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445A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445A
KR20070008445A KR1020060065421A KR20060065421A KR20070008445A KR 20070008445 A KR20070008445 A KR 20070008445A KR 1020060065421 A KR1020060065421 A KR 1020060065421A KR 20060065421 A KR20060065421 A KR 20060065421A KR 20070008445 A KR20070008445 A KR 20070008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filter
vacuum cleaner
discharge por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2377B1 (ko
Inventor
요시히로 츠치야
마사토시 다나카
아츠시 모리시타
요우 도리자와
야스시 다카이
마이 마츠노
아이 다나카
미츠루 와타나베
아키코 다이라쿠
리츠오 다케모토
유키오 마치다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04009A external-priority patent/JP40074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46818A external-priority patent/JP39904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46821A external-priority patent/JP4011079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8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청소기 본체와, 진애를 빨아들이는 진애 흡입구부터 전동 송풍기의 흡입 개구까지의 흡입풍로 도중에 진애를 흡착하도록 청소기 본체 내에 설치된 필터와, 필터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필터 제진 장치와, 필터로부터 제진된 진애를 수용하고, 진애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진애 수용부와, 진애 수용부의 진애를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시키도록 하는 배출 장치를 구비하고, 필터 제진 장치는 필터를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와, 회전하고 있는 필터에 접촉하는 제거 부재를 포함하며, 배출 장치는 진애를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배출 부재와, 이 배출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가지며, 배출 부재는 배출구를 폐색할 수 있는 것인 전기 청소기이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CLEA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예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청소기 본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3은 덮개 및 집진 유닛을 제거한 청소기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청소기 본체의 종단면 사시도.
도 5는 덮개 및 집진 유닛을 제거한 청소기 본체의 종단면도.
도 6은 집진 유닛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집진 유닛의 횡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하는 집진 유닛의 종단면 사시도.
도 9는 집진부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수납 케이스의 전측 벽부와 블레이드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수납 케이스와 진애 분리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플리츠 필터의 뼈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플리츠 필터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플리츠 필터 구조의 플리츠 뼈대와, 블레이드 구조가 중첩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수납 케이스와 블레이드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진애 수용부와 블레이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7은 전기 청소기의 제어 관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전기 청소기의 단면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하는 전기 청소기에서의 집진 유닛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전기 청소기에서의 집진 유닛의 횡단면도.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전기 청소기에서의 집진 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22는 진애 분리 유닛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은 수납 케이스의 전측 벽부와 진애 분리부와 덕트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
도 24는 집진부 유닛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집진부 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26은 덮개를 제거한 집진부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7은 집진부 유닛의 덮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8은 도 24의 집진부 유닛의 평면도.
도 29는 수납 케이스와 소제 부재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0은 플리츠 필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1은 도 30에 도시하는 플리츠 필터 구조의 원통부의 형상을 도시하는 설 명도.
도 32는 소제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소제체의 사시도.
도 34는 소제 부재에 의해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5는 진애 분리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청소기 11 : 청소기 본체
15 : 흡입구체 24 : 전동 송풍기
50 : 집진 유닛 52 : 진애 분리부
70 : 집진부 80 : 필터부
86 : 진애 수용부 M : 구동 모터
100 : 플리츠 필터 구조
300 : 진애 배출 장치(블레이드 구조)
본 발명은 예컨대, 청소기 본체 내에 설치한 흡입풍로 도중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의 제진 및 진애의 회수를 유효하게 행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집진 용기를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전기 청소기가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4-358135호 공보 참조).
이러한 전기 청소기는 집진 용기실을 내부에 형성한 청소기 본체와, 집진 용기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 용기와, 이 집진 용기실 하류측에 설치된 전동 송풍기와, 집진 용기의 후측부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2차 필터인 플리츠 필터와, 이 플리츠 필터에 부착된 진애를 흔들어 떨어뜨리는 제진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플리츠 필터의 플리츠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진 수단은 플리츠 필터에 대향하는 위치에 링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고, 이 링에 플리츠 필터에 접촉하는 돌기를 설치하며, 코드릴이 전원 코드를 권취해 갈 때에 링을 회전시키고, 이 링이 회전함으로써 돌기가 플리츠 필터의 플리츠의 산부(山部)를 타 넘으면서 이동해 가며, 이에 따라 플리츠 필터에 진동을 부여하여 플리츠 필터에 부착된 진애를 떨어뜨리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는 링의 돌기가 플리츠 필터의 상부 위치를 이동하고 있을 때에 그 플리츠 필터의 상부로부터 떨어진 진애는 플리츠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아래쪽으로 낙하하지만, 플리츠의 하부에 재차 그 진애가 부착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돌기를 플리츠 필터의 하측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플리츠 필터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진애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플리츠 필터로부터 낙하하는 진애를 수용하는 진애 수용부와, 이 진애 수용부에 저장된 진애를 배출구로 배출하는 블레이드를 설치한 전기 청소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전기 청소기에서는, 돌기로 플리츠 필터에 진동을 부여하여 진애를 낙하 시키고, 블레이드를 진애 수용부상으로 이동시켜 진애 수용부상에 저장된 진애를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는 전동 송풍기가 구동되면 , 배출구로 배출된 진애가 그 배출구로부터 흡인되어 재차 플리츠 필터에 부착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로부터 떨어진 진애를 배출구로부터 유효하게 배출하고, 이 배출된 진애가 배출구로부터 흡인되어 재차 필터에 부착되어 버리지 않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와, 진애를 빨아들이는 진애 흡입구부터 전동 송풍기의 흡입 개구까지의 흡입풍로 도중에 진애를 흡착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설치된 필터와, 필터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필터 제진 장치와, 필터로부터 제진된 진애를 수용하고 진애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진애 수용부와, 이 진애 수용부의 진애를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시키도록 하는 진애 배출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이 배출 장치는 진애를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배출 부재를 갖는다. 이 배출 부재는 전기 청소기가 사용되는 동안에 배출구를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출 부재가 배출구의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필터의 회전이 정지되고, 배출구는 배출 부재에 의해 폐색된다. 이 때문에 전동 송풍기를 구동하였을 때에 배출구로 배출된 진애가 그 배출구로부터 흡인되어 재차 필터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청소기(10)를 도시한다.
이 전기 청소기(10)는 청소기 본체(11)와, 이 청소기 본체(11)의 접속구(11A)에 일단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타단에는 손잡이 조작관(13)이 설치되어 있는 집진 호스(12)와, 손잡이 조작관(13)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연장관(14)과, 이 연장관(14)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흡입구체(15)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 조작관(13)에는 조작부(13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부(13A)에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13a)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구체(15)에는, 그 바닥면에 진애를 흡인하는 도시하지 않은 흡입 개구 또는 진애 흡입구를 형성한 흡입실(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이 흡입실은 연장관(14) 및 집진 호스(12)를 통해 청소기 본체(11) 내에 설치한 집진 유닛(50)(도 6 참조)의 흡입 접속구(57a)에 연통되고 있다.
청소기 본체(11)는 본체 케이스(20)와, 본체 케이스(20)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 유닛(50)(도 6참조)과, 본체 케이스(2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체(21)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20)의 전측에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 유닛(5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 유닛실(장착부)(22)이 형성되고, 이 집진 유닛실(22)의 상부 개구(23)(도 3 참조)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체(21)에 의해 밀폐되고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20)의 후측에는 전동 송풍기(2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전동 송풍기(24)의 전측(도 2에서 좌측)에 전면 개구(25B)를 갖는 원통형의 접속 풍로부(25)가 형성되며, 이 접속 풍로부(25) 내에는 격자 부재(25K)가 배치되어 있고, 전면 개구(25B)에는 시일 부재(27)가 장착되어 있다. 접속 풍로부(25)의 후측 벽(25A)에는 접속 개구(25B)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접속 개구(25B)와 전동 송풍기(24)의 흡입 개구(24A)가 연통되고 있다.
집진 유닛실(22)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달 수단, 예컨대 구동 기어(110)와, 이 구동 기어(110)를 회전시키는 구동체, 예컨대 구동 모터(M)가 설치되어 있다.
집진 유닛(50)은, 청소기 본체(11)의 접속구(11A)와 전동 송풍기(24)의 흡입 개구(24A)까지의 흡입풍로 도중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청소기 본체(11) 내로부터 추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집진 유닛(5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애 분리부(52)와, 이 진애 분리부(5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집진부(70)와, 진애 분리부(52)와 일체로 되어 있는 필터부(80)로 구성되어 있다.
진애 분리부(52)는 원호형의 외주벽(53)을 갖는 원통형의 분리실부(54)와, 이 분리실부(54) 내에 분리실부(54)의 축 선을 따라 설치된 대략 원추 형상의 진애 분리 수단(55)과, 분리실부(54)의 우측 벽(54A)(도 7에서)에 설치된 흡인 풍로부(56)와, 흡입 접속구(57a)(도 6 참조)로부터 분리실부(54)로 공기를 안내하는 안 내 풍로관(57)을 구비하고 있다. 흡입 접속구(57a)는 집진 유닛(50)이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에 장착되었을 때에 청소기 본체(11)의 접속구(11A)에 연통되어 있다.
