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8837A -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8837A
KR20100138837A KR1020100059900A KR20100059900A KR20100138837A KR 20100138837 A KR20100138837 A KR 20100138837A KR 1020100059900 A KR1020100059900 A KR 1020100059900A KR 20100059900 A KR20100059900 A KR 20100059900A KR 20100138837 A KR20100138837 A KR 20100138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ust
case body
port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2536B1 (ko
Inventor
나오꼬 가와무라
다까유끼 이찌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509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00493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55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010742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138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흡입의 지속성 및 집진량을 확보하면서 흡입 작업률의 저하를 억제한 집진 컵을 구비한 집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수평 성분을 갖는 유로를 형성하는 흡기구(71)의 개구 방향에 대하여 최대 45°의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1 경사면(86)에 제1 필터(82)를, 흡기구(71)의 형상의 투영 위치 A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케이스체(51) 내에 배치한다. 제1 필터(82) 전체를 흡기구(71)에 근접하여 배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집진량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필터 면적을 증대할 수 있으므로 흡입 작업률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ELECTRIC CLEANER}
본 발명은, 흡기구 및 배기구를 구비한 케이스체 내에 필터를 배치한 집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 청소기에 사용되는 집진 장치로서의 집진 컵은,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케이스체에 흡기구와 배기구가 형성되고, 배기구를 덮어 배기측 필터가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케이스체의 내부에 흡기구로부터 배기구로 연통되도록 구획된 풍로에 필터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필터에는, 시간 경과에 따라 먼지가 부착되어 막힘이 발생하고, 전동 송풍기에 의한 흡입력이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러한 막힘시에도 흡기의 일부를 바이패스하는 풍로를 형성하고, 이 풍로에 필터를 별개로 배치함으로써 흡입력의 저하를 억제하여, 집진 컵의 흡입의 지속력을 유지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케이스체 내의 풍로 구성이 복잡화되어, 흡입 작업률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흡기구와 배기구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의 위치를 흡기구에 근접함과 함께, 흡기풍을 필터로 정류하는 정류체를 필터측으로부터 흡기구를 향해 돌출시킴으로써, 필터에 포집한 먼지를 흡기구로부터의 흡기에 의해 수시로 필터로부터 박리시킴으로써, 먼지의 포집 기능과 지속력의 유지 기능의 각각을 공통의 필터에 갖게 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내지 4 참조). 이 구성에서는, 풍로를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흡입 작업률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61471호 공보(제3 내지 7페이지, 도 1 내지 도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7-313180호 공보(제4 내지 5페이지, 도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2932호 공보(제4 내지 6페이지, 도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3217호 공보(제5 내지 6페이지, 도 6)
그러나, 상술한 집진 장치에서는, 필터와 흡기구 사이에 거리를 취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체 내에 수용 가능한 먼지량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흡입의 지속성 및 집진량을 확보하면서 흡입 작업률의 저하를 억제한 집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집진 장치는, 수평 성분을 갖는 유로를 형성하는 흡기구, 및 이 흡기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배기구를 구비한 케이스체의 내측에 위치하여 흡기구의 개구 방향에 대하여 최대 45°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에 배치되고, 흡기구의 형상의 투영 위치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케이스체 내에 유입된 흡기풍을, 상기 제1 필터의 상류면으로 유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 성분을 갖는 유로를 형성하는 흡기구의 개구 방향에 대하여 45°이하의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에, 흡기구의 형상의 투영 위치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필터를 케이스체 내에 배치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필터에 먼지가 부착되기 어려워 흡입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필터 전체를 흡기구에 근접하여 배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집진량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필터 면적을 증대할 수 있으므로 흡입 작업률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집진 장치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일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상기 집진 장치의 먼지의 폐기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3은 상기 집진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상기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집진 장치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6은 상기 집진 장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집진 장치의 먼지의 폐기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집진 장치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일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9는 상기 집진 장치의 먼지의 폐기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집진 장치의 먼지의 폐기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부호 11은 소위 캐니스터형의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고, 이 전기 청소기(11)는, 관부(12)와, 이 관부(12)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청소기 본체(13)를 갖고 있다.
관부(12)는, 청소기 본체(13)에 접속되는 접속관부(15)와, 이 접속관부(15)의 선단측으로 연통되는 가요성을 갖는 호스체(16)와, 이 호스체(16)의 선단측에 설치된 손잡이 조작부(17)와, 이 손잡이 조작부(17)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연장관(18)과, 이 연장관(18)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19)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 조작부(17)에는, 파지부(21)가 호스체(16)측으로 돌출되고, 이 파지부(21)에는, 조작용의 설정 버튼(22)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1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5)를 구비하고, 이 본체 케이스(25)의 내부에 형성된 격벽(26)의 후방측에, 전동 송풍기(27)를 수용하는 전동 송풍기실(28), 및 도시하지 않은 전원 코드를 권회한 코드 릴을 수용하는 도시하지 않은 코드 릴실이 구획되어 설치되어 있다.
격벽(26)의 전방측에, 이 격벽(26)에 형성된 연통구(31)를 통해 전동 송풍기(27)의 흡입측으로 연통되는 본체 집진실(35)이 구획되고, 이 본체 집진실(35)에, 집진 장치로서의 집진 컵(36)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5)는, 예를 들어 강성을 갖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된 하부 케이스(38)와, 이 하부 케이스(38)의 상측 후방부인 전동 송풍기실(28) 및 코드 릴실을 덮는 상부 케이스(3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25)는, 이 상부 케이스(39) 혹은 하부 케이스(38)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본체 집진실(35)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본체 덮개(40)와, 전동 송풍기실(28) 및 코드 릴실의 후방부를 덮는 후방부 패널(41)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 케이스(38)의 전방측에는, 본체 집진실(35)에 연통되어 청소기 본체(13)의 접속관부(15)를 연통 접속 가능한 본체 흡입구(43)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38)의 양측부에는, 청소기 본체(13)를 피청소면인 바닥면 상에서 주행 가능하게 하기 위한 대직경의 주행륜(44)(도 4)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38)의 하부에는, 청소기 본체(13)에 선회성을 부여하여 이 청소기 본체(13)의 주행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회륜 유닛(45)이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39)에는, 청소기 본체(13)를 운반하기 위한 핸들체(47)가 장착되어 있다. 이 핸들체(47)는, 전원 코드의 코드 릴에의 권취용의 버튼으로서도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방부 패널(41)에는, 전동 송풍기실(28) 및 코드 릴실과 본체 케이스(25)( 청소기 본체(13))의 외부를 연통하는 본체 배기 구멍(49)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집진 컵(3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강성을 갖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케이스체(51)와, 이 케이스체(51)의 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배기측 필터인 필터체(52)와, 케이스체(5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덮개체(53)와, 케이스체(51)의 상부에 형성된 핸들(54)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체(51)는, 흡입한 먼지의 대부분(주로 큰 먼지)을 실질적으로 수용하는 먼지 수용부(56) 및 흡기풍이 통과하는 풍로(57)를 구획하는 케이스 본체부(61)를 갖는다.
