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279A -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279A
KR20010087279A KR1020010010827A KR20010010827A KR20010087279A KR 20010087279 A KR20010087279 A KR 20010087279A KR 1020010010827 A KR1020010010827 A KR 1020010010827A KR 20010010827 A KR20010010827 A KR 20010010827A KR 20010087279 A KR20010087279 A KR 20010087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door
door side
cov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5242B1 (ko
Inventor
이또히로아키
코하라히데야
하야까와마사히로
요꼬이겐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698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4034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92049A external-priority patent/JP4671499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10087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66B11/0213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66B11/0095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where multiple cars drive in the same hoist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상부 케이지와 하부 케이지 사이의 공간이 커버에 의해 덮이는, 권상로(hoistway)에서 함께 수직 이동 가능한 상부 케이지 및 하부 케이지를 포함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커버는 공간 주위로 흐르는 기류를 안내하여 난기류 소음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케이지 내의 고요함과 쾌적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DOUBLE DECK ELEVATOR}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권상로(hoistway)에서 함께 수직 이동 가능한 상부 케이지와 하부 케이지를 포함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케이지와 하부 케이지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이 난기류 소음을 줄이고 케이지 내의 쾌적함을 증대시키는 커버로 덮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도 23, 24, 및 25에 도시된 종래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 권상로(1)에는 권상로(1)의 내벽을 따라 수직 연장된 한 쌍의 안내 레일(2)이 각각 설치되고, 주 로프(4)에 의해 감아 올려지는 케이지 조립체(3)는 안내 레일(2)에 의해 수직 안내되도록 안내 레일(2) 사이에 배치된다.
케이지 조립체(3)는 케이지 프레임(5), 상부 케이지(6) 및 케이지 프레임(5) 상에 장착된 하부 케이지(7)를 포함한다. 각 안내 레일(2) 상에서 활주하는 안내 롤러(8a)를 갖는 복수의 안내 수단(8)이 케이지 프레임(5)의 상측, 하측 및 좌우측에 제공된다.
케이지 프레임(5)의 중간보(middle beam; 9)와 하단보(10) 상에, 케이지 수용 프레임(11, 12)이 각각 장착된다. 케이지 수용 프레임(11)과 상부 케이지(6)의 저면 사이에, 그리고 케이지 수용 프레임(12)과 하부 케이지(7)의 저면 사이에서, 로드 셀(load cell; 13)에 방진 고무(14)가 제공된다. 로드 셀(13)에 의해 검출되는 상부 케이지(6)와 하부 케이지(7)의 중량은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상부 케이지(6)의 하면과 중간보(9) 사이에, 그리고 하부 케이지(7)의 하면과 하단보(10) 사이에 각각 변위 센서(15)가 설치되어, 상부 및 하부 케이지(6, 7)의 변위를 검출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케이지 조립체(3)는 주 로프(4)에 의해 감아 올려진다. 1:1 로프 시스템의 경우에, 주 로프(4)는 케이지 프레임(5)의 상단보(16)에 직접 연결된다(도 24). 그리고 2:1 로프 시스템에서, 주 로프(4)는 케이지 프레임(5)의 상단보(16) 상에 설치된 시브(17)의 주위에 감겨진다(도 25).
상부 및 하부 케이지(6, 7)가 승객에 의해 호출된 층에 각각 도달할 때, 케이지(6, 7)의 케이지 도어(18)는 층의 홀 도어(19)에 맞닿고 도어 구동 유닛(20)에 의해 개폐된다.
홀 실(hall sill; 21)은 바닥에 설치되고, 케이지 실(22)은 상부와 하부 케이지(6, 7)의 바닥 각각에 설치되어, 도어는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종래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 공간 "S"는 상부 케이지(6)와 하부 케이지(7) 사이에 존재하고 도어 구동 유닛은 공간 "S"에 설치된다.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가 권상로(1)에서 수직 이동하는 경우, 기류는 공간 "S" 내로 흐르고 도어 구동 유닛(20)과 충돌되어 난기류를 발생한다.
이 난기류는 상부와 하부 케이지(6) 내의 고요함과 쾌적함을 방해하는 커다란 소음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난기류 소음을 감소시켜 케이지 내의 고요함과 쾌적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상부 케이지와 하부 케이지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을, 이 공간의 도어측, 2개의 측면측 및 배면측에서 공간을 덮는 커버로 덮음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공간이 커버로 덮이기 때문에, 케이지의 주위로 흐르는 기류는 공간 내로 들어갈 수 없고 공간 내에 배치된 어떠한 장치와도 충돌되지 않아 어떠한 난기류도 일으키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난기류에 의한 소음이 감소되어 케이지 내의 고요함과 쾌적함이 향상된다.
커버가 기류를 안정화시키기 때문에, 케이지의 공기 저항은 감소되고 케이지의 수직 이동 속도는 증가될 수 있다.
상부 케이지와 하부 케이지 사이의 공간이 커버에 의해 권상로 내의 전체 공간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케이지의 수직 이동에 의한 권상로 내의 소음은 공간을 통해 케이지로 들어갈 수 없어, 케이지 내의 고요함과 쾌적함은 더욱 향상된다.
케이지 사이의 간격 변화를 흡수하도록 탄성재로 케이지가 장착되는 상부 케이지, 하부 케이지 및 케이지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커버가 부착된다.