분리실부(54)의 외주벽(53)의 상부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로부터 분리된 진애를 도입하는 도입 개구(53A)가 형성되고, 이 도입 개구(53A)에는 시일 부재(53S)(도 6 참조)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분리실부(54)의 우측 벽(54A)(도 7에 있어서)에는 안내 풍로관(57)이 접속되어 있는 접속 개구(54Aa)(도 8 참조)와, 흡인 풍로부(56)가 접속되어 있는 흡인 개구(54Ab)(도 7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리실부(54)의 좌측 벽(54B)(도 7에서)에는 개구(54Ba)가 형성되고, 이 개구(54Ba)는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58)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덮개(58)에는 진애 분리 수단(55)이 부착되어 있고, 이 덮개(58)를 제거함으로써 진애 분리 수단(55)이 분리실부(54) 내로부터 추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진애 분리 수단(55)은,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의 링 프레임(55a 내지 55d)과, 이 링 프레임(55a 내지 55d)을 연결한 복수의 연결 프레임(55e)과, 이들 프레임(55a 내지 55d) 주위에 접착된 네트 필터(NF1)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58)가 분리실부(54)의 개구(54Ba)에 부착되어 있을 때에는 진애 분리 수단(55)의 링 프레임(55a)이 분리실부(54)의 흡인 개구(54Ab)에 접합되고, 흡인 풍로부(56)가 흡인 개구(54Ab) 및 네트 필터(NF1)를 통해 분리실부(54)에 연통되고 있다.
흡인 풍로부(56)는 후술하는 필터부(80)의 수납 케이스(81) 내에 연통되고 있는 동시에 후술하는 집진 케이스(70K) 내로 연통되고 있다. 또한, 흡인 풍로부(56)에는 접속 개구(56A)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풍로관(57)은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분리실부(54)의 접속 개구(54Aa)로부터 분리실부(54) 내로 도입되는 공기를 도 8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집진부(70)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역 L형으로 형성된 집진 케이스(70K)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집진 케이스(70K)는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연통로(71)(도 7 참조)가 형성된 연통 케이스부(72)와, 이 연통 케이스부(72)의 우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진애를 집진하는 집진실(73)이 형성된 집진 케이스부(74)를 구비하고 있다.
연통 케이스부(72)의 하면에는 개구(72A)가 형성되고, 이 개구(72A)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애 분리 케이스(52)의 도입 개구(53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집진 케이스부(74)의 좌측 벽부(74A)(도 9에 있어서)에는 접속 개구(75)가 형성되고, 이 접속 개구(75)에는 시일 부재(75S)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접속 개구(75)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인 풍로부(56)의 접속 개구(56A)에 접속되어 있다. 집진 케이스부(74) 내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개구(75)에 대향하는 위치에 필터(F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집진 케이스부(74)의 우측면은 개구되고, 이 개구(76)에는 덮개 판(77)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 판(77)의 하부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 연장된 아암부(77A)가 형성되고, 이 아암부(77A)에 축부(77J)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축부(77J)가 집진 케이스부(74)의 바닥부에 설치한 베어링부(78)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 축부(77J)를 중심으로 하여 덮개 판(77)이 회전 운동함으로써, 집진 케이스부(74)의 개구(76)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79는 손잡이다.
필터부(80)는 후면(도 8에서 좌측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수납 케이스(81)와, 이 수납 케이스(81) 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플리츠 필터 구조(100)와, 이 플리츠 필터 구조(100)와 일체로 회전해 가는 블레이드 구조(300)를 구비하고 있다.
플리츠 필터 구조(100)에 의해 모인 진애를 제거하는 필터 제진 장치와, 이 필터 제진 장치로부터 제거된 진애를 이동시키는 진애 배출 장치가 설치되고, 이것들은 후술된다.
수납 케이스(81)의 전측 벽부(84)에는 진애 분리부(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81)의 전측 벽부(84)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개구(84A)가 형성되고, 이 접속 개구(84A)가 흡인 풍로부(56)(도 7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접속 개구(84A)를 통해 수납 케이스(81) 내와 흡인 풍로부(56)가 연통되고 있다.
필터 제진 장치는 제거 부재를 구비하고, 이 제거 부재는, 예컨대 전측 벽부(84)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접속 개구(84A)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설치된 한 쌍의 돌기(88)로 이루어져 있다. 이 한 쌍의 돌기(88)는 후술하는 플리츠 필터(104)의 산부(104A)에 접촉하는 동시에,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회전 중심의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수납 케이스(81)는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리츠 필터 구조(100)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통형의 유지부(85)와, 플리츠 필터(104)로부터 떨어진 진애를 수용하는 원환형 진애 수용부(86)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진애 수용부(86)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애를 배출하는 배출구(86A)가 전측 벽부(84)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86)는 연통로(59)를 통해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 내로 연통되고 있다. ,
플리츠 필터 구조(10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 프레임체(101)와, 이 프레임체(101) 내의 중심 위치에 설치된 축부(101A)와, 이 축부(101A)로부터 방사형으로 플리츠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플리츠 뼈대(102, 103)와, 이 플리츠 뼈대(102, 103)에 붙어 형성된 필터인 플리츠 필터(104)를 구비하고 있다. 104a는 상류측에 대한 플리츠 필터(104)의 산부이다.
진애 배출 장치는 플리츠 필터 구조(100)와 일체로 회전하는 블레이드 구조(300)로 이루어진다. 블레이드 구조(300)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축부(101A)에 끼워맞춰지는 축부(301)와, 이 축부(301)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3개의 아암(302)과, 이 아암(302)의 선단부에 설치된 블레이드(303)를 구비하고 있다. 아암(302)은 두 갈래로 분리된 아암 부재(302A, 302A)로 구성되어 있다.
블레이드 구조(300)의 축부(301)를 프레임체(101)의 축부(101A)에 끼워맞춤으로써,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 구조(300)는 플리츠 필터 구 조(100)에 중합되어 플리츠 필터 구조(10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블레이드(303)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81)의 전측 벽부(84)상을 미끄럼 접촉 이동해 가는 평판부(303A)와, 이 평판부(303A)의 선단에 형성되는 동시에 수납 케이스(81)의 진애 수용부(86)의 내벽면을 미끄럼 접촉 이동해 가는 원호형의 미끄럼 접촉부(303B)와, 평판부(303A)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진애 수용부(86)에 저장된 진애를 배출구(86A)로 소제(掃除)해 가는 소제부 또는 배출부(303C)를 구비하고 있다.
블레이드(303)는, 플리츠 필터 구조(100)가 회전해 감으로써,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81)의 진애 수용부(86)의 상면을 미끄럼 접촉 이동해 가고, 이에 따라 그 상면에 저장된 진애를 배출구(86A)로 소제해 간다. 배출구(86A)로 소제된 진애는 연통로(59)(도 11 참조)를 통해 진애 분리부(62)의 분리실부(54) 내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폐쇄 기구가 설치되고, 이 폐쇄 기구는 일실시예에서는 플리츠 필터 구조(100)가 회전하여 블레이드(303)가 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에 오면 블레이드(303)의 평판부(303A)와 미끄럼 접촉부(303B)가 배출구(86A)를 폐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블레이드(303)가 배출구(86A)를 폐색한다.
블레이드(303)가 배출구(86A)를 폐색하는 위치에 오면, 마이크로 스위치(S1)(도 17 참조)가 이를 검지하고, 모터(M)의 구동이 정지되어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S1)는 수납 케이스(81) 내에 부착되어 있다.
프레임체(101)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81)의 통부(85) 내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통형의 미끄럼 이동부(108)와, 이 미끄럼 이동부(108)로부터 좌측(도 12에서)에 형성된 통형 기어부(107A)를 갖고 있다. 기어부(107A)의 외주면에는 기어(제2 전달 수단)(107)가 형성되고, 이 기어부(107A)는 수납 케이스(81)의 통부(85)로부터 밖으로 돌출하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81)로부터 기어(107)가 노출된다.
기어(107)는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의 구동 기어(110)에 끼워맞춰져 있고, 모터(M)의 구동에 의해 플리츠 필터 구조(100)가 수납 케이스(81) 내에서 회전해 가도록 되어 있다.
구동 기어(11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107)의 회전 중심 위치[플리츠 필터(104)의 회전 축선]보다 하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기어(107)의 회전 중심 위치에 대하여 집진 유닛(50)의 장착 방향과 반대측에 구동 기어(1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에 대한 집진 유닛(50)의 착탈 방향은 상하 방향이며, 기어(107)의 회전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집진 유닛(50)을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에 장착하면 기어(107)가 구동 기어(110)에 맞물리고, 그 집진 유닛실(22)로부터 집진 유닛(50)을 들어 올리면 기어(107)는 구동 기어(110)로부터 떨어져 집진 유닛(50)은 집진 유닛실(22)로부터 간단히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집진 유닛(50)을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에 장착하면 청소기 본체(11)의 접속 풍로부(25)의 전면 개구(25B)에 시일 부재(27)를 통해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기어부(107A)의 단부면이 접합되고, 접속 풍로부(25) 내와 집진 유닛(50)의 수납 케이스(81) 내가 연통된다.
