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199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199A
KR20200037199A KR1020200040200A KR20200040200A KR20200037199A KR 20200037199 A KR20200037199 A KR 20200037199A KR 1020200040200 A KR1020200040200 A KR 1020200040200A KR 20200040200 A KR20200040200 A KR 20200040200A KR 20200037199 A KR20200037199 A KR 20200037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ust
cleaning
guid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9480B1 (ko
Inventor
이영주
현기탁
어수한
고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1001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98784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0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4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37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Abstract

본 발명의 청소기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먼지에서 먼지를 분리시키키기 위한 먼지 분리부와, 상기 먼지 분리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먼지 분리부 내에 배치되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먼지 분리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 과정에서 상기 필터부의 외측 둘레를 청소하는 청소부를 구비하는 가동부;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동부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부; 및 상기 본체를 관통하며 상기 가동부와 조작부를 연결시키는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먼지 분리부 내에서 먼지 분리 과정에서 상기 필터부의 둘레를 둘러싸지 않는 위치인 대기 위치에 대기하고,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가동부가 이동하여 상기 청소부가 상기 필터부의 외면의 먼지를 제거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흡입부를 바라보며, 상기 흡입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본 명세서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선행문헌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6917호
선행문헌1에는 헨드헬드 진공 청소기가 개시된다.
상기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는, 기류로부터 쓰레기 및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싸이클론을 가지는 원심 분리기를 포함한다.
상기 원심 분리기는 벽을 가지는 집진기를 가지는 제1 사이클론을 포함한다. 제1 사이클론의 하측에 집진기가 배치되고, 집진기는 베이스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베이스는 힌지에 의해서 회동되어 상기 집진기를 개폐한다.
제1 사이클론 내측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며 일부가 사다리꼴인 덮개를 포함한다. 덮개 내에서 제2 사이클론이 제1 사이클론과 연통된다.
이러한 선행문헌1의 경우, 제1 사이클론 내부의 공기는 복수의 구멍을 공기가 통과한 후에 제2 싸이클론을 유동하는데, 공기가 복수의 구멍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먼지가 상기 덮개의 복수의 구멍을 막게 된다. 상기 복수의 구멍이 많이 막힐 수록 공기 유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분리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덮개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여야 한다. 선행문헌1의 경우, 베이스를 회동시켜 집진기를 개방시킨 후에 사용자가 덮개 측으로 접근한 후에 덮개를 청소하여야 하므로, 덮개의 청소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1의 경우, 제1 사이클론 및 제2 사이클론에서 분리된 먼지가 하방으로 낙하되어 베이스의 상측에 쌓인다.
이러한 청소기 의해서 먼지 분리 과정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청소기의 작동이 정지되면, 분리된 먼지는 상기 집진기에 밀도가 낮은 상태로 저장된다.
특히, 제1 사이클론에 의해서 분리된 먼지는 그 무게에 비하여 너무 큰 부피를 차지하게 되므로, 집진 성능의 유지를 위하여 상기 집진기 내의 먼지를 자주 비워줘야 하는 단점이 있다.
선행문헌2: 일본등록특허 제3699679호
선행문헌2에는 집진 케이스 내의 먼지를 압축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집진 케이스는, 원심력에 의해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분리실과, 먼지분리실로부터 유입된 먼지를 수용하는 먼지수용실과, 먼지분리실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흡기실린더와, 흡기실린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한다.
먼지분리실의 공기는 필터를 통과한 후에 상기 흡기실린더 내로 인입된다.
상기 흡기실린더 외측에는 외통이 구비되고, 외통의 하측에는 압축판이 구비되며, 외통의 내주면에서는 브러시 털이 구비된다. 상기 외통에는 먼지분리실로부터 흡기실린더 내로의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외통의 조작을 위하여, 외통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조작 레버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먼지분리실의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외통을 압축판과 함께 하강시키면, 외통 내면의 브러시 털이 흡입실린더 외주의 필터를 청소하고, 압축판은 먼지수용실 내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한다.
그런데, 선행문헌2에 의하면, 조작 레버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통이 흡기실린더 전체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므로, 공기가 외통을 통과하기 위하여 외통에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복수의 개구부가 외통에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은 공기의 유동 저항으로 작용하여 공기의 유동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외통이 흡기실린더의 외측에 위치되므로, 조작 레버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먼지분리실의 먼지가 외통과 접촉되므로, 외통 자체가 오염되어 외통의 청소도 추가로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2에 의하면, 조작 레버가 먼리분리실 외측에 위치되므로, 조작 레버가 상하 이동되기 위해서는 먼지분리실에 상하 방향으로 슬롯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슬롯을 전체를 커버하지 못하므로, 먼지분리실 내부의 공기 및 먼지가 슬롯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선행문헌2의 경우 외통이 상하 이동되는 과정에서 편심되지 않고 상하 이동하기 위한 구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외통의 상하 운동이 원활히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문헌2의 경우 집진 케이스를 청소기 본체에서 분리한 후에 조작 레버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청소 기구의 조작에 의해서 필터부의 청소가 가능한 청소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 기구의 청소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 기구가 대기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청소 기구가 공기의 유동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 기구가 대기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동부와 공기 가이드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부가 하강 후 상승하는 과정에서 단부가 접혀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청소기는,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먼지에서 먼지를 분리시키키기 위한 싸이클론부와, 상기 먼지 분리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싸이클론부 내에 배치되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와, 상기 싸이클론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 과정에서 상기 필터부의 외측 둘레를 청소하는 청소부를 구비하는 가동부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동부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부; 및 상기 본체를 관통하며 상기 가동부와 조작부를 연결시키는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싸이클론부 내에서 먼지 분리 과정에서 상기 필터부의 둘레를 둘러싸지 않는 위치인 대기 위치에 대기함으로써, 상기 가동부가 공기 유동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는, 상기 흡입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입부를 바라보는 함몰부를 포함할 있다.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가동부가 이동하여 상기 청소부가 상기 필터부의 외면의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상기 필터부를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가동부는, 상기 청소부의 외주면 상측부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청소부의 내주면 상측부를 지지하고 상기 청소부 및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코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프레임, 상기 코어부 및 청소부 각각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청소부를 지지하는 내측 바디와, 상기 내측 바디의 외측에서 상기 내측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외측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 중에서 상기 외측 바디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는 부분에 상기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에서 상기 함몰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높이는 상기 함몰부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흡입부에는 상기 먼지 분리부 내에서 상기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유입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유입 가이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 가이드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프레임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가이드는 상기 내측 바디와 상기 외측 바디를 연결하며, 상기 프레임 가이드의 하단부는 상기 외측 바디의 하단부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유입 가이드의 제 1 연장선(A3)과, 상기 제 1 연장선(A3)과 평행하면서 상기 제 1 바디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선(A4)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에 상기 함몰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외측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압 리브와, 상기 가압 리브의 하측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달부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리브는 상기 외측 바디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하는 제 2 싸이클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필터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필터부를 지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공기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의 대기 위치에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공기 가이드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가동부는 상기 청소부의 외주면 상측부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청소부의 내주면 상측부를 지지하고 상기 청소부 및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코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동부의 복수의 지점이 상기 공기 가이드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가동부와 상기 공기 가이드의 외주면 사이 틈새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공기 가이드의 외주면은 상기 청소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가이드는, 외주면 상측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촉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접촉 돌기가 안착되는 돌기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 돌기 및 상기 돌기 안착홈 각각은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가이드의 외주면 보다 상기 공기 가이드의 하측에 위치되는 배출 가이드의 외주면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배출 가이드의 외주면 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필터부의 외주면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청소부가 주변 구조물과 간섭 없이 안정적으로 하강하여 필터부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청소부의 청소면은 상기 필터부의 외주면과 면접촉하기 위한 수직면이고, 상기 청소부의 하면은 상기 청소면의 하단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면이다.