케이지의 수직 이동에 의한 권상로 내의 난기류 소음을 감소시키고 케이지의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캡슐형 공기 안내 부재가 상부 케이지 위에 그리고 하부 케이지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측 커버는 케이지의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구동 유닛보다 권상로의 도어측 내벽에 더 가까이 위치하여, 기류가 공간 내로 들어가고 도어 구동 유닛과 충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도어측 커버에는 슬릿이 설치되는데, 이 슬릿을 통해 도어를 도어 구동 유닛에 연결하는 도어 링크가 삽입된다. 그리고 도어측 커버에는 도어 링크와 슬릿의 주변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슬릿 폐쇄 부재가 설치되어, 기류가 슬릿을 통해 공간 내로 들어가 난기류 소음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가, 권상로의 도어측 내벽과 상부 케이지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 떨어지는 먼지나 물과 같은 떨어지는 물체를 받는 낙체 받이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도어측 커버에 개구가 제공되는데, 이 개구를 통해 낙체 받이 부재는 권상로의 도어측 내벽과 사이를 두고 접근 및 이동한다. 그리고 개구를 폐쇄하는 개구 폐쇄 부재, 및/또는 틈새 폐쇄 부재와 도어측 폐쇄 부재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틈새 폐쇄 부재가 도어측 커버에 제공되어, 개구를 통해서 및/또는 틈새를 통해서 기류가 공간 내로 들어가 난기류 소음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출원은 일본 특허출원 제 2000-56981호 및 제 2000-392049호에 기초한 것이며, 이들 내용이 본원에 반영되어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측면도로서, 도 1a는 도 1b에서의 라인(X-X)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1b는 도 1a에서의 라인(Y-Y)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2a 및 2b는 도 1a 및 1b에 도시된 커버에 대한 확대 단면의 정측면도.
도 3a 및 3b는 또 다른 실시예의 커버에 대한 확대 단면의 정측면도.
도 4a 및 4b는 또 다른 실시예의 커버에 대한 확대 단면의 정측면도.
도 5a 및 5b는 또 다른 실시예의 커버에 대한 확대 단면의 정측면도, 도 5c는 도 5a 및 5b에 도시된 낙체 받이 부재의 단면도.
도 6a 및 6b는 또 다른 실시예의 커버에 대한 단면의 정측면도, 도 6c는 도 6a 및 6b에 도시된 커버에 대한 평면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확대된 개략 정측면도.
도 10은 도 9a 및 9b에 도시된 커버와 함께 사용되는 슬릿 폐쇄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의 슬릿 폐쇄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의 슬릿 폐쇄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확대된 개략 정측면도.
도 14a 및 14b는 도 13a 및 13b에 도시된 틈새 폐쇄 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15a 및 15b는 또 다른 실시예의 틈새 폐쇄 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16a 및 16b는 또 다른 실시예의 틈새 폐쇄 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17a 및 17b는 또 다른 실시예의 틈새 폐쇄 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18a 및 18b는 개구 폐쇄 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19a 및 19b는 또 다른 실시예의 개구 폐쇄 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20a 및 20b는 방음 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확대된 개략 정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커버의 확대 단면도.
도 23은 선행기술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4는 선행기술의 또 다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25는 선행기술의 또 다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들을 보다 양호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이 언급되며, 몇몇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해당 부품들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a 및 1b에서, 권상로(1)에서 함께 수직 이동 가능한 상부 케이지(6)와 하부 케이지(7)를 포함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 케이지(6)와 하부 케이지(7)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 "S"는 도어측 커버(23a), 2개의 측면 커버(23b) 및 배면측 커버(23c)를 포함하는 커버(23)에 의해 덮인다. 즉, 공간은 도어측, 2개의 측면측 및 배면측 각각에서 덮인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측 커버(23a)는, 이의 하단 절반이 공간 내로 굴곡되어 상부 케이지(6)의 실(sill; 22)과 하부 케이지(7)의 천장(25) 사이의 수평 위치차를 흡수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 커버 모두는 스텝없이 서로 상부와 하부 케이지(6, 7)의 외측면에 연결되는 부드러운 평평한 외면을 갖는다. 그리고 도어측 커버(23a)에는 도어 구동 유닛(20)의 정면부가 삽입되는 개구(26)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은 기류가 공간과 케이지(6, 7)의 주위로 원만하게 흐르게 할 수 있고, 케이지(6, 7)가 권상로(1)에서 수직 이동하는 경우 기류가 공간 내로 들어가 공간에 배치된 장치와 충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난기류에 의한 소음과 케이지의 공기 저항은 감소된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케이지(6, 7)가 방진 고무(13)에 의해 바닥 수용 프레임(11, 12) 상에 지지되기 때문에, 상부와 하부 케이지(6, 7) 사이의 수직 간격은 케이지(6, 7)의 중량 변화에 의해 변화된다.
그렇지만,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측 커버(23a)의 상단 에지는 탄성재(24a)에 의해 케이지 실(cage sill; 22)에 고정되고, 이의 하단 에지는 하부 케이지(7)의 천장(25)에 직접 고정된다. 또한, 측면 커버(23b)의 상단 에지는 탄성재(24b)에 의해 케이지 프레임(5) 내에서 도어측으로부터 배면측으로 연장되는 프레임(11a)에 부착되고, 이의 하단 에지는 하부 케이지의 천장(25)에 직접 고정된다. 또한, 배면측 커버(23c)의 상단 에지는 탄성재(24c)에 의해 2 측면 사이에 연장되는 바닥 수용 프레임(11b)에 부착되고, 이의 하단 에지는 하부 케이지(7)의 천장(25)에 직접 고정된다.
고무 블록과 같은 이 탄성재(24a, 24b, 24c)는 케이지(6, 7) 사이의 수직 간격 변화를 흡수하여 커버의 어떠한 변형도 방지한다. 또한, 커버의 하단 에지와 하부 케이지(7)의 천장(25) 사이에 탄성재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에서, 도어측 커버(23a), 2개의 측면 커버(23b) 및 배면측 커버(23c)는 수직한 중간부에서의 중간 케이지 프레임(27)에 고정된다. 그리고, 탄성재(24a, 24b, 24c)는 각 커버의 상단 에지와 실(20) 또는 상부 케이지의 바닥 수용 프레임(11a, 11b)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탄성재(28)는 각 커버의 하단 에지와 하부 케이지(7)의 천장(25)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케이지(6, 7) 사이의 간격 변화는 이 탄성재(24a, 24b, 24c, 28)에 의해 흡수된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에서, 각 커버는 상부와 하부 부분으로 구분된다. 즉, 도어측 커버(23a)는 상부 부분(23a1)과 하부 부분(23a2)으로 이루어지고, 2개의 측면 커버는 상부 부분(23b1)과 하부 부분(23b2)으로 이루어지고, 배면측 커버는 상부 부분(23c1)과 하부 부분(23c2)으로 구성된다. 상부 부분(23a1, 23b1, 23c1)의 하단 에지는 케이지 프레임(27)에 직접 고정되고, 이들의 상단 에지는 탄성재(24a, 24b, 24c)에 의해 상부 케이지(6)의 실(22) 및 바닥 수용 프레임(11a, 11b)에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하부 부분(23a2, 23b2, 23c2)의 하단 에지는 하부 케이지(7)의 천장(25)에 직접 고정되고, 이들의 상단 에지는 탄성재(29)에 의해 케이지 프레임(27)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케이지(6, 7) 사이의 간격 변화는 이 탄성재(24a, 24b, 24c, 28, 29)에 의해 흡수된다.