이 케이스 본체부(61)의 하류측인 후방부에 연속하여, 필터체(52)를 착탈하기 위한 필터체 장착부(62)와, 케이스 본체부(61)의 하부에 연속되는 확대 개방부(63)를 일체로 갖고 있다.
케이스 본체부(61)는, 상류 측면부인 정면에서 보아 사각형 형상인 전방면부(65)와, 이 전방면부(65)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속되는 상면부(66)와, 전방면부(65) 및 상면부(66)의 양측부에 연속되는 측면부(67, 67)와, 상면부(66)의 하부이며 또한 측면부(67, 67) 사이에 연속되는 폐색부(61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부(61)의 내부에는, 제1 필터부(68)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방면부(65)에는,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개구 방향(축 방향)을 갖는 원형 형상의 흡기구(71)가 수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흡기구(71)는, 수평 성분을 갖는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흡기구(71)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케이스체(51)의 외측과 내측에서 개구 방향이 대략 동등하기 때문에, 이하, 케이스체(51)의 내측에서의 흡기구(71)의 개구 방향과 케이스체(51)의 외측에서의 흡기구(71)의 개구 방향을 구별하지 않고, 모두 흡기구(71)의 개구 방향으로 한다.
또한, 전방면부(65)의 전방부에는, 덮개체(53)를 케이스체(51)에 걸림 고정하기 위한 걸림 고정체(72, 72)를 동작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걸림 고정체 구동 기구가 수용된 수용부를 구획하는 수용부 구획체(73)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전방면부(65)의 하단부는, 확대 개방부(63)의 상부에 연속되어 있다.
수용부 구획체(73)는, 흡기구(71)의 상측으로부터 양측 하부에 걸쳐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전방면부(65)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수용부 구획체(73)의 중앙부에는, 흡기구(71)의 개구 방향을 따라 축 방향을 갖는 원통 형상의 도풍부(76)가 형성되고, 이 도풍부(76)가 흡기구(71)의 상류측에 동축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풍부(76)는, 본체 흡입구(43)의 하류측인 후방부에 장착된 가요성(탄성)을 갖는 원통 형상의 밀봉 부재(77)의 후단부에 대하여, 전단부가 집진 컵(36)을 본체 집진실(35)에 장착한 상태로 압접된다.
이 압접에 의해, 흡기구(71)와 본체 흡입구(43)를 기밀하게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걸림 고정체(72)는, 수용부 구획체(73)의 양측의 하부에 상단부가 축지지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걸림 고정체(72)의 하단부는, 확대 개방부(63)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하단부의 후방부에는, 덮개체(53)를 걸림 고정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갈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걸림 고정체(72)는, 예를 들어 걸림 고정체 구동 기구의 일부를 이루는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 등에 의해, 하단부측이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또한, 상면부(66)는, 상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되고, 전방측(상류측)으로부터 후방측(하류측)으로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각 측면부(67)는, 전방면부(65)에 대하여 각각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서서히 확대 개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측면부(67)의 하단부는, 확대 개방부(63)의 상부에 연속되어 있다.
또한, 폐색부(61a)는, 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필터부(68)와의 사이에 먼지 수용부(56)를 구획하고 있다.
그리고, 제1 필터부(68)는, 강성을 갖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필터 프레임부(81)와, 이 제1 필터 프레임부(81)에 장착된 메쉬 형상의 1차 필터로서의 여과 필터인 평면 형상의 제1 필터(82)를 갖고 있다.
또한, 이 제1 필터부(68)는, 폐색부(61a)에 대하여, 덮개체(53)측인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필터 프레임부(81)는,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측(상류측) 필터 프레임부(84)와,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측(하류측) 제1 필터 프레임부(85)를 일체로 구비하여 굴곡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필터(82)가 장착되는 제1 경사면(86)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제1 필터 프레임부(81)는, 외주 모서리가 케이스 본체부(61)의 내면에 간극 없이 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필터 프레임부(81)는,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방측 제1 필터 프레임부(84)는, 제1 필터(82)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풍로(57)를 구성하기 위한 통기 개구로서의 전방측(상류측) 통기 개구(84a)를 복수 구비한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방측 제1 필터 프레임부(84)의 전단부인 하단부는, 흡기구(71)의 하측이며, 케이스 본체부(61)의 전방면부(65)의 하방에 위치하는 확대 개방부(63)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전방측 제1 필터 프레임부(84)는, 흡기구(71)의 케이스 본체부(61)의 내면측의 개구 방향인 수평 방향에 대하여, 측면에서 보아 45°이하의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최대 45°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또한, 전방측 제1 필터 프레임부(84)는, 전방측 제1 통기 개구(84a)의 상측의 위치로부터 후방측 제1 필터 프레임부(85)과의 연속부인 상단부에 걸쳐, 흡기구(71)의 형상의 투영 위치 A 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전방측 제1 필터 프레임부(84)의 하단부는, 덮개체(53)의 전단부측의 상부에 접촉하여 이 덮개체(5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후방측 제1 필터 프레임부(85)는, 제1 필터(82)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풍로(57)를 구성하기 위한 통기 개구로서의 후방측(하류측) 통기 개구(85a)를 복수 구비한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 제1 필터 프레임부(85)는, 전방측 제1 필터 프레임부(84)에 대하여, 상방으로 굴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 제1 필터 프레임부(85)의 후단부로 되는 상단부는, 흡기구(71)의 형상의 투영 위치 A의 외측인 상측으로 연장되고, 케이스 본체부(61)의 측면부(67, 67)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회전축(85b)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필터부(68)가 케이스 본체부(6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 제1 필터 프레임부(85)는, 흡기구(71)의 케이스 본체부(61)의 내면측의 개구 방향인 수평 방향에 대하여, 측면에서 보아 45°이하의 소정 각도(최대 45°)이며, 또한 전방측 제1 필터 프레임부(84)보다 큰 각도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제1 경사면(86)은, 전체가 흡기구(71)의 케이스 본체부(61)의 내면측의 개구 방향인 수평 방향에 대하여 측면에서 보아 45°이하의 소정 각도(최대 45°)로 교차하고 있다.
