는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버릴 때에 비산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노즐을 갖는 노즐 유닛과, 흡기를 발생시키는 전기 송풍기와, 상기 노즐 유닛과 상기 전기 송풍기 사이에 설치된 흡기로와, 상기 흡기로에 배치되어 자체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를 나선형 기류로 선회시켜 흡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로서, 상기 싸이클론 집진기는 주연면에 형성된 필터가 설치되어 흡기를 배출구를 통해 하류측으로 유출시키는 배출구를 갖는 배기 튜브와; 배기 튜브로부터 유출한 흡기력을 이용하여 필터를 청소하는 청소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필터가 항상 청소되므로, 보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노즐을 갖는 노즐 유닛과, 흡기를 발생시키는 전기 송풍기와, 노즐 유닛과 전기 송풍기의 사이에 설치된 흡기로와, 흡기로에 배치되어 흡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기를 구비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는 분리기에 연통하여 분리된 먼지를 수집하는 집진 챔버와; 필터가 설치되는 주연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갖고, 흡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분리기로부터 흡기로의 하류측으로 유출시키는 배기 튜브와; 필터에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여 필터를 청소하는 청소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청소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간단하게 필터를 청소할 수 있어서 보수가 용이하다. 청소 부재는 전동기에 의해서 이동시킬 수도 있고, 전기 송풍기가 발생시키는 흡기류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도 있고, 수동 조작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이나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2는 제1 실시예의 싸이클론 집진기에 배치되는 배기 튜브의 측면도.
도3은 배기 튜브의 청소시의 측면도.
도4는 배기 튜브의 수직 단면도.
도5는 배기 튜브의 수평 단면도.
도6 배기 튜브의 저면도.
도7은 배기 튜브의 변형예의 수평 단면도.
도8은 다른 구성의 배기 튜브의 부분 파단 측면도.
도9는 제1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에 배치되는 격벽의 사시도.
도10은 격벽의 측면도.
도11은 격벽의 상부도.
도12는 격벽의 변형예의 상부도.
도13은 배기 튜브에 청소컵을 부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4는 청소컵의 분해사시도.
도15는 청소컵을 부착한 상태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16은 제2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 주변의 사시도.
도17은 제2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18은 제2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평 단면도.
도19는 싸이클론 집진기에 제공되는 제2 집진 챔버 및 그 부착에 이용하는 슬라이드 부재의 사시도.
도20은 집진 챔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21은 제3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22는 집진 챔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23은 제4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24는 싸이클론 집진기로부터 분리된 집진 챔버의 수직 단면도.
도25는 제4 실시예의 싸이클론 집진기에 제공되는 배기 튜브, 프레임, 및 제1 집진 챔버의 분해사시도.
도26은 제5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27a, 도27b는 제6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28은 제6 실시예의 싸이클론 집진기에 제공되는 결합관의 하부의 사시도.
도29는 제6 실시예의 싸이클론 집진기에 제공되는 플로우트 및 격벽의 사시도.
도30a 및 도30b는 제7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31은 제7 실시예의 싸이클론 집진기에 배치되는 플로우트 및 청소 링의 사시도.
도32는 제8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33a 및 도33b는 제9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34a 및 도34b는 제10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35 및 도36은 제11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37은 제12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38은 제13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39는 제13 실시예의 싸이클론 집진기에 제공되는 청소 부재의 사시도.
도40은 제14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41은 제15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평 단면도.
도42는 제16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평 단면도.
도43은 제17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일부의 수평 단면도.
도44는 제18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45는 제18 실시예의 싸이클론 집진기에 제공되는 청소 부재의 사시도.
도46은 제19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47은 제19 실시예의 싸이클론 집진기에 제공되는 청소 부재의 사시도.
도48은 제20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49는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50은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주변의 사시도.
도51은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
도52는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평 단면도.
도53은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에 제공되는 격벽의 상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연결관
5 : 싸이클론 집진기
5a : 유입구
7 : 제1 집진 챔버
8 : 제2 집진 챔버
9 : 격벽
10 : 결합 부재
10b : 결합관
15 : 배기 튜브
20 : 흡기 가이드
이하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각 실시예는, 싸이클론 집진기의 구조에 특징을 갖는 것이며, 그것 이외의 구성에 관하여는 도49 내지 도52에 도시한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종래 예의 공통된 이러한 부재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정의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예>
도1은, 제1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수직 단면도이다. 싸이클론 집진기(5)는 유입구(5a)가 형성된 흡기 가이드(20)를 상부에 갖고 있고, 흡기 가이드(20)와 함께 흡기로를 형성하는 연결관(3)에 연통되어 있다. 싸이클론 집진기(5)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관(3)과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기류는 싸이클론 집진기(5)로부터의 배기 경로에 사실상 직각인 경로를 따라 유입구(5a)를 통해 싸이클론 집진기(5)로 유입된다.
흡기 가이드(20)상에서, 결합 부재(10)(도50 참조)와 연통하는 결합관(10b)은 싸이클론 집진기(5)의 상부면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흡기 가이드(20)상에서, 유지부(20a)는 결합관(10b)과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이 유지부(20a)와 함께 (후술하는) 배기 튜브(15)가 착탈식으로 나사 결합된다.
또한, 싸이클론 집진기(5)는 연결관(3)에 대하여 바닥면 F(도49 참조)의 대향 측면에 배치된다. 이는 침대 등의 하부의 간극 등을 청소할 때에 연결관(3)을 바닥면 F에 접하는 위치까지 경사지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가 연결관(3)을 떨어뜨렸을 때 싸이클론 집진기(5)가 마루에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집진 챔버(7)의 하부에는 격벽(9)이 설치되고, 이 격벽(9)을 거쳐서 대체로 제1 집진 챔버(7)와 동축으로 제2 집진 챔버(8)가 설치되어 있다. 격벽(9)은 제1 집진 챔버(7) 내벽에 접착, 용접 혹은 제1 집진 챔버(7)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격벽(9)에는, 도9의 사시도, 도10의 측면도, 도11의 상부도에 도시된 것처럼 개구(9a)가 형성되어 있다. 격벽(9)은 편평한 칸막이부(90)와, 제1 집진 챔버(7) 내를 선회하는 기류의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형성된 수평부(9b)와, 격벽(9)의 주연부의 일부가 완만한 경사를 가져 나선형으로 오목하게 된 경사부(9c)로 나누어진다. 수평부(9b) 및 경사부(9c)는 함께 개구(9a)를 형성한다. 개구(9a)는 경사부(9c) 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개구(9a)는 제1 집진 챔버(7; 도1) 내를 선회하는 기류의 선회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는 선회기류와 같이 선회하는 먼지는 원활하게 제2 집진 챔버(8) 내에 도입되게 하여, 제1, 제2 집진 챔버(7, 8) 내에 먼지의 분리 수집 촉진 효과가 얻어진다.
개구(9a)를 향하는 격벽(9)의 칸막이부(90)의 에지부(9e)는 개구(9a)의 상면에서 하면에 걸쳐서 선회기류의 방향으로 모따기된다. 즉, 에지부(9e)는 경사부(9c)와 같은 경사를 갖는다. 이는 제1 집진 챔버(7) 내에서 선회하는 기류의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먼지가 제2 집진 챔버(8) 내에 더욱 용이하게 수집된다.
도면 부호 9d는 제2 집진 챔버(8) 쪽으로 돌출한 중공 또는 중실 원통형 형태를 갖는 먼지 보유부를 나타낸다. 제2 집진 챔버(8) 내에 미세한 먼지와 같은 먼지가 대량으로 수집되어 있을 때, 먼지 보유부(9d)는 수집된 먼지를 아래로 유지시켜서, 제2 집진 챔버(8) 내에 수집된 먼지가 제1 집진 챔버(7)측으로 역류하여 날아오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특히, 도11에서, 먼지와 함께 공기는 개구(9a)의 외부(9f)를 따라 제2 집진챔버(8) 내에 불어들어가서, 공기는 개구(9a)의 내부(9g)를 따라 제2 집진 챔버(8)의 외부로 흡출된다. 따라서, 제2 집진 챔버(8)의 내의 먼지는 주로 그의 중심부에 수집된다. 그러므로, 제2 집진 챔버(8)의 중심부에 수집된 먼지는 개구(9a)의 내부(9g)를 따라 기류에 후속함에 따라 팽창되어 제1 집진 챔버(7)로 역류하려는 경향이 있으나, 먼지 보유부(9d)에 의해 먼지가 허용 수준 이상으로 높게 퇴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런 식으로, 먼지가 제1 집진 챔버(7)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먼지 보유부(9d)는 그의 수평 단면을 대략 원형으로 형성한다. 이는 기류의 원활한 선회를 보장하여, 먼지가 제2 집진 챔버(8) 내에 균등하게 수집되는 것을 허용한다.
격벽(9)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개구(9a) 또는 2개 이상의 개구(9a)도 가질 수 있다.
도2는 청소용 부재를 장착한 배기 튜브(15)의 외관도이다. 배기 튜브(15)는 원통형이다. 배기 튜브 본체(11)의 외주면에는 싸이클론 집진기(5) 내에 먼지와 함께 유입된 다음 원심력에 의해 먼지와 분리된 공기가 싸이클론 집진기(5)로부터 배기되는 배출구(5b)가 형성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배출구(5b)는 복수의 창문형인 개구(11a)(통풍구)를 다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메쉬 필터(11b)로 끼워 맞춤으로써 형성된다.
필터(11b)는 나일론계 수지와 같은 얇은 수지 필름에 의해 형성되고, 일체식 성형, 용접 또는 접착 등에 의해, 배기 튜브 본체(11)의 외주면과 필터(11b)의 에지들 사이에 범프가 없도록 배기 튜브 본체(11)에 고정된다. 이는 이러한 범프가먼지를 포획하여 배출구(5b)의 막힘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배기 튜브(15)의 배기 튜브 본체(11)의 상부에는, 흡기 가이드(20)의 유지부(20a)(도1)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11c)가 마련된다. 도면 부호 21은 배기 튜브 본체(11) 둘레에 삽입되어 배기 튜브 본체(11)의 외주면의 축 방향(즉, 화살표A의 방향)을 따라서 활주 가능한 링을 나타낸다. 도면 부호 14는 배기 튜브 본체(11)의 저면에서 보스-및-구멍 기구 등으로 착탈식으로 끼워맞춤된 먼지 트레이를 나타낸다.
도4, 도5 및 도6은 각각 배기 튜브 본체(11) 및 그의 부속 부재로 구성된 배기 튜브(15)를 상세히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수평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4는 2개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취해진 2개의 단면을 도시한다. 링(21) 내면 상의 복수(도5에서는 4개)의 위치에서는 배기 튜브 본체(11)에 형성된 배출구(5b)를 청소하기 위한 브러시(22)가 마련된다. 브러시(22)는 적절한 탄성이 있는 섬유로 형성되며, 섬유의 길이는 그 선단이 배기 튜브 본체(11)의 외주면과 약간 접촉하도록 결정된다.
먼지 트레이(14)는 그 상부에 배기 튜브 본체(11)의 외부 직경보다 조금 큰 내부 직경을 가져서, 배기 튜브 본체(11)의 외주면과 먼지 트레이(14)의 상기 부분 사이의 전체 둘레에 먼지 간극(14a)이 형성된다. 도면 부호 18은 배기 튜브 본체(11)의 외형을 따라가도록 굴곡된, 전체로서의 와이어를 나타낸다. 이 와이어(18)의 상단부는 절곡되고 대략 수평인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링(21)의 지지부(21a) 내에 삽입된다. 한편, 와이어(18)의 하단부는 먼지 트레이(14)를 관통하고, 그 중심부는 U자형으로 절곡되어 U자부(18a)를 형성한다. U자부(18a)는 손잡이(19)에 삽입되어 핀(26)으로 유지된다. 와이어(18)의 하단부는 그 자체가 손잡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배기 튜브 본체(11)의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는, 2개의 홈(11d)이 축을 따라서 형성된다. 이 와이어(18)는 홈(11d) 내에 놓여져 그들을 따라서 활주 가능하다. 이는 와이어(18)가 배기 튜브 본체(11)의 외주면으로부터 고착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우수한 외관을 갖고 싸이클론 집진기(5) 내부에서 선회하는 기류의 교란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와이어(18)는, 그 단부 근처에서, 내측에 돌출한 만곡부(18b)를 갖고, 이들 만곡부(18b)의 곡면에 따른 형상의 함몰부(11e)가 배기 튜브 본체(11)의 홈(11d)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18)에 지지된 링(21)이 배기 튜브 본체(11)의 상단부에 위치된 때, 와이어(18)의 만곡부(18b)는 배기 튜브 본체(11)의 함몰부(11e)와 결합한다. 이는 전기 송풍기(1a)(도49)의 운전에 수반하는 진동 등에 의해 링(21)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먼지 트레이(14)의 저면에는 와이어(18)가 놓여진 홈(14b)과 손잡이(19)의 일단부가 놓여진 홈(14c)이 형성된다. 따라서, 링(21)이 배기 튜브 본체(11)의 상단부에 유지되어 있을 때, 먼지 트레이(14)의 저면으로부터 와이어(18)가 붙지 않고, 손잡이(19)의 일단부가 먼지 트레이(14)에 저면으로 내려간다. 그러므로, 우수한 외관을 얻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싸이클론 집진기(5) 내에서 먼지와 분리된 후 배기 튜브(15)를 통하여 배기된 기류의 교란을 방지하고 이 부분에서의 먼지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구성에 의하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9)의 상하 방향(화살표 A의 방향)의 움직임은 와이어(18)를 거쳐서 링(21)에 전해져서, 손잡이(19)가 조작될 때, 링(21)은 배기 튜브 본체(11)의 외주면의 축 방향(화살표 A의 방향)을 따라서 활주한다. 손잡이(19)를 끝까지 당길 때, 브러시(22)(도4)는 배기 튜브 본체(11)의 필터(11b)를 막는 먼지를 긁어내어 먼지 트레이(14)의 먼지 간극(14a) 내에 이를 수집한다.