반대로, 탄성재(24a, 24b, 24c)에 의해 상부 부분(23a1, 23b1, 23c1)의 하단 에지를 각각 고정하고, 이들의 상단 에지를 상부 케이지(6)의 실(22) 및 바닥 수용 프레임(11a, 11b)에 각각 직접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탄성재(29)에 의해 하부 부분(23a2, 23b2, 23c2)의 하단 에지를 각각 고정하고, 이들의 상단 에지를 케이지 프레임(27)에 각각 직접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a 및 5b에 도시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에서, 케이지(6, 7) 사이의 공간의 도어측에서 낙체 받이 장치(30)가 제공되는데, 이 장치는 케이지(6, 7)가 권상로(1)에 정지할 때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과 상부 케이지(6)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 떨어지는 먼지나 물과 같은 낙체를 받는다. 이 낙체 받이 장치(30)는,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에 접리하도록 수평축 주위를 회전하는 받이판(31), 및 이 받이판(31)에 의해 받은 낙체를 수용하는 공간에 배치된 수용 접시(32)를 갖는다.
도 5a 및 5b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받이판(31)이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에 접근하도록 회전하는 경우, 받이판(31)은 낙체(33)를 받아 이를 수용 접시(32)로 안내하여 승객들이 이러한 낙체로부터 하부 케이지(7)에서 출입하는 것을 보호한다.
도어측 커버(23a)에는, 받이판(31)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34)가 제공되고, 또한 도 5b에서 형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받이판(31)이 개구(34)를 폐쇄할 때 받이판(31)과 개구(34)의 주변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개구(34)의 주변을 따라 부착된 개구 폐쇄 부재(35)가 제공된다.
도어측 커버(23a)를 따라 흐르는 기류가 정면 커버(23a)와 받이판(31)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난기류 소음이 감소된다.
더욱이, 받이판(31)은 상부 케이지(6)에 출입하는 승객들을 쳐다보는 하부 케이지의 입구에 위치한 승객의 가시선을 차단한다.
도 6a 및 6b에 도시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복수의 공기 안내판(36)은 도어측 커버(23a)의 외면, 2개의 측면 커버(23b) 및 배면측 커버(23c) 상에 설치된다. 공기 안내판(36)은 커버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기류를 안내 및 안정화시켜 난기류 소음을 감소시킨다.
도 7a 및 7b에 도시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에서, 캡슐형 상부 및 하부 공기 안내 부재(37, 38)가 상부 케이지(6)의 위와 하부 케이지(7)의 아래에 각각 배치되어 권상로(1)의 내벽과 상부 및 하부 케이지(6, 7)의 외측면 사이의 틈새로 기류를 안내한다.
또한 방진 소음 흡수 부재(39a, 39b, 39c, 39d)는 캡슐형 공기 안내장치(37, 38)와 커버(23a, 23b, 23c)의 내면에 부착된다.
더욱이, 캡슐형 상부 및 하부 공기 안내 부재(37, 38)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기류를 안내하는 삼각형 단면을 갖는 공기 안내 콘(40, 41)은 상부 공기 안내 부재(37)의 위와 하부 바람 안내 장치(38)의 아래에 각각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캡슐형 공기 안내 부재(37, 38), 상부 케이지(6) 및 하부 케이지(7)가 부드러운 유선형 모양을 형성하기 때문에, 기류는 이의 외면을 따라 부드럽게 흐르므로 케이지(6, 7)에 의한 난기류는 감소된다.
또한, 방진 소음 흡수 부재(39a, 39b, 39c, 39d)가 제공되기 때문에, 공기 안내 부재(37, 38) 및 커버(23a, 23b, 23c)의 진동은 감소되고, 또한 방음이 달성된다.
더욱이, 기류 안내 콘(40, 41)이 제공되기 때문에, 공기 안내 부재(37, 38)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기류가 안내되어 보다 부드럽게 흘러, 케이지(6, 7)의 공기 저항이 감소된다.
도 8a 및 8b에 도시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에서, 안내 롤러(42), 주 로프(43) 및 보상 로프(44)의 주변 내의 캡슐형 공기 안내 장치(37, 38)의 외면상에 고르지 않은 오목한 세레이션(6, 7)이 제공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서, 난기류의 발생은 고르지 않은 오목한 세레이션(6, 7)에 의해 감소되고, 따라서 소음 감소가 달성된다. 또한,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 고르지 않은 볼록한 세레이션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에서, 하부케이지(7)에 설치된 케이지 도어(18)는 케이지 프레임(5)의 수평보(9a)에 탑재된 도어 구동 장치(50)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 구동 장치(50)는 구동 모터(51)에 의해 구동되는 회동 디스크(52)를 구비하고, 1쌍의 연결 링크(53L, 53R)가 회동 디스크(52)에 각각 그 일단이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 링크(53L, 53R)의 타단은 도어 링크(55L, 55R)의 상단에 각각 연결된다. 도어 링크(55L, 55R)는 케이지 프레임(5)의 각각의 지지 부재(9b)에 설치된 피벗 샤프트(54L, 54R)에 의해 각각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어 링크(55L, 55R)의 하단부는 케이지 도어(18L, 18R)에 각각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케이지 도어(18L, 18R)는 구동 모터(51)에 의해 개폐된다.