또한, 제1 경사면(86)이 흡기구(71)의 케이스 본체부(61)의 내면측의 개구 방향에 대하여 측면에서 보아 45°이하의 소정 각도로 교차하고 있는 상태라 함은, 예를 들어 제1 경사면(86)을 구성하는 제1 필터 프레임부(81) 혹은 제1 필터(82)가 원호 형상으로 하측으로 만곡하고 있는 경우에, 제1 필터 프레임부(81)의 전단부측과 후단부측을 포함하는 평면, 혹은 만곡 부분의 접선(접평면)이 흡기구(71)의 케이스 본체부(61)의 내면측의 개구 방향에 대하여 측면에서 보아 45°이하의 소정 각도로 교차하고 있는 상태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제1 필터(82)는, 전방측 제1 통기 개구(84a)와, 후방측 제1 통기 개구(85a)의 각각을 폐색하여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필터(82)는, 적어도 일부가 흡기구(71)의 형상의 투영 위치 A 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제1 필터부(68) 전체에서는, 외측 모서리부가 흡기구(71)의 투영 위치 A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필터체 장착부(62)는, 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부(66), 측면부(67, 67) 및 확대 개방부(63)의 후방부에 단차 형상으로 확대 개방되어 있다. 즉, 이 필터체 장착부(62)는, 케이스 본체부(61)의 내부를 통해 흡기구(71)의 하류측으로 연통되는 배기구(93)를, 케이스체(51)의 후방부에 사각형 형상으로 구획하고, 흡기구(71)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확대 개방부(63)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면부(65) 및 측면부(67, 67)의 하부에 단차 형상으로 확대 개방되어 있다. 즉, 이 확대 개방부(63)는, 케이스 본체부(61)의 내부로 연통되는 먼지 폐기용의 먼지 배출구(95)를 케이스체(51)의 하부에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확대 개방부(63)의 후방부에 있어서의 필터체 장착부(62)의 전방측과 대향하는 위치에, 좌우 폭 방향을 따르는 벽부(63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벽부(63a)에는, 필터체 장착부(62)측과 확대 개방부(63) 내를 연통하는 개구(63b)가 형성되어 있다.
먼지 배출구(95)는, 흡기구(71)의 개구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직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개구 방향을 갖고, 전방측 하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이로 인해, 먼지 배출구(95)는, 수직 상하 방향으로 개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개구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다.
또한, 필터체(52)는, 배기구(93) 전체를 폐색하도록 필터체 장착부(62)의 후방부에 장착 가능하다. 즉, 이 필터체(52)는, 제1 필터(82)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풍로(57)를 통해 흡기구(71)측과 연통되어 있다.
이 필터체(52)는, 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필터 프레임(97)과, 이 필터 프레임(97)에 유지된 메인(2차) 필터로서의 표면 집진 필터인 플리츠 필터(98)와, 플리츠 필터(98)에 포집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제진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필터 프레임(97)은, 필터체(52)를 배기구(93)에 장착한 상태에서 이 배기구(93)의 모서리부와의 간극을 기밀하게 폐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리츠 필터(98)는, 도시하지 않지만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전방측 돌출부와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후방측 돌출부가 좌우 폭 방향으로 교대로 연속한 플리츠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진 수단은, 예를 들어 플리츠 필터(98)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이 플리츠 필터(98)에 대하여 좌우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 제진 수단의 이동에 의해 플리츠 필터(98)의 후방측 돌출부의 선단부를 순차 타고 넘음으로써 플리츠 필터(98)를 튕겨 이 플리츠 필터(98)에 진동을 부여하고, 이 플리츠 필터(98)에 포집한 먼지를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진 수단은,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구성이어도 되고, 전동 송풍기(27)의 정지시, 혹은 전동 송풍기(27)의 동작 개시 직전 등의 소정의 타이밍에서 자동적으로 동작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덮개체(53)는, 상측이 개방된 납작하고 얕은 접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방부에 회전축(53a)이 돌출되어 있다. 이 회전축(53a)은, 필터체 장착부(6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덮개체(53)는, 회전에 의해 먼지 배출구(95)를 개폐 가능하다.
또한, 이 덮개체(53)의 상측의 주연부에는, 덮개체(53)를 폐쇄한 상태에서 확대 개방부(63)의 하단부에 압접되어 먼지 배출구(95)를 기밀하게 폐색하기 위한 가요성(탄성)을 갖는 집진 밀봉 부재(10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덮개체(53)의 전단부에는, 도 3에 도시한 걸림 고정체(72, 72)의 하단부측의 갈고리부가 결합되는 피결합부(102, 10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핸들(54)은, 케이스체(51)의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걸림 고정체(72, 72)를 동작시키기 위한 걸림 고정체 구동 기구의 일부가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핸들(54)의 상부에는, 걸림 고정체 구동 기구를 조작하는 조작 버튼(104)을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5)가 후방측 근방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풍로(57)는, 흡기구(71)로부터 제1 통기 개구(84a, 85a)(제1 필터(82)) 및 필터체(52)(플리츠 필터(98))를 통해 배기구(93)로 흐르는 풍로이다.
또한, 전동 송풍기(27)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전동 송풍기 커버(107)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덮인 상태로, 전동 송풍기실(28)에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27)는, 본체 케이스(25)(청소기 본체(13)) 내에 수용된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인 본체 제어부에 의해, 설정 버튼(22)(도 4)으로 설정된 동작 모드로 구동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전동 송풍기 커버(107)의 전방부에는, 격벽(26)의 연통구(31)의 하류측인 후방부에, 상류측(전방측)으로부터 하류측(후방측)으로 서서히 직경 축소된 대략 원통 형상의 인듀서(정류체)(108)의 하류 단부(후단부)가 삽입되는 커버 흡입구(109)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 흡입구(109)에 삽입된 인듀서(108)의 하류 단부가, 전동 송풍기(27)의 흡입측에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 송풍기 커버(107)의 후방측의 하부에는, 전동 송풍기(27)로부터의 배기를 배출하기 위한 커버 배기구(110)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 커버(107)는, 예를 들어 상하, 혹은 전후 등에 복수로 분할되어 있어도 되고, 전동 송풍기(27)를 도시하지 않은 현가 수단 등을 통해 내부에 탄성적으로 현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전동 송풍기 커버(107) 자체도 본체 케이스(25)의 하부 케이스(38) 등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3)의 본체 집진실(35) 내에 집진 컵(36)을 장착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3)의 본체 흡입구(43)에 접속관부(15)를 접속하고, 호스체(16), 연장관(18) 및 바닥 브러시(19)를 순차 연통 접속한 상태로, 바닥 브러시(19)를 바닥면 상에 적재한다.
