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241A - 의복의 허리사이즈가 조절가능한 걸림부재, 훅크구성체, 고리구성체 및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 Google Patents

의복의 허리사이즈가 조절가능한 걸림부재, 훅크구성체, 고리구성체 및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241A
KR20010087241A KR1020010010413A KR20010010413A KR20010087241A KR 20010087241 A KR20010087241 A KR 20010087241A KR 1020010010413 A KR1020010010413 A KR 1020010010413A KR 20010010413 A KR20010010413 A KR 20010010413A KR 20010087241 A KR20010087241 A KR 20010087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garment
ring
waist size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7408B1 (ko
Inventor
고지 가토
Original Assignee
고지 가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지 가토 filed Critical 고지 가토
Publication of KR20010087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05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A44B13/0017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made of metal plat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41F9/025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06Setting slide or glide fasten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44B13/0035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using prongs
    • A44B13/0041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using prongs and a backing element on which prongs are bent o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241Slot and tab or ton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지퍼(F)로 개폐할 수 있는 앞부분(3)과, 앞부분(3)의 상단을 분리 자유롭게 결합하고, 결합부분에 있어서 바지(1)의 허리사이즈를 소정의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도록 하는 걸림부재(100)와, 지퍼(F)의 시접으로 되는 지퍼테잎(Fa)과 앞부분 (3)의 겉자락(3a) 사이에 바지(1)의 허리사이즈 여분의 길이가 되는 중합부(21a)를 가지고 꿰매붙여진 조절포(21)를 구비하여,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에 맞추어 바지(1)의 허리둘레 치수를 걸림부재(100)에 의해 조절하고, 동시에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 하부주위의 치수를 조절포(21)의 중합부(21a)를 적절히 잡아 늘임으로써 조절한다.

Description

의복의 허리사이즈가 조절가능한 걸림부재 및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HOOK ASSEMBLY USED FOR WAIST-ADJUSTING MECHANISM OF CLOTHES AND CLOTHES HAVING WAIST-ADJUSTING MECHANISM}
본 발명은, 바지(팬티) 혹은 스커트 등과 같은 의복의 허리부분의 분할부분을 결합하는 의복용 걸림부재, 또는 장식품의 벨트 혹은 장식품의 개폐덮개 등과 같은 부분을 결합하는 장식용 걸림부재 및 이러한 걸림부재를 비롯하여 결합구가 장착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를 가지는 의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용하는 사람에 맞추어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바지,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스커트 등의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지 혹은 스커트는, 허리부분이 분할되어 분리가 자유롭게 되어 있고, 이 분할부분은, 통상 도 7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걸림부재(200)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도 75는 종래의 걸림부재를 나타낸 전개사시도이다.
도 75에 있어서, 걸림부재(200)는, 바지 혹은 스커트의 겉자락(310)의 허리부분 안쪽에 장착되어 있는 걸고리형태의 훅크구성체(200A)와, 속자락(320)의 허리부분 겉쪽에 장착되어 있는 고리부(241)로 이루어지고, 훅크구성체(200A)를 고리부 (241)에 걸어서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부분을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한다.
더욱, 종래의 걸림부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재(200)는, 단일의 훅크부(221)를 갖는 훅크본체(202) 및 훅크부착판(203)으로 이루어진 훅크구성체(200A)와, 훅크본체(202)의 훅크부(221)를 자유롭게 걸수 있는 단일의 고리부(241)를 갖는 고리본체(204) 및 고리부착판(205)으로 이루어진 고리구성체(200B)를 구비하며, 훅크본체(202)의 주위에는 2개의 훅크부돌기(202b)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훅크부돌기(202b)는 훅크본체(202)의 이면쪽에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 2개의 훅크부돌기(202b)는, 끝단부가 천 등에 끼워져 통할 수 있도록 끝단이 예리하게 되어 있다. 또한 훅크부착판(103)은, 2개의 훅크부돌기(202b)가 자유롭게 끼워지는 관통구멍(203a)을 갖고 있다.
또한, 고리부(241)의 양 끝단에는 고리부돌기(204b)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고리부돌기(204b)는, 고리부(241)의 이면쪽에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다. 고리부착판(205)에는, 고리본체(204)의 2개의 고리부돌기(204b)가 자유롭게 끼워지는관통구멍(205a)을 갖고 있다.