상하부 케이지(6, 7) 간의 공간(44)은 공간(44)을 흐르는 기류를 안내하는 커버(60)에 의해 덮인다. 커버(60)는 1쌍의 상하 도어측 커버(61, 62), 1쌍의 좌우측 커버(63, 64) 및 1쌍의 상하 후측 커버(65, 66)를 구비한다.
상부 도어측 커버(61)는 도어 구동 장치(50)보다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1a)에 가깝게 위치하고, 도어 구동 장치(50)를 덮는다. 또한 상부 도어측 커버(61)에는 1쌍의 슬릿(61a)이 형성되고, 도어 링크(55L, 55R)가 각각 여기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상부 도어측 커버(61)는 도어 구동 장치(50)와 도어 링크(55L, 55R)의 천정부를 도어 링크(55L, 55R)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완전히 덮는다.
커버(60)가 기류를 안내하므로, 기류는 공간(44)으로 들어가지 못하여공간(44)에 존재하는 도어 구동 장치(50)와 같은 여러 가지 불균일함과 충돌을 일으키지 않으며 난기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케이지(6, 7)가 권상로(1)에서 고속으로 수직 이동하더라도 난기류 소음은 효과적으로 감소되고, 케이지(6, 7)의 고요함과 쾌적함이 향상될 수 있다.
동시에, 공간(44)이 커버(60)에 의해 권상로(1)의 내측으로부터 멀어지므로, 권상로(1) 내의 소음은 공간(44)을 통하여 케이지(6, 7) 내로 들어가지 못하므로, 케이지(6, 7)의 고요함과 쾌적함이 더욱 향상된다.
커버(60)가 기류를 권상로(1)의 내벽과 케이지(6, 7)의 외측면 사이의 빈틈으로 안내하므로, 케이지(6, 7)의 공기 저항이 감소되고 케이지(6, 7)의 이동 속도는 증가된다.
도 10에 나타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에서, 고무막 또는 얇은 플라스틱막 등의 탄성재로 된 슬릿 폐쇄 부재(67)가 설치되어 슬릿(61a)과 도어 링크(55) 사이의 틈새를 폐쇄한다. 슬릿 폐쇄 부재(67)는 도어 링크(55)의 이동 방향을 따라 뻗는 슬릿(67a)을 갖고, 여기에 도어 링크(55)가 삽입되어, 도어 링크(55)의 접촉으로 인한 탄성 변형에 의한 도어 링크(55)의 변위를 허용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기류는 슬릿(61a)을 통해 공간(44)으로 들어가거나 나오지 않아, 난기류 소음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 결과 케이지(6, 7)의 고요함과 쾌적함이 향상된다.
도 11에 나타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에서, 고무막 또는 얇은 플라스틱막으로 된 벨로즈식 슬릿 폐쇄 부재(68)가 설치된다. 이 벨로즈식 슬릿 폐쇄부재(68)는 도어 링크(55)의 이동 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1쌍의 벨로즈(68a, 68b)를 구비하고, 도어 링크(55)와 슬릿(61a) 주변간의 틈새를 폐쇄한다. 이 슬릿 폐쇄 부재(68)는 도어 링크(55)가 삽입되는 개구를 갖고, 도어 링크(55)와의 접촉으로 인한 탄성 변형에 의해 도어 링크(55)의 변위를 허용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기류는 슬릿(61a)을 통해 공간(44)으로 들어가거나 나오지 않아, 난기류 소음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 결과 케이지(6, 7)의 고요함과 쾌적함이 향상된다.
도 12에 나타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강모 등의 탄성재로 된 브러시식 슬릿 폐쇄 부재(69)가 설치되어 슬릿(61a)과 도어 링크(55) 사이의 틈새를 폐쇄한다. 브러시식 슬릿 폐쇄 부재(69)는 서로 대향하는 전후방 브러시(69b, 69c)를 구비하고, 이는 도어 링크(55)의 이동 방향을 따라 뻗는 슬릿(69a)을 형성한다. 이 슬릿(69a)은 도어 링크(55)의 접촉으로 인한 탄성 변형에 의한 도어 링크(55)의 변위를 허용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기류는 슬릿(61a)을 통해 공간(44)으로 들어가거나 나오지 않아, 난기류 소음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 결과 케이지(6, 7)의 고요함과 쾌적함이 향상된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에서, 상하부 케이지(6, 7) 간의 공간(44)은 커버(70)에 의해 덮이고, 커버(70)는 1쌍의 상하 도어측 커버(71, 72), 1쌍의 가로측 커버(73, 74) 및 1쌍의 후측 커버(75, 76)를 구비한다.
공간(44)에서, 먼지, 물 같은 낙체가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1a)과 상부 케이지(6) 간의 틈새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받기 위해서 낙체 받이 수단(80)이 설치된다.
상부 도어측 커버(71)는 그 가로 중간부에서 공간(44)에 진입하는 경사 하부(71a)를 갖고, 경사 하부(71a)는 상하부 케이지(6, 7) 간의 수평 위치차를 흡수하여 기류가 상하부 케이지(6, 7)의 도어측 표면을 따라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하부 도어측 커버(72)는 장치(80)의 낙체 받이판(81)이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1a)에 접리(接離)하는 개구(72a)를 갖는다. 또한 하부 도어측 커버(72)는 낙체 받이 수단(80)보다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1a)에 가깝게 배치된 수직벽(42a)을 가짐으로써 기류가 낙체 받이 수단(80)과 접촉하여 난기류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낙체 받이 수단(80)이 공간(44)에 설치되더라도, 도어측 커버(71, 72)가 기류를 안내하여 난기류 소음을 줄이고 상하부 케이지(6, 7)의 고요함과 쾌적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낙체 받이 수단(80)은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1a)에 접리하는 낙체 받이판(81)과, 수평 스윙축(82) 주위로 낙체 받이판(81)을 스윙하는 구동 모터(83)를 구비한다.