계속해서, 파지부(21)의 원하는 설정 버튼(22)을 조작함으로써, 본체 제어부가 전동 송풍기(27)를 원하는 동작 모드로 동작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파지부(21)에 의해, 연장관(18)을 통해 바닥 브러시(19)를 바닥면 상에서 전후로 주행시킨다.
전동 송풍기(27)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은, 인듀서(108), 연통구(31), 집진 컵(36), 본체 흡입구(43), 호스체(16) 및 연장관(18)을 통해 바닥 브러시(19)에 작용하고, 바닥면 상의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이 흡입된 공기는, 흡기풍으로 되어, 먼지와 함께 바닥 브러시(19)로부터 연장관(18), 호스체(16) 및 본체 흡입구(43)를 통해, 도 1에 도시한 집진 컵(36)의 흡기구(71)로부터 집진 컵(36) 내에 흡입된다.
이 흡기풍은, 도 1의 화살표 W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기구(71)의 개구 방향을 따라 수평 형상으로 제1 필터부(68)에 분사된다.
이때, 제1 필터 프레임부(81)가 흡기구(71)의 개구 방향에 대하여 45°이하의 소정 각도로 교차하도록 경사져 있음으로써, 흡기풍은, 제1 필터부(68)(제1 필터(82))를 따라 이 제1 필터부(68)(제1 필터(82))의 표면을 흐르는 성분(벡터)의 쪽이, 제1 필터(82)와 직교하는 성분(벡터), 즉 제1 필터(82)를 통과하는 성분보다 많아진다.
이로 인해, 제1 필터(82)를 흡기풍이 통과하여 이 제1 필터(82)에 포집된 먼지는, 흡기풍의 힘에 의해 제1 필터(82)로부터 거의 박리되어 흡기구(7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불어 날려지고, 이 불어 날려진 먼지와 함께, 흡기풍이 제1 필터부(68)(제1 경사면(86))를 따라 정류되어 폐색부(61a)측으로 흘러, 먼지 수용부(56)에 수용된다.
따라서, 흡기풍과 함께 흡입된 먼지의 대부분(먼지 뭉치 등의 큰 먼지 D)은, 제1 필터부(68)의 후단부로부터 폐색부(61a)측에 저류되고, 제1 필터부(68)의 제1 필터(82)는 흡기풍에 의해 먼지가 박리되어 불어 날려지고, 막힘이 억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제1 필터(82)의 막힘이 억제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전동 송풍기(27)의 흡입력이 지속된다.
제1 필터(82)를 통과한 흡기풍은, 플리츠 필터(98)를 통과할 때에, 제1 필터(82)에 의해 완전히 포집할 수 없었던 세진(미세 먼지)이 플리츠 필터(98)에서 표면 집진된다.
이 후, 흡기풍은, 배기구(93)로부터 집진 컵(36)의 하류측(외측)으로 배기되고, 도 1에 도시한 연통구(31) 및 인듀서(108)를 통해 전동 송풍기(27)의 흡입측으로 흡입되고, 이 전동 송풍기(27)를 냉각하면서 통과하여 배기풍으로 되고, 전동 송풍기 커버(107)의 커버 배기구(110)로부터 배기된 후, 전동 송풍기실(28) 및 코드 릴실로부터 본체 배기 구멍(49)을 통해 청소기 본체(13)(본체 케이스(25))의 외부로 배기된다.
청소가 종료되면, 작업자는 도 4에 도시한 설정 버튼(22)을 조작하여, 전동 송풍기(27)를 정지시킨다.
이때, 집진 컵(36) 내의 큰 먼지 D는, 흡기풍이 작용하지 않게 됨으로써 자중에 의해 제1 필터부(68)측으로 낙하된다.
집진 컵(36) 내에 일정량 이상의 큰 먼지가 저류되었을 때에는, 작업자는 본체 케이스(25)의 본체 덮개(40)를 개방하여 집진 컵(36)을 본체 집진실(35)로부터 제거하고, 핸들(54)을 파지하여 집진 컵(36)을 휴지통 등의 폐기부 상으로 운반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조작 버튼(104)을 조작함으로써, 걸림 고정체(72, 72)가 피결합부(102, 102)로부터 벗어나, 덮개체(53)의 전단부측이 회전축(53a)을 중심으로 하여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하여, 먼지 배출구(95)가 개방된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체(53)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었던 제1 필터부(68)는, 덮개체(53)가 하방으로 개방됨으로써 하측으로부터의 지지를 잃고, 자중에 의해 회전축(85b)을 중심으로 하여 전단부측이 하방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제1 필터부(68)의 상측의 먼지 수용부(56)에 저류되어 있었던 큰 먼지 D가, 자중에 의해 먼지 배출구(95)로부터 집진 컵(36)의 외부의 폐기부로 낙하하여 배출된다.
이때, 제1 필터(82) 및 필터체(52)의 플리츠 필터(98)도, 각각이 포집한 먼지를 클리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지를 폐기한 후에는, 작업자가 덮개체(53)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면, 이 덮개체(53)에 접촉하여 필터부(69)도 회전축(85b)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하고, 덮개체(53)에 의해 먼지 배출구(95)를 완전히 폐색한 상태, 즉 걸림 고정체(72, 72)를 덮개체(53)의 피결합부(102, 102)에 결합시킨 상태로, 제1 필터 프레임부(81)의 전단부가 흡기구(71)의 하측에서 케이스 본체부(61)의 전방면부(65)의 하방에 위치하는 확대 개방부(63)의 내면에 접촉한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먼지를 폐기함으로써, 집진 컵(36)은 반복하여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 성분을 갖는 유로를 형성하는 흡기구(71)의 개구 방향에 대하여 45°이하의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1 경사면(86)에 제1 필터(82)를, 흡기구(71)의 형상의 투영 위치 A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케이스체(51)의 내부에 배치하였다.
이러한 제1 필터(82)의 배치에 의해, 흡기구(71)의 개구 방향을 따라 케이스체(51) 내에 유입된 흡기풍의 제1 필터(82)의 상류면을 흐르는 성분이, 이 제1 필터(82)에 직교하는 성분(제1 필터(82)를 통과하는 성분)보다 많아져, 흡기풍이 급격히 제1 필터(82)의 상류면을 따라 흘러, 이 제1 필터(82)에 부착된 먼지를 불어 날린다.