이에 따라, 전기 진공 청소기의 다음 운전 때, 먼지 간극(14a) 내에 수집된 먼지는 싸이클론 집진기(5) 내에서 선회하는 흡기류에 의해 불어 날려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 내에 수집된다. 따라서, 먼지의 부착에 의해 더러워진 배기 튜브(15)와 직접적인 접촉 없이 빠르게 배기 튜브(15)를 청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배기 튜브 본체(11)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내는 수단으로서 역할을 하는 브러시(22)인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브러시(22) 이외에도 기모천(raised fabric), 고무, 또는 수지 포움 등의 재료를 적당한 크기로 하여 링(21)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튜브 본체(11)의 상단부에 브러시(22)의 선단을 수용하도록 리세스부(11f)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링(21)이 배기 튜브 본체(11)의 상단부에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 브러시(22)가 둥글게 말리는 것을 방지하여, 소모품인 브러시(22) 수명의 연장을 돕는다.
더욱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튜브 본체(11)의 나사부(11c)에 일단부가 접속된 스프링(27)의 타단부에 링(21)을 고정하여 링(21)에 상방으로 끌려는 힘으로 계속 인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손잡이(19)를 끌어내려 단순히 분리할 때 스프링(27)의 복원력에 의해서 링(21)이 원래의 위치에 되돌아가는 것을 허용하여서, 링(21)이 아래로 당겨진 위치로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링(27)은 커버(11g)로 덮일 수 있어서 스프링(27)에 먼지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 튜브 본체(11)에 부착된 먼지가 많을 때, 또는 머리털 등이 배기 튜브 본체(11) 둘레에 얽혀 있을 때, 단순히 링(14)을 한 차례 끌어내리는 것은, 배기 튜브 본체(11)를 청소하고 먼지를 먼지 트레이(14)의 먼지 간극(14a) 내에 적절한 방법으로 수용하기에 불충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튜브 본체(11)는 싸이클론 집진기(5)(도1)의 흡기 가이드(20)로부터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를 제거하고 대신 청소 컵(23)을 배기 튜브(15) 둘레에 씌운 상태로 청소된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청소 컵(23)은, 그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부분에, 먼지 트레이(14)의 외부 직경과 대략 같은 내부 직경을 갖는 원통부(23a)를 가지고 있다. 이 원통부(23a)의 외주면의 대향 위치에는 손가락이 들어 갈 수 있는 정도로 큰 개구(23b)가 형성된다. 이 원통부(23a)의 저면에도, 와이어(18) 및 손잡이(19)(도2)가 관통되는 치수로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23c)가 형성된다.
개구(23b) 위에는 개구(23c)의 짧은 변의 대략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을 따라서 형성된 절취부를 갖고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형성된 일편의 얇은 필름(24)이접착된다. 원통부(23a)의 외주면에는, 원통부(23a)와 대략 같은 높이를 갖고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된 링형 부재(25)가 부착된다. 청소 컵(23) 내에는 배기 튜브(15)를 포위하는 공간(23d)이 있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흡기 가이드(20)측으로 청소 컵(23)을 가압함으로써 배기 튜브(15) 둘레에 청소 컵(23)을 적절한 위치로 유지시킨 후, 청소 컵(23)의 외부에서 손잡이(19)를 상하 방향(화살표 A의 방향)으로 끌어내리거나 밀어 올린다. 이는 배기 튜브(11)의 외주면에 부착된 먼지가 링(21)에 배치된 브러시(22)(도4)로 긁어내려져 청소 컵(23) 내에 수집된다. 이로써 빠르게 배기 튜브(15)를 청소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링형 부재(25)의 외부로부터 원통부(23a)내에 형성된 2개의 개구(23b)를 가압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먼지 트레이(14)를 유지시키고, 그 후 먼지 트레이(14)와 함께 배기 튜브(15)를 회전시켜서 유지부(20a)에서 배기 튜브(15)를 제거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청소 컵(23) 내에 저장된 먼지를 버리고, 청소 등으로 배기 튜브(15)를 깨끗이 한다. 이에 따라, 먼지로 오염된 배기 튜브(15)에 직접적인 접촉 없이 배기 튜브(15)를 싸이클론 집진기(5)로부터 제거할 수 있어서, 효율적이고 청결하게 전기 진공 청소기를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배기 튜브 본체(11)로부터 먼지 트레이(14)를 결합 해제하여 제거할 수 있어서, 그 다음, 손잡이(19)를 와이어(18)와 함께 끌어내린 후, 링(21)을 배기 튜브 본체(1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는 분해된 상태에서 개개의 구성 부품들을 청소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 내에 저장된 먼지를 버리기 위해서, 먼저 이들집진 챔버를 흡기 가이드(20)로부터 함께 제거한 후, 쓰레기통 등의 위에서 서로 분리한다. 이로써, 개별 집진 챔버내에 수집된 먼지가 주변에 비산되지 않고 확실하게 버릴 수 있다.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의 하나 혹은 둘 모두를 유리나 투명한 수지와 같은 투명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제1 및 제2 집진 챔버내에 수집된 먼지의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고 먼지를 버릴 시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한다.
<제2 실시예>
도16 및 도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의 주변부의 사시도 및 수직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기 가이드(20)와 연결관(3)를 일체로 형성하여, 외관이 우수하고 사용성도 향상된다.
도18은 도17의 ⅩⅧ-ⅩⅧ선을 따라서 취해진 수평 단면을 도시한다. 연결관(3)의 흡기 가이드(20)측 상에는, 집진 챔버장착부(3a)가 연결관(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제1 집진 챔버(7)와 제2 집진 챔버(8)는 집진 챔버장착부(3a) 상에 장착된다. 집진 챔버장착부(3a)의 하부에는, 슬라이드 부재(16)가 끼워져 있는 슬릿(31)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부재(16)는 슬릿(31) 내를 상하 방향(화살표 B의 방향)을 따라서 활주 이동 가능하여, 슬릿(31)은 슬라이드(16)의 행정을 제한한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6)의 전방면에는 집진 챔버의 정지부(16a)와 돌기(16b)가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는 집진 챔버장착부(3a) 내에 마련된 (후술하는) 로킹 부재(17)(도17) 상에 형성된 돌출부(17a)와 결합하는노치(16c)가 형성된다. 제2 집진 챔버(8)의 저면에는 슬라이드 부재(16)의 정지부(16a)와 결합하는 제1 함몰부(8a)가 형성된다.
제2 집진 챔버(8)의 주연면에는 슬라이드 부재(16)의 돌기(16b)가 삽입되는 홈(8c)이 형성되어 있고, 주연면의 하단부에는 상방에 연장하는 돌기(8d)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31)의 상단부에는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L자형의 리브(31a)(도 17)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16)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될 때 이 리브(31a)는 돌기(8d)를 클램프하여 제2 집진 챔버(8)을 집진 챔버장착부(3a) 상에 유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집진 챔버(8)의 주연면 내에 돌기(8d)가 제2 함몰부(8b)의 외부에 부착하지 않는 방식으로 제2 함몰부(8b)가 형성된다.
제2 집진 챔버(8)의 주연벽의 내면 상에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융기부(8e)가 형성된다. 제2 집진 챔버(8) 내에서 선회하는 기류를 추종함으로써 융기부(8e)는 먼지가 선회하는 것을 방해한다. 이는 수집된 먼지가 날아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집진 효율이 향상된다. 도면 부호 8f는 제2 집진 챔버(8)의 주연면에 형성한 볼록 또는 오목하게 마킹 형성된 위치 표시부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이 위치 표시부(8f)를 위치에 대한 기준으로 참조하는 동안 제2 집진 챔버(8)를 유지함으로써,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를 정확한 방향으로 집진 챔버장착부(3a) 상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로킹 부재(17)는 집진 챔버장착부(3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로킹 부재(17)는 전방면에 형성된 돌출부(17a)를 갖고, 로킹 부재(17)의 배면과 연결관(3)의 주연면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28)에 의해서 슬라이드 부재(16) 쪽으로 가압하는 힘이 주어진다. 이는 로킹 부재(17)의 돌출부(17a)가 슬라이드 부재(16) 쪽으로 돌출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술한 부재들은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이 흡기 가이드(20) 및 연결관(3)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허용하는 장착 기구(30)를 함께 이룬다. 이 구성으로,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를 집진 챔버장착부(3a)에 장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슬라이드 부재(16)의 돌기(16b)를 제2 집진 챔버(8)의 홈(8c)에 삽입하고, 정지부(16a)와 제1 함몰부(8a)를 결합시킨다. 더욱이,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을 연결관(3) 쪽으로 가압하는 동안 들어올리고, 이에 의해 제2 집진 챔버(8)의 돌기(8d)를 리브(31a) 내에 잠근다. 이는 스프링(28)에 의한 힘이 인가된 로킹 부재(17)의 돌출부(17a)가 슬라이드 부재(16)의 노치(16c) 내에 끼워진다.
그 결과, 제1 집진 챔버(7)의 상부면의 개구부는 가스킷(7a, 7b)으로 흡기 가이드(20)에 가압되어,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는 이들의 내부 공간이 기밀 유지되는 위치에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집진 챔버(7, 8)와 흡기 가이드(20)는 함께 싸이클론 집진기(5)를 형성한다.
반대로,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를 제거할 때,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로킹 부재(17)와 연동하는 로킹 해제 버튼(17b)(도16)을 먼저 가압하여, 이에 의해 노치(16c)로부터 돌출부(17a)를 결합 해제시킨다. 그 다음, 사용자는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를 집진 챔버장착부(3a) 쪽으로 가압하는 것을 유지하는 동안 이들을 끌어내린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를 집진 챔버장착부(3a)로부터 멀리 당겨서, 이에 의해 집진 챔버장착부(3a)로부터 이들을 탈착시킨다.
그 다음, 사용자는 제거된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를 쓰레기통 등의 위로 가져가서, 이들을 서로 분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먼지가 주변에 비산되는 일 없이 개별 집진 챔버 내의 별도로 수집된 먼지를 확실하게 버릴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21은 본 실시예의 싸이클론식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5)의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기 가이드(20)에 어댑터 파이프(29)가 일체로 형성되고, 어댑터 파이프(29)의 하단부에 연결관(3)이 부착된다. 어댑터 파이프(29)와 제2 집진 챔버(8)에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착 기구(30)가 마련된다.
배기 튜브(15)는 결합관(10b) 내에 삽입되어, 나사(도시하지 않음)로 결합관(10b)에 고정된다. 결합관(10b)의 하단부에는 가스킷(7c)이 부착된다. 배기 튜브(15)의 통기구(11a) 및 필터(11b)의 위에는 축방향에 직각인 플랜지(88)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88)의 상면은 가스킷(7c)에 긴밀히 접촉하고 있다.
제1 집진 챔버(7)의 상단부 개구에는 프레임 부재(71)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프레임 부재(71)는 원통 형상인 원통부(71a)와 이 원통부(71a)의 상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71b)로 이루어져 있다. 원통부(71a)의 내주연면에는 청소 부재로서 브러시(22)가 마련된다. 프레임 부재(71), 제1 집진 챔버(7) 및 제2 집진챔버(8)는 함께 조립될 때 집진 챔버 유닛을 형성한다.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 챔버 유닛이 흡기 가이드(20)에 장착될 때, 원통부(71a)의 개구(71c)에 배기 튜브(15)가 관통하고, 브러시(22)가 통기구(11a) 및 필터(11b) 위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 집진 챔버 유닛을 그가 장착된 부재로부터 제거하는 것은 필터(11b)를 청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로킹 해제 버튼(17b)을 조작하여 슬라이드 부재(16)와 로킹 부재(17)의 결합을 해제한 다음 집진 챔버 유닛을 어댑터 파이프(29) 쪽으로 가압하는 동안 슬라이드 부재(16)와 함께 끌어내릴 때, 배기 튜브(15)가 흡기 가이드(20)에 고정되기 때문에, 배기 튜브(15)는 프레임 부재(71)의 원통부(71a) 외부로 나온다. 한편, 필터(11b)의 표면을 브러시(22)가 긁어서, 필터(11b)에 부착되어 있던 먼지는 브러시(22)에 의해 긁어 떨어지고,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 내로 흩뿌려져 먼지가 수집된다.
도22는 싸이클론 집진기(5)의 수직 단면도로서, 집진 챔버 유닛을 흡기 가이드(20)로부터 이탈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6)를 슬릿(31)의 하단부까지 끌어내릴 때, 프레임 부재(71)의 원통부(71a)에서 배기 튜브(15)가 완전히 빠져 나온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집진 챔버 유닛을 어댑터 파이프(29)로부터 끌어내어 제2 집진 챔버(8)의 홈(8c)을 슬라이드 부재(16)의 돌기(16b)로부터 결합을 해제시켜 집진 챔버 유닛을 분리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집진 챔버(7, 8)에 수집된 먼지를 버린다.
본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는 제2 집진 챔버(8) 내에 저장된 먼지를 버릴 때, 필터(11b)의 청소도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는 어려움을 덜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집진 챔버 유닛을 단순히 제거하는 것 만으로 필터(11b)가 청소될 뿐만 아니라, 필터(11b)에서 긁어 떨어진 먼지는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 내에 유지된다. 이는 사용자의 손과 피복이 먼지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이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23은 본 실시예의 싸이클론식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5)의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는 이하에 설명될 배기 튜브(15), 프레임 부재(71),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 튜브(15)는 흡기 가이드(20)의 결합관(10b) 내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결합관(10b)의 내벽에는, 가스킷(7d)이 배기 튜브(15)와 결합관(10b)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도록 끼워진다. 이는 제1 집진 챔버(7) 내의 모든 공기가 배기 튜브(15)를 통하고 결합관(10b)을 통하여 흡기 통로로 안내된다. 따라서, 결합관(10b) 내에 삽입된 배기 튜브(15)의 일부에는 먼지가 거의 부착되지 않는다. 가스킷(7d)은 도21에 도시한 가스킷(7c)과 같이 결합관(10b)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배기 튜브(15)는 프레임 부재(71)의 원통부(71a)를 관통한 상태로 (후술하는) 제1 결합 기구에 의해 프레임 부재(71)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브러시(22)는 배기 튜브(15)의 필터(11b) 및 통기구(11a) 위에 위치한다. 프레임 부재(71)는 제2 결합 기구에 의해서 제1 집진 챔버(7)의 주연면에 (후술하는) 고정된다.