상하부 케이지(6, 7)가 권상로(1)의 수직 이동을 정지시킬 때, 낙체 받이판(81)은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1a)으로 접근하여 도 13b 및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으로 뻗어 그 자유단(81a)이 도어측 내벽(1a)에 접촉하도록 한다. 낙체 받이판(81)은 낙체를 받아서 승객쪽으로 떨어지는 낙체가 하부케이지(7)에 출입하지 못하게 한다.
상하부 케이지(6, 7)가 수직 이동을 개시하기 전에, 낙체 받이판(81)은 도어측 내벽(1a)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하여 상하부 케이지(6, 7)의 수직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낙체 받이판(81)은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도어측 커버(71)의 경사 하부(71a)에 평행하게 기욺으로써 기류가 상하 도어측 커버(71, 72)의 외면을 따라 매끄럽게 흐를 수 있다.
한편, 상부 도어측 커버(71)의 경사 하부(71a)는 낙체 받이판(81)의 이동 행정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그 결과 낙체 받이 수단(80)에 스토퍼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스폰지 고무띠로 되고 수평으로 뻗는 간극 폐쇄 부재(71b)가 경사 하부(71a)에 설치되고, 낙체 받이판(81)의 자유단(81a)은 경사 하부(71a)에 대하여 간극 폐쇄 부재(71b)를 강하게 누른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부 도어측 커버(71)와 낙체 받이판(81) 간의 틈새가 확실히 폐쇄되고, 기류는 틈새를 통해 공간(44)으로 들어가지 못하므로 난기류 소음을 발생하지 않는다.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에서, 하부 도어측 커버(72)의 수직벽(72b)과 낙체 받이판(81) 간의 틈새를 폐쇄하기 위하여 틈새 폐쇄 부재(90)가 설치된다.
틈새 폐쇄 부재(90)는 하부 도어측 커버(72)의 수직벽(72b)에 의해 활주 가능한 활주판(91)과, 연결부(81b)를 거쳐서 그 일단에서 낙체 받이판(81)의 하면에그리고 연결부(91a)를 거쳐서 그 타단에서 활주판(91)의 상단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링크(92)를 구비한다.
활주판(91)은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1a)에 낙체 받이판(81)이 접근할 때 중량으로 인해 아래로 활주한다. 반면 활주판(91)은 낙체 받이판(81)이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1a)으로부터 멀어질 때 연결 링크(92)에 의해 상방으로 끌려 활주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낙체 받이판(81)의 이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이 활주판(91)이 하부 도어측 커버(72)의 수직벽(72b)과 낙체 받이판(81) 간의 틈새를 항상 폐쇄하므로, 기류는 도어측 커버(71, 72)를 따라 매끄럽게 흘러 틈새를 통해 공간(44)으로 진입하지 않아 난기류 소음을 발생하지 않는다.
도 16a, 도 16b에 나타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에서, 하부 도어측 커버(72)의 수직벽(72b)과 낙체 받이판(81) 간의 틈새를 폐쇄하기 위해 틈새 폐쇄 부재(100)가 설치된다.
틈새 폐쇄 부재(100)는 수평축(102)을 거쳐서 그 하단에서 하부 도어측 커버(72)의 수직벽(72b)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벗판(101)을 구비한다. 피벗판(101)은 토션바 등의 바이어스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수평축(102) 주위로 회전하도록 항상 바이어스되어 피벗판(101)의 상단(101a)이 낙체 받이판(81)의 하면에 항상 접촉하게 된다.
낙체 받이판(81)이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1a)에 접근할 때, 피벗판(101)은 반시계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힘에 대항하여 수평축(102) 주이로 피벗하여, 도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측 내벽(1a)을 향해 기운다. 반면, 낙체 받이판(81)은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1a)으로부터 멀어질 때, 피벗판(101)은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어스 수단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피벗되도록 바이어스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낙체 받이판(81)의 이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이 피벗판(101)이 하부 도어측 커버(72)의 수직벽(72b)과 낙체 받이판(81) 간의 틈새를 항상 폐쇄하므로, 기류는 도어측 커버(71, 72)를 따라 매끄럽게 흘러 틈새를 통해 공간(44)으로 진입하지 않아 난기류 소음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바이어스 수단을 제거하고 피벗판(101)의 상부 모서리(101a)를 연결 링크(도 15 참조)를 거쳐 낙체 받이판(81)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에서, 하부 도어측 커버(72)의 수직벽(72b)과 낙체 받이판(81) 간의 틈새를 폐쇄하기 위한 틈새 폐쇄 부재(110)가 설치된다.
틈새 폐쇄 부재(110)는 고무판 또는 플라스틱막 등의 탄성 재료로 된 벨로즈(111)를 구비하고, 벨로즈(111)는 연결부(112)를 거쳐서 그 상단에서 낙체 받이판(81)에 연결되고, 연결부(113)를 거쳐서 그 하단에서 하부 도어측 커버(72)에 연결된다.
낙체 받이판(81)이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1a)에 접근할 때, 벨로즈(111)는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소한다. 반면 낙체 받이판(81)이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1a)으로부터 멀어질 때, 벨로즈는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늘어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낙체 받이판(81)의 이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이 벨로즈(111)가 하부 도어측 커버(72)의 수직벽(72b)과 낙체 받이판(81) 간의 틈새를 항상 폐쇄하므로, 기류는 도어측 커버(71, 72)를 따라 매끄럽게 흘러 틈새를 통해 공간(44)으로 진입하지 않아 난기류 소음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벨로즈(111) 대신에 얇은 고무막 등의 신축 가능한 곧은 탄성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에서, 하부 도어측 커버(72)의 수직벽(72b)과 낙체 받이판(81) 간의 틈새를 폐쇄하기 위한 틈새 폐쇄 부재(120)가 설치된다.
틈새 폐쇄 부재(120)는 그 베이스단(121a)에서 낙체 받이판(81)의 하면에 고정되고 낙체 받이판(81)과 일체로 이동하는 폐쇄판(121)을 구비한다.