상기 청소부는, 상기 청소면의 상단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 1 내측 경사면과, 상기 하면의 외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 1 외측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측 경사면은 상기 필터부의 외주면과 이격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를 가압함으로써, 가동부의 청소부가 이동하면서 필터부를 청소하므로, 상기 필터부를 사용자가 직접 청소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청소 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 즉 상기 먼지 분리부 내에서 먼지 분리 과정에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필터부의 둘레를 둘러싸지 않는 위치인 대기 위치에 대기하므로, 청소 기구가 공기의 유동 저항으로 작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가이드의 외주면 보다 상기 공기 가이드의 하측에 위치되는 배출 가이드의 외주면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배출 가이드의 외주면 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필터부의 외주면 직경이 작게 형성되므로, 청소부가 구조물과 간섭 없이 안정적으로 하강하여 필터부를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동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함으로써, 흡입부를 통해 공기가 유입될 때 가동부가 공기의 유동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가 눕혀진 상태로 바닥면에 놓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에서 핸들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청소 기구의 가동부와 필터부 및 공기 가이드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기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청소부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어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3은 도 6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4는 도 6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동부가 대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도 15의 A부분의 확대도.
도 17은 도 15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18은 도 15의 C 부분의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의 필터부의 하측이 먼지 가이드에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0은 도 1의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21은 도 1의 E-E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22는 도 1의 F-F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23은 도 3의 G-G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바디의 내측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바디의 가이드 바디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6은 도 3의 H-H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27은 도 3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기구가 하강한 상태에서 청소 기구와 필터부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청소 기구가 하강하여 먼지통 내의 먼지를 압축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가 눕혀진 상태로 바닥면에 놓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에서 핸들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청소 기구의 가동부와 필터부 및 공기 가이드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는, 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본체(2)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1)는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핸들부(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3)는 상기 본체(2)에서 일 예로 상기 흡입부(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흡입부(5)와 상기 핸들부(3)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체(2)는, 상기 흡입부(5)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고,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본체(2)는 먼지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 분리부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제 1 싸이클론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는 상기 흡입부(5)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상기 먼지 분리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하는 제 2 싸이클론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는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14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는 상기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142)로 나뉘어 통과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먼지 분리부가 단일의 싸이클론부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2)는 일 예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바디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본체(2)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태의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1 바디(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실질적으로 원통 형태의 제 2 바디(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의 상측부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를 정의하고, 상기 제 1 바디(10)의 하측부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112)을 정의한다.
상기 제 1 바디(10)의 하측(즉, 먼지통(112)의 하측)은 힌지에 의해서 회전 동작하는 바디 커버(114)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필터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30)는 일 예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를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로 안내한다. 상기 필터부(130)는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먼지를 필터링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필터부(130)는 복수의 구멍을 가지는 메쉬부(132)(mesh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쉬부(13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쉬부(132)가 공기를 필터링하므로, 상기 메쉬부(132)에 먼지가 쌓일 수 있어, 상기 메쉬부(132)의 청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청소기(1)는 상기 필터부(130)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 기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 기구(70)는, 상기 본체(2) 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부(730)와, 상기 가동부(73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710)와, 상기 조작부(710)의 조작력을 상기 가동부(730)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710)는, 상기 본체(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3)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 바디(30)와, 상기 핸들 바디(30)의 하측에 배치되며 배터리(600)를 수용할 수 있는 배터리 하우징(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바디(30)는 상기 조작부(710)의 일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조작부(7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핸들 바디(30)를 오른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710)는 상기 핸들 바디(30)의 좌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 바디(30)를 파지하지 않는 왼손으로 상기 조작부(710)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710)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1)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1)은 상기 먼지통(112)이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710)도 상기 먼지통(112)이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710)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핸들 바디(30)에는 슬롯(3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310)도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1)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축(A1)의 연장 방향은 도면 상 일 예로 상하 방향이므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하 방향"은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축(A1)의 연장 방향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2)의 직경(D1)은 상기 핸들부(3)의 수평 길이(L1)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3)의 좌우 중심이 상기 본체(2)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상기 핸들부(3)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710)는 일 예로 상기 본체(2)와 상기 핸들부(3)가 접촉되는 경계 부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2)의 직경과 상기 핸들부(3)의 좌우 길이 차이에 의해서, 상기 본체(2)와 상기 핸들부(3)가 함께 바닥(F)에 닿도록 상기 청소기(1)를 놓으면, 상기 본체(2)의 외주면과 상기 핸들부(3)의 외주면 및 상기 바닥(F)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상기 조작부(710)가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710)는 상기 바닥(F)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1)를 바닥(F)에 놓는 과정에서 상기 조작부(710)가 바닥(F)과 충돌하여 상기 조작부(710)가 손상되거나 상기 조작부(710)가 의도치 않게 조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720)는 일 예로 원통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달부(720)의 상단부에 상기 조작부(71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달부(720)는 수평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부(720)도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1)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730)는 상기 본체(2) 내에 위치하고, 상기 조작부(710)는 상기 본체(2) 외부에 위치되므로, 상기 가동부(730)와 상기 조작부(710)가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전달부(720)의 일부는 상기 본체(2) 외측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본체(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달부(720)는 상기 본체(2)를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부(720) 중 상기 본체(2)의 외측에 위치되는 부분은 상기 핸들부(3)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상기 전달부(720)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바디(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180)는 일 예로 상기 제 1 바디(10)의 외측에 돌출된 형태로 존재한다.
상기 가이드 바디(180)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1)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180)는 상기 제 1 바디(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가이드 바디(180) 내에서 상기 전달부(720)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180)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2)는,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흡입 모터(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20)에 의해서 발생된 흡입력이 상기 흡입부(5)에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20)는 상기 제 2 바디(2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20)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먼지통(112) 및 상기 배터리(60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720)는 상기 흡입 모터(220)의 일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상기 흡입 모터(220)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흡입 모터(220)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 가이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하측에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30)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를 둘러싼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130)도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730)는 상기 조작부(710)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공기 가이드(170)를 둘러싸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730)는 상기 필터부(130)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조작부(710)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청소 기구(70)의 위치를 대기 위치라 할 수 있다.
상기 청소 기구(730)의 대기 위치에서, 상기 청소부(740)의 전부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130)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상기 필터부(130)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청소부(740)의 전부는 상기 필터부(130)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필터부(130)를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청소부(740)가 유동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의 하측에는 먼지 가이드(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 가이드(160)의 상측에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의 하측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가이드(160)에 상기 필터부(130)의 하측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먼지 가이드(160)의 하측은 상기 바디 커버(114)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먼지 가이드(160)는 상기 제 1 바디(10)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제 1 바디(10)의 내부 공간을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제 1 먼지 저장부(120)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제 2 먼지 저장부(122)로 구획한다.
상기 제 1 바디(10)의 내주면과 상기 먼지 가이드(160)의 외주면이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를 정의하고, 상기 먼지 가이드(160)의 내주면이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2)를 정의한다.
<청소 기구>
이하에서는 상기 청소 기구(7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어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6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6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가동부(730)는, 상기 필터부(130)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부(740)와, 상기 청소부(740)의 외측 둘레를 지지하는 프레임(760)과, 상기 청소부(740)의 내측 둘레를 지지하는 코어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부>
상기 청소부(74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청소부(74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청소부(740)가 원통 형상의 필터부(130)의 둘레 전체를 청소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부(740)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청소부(740)는 실리콘 또는 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청소부(740)는 상기 대기 위치에서는 상기 필터부(130)에서 벗어난 위치에 대기하고, 청소 과정에서는 상기 필터부(130)의 외면을 닦으면서 이동한다.