이제, 본 실시예에서 필터(11b)의 청소 방법에 관해서 설명할 것이다. 우선, 사용자는 로킹 해제 버튼(17b)을 조작하여 슬라이드 부재(16)와 로킹 부재(17)의 결합을 해제하여, 집진 챔버 유닛을 어댑터 파이프(29) 쪽으로 가압하는 동안 슬라이드 부재(16)와 함께 끌어내린다. 그 결과, 배기 튜브(15)는 프레임 부재(71)에 고정되기 때문에, 배기 튜브(15)는 집진 챔버 유닛과 함께 하향 이동하여 흡기 가이드(20)로부터 이탈된다. 슬라이드 부재(16)를 슬릿(31)의 단부까지 끌어내린 후, 사용자는 집진 챔버 유닛을 어댑터 파이프(29)로부터 끌어내어 제2 집진 챔버(8)의 홈(8c)과 슬라이드 부재(16)의 돌기(16b)의 결합을 해제하고, 이에 의해 집진 챔버 유닛을 분리한다.
사용자는 제1 결합 기구에 의한 배기 튜브(15)와 프레임 부재(71) 사이의 결합을 해제한 후,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관(10b) 내에 삽입된 배기 튜브(15)의 일부를 잡아서 배기 튜브(15)를 프레임 부재(71) 외부로 상향(화살표 C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따라서, 배기 튜브(15)는 프레임 부재(71)의 원통부(71a)의 외부로 나온다. 한편, 브러시(22)는 필터(11b)의 표면을 긁어내어, 필터(11b) 상에 부착된 먼지는 브러시(22)에 의해 긁어 떨어져서, 먼지가 퇴적되어 있는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 내에 흩뿌려진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집진 챔버 유닛을 해체하여 집진기(5)에 수집된 먼지를 버린다.
본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에서, 배기 튜브(15)가 제거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기 튜브(15)는 집진 챔버 유닛과 함께 제거된 다음, 먼지가 거의 부착되지 않은 부분이 사용자에게 잡혀서, 집진 챔버 유닛의 외부로 끌어 당겨진다. 이는 사용자의 손이나 피복이 먼지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이다. 또한, 필터(11b)에서 긁어 떨어진 먼지는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 내측에 유지되어 한층 더 바람직하다.
그 다음, 본 실시예의 제1 및 제2 결합 기구의 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25는 본 실시예의 배기 튜브(15), 프레임 부재(71) 및 제1 집진 챔버(7)의 분해사시도이다. 우선, 제1 결합 기구에 관해서 설명한다. 배기 튜브(15)의 플랜지(88)의 주연 에지 상의 2개의 대향 위치에,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제1 돌기(88a)가 형성된다.
다른 한편, 프레임 부재(71)에는 플랜지부(71b)의 주연 에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주연벽부(71d)가 형성된다. 주연벽부(71d)의 2개의 대향 위치에, 주연벽부(71d)의 상단부로부터 배기 튜브(15)의 축 방향(화살표 A의 방향)을 따라서 아래로 그리고 주연벽부(71d)의 주연을 따라서 반시계 방향(화살표 W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L자형의 제1 절취부(71e)가 형성된다.
배기 튜브(15)를 프레임 부재(71)에 결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프레임 부재(71)의 원통부(71a)에 배기 튜브(15)를 삽입하는 동안, 축 방향(화살표 A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절취부(71e)의 부분 내에 제1 돌기(88a)를 끼워 맞춤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배기 튜브(15)를 반시계 방향(화살표 W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돌기(88a)를 제1 절취부(71e)의 단부까지 이동시킨다. 이런식으로, 배기 튜브(15)는 프레임 부재(71)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그 다음, 제2 결합 기구가 설명될 것이다. 프레임 부재(71)의주연벽부(71d)의 외면 상의 2개의 대향 위치에,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제2 돌기(71f)가 형성된다. 제1 집진 챔버(7)의 주연면의 2개의 대향 위치에, 제1 집진 챔버(7)의 상단부로부터 배기 튜브(15)의 축 방향(화살표 A의 방향)을 따라서 아래로 그리고 제1 집진 챔버(7)의 주연을 따라서 시계 방향(화살표 W'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L자형의 제2 절취부(61c)가 형성된다.
프레임 부재(71)를 제1 집진 챔버(7)에 결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먼저 축 방향(화살표 A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절취부(61c)의 부분 내에 제2 돌기(71f)를 끼워 맞춤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프레임 부재(71)를 시계 방향(화살표 W'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돌기(71f)를 제2 절취부(61c)의 단부 까지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프레임 부재(71)는 제1 집진 챔버(7)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상술한 제1 및 제2 결합 기구에서, 제1 절취부(71e)와 제2 절취부(61c)는 모두 L자형이고,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는 사용자가 배기 튜브(15)를 회전시켜 제1 결합 기구에 의해 결합을 해제시킬 때, 제2 결합 기구에 의한 프레임 부재(71)와 제1 집진 챔버(7) 사이의 결합이 부주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및 제2 결합 기구의 구조는 특히 전술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5 실시예>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26은 본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5)의 수직 단면도이다. 제1 집진 챔버(7)의 주연부 상에는 어댑터 파이프(29)에 대하여 대향측에,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조작실(50)이제1 집진 챔버(7)와 일체로 형성된다. 조작실(50)의 전방면에는 슬릿(50a)이 형성되어, 이 슬릿을 통하여 조작부(51)가 조작실(50) 내측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이 슬릿을 따라서는 조작부(51)가 조작실(50)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서 수직으로 활주 이동한다.
도면 부호 52는 제2 집진 챔버(8) 쪽으로 돌출하도록 조작실(50) 내에 삽입된 조작 로드를 나타낸다. 조작 로드(52)의 일단부는 조작부(51)에 고정되고, 조작 로드(52)의 타단부에는 원반 형상의 격벽(9)이 부착된다. 격벽(9)의 외부 직경은 제2 집진 챔버(8)의 내벽과 격벽(9)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제2 집진 챔버(8)의 내경보다 다소 작다. 조작실(50)의 내부는 가스킷(53)에 의해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 내에서 밀봉된다.
조작 로드(52)가 스프링(54)을 통하여 끼워져서, 조작부(51)는 조작실(50) 내에서 상방으로 가압하는 힘이 부과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부(51)를 손가락으로 잡아서 스프링(54)에 의한 힘에 대항하여 슬릿(50a)을 따라 하방(화살표 D의 방향)으로 끌어내려, 격벽(9)은 하방(화살표 E의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사용자가 조작부(51)를 놓을 때, 스프링(54)의 복원은 조작부(51)를 슬릿(50a)의 상단부까지 되돌아가게 하여, 격벽(9)도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먼지가 제2 집진 챔버(8) 내의 상당히 높은 위치까지 축적되었을 때, 사용자는 조작부(51)를 손가락으로 잡아 슬릿(50a)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끌어내린 후, 조작부(51)를 놓아서 상단부까지 복귀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먼지를 격벽(9)으로 낮은 위치까지 압축하여 용적을 축소할 수 있다. 이러한 1회 조작으로 먼지의압축이 불충분한 경우, 이 조작은 수회 반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격벽(9)은 이동 가능하여 축적된 먼지를 격벽(9)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하여, 제2 집진 챔버(8) 내의 자유 공간이 증가하여 이미 수집된 먼지를 버리는 일없이 더 많은 먼지를 수집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먼지를 버리는 횟수를 줄일 수 있게 하고 제2 집진 챔버(8) 내의 먼지를 더 소형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 내에 회수된 먼지를 버리기 위하여, 먼저, 사용자는 집진 챔버(7, 8)를 일체로 밀어 내리고, 장착 기구(30)로부터 이들을 일체로 제거하고, 그 다음 이들 2개의 집진 챔버를 서로 분리한다. 이 때, 회수된 먼지는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비산되기 어렵다.
<제6 실시예>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7a 및 27b는 본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5)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면 부호 55는 흡기 가이드(20)의 상방에 배치되어 싸이클론 집진기(5)를 거쳐서 흡기로와 연통하는 작동실을 나타낸다. 작동실(55)의 상면에는 원통형 결합관(10b)이 동축으로 마련된다. 작동실(55) 내에 위치된 결합관(10b)의 일부는,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의 주연면의 복수(도28에서는 3개)의 위치에 아치형의 개구(10d)를 갖는 정지부(10c) 내에 형성된다.
작동실(55)의 내부에, 플로우트(56)에는 결합관(10b)과 유지부(20a)가 동축으로 마련되고, 작동실(55)의 내벽과 플로우트(56)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플로우트(56)에는 스프링(57)에 의해 유지부(20a) 쪽으로 플로우트(56)를 가압하는힘이 인가된다. 스프링(57)의 일단부는 작동실(55)의 상면의 하부측 상에 마련된 리브(55a)에 고정되고, 스프링(57)의 타단부는 플로우트(56)의 상면에 연결된다.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우트(56)의 외주면 상의 복수(도29에는 3개)의 위치에 돌기부(56a)가 형성된다. 이들 돌기부(56a)는 플로우트(56)가 작동실(55)의 내벽을 따라 안정하게 미끄러지는 것을 허용한다. 도면 부호 58은 플로우트(56)의 중심선에 일단부가 고정된 결합 로드를 나타낸다. 결합 로드(58)는 배기 튜브(15)를 통하여 놓이고, 그 다음 타단부에 격벽(9)이 너트(161)로 부착된다. 도면 부호 59는 배기 튜브(15)의 하단부에 배치된 고무 등으로 형성된 가스킷을 나타낸다. 가스킷(59)은 흡기류가 배기 튜브(15)를 통하여 놓여진 결합 로드(58)의 일부를 따라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57)에 의한 힘은 플로우트(56)를 흡기 가이드(20)의 유지부(20a)측으로 가압한다. 이 상태에서, 전기 송풍기(1a)가 구동되면, 발생하는 흡기류는 작동실(55) 내에 부압을 생성하여, 도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트(56)가 스프링(57)에 의한 힘에 대항하여 결합관(10b)쪽으로 정지부(10c)와 접촉할 때까지 상부로 흡인된다. 이에 따라, 전기 송풍기(1a), 흡입구(2), 작동실(55), 싸이클론 집진기(5), 연결관(3) 및 노즐 유닛(4)의 순서를 거쳐서 이어지는 흡기로가 형성된다.
흡기류는 먼지와 함께 연결관(3)으로부터 유입구(5a)를 통하여 싸이클론 집진기(5) 내로 유동한 다음, 제1 집진 챔버(7) 내를 선회하면서 먼지를 분리한다. 분리된 먼지의 일부는 격벽(9)의 주위를 통과하여 제2 집진 챔버(8) 내에 수집된다. 먼지를 분리한 흡기류는, 배기 튜브(15) 내에 형성된 배출구(5b)를 통한 뒤 배기 튜브(15)를 지나서 플로우트(56) 주변의 간극을 거치고 개구부(10d)를 통하여 전기 송풍기(1a) 까지 도달하여 배기된다.
전기 송풍기(1a)의 구동을 정지시키면, 작동실(55) 내의 부압이 해소된다. 따라서, 스프링(57)에 의한 힘은 플로우트(56) 및 격벽(9)을 하향 이동시켜서, 도27a에 도시된 상태로 되돌아간다. 한편, 하향 이동하는 격벽(9)은 제2 집진 챔버(8) 내에 축적된 먼지를 가압하여, 이에 의해 용적을 감소시킨다. 다음 번에 전기 송풍기(1a)가 구동될 때, 먼지는 다시 격벽(9)으로 흡인되어 먼지의 일부가 제2 집진 챔버(8) 내에 수집된다.
이와 같이, 전기 송풍기(1a)의 구동 및 정지시마다, 제2 집진 챔버(8) 내의 먼지는 압축된다. 이는 제2 집진 챔버(8) 내의 자유 공간을 증가시키고 이미 수집된 먼지를 버리는 일없이 더 많은 먼지를 수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사용자가 제2 집진 챔버(8) 내에 수집된 먼지를 버려야 하는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하고 제2 집진 챔버(8)을 더 소형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 내에 수집된 먼지를 버리기 위하여, 먼저 사용자는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를 일체로 밀어 내리고, 장착 기구(30)로부터 이들을 일체로 제거하고, 그 다음 이들 2개의 집진 챔버를 서로 분리한다.
<제7 실시예>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30a 및 도30b는 본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5)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면부호 203은 플로우트(56)에 단단히 부착된 결합 아암을 나타낸다. 결합 아암(203)의 하단부에는 링(21)이 마련된다. 이러한 링(21)의 내주연면 둘레에는 배기 튜브(15)의 주연면 내에 형성된 배출구(5b)를 청소하기 위한 브러시(22)가 마련되어 있다. 흡기 가이드(20)의 상면에는, 그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유지부(20a)의 기부의 다소 외측에는 결합 아암(203)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구멍(20b)이 원 둘레의 복수의 위치에 형성된다. 이들 안내 구멍(20b)의 외측부는 고무 등으로 형성된 링형의 가스킷(59)에 의해 밀봉된다.
도31은 플로우트(56), 결합 아암(203) 및 링(21)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플로우트(56)의 상면에는 플로우트(56)의 중심으로부터 서로로부터 약 120° 로 이격되어 연장되도록 홈부(56b)가 형성된다. 결합 아암(203)의 상면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서로로부터 약 120°로 이격되어 연장되도록 가지부(203a)가 형성된다. 이 가지부(203a)와 플로우트(56)의 홈부(56b)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결합 아암(203)은 플로우트(56)에 고착된다. 이는 플로우트(56)와 링(21)을 일체로 이동되게 한다. 도면 부호 203b는 결합 아암(203)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 아암(203)보다 큰 외부 직경을 가지는 가장자리부를 나타낸다.