이로 인해, 제1 필터(82)에 먼지가 부착되기 어려워지므로, 흡입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82) 전체를 흡기구(71)에 근접하여 배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먼지 수용부(56)의 용적이 저하되지 않고, 집진량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필터 면적을 증대할 수 있으므로, 흡입 작업률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제1 필터(82)는, 흡기구(71)의 개구 방향에 대하여 45°이하의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으므로, 흡기구(71)로부터 케이스체(51)의 내부에 흡입된 흡기풍의 투영면이, 흡기구(71)의 개구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한 경우의
Figure pat00001
배 이상으로 되어, 필터 면적을 효율적으로 증대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필터(82)로의 먼지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경사면(86)을 구성하는 제1 필터 프레임부(81)를 케이스체(51)의 흡기구(71)측의 내면과 접촉시킴으로써, 흡기구(71)로부터 케이스체(51) 내에 유입된 흡기풍의 전체를 낭비 없이 제1 필터(82)의 상류면으로 유도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제1 필터(82)로부터 먼지를 불어 날릴 수 있으므로, 제1 필터(82)로의 먼지의 부착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경사면(86)(제1 필터 프레임부(81))의 제1 필터(82)의 하류측을 흡기구(71)의 형상의 투영 위치 A보다 하류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전동 송풍기(27)가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흡기풍에 의해 제1 필터(82)의 상류면으로부터 불어 날려진 먼지를, 제1 필터(82)의 하류측이며 제1 필터(82)가 위치하지 않는 제1 경사면(86) 상으로부터 폐색부(61a) 측의 위치에 유지해 둘 수 있어, 이 불어 날려진 먼지로 제1 필터(82)가 폐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필터(82)를 덮개체(53)측에 위치시켜 케이스체(5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덮개체(53)에 의해 먼지 배출구(95)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1 필터(82)를 먼지가 먼지 배출구(95)측으로 이동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덮개체(53)를 개방하는 동작만으로 제1 필터(82)가 회전하여 먼지 수용부(56) 내의 큰 먼지 D를 먼지 배출구(95)로부터 배출하여 먼지 수용부(56) 내의 큰 먼지 D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82)는, 외측 모서리부 전체가 흡기구(71)의 투영 위치 A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바꾸어 말하면, 제1 필터(82)는 흡기구(71)의 투영 위치 A의 면적 전체를 덮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기구(71)의 하류측을 제1 경사면(86)이 폐색되지 않고, 케이스체(51) 내의 풍로(57)에서의 압력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2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필터부(68)의 제1 필터 프레임부(81)에, 구획 리브(113, 113)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즉, 이들 구획 리브(113, 11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필터(82)의 흡기구(71)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흡기구(71)의 투영 위치 A의 양측부에 배치되어 있고, 풍로(57) 내에 투영 위치 A 이상의 폭 치수를 갖는 유로(114)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구획 리브(113, 113)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변이 대략 수평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구획 리브(113, 113)는, 제1 경사면(86)에 대하여,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서서히 돌출량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구획 리브(113, 113)는, 제1 필터(82)의 전단부의 양측부로부터 후단부의 양측부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청소시에, 전동 송풍기(27)를 구동시키면, 이 구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에 의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흡기구(71)로부터 케이스체(51) 내(먼지 수용부(56) 내)에 유입된다(화살표 W).
이 유입된 흡기풍은, 구획 리브(113, 113)를 따라 제1 필터(82)로 정류되고, 이 제1 필터(82)에 부착된 먼지를 확실히 박리하여 불어 날려, 제1 필터(82)의 막힘을 억제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필터(82)의 흡기구(71)와 대향하는 위치에 케이스체(51)의 내면측의 흡기구(71)의 형상의 투영 위치 A 이상의, 폭 치수를 갖는 유로(114)를 형성하는 구획 리브(113, 113)를 설치함으로써, 유로(114)를 통해 흡기풍을 제1 필터(82)로 확실히 유도하고, 제1 필터(82)에 부착된 먼지를 흡기풍에 의해 더 효과적으로 불어 날릴 수 있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3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제1 필터부(68)가, 덮개체(53)와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즉, 제1 필터부(68)는, 덮개체(53)의 상부를 폐색하고 있고, 이 덮개체(53)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덮개체(53)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청소가 종료된 후, 집진 컵(36)에 포집된 먼지를 폐기할 때에는, 작업자가 핸들(54)을 파지하여 집진 컵(36)을 휴지통 등의 폐기부 상으로 운반하여 조작 버튼(104)을 조작함으로써, 걸림 고정체(72, 72)가 피결합부(102, 102)로부터 벗어나, 덮개체(53) 및 필터부(69)의 전단부측이 회전축(53a)을 중심으로 하여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하여, 먼지 배출구(95)가 개방된다.
이 결과, 제1 필터부(68)의 상측의 먼지 수용부(56)에 저류되어 있었던 큰 먼지 D가, 자중에 의해 먼지 배출구(95)로부터 집진 컵(36)의 외부의 폐기부로 낙하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1 필터부(68)(제1 필터(82))를 덮개체(53)에 일체적으로 장착함으로써, 덮개체(53)를 개방함으로써, 집진 컵(36) 내에 수용된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제1 필터부(68)의 구성을,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필터부(68)의 구성에 적용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필터(82)의 전단부(하단부)측은, 흡기구(71)의 투영 위치 A의 하단부보다 외측(하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케이스 본체부(61)의 전방면부(65)에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부(61)의 폐색부(61a)는, 흡기풍을 통과시켜 먼지를 포집하는 여과 필터인 집진용 필터 기능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집진 컵(36)의 필터 면적을 더 증대할 수 있음과 함께, 흡입의 지속용의 제1 필터(82)와 역할을 분담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부(68)는, 회전 이외의 이동에 의해 먼지를 먼지 배출구(95)로부터 배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마찬가지로, 덮개체(53)는, 회전 이외의 이동에 의해 먼지 배출구(95)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이들 제1 필터부(68) 및 덮개체(53)는, 이동(회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다음에, 제4 실시 형태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 형태가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은, 케이스 본체부(61)의 상면부(66)의 하부이며 또한 측면부(67, 67) 사이에 연속되도록 설치한 폐색부(61a) 대신에, 제2 필터부(69)를 설치한 것이다.