낙체 받이판(81)이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1a)에 접근할 때, 폐쇄판(121)의 자유단(121b)은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도어측 커버(72)의 수직벽(72b)의 내면으로부터 떨어진다. 반면 낙체 받이판(81)이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1a)으로부터 떨어지고, 그 자유단(81a)이 간극 폐쇄 부재(71b)를 거쳐 상부 도어측 커버(71)의 경사 하부(71a)에 접촉할 때, 폐쇄판(121)의 자유단(121b)은 수직벽(72b)의 내면에 안착하고 수직벽(72b)과 낙체 받이판(81) 간의 틈새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낙체 받이판(81)의 이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이 폐쇄판(121)은 하부 도어측 커버(72)의 수직벽(72b)과 낙체 받이판(81) 간의 틈새를 항상 폐쇄하므로, 기류는 도어측 커버(71, 72)를 따라 매끄럽게 흘러 틈새를 통해 공간(44)으로 진입하지 않아 난기류 소음을 발생하지 않는다.
도 19a 및 도 19b에 나타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에서, 하부 도어측 커버(72)의 개구(72a)를 폐쇄하기 위한 개구 폐쇄 부재(130)가 설치된다.
개구 폐쇄 부재(130)는 그 일단(131a)에서 낙체 받이판(81)의 하면에 고정되고 낙체 받이판(81)과 일체로 이동하는 폐쇄판(131)을 구비한다.
낙체 받이판(81)이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1a)으로 접근할 때, 폐쇄판(131)의 자유단(131b)이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도어측 커버(72)의 수직벽(72b)의 내면으로부터 떨어진 공간(44)에 있다. 반면, 낙체 받이판(81)이 권상로(1)의 도어측 내벽(1a)으로부터 떨어질 때, 폐쇄판(131)의 자유단(131b)은 수직벽(72b)의 내면에 안착하고 낙체 받이판(81)의 이동을 멈추게 한다. 동시에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판은 하부 도어측 커버(72)의 개구(72a)를 완전히 폐쇄한다.
또한 폐쇄판(131)은 폐쇄판(131)이 개구(72a)를 폐쇄할 때, 아무 단계 없이 하부 도어측 커버(72)에 연결되는 외면(131c)을 갖는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낙체 받이판(81)의 이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이 폐쇄판(131)은 하부 도어측 커버(72)의 개구(72a)를 항상 폐쇄하므로, 기류는 도어측 커버(71, 72)를 따라 매끄럽게 흘러 개구(72a)를 통해 공간(44)으로 진입하지 않아 난기류 소음을 발생하지 않는다.
도 20a 및 도 20b에 나타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에서, 상하부 케이지(6, 7) 사이의 공간(44)으로 들어가는 소음을 하부 도어측 커버(72)의 개구(72a)로부터 절연하기 위한 박스상의 방음 부재(140)가 설치된다.
방음 부재(140)는 개구(72a)를 향해 개방되고, 그 전방 상부 모서리(141)에서 상부 도어측 커버(71)의 하단(71c)에 연결되고, 그 전방 하부 모서리(142)에서 하부 도어측 커버(72)에 연결된다. 유리 섬유 등의 흡음재를 방음 부재(140)의 내면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낙체 받이판(81)의 이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이 개구(72a)로부터 들어온 소음은 방음 부재(140)에서 절연되고 흡수되며 상하부 케이지(6, 7)에 도달할 수 없으므로, 상하부 케이지(6, 7)의 고요함과 쾌적함이 향상된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에서, 낙체 받이판(81)에 의해 받은 낙체를 저장하는 낙체 저장 박스(84)가 설치된다. 즉 낙체 받이판(81)에 의해 받은 낙체는 낙체 받이판(81)이 도어측 내벽(1a)으로부터 떨어져서 도 22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울 때에 낙체 저장 박스(84)로 떨어진다.
따라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유지 보수 또는 검사를 수행할 때에 낙체 저장 박스(84)에 저장된 낙체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하부 도어측 커버(72)의 존재로 인해 상기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 낙체 저장 박스(84)에 저장된 낙체를 제거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하부 도어측 커버(150)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 부분(151, 152, 153, 154)으로 나뉜다. 특히 낙체 저장 박스(84)에 대향하는 부분(153, 154)은 플로어측 도어 개구보다 각각 작다. 환언하면, 부분(153,154)의 수평폭은 플로어측 도어(19)가 열릴 때에 형성되는 플로어측 도어 개구의 수평 또는 수직 높이보다 작다.