도 17은 이 전기 청소기의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에서, 200은 조작부(13A)의 조작 스위치(13a)(도 1 참조)의 조작이나 마이크로 스위치(S1)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전동 송풍기(24)나 모터(M)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이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기 청소기의 작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 유닛(50)을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에 장착하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 호스(12)를 청소기 본체(11)의 접속구(11A)에 접속시키는 동시에, 연장관(14)을 통해 손잡이 조작관(13)에 흡입구체(15)를 접속시킨다.
도시하지 않은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시킨다. 이 때, 마이크로 스위치(S1)가 블레이드 구조(300)의 블레이드(303)를 검지하지 않을 때, 즉 블레이드(303)가 진애 수용부(86)의 배출구(86A)를 막지 않을 때, 모터(M)가 구동되어 필터부(80)의 플리츠 필터 구조(100)가 회전해 간다.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회전과 함께 블레이드 구조(300)의 블레이드(303)가 진애 수용부(86)상을 미끄럼 접촉 이동해 가고, 이 블레이드(303)가 진애 수용부(86)의 배출구(86A)를 막는 위치에 오면 마이크로 스위치(S1)가 블레이드(303)를 검지하고, 이 검지에 의해 제어 장치(200)가 모터(M)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 블레이드(303)가 미끄럼 접촉 이동할 때, 진애 수용부(86)에 저장된 진애 는 배출구(86A)로 소제되고, 이 배출구(86A)로부터 연통로(59)를 통해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 내로 배출된다.
모터(M)의 구동중, 즉 블레이드(303)가 배출구(86A)를 막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 손잡이 조작관(13)의 조작부(13A)의 스위치(13a)를 조작하더라도 전동 송풍기(24)는 구동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로 배출된 진애가 배출구(86A)로부터 흡인되어 재차 플리츠 필터(104)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집진 유닛(50)의 마이크로 스위치(S1)가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블레이드(303)를 검지하고 있을 때, 즉 블레이드(303)가 진애 수용부(86)의 배출구(86A)를 막고 있을 때, 손잡이 조작관(13)의 조작부(13A)의 스위치(13a)가 조작되면 전동 송풍기(24)가 구동된다.
이 전동 송풍기(24)의 구동에 의해 전동 송풍기(24)의 흡입 개구(24A)로부터 공기가 빨아 들여지고, 접속 풍로부(25)를 통해 집진 유닛(50)의 수납 케이스(81) 내에 부압이 작용하며, 또한 흡인 풍로부(56)를 통해 집진 케이스(70K) 내나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에 작용한다. 그리고, 그 부압이 안내 풍로관(57)을 통해 집진 호스(12), 연장관(14) 및 흡입구체(15)에 작용하고, 흡입구체(15)로부터 공기와 함께 진애가 흡인되어 간다.
이 흡인된 진애 및 공기가 연장관(14) 및 집진 호스(12)를 통해 집진 유닛(50)의 흡입 접속구(57a)로 흡인되어 간다. 이 흡입 접속구(57a)에 흡인된 진애 및 공기는 안내 풍로관(57)을 통과하여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 내로 도입 되고, 이 분리실부(54) 내에서는 도 8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해 간다.
그리고, 이 회전에 의해 진애와 공기의 일부가 분리되고, 분리된 공기가 도 7에 도시하는 진애 분리 수단(55)의 네트 필터(NF1)를 통과하며, 또한 흡인 풍로부(56)를 통과하여 필터부(80)의 수납 케이스(81) 내로 흡인되어 간다.
한편, 분리되지 않은 진애 및 공기는 그 회전에 의해 분리실부(54)의 도입 개구(53A)로부터 집진부(70)의 연통 케이스부(72) 내로 도입된다. 이 도입된 진애 및 공기는 연통 케이스부(72)의 연통로(71)를 통과하여 집진실(73)로 흡인되어 가고, 진애는 집진실(73)로 집진되어 간다.
집진실(73)에 흡인된 공기는 필터(F1) 및 접속 개구(75)를 통과하여 흡인 풍로부(56)로 흡인되고, 또한 필터부(80)의 수납 케이스(81) 내로 흡인되어 간다.
수납 케이스(81) 내에 흡인된 공기는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플리츠 필터(104)를 통과하여 청소기 본체(11)의 접속 풍로부(25)로 흡인되고, 또한 전동 송풍기(24)의 흡입 개구(24A)로 흡인되어 간다.
그런데, 블레이드 구조(300)의 블레이드(303)는 수납 케이스(81)의 진애 수용부(86)의 배출구(86A)를 막고 있기 때문에 이 배출구(86A)로부터 연통로(59)를 통해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 내의 진애를 흡인하고, 이 진애를 재차 플리츠 필터(104)에 부착시켜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전동 송풍기(24)의 흡입 개구(24A)로 흡인된 공기는 전동 송풍기(24) 내를 통과하여 도 2에 도시하는 청소기 본체(11)의 배기구(20H)로부터 배기되어 간다.
청소가 종료되면, 조작부(13A)의 조작 스위치(13a)를 조작하여 전동 송풍 기(24)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 전동 송풍기(24)의 구동이 정지되면 도 17의 제어 장치(200)가 모터(M)를 구동시킨다. 모터(M)의 구동에 의해 구동 기어(110)가 회전하여 플리츠 필터 구조(100)가 회전해 간다.
이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회전에 의해 수납 케이스(81)의 전측 벽부(84)의 돌기(88)가 플리츠 필터(104)의 산부에 맞닿아 그 회전과 함께 산부를 타넘어 간다. 돌기(88)가 산부를 타넘을 때마다 플리츠 필터(104)에 진동이 부여되어 가고, 플리츠 필터(104)에 부착된 진애가 흔들려 떨어져 간다. 이 진애는 수납 케이스(81)의 진애 수용부(86)에 저장되어 간다.
돌기(88)는,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회전 중심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하측 부분의 플리츠 필터(104)에 큰 진동이 부여된다. 이 때문에 그 하측 부분의 플리츠 필터(104)로부터 진애가 흔들려 떨어져 그대로 진애 수용부(86)로 떨어지고, 이 낙하 도중에 재차 플리츠 필터(104)에 부착되어 버리지 않으며, 이 때문에 효율적으로 진애를 떨어뜨릴 수 있다.
한편, 플리츠 필터 구조(100)와 함께 블레이드 구조(300)가 회전해 가고, 블레이드 구조(300)의 블레이드(303)가 수납 케이스(81)의 진애 수용부(86)의 상면을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끄럼 접촉 이동해 간다. 이 블레이드(303)의 미끄럼 접촉 이동에 의해 진애 수용부(86)에 저장된 진애가 진애 수용부(86)의 둘레면상을 따라 이동하여 진애 수용부(86)의 배출구(86A)로 소제되어 간다. 배출구(86A)로 소제된 진애는 연통로(59)를 통해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 내로 배출된다.
플리츠 필터 구조(100)가 예컨대 1회 회전하여, 블레이드(303)가 도 16의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애 수용부(86)의 배출구(86A)를 막는 위치에 오면, 마이크로 스위치(S1)가 블레이드(303)를 검지하고, 제어 장치(200)가 모터(M)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303)가 진애 수용부(86)의 배출구(86A)를 막은 위치에서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303)가 3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 스위치(S1)가 블레이드(303)를 3회 검지하였을 때에 모터(M)의 구동이 정지한다.
블레이드(303)가 진애 수용부(86)의 배출구(86A)를 막는 위치에 오기 전에 손잡이 조작관(13)의 조작부(13A)의 스위치(13a)가 재차 조작된 경우, 제어 장치(200)는 전동 송풍기(24)를 구동시키지 않는다. 이에 따라,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로 배출된 진애가 배출구(86A)로부터 흡인되어 재차 플리츠 필터(104)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블레이드 구조(300)의 블레이드(303)가 진애 수용부(86)의 배출구(86A)를 막는 위치에 오기 전에 전원 플러그 콘센트로부터 인출한 경우, 블레이드(300)가 진애 수용부(86)의 배출구(86A)를 막기 전에 모터(M)의 구동이 정지되고, 배출구(86A)는 블레이드(300)에 의해 막히지 않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하면 모터(M)를 구동하여 플리츠 필터 구조(100)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배출구(86A)를 블레이드(303)로 막고, 이후 전동 송풍기(24)를 구동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로 배출된 진애를 배출구(86A)로부터 흡인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은 방지된다.