케이스체(51)는, 흡입한 먼지의 대부분(주로 큰 먼지)을 실질적으로 수용하는 먼지 수용부(56) 및 흡기풍이 통과하는 한쪽 및 다른 쪽의 풍로(57, 58)를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부(61)를 갖고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부(61)의 내부에는, 제1 필터부(68)와 제2 필터부(69)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필터부(68)는, 후술하는 제2 필터부(69)에 대하여, 덮개체(53)측인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필터부(69)는, 강성을 갖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필터 프레임부(88)와, 이 제2 필터 프레임부(88)에 장착된 메쉬 형상의(다른 쪽의) 1차 필터로서의 여과 필터인 평면 형상의 제2 필터(89)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제2 필터부(69)과 제1 필터부(68) 사이에, 먼지 수용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필터 프레임부(88)는, 제2 필터(89)가 장착되는 제2 경사면(91)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제2 필터 프레임부(88)는, 외주 모서리가 케이스 본체부(61)의 내면에 간극 없이 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필터 프레임부(88)는, 제2 필터(89)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다른 쪽의 풍로(58)를 구성하는 제2 통기 개구(88a)를 복수 구비한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필터 프레임부(88)(제2 경사면(91))는, 제1 필터 프레임부(81)(제1 경사면(86))에 대하여, 최대 90°의 각도로 교차하여 배치되고, 이 제1 필터 프레임부(81)(제1 경사면(86))와 인접하고 있다. 따라서, 제2 필터 프레임부(88)는,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하방을 향해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필터 프레임부(88)의 전단부인 상단부는, 케이스 본체부(61)의 상면부(66)의 전방측 하부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이 제2 필터 프레임부(88)의 후단부측인 하단부측에는, 제1 필터 프레임부(81)의 후단부인 상단부가 기밀하게 접촉되어 있고, 이 제2 필터 프레임부(88)의 하단부는, 제1 필터 프레임부(81)의 상단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필터체 장착부(62)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2 필터 프레임부(88)는, 흡기구(71)의 형상의 투영 위치 A보다 외측(상측), 즉 이 투영 위치 A를 제외한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먼지 수용부(56)는, 전후 방향으로 긴 형상이며, 또한 하류측인 후방측으로부터 상류측인 전방측으로 상하 방향으로 확대 개방 형상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2 필터(89)는, 제2 통기 개구(88a)를 폐색하여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필터(89)는, 흡기구(71)의 형상의 투영 위치 A보다 외측, 즉 이 투영 위치 A를 제외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필터(89)는, 그 주요한 부분, 즉 50% 이상의 면적 부분이 투영 위치 A를 제외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나머지 부분이 투영 위치 A 내에 위치하여 있어도 된다.
필터체 장착부(62)에 설치한 필터체(52)는, 배기구(93) 전체를 폐색하도록 필터체 장착부(62)의 후방부에 장착 가능하다. 즉, 이 필터체(52)는, 제1, 제2 필터(82, 89)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풍로(57, 58)를 통해 흡기구(71)측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풍로(57)는, 흡기구(71)로부터 각 제1 통기 개구(84a, 85a)(제1 필터(82)) 및 필터체(52)(플리츠 필터(98))를 통해 배기구(93)로 흐르는 풍로이다.
다른 쪽의 풍로(58)는, 흡기구(71)로부터 제1 필터부(68)(제1 경사면(86))의 상류측을 경유하여 제2 통기 개구(88a)(제2 필터(89)) 및 필터체(52)(플리츠 필터(98))를 통해 배기구(93)로 흐르는 풍로이다.
다음에,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흡기풍은, 도 8의 화살표 W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기구(71)의 개구 방향을 따라 수평 형상으로 제1 필터부(68)로 분사된다.
이때, 제1 필터 프레임부(81)가 흡기구(71)의 개구 방향에 대하여 45°이하의 소정 각도로 교차하도록 경사져 있음으로써, 흡기풍은, 제1 필터부(68)(제1 필터(82))를 따라 이 제1 필터부(68)(제1 필터(82))의 표면을 흐르는 성분(벡터)의 쪽이, 제1 필터(82)와 직교하는 성분(벡터), 즉 제1 필터(82)를 통과하는 성분보다 많아진다.
이로 인해, 제1 필터(82)를 흡기풍이 통과하여 이 제1 필터(82)에 포집된 먼지는, 흡기풍의 힘에 의해 제1 필터(82)로부터 거의 박리되어 흡기구(7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불어 날려지고, 이 불어 날려진 먼지와 함께, 흡기풍이 제1 필터부(68)(제1 경사면(86))를 따라 정류되어 제2 필터부(69)측으로 흐른다.
또한, 흡기풍은, 제1 필터부(68)의 후단부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선회하고, 제2 필터부(69)의 제2 필터(89)를 통과한다. 이때, 먼지가 포집된다.
그리고, 흡기풍과 함께 흡입된 먼지의 대부분(먼지 뭉치 등의 큰 먼지 D)은, 제1 필터부(68)의 후단부로부터 제2 필터부(69)측에 저류되고, 제1 필터부(68)의 제1 필터(82)는 흡기풍에 의해 먼지가 박리되어 불어 날려지고, 막힘이 억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전동 송풍기(27)의 구동에 의한 흡기풍은, 제2 필터(89)가 시간 경과에 따라 막혔을 때이어도, 막힘이 억제된 상태로 유지되는 제1 필터(82)측으로 바이패스되므로, 전동 송풍기(27)의 흡입력이 지속한다.
즉, 제1 필터(82)는 주로 흡입력의 지속용의 필터로서 작용하고, 제2 필터(89)는 주로 먼지의 포집용의 필터로서 작용하게 된다.
제1 필터(82)를 통과한 일부의 흡기풍(한쪽의 풍로(57)측)과, 제2 필터(89)를 통과한 흡기풍(다른 쪽의 풍로(58)측)은, 각각 플리츠 필터(98)를 통과할 때에, 제1, 제2 필터(82, 89)에 의해 완전히 포집할 수 없었던 세진(미세 먼지)이 플리츠 필터(98)에서 표면 집진된다.
이 후, 흡기풍은, 배기구(93)로부터 집진 컵(36)의 하류측(외측)으로 배기되어, 도 8에 도시한 연통구(31) 및 인듀서(108)를 통해 전동 송풍기(27)의 흡입측으로 흡입되고, 이 전동 송풍기(27)를 냉각하면서 통과하여 배기풍으로 되고, 전동 송풍기 커버(107)의 커버 배기구(110)로부터 배기된 후, 전동 송풍기실(28) 및 코드 릴실로부터 본체 배기 구멍(49)을 통해 청소기 본체(13)(본체 케이스(25))의 외부로 배기된다.
청소가 종료되면, 작업자는 도 4에 도시한 설정 버튼(22)을 조작하여, 전동 송풍기(27)를 정지시킨다.