또한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부(153, 154)는 버터플라이 나사(156)와 너트(157)에 의해 각각 하부 케이지(7)에 고정된 브라킷(155)에 이동 가능하게 탑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유지 보수, 또는 검사할 때, 플로어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플로어측 도어 개구를 통해 버터플라이 나사(156)를 풀고 플로어에 놓음으로써, 부분(153, 154)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부분(153, 154)을 하부 케이지(7)로부터 제거한 후에, 낙체 저장 박스(84)에 접근하여 저장된 낙체를 제거하기 쉽다. 마찬가지로, 부분(153, 154)을 하부 케이지(7)에 탑재하기 쉽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설명은 예시일 뿐, 이하의 청구항의 정신 또는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변경과 변화가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에서는 난기류 소음을 감소시켜 케이지 내의 고요함과 쾌적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7)

  1. 권상로에서 함께 수직 이동 가능한 상부 케이지 및 하부 케이지와,
    도어측, 2개의 측면측 및 배면측에서 상부 케이지와 하부 케이지 사이의 공간을 덮는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외면과 상기 상부 케이지 및 하부 케이지의 외면은 레벨 차 없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부 케이지와 하부 케이지 사이의 간격 변화를 흡수하는 탄성 부재에 의해 상부 케이지와 하부 케이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권상로의 도어측 내벽과 상부 케이지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 떨어지는 낙체를 받는 낙체 받이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낙체 받이 부재는, 상부 케이지와 하부 케이지가 권상로에서 수직 이동하는 것을 중단하는 경우 도어측 내벽에 접리하도록 상기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도어측에서 상기 공간을 덮는 커버 중 하나는 상기 낙체 받이 부재가 도어측 내벽에 접리하도록 하는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외면을 따라 흐르는 기류를 안내하는 외면상의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로의 내벽과 상기 상부 케이지의 외측면 사이의 틈새로 기류를 안내하는 상부 케이지의 위에 배치된 상부 기류 안내 부재와,
    상기 권상로의 내벽과 상기 하부 케이지의 외측면 사이의 틈새로 기류를 안내하는 하부 케이지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기류 안내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기류 안내 부재는 캡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상부 및 하부 기류 안내 부재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소음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류 안내 부재의 외면으로 기류를 안내하는 상부 기류 안내 부재 상에 배치된 상부 기류 안내 콘과,
    상기 하부 기류 안내 부재의 외면으로 기류를 안내하는 하부 기류 안내 부재 상에 배치된 하부 기류 안내 콘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기류 안내 부재에는 이의 외면상에 고르지 않은 세레이션(uneven serration)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10. 권상로에서 함께 수직 이동 가능한 상부 및 하부 케이지와,
    도어측, 2개의 측면측 및 배면측에서 상기 상부 케이지와 하부 케이지 사이의 공간을 덮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의 도어측에서 공간을 덮는 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케이지의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구동 유닛보다 권상로의 도어측 내벽에 더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에서 공간을 덮는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도어를 도어 구동 유닛에 연결하는 도어 링크가 삽입되는 슬릿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주변과 도어 링크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고 동시에 탄성 변형에 의한 상기 도어 링크의 변위를 허용하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슬릿 폐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주변과 상기 도어 링크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고 동시에 탄성 팽창 및 수축에 의한 도어 링크의 변위를 허용하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벨로즈(bellows)형 슬릿 폐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주변과 상기 도어 링크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고 동시에 탄성 편향에 의한 도어 링크의 변위를 허용하는 탄성 강모(elastic bristle)로 이루어진 브러시형 슬릿 폐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15. 케이지 프레임 상에 장착되고 권상로에서 함께 수직 이동 가능한 상부 케이지 및 하부 케이지와,
    도어측, 2개의 측면측 및 배면측에서 상기 상부 케이지와 하부 케이지 사이의 공간을 덮는 커버와,
    상기 권상로의 도어측 내벽과 상부 케이지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 떨어지는 낙체를 받는 낙체 받이 부재로서, 상기 권상로의 도어측 내벽에 접리하도록 상기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낙체 받이 부재
    를 포함하고,
    도어측에서 상기 공간을 덮는 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낙체 받이 부재가 상기 권상로의 도어측 내벽에 접리하도록 하는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낙체 받이 부재는 이 부재가 상기 권상로의 도어측 내벽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도어측에서 상기 공간을 덮는 커버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17. 제 16항에 있어서,
    도어측에서 상기 공간을 덮는 커버는 상기 낙체 받이 부재가 권상로의 도어측 내벽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낙체 받이 부재의 이동 행정을 제한하는 스토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낙체 받이 부재가 상기 권상로의 도어측 내벽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도어측에서 상기 공간을 덮는 커버와 낙체 받이 부재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틈새 폐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 폐쇄 부재는 도어측에서 상기 공간을 덮는 커버와 낙체 받이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탄성재로 이루어진 스트립이고,
    상기 스트립은 낙체 받이 부재에 의해 도어측에서 상기 공간을 덮는 커버에 대하여 가압되는 경우에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 폐쇄 부재는 판이고,
    상기 판은 연결 링크에 의해 한 단부에서 낙체 받이 부재에 연결되고 또 다른 단부에서 도어측의 공간을 덮는 커버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 폐쇄 부재는 판이고,
    상기 판은 한 단부에서 도어측 커버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바이어스 수단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틈새 폐쇄 부재의 또 다른 단부가 낙체 받이 부재와 항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 폐쇄 부재는 판이고,
    상기 판은 연결 링크에 의해 한 단부에서 낙체 받이 부재에 연결되고 또 다른 단부에서 도어측 커버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 폐쇄 부재는 한 단부에서 낙체 받이 부재에 연결되고 또 다른 단부에서 도어측 커버에 연결되고,
    상기 틈새 폐쇄 부재는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낙체 받이 부재의 이동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24.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낙체 받이 부재가 상기 권상로의 도어측 내벽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커버의 개구를 폐쇄하는 낙체 받이 부재에 부착된 개구 폐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25.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 커버의 개구를 통해서 들어오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에 배치된 방음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2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 커버는 바닥측 도어 개구보다 더 작은 부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 커버의 부분은 바닥측 도어 개구로부터 수동 조작 가능한 장착 수단에 의해 상부케이지, 하부 케이지 및 케이지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KR10-2001-0010827A 2000-03-02 2001-03-02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KR100435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56981 2000-03-02
JP2000056981A JP2001240346A (ja) 2000-03-02 2000-03-02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JP2000392049A JP4671499B2 (ja) 2000-12-25 2000-12-25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2000-392049 2000-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279A true KR20010087279A (ko) 2001-09-15
KR100435242B1 KR100435242B1 (ko) 2004-06-11

Family

ID=26586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827A KR100435242B1 (ko) 2000-03-02 2001-03-02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6615952B2 (ko)
EP (1) EP1129978B1 (ko)
KR (1) KR100435242B1 (ko)
CN (1) CN1160243C (ko)
TW (1) TWI2345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5952B2 (en) * 2000-03-02 2003-09-09 Kabushiki Kaisha Toshiba Double deck elevator
JP4732577B2 (ja) * 2000-11-24 2011-07-2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かごの救出口装置
EP1342690A1 (de) * 2002-03-04 2003-09-10 Inventio Ag Einrichtung zur Feinpositionierung mindestens eines Decks einer Mehrdeckkabine für einen Aufzug
JP4107858B2 (ja) * 2002-03-22 2008-06-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2005008414A (ja) * 2003-06-18 2005-01-13 Inventio Ag エレベーター設備、このエレベーター設備を操作する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ー設備を最新化する方法
JP4322579B2 (ja) * 2003-07-28 2009-09-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ドアの密閉装置
JP5481170B2 (ja) * 2009-11-18 2014-04-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装置
US8807255B2 (en) * 2012-09-24 2014-08-19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Engine hot air deflector
AT513930B1 (de) * 2012-12-20 2020-10-15 Tgw Mechanics Gmbh Regallagersystem mit Förderfahrzeug-Hebevorrichtung
DE102013019231A1 (de) * 2013-11-16 2015-05-21 Eisenmann Ag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Gegenständen
DE102014012595A1 (de) * 2014-08-27 2016-03-03 Eisenmann Ag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Gegenständen
EP3031766A1 (en) * 2014-12-11 2016-06-15 KONE Corporation Elevator car
DE202016100400U1 (de) * 2016-01-28 2017-01-31 Kone Corporation Aufzug
CN109095326B (zh) * 2018-07-27 2023-10-24 天津市奥瑞克电梯有限公司 一种通风降噪的新型轿厢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00A (en) * 1869-10-12 Improvement in machine for wiring blind-rods
US575684A (en) * 1897-01-26 Dental chair
US958000A (en) * 1909-06-15 1910-05-17 James Peterson Chair.