장기간 사용에 의해, 플리츠 필터(104)가 막힌 경우에는 플리츠 필터(104)를 청소한다.
이 청소는, 우선 청소기 본체(11)의 덮개체(21)를 열고, 집진 유닛(50)을 들어 올린다. 구동 기어(110)는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기어(107)의 회전 중심 위치보다 하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렇게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구동 기어(110)가 방해되지 않고,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기어(107)는 구동 기어(110)로부터 떨어진다. 이 때문에, 집진 유닛(50)을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로부터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집진 유닛실(22)로부터 집진 유닛(50)을 추출하면 집진 유닛(50)의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플리츠 필터(104)를 청소한다. 이 때, 집진부(70)를 제거하더라도 좋다.
플리츠 필터(104)의 청소가 종료되면, 이 집진 유닛(50)을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에 위에서부터 삽입하면, 구동 기어(110)는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기어(107)의 회전 중심 위치보다 하측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구동 기어(110)가 방해되지 않고,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기어(107)가 구동 기어(110)에 맞물려 집진 유닛(50)이 집진 유닛실(22)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집진 유닛(50)을 집진 유닛실(22) 위에서부터 삽입하면 그 장착이 완료되기 때문에 그 장착은 매우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집진부(70)에 저장된 진애를 버리는 경우에는 집진 유닛(50)을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11)의 덮개체(21)를 열어 집진부(70)만을 집진 유 닛(50)으로부터 제거하면 된다. 그리고, 집진부(70)의 덮개 판(77)을 개방하여 집진실(73, 73A)에 저장된 진애를 버린다.
상기 실시예는 캐니스터형 타입의 전기 청소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업 라이트식의 전기 청소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2 실시예에서는, 집진 유닛실(22)에는 후술하는 진애 분리 유닛(400)과 집진부 유닛(41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진애 분리 유닛(400)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애 분리부 또는 제1 분리부(52)와, 진애 분리부(52)와 일체로 형성된 필터부(80)와, 이 필터부(80) 위에 설치한 덮개 케이스(21A)로 구성되어 있다. 집진부 유닛(410)은 집진부(70)와, 이 집진부(70) 위에 설치된 덮개 케이스(21A, 21B)(도 19 및 도 20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진애 분리부(52)는 외주벽(53)에 의해 원통형으로 형성된 분리실부(54)와, 이 분리실부(54) 내에 분리실부(54)의 축선을 따라 설치된 대략 원추형상의 진애 분리 수단(55)과, 분리실부(54)의 우측 벽(54A)(도 22 참조)의 외측에 설치된 흡인 풍로부(56)와, 흡입 접속구(57a)(도 19 참조)로부터 분리실부(54)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풍로관(57)을 구비하고 있다. 흡입 접속구(57a)는, 진애 분리 유닛(400)이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에 장착되면 청소기 본체(11)의 접속구(11A)에 연통되어 있다.
분리실부(54)의 외주벽(53) 상부에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로부 터 분리된 진애를 집진부(70)로 도입하는 도입 개구(53A)와, 후술하는 배출구(84K)(도 23 참조)로부터 배출되는 진애를 분리실부(54)로 도입하는 도입 구멍(153B)이 형성되어 있다.
분리실부(54)의 우측 벽(54A)에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 개구(154A)와 부채형 개구(154B)가 형성되고, 개구(154A)에는 진애 분리 수단(55)이 부착되어 있으며, 개구(154B)에는 네트 필터(NF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우측 벽(54A)에는 접속 개구(54Aa)가 형성되고, 이 접속 개구(54Aa)에는 안내 풍로관(57)이 접속되어 있으며, 분리실부(54)와 안내 풍로관(57)이 연통되고 있다.
분리실부(54)의 좌측면(도 20에 있어서)은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54Ba)(도 22 참조)에는 덮개(58)(도 23 참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진애 분리 수단(55)은,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55a)과, 링 프레임(55b)과, 원판(55a)와 링 프레임(55b)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55c)과, 연결 프레임(55c) 주위에 접착한 네트 필터(NF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흡인 풍로부(56)는 우측 벽(54A)의 개구(154A) 및 네트 필터(NF1)를 통해 분리실부(54) 내에 연통되고, 또한 우측 벽(54A)의 개구(154B)의 네트 필터(NF2)를 통해 분리실부(54) 내에 연통되고 있다.
흡인 풍로부(56)는, 후술하는 필터부(80)의 수납 케이스(81) 내에 연통되고 있는 동시에, 그 우측 벽부(156)(도 20 참조)에 형성한 접속 개구(56A)를 통해 후술하는 집진 케이스부(74)의 집진실(73)에 연통되고 있다.
안내 풍로관(57)은 분리실부(54)의 접속 개구(54Aa)로부터 분리실부(54) 내 로 도입되는 공기를 도 22 및 도 23의 화살표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집진부(70)는,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연통로(71)(도 20 참조)가 형성된 연통 케이스부(72)와, 이 연통 케이스부(72)의 우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진애를 집진하는 집진실(73)(도 20 참조)이 형성된 집진 케이스부(74)를 구비하고 있다.
연통 케이스부(72)의 하면에는 개구(72A)가 형성되고, 이 개구(72A)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애 분리부(52)의 도입 개구(53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집진 케이스부(74)의 좌측 벽부(74A)에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개구(7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접속 개구(75)에는 네트 필터(NF3)가 부착되어 있다.
이 네트 필터(NF3)의 외측에 있어서, 네트 필터(NF3)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커버 판(170)이 집진 케이스부(74)의 외측 벽부에 부착되어 있다. 커버 판(170)의 하부에는 개구(170A)가 형성되고, 네트 필터(NF3)의 상부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부터 커버 판(170)에 의해 덮여 있다.
커버 판(170)의 개구(170A)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인 풍로부(56)의 접속 개구(56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집진 케이스부(74)는 우측면이 개구된 케이스부(174)와(도 26 참조), 이 케이스부(174)의 개구(76)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덮개체(77)(도 27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체(77)의 바닥벽부(77A)에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 로 연장된 아암부(77M)가 형성되고, 이 아암부(77M)에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77J)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축부(77J)가 집진 케이스부(74)의 바닥부에 설치한 베어링부(78)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 축부(77J)를 중심으로 하여 덮개체(77)가 회전 운동함으로써, 집진 케이스부(74)의 개구(76)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덮개체(77)의 상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후크가 형성되고, 이 후크가 집진 케이스부(74)의 걸림부(도시 생략)에 걸림으로써 덮개체(77)가 열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부(70)의 덮개 케이스(21B)에 설치된 해제 버튼(21Ba)을 조작하면 그 후크의 걸림이 해제되고, 덮개체(77)를 하측으로 함으로써, 덮개체(77)는 자신의 중량에 의해 축부(77J) 주위에 회전 운동하여 개방된다.
덮개체(77)는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 벽부(77A)와, 이 바닥 벽부(77A)의 양측에 형성된 측벽부(77B, 77C)와, 이 측벽부(77B, 77C)의 상부에 형성된 상측 벽부(77D)와, 이들 바닥 벽부(77A), 측벽부(77B, 77C), 상측 벽부(77D)로 둘러싸인 덮개 판부(77E)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부(174)와 덮개체(77)는 집진 케이스부(74)를 세로로 2분할하여 형성한 상태로 되어 있고, 덮개체(77)의 측벽부(77B)의 폭은 집진 케이스부(74)의 측부의 폭의 1/2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진애 분리 유닛(400)을 장착한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에 집진부 유닛(410)을 장착하면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부 유닛(410)의 개구(72A) 에 진애 분리부(52)의 도입 개구(53A)가 접속되고, 집진부 유닛(410)의 커버 판(170)의 개구(170A)가 진애 분리 유닛(400)의 흡인 풍로부(56)의 접속 개구(56A)에 접속되어 있다.
필터부(80)는 후면(도 21에서 좌측면)이 개구되는 동시에 원통형 수납 케이스(81)와, 이 수납 케이스(81) 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플리츠 필터 구조(2차 필터)(100)와, 이 플리츠 필터 구조(100)와 일체로 회전해 가는 소제체(掃除體)(300)(도 29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수납 케이스(81)의 전측 벽부(구획 벽)(84)의 전면(도 19에서 우측)에는 진애 분리부(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81) 내부가 필터실(181)로 되어 있다(도 23 참조).
수납 케이스(81)의 전측 벽부(84)에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개구(84A)와 상부에 진애를 배출하는 배출구(84K)가 형성되고, 접속 개구(84A)가 흡인 풍로부(56)(도 20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접속 개구(84A)를 통해 수납 케이스(81) 내와 흡인 풍로부(56)가 연통되고 있다.
배출구(84K)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색 덮개(450)에 의해 폐색되고, 이 폐색 덮개(450)는 스프링(401)에 의해 후방(도 23에서 좌측)으로 압박되고 있다. 또한, 폐색 덮개(450)는 스프링(401)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전방(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배출구(84K)가 개방된다. 개폐 덮개(450)에는 돌기(450A)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450A)가 배출구(84K)로부터 수납 케이스(81) 내로 돌출하고 있다.