훅크본체(202)는, 훅크부착판(203)과의 사이에서 바지 혹은 스커트의 겉자락 (310)을 끼운 상태로 겉자락(310)의 안쪽에 부착된다. 이 때 훅크본체(202)의 2개의 훅크부돌기(202b)는 훅크부착판(203)이 대응하는 관통구멍(203a)에 끼워져서 구부려지고, 훅크본체(202)와 훅크부착판(203)은 결합된다.
고리본체(204)는, 고리부착판(205)과의 사이에서 바지 혹은 스커트의 속자락 (320)을 끼운 상태로 속자락(320)의 겉쪽에 장착된다. 고리본체(204)의 2개의 고리부돌기(204b)는, 고리부착판(205)의 대응하는 관통구멍(205a)으로 끼워져서 구부려지고, 고리본체(204)와 고리부착판(205)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의 분할부분 중의 한쪽을 훅크본체(202)와 훅크부착판(203)에 끼워서 훅크구성체(200A)를 고정부착함으로써, 상기 분할부분중 한쪽에 훅크구성체(200A)를 장착한다. 또한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 분할부분 중의 다른쪽을 고리본체(204)와 고리부착판(205)에 끼워서 고리구성체(200B)를 부착한다.
또한, 종래의 바지에는, 지퍼로 앞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바지에서는, 통상 지퍼뿐만 아니라, 앞부분의 상단을 상기 걸림부재 (200)와 같은 걸고리 훅크로 자유롭게 분리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바지를 착용할 때에는, 상기 걸림부재(200)와 같은 걸고리 훅크를 풀고, 지퍼를 열어, 바지에 양 다리를 통과시킨다. 다음에 걸고리 훅크로 앞부분의 상단을 결합하고, 지퍼를 닫는다. 여기에서 상기 걸고리 훅크 중에는, 결합부위에서 약간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도 있다. 예컨대 앞부분의 속자락 상부에는 고리부재를 고정시키고, 앞부분의 겉자락의 상부에는 바지의 허리사이즈 방향으로 소정범위에서 슬라이드이동이 자유롭게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도록 훅크부재를 고정부착하고, 고리부재와 훅크부재를 걸어서, 바지 앞부분의 상단을 결합하는 것이다. 이 걸고리 훅크에 의하면, 바지의 허리둘레 치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힘을 주면, 훅크부재가 겉자락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해 이동하여, 바지의 허리둘레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바지를 착용할 때에 바지의 허리둘레 치수가, 착용하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 조절된다.
그러나, 종래의 걸림부재(200)에 의하면, 훅크구성체(200A)와 고리구성체 (200B)의 부착위치에 따라서 일률적으로 위치가 결정되므로,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조절을 할 수 없다.
본 발명자는, 허리둘레의 치수조절을 행 할수 있는 바지 등으로서, 일본국 특허 제2518803호 공보, 특허 제2518804호 공보, 특허 제2518807호 공보, 특허 제 2578079호 공보 등의 발명이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발명은 구조가 복잡하여, 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 없었다. 상술한 슬라이드이동식의 걸고리 훅크에 대해서도 같은 문제점이 있고, 저렴하게 허리둘레의 치수조절을 할 수 있는 바지 등이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바지의 허리둘레의 치수가 조절되는 걸고리 훅크나 걸림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걸림부재에 의하면, 바지의 허리사이즈 중 조절되는 부분은 허리부뿐이다.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가 커지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허리둘레뿐만 아니라 허리주변도 치수가 커지게 되므로, 허리사이즈가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의 치수에 대응하여 조절하더라도, 다른 부분의 치수는 그대로이며, 바지를 착용하였을 때의 갑갑함을 피할 수 없었다. 또한 바지 허리부의 하부치수가 부족하여 앞부분의 주위가 당겨져서 보기에 좋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렇다고 해서, 바지 허리부의 하부치수에 여유를 주게 되면,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사이즈의 치수가 감소하였을 때, 바지 허리부의 하부가 너무 커서 바지에 주름이 생겨 보기에 좋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걸림위치가 조절가능한 걸림부재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사이즈 뿐만 아니라 허리근방의 치수가 다소 변화하더라도, 착용감이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제공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하면,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걸림부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훅크구성체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리구성체를 구비한다. 상기 훅크구성체는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된 복수의 훅크부를 가지는 훅크본체와, 상기 제 1 면과 반대쪽의 제 2 면측에 형성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훅크부돌기와, 이 훅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 2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훅크부착판을 구비한다. 상기 고리구성체는,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고리부를 가지는 고리본체와, 이 고리본체에 형성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고리부돌기와, 이 고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고리본체의 형성하는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고리부착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하면,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에 사용되는 훅크구성체가 제공된다. 상기 훅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된 복수의 훅크부를 가지는 훅크본체와, 상기 제 1 면과 반대쪽인 제 2 면측에 형성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훅크부돌기와, 이 훅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 2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훅크부착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하면,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에 사용되는 고리구성체가 제공된다. 상기 고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고리부를 가지는 고리본체와, 이 고리본체에 형성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고리부돌기와, 이 고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고리본체가 형성하는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고리부착판을 구비한다.