US1511701A (en) * 1922-02-27 1924-10-14 Edwin R Angell Antidraft
US1728306A (en) * 1927-02-23 1929-09-17 F O Richey Mat
US1738729A (en) * 1928-09-21 1929-12-10 Elevator Supplies Co Inc Well protection device for elevators
US2557827A (en) * 1944-10-23 1951-06-19 Goodrich Co B F Sealing closure
US3472488A (en) * 1967-07-05 1969-10-14 Den Tal Ez Chair Mfg Co Foldable lift device
US3748923A (en) * 1971-08-11 1973-07-31 Caterpillar Tractor Co Environmental seal for a transmission shift lever
JPS557132Y2 (ko) * 1975-02-21 1980-02-18
US3982718A (en) * 1975-07-31 1976-09-28 Dentsply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Operatory chair operating mechanism
US4058191A (en) * 1976-10-06 1977-11-15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including an elevator car having door operated sealing devices adjacent door opening
DE2807819A1 (de) * 1978-02-23 1979-08-30 Int Harvester Co Vorrichtung zum verschliessen von schlitzfoermigen oeffnungen zum hindurchfuehren von in einer ebene schwenkbar gelagerten, hand- oder fussbetaetigten bedienungshebeln mit einem jeder oeffnung zugeordneten dichtungselement
JPS61188384A (ja) * 1985-02-12 1986-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ダブルデツキエレベ−タのかご室
US4941797A (en) * 1987-02-24 1990-07-17 C.M. Smillie & Company Power-operated lift and presenting mechanism
JPH03158377A (ja) * 1989-11-13 1991-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減速装置
US5018602A (en) * 1990-03-21 1991-05-28 Otis Elevator Company Reduction of noise and vibration in an elevator car by selectively reducing air turbulence
JP2547282B2 (ja) * 1991-02-27 1996-10-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かご
JP2896260B2 (ja) * 1992-01-08 1999-05-31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H06255955A (ja) * 1993-03-09 1994-09-13 Toshiba F Ee Syst Eng Kk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かご
SG48858A1 (en) * 1993-07-30 1998-05-18 Hitachi Ltd A elevator car and an elevator system incorporation such an elevator car
US5377784A (en) * 1993-09-08 1995-01-03 The Peelle Company Pass door fire lintel
JPH0977436A (ja) * 1995-09-18 1997-03-25 Toshiba Fa Syst Eng Kk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シルふさぎ装置
JP4070837B2 (ja) * 1997-03-06 2008-04-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シル塞ぎ装置
JP3345565B2 (ja) * 1997-04-11 2002-11-18 森ビル株式会社 可変式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US5960910A (en) * 1997-12-31 1999-10-05 Otis Elevator Company Double deck elevator cab
US6119815A (en) * 1998-02-20 2000-09-19 Ziegler; Kimberly Safety skirt
KR19990075729A (ko) * 1998-03-24 1999-10-15 이종수 더블 테크 엘리베이터의 상부 카 이동장치
EP0982260A1 (de) * 1998-08-17 2000-03-01 Inventio Ag Einrichtung zur Verminderung von Windgeräuschen an schnelllaufenden Aufzugskabinen
US6615952B2 (en) * 2000-03-02 2003-09-09 Kabushiki Kaisha Toshiba Double deck elevator
JP4666755B2 (ja) * 2000-12-13 2011-04-0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77240B2 (en) 2006-07-18
KR100435242B1 (ko) 2004-06-11
TWI234543B (en) 2005-06-21
EP1129978A2 (en) 2001-09-05
US20040016605A1 (en) 2004-01-29
US20010018996A1 (en) 2001-09-06
US20040094369A1 (en) 2004-05-20
CN1160243C (zh) 2004-08-04
US7287624B2 (en) 2007-10-30
EP1129978A3 (en) 2004-02-04
CN1311157A (zh) 2001-09-05
EP1129978B1 (en) 2012-05-09
US6615952B2 (en) 200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5242B1 (ko)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US3426480A (en) Door assembly
JPH06321466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かご室入口構造
JP2009249155A (ja) エレベータの戸開閉装置
JP2006007951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EP0708052B1 (en) Door sill for an elevator car
KR20130125794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JP4280032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JP5836228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JP2016056004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WO2004106213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GB2280662A (en) Streamlined elevator car
JP4540176B2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装置
JP5495613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
WO201311456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54666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6156953A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JP2005138922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3305209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
JP337942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7153249B1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WO2019180935A1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6438903B2 (ja) 乗りかごドア気密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JP2023105438A (ja) エレベータ用ドアの敷居
JP2022094573A (ja) かごドアの脱落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