상기 청소부(740)는, 내주면과, 외주면과, 하면(749)과 상면(7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부(740)의 내주면은, 청소 과정에서 상기 필터부(130)의 외면과 접촉하는 청소면(7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면(741)은 상기 필터부(130)와 마주보는 면으로서, 수직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면(741) 전체가 상기 필터부(130)의 원주 둘레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부(740)가 하강하면 상기 청소면(741)이 상기 필터부(130)의 외면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하면(749)은 수평면으로서, 상기 하면(749)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청소면(741)이 상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하면(749)과 상기 청소면(741)은 수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청소면(741)이 수직면이고 상기 하면(749)이 상기 청소면(741)과 수직한 수평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청소부(740)가 하강한 후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청소면(741)과 상기 하면(749)의 경계부가 상기 필터부(130)와의 마찰에 의해서 내측으로 말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청소면(741)과 상기 하면(749)이 내측으로 말리게 되면, 상기 청소면(741)과 상기 필터부(130)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어 상기 청소면(741)에 의한 상기 필터부(130)의 청소 성능이 저하되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청소면(741)의 직경은, 상기 필터부(130)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청소부(740)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청소부(740)가 하강하여 상기 청소면(741)이 상기 필터부(130)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청소부(740)가 상기 필터부(13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면(741)이 상기 필터부(130)와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청소면(741)이 상기 필터부(13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면(741)은 상기 필터부(130)를 압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청소면(741)이 상기 필터부(130)를 압착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130)를 청소하므로 상기 필터부(130)에 부착된 먼지가 효과적으로 상기 필터부(130)에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부(740)가 탄성 변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면서도 상기 청소면(741)의 둘레 전체가 상기 필터부(130)를 압착하므로, 상기 청소부(74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축(A1)에 대해서 상기 청소부(740)의 중심이 경사지더라도 상기 청소부(740)의 청소면(741)이 상기 필터부(130)를 압착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필터부(130)의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필터부(130)의 청소 성능이 향상되면서 상기 청소부(740)에서 상기 청소면(741) 측에서 탄성 변형이 잘 되도록, 상기 청소면(741)의 상하 길이는 상기 하면(749)의 반경 방향 길이(도면 상 좌우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청소부(740)의 내주면은 상기 청소면(741)의 상단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내측 경사면(7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측 경사면(742)이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므로, 상기 청소부(740)에서 상기 제 1 내측 경사면(742) 부분의 내경은 상측으로 갈수록 커진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측 경사면(742)는 상기 필터부(730)의 외주면과 이격된다.
상기 청소부(740)의 외주면은 상기 하면(749)의 외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외측 경사면(7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내측 경사면(742)의 경사 각도 보다 상기 제 1 외측 경사면(748)의 경사 각도가 크다.
따라서, 수직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청소부(740)에서 상기 제 1 내측 경사면(742)과 상기 제 1 외측 경사면(748) 사이의 두께는 하측으로 갈수록 줄어들게 된다.
이는, 상기 청소부(740)에서 상기 청소면(741)이 상기 필터부(730)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상기 청소부(740)의 탄성 변형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청소부(740)의 내주면은 상기 제 1 내측 경사면(742)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내측 수직면(7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수직면(743)은 상기 코어부(750)를 이중 사출로 상기 청소부(740)와 결합시킬 때, 상기 코어부(750)의 하측 단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청소부(740)의 외주면은, 상기 제 1 외측 경사면(748)의 상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외측 수직면(748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외측 수직면(748a)의 길이는 상기 내측 수직면(743)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수직면(743)은 상기 제 1 외측 수직면(748)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청소부(740)에서 상기 제 1 외측 수직면(748a)과 상기 내측 수직면(743) 사이의 두께가 제일 두껍다. 이는, 상기 청소부(740)에서 상기 제 1 외측 수직면(748a)과 상기 내측 수직면(743) 사이 부분은 변형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760)과 상기 코어부(750)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청소부(740)의 내주면은 상기 내측 수직면(743)의 상단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제 2 내측 경사면(7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부(740)의 외주면은 상기 제 1 외측 경사면의 상단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제 2 외측 경사면(748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내측 경사면(744)과 상기 제 2 외측 경사면(748b)의 경사 각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내측 경사면(744)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 1 외측 경사면(748a)의 경사 각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청소부(740)의 외주면은 상기 제 2 외측 경사면(748b)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외측 수직면(748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외측 수직면(748c)의 상단과 상기 제 2 내측 경사면(744)의 상단은 상면(746)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외측 수직면(748b)의 상단과 상기 제 2 내측 경사면(744)의 상단은 동일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부(740)의 상면(746)은 수평면이다.
상기 제 2 내측 경사면(744)에는 상기 코어부(75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 돌기(7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750)와 상기 청소부(740)의 결합력이 증가되도록, 복수의 결합 돌기(745)가 상기 청소부(74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각 결합 돌기(745)는 상기 제 2 내측 경사면(744)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 돌기(745)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 2 내측 경사면(744)의 법선과 소정 각도를 이룬다.
상기 결합 돌기(745)가 상기 제 2 내측 경사면(744)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면, 상기 청소부(740)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 돌기(745)가 상기 코어부(750)에서 분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청소부(740)에서 상기 제 1 외측 경사면(748)의 일부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외측 경사면(748)은 함몰부(7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747)의 기능 및 위치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코어부>
상기 코어부(750)는, 상기 청소부(740)의 상면(746) 및 내주면 일부와 접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코어부(750)는, 상기 청소부(740)의 제 2 내측 경사면(744)과 접촉하는 외측 경사면(75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경사면(758)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향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외측 경사면(758)의 경사 각도는 상기 청소부(740)의 제 2 내측 경사면(744)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다. 상기 외측 경사면(758)의 전체 면은 상기 제 2 내측 경사면(744)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750)는, 상기 외측 경사면(758)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내측 수직면(7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수직면(751)은 상기 청소부(740)의 내측 수직면(743)과 상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코어부(750)의 내측 수직면(751)과, 청소부(740)의 내측 수직면(743)은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코어부(750)는, 상기 내측 수직면(75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내측 경사면(7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경사면(752)의 경사 각도는 상기 외측 경사면(758)의 경사 각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코어부(750)는, 상기 청소부(740)의 결합 돌기(745)가 삽입되는 결합 홀(7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결합홀(753)이 상기 코어부(75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홀(753)은 수평 방향으로 상기 코어부(750)를 관통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홀(753)의 연장 방향은 상기 외측 경사면(758) 및 상기 내측 경사면(752)의 법선과 소정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각 결합홀(753)에서 일부는 상기 외측 경사면(758)과 상기 내측 경사면(752)을 관통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외측 경사면(758)과 상기 내측 수직면(743)을 관통한다.
상기 코어부(750)는 상기 외측 경사면(758)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면(7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면(757)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청소부(740)의 상면(746)의 반경 방향 길이보다 길다.
상기 코어부(750)의 수평면(757)은 상기 청소부(740)의 상면(746)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청소부(750)의 상면(746)의 전면이 상기 코어부(750)의 수평면(757)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코어부(750)는, 상기 수평면(757)의 외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외측 수직면(7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부(750)의 상면(754)은 상기 외측 수직면(756)의 상단과 상기 내측 경사면(752)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 수직면(756)의 상단과 상기 내측 경사면(752)의 상단은 동일한 높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부(750)의 상면(754)은 수평면이다.