걸림부재는, 상기 훅크구성체와, 이하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고리구성체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고리구성체는 상기 훅크본체의 훅크부에 걸리는단일의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 이 고리본체에 형성된 2개의 절곡이 자유로운 고리부돌기와, 이 고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고리본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고리부착판을 구비한다.
걸림부재는, 상기 고리구성체와, 이하의 훅크구성체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훅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된 단일의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 이 훅크본체의 제 1 면과 반대쪽 면에 형성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훅크부돌기와, 이 훅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 2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훅크부착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의하면,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걸림부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훅크구성체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리구성체를 구비한다. 상기 훅크구성체는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된 복수의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 이 훅크본체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한 4개 이상의 훅크부 장착구멍을 구비한다. 상기 고리구성체는,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 이 고리본체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한 4개 이상의 고리부 장착구멍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의하면,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에 사용되는 훅크구성체가 제공된다. 상기 훅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거는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된 복수의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 이 훅크본체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한 4개 이상의 훅크부 장착구멍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의하면,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에 사용된 고리구성체가 제공된다. 상기 고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 이 고리본체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 위치에 형성한 4개 이상의 고리부 장착구멍을 구비한다.
걸림부재는, 상기 훅크구성체와, 이하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고리구성체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고리구성체는 상기 훅크본체의 훅크부에 거는 단일의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 상기 고리본체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 위치에 형성한 2개의 고리부 장착구멍을 구비한다.
걸림부재는, 상기 고리구성체와, 이하의 훅크구성체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훅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특정의 면쪽에 형성된 단일의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 상기 훅크본체의 거는방향 및 이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된 3개 이상의 훅크부 장착구멍을 구비한다.
상기 훅크본체의 복수의 훅크부 또는 상기 고리본체의 복수의 고리부 위치는, 양자의 걸림위치가 10 내지 30mm의 범위에서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상기 고리본체의 복수의 고리부 상호간은, 상기 고리부의 길이방향 끝단부에형성한 연결부에 접속하여도 좋다.
상기 훅크본체 및/또는 상기 고리본체는, 그 일부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훅크본체 및/또는 상기 고리본체에는, 그 일부에 훅크부돌기 및/또는 고리부돌기가 들어가는 요철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의하면, 의복을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하고,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소정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조절하는 걸림부재와, 이 걸림부재에 의해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범위에서 형상변화를 자유롭게 하고, 상기 의복의 한쪽에 꿰매붙여져서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통형상의 조절포와, 상기 조절포에 시접으로 되는 한쪽의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지고, 또한 상기 의복의 다른쪽에 시접으로 되는 다른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진 지퍼를 구비하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이 제공된다.
상기 조절포에는, 이 조절포가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힘을 가하는 형상유지부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지퍼테잎의 상단부는, 앞부분으로 향해 바깥방향으로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상기 의복에 꿰매붙여져 있어도 좋다.
상기 지퍼테잎은, 그 상단을 상기 조절포의 상단에 맞춘 상태이며, 상기 조절포에만 꿰매붙여져 있어도 좋다.
상기 조절포의 폭방향 끝단부가 꿰매붙여지는 위치에는, 안감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에 상기 조절포의 폭방향 끝단부가 끼워져서 상기 안감의뒷쪽에 꿰매붙여져 있어도 좋다.
상기 조절포에 대하여 상기 지퍼테잎이 상기 걸림부재쪽을 향해 개구하는 각도이며, 상기 지퍼테잎을 상기 조절포에 꿰매붙여도 좋다.
상기 조절포는, 그 폭이 상단 또는 상단에서 소정길이 내려간 위치로부터 하단을 향해 점차로 가늘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 8 관점에 의하면, 의복의 앞부분의 상단을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하고, 결합부분에서의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소정의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결합구와, 상기 앞부분의 하단과 상단 사이에서, 상기 결합구에 의하여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범위에서 형상변화를 자유롭게 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통형상으로서 상기 앞부분의 한쪽에 꿰매붙여진 조절포와, 상기 조절포에 시접으로 되는 한쪽의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지고, 또한 상기 앞부분의 다른쪽에 시접으로 되는 다른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진 지퍼를 구비하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이 제공된다.