배출구(84K)는 연통 부재(403)에 의해 진애 분리부(52)의 도입 구멍(153B)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전측 벽부(84)의 접속 개구(84A)의 근방에는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돌기(제진 수단)(88)가 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플리츠 필터(104)의 산부(104A)(상류측에 대한 산부)의 돌출부(104Ab)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측 벽부(84)의 중심부에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84J)이 형성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81)의 내주벽면은 플리츠 필터(104)로부터 떨어진 진애를 수용하는 진애 수용부(86)로 되어 있다.
플리츠 필터 구조(100)는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 프레임체(101)과, 이 프레임체(101)의 중심 위치에 설치된 축부(101A)와, 이 축부(101A)로부터 방사형으로 방사형 플리츠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플리츠 뼈대(102, 103)와, 이 플리츠 뼈대(102, 103)에 붙어 형성된 필터인 플리츠 필터(104)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101A)의 축 구멍(101Aa)에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측 벽부(84)의 축(84J)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플리츠 필터 구조(100)는 축(84J)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해 가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체(101)의 후단에,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이가 짧은 원통부(500)가 형성되고, 이 원통부(500)의 외주면에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을 따라 직경이 작은 3개의 소직경부(110A)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소직경부(110A)와 소직경부(110A) 사이가 대직경부(110B)로 되어 있다.
이 소직경부(110A)나 대직경부(110B)는 마이크로 스위치(S1)에 의해 검지되 는 것이며, 이 마이크로 스위치(S1)(도시 생략)는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대직경부(110B)를 검지하고 있을 때에 마이크로 스위치(S1)는 온(on)되고, 소직경부(110A)를 검지하고 있을 때에 오프(off)되도록 되어 있다.
원통부(500)의 후단면에는 기어(107)가 형성되고, 이 기어(107) 및 원통부(500)는 수납 케이스(81)로부터 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기어(107)는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의 구동 기어(110)에 맞물려 있고, 모터(M)의 구동에 의해 플리츠 필터 구조(100)가 수납 케이스(81) 내에서 회전해 가도록 되어 있다.
진애 분리 유닛(400)을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에 장착하면 기어(107)가 구동 기어(110)에 맞물리고, 그 집진 유닛실(22)로부터 진애 분리 유닛(400)을 들어올리면 기어(107)는 구동 기어(110)로부터 떨어져 진애 분리 유닛(400)은 집진 유닛실(22)로부터 간단히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진애 배출 장치 혹은 블레이드 구조(300)는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축부(101A)에 끼워맞춰져 그 축부(101A)와 일체로 회전해 가는 축부(301)와, 이 축부(301)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3개의 아암(302)과, 이 아암(302)의 선단부에 설치된 소제 부재 또는 배출 부재(30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33에서는 2개의 소제 부재(303)는 생략되어 있다.
소제 부재(303)의 선단부는, 수납 케이스(81)의 진애 수용부(86)의 내측 벽면을 미끄럼 접촉하여 그 진애 수용부(86)에 저장되어 있는 진애를 긁어 올리는 제1 미끄럼 접촉부(303A)로 되어 있고, 소제 부재(303)의 일측부는 수납 케이스(81) 의 전측 벽부(84)상을 미끄럼 접촉하는 제2 미끄럼 접촉부(303B)로 되어 있다. 또한, 소제 부재(303)의 한 면에는 제1 미끄럼 접촉부(303A)에서 긁어 올린 진애를 배출구(84K)로 떨어뜨리는 경사면(가이드 경사면)(303C)이 형성되어 있다.
진애 배출 장치(300)는 플리츠 필터 구조(100)가 회전해 감으로써 회전해 가고, 이 회전에 의해 소제 부재(303)는 도 29에 도시하는 수납 케이스(81)의 진애 수용부(86)의 내주면을 따라 그 내주면 및 전측 벽부(84)를 미끄럼 접촉 이동해 간다. 이 미끄럼 접촉 이동에 의해 소제 부재(303)가 진애 수용부(86)에 저장된 진애를 소제하면서 배출구(84K)로 밀어 올리도록 되어 있다.
소제 부재(303)가 배출구(84K)의 위치에 이동하여 오면, 소제 부재(303)가 덮개 개폐(450)의 돌기(450A)를 가압하여 개폐 덮개(450)를 스프링(401)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배출구(84K)를 개방시킨다.
플리츠 필터 구조(100)가 회전하여 소제 부재(303)가 도 29에 도시하는 위치에 오면, 마이크로 스위치(S1)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도록, 즉 마이크로 스위치(S1)가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원통부(110)의 대직경부(110B)의 검지로부터 소직경부(110A)의 검지로 전환되도록, 마이크로 스위치(S1)의 부착 위치와, 플리츠 필터 구조(100)에 대한 진애 배출 장치(300)의 부착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소제 부재(303)가 도 29에 도시하는 위치에 왔을 때, 배출구(84K)는 개폐 덮개(450)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또한, 진애 분리 유닛(400)을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에 장착하면 청소기 본체(11)의 접속 풍로부(25)의 전면 개구(25B)에 시일 부재(27)를 통해 진애 분리 유닛(400)의 수납 케이스(81)의 후단면이 접합되고, 수납 케이스(81) 내와 전동 송풍기(24)의 흡입 개구(24A)가 접속 풍로부(25)를 통해 연통된다.
이 제2 실시예에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계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의 것과 동일하다. 간단히 설명하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제어계는 조작부(13A)의 조작 스위치(13a)(도 1 참조)의 조작이나 마이크로 스위치(S1)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전동 송풍기(24)나 모터(M)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200)를 갖는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에서의 전기 청소기의 작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 유닛(50)을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에 장착하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 호스(12)를 청소기 본체(11)의 접속구(11A)에 접속시키는 동시에, 연장관(14)을 통해 손잡이 조작관(13)에 흡입구체(15)를 접속시킨다.
도시하지 않은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시킨다. 이 접속에 의해 제어 장치(200)가 모터(M)를 구동시켜 필터부(80)의 플리츠 필터 구조(100)를 회전시켜 간다.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회전과 함께 진애 배출 장치(300)가 회전해 가고, 진애 배ㅊ추출 장치(300)의 소제 부재(303)는 그 제1 미끄럼 접촉부(303A)가 진애 수용부(86)의 둘레면상을 미끄럼 접촉 이동하여 그 진애 수용부(86)에 저장되어 있는 진애를 둘레면을 따라 위로 밀어 올린다.
이와 같이, 소제 부재(303)는 회전 이동에 의해 진애를 진애 수용부(86)를 따라 배출구(84K)로 밀어 올리기 때문에, 그 밀어 올림은 간단한 구조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진애 배출 장치(300)는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기 때문에 구동원은 하나로 좋고, 진애 배출 장치(300)용의 전용 모터는 필요없게 된다.
소제 부재(303)가 배출구(84K)의 위치에 오면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제 부재(303)의 제2 미끄럼 접촉부(303B)가 개폐 덮개(450)의 돌기(450A)를 가압하기 때문에 개폐 덮개(450)가 개방된다.
한편, 소제 부재(303)의 제1 미끄럼 접촉부(303A)에서 긁어 올린 진애는 소제 부재(303)의 측면(303D)을 통해 경사면(303C)에 떨어지고, 또한 그 진애는 경사면(303C)에 의해 배출구(84K)에 떨어져 배출된다. 이 배출구(84K)로 떨어진 진애는 연통 부재(403)를 통해 진애 분리부(52)의 도입 구멍(153B)으로부터 분리실부(54) 내로 복귀된다.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회전에 의해 소제 부재(303)가 도 29에 도시하는 위치에 오면, 마이크로 스위치(S1)가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원통부(110)의 대직경부(110B)의 검지로부터 소직경부(110A)의 검지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 모터(M)의 구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소제 부재(303)가 도 29에 도시하는 위치로 이동하면, 소제 부재(303)의 제2 미끄럼 접촉부(303B)에 의한 개폐 덮개(450)의 돌기(450A)의 압박이 해제되고, 개폐 덮개(450)가 스프링(401)의 압박력에 의해 배출구(84K)를 폐색한다.
모터(M)의 구동중, 즉 개폐 덮개(450)에 의해 배출구(84K)가 폐색되는 동안, 손잡이 조작관(13)의 조작부(13A)의 스위치(13a)를 조작하더라도 전동 송풍기(24) 는 구동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64) 내로 배출된 진애가 배출구(84K)로부터 흡인되어 재차 플리츠 필터(104)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손잡이 조작관(13)의 조작부(13A)의 스위치(13a)가 조작되면 전동 송풍기(24)가 구동된다. 이 전동 송풍기(24)의 구동에 의해 전동 송풍기(24)의 흡입 개구(24A)로부터 공기가 빨아 들여지고, 접속 풍로부(25)를 통해 집진 유닛(50)의 수납 케이스(81) 내에 부압이 작용하며, 또한 흡인 풍로부(56)를 통해 집진 케이스부(74) 내나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에 작용한다. 그리고, 그 부압이 안내 풍로관(57)을 통해 집진 호스(12), 연장관(14) 및 흡입구체(15)에 작용하고, 흡입구체(15)로부터 공기와 함께 진애가 흡인되어 간다.