상기 코어부(750)는 상기 프레임(760)의 결합 후크(782)가 결합되기 위한 후크 결합 슬롯(7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부(750)와 상기 프레임(760) 간의 체결력이 증가되도록, 복수의 후크 결합 슬롯(755)이 상기 코어부(75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각 후크 결합 슬롯(755)은 상기 코어부(750)의 상면(754)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각 후크 결합 슬롯(755)은 상기 외측 수직면(756)의 상측부와 상기 내측 경사면(752)의 상측부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상기 프레임(760)의 결합 후크(782)는 상기 각 후크 결합 슬롯(755)의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750)는, 상기 청소부(740)의 함몰부(747)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함몰부(7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상기 프레임(760)은, 상기 청소부(740)를 지지하고, 상기 코어부(750)와 결합되어 상기 청소부(74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상기 프레임(760)은, 상기 청소부(740)를 지지하는 내측 바디(761a)와, 상기 내측 바디(761a)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내측 바디(761a)의 외측에 위치되는 외측 바디(76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761a)는 전체적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바디(761b)는 상기 내측 바디(761a)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내측 바디(761a)는, 내측 바디 하면(7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 하면(761)은 일 예로 수평면일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761a)는, 상기 내측 바디 하면(761)의 내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내측 수직면(761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측 수직면(761c)은 상기 청소부(740)의 제 1 외측 수직면(748a)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 하면(761)은 상기 청소부(740)의 하면(749) 보다 높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부(730) 전체적으로 볼 때 상기 청소부(740)의 하면(749)이 최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내측 바디(761a)는, 상기 제 1 내측 수직면(761c)의 상단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제 1 내측 경사면(761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바디(761a)는, 상기 제 1 내측 경사면(761d)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내측 수직면(761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바디(761a)는, 상기 제 2 내측 수직면(761e)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면(7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측 경사면(761d)에는 상기 청소부(740)의 제 2 외측 경사면(748b)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내측 수직면(761e)에는 상기 청소부(740)의 제 2 외측 수직면(748c)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761a)의 수평면(780)은 상기 청소부(740)의 상면(749)과 동일한 높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부(750)의 수평면(757)은, 상기 내측 바디(761a)의 수평면(780)과 상기 청소부(740)의 상면(749)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 바디(761a)의 일부와 상기 코어부(750)의 일부는 상기 청소부(740)의 상측 일부를 둘러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761a)는 상기 수평면(780)의 외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내측 수직면(7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761a)의 제 2 내측 수직면(781)은 상기 코어부(750)의 외측 수직면(756)과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내측 수직면(781)의 상하 길이는 상기 코어부(750)의 외측 수직면(756)의 상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코어부(750)의 외측 수직면(756) 전체 면이 상기 제 2 내측 수직면(781)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761a)의 제 2 내측 수직면(781)에 상기 결합 후크(782)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 후크(782)가 상기 제 2 내측 수직면(781)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결합 후크(782)는, 상기 제 2 내측 수직면(781)의 상측부에서 내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코어부(750)의 상측은 상기 결합 후크(782)에 의해서 상방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코어부(750)의 하측은 상기 내측 바디(761a)의 수평면(780)에 의해서 하방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외측 바디(761b)는 상기 내측 바디(761a)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내측 바디(761a)를 전체적으로 둘러싸지 않고, 일부만을 둘러싼다.
이때, 상기 외측 바디(761b)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은 상기 본체(2) 내에서 상기 흡입부(5)와 인접한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 바디(761a) 중에서 상기 외측 바디(761b)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는 부분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76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761a)의 함몰부, 상기 코어부(750)의 함몰부(757) 및 상기 청소부(740)의 함몰부(747)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761a)에서 상기 함몰부(767)가 형성되는 부분의 높이는 상기 함몰부(767)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가동부(730)에서 상기 함몰부(767, 757, 747)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입부(5)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흡입부(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730)가 하강하여 상기 먼지통(112) 내의 먼지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반력에 의해서 상기 내측 바디(761a)와 상기 외측 바디(761b)의 간의 상대 변형이 방지되도록, 상기 내측 바디(761a)과 상기 외측 바디(761b)는 하나 이상의 연결 리브(769)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760)은, 상기 내측 바디(761a)와 상기 외측 바디(761b)의 경계 부위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가이드(7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가이드(765)의 상하 길이는 상기 내측 바디(761a) 및 상기 외측 바디(761b)의 상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가이드(765)의 하단은 상기 내측 바디(761a) 및 상기 외측 바디(761b) 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프레임 가이드(765)는, 평면인 안내면(765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면(765a)은 공기가 상기 흡입부(5)를 통해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나선 유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 가이드(765)의 배치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 가이드(765)의 하단이 상기 내측 바디(761a) 및 상기 외측 바디(761b) 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상기 가동부(73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프레임 가이드(765)가 상기 먼지통(112)에 저장된 먼지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760)은, 상기 외측 바디(761b)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압 리브(7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리브(762)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리브(762)는 상기 가동부(73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먼지통(112)에 저장된 먼지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가압 리브(762)는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가압 리브(762)가 먼지를 가압하는 가압 면적이 작다. 따라서, 먼지의 압축 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프레임(760)은 상기 가압 리브(762)의 내주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 리브(76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지 압축 효과가 더욱 증대되도록, 복수의 보조 리브(762a)가 상기 가압 리브(762)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보조 리브(762a)는 상기 연결 리브(769)의 하방에서 연장되거나, 상기 연결 리브(769)와 별개로 상기 내측 바디(761a)와 외측 바디(761b)를 연결하면서 상기 가압 리브(762) 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리브(762a)가 먼지를 압축할 수 있으면서, 상기 대기 위치에서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보조 리브(762a)는 경사면(762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경사면(762b)은 상기 보조 리브(762a)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리브(762b)의 돌출 길이는 하측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리브(762b)의 하단은 상기 가압 리브(762)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760)은 상기 가압 리브(762)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763)와, 상기 연장부(763)에 형성되는 결합부(7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장부(763)와 상기 결합부(764)를 상기 프레임(760)을 상기 전달부(720)와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764)에는 상기 전달부(7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763)는 일 예로 상기 가압 리브(762)의 외주면 최하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763)의 연장선은 상기 프레임(760)의 중심을 지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710)의 조작력이 상기 전달부(720)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760)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763)의 좌우 두께는 상기 결합부(764)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764)는 대략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764)에는 상기 전달부(720)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76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764a)은 상기 결합부(764)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7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통 형태의 긴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전달부(720)가 상기 가이드 바디(180)를 관통한 상태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전달부(720)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720)의 하단은 상기 결합부(764)의 상측에서 상기 수용홈(764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764)는 상기 수용홈(764a)에 수용된 상기 전달부(720)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면(764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750)가 상기 수용홈(764a)에 수용되어 상기 안착면(764b)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S1)가 상기 결합부(764)의 하측에서 상기 전달부(72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S1)는 일 예로 볼트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764)의 바닥에는 상기 볼트의 헤드가 수용되는 수용홈(764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부(720)에는 체결부재(S1)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7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S1)는, 상기 수용홈(764c)과 상기 안착면(764b)을 관통하는 체결홀(764d)을 지나 상기 전달부(720)의 체결홈(722)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720)가 상기 결합부(76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달부(720)는 상기 프레임(760)의 외주면(외측 바디의 외주면)과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청소부(740)는 이중 사출에 의해서 상기 코어부(750) 및 상기 프레임(76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동부가 대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가동부(730)는 대기 위치에서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가동부(730)가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외측을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730)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외주면은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수용 공간(17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171)에 상기 가동부(73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외주면은 상기 청소부(740)의 청소면(741)이 접촉하는 접촉면(1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175)은 상기 가동부(730)의 외주면의 수용 공간(171)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접촉면(175)은 상기 청소면(741)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수직면일 수 있다. 상기 접촉면(175)의 상하 길이는 상기 청소면(741)의 상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청소면(741)의 전체 면이 상기 접촉면(175)과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기 가이드(170)에서 상기 접촉면(175)이 형성되는 부분의 외경은 상기 청소부(740)에서 상기 청소면(741)이 형성되는 부분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청소부(740)가 접촉면(175)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면(741)이 상기 접촉면(175)과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청소면(741)이 상기 접촉면(175)을 압착한 상태로 존재하므로, 상기 청소면(741)과 상기 접촉면(175) 과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상기 조작부(710)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청소면(741)이 상기 접촉면(175)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수용 공간(171)에 상기 가동부(73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730)와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외주면 사이로 이물질이 인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공기 가이드(170)는 접촉 돌기(172)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760)은 상기 접촉 돌기(172)가 안착되는 돌기 안착홈(76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 돌기(172)는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외주면 상측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접촉 돌기(172)는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 돌기(172)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안착홈(768)은 상기 프레임(760)의 상면 테두리가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안착홈(768)도 링 형태의 접촉 돌기(172)가 안착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청소면(741)과 상기 돌기 안착홈(768)이 각각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접촉면(175)과 상기 접촉 돌기(172)와 접촉된다.