도30a에 도시된 것처럼, 스프링(57)의 압박에 의해, 플로우트(56)는 흡기 가이드(20)의 유지부(20a) 측으로 압착되어 있다. 이 상태로 전기 송풍기(1a)가 구동되면, 최종 흡기류는 작동실(55)내에 음압을 발생시켜 도30b에 도시된 것처럼, 플로우트(56)가 정지부(10c)와 접촉할 때 까지 결합관(10b) 방향으로 상향 흡입된다. 이에 따라, 흡기 통로는 전기 송풍기(1a), 흡입 호스(2), 작동실(55), 싸이클론 집진기(5), 연결관(3), 노즐 유닛(4)의 순서로 이들을 통해 안내되도록 형성된다.
플로우트(56)가 흡입될 때 링(21) 및 격벽(9)은 함께 상승한다. 한편, 링(21)에 설치된 브러시(22)가 배기 튜브(15)의 주연면에 형성된 배출구(5b)의 표면을 문지르므로 그 위치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한다. 이와 동시에, 격벽(9)은 상승하여 제2 집진 챔버(8) 내측의 용적을 증가시킨다.
링(21)이 플로우트(56)와 동시에 상승하면, 결합 아암(203)의 가장자리부(203b)는 가스켓(59) 상에 가압된다. 이것은 가이드 구멍(20b)을 통해 작동실(55) 안으로 흡기류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된다. 따라서, 흡기류는 어느곳에서도 누출되지 않고 배기 튜브(15)를 통해 유동하여 전기 송풍기(1a)에 효율적으로 흡인된다.
흡기류는 먼지와 함께 연결관(3)으로부터 유입구(5a)를 통해 싸이클론 집진기(5) 안으로 유동한 뒤, 제1 집진 챔버(7) 내를 선회하여 상기 먼지를 분리한다. 분리된 먼지의 일부는 격벽(9)의 주위를 통과하여 제2 집진 챔버(8) 내에 수집된다. 먼지가 분리된 흡기류는 배기 튜브(15)에 형성된 배출구(5b)를 통과한 뒤, 배기 튜브(15) 플로우트(56) 주위의 갭을 통과하여 유동한 뒤 개구(10d)를 통과하여 전기 송풍기(1a)에 다다른 뒤, 배출된다.
전기 송풍기(1a)의 구동을 정지시키면 작동실(55) 내의 음압이 배출되는 것이 중지된다. 따라서, 스프링(57)에 의해 가압된 힘은 도30a에 도시된 상태를 복귀하도록 격벽(9) 및 링(21)과 함께 플로우트(56)를 함께 하향 이동시킨다. 한편,링(21)에 설치된 브러시(22)는 배기 튜브(15)의 주연면에 형성된 배출구(5b)의 표면을 문지른다. 이와 동시에, 격벽(9)은 하향 이동하여 제2 집진 챔버(8) 내에 수집된 먼지를 가압하여 용적을 감소시킨다. 전기 송풍기(1a)가 다음에 구동될 때, 먼지의 일부가 제2 집진 챔버(8)에 수집되도록 격벽(9)이 상승됨으로써 먼지는 흡인된다.
이와 같이 전기 송풍기(1a)의 구동·정지 때마다 제2 집진 챔버(8) 내에 수집된 먼지는 압축된다. 이것은 제2 집진 챔버(8) 내의 자유 용적을 증가시키고 먼지를 처리하지 않으면서 더 많은 먼지를 축적할 수 있다. 이것은 제2 집진 챔버(8) 내에 수집된 먼지를 사용자가 처리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제2 집진 챔버(8)를 더욱 소형으로 만들 수 있게 한다.
또한, 배기 튜브(15)의 주연면에 형성된 배출구(5b)는 보수하지 않고 청소될 수 있다. 이것은 손으로 배출구(5b)를 청소할 필요성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번거로움과 위생에 기여를 한다.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 내에 수집된 먼지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우선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를 일체로 아래로 가압하여 장착 기구(30)로부터 일체로 장착 해제한 뒤 상기 두 개의 집진 챔버를 서로로부터 분리시킨다.
<제8 실시예>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관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도32는 본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5)의 수직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는 상기 제7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32는 플로우트(56), 결합 아암(203), 링(21) 및 격벽(9)들이 함께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7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링(21)이 플로우트(56)의 수직 이동을 따르도록 작동실(55) 내에 구비된 플로우트(56)에 결합 아암(203)을 통해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싸이클론 집진기(5)는 다음의 구조적 특징으로 특징지어진다. 도면 부호 581은 플로우트(56)의 상부면의 하부측에 고정된 상단부를 갖고 중심축선을 따라 하향으로 현수되는 제1 결합 로드를 나타낸다. 상기 제1 결합 로드(581)의 하단부는 디스크형 가장자리부(581a)로 형성되고, 제1 결합 로드(581)는 제2 결합 로드(582)를 통해 삽입된다. 도면 부호 60은 제1 결합 로드(581) 상에 적절한 위치에서 구비된 스프링 기부(581b)로부터 현수된 스프링을 나타낸다. 이 스프링(60)은 스프링(57)에 의해 인가되는 힘보다 약한 힘으로 제2 결합 로드(582)를 적재하여 제2 결합 로드(582)를 하향으로 가압한다. 제2 결합 로드(582)의 하단부에는 격벽(9)이 너트(161)로 고정된다. 제2 결합 로드(582)는 그 사이에 고정된 가스켓(59a)이 있는 배기 튜브(15)의 하단면을 관통한다.
제2 결합 로드(582)의 내부에는 내부 직경이 상이한 원통형의 제1 공간(582a) 및 제2 공간(582b)이 그들 사이에 형성된 견부(582c)와 동축으로 형성된다. 제2 공간(582b)은 상단부로부터 제1 공간(582a)을통해 삽입되는 제1 결합 로드(581)의 가장자리부(581a)의 외부 직경과 사실상 동일하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2 결합 로드(582)는 스프링(60)에 의해 완전히 하향으로 가압되고, 제1 결합 로드(581)의 가장자리부(581a)는 제2 결합 로드(582)가 소정의 위치에서 로킹되도록 견부(582c)와 접촉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전기 송풍기(1a)가 구동되면, 정지부(10c)와 접촉할 때까지 플로우트(56)가 결합관(10b)방향으로 상향 흡입된다. 결국, 흡기로는 전기 송풍기(1a), 흡기 호스(2), 작동실(55), 싸이클론 집진기(5), 연결관(3) 및 노즐 유닛(4)의 순서로 이들을 통해 안내되도록 형성된다.
플로우트(56)가 흡인될 때, 링(21) 및 격벽(9)은 함께 상향 이동된다. 한편, 링(21) 상에 구비된 브러시(22)가 배기 튜브(15)의 주연면에 형성된 배출구(5b)의 표면을 문질러서 그 위에 안착된 먼지를 제거한다. 이와 동시에, 격벽(9)은 상향 이동하여 제2 집진 챔버(8) 내측의 용적을 증가시킨다.
링(21)이 플로우트(56)와 동시에 상승하면, 결합 아암(203)의 가장자리부(203b)는 가스켓(59) 상에 가압된다. 이것은 흡입류가 안내 구멍(20b)을 통해 작동실(55) 안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흡기류는 어느곳에서도 누출됨없이 배기 튜브(15)를 통해 유동하고 전기 송풍기(1a)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입된다.
흡기류는 먼지와 동시에 연결관(3)으로부터 유입구(5a)를 통해 싸이클론 집진기(5) 안으로 유동한 뒤, 제1 집진 챔버(7) 내를 선회하여 상기 먼지를 분리한다. 분리된 먼지의 일부는 격벽(9)의 주위를 통과하여 제2 집진 챔버(8) 내에 수집된다. 먼지를 분리한 흡기류는 배기 튜브(15) 내에 형성된 배출구(5b)를 통과한 뒤, 배기 튜브(15), 플로우트(56) 주위의 갭을 통과한 뒤 개구부(10d)를 통과하여 전기 송풍기(1a)에 도달하게 되어 배기된다.
전기 송풍기(1a)의 구동이 정지할 때, 작동실(55) 내의 음압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57)에 의해 인가된 강한 힘은 플로우트(56)가 흡기 가이드(20)의 유지부(20a)와 접촉할 때 까지 격벽(9) 및 링(21)과 함께 플로우트(56)를 하향 이동시킨다. 한편, 많은 양의 먼지가 제2 집진 챔버(8) 내에 수집될 때, 격벽(9)의 하향 이동은 스프링(60)에 의해 인가된 힘이 약하기 때문에 정지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2 집진 챔버(8) 내에 수집된 먼지가 격벽(9)의 하향 이동을 제한할 때에도, 링(21)은 손상없이 배기 튜브(15)의 하단부까지 하향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링(21) 상에 구비된 브러시(22)가 손상 없이 배기 튜브(15)의 주연면 내에 구비된 배출구(5b)의 표면 상에 안착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제9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제9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33a 및 도33b는 본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5)의 수직 단면도이다. 상기의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싸이클론 집진기(5)는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를 서로 분리시키는 격벽이 제1 집진 챔버(7)에 고정되고, 링(21)이 결합 아암(203)을 통해 플로우트(56)와 결합되는 특징을 가진다.
도33a에 도시된 것처럼, 스프링(57)에 의해 인가된 힘은 플로우트(56)를 흡기 가이드(20)의 유지부(20a)측 상에 가압하여 유지부(20a)의 상류측 상에서 흡기 통로를 차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기 송풍기(1a)가 구동될 때, 최종 흡기류는 기밀식의 작동실(55) 내측에 음압을 발생하여 도33b에 도시된 것처럼, 플로우트(56)는 정지부(10c)와 접촉할 때 까지 결합관(10b)을 향해 상향 흡인된다. 결국, 흡기 통로는 전기 송풍기(1a), 흡입 호스(2), 작동실(55), 싸이클론집진기(5), 결합관(3) 및 노즐 유닛(4) 순서로 이들을 통해 안내되도록 형성된다.
플로우트(56)가 흡인될 때, 링(21)은 함께 상향 이동한다. 한편, 링(21) 상에 구비된 브러시(22)는 배기 튜브(15)의 주연면에 형성된 배출구(5b)의 표면을 문질러서 그 위에 안착된 먼지를 제거한다.
링(21)이 플로우트(56)와 함께 상향 이동할 때, 결합 아암(203)의 가장자리부(203b)는 가스켓(56) 상으로 가압된다. 이것은 흡기 유동이 안내 구멍(20b)을 통해 작동실(55) 안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흡기 유동은 어느 곳에서도 누출됨이 없이 배기 튜브(15)를 통해 유동하여 전기 송풍기(1a)에 의해 효율적으로 흡입된다.
먼지와 함께 결합관(3)으로부터 유입구(5a)를 통해 싸이클론 집진기(5) 안으로 유동하는 흡기 유동은 제1 집진 챔버(7) 내측 주위를 선회하면서 먼지를 분리한다. 분리된 먼지의 일부는 격벽(9) 내에 형성된 개구(9a)를 통과하여 제2 집진 챔버(8) 내에 수집된다. 먼지가 분리된 흡기 유동은 배기 튜브(15) 내에 형성된 배출구(5b)를 통해 유동한 뒤 배기 튜브, 플로우트(56) 주위의 갭을 통과하고 개구(10d)를 통과하여 전기 송풍기(1a)에 도달하게 되어 배기된다.
전기 송풍기(1a)가 구동이 정지될 때, 작동실(55) 내측의 음압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57)에 의해 인가된 힘은 도33a에 도시된 상태를 복원하도록 링(21)과 함께 플로우트(56)를 이동시킨다. 한편, 링(21) 상에 구비된 브러시(22)는 배기 튜브(15)의 주연면에 형성된 배출구(5b)의 표면을 문질러서 그 위에 안착된 먼지를 제거한다.
따라서, 배기 튜브(15)의 주연면에 형성된 배출구(5b)는 보수 없이 청소될 수 있다. 이것은 손으로 배출구(5b)를 청소할 필요성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번거로움과 위생에 기여한다. 제1 및 제2 집진 챔버(7)에 수집된 먼지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우선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을 일체로 하향으로 가압하여 장착 기구(30)로부터 일체로 장착 해제하여 두 개의 집진 챔버를 서로로부터 분리시킨다.
본 실시예 및 상기 실시예에서 플로우트(56)로 상호 체결된 부재 즉, 플로우트(56) 자체, 링(21), 격벽(9), 결합 로드(58, 581, 582) 및 나머지 들은 금속 또는 합성 수지와 같은 높은 비중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기 송풍기(1a)가 구동이 정지될 때, 플로우트(56)는 자중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것은 스프링(57, 60)을 사용할 필요성을 제거하여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하고 싸이클론 집진기(5)의 비용을 감소시킨다.
<제10 실시예>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도34a 및 도34b는 본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5)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것은 상기 설명한 제7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이다.
제6 내지 제9 실시예에서, 도27a 및 도27b에 도시된 작동실(55)을 예로써, 전기 송풍기(1a)의 출력이 감소되거나 또는 흡기 통로를 통한 저항이 감소될 때, 플로우트(56)는 정지부(10c)와 접촉하도록 충분히 높게 상향 이동하지 않고, 반복적으로 불안정하게 상하 이동한다. 이것은 도34a 및 도34b에 도시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안정적으로 플로우트(56)가 이동하는 것을 보장하여 링(21) 또는 격벽(9)이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장한다.
도34a 및 도34b에서, 작동실(55) 내측에는 플로우트(56)의 외경과 사실상 동일한 내경을 갖는 플로우트 가이드(551)가 구비된다. 플로우트 가이드(551) 내측에서, 플로우트(56)는 스프링(57)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해 로드된다. 플로우트 가이드(551)는 그 상부면에 형성된 배출구(551a)와, 그 주연면에 형성된 다른 배출구(551b)를 갖는다.
도34a에 도시된 상태에서, 전기 송풍기(1a)가 구동을 시작할 때, 음압은 작동실(55)과 상부 배출구(551a) 및 하부 배출구(551b)를 통해 작동실(55) 내측과 연통하는 플로우트 가이드(551) 내측에 생성되어 플로우트(56)는 흡인된다. 플로우트(56)가 하부 배출구(551b) 상에 다다를 때 노즐 유닛(4)을 통해 흡인된 흡기류는 전기 송풍기(1a)에 의해 작동실(55), 결합관(10b)을 통해 흡인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구조는 플로우트(56)가 하부 배출구(551b) 조금 위로 상향 이동하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플로우트(56)가 상향 이동하는 거리를 링(21)과 격벽(9)이 이동될 필요가 있는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필터(11b)를 청소하고 손상없이 수집된 먼지를 가압할 수 있다.