상기 조절포에는, 상기 조절포가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힘을 가하는 형상유지부재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앞부분의 속자락의 끝단가장자리에서 돌출하고, 상기 앞부분의 겉자락에 부착된 단추에 거는 단추구멍을 갖는 걸이구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단추구멍은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소정범위에서, 상기 허리사이즈 방향으로 신장한 성분을 갖는 긴 구멍이다.
상기 지퍼테잎은 상기 겉자락에 꿰매붙여짐과 동시에, 상기 지퍼테잎은 상기겉자락의 폭방향 끝단부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그 상단을 허리부 안감의 안쪽에 끼워서 꿰매붙여도 좋다.
상기 지퍼테잎은 상기 겉자락에 꿰매붙여짐과 동시에, 상기 지퍼테잎은, 그 상단을 상기 조절포의 상단에 맞춘 상태에서, 상기 조절포에만 꿰매붙여도 좋다.
상기 겉자락에 상기 조절포의 폭방향 끝단부가 꿰매붙여지는 위치에는, 겉자락의 안감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에 상기 조절포의 폭방향 끝단부가 끼워져서 상기 안감의 뒷쪽에 꿰매붙여도 좋다.
상기 조절포는, 그 폭이 상단 또는 상단에서 소정 길이 내려간 위치로부터 하단을 향해서 점차로 가늘어지게 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9 관점에 의하면, 의복을 분리 자유롭게 결합하고,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소정의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에 의하여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범위에서 형상변화를 자유롭게 하고, 상기 의복의 한쪽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장식주름과, 상기 장식주름에 시접으로 되는 한쪽의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지고, 또한 상기 의복의 다른쪽에 시접으로 되는 다른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진 지퍼를 구비하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이 제공된다.
상기 의복 한쪽의 안감의 뒷쪽에는 상기 장식주름의 폭보다 넓은 범위에 걸치는 안감이 상기 장식주름의 양측에서 꿰매붙여져 있어도 좋다.
상기 의복 한쪽의 안감의 뒷쪽에는 상기 의복 한쪽의 안감의 접힘부분이 상기 장식주름의 근방에 양면접착테잎에 의해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의복의 한쪽 끝단부와 상기 장식주름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한쪽이 상하방향을 따라 꿰매붙여져 있어도 좋다.
상기 장식주름 안쪽의 접힘부분에 다리미에 의한 프레스가공이 실시되어도 좋다.
상기 장식주름 내측의 접힘부분에 플리츠가공이 실시되어도 좋다.
상기 장식주름 내측의 접힘부분이 접은 선의 근방에서 상기 접은 선을 따라 꿰매붙여져 있어도 좋다.
상기 한쪽 지퍼테잎의 상단부는, 앞부분으로 향하는 바깥방향을 향해서 경사진 상태로 상기 의복에 꿰매붙여져 있어도 좋다.
상기 한쪽 지퍼테잎의 상단은 슬라이딩테잎에 의해서 상기 의복의 한쪽 상단에 꿰매붙여지고, 상기 슬라이딩테잎은 앞부분으로 향하는 바깥방향으로 향해서 경사진 상태에서 꿰매붙여져 있어도 좋다.
상기 한쪽의 지퍼테잎의 상단은 2자루의 고무테잎에 의해서 상기 의복의 한쪽 상단에 꿰매붙여지고, 상기 2자루의 고무테잎은 상기 의복에 대략 V자형상으로 벌려서 꿰매붙여져 있어도 좋다.