따라서, 두 개의 접촉 지점이 상기 공기 가이드(170)와 상기 가동부(730)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의 상측에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배출 가이드(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 가이드(150)는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하측 둘레에는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테두리 부분이 위치되기 위한 결합 공간(175)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결합 공간(175)에 의해서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일부는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상면(151)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공기 가이드(170)는 상기 접촉면(175)의 하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1 면(173)과, 상기 제 1 면(173)의 내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면(17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면(173)과 상기 제 2 면(174)이 상기 결합 공간(175)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상기 제 1 면(173)이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상면(171)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배출 가이드(150)는 외주면(152)을 포함한다. 상기 가동부(730)가 하강할 때, 상기 배출 가이드(150)와 간섭 없이 상기 청소부(740)가 원활히 하강하도록,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외주면(152)의 직경은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접촉면(175)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직경차는 D1임).
또한, 상기 청소부(740)의 청소면(741)이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접촉면(175)을 벗어난 시점에서 상기 청소부(740)의 하강이 원활해지도록, 상기 배출 가이드(150)는 테이퍼면(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면(153)은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상면(151)과 외주면(152)을 연결하는 경사면이다. 상기 테이퍼면(153)은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외주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 가이드(150)에서 외주면(152)의 최소 직경과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접촉면(175)의 직경은 D2 만큼 차이가 있다. 즉, 상기 배출 가이드(170)의 외주면 상단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으며, 함몰 깊이는 상단부가 최대이다.
따라서, 상기 청소부(740)의 청소면(741)이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접촉면(175)을 벗어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청소면(741)이 상기 테이퍼면(153)을 향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청소부(740)의 청소면(741)은 상기 테이퍼면(153)의 적어도 일 지점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청소부(740)의 청소면(741)의 직경은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외주면(152)의 최대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청소면(741)이 상기 테이퍼면(153)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부(740)가 지속적으로 하강하게 되면, 상기 청소면(741)이 다시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외주면(152)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탄성 변형된 상태로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외주면(152)과 접촉하면서 하강한다.
도 17은 도 15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 가이드(150)는, 상기 공기 가이드(170)가 안착되는 안착면(1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하면에 실링부재(179)가 결합되고, 상기 실링부재(179)가 상기 안착면(156)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내주면은 다단으로 형성되며, 제 1 내주면(157)과 제 2 내주면(15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내주면(157)의 직경은 상기 제 2 내주면(158)의 직경 보다 작다. 물론,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내주면이 단일 직경의 하나의 내주면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기 가이드(170)가 상기 배출 가이드(150)에 안착되면,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제 2 면(174)이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제 1 내주면(157)과 마주볼 수 있다.
상기 배출 가이드(150)와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결합 시 조립 공차를 감안하여, 상기 제 1 내주면(157)의 직경은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제 2 면(174)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 가이드(150)에서 외주면(152)의 최소 직경과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접촉면의 직경의 차이(D2) 보다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제 1 내주면(157)의 직경과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제 2 면(174)의 직경 차이(D3)가 작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D3는 D2의 1.7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립 오차에 의해서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제 1 내주면(157) 중 일부가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제 2 면(174)에 접촉할 정도로 가까워지는 경우, 해당 부분의 반대편 부분에서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제 1 내주면(157)의 직경과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제 2 면(174)의 직경 차이가 D3 보다 증가될 수 있다.
설령,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제 1 내주면(157)의 직경과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제 2 면(174)의 직경 차이가 증가되더라도 D3 보다 D2가 크도록 설계되므로, 상기 배출 가이드(150)에서 외주면(152)에서 직경이 최소인 부분이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접촉면(1754) 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5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하측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일부가 원통 형태의 필터부(130)에 수용된다.
상기 배출 가이드(150)는 상기 필터부(130)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58)가 상기 필터부(130) 내에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158)의 외주면(158a) 직경은 상기 필터부(130)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삽입부(158)가 상기 필터부(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일부는 상기 필터부(130)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배출 가이드(150)에 외주면(152)에 접촉되어 있는 상기 청소부(740)의 청소면(741)이 하강 과정에서 상기 필터부(130) 측으로 원활히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130)의 외경은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외주면(152)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부(740)의 청소면(741)이 상기 배출 가이드(150)의 외주면(152)에서 상기 필터부(130)의 외면으로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130)의 외경은 상기 청소면(741)의 직경 보다 크다.
도 19는 본 발명의 필터부의 하측이 먼지 가이드에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먼지 가이드(160)는,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2)를 형성하는 저장벽(161)과, 상기 저장벽(161)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를 지지하는 지지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벽(161)은 수평 단면이 원형을 가지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의 공간이 최대화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먼지 가이드(160)는, 상기 저장벽(161)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비산 방지 리브(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산 방지 리브(162)는 일 예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벽(161)의 상측부를 상기 저장벽(161)과 이격된 상태에서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저장벽(161)이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저장벽(161)의 외주면과 상기 비산 방지 리브(16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싸이클론 유동은 상기 제 1 바디(10)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싸이클론 유동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싸이클론 유동이 상기 바디 커버(114)에 도달하게 되면, 회전 유동이 다시 상승 유동으로 변화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 내에서 상승 유동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에 저장된 먼지가 비산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 내의 상승 유동은 상기 비산 방지 리브(162)와 상기 저장벽(161) 사이 공간에서 상기 비산 방지 리브(162)에 의해서 다시 하강 유동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에 저장된 먼지의 비산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먼지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 측으로 역류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비산 방지 리브(162)는 상기 저장벽(161)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싸이클론 유동과 함께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비산 방지 리브(162)에 의해서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로 원활히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64)는 상기 필터부(130)의 하측에 삽입되는 삽입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4)의 삽입부(165)가 상기 필터부(130)의 하측에 삽입되면, 상기 필터부(130)의 하단은 상기 지지부(164)에서 삽입부(165)의 둘레에 위치되는 지지면(166)에 안착된다.
상기 지지면(166)에 상기 필터부(13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부(740)는 하강하면서 상기 필터부(130)를 지나게 된다.
상기 청소부(74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164)의 외주면(167)이 상기 청소부(74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부(164)의 외주면(167)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64)의 외주면(167)은 하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64)의 외주면의 최대 직경은 상기 필터부(130)의 외주면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부(730)의 하강 과정에서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에 저자된 먼지가 압축되는데, 상기 지지부(164)의 외주면(167)이 내측으로 경사지면, 압축된 먼지가 쉽게 하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지지부(164)와 상기 저장벽(161)의 경계 부위에서 상기 비산 방지 리브(162)가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비산 방지 리브(162)의 외주면은 상기 지지부(164)의 외주면(167)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즉, 상기 비산 방지 리브(162)의 외주면 외경은 하측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도 20은 도 1의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의 E-E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22는 도 1의 F-F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조작부(710)는, 상기 핸들부(3) 내측에 위치되는 제 1 부분(711)과, 상기 제 1 부분(71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핸들부(3)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 2 부분(7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713)이 상기 핸들부(3)의 외측에 위치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 2 부분(713)의 상면을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710)에서 상기 제 2 부분(713)를 누름부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711)은 상기 제 2 바디(20)의 외주면과 마주보며, 상기 제 2 바디(20)의 외주면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제 1 측면부(71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20)에는 상기 제 1 부분(711)의 일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190)는 상기 제 2 바디(2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711)이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리브(190)는 수평 방향으로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부분(711)은 상기 가이드 리브(190)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로 라운드지는 제 2 측면부(71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부분(711)의 제 1 측면부(711a)는 상기 제 2 바디(20)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 1 부분(711)의 제 2 측면부(711b)는 상기 가이드 리브(190)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711)의 복수의 지점이 주변 구조물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710)가 하강하면, 하강 과정에서 상기 조작부(710)가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상기 조작부(710)의 안정적인 하강이 가능하게 된다(상승의 경우도 동일함).