더욱이, 격벽(9)의 주연 에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벽(9b)을 구비함으로써, 격벽(9) 아래에 수집된 먼지가 격벽(9) 위로 역으로 "상승(soaring up)"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싸이클론 집진기(5)는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를 갖고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지만, 서로 일체로된 집진 챔버를 갖는 단일 유닛으로써 제조되지는 않는다.
<제1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도35 및 도36은 본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5)의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설명한 제2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흡기 가이드(20) 및 결합관(3)은 일체로 형성되고 장착 기구(30)는 제1 및 제2 집진 챔버(7)가 흡기 가이드(20)와 결합관(3)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도록 제공된다.
링(21)은 내측에 구비된 브러시(22)를 갖고 흡기 가이드(20)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다. 배기 튜브(15)의 상단부에서의 나사부(11c)는 링(21)을 통해 삽입된 뒤 나사부(11c)는 결합관(10b)과 나사 결합된다. 이것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먼지 트레이(14)와 함께 링(21)이 제 위치에로 고정되게 한다. 링(21)은 배기 튜브(15)의 배출구를 따라 활주 가능하고, 링(21)과 흡기 가이드(20)의 천장면 사이에 삽입된 스프링(42)에 의해 먼지 트레이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로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집진 챔버(7)의 주연벽(70)은 상향으로 연장되어 주연벽(70)의 상단부가 링(21)의 에지를 가격하여 링(21)을 스프링(42)에 의해 인가된 힘에 대항하여 배기 튜브(15)의 상단부까지 상향 이동되게 한다. 도35는 이러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링(21)은 유입구(5a) 상에 위치된다. 공기 유입 통로를 보장하기 위해, 제1 집진 챔버(7)는 유입구(5a)를 중첩하는 주연면에 형성된 개구(7w)를 갖는다.
수집된 먼지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가 슬라이드 부재(16)로부터 로킹 부재(17)를 결합 해제한 뒤 도36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드 부재(16)를 하향으로 활주시킬 때,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는 함께 하향 이동하고 동시에 링(21)은 스프링(42)에 의해 가압되어 하향 이동한다. 한편, 브러시(22)는 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필터(11b)를 따라 활주하여 필터(11b) 상에 안착된 먼지를 긁는다. 이와 같이 긁힌 먼지는 먼지 트레이(14) 내에 수집되거나 또는 제1 집진 챔버(7) 내에 수집된다. 이러한 긁음은 링(21)이 먼지 트레이(14)를 강타하고 정지부가 이동할 때까지 계속된다. 한편, 배기 튜브(15)는 제1 집진 챔버(7)의 내벽에 의해 둘러싸여져서 유지되어 어떠한 먼지도 제1 집진 챔버(7)의 외측으로 비산되지 않는다. 이하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에서도, 필터(11b)는 배기 튜브(15)가 제1 집진 챔버(7)의 주연벽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동안 청소된다.
필터(11b)로부터 긁혀지고 제1 집진 챔버(7) 내에 수집된 먼지는 이전에 수집된 먼지와 함께 처리된다. 수집된 먼지의 처리 후,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가 다시 장착될 때, 제1 집진 챔버(7)가 링(21)을 상향으로 가압하는 동안, 브러시(22)는 바닥으로부터 필터(11b)를 상향으로 문질러서 먼지를 긁는다. 또한, 이때 제1 집진 챔버(7)의 주연벽(70)의 상단부는 링(21)에 긴밀하게 접촉하여, 배기 튜브(15)는 제1 집진 챔버(7)의 내벽에 의해 둘러싸여져 유지된다. 따라서, 배기 튜브(15)에서 이탈된 먼지의 어느 부분도 제1 집진 챔버(7) 외측으로 비산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집진 챔버(7, 8)가 장착 및 장착 해제될 때마다 필터(11b)는 청소된다.
<제12 실시예>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도37은 본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5)의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링(21)은 제1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형상을 갖지만 다른 기구로 활주하게 된다. 특히, 흡기 가이드(20)의 천장면의 배면측 상에 모터(150)가 구비되고, 이 모터(150)와 결합된 나사 샤프트(151)는 링(21) 구동 기구로써, 링(21)에 나사 결합된다. 모터(150)가 구동될 때, 나사 샤프트(151)는 회전되고, 회전의 방향에 따라 링(21)은 배기 튜브(15)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를 향해 활주한다. 한편, 브러시(22)는 필터(11b)를 청소한다.
모터(150)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 스위치는 결합 부재(10) 상의 (도49에서 볼 수 있는) 작동부(10g) 내에 배열된다. 안전을 위해, 그리고 제1 집진 챔버(7) 외측으로 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터(150)는 제1 집진 챔버(7)가 집진 챔버장착부(3a)로부터 장착 해제될 때는 구동될 수 없다.
모터(150)는 사용자에 의한 작동 스위치의 작동과 소정의 시간에서 자동적인 작동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예로써, 모터(150)는 전기 진공 청소기의 본체(1)의 전원 코드가 전원 배출구에 연결될 때 회전을 시작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것은 필터(11b)가 마루 청소를 위해 준비 중일 때 미리 청소될 수 있게 한다. 또는, 모터(150)는 청소가 마무리되고 전기 송풍기(1a)의 작동 스위치가 오프될 때 회전을 시작하도록 프로그램밍 될 수 있다. 이것은 다음 청소를 위해 준비중일 때 이러한 시점에서 필터(11b)가 청소되게 한다.
또는, 압력 검출기가 배기 튜브(15)의 내측 및 외측에 구비될 수 있고, 필터(11b)의 하류 및 상류측 상의 압력차가 소정의 밸브보다 더 커질 때, 필터(11b)가 막혔는지가 판단되고 모터(150)는 회전을 시작한다. 이것은 전기 진공 청소기가 사용되는 동안 흡진력 저하의 징후가 나타날 때마다 링(21)이 작동하게 한다. 이런 식으로, 항상 일정 이상의 흡진력을 유지하여, 효율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모터(150)가 회전하는 동안에는 전기 송풍기(1a)는 오프되고, 전기 송풍기(1a)가 회전하는 동안에는 모터(150)의 구동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만일 링(21)이 공기가 유입구(5a)를 통해 유동되는 동안 유입구(5a) 아래로 하강될 때 먼지는 링(21)의 상부면 상에 수집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지가 링(21)의 상부면 상에 수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링(21)의 원위치는 배기 튜브(15)의 상부에 위치되고, 브러시(22)의 팁은 리세스부(11f) 내에 수용되고, 링(21)은 모터(150)가 회전을 멈추기 전에 항상 원위치로 상향 이동된다.
<제13 실시예>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는 아래에 설명한다. 도38은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5)의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39에 도시된 원통형 부재(16)는 필터(11b)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 청소 부재(160)는 다수(도39에는 세 개)의 수직 리브(161)에 의해 서로 결합된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수직 리브(161)는 배기 튜브(15)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각각의 내부면 상에 고정된 브러시(162)를 갖는다. 이러한 브러시(162)는 가요성으로 필터(11b)와 접촉한다. 청소 부재(160)는 배기 튜브(51)와 대체로 동축으로 배열된다. 배기 튜브(15)의 상단부에서의 나사부(11c)는 청소 부재(160)를 통해 끼워진 뒤, 나사부(11c)는 결합관(10b)과 나사 결합된다. 이것은 청소 부재(160)가 주위로 활주 가능한 방식으로 제 위치에 고정되어 청소 부재(160)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된 먼지 트레이(14)와 함께 배기 튜브(15)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흡기 가이드(20)의 천장면의 배면측 상에 제공된 모터(163)는 구동 기구(164)를 통해 청소 부재(160)를 회전시킨다. 구동 기구(164)는 감소 구동 기구로서 구성되고, 모터(163)의 샤프트에 고정된 피니언(165), 흡기 가이드(20) 상에 회전식으로 피봇되고 피니언(165)과 결합된 중간 기어(167)를 갖는 중간 샤프트(167) 및 일체식으로 청소 부재(16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중간 샤프트(166) 상에 다른 중간 기어(168)와 결합된 대기어(169)로 구성된다.
제12 실시예의 모터와 같이, 모터(163)는 제1 집진 챔버(7)가 집진 챔버장착부(3a)로부터 장착 해제될 때는 구동될 수 없다. 또한, 모터(150)와 같이, 모터(163)는 사용자의 작동 스위치의 조작을 통하거나 소정 시간에 자동으로 작동되는 것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유입구(5a)를 통해 유동하고 결합관(10b)을 통해 배출되는 기류로부터 구동 기구(164)를 차폐하는 격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구동 기구(164) 상에 먼지가 안착되고 이동을 방해하여 결국 구동기구(164)의 손상을 야기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제14 실시예>
도40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5)의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3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청소 부재(160)가 사용되지만, 상기 청수 부재는 모터에 의해서가 아니고 제1 집진 챔버(7) 안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는 핀휠(pinwheel; 170)에 의해 구동된다. 연결관(3)으로부터 안내된 공기 통로는 흡기 가이드(20) 내측에서 두 갈래로 갈라지고, 핀휠(170)에 제공된 유입구(171)는 유입구(5a) 상에 형성된다. 피니언(173)과 결합하도록 핀휠(170)에 고정된 샤프트(172), 샤프트(172)에 고정된 피니언(173), 청소 부재(160)의 상단부에 형성된 대기어(169)는 함께 청소 부재(60)용 구동 기구(174)를 구성한다. 전기 송풍기(1a)가 구동되고, 공기가 연결관(3)을 통해 흡입될 때, 공기의 일부는 유입구(171)를 통해 유동하여 핀휠(170)을 강타한다. 그 결과, 핀휠(170)은 회전하고, 이 회전은 먼저 구동 기구(174)에 의해 감소된 뒤 청소 부재(160)에 전달된다. 즉, 마루를 청소하는 중에, 필터(11b)는 항상 연속적으로 청소된다.
<제15 실시예>
도41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5)의 수평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4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이고, 핀휠(170)의 위치만이 상이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흡기 가이드(20)의 일부는 핀휠 챔버(5d)를 형성하도록 외향으로 연장되고, 핀휠(170)은 핀휠 챔버(5d) 내에 수용된다. 유입구(5a)를 통해 유입된 흡기류는 핀휠(170)을 강타하여 회전시킨다.
제14 실시예 및 제15 실시예 모두에서, 유입구(5a, 171)를 통해 안으로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구동 기구(174)를 차폐하는 격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먼지가 부착되어 그 이동을 방해하여 결국 구동 기구(174)의 손상을 방지한다.
<제16 실시예>
도42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기(5)의 수평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5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공기를 외측으로부터 직접 관통하여 취하는 유입구(175)는 흡기 가이드(20) 상에 형성되고, 유입구(175)를 통해 유동하는 흡기 유동은 핀휠 챔버(5d) 내에 수용된 핀휠(170)을 강타한다. 연결관(3)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와 대향되는 공기는 마루면으로부터 흡입된 먼지를 포함하지 않아서 구동 기구를 직접 강타하더라도 손상을 야기시키지는 않는다. 유입구(175)의 입구에는, 밸브(176)가 제공되어 흡기류는 구동 기구(174)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키도록 제어된다. 밸브(176)는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로 구동됨으로써 개방되고 밸브(176)의 개폐는 사용자의 손 근처에 구비된 스위치를 작동함으로서 제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구동 밸브를 사용함으로써, 모터를 사용하는 배열과 같이 소정의 시간에서 밸브를 개방하거나 배기 튜브(15)의 내압 및 외압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개방될 수 있다.
<제17 실시예>
도43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5)의 일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6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특히,입구에 제공된 유입구(175) 및 밸브(176)는 흡기 가이드(20) 내측에 배열되고, 공기가 이를 통해 유입되는 개구(177)는 흡기 가이드(20)의 주연벽 상에 형성된다. 밸브(176)는 샤프트(178) 상에서 피봇되고,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유입구(175)에 가까와지게 하는 힘으로 로드된다. 도면 부호 179는 샤프트(178)를 통과하는 밸브(176)로부터 연장되는 가압부를 표시하고, 흡기 가이드(20)의 주연벽을 관통하는 로드(180)는 가압부(179)와 대면한다. 로드(180) 까지, 누름 버튼(181)이 흡기 가이드(20) 외측에 고정되고 정지 핀(182)은 흡기 가이드(20) 내측에 고정된다. 로드(180)는 스프링(183)에 의해 흡기 가이드(20) 외측으로 가압하는 힘으로 로드된다.
누름 버튼(181)이 전기 송풍기(1a)가 회전하는 중에 가압될 때, 로드(180)는 가압부(179)를 가압하고 밸브(176)를 개방 위치까지 회전하게 한다. 결국, 공기는 유입구(175)를 통해 유입되어 핀휠(170)을 회전시킨다. 즉, 청소 부재(160)는 의지대로 간헐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6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모터, 솔레노이드 등으로 밸브(176)를 구동할 수 있다.
<제18 실시예>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는 아래에 설명한다. 도44는 본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5)의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45에 도시된 부재(190)는 필터(11b)를 청소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설명한 청소 부재(160)와 유사한 청소 부재(190)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링으로 구성되고 다수의 수직 리브(191)에 의해 결합되고, 이러한 수직 리브(191)는 필터(11b)와 가요적으로 접촉하고 각각의 내부면 상에 고정된 브러시(92)를 갖는다. 청소 부재(190)는 배기 튜브(15)와 사실상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배기 튜브(15)로부터 착탈된 먼지 트레이(14)를 사용하여, 청소 부재(190)는 배기 튜브(15) 주위에 고정된 뒤, 먼지 트레이(14)는 청소 부재(190)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기 튜브(15)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청소 부재(160)와 같은 청소 부재(190)는 주위를 활주하는 방식으로 제 위치에 고정되어 배기 튜브(15)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청소 부재(190)는 대기어 대신에 상단부에 형성된 핀휠(193)을 갖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핀휠(193)은 청소 부재(190)의 링형 상단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후, 청소 부재(190)에 고정된다. 핀휠(193)은 유입구(5a)를 통해 그 안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수납함으로써 회전되도록 유입구(5a)와 동일한 레벨에 위치된다. 이것은 청소 부재(190) 전체가 회전하여 필터(11b)를 청소하게 한다. 청소 부재(190)는 배기 튜브(15) 주위로 소용돌이치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청소 부재(190)가 공기의 소용돌이 힘과 협조함으로써 더욱 강력하게 소용돌이치게 한다. 이것은 또한, 제14 실시예 내지 제17 실시예에서 적용된다.