이 흡인된 진애 및 공기가 연장관(14) 및 집진 호스(12)를 통해 집진 유닛(50)의 흡입 접속구(57a)로 흡인되어 간다. 이 흡입 접속구(57a)로 흡인된 진애 및 공기는 안내 풍로관(57)을 통과하여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 내로 도입되고, 이 분리실부(54) 내에서는 도 35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해 간다.
이 회전에 의해 진애와 공기가 관성에 의해 분리되고, 공기가 진애 분리 수단(55)의 네트 필터(NF1)(도 23 참조)나 개구(154B)의 네트 필터(NF2)를 통과하며, 또한 흡인 풍로부(56)를 통과하여 필터부(80)의 수납 케이스(81) 내로 흡인되어 간다.
한편, 분리된 진애는 관성력에 의해 분리실부(54)의 도입 개구(53A) 및 집진부(70)의 연통 케이스부(72) 내로 일부의 공기와 함께 도입된다. 이 도입된 진애 및 공기는 연통 케이스부(72)의 연통로(71)를 통과하여 집진실(73)로 흡인되어 가고, 진애는 집진실(73)로 집진되어 간다.
집진실(73)로 흡인된 공기는 네트 필터(NF3) 및 커버 판(170) 하부의 개구(170A)를 통과하여 흡인 풍로부(56)로 흡인되고, 또한 필터부(80)의 수납 케이스(81) 내로 흡인되어 간다.
네트 필터(NF3)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커버 판(170)에 의해 덮여 있는 동시에, 커버 판(170)의 하부에 개구(170A)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네트 필터(NF3)의 하부에 많은 공기가 흐른다. 이 때문에, 네트 필터(NF3)가 하측부터 막히는 것이 발생해 가고, 진애를 집진실(73)에 의해 많이 집적할 수 있다.
수납 케이스(81) 내로 흡인된 공기는,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플리츠 필터(104)를 통과하여 청소기 본체(11)의 접속 풍로부(25)로 흡인되고, 또한 전동 송풍기(24)의 흡입 개구(24A)로 흡인되어 간다.
전동 송풍기(24)의 흡입 개구(24A)로 흡인된 공기는 전동 송풍기(24) 내를 통과하여 도 18에 도시하는 청소기 본체(11)의 배기구(20H)로부터 배기되어 간다.
청소가 종료되면, 조작부(13A)의 조작 스위치(13a)를 조작하여 전동 송풍기(24)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 전동 송풍기(24)의 구동이 정지되면 도 17에 도시하는 제어 장치(200)가 모터(M)를 구동시킨다. 모터(M)의 구동에 의해 구동 기어(110)가 회전하여 플리츠 필터 구조(100)가 회전해 간다.
이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회전에 의해 수납 케이스(81)의 전측 벽부(84)의 돌기(88)가 플리츠 필터(104)의 산부(104A)의 돌출부(104Ab)에 맞닿아, 플리츠 필터(104)에 진동이 부여되어 가고, 플리츠 필터(104)에 부착된 진애가 흔들려 떨어진다. 이 진애는 수납 케이스(81)의 진애 수용부(86)에 저장되어 간다.
돌기(88)는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회전 중심보다 하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하측 부분의 플리츠 필터(104)에 큰 진동이 부여된다. 이 때문에, 그 하측 부분의 플리츠 필터(104)로부터 진애가 흔들려 떨어져 그대로 진애 수용부(86)로 떨어져 가고, 이 낙하 도중에 재차 플리츠 필터(104)에 부착되어 버리지 않으며, 이 때문에 효율적으로 진애를 떨어뜨릴 수 있다.
한편, 플리츠 필터 구조(100)와 함께 진애 배출 장치(300)가 회전해 가고, 진애 배출 장치(300)의 소제 부재(303)의 제1 미끄럼 접촉부(303A)가 수납 케이스(81)의 진애 수용부(86)의 내주면을 미끄럼 접촉 이동해 간다. 이 미끄럼 접촉 이동에 의해, 진애 수용부(86)에 저장된 진애를 긁어 올리면서 진애 수용부(86)의 둘레면상을 따라 위로 밀어 올리고, 소제 부재(303)가 배출구(84K)의 위치에 오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배출구(84K)가 개방되어(도 34 참조) 그 밀어 올려린 진애가 배출구(84K)로 배출되며, 연통 부재(403)를 통해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 내로 복귀된다.
플리츠 필터 구조(100)가, 예컨대 1회 회전하여 소제 부재(303)가 도 29에 도시하는 위치에, 오면 마이크로 스위치(S1)가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원통부(110)의 대직경부(110B)의 검지로부터 소직경부(110A)의 검지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 모터(M)의 구동이 정지되어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회전이 정지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84K)가 개폐 덮개(450)에 의해 폐색된다.
또한, 진애 배출 장치(300)의 소제 부재(303)가 배출구(84K)를 개방하였을 때,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인출한 경우, 모터(M)의 구동이 정지되고, 배출구(84K)는 개방된 상태 그대로가 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시키면 모터(M)가 구동되어 플리츠 필터 구조(100)를 회전시키고, 소제 부재(303)가 도 29에 도시하는 위치에 오면 모터(M)의 구동을 정지시켜 소제 부재(303)가 도 29의 실선 위치에서 정지되기 때문에 배출구(84K)는 개폐 덮개(450)로 폐색되고, 이후 전동 송풍기(24)를 구동시키기 때문에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에 복귀된 진애를 배출구(84K)로부터 흡인해 버리는 문제점은 방지된다.
또한, 진애 수용부(86)에 저장된 진애는 소제 부재(303)의 회전 이동에 의해 배출구(84K)로부터 연통 부재(403)를 통해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 내로 복귀되는 것이기 때문에 플리츠 필터(104)용의 전용 집진부를 집진부 유닛(410)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좋다.
장기간 사용에 의해 플리츠 필터(104)가 막히는 경우에는 진애 분리 유닛(400)을 청소기 본체(11)로부터 제거하여 플리츠 필터(104)를 청소한다.
진애 분리 유닛(400)의 제거는 우선 청소기 본체(11)로부터 집진부 유닛(410)을 제거한 후에 행하지만, 구동 기어(110)가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기어(107)의 회전 중심 위치보다 하측 위치가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구동 기어(110)가 방해되지 않고, 진애 분리 유닛(400)을 위로 들어 올리는 것만으로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기어(107)는 구동 기어(110)로부터 떨어진다. 이 때문에, 진애 분리 유닛(400)을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로부터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진애 분리 유닛(400)을 장착하는 경우에도 집진 유닛실(22)의 위에서부터 삽입하면 구동 기어(110)가 방해되지 않고,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기어(107)가 구동 기어(110)에 맞물려 진애 분리 유닛(400)을 집진 유닛실(22)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배출구(84K)로부터 배출되는 진애를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 내로 복귀시키고 있지만, 이것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진애 분리부(52)의 상류가 되는 안내 풍로관(57) 또는 집진부(70)로 복귀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관성 분리 타입의 전기 청소기에 적용한 것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예컨대 종이 필터를 사용하는 전기 청소기에 적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플리츠 필터 구조(100)를 회전시킴으로써, 플리츠 필터(104)에 부착된 진애를 떨어뜨리고 있지만, 이것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플리츠 필터 구조(100)를 회전시키지 않고 돌기(88)를 회전 운동시켜 플리츠 필터(104)에 진동을 부여하여 진애를 떨어뜨리는 것이더라도 좋다.
상기 제2 실시예는, 캐니스터형 타입의 전기 청소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업 라이트식의 전기 청소기나, 손잡이 조작관 등에 진애 분리 유닛을 부착하는 전기 청소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 제2 실시예에 의하면, 배출구는 폐색 덮개에 의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 송풍기가 구동되더라도, 진애가 재차 2차 필터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소제 부재가 배출구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폐색 덮개가 개방되는 동시에 그 소제 부재에 의해 소제된 진애가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제1 분리부 또는 그 상류로 복귀되는 것이기 때문에 2차 필터용의 전용 집진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소제 부재(303)의 선단부는 수납 케이스(81)의 진애 수용부(86)의 내측 벽면을 미끄럼 접촉하여 그 진애 수용부(86)에 저장되어 있는 진애를 긁어 올리는 제1 미끄럼 접촉부(303A)로 되어 있고, 소제 부재(303)의 일측부는 수납 케이스(81)의 전측 벽부(84)상을 미끄럼 접촉하는 제2 미끄럼 접촉부(303B)로 되어 있다. 또한, 소제 부재(303)의 한 면에는 제1 미끄럼 접촉부(303A)에서 긁어 올린 진애를 배출구(84K)로 떨어뜨리는 경사면(가이드 경사면)(303C)이 형성되어 있다.