상기 제 1 부분(711)에 상기 전달부(720)가 연결된다. 상기 제 1 부분(711)에는 상기 전달부(720)의 일부가 끼워지는 끼움홈(712)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710)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달부(720)와 상기 조작부(710)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전달부(720)에서 상기 끼움홈(712)에 삽입되는 부분(724)의 수평 단면은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끼움홈(712)의 단면도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712)은 상기 제 1 부분(711)의 하면이 상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710)는, 상기 제 1 부분(711)과 상기 제 2 부분(713)의 사이에 구비되는 목부(7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부(714)는 상기 제 1 부분(711) 및 상기 제 2 부분(713)의 수평 방향 폭 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목부(714)는 상기 핸들부(3)의 슬롯(310)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슬롯(310)에 상기 목부(714)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 바디(30)는 상기 목부(714)에 접촉하는 가이드 단부(7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부(714)의 일측은 상기 제 2 바디(20)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가이드 단부(311)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단부(311)는 상기 목부(714)에 면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 단부(311)가 상기 조작부(710)의 목부(714)에 접촉하면, 상기 조작부(710)의 하강 과정에서 상기 조작부(710)가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현상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상기 조작부(710)의 안정적인 하강이 가능하게 된다(상승의 경우도 동일함).
상기 제 2 부분(713)을 사용자가 눌러야 하므로, 상기 제 2 부분(713)의 수평 방향 폭은 상기 제 1 부분(711)의 수평 방향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바디(20)와 상기 핸들 바디(30)의 경계 부위에서 상기 제 2 부분(713)을 누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제 2 부분(713)은 상기 목부(714)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바디(20)의 외주면에서 멀어지는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부분(713)은 상기 제 2 바디(20)의 외주면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부분(713)은 상기 제 2 바디(20)의 외주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는 측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부분(713)이 상기 제 2 바디(20)의 외주면에서 멀어지는 형태로 절곡됨에 따라서, 상기 조작부(710)가 하강할 때, 상기 제 2 부분(713)이 상기 슬롯(310)을 가리면서 하강하여, 상기 슬롯(310)을 통해 상기 핸들부(3) 내측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바디(20)의 외주면에 대해서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달부(720)를 지나는 가상선(A2)은 상기 제 2 부분(713)을 지나거나 상기 제 2 부분(713)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3)를 오른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3)의 좌측에 상기 조작부(710)의 제 2 부분(713)이 위치하고, 상기 제 2 부분(713)이 상기 핸들부(3)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부분(713)이 상기 목부(714)에서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710)의 제 2 부분(713)을 쉽게 확인하여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190)에는, 상기 청소 기구(70)가 대기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71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790)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790)가 상기 조작부(710)를 지지하면, 상기 청소 기구(70)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청소 기구(70)가 의도치 않게 하강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부재(790)는, 제 1 탄성 바디(792)와, 상기 제 1 탄성 바디(792)의 상단에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조작부(710)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바디(794)와, 상기 지지 바디(794)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제 2 탄성 바디(79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탄성 바디(79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측 일부가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제 1 탄성 바디(792)는 일 예로 "L"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탄성 바디(792)는 수직 연장부(792a)와, 수평 연장부(79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장부(792a)는 상기 가이드 리브(19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190)에서 수평 방향으로 지지 리브(191)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리브(191)에 상기 제 1 탄성 바디(792)의 수평 연장부(792b)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탄성 바디(792)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 리브(1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리브(192)는 일 예로 "L"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리브(19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리브(192a)와, 상기 수직 리브(192a)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리브(19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리브(192a)와 상기 가이드 리브(190) 사이에 상기 수직 연장부(792a)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리브(191)와 상기 수평 리브(192b) 사이에 상기 수평 연장부(792b)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탄성 바디(792)의 상하 이동 및 수평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수직 연장부(792a)는 상기 수직 리브(192a) 및 상기 가이드 리브(190)와 접촉하고, 상기 수평 연장부(793)는 상기 지지 리브(191) 및 상기 수평 리브(192b)와 접촉한다.
상기 수직 연장부(792a)의 일부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연장부(792a)의 상하 길이 보다 상기 수직 리브(192a)의 상하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 리브(192a)는 상기 수직 연장부(792a)의 일부분에만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수직 리브(192a)에서 상기 수직 연장부(792a)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리브(192a)가 탄성 변형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직 연장부(792a)가 상기 수직 리브(192a)에 의해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수직 리브(192a)의 상면에는 경사면(19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92c)은 상기 수직 리브(192a)의 상단에서 상기 수직 연장부(792a)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바디(794)는, 상기 수직 연장부(792)의 상단에서 상기 전달부(7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 1 경사부(794a)와, 상기 제 1 경사부(794a)의 상단에서 상기 전달부(7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 2 경사부(79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190)에는 상기 지지 바디(794)가 통과하기 위한 슬롯(19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720)는 상기 가이드 리브(190)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지지 바디(794)는 상기 슬롯(194)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리브(190)와 상기 전달부(720)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바디(794)가 상기 조작부(710)의 제 1 부분(711)의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 바디(794)가 상기 조작부(710)의 제 1 부분(711)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경사부(794a) 및 상기 제 2 경사부(794b)의 수평 방향 길이는 상기 슬롯(194)의 수평 방향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바디(784)가 상기 조작부(710)의 제 1 부분(711)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전달부(720)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 1 경사부(794a) 및 상기 제 2 경사부(794b)의 수평 방향 길이는 상기 수직 연장부(792a)와 상기 전달부(720)의 수평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710)의 제 1 부분(711)의 하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경사부(794b)에 접촉한다.
상기 조작부(710)의 제 1 부분(711)의 하면이 상기 제 2 경사부(794b)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청소 기구(70)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지지 바디(794)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청소 기구(70)가 하측으로 쳐지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슬롯(194)은 상기 제 1 경사부(794a)가 접촉하는 제 1 경사면(194a)과 상기 제 2 경사부(794b)가 접촉하는 제 2 경사면(19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탄성 바디(796)는, 상기 제 2 경사부(794b)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탄성 바디(796)는 상기 가이드 리브(190)와 접촉하여, 상기 지지 바디(794)가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경사부(794a) 및 상기 제 2 경사부(794b)의 경사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 부재(790)에서 상기 지지 바디(794)는, 상기 조작부(710)의 상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790)는 상기 조작부(710)를 조작하기 전에는 상기 조작부(710)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710)가 조작되어 상기 조작부(710)가 상기 탄성 부재(790)를 가압하여 상기 탄성 부재(790)가 변형된 이후에는 상기 탄성 부재(790)는 상기 조작부(710)로 탄성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상기 조작부(710)의 조작 초기에 상기 탄성 부재(790)를 변형시키기 위하여 상기 탄성 부재(790)의 탄성력 보다 큰 힘을 가하고, 상기 탄성 부재(790)가 변형된 이후에는 상기 탄성 부재(790)의 탄성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710)를 누르므로, 상기 조작부(710)에 가해지는 힘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조작부(71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 부재(790)가 지속적으로 상기 조작부(710)로 탄성력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상기 조작부(710)를 조작하는 힘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바디(10)의 외측에 상기 가이드 바디(1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180)는 상기 제 1 바디(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 바디(180)의 상측벽(181)은 상기 전달부(72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720)는 상기 가이드 바디(181)의 상측벽(181)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181)의 상측벽(181)은 실질적으로 수평면이며, 상기 전달부(720)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18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달부(720)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개구(182)를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182)를 관통한 상태에서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전달부(720)가 관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달부(720)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개구(182)의 크기를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바디(10) 내의 공기 및 먼지가 상기 개구(182)를 통해 외부로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720)가 상기 가이드 바디(180)의 상측벽(18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전달부(720)가 원활하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182)의 일부분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개구(182)는 하측 경사면(183)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개구(182)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달부(720)는 상기 개구(182)의 둘레면 중 일부와 접촉하고 다른 일부와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전달부(720)와 상기 개구(182)의 둘레면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어 상기 개구(182)의 둘레면과 상기 전달부(720) 간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상기 전달부(720)가 원활히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760)에서 상기 전달부(720)가 결합되는 결합부(764)는 상기 개구(182)의 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개구(182)를 관통한 상기 전달부(720)가 상기 결합부(76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764)의 직경은 상기 개구(182)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764)는 상기 상측벽(181)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764)가 상기 개구(182)를 차폐한다.