도면 부호 194는 흡기 가이드(20) 상에 고정되고 청소 부재(190)와 접촉하는 제동 슈(shoe; 195)를 갖는 제동 기구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제동 슈(195)는 청소 부재(190)를 휴지 상태에서 유지하도록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청소 부재(190)에 대항하여 가압 유지된다. 제동 슈(195)가 청소 부재(190)로부터 이격되도록 모터, 솔레노이드 등으로 상향으로 당겨질 때, 청소 부재(190)는유입구(5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유동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회전하기 시작한다. 즉, 제동 기구(194)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청소 부재(190)는 의지대로 구동될 수 있다. 청소 부재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배열에 있어서, 모터는 소정의 시간에서 제동을 해제하거나 배기 튜브(15)의 내측 압력 및 외측 압력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제동을 해제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제19 실시예>
도46은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5)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47은 본 실시예에 사용된 청소 부재(190)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제18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제18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청소 부재(190)의 핀휠(193)이 유입구(5a)를 통해 유입되는 흡기류 유동으로 강타되지 않도록 상향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이고, 핀휠(196)은 핀휠(193)을 수용하도록 흡기 가이드(20) 내에 구비된다는 것이다. 핀휠(193)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기는 제14, 제16 및 제17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유입되고 이때, 유입구(5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핀휠을 구동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제20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제20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48은 본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5)의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1 및 제12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형태의 링(21)이 사용된다. 링(21)은 흡기 가이드(20)의 상부 격벽을 관통하는 로드(197)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로드(197)의 상단부에는 결합 부재(10)에 형성된 창(198)을 통해 외향으로 돌출하는 너브(knob)형 작동부(199)가 고정된다. 로드(197)는 흡기 가이드(20)의 작동부(199)와 상부 격벽 사이에 삽입된 스프링(100)에 의해 상향 가압시키는 힘으로 로드된다. 따라서, 로드(197)에 결합된 링(21)은 브러시(22) 팁이 리세스부(11f)에 수용되는 레벨까지 상향으로 당겨진다. 스프링(100)에 의해 인가된 힘에 대항하여 작동부(199)를 하향으로 반복적으로 가압한 뒤 이를 해제함으로써, 링(21)을 작동부(19)와 함께 상하 이동시켜 필터(11b)를 청소할 수 있다.
스프링(100)은 생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프링(100)은 스프링(21)이 하향 가압하는 힘으로 로드되도록 대향 방향으로 그 힘을 인가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로드된 뒤 이를 해제하는 힘에 대항하여 작동부(199)를 반복적으로 상향으로 당김으로서, 필터(11b)를 청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적절한 체결 기구가 링(21)이 배기 튜브(15)의 상부 주위에 유지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링(21)의 외부 치수가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링(21)과 흡기 가이드(20)의 내부벽 사이의 간격을 넓히도록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모든 실시예는 싸이클론식 전기 전공 청소기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필터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이러한 구조들은 싸이클론식 전기 진공 청소기뿐만 아니라 원통형 필터를 구비한 소정 형태의 전기 진공 청소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상기 기술의 측면에서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되는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특별히 상기에 설명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흡기로 내에 배치된 필터의 청소 등의 보수가 용이하고 집진부에 생성된 원심력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식 전기 진공 청소기로서 집진부의 배출구에 설치된 필터의 보수가 용이한 전기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Claims (40)

  1. 노즐을 갖는 노즐 유닛과, 흡기류를 발생시키는 전기 송풍기와, 노즐 유닛과 전기 송풍기 사이에 설치된 흡기로와, 상기 흡기로에 배치되어 자체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류를 나선형 기류로 선회시켜 흡기류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로서,
    상기 싸이클론 집진기에는 흡기류를 상기 흡기로의 하류측으로 유출시키는 착탈가능한 배기 튜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배기 튜브가 그 외주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갖고, 상기 배출구에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수동 조작에 의해 필터를 청소하는 청소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배기 튜브의 단부면에 설치되고 배기 튜브의 측면과의 사이에 집진용 간극을 갖는 접시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5. 제3항에 있어서, 청소 수단에 의해서 상기 필터를 청소할 때, 배기 튜브의주위에 끼워져서 상기 필터로부터 분리된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는 청소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6. 제3항에 있어서, 청소 수단에 연결되고 수동조작을 받는 가동 부재와, 가동 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가압되는 상태로 유지하는 압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7. 노즐을 갖는 노즐 유닛과, 흡기류를 발생시키는 전기 송풍기와, 노즐 유닛과 전기 송풍기 사이에 설치된 흡기로와, 흡기로에 배치되어 자체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류를 나선형 기류로 선회시켜 먼지를 흡기류로부터 분리하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로서,
    싸이클론 집진기는 분리된 먼지를 수집하는 집진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 챔버는 개구를 갖고 흡기의 선회방향에 따라 배치된 격벽에 의해 흡기류가 유입하는 곳에 가까운 제1 구획과 흡기류가 유입하는 곳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구획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격벽은 제2 구획에 대향하여 거의 중앙측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9. 제7항에 있어서, 제2 구획 내에 상기 흡기류의 선회 공기 유동을 방해하는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10. 노즐을 갖는 노즐 유닛과, 흡기류를 발생시키는 전기 송풍기와, 노즐 유닛과 전기 송풍기 사이에 설치된 흡기로와, 상기 흡기로에 배치되어 자체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류를 나선형 기류로 선회시켜 흡기류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로서,
    싸이클론 집진기는 분리된 먼지를 수집하는 착탈가능한 집진 챔버와, 집진 챔버를 착탈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집진 챔버의 주연면에는 집진 챔버가 싸이클론 집진기에 부착될 때 집진 챔버의 용이한 위치설정을 위한 표시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집진 챔버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서 집진 챔버의 내부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13. 노즐을 갖는 노즐 유닛과, 흡기류를 발생시키는 전기 송풍기와, 노즐 유닛과 전기 송풍기 사이에 설치된 흡기로와, 흡기로에 배치되어 흡기류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기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로서,
    분리기에 연통하고 분리된 먼지를 수집하는 착탈가능한 집진 챔버와,
    분리기로부터 흡기류를 흡기로의 하류측으로 유출하도록 통과시키는 필터와,
    집진 챔버가 탈착될 때 집진 챔버의 이동에 연동하여 필터를 청소하는 청소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14. 노즐을 갖는 노즐 유닛과, 흡기류를 발생시키는 전기 송풍기와, 노즐 유닛과 전기 송풍기 사이에 설치된 흡기로와, 흡기로에 배치되어 흡기류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기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로서,
    분리기로서 작용하면서 분리된 먼지를 수집하는 착탈가능한 집진 챔버와,
    필터가 설치된 배출구를 주연면에 갖고, 배출구가 집진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집진 챔버의 벽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집진 챔버에 삽입되고, 집진 챔버내의 흡기를 배출구를 거쳐서 흡기로의 하류측으로 유출시키도록 하는 배기 튜브와,
    집진 챔버의 상기 개구의 모서리에 설치되고 필터를 청소하는 청소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배기 튜브는 흡기로에 고정되어 있고,
    집진 챔버는 배기 튜브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탈착되고,
    청소 수단은 집진 챔버가 탈착될 때 필터를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집진 챔버가 탈착될 때 집진 챔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 수단은
    배기 튜브의 축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과,
    슬릿 내측에서 활주하고 집진 챔버가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슬라이드 부재와,
    슬릿의 일단부에서 슬라이드 부재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부재를 고정 위치로 유지하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며,
    집진 챔버는 슬라이드 부재가 슬릿의 상기 일단부에 위치된 때 흡기로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슬릿의 타단부에 위치된 때 흡기로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17. 제14항에 있어서, 배기 튜브는 흡기로에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며, 제1 결합 수단에 의한 결합에 의해 실행되는 결합을 통해 집진 챔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청소 수단은 제1 결합 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결합이 해제되고 배기 튜브가 집진 챔버에서 이탈될 때 필터를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19. 제17항에 있어서, 흡기로의 하류측 상에 결합관이 설치되어 있고, 배기 튜브는 그 사이에 끼워지는 가스켓으로 결합관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20. 제17항에 있어서, 개구가 형성되는 벽은 집진 챔버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21. 제17항에 있어서, 제1 결합 수단은 배기 튜브의 외주면으로부터 배기 튜브의 축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돌기와, 벽의 외면으로부터 배기 튜브의 축을 따라 연장되고 계속해서 상기 배기 튜브의 외주면으로 연장되도록 벽에 형성되는 L자형의 제1 절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22. 제21항에 있어서, 벽은 제2 결합 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결합을 통해 집진 챔버의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고, 제2 결합 수단은 벽의 외면으로부터 배기 튜브의 축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돌기와, 상기 나머지 부분의 일단부로부터 배기 튜브의 축을 따라 연장되고 계속해서 배기 튜브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는 L자형의 제2 절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제1 절취부와 제2 절취부는 대향 방향으로 L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24. 노즐을 갖는 노즐 유닛과, 흡기류를 발생시키는 전기 송풍기와, 노즐 유닛과 전기 송풍기 사이에 설치된 흡기로와, 상기 흡기로에 배치되어 자체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류를 나선형 기류로 선회시켜 흡기류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로서,
    싸이클론 집진기 내에 수집된 먼지를 압축하는 압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압축 수단은 싸이클론 집진기 외부에 위치하고 수동 조작을 받는 조작 부재와, 싸이클론 집진기 내에 위치하고 조작 부재에 연동하는 압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26. 제24항에 있어서, 싸이클론 집진기의 상방에 위치하고, 싸이클론 집진기를 먼지 흡입로의 하류측과 연통시키는 작동실을 더 포함하고,
    압축 수단은 작동실 내에 배치되고 하방으로 압박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플로우트와, 싸이클론 집진기 내에 배열된 압축 부재와, 플로우트와 압축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결합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싸이클론 집진기의 내부에 도달하도록 작동실에 배열되고, 싸이클론 집진기의 내부에서 필터가 설치되는 배출구가 그 외주면에 형성됨으로써 흡기류가 싸이클론 집진기로부터 배출구를 거쳐서 상기 작동실로 유출하도록 허용하는 배기 튜브를 더 포함하고,
    결합 로드는 배기 튜브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28. 제27항에 있어서, 플로우트에 연결되고, 상기 플로우트의 이동에 연동하여 필터를 청소하는 청소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29. 노즐을 갖는 노즐 유닛과, 흡기류를 발생시키는 전기 송풍기와, 노즐 유닛과 전기 송풍기 사이에 설치된 흡기로와, 상기 흡기로에 배치되어 자체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류를 나선형 기류로 선회시켜 흡기류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로서, 상기 싸이클론 집진기는
    필터가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가짐으로써, 흡기류가 배출구를 거쳐서 흡기로의 하류측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배기 튜브와,
    배기 튜브로부터 유출된 흡기류의 힘을 이용하여 필터를 청소하는 청소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싸이클론 집진기의 상방에 위치하고, 배기 튜브를 거쳐서 싸이클론 집진기에 연통하고, 흡기로의 하류측과 연통하는 작동실을 더 포함하고,
    청소 수단은 작동실 내에 배치되어 배기 튜브로부터 유출되는 흡기류에 의해서 부상하는 플로우트와, 필터에 접촉하는 청소 부재와, 플로우트와 청소 부재를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31. 노즐을 갖는 노즐 유닛과, 흡기류를 발생시키는 전기 송풍기와, 노즐 유닛과 전기 송풍기 사이에 설치된 흡기로와, 흡기로에 배치되어 흡기류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기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로서,
    분리기에 연통하고, 분리된 먼지를 수집하는 집진 챔버와,
    필터가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가짐으로써, 흡기류가 분리기내로부터 배출구를 거쳐서 흡기로의 하류측으로 유출되게 하는 배기 튜브와,
    필터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필터를 청소하는 청소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청소 부재는 배기 튜브의 축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33. 제32항에 있어서, 배기 튜브의 축을 따라 청소부재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압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집진 챔버는 분리기로부터 착탈가능하고, 청소 부재가 압박 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로 유지되는 힘에 대하여 청소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분리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34. 제31항에 있어서, 배기 튜브는 거의 원통 형상이고, 청소 부재는 배기 튜브의 축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35. 제31항에 있어서, 청소 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36. 제35항에 있어서, 구동 기구는 소정의 시기에 청소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37. 제35항에 있어서, 청소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구동 기구에 공급하는 전동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38. 제35항에 있어서, 구동 기구는 전기 송풍기에 의해 발생되는 흡기류를 동력으로서 이용하여 청소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39. 제38항에 있어서, 구동 기구가 동력으로서 이용하는 흡기류를 제어하는 제어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40. 제31항에 있어서, 집진 챔버의 외부에 배열되고 수동 조작을 받는 조작 부재와, 조작 부재와 청소 부재를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KR10-2001-0015128A 2000-03-24 2001-03-23 전기 진공 청소기 KR100413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88500 2000-03-24
JP2000088500A JP2001269297A (ja) 2000-03-24 2000-03-24 電気掃除機
JP2000-238691 2000-08-07
JP2000238691A JP2002051953A (ja) 2000-08-07 2000-08-07 電気掃除機
JP2000-241333 2000-08-09
JP2000241333A JP3530116B2 (ja) 2000-08-09 2000-08-09 電気掃除機
JP2000242811A JP3476076B2 (ja) 2000-08-10 2000-08-10 電気掃除機
JP2000-242811 2000-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527A true KR20010090527A (ko) 2001-10-18
KR100413988B1 KR100413988B1 (ko) 2004-01-07

Family

ID=27481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128A KR100413988B1 (ko) 2000-03-24 2001-03-23 전기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25845B2 (ko)
EP (1) EP1136028B1 (ko)
KR (1) KR100413988B1 (ko)
CN (3) CN100403970C (ko)
DE (1) DE60121652T2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106B1 (ko) * 2002-05-31 2004-06-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70560B1 (ko) * 2002-09-24 2005-03-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습건식 진공청소기의 필터 고정장치
KR100800189B1 (ko) * 2007-02-15 2008-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US7371269B2 (en) 2004-12-28 2008-05-13 Techno Takatsuki Co., Ltd. Electromagnetic vibrating pump
KR100833360B1 (ko) * 2004-12-17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886503B1 (ko) * 2006-06-15 2009-03-02 테크노 타카츠키 주식회사 전자진동형 펌프
KR20160117096A (ko) * 2015-03-31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20200031252A (ko) * 2018-09-14 2020-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200031501A (ko) * 2018-09-14 2020-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200037199A (ko) * 2018-09-14 2020-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WO2020246740A3 (ko) * 2019-06-05 202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102444301B1 (ko) * 2021-08-18 2022-09-19 주식회사 신화이엔지 가연성 물질 연소기
US11523721B2 (en) 2018-09-14 2022-12-13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11672394B2 (en) 2018-09-14 2023-06-13 Lg Electronics Inc.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6066B2 (ja) 1999-07-19 2003-12-10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6440197B1 (en) * 1999-07-27 2002-08-27 G.B.D. Corp. Apparatus and method separating particles from a cyclonic fluid flow including an apertured particle separation member within a cyclonic flow region
KR100382451B1 (ko) * 2000-11-06 2003-05-0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0398685B1 (ko) 2000-11-27 2003-09-1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398684B1 (ko) * 2000-11-27 2003-09-1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DE60237744D1 (de) * 2001-08-08 2010-11-04 Panasonic Corp Staubsauger mit Staubverdichtungsmitteln