진애 배출 장치(300)는 플리츠 필터 구조(100)가 회전해 감으로써 회전해 가고, 이 회전에 의해 소제 부재(303)는 도 29에 도시하는 수납 케이스(81)의 진애 수용부(86)의 내주면을 따라 그 내주면 및 전측 벽부(84)를 미끄럼 접촉 이동해 간다. 이 미끄럼 접촉 이동에 의해 소제 부재(303)가 진애 수용부(86)에 저장된 진애를 소제하면서 배출구(84K)로 밀어 올린다.
소제 부재(303)가 도 29에 도시하는 위치에 왔을 때, 배출구(84K)는 폐색 덮개(450)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3 실시예에서의 전기 청소기의 작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시킨다. 이 전원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되면 제어 장치(200)가 모터(M)를 구동시켜 필터부(80)의 플리츠 필터 구조(100)를 회전시켜 간다. 플리츠 필터 구조(100)의 회전과 함께 진애 배출 장치(300)가 회전해 가고, 진애 배출 장치(300)의 소제 부재(303)는 그 제1 미끄럼 접촉부(303A)가 진애 수용부(86)의 둘레면상을 미끄럼 접촉 이동하여 그 진애 수용부(86)에 저장되어 있는 진애를 둘레면을 따라 위로 밀어 올린다.
소제 부재(303)가 배출구(84K)의 위치에 오면,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제 부재(303)의 제2 미끄럼 접촉부(303B)가 폐색 덮개(450)의 돌기(450A)를 가압하기 때문에 폐색 덮개(450)가 개방된다.
한편, 소제 부재(303)의 제1 미끄럼 접촉부(303A)에서 긁어 올린 진애는 소제 부재(303)의 측면(303D)을 통해 경사면(303C)으로 떨어지고, 또한 그 진애는 경사면(303C)에 의해 배출구(84K)로 떨어져 배출된다. 이 배출구(84K)로 떨어진 진애는 연통 부재(403)를 통해 진애 분리부(52)의 도입 구멍(153B)으로부터 분리실부(54) 내로 복귀된다.
이 제3 실시예에서는, 전동 송풍기(24)가 구동되기 전에 모터(M)가 구동되어 플리츠 필터 구조(100) 및 진애 배출 장치(300)가 회전 이동되고, 소제 부재(303)가 배출구(84K)를 통과하여 배출구(84K)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구(84K)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도, 그 배출구(84K)는 확실하게 폐색 덮개(450)에 의해 폐색되고, 전동 송풍기(24)가 구동할 때에는 진애 분리 부(52)의 분리실부(54)로 복귀된 진애가 배출구(84K)로부터 흡인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은 방지된다.
또한, 진애 배출 장치(300)의 소제 부재(303)가 배출구(84K)를 개방하였을 때,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인출한 경우, 모터(M)의 구동이 정지되고, 배출구(84K)는 개방된 상태 그대로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하면 모터(M)를 구동하여 플리츠 필터 구조(100)를 회전시키고, 소제 부재(303)가 도 16에 도시하는 위치에 오면 모터(M)의 구동을 정지시켜 소제 부재(303)를 도 16 및 도 29에에 도시하는 위치에 정지시키기 때문에 배출구(84K)는 폐색 덮개(450)로 폐색되고, 이후 전동 송풍기(24)를 구동시키기 때문에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로 복귀된 진애를 배출구(84K)로부터 흡인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은 방지된다.
또한, 진애 수용부(86)에 저장된 진애는, 소제 부재(303)의 회전 이동에 의해 배출구(84K)로부터 연통 부재(403)를 통해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 내로 복귀되는 것이기 때문에 플리츠 필터(104)용의 전용 집진부를 집진부 유닛(410)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좋다.
이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 또는 전동 송풍기의 구동 시작시에 소제 부재를 이동시켜 배출구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정지시키기 때문에, 전동 송풍기가 구동할 때에는 배출구는 폐색 덮개에 의해 폐색되고, 이 때문에 배출구에 배출된 진애가 흡인되어 재차 2차 필터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3 실시예는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캐니스터형 타입 의 전기 청소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업 라이트식의 전기 청소기나, 손잡이 조작관 등에 진애 분리 유닛을 부착하는 전기 청소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진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고, 이들 실시예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 부재가 배출구의 위치에 이동하였을 때, 필터의 회전이 정지되고, 배출구는 배출 부재에 의해 폐색되어, 전동 송풍기를 구동하였을 때에 배출구로 배출된 진애가 그 배출구로부터 흡인되어 재차 필터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7)

  1. 청소기 본체와,
    진애를 빨아들이는 진애 흡입구부터 전동 송풍기의 흡입 개구까지의 흡입풍로 도중에 진애를 흡착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설치된 필터와,
    상기 필터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필터 제진 장치와,
    상기 필터로부터 제진된 진애를 수용하고, 진애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진애 수용부와,
    상기 진애 수용부의 진애를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는 진애 배출 장치
    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제진 장치는 상기 필터를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와, 회전하고 있는 필터에 접촉하여 필터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제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애 배출 장치는 상기 진애 수용부에 저장된 진애를 상기 배출구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배출 부재와, 상기 배출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부재는 상기 전동 송풍기가 구동될 때에 상기 배출구를 폐색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것인 전기 청소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애 배출 장치는 상기 배출 부재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검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배출 부재가 상기 배출구의 위치로 이동한 것을 상기 위치 검지 수단이 검지하였을 때, 상기 필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인 전기 청소기.
  6. 제3항에 있어서, 전원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되었을 때, 상기 배출 부재는 상기 배출구를 폐색하는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상기 필터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인 전기 청소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부재가 상기 배출구를 폐색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전동 송풍기를 구동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인 전기 청소기.
  8. 진애를 빨아들이는 진애 흡입구로부터 청소기 본체의 전동 송풍기의 흡입 개구까지의 흡입풍로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진애 흡입구로 빨아 들여진 진애와 공기를 분리하는 제1 분리부와, 이 제1 분리부에서 분리된 진애를 집진하는 집진부와, 상기 제1 분리부 하류에 형성된 필터실과, 이 필터실 내에 설치된 2차 필터와, 이 2차 필터에 부착된 진애를 떨어뜨리는 제진 수단과, 상기 제1 분리부 또는 그 상류 또는 상기 집진부와 상기 2차 필터 사이에서 상기 필터실을 구획하는 구획 벽에 설치되고, 상기 제진 수단에 의해 떨어뜨린 진애를 수용하는 진애 수용부와, 진애를 배출하도록 상기 구획 벽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폐색하는 폐색 덮개와, 상기 진애 수용부에 저장된 진애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배출구로 소제하는 소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소제 부재가 상기 배출구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폐색 덮개가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소제 부재에 의해 소제된 진애가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1 분리부 또는 그 상류 또는 상기 집진부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전기 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덮개는 폐쇄 방향으로 압박되고, 상기 소제 부재는 그 압박력에 대항하여 폐색 덮개를 개방하도록 된 것인 전기 청소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상기 구획 벽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진애 수용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제 부재는 상기 진애 수용부의 곡률 중심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진애 수용부의 진애를 소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전기 청소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필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진 수단에 의해 진애가 떨어지고, 상기 소제 부재는 상기 2차 필터와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덮개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소제 부재는 상기 진애 수용부의 내벽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제1 미끄럼 접촉부와, 상기 구획 벽에 미끄럼 접촉하는 제2 미끄럼 접촉부와, 소제된 진애를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가이드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소제 부재가 상기 배출구의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제2 미끄럼 접촉부가 상기 돌기를 눌러 상기 폐색 덮개를 압박력에 대항하여 개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전기 청소기.
  13. 진애를 빨아들이는 진애 흡입구로부터 청소기 본체의 전동 송풍기의 흡입 개구까지의 흡입풍로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진애 흡입구에 빨아 들여진 진애와 공기를 분리하는 제1 분리부와, 이 제1 분리부의 하류에 설치된 2차 필터와, 이 2차 필터에 부착된 진애를 떨어뜨리는 제진 수단과, 이 제진 수단에 의해 떨어진 진애를 수용하는 진애 수용부와, 상기 2차 필터와 제1 분리부 사이의 풍로를 구획하는 풍로 벽과, 상기 진애 수용부 또는 상기 풍로 벽에 마련된 배출구와, 이 배출구를 폐색하는 폐색 덮개와, 이동함으로써 상기 진애 수용부에 저장된 진애를 소제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소제 부재와, 상기 제1 분리부에서 분리된 진애를 수용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제 부재가 상기 배출구의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폐색 덮개가 개방되어 그 소제 부재에 의해 소제된 진애가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제1 분리부 또는 그 상류 또는 상기 집진부로 배출되는 전기 청소기로서,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 또는 상기 전동 송풍기의 구동 시작시에 상기 소제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배출구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인 전기 청소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제 부재를, 상기 배출구를 통과시킨 후에 이 배출구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인 전기 청소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필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진 수단에 의해 진애가 떨어지고, 상기 진애 수용부는 상기 2차 필터를 둘러싸는 원통형의 통부로 구성되고, 상기 소제 부재가 상기 2차 필터와 일체로 회전하여 상기 통부의 내주면상의 진애를 소제하며, 상기 소제 부재의 위치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소제 부재의 이동이 정지되는 것인 전기 청소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송풍기가 정지되었을 때, 상기 필터 제진 장치는 필터의 제진을 행하는 것인 전기 청소기.