따라서, 상기 대기 위치에 상기 가동부(730)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바디(10) 내의 공기 및 먼지가 상기 개구(182)를 통해 누설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청소 기구(70)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710)를 일 방향으로 조작하면 하강할 수 있으며, 상기 청소 기구(70)가 하강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부(710)를 사용자가 타 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대기 위치까지 복귀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청소기(1)에는 상기 청소 기구(70)를 하강 위치에서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복귀 수단은 상기 청소 기구(70)가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청소 기구(70)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복귀 수단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상기 청소 기구(70)는 상기 대기 위치에서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청소 기구(70)의 대기 위치에서 상기 청소 기구(70)가 3부분에서 지지되기 때문이다.
첫 째로, 상기 탄성 부재(780)에 의해서 상기 조작부(710)의 제 1 부분(711)이 지지되어, 상기 청소 기구(70)의 자중에 의한 하강이 제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780)는 상기 조작부(710)의 하강 구간 중 초기 구간 외의 구간에서는 상기 조작부(710)로 탄성력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두 번째로, 상기 전달부(720)와 상기 개구(182)의 둘레면 간의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청소 기구(70)의 자중에 의한 하강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달부(720)가 상기 개구(182)의 둘레면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상기 전달부(720)와 상기 개구(182)의 둘레면 간의 마찰력이 상기 청소 기구(70)의 지지력으로 작용한다.
세 번째로,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접촉면(175)과 상기 청소부(740)의 청소면(741) 간의 접촉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청소 기구(70)의 자중에 의한 하강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은 세 가지 구조에 의해서 상기 청소 기구(70)의 복귀를 위한 복귀 수단이 불필요하므로, 상기 복귀 수단을 형성하고 배치하기 위한 구조가 생략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귀 수단으로 먼지가 끼여 상기 복귀 수단이 원활히 작동하지 못함에 따라 청소 기구(70)가 원활히 이동하지 못하는 현상이 없어질 수 있다.
도 23은 도 3의 G-G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바디의 내측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바디의 가이드 바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바디(180)는 상기 제 1 바디(10)의 일부가 외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되는 구조로서, 상기 가이드 바디(180)는 상기 전달부(720) 및 상기 결합부(764)의 이동을 위한 이동 공간(188)을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 바디(180)는 일 예로 상기 제 1 바디(10)에서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바디(180)의 수평 단면은 대락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공간(188)은 상기 제 1 바디(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상기 제 1 바디(10)의 내부 공간과 상기 가이드 리브(180)의 이동 공간(188)은 연통홀에 의해서 연통된다.
상기 연통홀은, 상부 홀(185)과 상기 상부 홀(185)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홀(185)의 폭 보다 큰 폭을 가지는 하부 홀(18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홀(186)의 폭이 상기 상부 홀(185)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가동부(730)의 결합부(764)를 상기 하부 홀(186)을 통해 상기 이동 공간(188)으로 쉽게 인입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가동부(730)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홀(186)의 폭(W1)은, 상기 결합부(764)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764)가 하부 홀(186)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764)의 외주면은 상기 가이드 바디(180)의 내주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청소 기구(70)의 승하강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764)와 상기 가이드 바디(180)의 내주면이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바디(10)에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리브(187)가 구비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한 쌍의 리브(187)가 상기 상부 홀(185)을 정의한다. 즉, 상기 한 쌍의 리브(187) 사이에 상기 상부 홀(185)이 위치된다.
상기 상부 홀(185)의 폭이 줄어들도록 상기 제 1 바디(10)의 이동 공간 중 상측 공간에 대응되는 부분에 한 쌍의 리브(187)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리브(187) 간의 간격, 즉 상기 상부 홀(185)의 폭은 상기 결합부(764)의 직경 보다는 작고, 상기 프레임(760)의 연장부(763)의 수평 방향 폭 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바디(10)의 상부 측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선회할 때, 먼지가 상기 이동 공간(188)으로 인입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180)의 하측벽(188)은 상기 제 1 바디(10)의 하단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되며, 상기 하측벽(188)에는 하부 개구(18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구(189)는, 조립 과정에서, 상기 가동부(730)를 상기 제 1 바디(710) 내에 위치시키고, 상기 결합부(764)를 상기 가이드 바디(180)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764)와 상기 전달부(720)를 체결하기 위한 도구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개구(189)에는, 조립 완료 후, 공기 누설의 방지를 위하여, 실링 부재(8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실링 부재(80)는 상기 하부 개구(189)를 통해 상기 가이드 바디(180) 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부(8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 부재(80)는 상기 삽입부(81)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81) 보다 큰 수평 단면적을 가지는 스토퍼(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81)는 일 예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의 결합 수단이 없어도 상기 삽입부(81)를 상기 가이드 바디(180) 내부로 끼움으로써, 상기 실링 부재(80)가 상기 가이드 바디(18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80)의 상면은 상기 제 1 바디(10)의 중심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즉, 상기 실링 부재(80)는 경사면(8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83)의 중 최저점은 상기 하부 홀(186)과 가장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하부 홀(186)의 최저점(186a)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180) 내의 이동 공간(188)은 상기 제 1 바디(10) 내부의 공간과 연통되므로, 청소기(1)를 이용한 청소 과정에서 상기 제 1 바디(10) 내의 먼지가 상기 이동 공간(188)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공간(188)으로 이동된 먼지는 상기 실링 부재(80)의 상면으로 낙하된다. 이때, 상기 실링 부재(80)의 상면이 경사면(83)이므로, 상기 실링 부재(80)의 경사면(83)으로 낙하된 먼지가 상기 제 1 바디(10) 내부로 원활히 인입될 수 있다.
설령, 상기 실링 부재(80)의 경사면에 먼지가 쌓인 상태로 존재하더라도 상기 청소 기구(70)의 작동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764)가 상기 경사면(83) 상에 위치하는 먼지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경사면(83)의 상의 먼지가 상기 경사면(83)을 따라 상기 제 1 바디(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도 26은 도 3의 H-H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27은 도 3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부(5)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축(A5)은 상기 본체(2)에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상기 본체(2) 내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기가 상기 제 1 바디(10)로 접선 방향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 1 바디(10)의 내주면(101)을 따라 유동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부(5) 내에는 상기 흡입부(5)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 1 바디(10)로 접선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 가이드(5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부(5)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유입 가이드(52)에 의해서 방향 전환되어 상기 제 1 바디(10)로 인입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청소 기구(70)가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7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입부(5)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본체(2)의 바닥을 기준으로 상기 가동부(7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입부(5)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상기 가동부(730)가 상기 흡입부(5)와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좋으나, 이 경우, 상기 본체(2)의 높이가 증가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가동부(730)는 청소 과정에서 상기 필터부(730)의 외주면과 상기 제 1 바디(10)의 내주면(101) 사이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730)를 청소한다.
따라서, 상기 가동부(730)의 외주면은 상기 제 1 바디(10)의 내주면(101)과 인접하게 위치된다.
상기 흡입부(5)에서 상기 제 1 바디(10)로 인입되는 경로 상에 상기 가동부(730)가 위치되면, 상기 가동부(730)가 유동 저항으로 작용하므로 유동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동부(730)가 상기 제 1 바디(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가동부(73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바디(10)의 내주면(101)과 상기 가동부(73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이 증가되도록 하기 위한 함몰부(767)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부(730) 중에서 상기 유입 가이드(52)의 제 1 연장선(A3)과, 상기 제 1 연장선(A3)과 평행하면서 상기 제 1 바디(10)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선(A4)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에 상기 함몰부(767)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연장선(A4)과 상기 제 1 바디(10)의 중심 사이에 상기 제 1 연장선(A3)이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767)의 함몰 깊이 만큼 상기 가동부(730)의 외주면과 상기 제 1 바디(10)의 내주면(101) 사이 공간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부(5)를 통해 상기 제 1 바디(10)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가동부(730)와 직접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가이드(765)가 상기 유입 가이드(52)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지속적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 가이드(765)는 상기 제 1 연장선(A3) 상에 위치되거나 상기 프레임 가이드(765)의 연장 방향이 상기 제 1 연장선(A3)과 나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바디(10) 내에 상기 필터부(130)와 상기 제 1 바디(10) 내주면(101) 사이 공간에 상기 가동부(730)가 위치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 1 바디(10)의 크기 증가없이 상기 가동부(730)의 이동이 가능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가동부(730)는 상기 제 1 바디(10)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형성되는 면인 내주면(101)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전달부(720)는, 상기 제 1 바디(10)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형성되는 면인 내주면(101)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부(720)는, 상기 프레임(760)의 연장부(763)와 상기 결합부(764)에 의해서 상기 가동부(73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전달부(720)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형성되는 내주면의 반경 방향 외측 및 상기 먼지통(112)의 내주면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720)가 상기 조작부(710)의 조작력을 상기 가동부(730)로 전달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전달부(720)가 상기 제 1 바디(10) 내부의 구조물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기구가 하강한 상태에서 청소 기구와 필터부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청소 기구가 하강하여 먼지통 내의 먼지를 압축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도 5,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청소 기구(70)가 상기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청소기(1)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2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흡입부(5)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먼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2)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서로 분리된다.