이때, 집진 컵(36) 내의 큰 먼지 D는, 흡기풍이 작용하지 않게 됨으로써 자중에 의해 제1 필터부(68)측으로 낙하되고, 이 제1 필터부(68)와 제2 필터부(69) 사이의 먼지 수용부(56)에 수용된 상태로 된다.
집진 컵(36) 내에 일정량 이상의 큰 먼지가 저류되었을 때에는, 작업자가 조작 버튼(104)을 조작함으로써, 걸림 고정체(72, 72)가 피결합부(102, 102)로부터 벗어나, 덮개체(53)의 전단부측이 회전축(53a)을 중심으로 하여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하여, 먼지 배출구(95)가 개방된다.
이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체(53)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었던 제1 필터부(68)는, 덮개체(53)가 하방으로 개방함으로써 하측으로부터의 지지를 잃고, 자중에 의해 회전축(85b)을 중심으로 하여 전단부측이 하방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제1 필터부(68)의 상측과 제2 필터부(69)의 하측 사이의 먼지 수용부(56)에 저류되어 있었던 큰 먼지 D가, 자중에 의해 먼지 배출구(95)로부터 집진 컵(36)의 외부의 폐기부로 낙하하여 배출된다.
이때, 제1, 제2 필터(82, 89) 및 필터체(52)의 플리츠 필터(98)도, 각각이 포집한 먼지를 클리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필터(82)의 배치에 의해, 흡기구(71)의 개구 방향을 따라 케이스체(51) 내에 유입된 흡기풍의 제1 필터(82)의 상류면을 흐르는 성분이, 이 제1 필터(82)에 직교하는 성분(제1 필터(82)를 통과하는 성분)보다 많아져, 흡기풍이 급격히 제1 필터(82)의 상류면을 따라 흘러, 이 제1 필터(82)에 부착된 먼지를 불어 날린다.
이로 인해, 제1 필터(82)에 먼지가 부착되기 어려워져, 제2 필터(89)(다른 쪽의 풍로(58))측이 가령 막힌 경우이어도 한쪽의 풍로(57)측으로 흡기풍이 바이패스 가능해지므로, 흡입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경사면(86)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제2 경사면(91)에 제2 필터(89)를 배치함으로써, 제1 필터(82)에 의해 이 제1 필터(82)를 따라 일방향의 흐름에 정류한 흡기풍과 함께, 이 흡기풍에 포함되는 먼지 및 제1 필터(82)로부터 불어 날린 먼지가 제2 필터(89)측에 차례로 부딪혀, 이 제2 필터(89)측에 먼지를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필터(82) 전체를 흡기구(71)에 근접하여 배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먼지 수용부(56)의 용적이 저하되지 않고, 집진량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필터(82)와 제2 필터(89)에 의해 필터 면적을 증대할 수 있으므로, 흡입 작업률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89) 전체를, 투영 위치 A를 제외한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흡기구(71)로부터 케이스체(51) 내에 유입된 흡기풍이 제2 필터(89)에 직접 분사되는 일이 없어, 제2 필터(89)가 조기에 막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경사면(86)을 구성하는 제1 필터 프레임부(81)와 제2 경사면(91)을 구성하는 제2 필터 프레임부(88)를 최대 90°의 각도로 교차하여 배치함으로써, 제1 필터(82)에 부착되지 않고 불어 날려진 먼지가, 제2 필터(89)에 최대 90°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충돌하여 이 제2 필터(89)에 확실히 포착되기 때문에, 케이스체(51)(먼지 수용부(56)) 내에서 먼지가 흩날리는 일이 없어, 보다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게다가, 제2 필터(89)는, 먼지 배출구(95)를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 면 방향이 하방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덮개체(53)를 개방하여 제1 필터(82)가 회전하였을 때에, 제2 필터(89)와 제1 필터(82) 사이에 구획되는 먼지 수용부(56) 내의 큰 먼지 D를, 먼지 배출구(95)로부터 용이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82)는, 외측 모서리부 전체가 흡기구(71)의 투영 위치 A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바꾸어 말하면, 제1 필터(82)는 흡기구(71)의 투영 위치 A의 면적 전체를 덮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기구(71)의 하류측을 제1 경사면(86)이 폐색하지 않고, 케이스체(51) 내의 풍로(57, 58)에서의 압력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제5 실시 형태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5 실시 형태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필터부(69)(제2 필터(89))를 제1 필터부(68)(제1 필터(82))와 일체적으로 케이스체(51)의 케이스 본체부(6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즉, 제2 필터부(69)는, 제2 필터 프레임부(88)의 후단부(하단부)가 제1 필터 프레임부(81)의 후방측 제1 필터 프레임부(85)의 후단부(상단부)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필터부(69)의 제2 필터 프레임부(88)의 하단부는,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회전축(88b)으로 되어 있고, 토션 스프링 등의 도시하지 않은 필터 가압 수단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 필터부(69) 및 제1 필터부(68)는, 서로의 교차 각도를 소정 각도로 유지한 채의 상태에서, 하측 방향, 즉 제2 필터(89)의 상류측을 먼지 배출구(95)로 대향시키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53)에 의해 먼지 배출구(95)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덮개체(53)가 제1 필터부(68)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제2 필터부(69)도 이 제1 필터부(68)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교차한 상태인 채로 간접적으로 지지되어 회전이 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필터부(69)는, 먼지 배출구(95)측으로 회전 가능한 위치, 여기에서는 제2 필터부(69)의 회전 가능한 범위 내에서 먼지 배출구(95)측과 반대측의 단부측, 즉 회전 개시 위치측에서 덮개체(53)에 의해 가압에 저항하여 회전이 저지되어 있다.
전기 청소기(11)의 운전에 의해 먼지 수용부(56)에 큰 먼지 D가 일정량 이상 저류되면, 작업자는 본체 케이스(25)의 본체 덮개(40)를 개방하여 집진 컵(36)을 본체 집진실(35)로부터 제거하고, 핸들(54)을 파지하여 집진 컵(36)을 휴지통 등의 폐기부 상으로 운반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조작 버튼(104)을 조작함으로써, 걸림 고정체(72, 72)가 피결합부(102, 102)로부터 벗어나, 도 10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53)의 전단부측이 회전축(53a)을 중심으로 하여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하여, 먼지 배출구(95)가 개방된다.