  17. 제1항에 있어서, 진애 배출 장치는, 진애가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될 때에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는 폐쇄 기구를 지닌 것인 전기 청소기.
KR1020060065421A 2005-07-13 2006-07-12 전기 청소기 KR100802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04009 2005-07-13
JP2005204009A JP4007454B2 (ja) 2005-07-13 2005-07-13 電気掃除機
JPJP-P-2005-00246818 2005-08-26
JP2005246818A JP3990419B2 (ja) 2005-08-26 2005-08-26 電気掃除機
JPJP-P-2005-00246821 2005-08-26
JP2005246821A JP4011079B2 (ja) 2005-08-26 2005-08-26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445A true KR20070008445A (ko) 2007-01-17
KR100802377B1 KR100802377B1 (ko) 2008-02-14

Family

ID=3709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421A KR100802377B1 (ko) 2005-07-13 2006-07-12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11996A1 (ko)
EP (1) EP1743562B1 (ko)
KR (1) KR1008023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371B1 (ko) * 2008-08-08 2014-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471671B1 (ko) * 2008-08-08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492633B1 (ko) * 2008-08-08 2015-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492631B1 (ko) * 2008-08-08 2015-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7568B4 (de) 2005-04-11 2024-04-25 Alfred Kärcher SE & Co. KG Saugreinigungsgerät
PL2046183T3 (pl) 2006-07-29 2011-02-28 Kaercher Gmbh & Co Kg Alfred Sposób czyszczenia filtrów odkurzacza oraz odkurzacz do realizacji sposobu
EP2225993B1 (en) * 2007-12-26 2016-02-24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ic cleaner
RU2492909C2 (ru) 2009-04-22 2013-09-20 Альфред Кэрхер Гмбх & Ко. Кг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двух фильтров всасывающего аппарата для очистных целей, а также всасывающий аппарат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DE102009020769A1 (de) 2009-04-30 2010-11-04 Alfred Kärcher Gmbh & Co. Kg Saugreinigungsgerät
KR101610186B1 (ko) * 2009-06-17 201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진 먼지 제거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CN102481079B (zh) 2009-07-07 2014-09-10 阿尔弗雷德·凯驰两合公司 用于清洁目的的抽吸器
US11534043B2 (en) 2011-03-04 2022-12-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376659B2 (en) * 2013-05-08 2019-08-13 Thomas Nichols Personal care vaporizer device for the eye area of the face
US10281164B2 (en) * 2014-10-29 2019-05-07 Terry Daley Transportable humidifier
US11445874B2 (en)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45873B2 (en)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WO2018075385A1 (en) 2016-10-20 2018-04-26 Cummins Filtration Ip, Inc. Interrupted, directional emboss of flat sheet
US11376541B2 (en) 2016-12-15 2022-07-05 Cummins Filtration Ip, Inc. Tetrahedral filter media
US11375861B2 (en) 2018-04-20 2022-07-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EP3787457B1 (en) 2018-05-01 2023-03-01 SharkNinja Operating LLC Docking station for robotic cleaner
CA3106916C (en) 2018-07-20 2023-08-01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5129A (en) * 1941-02-10 1946-08-06 Hoover Co Vacuum cleaning system
GB568242A (en) * 1942-09-22 1945-03-26 Hoover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uction cleaners
US2403602A (en) * 1944-01-28 1946-07-09 Hoover Co Suction cleaner
US2443162A (en) * 1944-09-20 1948-06-08 Hallock Robert Lay Vacuum cleaner
US2566153A (en) * 1945-04-26 1951-08-28 Hoover Co Suction cleaner
US2725953A (en) * 1952-05-09 1955-12-06 Air Way Ind Inc Agita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filters
US3236032A (en) * 1962-01-22 1966-02-22 Hitachi Ltd Vacuum cleaner with filter cleaning means
US3413779A (en) * 1966-04-04 1968-12-03 Hitachi Ltd Electric cleaner
US3621640A (en) * 1968-10-14 1971-1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vacuum cleaner
US3653189A (en) * 1969-01-20 1972-04-04 Sanyo Electric Co Vacuum cleaner
NO142502C (no) * 1976-03-17 1980-09-03 Elkem Spigerverket As Anordning for rensing av hoeytemperatur stoevholdige, uforbrente avgasser fra industriovner
US4297114A (en) * 1978-01-24 1981-10-27 Hutchins Manufacturing Co. Vacuum cleaner having bag cleaning apparatus
JPS54100146A (en) * 1978-01-25 1979-08-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cleaner
US4533371A (en) * 1982-04-25 1985-08-06 Kabushiki Kaisha Suiden Vacuum cleaner
US5120333A (en) * 1991-03-28 1992-06-09 Davis Henry J Recycling system for industrial vacuum machine
DE19819980B4 (de) * 1998-05-05 2004-02-05 Hüttlin, Herbert Filtereinrichtung für eine Prozeßapparatur
FR2784607B1 (fr) * 1998-10-16 2001-02-09 Francois Simon Filtration de gaz par force centrifuge
KR20000039238A (ko) * 1998-12-11 2000-07-05 배길성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JP3530436B2 (ja) * 1999-01-29 2004-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掃除機用集塵装置及び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
KR20010001213A (ko) 1999-06-02 2001-01-05 구자홍 싸이클론 집진장치
DE10033102B4 (de) * 2000-07-07 2008-09-25 Hilti Aktiengesellschaft Filter mit Reinigungsvorrichtung für gefaltete Staubfilterorgane
WO2002038025A1 (en) * 2000-11-13 2002-05-16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Cyclonic vacuum cleaner with filter and filter sweeper
US6569218B2 (en) * 2001-03-08 2003-05-27 David Edmond Dudley Self spin-cleaning canister vacuum
EP1554965B1 (en) * 2002-10-31 2011-08-31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Electric cleaner
JP4070638B2 (ja) * 2002-12-27 2008-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FR2850037B1 (fr) * 2003-01-17 2006-07-28 Simon Francois Machine rotative destinee a engendrer un flux de fluide epure reglable et capable de s'auto-nettoyer
DE10321977A1 (de) * 2003-05-15 2004-12-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aubsauger mit einer durch Druckluft wirkenden Reinigungsvorrichtung für Keramikfilter
DE10321919A1 (de) * 2003-05-15 2004-12-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aubsauger mit einer Steuerungseinrichtung für eine Reinigungsvorrichtung für Keramikfilter
KR100539762B1 (ko) * 2004-03-09 2006-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필터 청소 장치
JP3989461B2 (ja) * 2004-05-06 2007-10-10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EP1629761B1 (en) * 2004-08-31 2012-05-09 LG Electronics Inc.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JP2008002005A (ja) * 2006-06-21 2008-01-10 Shimada Shoji Kk 衣服用パッ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371B1 (ko) * 2008-08-08 2014-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471671B1 (ko) * 2008-08-08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492633B1 (ko) * 2008-08-08 2015-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492631B1 (ko) * 2008-08-08 2015-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43562A2 (en) 2007-01-17
EP1743562A3 (en) 2008-06-11
EP1743562B1 (en) 2011-09-28
US20070011996A1 (en) 2007-01-18
KR100802377B1 (ko)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377B1 (ko) 전기 청소기
KR100934726B1 (ko) 전기 청소기
EP2561786A1 (en) Vacuum cleaner
JP4011079B2 (ja) 電気掃除機
JP3998213B2 (ja) 電気掃除機
JP4007454B2 (ja) 電気掃除機
KR100857491B1 (ko) 집진 용기 및 전기 청소기
JP3990419B2 (ja) 電気掃除機
CN112438648B (zh) 真空吸尘器
JP4012227B2 (ja) 電気掃除機
JP2009201568A (ja) 電気掃除機
JP5388717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4118288B2 (ja) 電気掃除機
JP2007029111A (ja) 電気掃除機
KR20100138837A (ko)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JP2007029383A (ja) 電気掃除機
JP2008142255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8023049A (ja) 電気掃除機
JP2007054554A (ja) 電気掃除機
JP4236605B2 (ja) 電気掃除機
JP2009125272A (ja) 電気掃除機
JP2011010742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7252641A (ja) 電気掃除機
JP2007054551A (ja) 電気掃除機
JP2007054345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