KR100444323B1 (ko) * 2001-10-05 2004-08-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KR100445801B1 (ko) 2002-02-27 2004-08-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KR100445804B1 (ko) 2002-02-27 2004-08-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KR100445802B1 (ko) * 2002-02-28 2004-08-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45806B1 (ko) * 2002-02-28 2004-08-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45808B1 (ko) * 2002-02-28 2004-08-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030072000A (ko) * 2002-03-05 2003-09-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관절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100433414B1 (ko) * 2002-05-11 2004-05-3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37117B1 (ko) * 2002-05-16 2004-06-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78641B1 (ko) * 2002-06-04 2005-03-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CN100355387C (zh) * 2002-06-06 2007-12-1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用于真空吸尘器的旋流集尘器
CN2693166Y (zh) 2002-10-15 2005-04-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动吸尘器
US7272871B1 (en) * 2002-10-18 2007-09-25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Dirt vessel equipped with cleaning plunger
US7181804B2 (en) * 2002-11-07 2007-02-27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Removable dirt cup assembly with external filter
JP3810362B2 (ja) * 2002-11-19 2006-08-16 シャープ株式会社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4070638B2 (ja) * 2002-12-27 2008-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100574308B1 (ko) * 2002-12-27 2006-04-2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SE0300355D0 (sv) 2003-02-10 2003-02-10 Electrolux Ab Hand held vacuum cleaner
KR100485708B1 (ko) * 2003-02-21 2005-04-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US7152277B2 (en) * 2003-03-13 2006-12-26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Filter assembly for cyclone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KR100518804B1 (ko) * 2003-03-31 2005-10-0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집진장치의 필터청소기구
KR100485699B1 (ko) * 2003-04-14 2005-04-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집진장치용 필터조립체
KR100496163B1 (ko) * 2003-05-30 2005-06-17 강훈기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청소기
EP1488729A3 (en) * 2003-06-16 2008-03-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aste receiving container for vacuum cleaners
KR100594194B1 (ko) * 2003-09-30 2006-06-3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US7351269B2 (en) * 2003-12-22 2008-04-01 Lau Kwok Yau Self cleaning filter and vacuum incorporating same
KR100539762B1 (ko) * 2004-03-09 2006-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필터 청소 장치
KR100585692B1 (ko) * 2004-04-06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CN100512740C (zh) * 2004-04-07 2009-07-15 东芝泰格株式会社 电动吸尘器
KR100595564B1 (ko) * 2004-07-16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EP1629761B1 (en) * 2004-08-31 2012-05-09 LG Electronics Inc.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KR100607440B1 (ko) 2004-09-13 2006-08-0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CN100369573C (zh) * 2004-10-20 2008-02-20 厦门灿坤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吸尘器的集尘装置
KR100869000B1 (ko) * 2004-12-14 2008-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먼지압축방법 및 진공청소기의 먼지압축장치
KR100871484B1 (ko) * 2004-12-14 200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615360B1 (ko) * 2005-04-18 2006-08-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진공청소기
KR100880492B1 (ko) 2005-05-12 200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US8978197B2 (en) * 2009-03-13 2015-03-17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ITBO20050553A1 (it) * 2005-09-12 2007-03-13 Massimiliano Pineschi Supporto per filtro per un aspiratore
DE102005047069A1 (de) * 2005-09-30 2007-04-0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Fliehkraftabscheider für einen Staubsauger
JP4477565B2 (ja) * 2005-10-04 2010-06-09 シャープ株式会社 集塵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US8544143B2 (en) * 2005-12-10 2013-10-01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8281455B2 (en) * 2005-12-10 2012-10-09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8012250B2 (en) * 2005-12-10 2011-09-0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7770253B2 (en) * 2005-12-10 2010-08-10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7785396B2 (en) 2005-12-10 2010-08-31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7882592B2 (en) * 2005-12-10 2011-02-08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8404034B2 (en) * 2005-12-10 2013-03-2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749295B2 (en) * 2005-12-10 2010-07-0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7987551B2 (en) * 2005-12-10 2011-08-02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ATE460108T1 (de) * 2006-01-27 2010-03-15 Black & Decker Inc Filterreinigungsmechanismus von staubsauger
EP1985372B1 (en) * 2006-02-24 2014-09-17 LG Electronics Inc.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SE529683C2 (sv) * 2006-03-24 2007-10-23 Electrolux Abp Handhållen dammsugare
KR100804808B1 (ko) * 2006-03-24 2008-02-2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US20080040883A1 (en) * 2006-04-10 2008-02-21 Jonas Beskow Air Flow Losses in a Vacuum Cleaners
SE531125C2 (sv) * 2007-01-19 2008-12-23 Electrolux Ab Förbättringar med avseende på luftströmningsförluster i en dammsugare
US8151411B2 (en) * 2006-04-10 2012-04-10 Ab Electrolux Vacuum cleaner
CN101448447B (zh) 2006-04-10 2012-06-27 伊莱克斯公司 具有过滤器清洁装置的真空吸尘器
ES2268998B1 (es) * 2006-05-08 2008-05-16 Sistema De Aspiracion Centralizada Del Hogar, S.L. Equipo de limpieza por aspiracion.
US20070289444A1 (en) * 2006-06-14 2007-12-20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Vacuum cleaner having a filter capable of collecting dust
US7594941B2 (en) * 2006-08-23 2009-09-29 University Of New Brunswick Rotary gas cyclone separator
CA2599303A1 (en) 2007-08-29 2009-02-28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192269B2 (en) 2006-12-15 2015-11-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857142B2 (en) 2006-12-15 2024-01-0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an energy storage member and a charger for an energy storage member
US10165912B2 (en) 2006-12-15 2019-01-0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888817B2 (en) 2014-12-17 2018-02-1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210401246A1 (en) 2016-04-11 2021-12-3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0864708B1 (ko) * 2006-12-28 2008-10-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WO2008091199A1 (en) * 2007-01-23 2008-07-31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nozzle
EP1949842B1 (en) 2007-01-24 2015-03-04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EP1949967B1 (en) * 2007-01-24 2015-03-25 LG Electronics Inc. Dust collector of a vacuum cleaner
KR100776402B1 (ko) * 2007-02-05 2007-11-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필터조립체를 구비한 멀티 사이클론 분리장치
KR100783143B1 (ko) * 2007-02-05 2007-12-0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US8015657B2 (en) * 2007-02-09 2011-09-13 Black & Decker Inc. Vacuum electronic power tool sense
KR100776403B1 (ko) * 2007-02-14 2007-11-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US20080201898A1 (en) * 2007-02-23 2008-08-28 Charbonneau Gary P Self-cleaning filter arrangement with activation signal for floor care apparatus
US7640625B2 (en) * 2007-04-30 2010-01-05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US20080264015A1 (en) * 2007-04-30 2008-10-30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Dust compress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US20080282656A1 (en) * 2007-05-16 2008-11-20 Sage Environmental Consulting, Inc. Rotating filament separator
GB2449484B (en) * 2007-05-25 2009-04-08 Richards Morphy N I Ltd Vacuum cleaner having filter device
US7962994B2 (en) * 2007-10-11 2011-06-21 Black & Decker Inc. Vacuum electronic switch detection system
US8516650B2 (en) 2007-10-11 2013-08-27 Black & Decker Inc. Vacuum electronic water sense circuit
US7644469B2 (en) * 2007-10-11 2010-01-12 Black & Decker Inc. Vacuum electronics isolation method
EP2225993B1 (en) * 2007-12-26 2016-02-24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ic cleaner
US8327487B2 (en) 2008-01-31 2012-12-11 Black & Decker Inc. Vacuum filter cleaning device
US20090205498A1 (en) * 2008-02-14 2009-08-20 Chi-Hsiang Wang Air cleaner
GB2459300B (en) * 2008-04-18 2010-03-10 Black & Decker Inc Vacuum cleaner
AU2009202183B2 (en) * 2008-06-05 2013-11-14 Bissell Inc. Cyclonic vacuum cleaner with improved filter cartridge
JP4798637B2 (ja) * 2008-10-20 2011-10-19 シャープ株式会社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GB2466625B (en) * 2008-12-23 2012-10-03 Vax Ltd Dust receptacle for a vacuum cleaner
US8881343B2 (en) * 2009-02-12 2014-11-11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8152913B2 (en) * 2009-02-16 2012-04-10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compressing dust
US8151409B2 (en) 2009-02-26 2012-04-10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9211044B2 (en) 2011-03-04 2015-12-1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ompact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65395B2 (en) 2010-03-12 2016-02-2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433332B2 (en) 2013-02-27 2016-09-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22086B2 (en) 2017-07-06 2020-07-2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713752B2 (en) 2009-03-13 2014-05-0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8107983B2 (en) * 2009-03-16 2012-01-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Systems and method for coordinated multipoint downlink transmissions
US8167981B2 (en) * 2009-04-21 2012-05-01 Spx Corporation Vacuum filter assembly
KR101610186B1 (ko) * 2009-06-17 201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진 먼지 제거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931642B1 (ko) * 2009-07-14 2009-12-14 (주)성심 진공사이클론 집진기
US8955193B2 (en) 2009-08-24 2015-02-17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O2011025071A1 (ko) * 2009-08-24 2011-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JP5432737B2 (ja) * 2010-01-18 2014-03-05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5799195B2 (ja) * 2010-06-28 2015-10-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掃除機
GB2516391B (en) * 2010-06-30 2015-07-01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WO2012009782A1 (en) * 2010-07-20 2012-01-26 Citywide Machine Wholesale Inc. Refuse holder and vacuum cleaner incorporating a refuse holder
CN102172459A (zh) * 2011-01-25 2011-09-07 雷鸣 一种旋转式旋风分离器
CN102151673B (zh) * 2011-01-28 2012-11-07 林世鸿 全自动插入式注射器针筒静电清洗机
US11534043B2 (en) 2011-03-04 2022-12-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DE102011083505B4 (de) * 2011-09-27 2015-02-0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aubfangbehälter für Staubsauger
DE102012202286A1 (de) * 2012-02-15 2013-08-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uffangbehälter zum Auffangen von Partikeln für einen Wirbelabscheider
CA2864751C (en) * 2012-02-22 2018-11-06 Citywide Machine Wholesale Inc. Refuse holder and vacuum cleaner incorporating a refuse holder
AU2013228064B2 (en) 2012-09-26 2017-11-23 Bissell Inc. Vacuum cleaner
DE102013101809A1 (de) * 2013-02-25 2014-08-28 Miele & Cie. Kg Staubsauger
US9320401B2 (en) 2013-02-27 2016-04-2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591958B2 (en) 2013-02-27 2017-03-1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027198B2 (en) 2013-02-27 2015-05-12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27151B2 (en) 2013-02-28 2016-01-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820621B2 (en) 2013-02-28 2017-11-2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326652B2 (en) 2013-02-28 2016-05-0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38235B2 (en) 2013-02-28 2016-01-1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140237764A1 (en) 2013-02-28 2014-08-28 G.B.D. Corp.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451855B2 (en) 2013-02-28 2016-09-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27201B2 (en) 2013-02-28 2016-01-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95995B2 (en) 2013-02-28 2016-03-2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2124512B1 (ko) * 2013-06-12 2020-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 청소기
CN103480575B (zh) * 2013-09-22 2015-10-28 陕西紫兆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垃圾处理真空吸料机
JP6181289B2 (ja) * 2014-01-28 2017-08-1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サイクロン分離装置
US10631697B2 (en) 2014-02-14 2020-04-28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Separator configuration
EP2929824B1 (en) * 2014-04-11 2018-06-06 Black & Decker Inc. A vacuum cleaning device
US9585530B2 (en) 2014-07-18 2017-03-0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451853B2 (en) 2014-07-18 2016-09-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314139B2 (en) 2014-07-18 2016-04-1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420925B2 (en) 2014-07-18 2016-08-2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7072453B (zh) 2014-10-22 2019-08-30 创科实业有限公司 手持式真空吸尘器
US9775483B2 (en) 2014-10-22 2017-10-03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Vacuum cleaner having cyclonic separator
CN106714643B (zh) 2014-10-22 2019-05-21 创科实业有限公司 具有旋风分离器的真空吸尘器
US10136778B2 (en) 2014-12-17 2018-11-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357369B2 (en) 2014-12-17 2022-06-1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950745B2 (en) 2014-12-17 2024-04-0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251519B2 (en) 2014-12-17 2019-04-0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45873B2 (en)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45874B2 (en)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571097B2 (en) 2014-12-17 2023-02-0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2277144B1 (ko) * 2014-12-18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US9756999B2 (en) * 2014-12-22 2017-09-12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filtration system with filter cleaning mode