이때, 덮개체(53)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었던 제1 필터부(68) 및 제2 필터부(69)는, 덮개체(53)가 하방으로 개방됨으로써 하측으로부터의 지지를 잃고, 필터 가압 수단의 가압에 의해 먼지 배출구(95)측인 하측으로 회전하여, 먼지 수용부(56)에 저류되어 있었던 큰 먼지 D가, 제2 필터부(69)에 의해 먼지 배출구(95)로부터 집진 컵(36)의 외부의 폐기부로 밀어내어지도록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필터(89)(제2 필터부(69))를 케이스체(5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덮개체(53)에 의해 먼지 배출구(95)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2 필터(89)가 상류측을 이 먼지 배출구(95)에 대향시키도록 회전함으로써, 먼지를 폐기할 때에, 덮개체(53)를 개방하면 제2 필터(89)가 먼지 수용부(56) 내에 저류된 큰 먼지 D를 먼지 배출구(95)로부터 밀어내기 때문에, 먼지를 더 효과적으로 폐기할 수 있다.
게다가, 제2 필터(89)(제2 필터부(69))를 먼지 배출구(95)측으로 가압하고, 또한 덮개체(53)에 의해 먼지 배출구(95)를 폐색한 상태에서는 이 덮개체(53)가 제2 필터(89)(제2 필터부(69))의 회전을, 이 제2 필터부(69)가 먼지 배출구(95)측으로 회전 가능한 위치에서 가압에 저항하여 저지하고 있음으로써, 덮개체(53)를 개방하면 제2 필터(89)(제2 필터부(69))가 가압에 의해 급격히 먼지 배출구(95)측으로 회전하므로, 먼지 수용부(56) 내에 저류된 큰 먼지 D를, 먼지 배출구(95)로부터 더 효과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필터부(68)와 제2 필터부(69)를 각각 별개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덮개체(53)에 의해 먼지 배출구(95)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2 필터부(69)를 지지하여 이 제2 필터부(69)의 회전을 먼지 배출구(95)측으로 회전 가능한 위치에서 저지하는 지지 수단을 별개로 설치함으로써,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부(69)는, 예를 들어 자중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코드 릴실, 전원 코드 및 코드 릴 등은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즉, 전기 청소기(11)는, 이차 전지 등의 전지에 의해 전동 송풍기(27) 등에 급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리고, 전기 청소기(11)로서는,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19)를 청소기 본체(13)의 하부에 접속한 업라이트형, 혹은 핸디형 등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청소기 본체(13) 내의 세부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1: 전기 청소기
13: 청소기 본체
27: 전동 송풍기
36: 집진 장치로서의 집진 컵
51: 케이스체
53: 덮개체
61: 케이스 본체부
61a: 폐색부
68: 제1 필터부
69: 제2 필터부
71: 흡기구
82: 제1 필터
86: 제1 경사면
89: 제2 필터
91: 제2 경사면
93: 배기구
95: 먼지 배출구
113: 구획 리브

Claims (11)

  1. 집진 장치로서,
    수평 성분을 갖는 유로를 형성하는 흡기구, 및 이 흡기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배기구를 구비한 케이스체와,
    이 케이스체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흡기구의 개구 방향에 대하여 최대 45°의 각도로 경사진 제1 경사면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의 형상의 투영 위치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제1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케이스체 내에 유입된 흡기풍을, 상기 제1 필터의 상류면으로 유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집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제2 경사면에 배치된 제2 필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집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케이스체의 흡기구측의 내면과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집진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제1 필터의 하류측이 흡기구의 형상의 투영 위치보다 하류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집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필터의 흡기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케이스체의 내면측의 상기 흡기구의 형상의 투영 위치 이상의 폭 치수를 갖는 유로를 형성하는 구획 리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집진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최대 90°의 각도로 교차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집진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는 먼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먼지 배출구를 하부에 구비함과 함께,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필터는 상기 덮개체측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덮개체에 의해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먼지를 상기 먼지 배출구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집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는 덮개체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집진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는 상기 케이스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덮개체에 의해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류측을 이 먼지 배출구에 대향시키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집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는 상기 먼지 배출구측으로 가압되고, 또한 상기 덮개체에 의해 상기 먼지 배출구를 폐색한 상태에서는 상기 먼지 배출구측으로 회전 가능한 위치에서 가압에 저항하여 회전이 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집진 장치.
  11. 전기 청소기로서,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배기구가 연통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에 배치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집진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KR1020100059900A 2009-06-25 2010-06-24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KR101282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50907A JP2011004933A (ja) 2009-06-25 2009-06-25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JP-P-2009-150907 2009-06-25
JP2009155696A JP2011010742A (ja) 2009-06-30 2009-06-30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JP-P-2009-155696 2009-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837A true KR20100138837A (ko) 2010-12-31
KR101282536B1 KR101282536B1 (ko) 2013-07-04

Family

ID=4338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900A KR101282536B1 (ko) 2009-06-25 2010-06-24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82536B1 (ko)
CN (1) CN101933787B (ko)
RU (1) RU2433778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7017B2 (ja) * 2019-07-26 2022-10-19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11778909A (zh) * 2020-08-07 2020-10-16 尹成刚 手持式小型街檐扫路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7510A (en) * 1989-04-21 1990-08-14 English Philip C Vacuum box for collecting small particles
US6183527B1 (en) * 1998-02-02 2001-02-06 Black & Decker Inc. Dust collector with work surface
JP4208742B2 (ja) 2004-02-27 2009-01-14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JP2005323730A (ja) * 2004-05-13 2005-11-24 Toshiba Corp 掃除機
JP2006181154A (ja) 2004-12-28 2006-07-13 Toshiba Corp 掃除機
JP2007325854A (ja) 2006-06-09 2007-12-20 Toshiba Corp 電気掃除機
JP4942573B2 (ja) * 2007-07-17 2012-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機器及び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536B1 (ko) 2013-07-04
RU2433778C1 (ru) 2011-11-20
CN101933787A (zh) 2011-01-05
CN101933787B (zh)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2414B2 (en) Dust collecting unit for use in cleaner
KR20210003543A (ko)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KR20070008445A (ko) 전기 청소기
JP2007229470A (ja) 塵埃分離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真空掃除機
JP2006006453A (ja) 電気掃除機
JP4901569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KR101282536B1 (ko)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KR100414808B1 (ko) 전기청소기
JP6430112B2 (ja) 電気掃除機
JP2008011985A (ja) 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JP4775417B2 (ja) 電気掃除機
JP5086859B2 (ja) 電気掃除機
JP2009201568A (ja) 電気掃除機
KR101372727B1 (ko) 전기 청소기
JP5388717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7313057A (ja) 電気掃除機
JP4738063B2 (ja) 電気掃除機
JP2008289661A (ja) 電気掃除機
JP2015089451A (ja) 電気掃除機
JP2011010742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8142255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4251647B2 (ja) 電気掃除機
JP2006006454A (ja) 電気掃除機
JP2011004933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5258421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