공기와 분리된 먼지는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1)에 저장된다.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130)를 지난 후에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로 유동한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에서 공기와 분리된 먼지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에서 배출된 후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2)에 저장된다. 반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배출 가이드(150)를 통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에서 배출된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공기 가이드(170)에 의해서 상승한 후에 상기 흡입 모터(220)를 지난 후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배출된다.
청소를 완료한 후에,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710)를 가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조작부(710)의 조작력이 상기 전달부(720)를 통해 상기 가동부(73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조작부(710)의 하강력에 의해서 상기 가동부(730)가 하강하게 된다.
상기 가동부(73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동부(730)는 세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첫 째로, 상기 가동부(730)는 상기 필터부(130)의 청소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동부(73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청소부(740)의 청소면(741)이 상기 필터부(130)와 접촉하고, 상기 청소면(741)이 상기 필터부(130)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730)가 계속 하강하므로, 상기 청소면(741)에 의해서 상기 필터부(130)가 청소될 수 있다.
둘째로, 상기 바디 커버(114)가 상기 제 1 바디(10)의 하측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73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동부(730)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 내의 먼지를 압축할 수 있다.
셋째로, 상기 바디 커버(114)가 상기 제 1 바디(10)의 하측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73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동부(730)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 내의 먼지를 상기 제 1 바디(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필터부(130)와 상기 제 1 바디(10) 내주면(101) 사이에 위치되는 먼지를 상기 가동부(730)가 하방으로 밀어 상기 제 1 바디(10)에서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바디 커버(114)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청소 기구(70)를 복수 회 하강시켜 먼지를 압축하고, 그 다음 상기 바디 커버(114)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청소 기구(70)를 하강시켜 먼지가 상기 제 1 바디(10)에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부(730)는 상기 필터부(130)를 청소하면서 하강하고, 상기 가동부(73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동부(730)가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에 저장된 먼지와 접촉되면, 상기 가동부(730)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를 압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부(730)가 하강할 때, 상기 프레임 가이드(765) 및 상기 가압 리브(762) 중 하나 이상이 먼저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 내의 먼지를 압축할 수 있고, 상기 가동부(730)의 추가 하강에 의해서 상기 가동부(730)의 나머지 부분이 먼지를 압축할 수 있다.
도 28과 같이 상기 결합부(764)는 상기 프레임(760)에서 실질적으로 최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764)가 상기 가동부(730)에서 하측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결합부(764)와 상기 조작부(710) 간의 거리(D4)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764)와 상기 조작부(710)의 거리(D4)는 상기 청소 기구(70)의 상하 이동을 위한 스트로크를 결정하는데, 상기 결합부(764)와 상기 조작부(710) 간의 거리(D4)가 증가되면, 상기 청소 기구(70)의 상하 이동 스트로크가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청소 기구(70)의 상하 이동 스트로크가 증가되면,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12)에 저장되는 먼지의 압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1: 청소기 2: 본체
3: 핸들부 110: 제 1 싸이클론부
112: 먼지통 130: 필터부
70: 필터 기구 710: 조작부
720: 전달부 730: 가동부
740: 청소부

Claims (1)

  1.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먼지에서 먼지를 분리시키키기 위한 싸이클론부와, 상기 싸이클론부의 하측에서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싸이클론부 내에 배치되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싸이클론부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 과정에서 상기 필터부의 외측 둘레를 청소하는 청소부를 구비하는 가동부;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동부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부; 및
    상기 본체를 관통하며 상기 가동부와 조작부를 연결시키는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먼지 분리부 내에서 먼지 분리 과정에서 상기 필터부의 둘레를 둘러싸지 않는 위치인 대기 위치에 대기하고,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가동부가 이동하여 상기 청소부가 상기 필터부의 외면의 먼지를 제거하며,
    상기 가동부는, 상기 흡입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입부를 바라보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KR1020200040200A 2018-09-14 2020-04-02 청소기 KR102369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200A KR102369480B1 (ko) 2018-09-14 2020-04-02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019A KR102098784B1 (ko) 2018-09-14 2018-09-14 청소기
KR1020200040200A KR102369480B1 (ko) 2018-09-14 2020-04-02 청소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019A Division KR102098784B1 (ko) 2018-09-14 2018-09-14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199A true KR20200037199A (ko) 2020-04-08
KR102369480B1 KR102369480B1 (ko) 2022-03-04

Family

ID=8081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200A KR102369480B1 (ko) 2018-09-14 2020-04-02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4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897A1 (ko) * 2020-05-22 202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WO2021235896A1 (ko) * 2020-05-22 202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WO2021261811A1 (ko) 2020-06-22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WO2022010198A1 (ko) 2020-07-09 2022-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527A (ko) * 2000-03-24 2001-10-18 마찌다 가쯔히꼬 전기 진공 청소기
KR20040085308A (ko) * 2003-03-31 2004-10-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집진장치의 필터청소기구
JP3699679B2 (ja) * 2001-12-28 2005-09-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100606794B1 (ko) * 2004-10-08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싸이클론 집진장치
US20080264011A1 (en) * 2007-04-30 2008-10-30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Dust compress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100871484B1 (ko) * 2004-12-14 200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880492B1 (ko) * 2005-05-12 200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1649250B1 (ko) * 2012-11-20 2016-08-18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진공 청소기
KR20180023790A (ko) *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180053614A (ko) * 2018-05-09 2018-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JP6366750B2 (ja) * 2016-01-22 2018-08-01 ダイソン・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 真空掃除具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527A (ko) * 2000-03-24 2001-10-18 마찌다 가쯔히꼬 전기 진공 청소기
JP3699679B2 (ja) * 2001-12-28 2005-09-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20040085308A (ko) * 2003-03-31 2004-10-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집진장치의 필터청소기구
KR100606794B1 (ko) * 2004-10-08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0871484B1 (ko) * 2004-12-14 200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880492B1 (ko) * 2005-05-12 200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US20080264011A1 (en) * 2007-04-30 2008-10-30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Dust compress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101649250B1 (ko) * 2012-11-20 2016-08-18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진공 청소기
JP6366750B2 (ja) * 2016-01-22 2018-08-01 ダイソン・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 真空掃除具
KR20180023790A (ko) *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180053614A (ko) * 2018-05-09 2018-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897A1 (ko) * 2020-05-22 202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WO2021235896A1 (ko) * 2020-05-22 202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WO2021261811A1 (ko) 2020-06-22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WO2022010198A1 (ko) 2020-07-09 2022-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480B1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7199A (ko) 청소기
JP7282876B2 (ja) 掃除機
CN113853146B (zh) 吸尘器
CN112714624B (zh) 清洁器
KR20240049238A (ko) 청소기
KR20200031575A (ko) 청소기
KR102098784B1 (ko) 청소기
KR102097439B1 (ko) 청소기
EP3960060A1 (en) Cleaner
KR102369479B1 (ko) 청소기
EP3981306A1 (en)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