US9687128B2 (en) 2014-12-30 2017-06-27 Bissell Homecare,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debris ejector
KR102308501B1 (ko) 2015-03-27 2021-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WO2016206759A1 (en) * 2015-06-26 2016-12-29 Aktiebolaget Electrolux Arrangement for cleaning a filter of a bag-less container of a vacuum cleaner
KR102409218B1 (ko) 2015-10-21 2022-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102463056B1 (ko) * 2015-10-21 2022-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AU2016353054B2 (en) 2015-11-10 2019-07-25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Handheld vacuum cleaner
GB2546542B (en) 2016-01-22 2018-07-04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GB2546543B (en) 2016-01-22 2019-01-02 Dyson Technology Ltd Separa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GB2546541B (en) 2016-01-22 2018-07-04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ing apparatus
GB201603302D0 (en) * 2016-02-25 2016-04-13 Grey Technology Ltd Dirt-collection chamber for a vacuum cleaner
EP3323334B1 (en) * 2016-11-17 2019-06-05 Black & Decker Inc. Vacuum cleaner
US10322873B2 (en) 2016-12-28 2019-06-1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64746B2 (en) 2016-12-28 2019-11-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214349B2 (en) 2016-12-28 2019-02-2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244910B2 (en) 2016-12-28 2019-04-0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244909B2 (en) 2016-12-28 2019-04-0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2453842B1 (ko) * 2017-01-03 2022-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핸디-스틱형 진공청소기
WO2018160725A1 (en) * 2017-03-03 2018-09-07 Donaldson Company, Inc. Precleaner for engine air intake and methods
JP1594316S (ko) 2017-04-11 2018-01-09
JP1594314S (ko) 2017-04-11 2018-01-09
WO2018232540A1 (es) * 2017-06-21 2018-12-27 Biodryingtech Spa Ciclon acelerador separador de particulas solidas
US11766156B2 (en) 2020-03-18 2023-09-2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removable air treatment member assembly
US10537216B2 (en) 2017-07-06 2020-01-2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45878B2 (en) 2020-03-18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removable air treatment member assembly
US10631693B2 (en) 2017-07-06 2020-04-2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50913B2 (en) 2017-07-06 2020-08-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966583B2 (en) * 2019-01-23 2021-04-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506904B2 (en) 2017-07-06 2019-12-1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219906B2 (en) 2019-01-23 2022-01-1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666193B2 (en) 2020-03-18 2023-06-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removable air treatment member assembly
US11730327B2 (en) 2020-03-18 2023-08-2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removable air treatment assembly
US10842330B2 (en) 2017-07-06 2020-11-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02113B2 (en) 2017-07-06 2020-07-0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2013613B1 (ko) * 2017-07-12 2019-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CN107327938B (zh) * 2017-08-18 2020-02-1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气处理模块和空调器
DE102017220700A1 (de) 2017-11-20 2019-05-23 BSH Hausgeräte GmbH Fliehkraftabscheider mit verringerter Bauhöhe
CN108209724A (zh) * 2017-11-29 2018-06-29 上海亿力电器有限公司 尘杯清理结构
KR102466282B1 (ko) * 2017-12-05 2022-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CN108309141A (zh) * 2018-02-08 2018-07-24 南通航运职业技术学院 一种应用于港口的除尘装置
US11013378B2 (en) 2018-04-20 2021-05-25 Omach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EP3787457B1 (en) 2018-05-01 2023-03-01 SharkNinja Operating LLC Docking station for robotic cleaner
CN108577670B (zh) * 2018-05-18 2021-07-16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尘气处理装置
AU2019306655A1 (en) 2018-07-20 2021-02-25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US11006799B2 (en) 2018-08-13 2021-05-1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013384B2 (en) 2018-08-13 2021-05-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192122B2 (en) 2018-08-13 2021-12-0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00073966A (ko) *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US10925451B2 (en) * 2019-01-23 2021-02-2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135602B2 (en) * 2019-01-23 2021-10-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GB2612750B (en) * 2019-01-23 2023-09-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129510B2 (en) * 2019-01-23 2021-09-2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974258B2 (en) * 2019-01-23 2021-04-1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213832B2 (en) 2019-01-23 2022-01-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9645881B (zh) * 2019-01-31 2024-05-28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吸尘装置
WO2020184874A1 (en) * 2019-03-08 2020-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cleaner having the same
KR20200140162A (ko) 2019-06-05 2020-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AU2020288047B2 (en) * 2019-06-05 2024-01-25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AU2020289124B2 (en) * 2019-06-05 2024-01-04 Lg Electronics Inc. Cleaner
CN110301861B (zh) * 2019-06-21 2023-12-19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旋风筒、尘杯组件及吸尘器
KR102222214B1 (ko) * 2019-09-30 2021-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102253662B1 (ko) * 2019-09-30 2021-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WO2021109725A1 (zh) * 2019-12-03 2021-06-10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的尘杯组件、吸尘器、吸尘器组件
WO2021174345A1 (en) * 2020-03-02 2021-09-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3520215B (zh) * 2020-04-13 2022-09-27 苏州诚河清洁设备有限公司 手持式真空吸尘器
CN113520212B (zh) * 2020-04-13 2022-09-27 苏州诚河清洁设备有限公司 手持式吸尘器
KR20220010288A (ko) * 2020-07-17 202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CN112386160A (zh) * 2020-12-01 2021-02-23 爱源(厦门)电子有限公司 一种自洁式尘筒组件及具有其的手持式吸尘器
CN114794968B (zh) * 2021-01-19 2023-11-1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用于清洁机的分离模块及清洁机
CN113017469B (zh) * 2021-03-19 2022-07-12 苏州凯丽达电器有限公司 一种吸尘器
KR20220140313A (ko) * 2021-04-09 2022-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CN115251777B (zh) * 2021-04-30 2023-07-18 苏州瑞久智能科技有限公司 擦地机
CN114105461A (zh) * 2021-10-25 2022-03-01 浙江中硅新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的钢化炉进风系统装置
CN117161579B (zh) * 2023-11-02 2024-02-13 临朐亿通不锈钢有限公司 一种钢管无尘切割激光切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59947A (en) * 1924-01-14 1930-05-27 Delco Light Co Domestic appliance
US2287921A (en) * 1939-11-18 1942-06-30 Hoover Co Suction cleaner
NL70175C (ko) * 1946-07-12
US2684125A (en) * 1952-05-31 1954-07-20 Hoover Co Suction cleaner having multiple concentric filters
DE1059636B (de) * 1954-07-08 1959-06-18 Siemens Elektrogeraete Gmbh Staubsauger mit einer Reinigungsvorrichtung fuer das Staubfilter
US3320727A (en) * 1965-08-02 1967-05-23 Mitchell Co John E Portable vacuum cleaning machine
US3755992A (en) * 1972-03-15 1973-09-04 L Ylinen Lawn vacuum cleaning and packing apparatus
CA978485A (en) * 1972-06-20 1975-11-25 Clement W. Goodine Entrained material separator for use with domestic vacuum cleaners
US3797064A (en) * 1972-10-20 1974-03-19 Scott & Fetzer Co Filter bag cleaning means
DE2749480C3 (de) * 1977-11-04 1981-04-09 Oberdorfer, Guido, 7919 Bellenberg Filter mit Reinigungsvorrichtung in einem Schmutzsauger
SE421171B (sv) * 1980-04-18 1981-12-07 Electrolux Ab Anordning vid en dammsugare
US4571772A (en) * 1982-12-27 1986-02-25 Prototypes, Ltd. Upright vacuum cleaning appliance
US4697261A (en) * 1986-09-05 1987-09-29 M/A-Com Government Systems, Inc. Linear predictive echo canceller integrated with RELP vocoder
CA1313578C (en) * 1989-01-12 1993-02-16 Kal Usmani Central vacuum cleaner with detachable filter assembly
US5254147A (en) * 1990-04-03 1993-10-19 Nutone, Inc. Draw-down cyclonic vaccum cleaner
US5045098A (en) * 1990-08-13 1991-09-03 The Spencer Turbine Company Bag separator
US5145499A (en) * 1990-09-21 1992-09-08 Notetry Limited Disposable bin for cyclonic vacuum
JP3117155B2 (ja) * 1991-10-16 2000-12-11 株式会社ダイヘン サイクロン式集塵装置
US5267371A (en) * 1992-02-19 1993-12-07 Iona Appliances Inc. Cyclonic back-pack vacuum cleaner
DE19517197A1 (de) * 1995-05-11 1996-11-14 Manfred Butsch Selbstreinigender Staubsauger
JP3338296B2 (ja) * 1996-07-22 2002-10-28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SE509696C2 (sv) 1996-09-04 1999-02-22 Electrolux Ab Separationsanordning för en dammsugare
SE508133C2 (sv) * 1996-12-18 1998-08-31 Electrolux Ab Tillsatsanordning för en dammsugare
ES2171875T3 (es) * 1997-06-20 2002-09-16 Candy Spa Limpiador domestico de vacio con ciclon axial.
US6070291A (en) * 1998-01-09 2000-06-06 Royal Appliance Mfg. Co. Upright vacuum cleaner with cyclonic air flow
JPH11336700A (ja) * 1998-05-25 1999-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送風機
US6195835B1 (en) * 1998-12-02 2001-03-06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having a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KR20000039238A (ko) * 1998-12-11 2000-07-05 배길성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US6141826A (en) * 1999-01-08 2000-11-07 G.B.D. Corp. Center air feed for cyclonic separator
JP3530436B2 (ja) * 1999-01-29 2004-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掃除機用集塵装置及び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
US6146434A (en) * 1999-02-24 2000-11-14 The Hoover Company Cyclonic dirt cup assembly
US6158484A (en) * 1999-03-05 2000-12-12 Greenlee; Wilfred E. Dispenser for church communion liquid
US6572488B1 (en) * 1999-05-20 2003-06-03 Richard M. Weiss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nd aligning golf club shaft spine
KR20010001213A (ko) * 1999-06-02 2001-01-05 구자홍 싸이클론 집진장치
JP3476066B2 (ja) * 1999-07-19 2003-12-10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6269518B1 (en) * 1999-12-08 2001-08-07 Shell Electric Mfg. (Holdings) Co. Ltd. Bagless vacuum cleaner
US6341404B1 (en) * 2000-01-13 2002-01-29 Royal Appliance Mfg. Co. Upright vacuum cleaner with cyclonic airflow pathway
KR200192735Y1 (ko) * 2000-02-29 2000-08-16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기
US6596044B1 (en) * 2000-03-06 2003-07-22 The Hoover Company Dirt collecting system for a vacuum cleaner
US6415526B1 (en) * 2000-04-28 2002-07-09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lignment of metered dose inhaler valves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106B1 (ko) * 2002-05-31 2004-06-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70560B1 (ko) * 2002-09-24 2005-03-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습건식 진공청소기의 필터 고정장치
KR100833360B1 (ko) * 2004-12-17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US7371269B2 (en) 2004-12-28 2008-05-13 Techno Takatsuki Co., Ltd. Electromagnetic vibrating pump
KR100886503B1 (ko) * 2006-06-15 2009-03-02 테크노 타카츠키 주식회사 전자진동형 펌프
KR100800189B1 (ko) * 2007-02-15 2008-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20160117096A (ko) * 2015-03-31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20200106149A (ko) * 2018-09-14 2020-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200031501A (ko) * 2018-09-14 2020-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200037199A (ko) * 2018-09-14 2020-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200031252A (ko) * 2018-09-14 2020-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US11523721B2 (en) 2018-09-14 2022-12-13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11672394B2 (en) 2018-09-14 2023-06-13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717123B2 (en) 2018-09-14 2023-08-08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11944258B2 (en) 2018-09-14 2024-04-02 Lg Electronics Inc. Filter and vacuum canister cleaner
WO2020246740A3 (ko) * 2019-06-05 202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GB2598067A (en) * 2019-06-05 2022-02-1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11457783B2 (en) 2019-06-05 2022-10-04 Lg Electronics Inc. Cleaner
GB2598067B (en) * 2019-06-05 2023-05-17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KR102444301B1 (ko) * 2021-08-18 2022-09-19 주식회사 신화이엔지 가연성 물질 연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36028B1 (en) 2006-07-26
DE60121652D1 (de) 2006-09-07
CN1545972A (zh) 2004-11-17
DE60121652T2 (de) 2007-07-26
KR100413988B1 (ko) 2004-01-07
EP1136028A3 (en) 2003-03-12
CN1319372A (zh) 2001-10-31
CN1302747C (zh) 2007-03-07
US20010025395A1 (en) 2001-10-04
CN100403970C (zh) 2008-07-23
US6625845B2 (en) 2003-09-30
EP1136028A2 (en) 2001-09-26
CN1150851C (zh) 2004-05-26
CN1545973A (zh) 200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3988B1 (ko) 전기 진공 청소기
KR101178295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CA2574750C (en) Vacuum cleaner filter cleaning mechanisms
KR100912314B1 (ko) 진공청소기
KR100936064B1 (ko) 진공청소기
KR100963382B1 (ko) 진공청소기
KR10093276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44746B1 (ko) 진공청소기
KR100933188B1 (ko) 진공청소기
KR101119615B1 (ko) 진공청소기
EP3364845B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20050091829A (ko) 진공청소기
KR20050091834A (ko) 진공청소기
KR20050091833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CN112587029B (zh) 一种吸尘器主机及吸尘器
KR100857491B1 (ko) 집진 용기 및 전기 청소기
KR20060107625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100138837A (ko)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KR100932761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50119737A (ko) 진공청소기
JP5818558B2 (ja) 電気掃除機
KR20060022955A (ko) 진공청소기
JP2018033689A (ja) 電気掃除機の集塵装置
KR20050091832A (ko) 진공청소기
KR20060107626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