또한, 훅크구성체 및 고리구성체의 노출하는 면을 무광택면으로 할 수 있고 반대로 광택을 낼 수도 있다. 그리고 통상, 훅크구성체 및 고리구성체의 전체를 모떼기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또한 훅크부돌기와 고리부돌기는, 주위에 4개 배설한 것이 기준이 되지만, 특히 훅크부돌기는 1개를 훅크본체로부터 잘라 세움으로써, 3개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훅크본체의 복수의 훅크부와 고리본체의 복수의고리부와의 형상 및 폭 등의 면적은, 그 용도에 따라 임의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훅크구성체와 고리구성체가 용이하게 벗겨지지 않도록, 양자의 걸림상태가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조절포는 그 모양에서 앞부분의 겉자락에 마련되어 있으나, 앞부분의 속자락에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조절포의 재질로서는, 의복과 동일한 종류의 안감을 비록하여 여러 가지 천을 이용할 수 있으나, 고무나 스판렉스 등의 탄성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알맞은 실시예를 명확하게 나타낸 첨부도면과 함께, 이하의 발명을 참조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훅크본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훅크본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훅크부착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훅크부착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고리구성체의 고리본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고리구성체의 고리본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7의 Ⅸ-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착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착판을 나타낸 평면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와 고리구성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a)∼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본체와 고리본체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평면의 설명도,
도 14(a)∼도 14(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본체와 고리본체의 다른 결합형태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걸림부재의 고리구성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9∼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관한 걸림부재의 각종 조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주요부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주요부를 나타낸 설명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걸이구를 나타낸 설명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치수조절기구 전체를 나타낸 설명도,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40은, 도 39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41은, 도 40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42는, 도 41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치수조절기구를 부착한 부분을 외부에서 보아 나타낸 정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주요부를 나타낸 설명도,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
도 4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걸이구를 나타낸 설명도,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
도 5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5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여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
도 5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5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5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주요부를 나타낸 설명도,
도 5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6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61은, 도 60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62는, 도 61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63은, 도 62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6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1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6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
도 6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있어서의 장식주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
도 7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
도 7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장식주름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장식주름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속자락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7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겉자락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75는, 종래의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6은, 종래 의복의 걸이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지 3 : 앞부분
3a : 겉자락 3b : 속자락
4 : 절취부 21,21A,21B,21C: 조절포
21a : 중합부 22 : 형상유지부재
100,200 : 걸림부재
100A,100AX,100AZ,200A,250 : 훅크구성체
100B,100BX,100BZ,200B,260 : 고리구성체
102,102Z,202,251 : 훅크본체
102b,202b : 훅크부돌기
102e,253,254 : 훅크부 장착구멍
103,103X,203 : 훅크부착판
103a,103ax,105a,105ax,203a,205a : 관통구멍
103b,105b,105by : 요철절곡부 104,104Z,204,261 : 고리본체
104c,202b,204b : 고리부돌기 104b,104d : 연결부
104e,263 : 고리부 장착구멍 105,105X,205 : 고리부착판
105c : 요철부 121,122,221,252 : 훅크부
141,142,141Z,142Z : 고리부 F : 지퍼
Fa : 지퍼테잎 Fb : 물림돌기
Fc : 슬라이더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 또는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훅크본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훅크본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훅크부착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훅크부착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고리구성체의 고리본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대한 걸림부재의 고리구성체의 고리본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7의 A-A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착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착판을 나타낸 평면 측면도이다. 또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재 내지 부분에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부여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관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걸림부재(100)는, 개괄적으로 설명하면,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방향인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나열되는 2개의 훅크부(121,122)을 갖는 훅크본체(102) 및 훅크부착판(103)으로 이루어지는 훅크구성체(100A)와, 훅크본체 (102)의 훅크부(121,122)가 자유롭게 걸리도록 거는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나열되는 2개의 고리부(141,142)를 갖는 고리본체(104) 및 고리부착판(105)으로 이루어지는 훅크구성체(100B)를 구비하며,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의 분할부분 중의 한쪽을 훅크본체(102)와 훅크부착판(103)으로 끼워 훅크구성체(100A)를 고정부착함으로써, 상기 분할부분 중의 한쪽에 훅크구성체(100A)를 고정한다. 또한 바지 혹은 스커트 허리의 분할부분 중의 다른쪽을 고리본체(104)와 고리부착판(105)으로 끼워 고리구성체(100B)를 고정부착한다는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훅크구성체(100A) 및 고리구성체(100B)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훅크본체(102)는, 쉽게 변형되지 않는 금속제의 판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여 굴곡가공한 것이며, 훅크본체(102)의 2개의 훅크부 (121,122)는, 고리본체 (104)의 고리부(141,142)에 걸리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나열되어 있다. 훅크본체(2)의 훅크부(121,122)를 제외한 부분의 주위에는, 4개의 훅크부돌기(102b)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훅크부돌기(102b)는 훅크본체(102)의 이면쪽에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다. 특히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2)는 그 절곡부분이 훅크본체(102)로부터 서서히 변화하여 신장되는 것보다도, 직각 또는 역방향으로 구부려서, 거기에 고리부(141,142)가 걸리도록 구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2)와 고리부(141,142)가 안정되게 걸리도록 한다.
이 4개의 훅크부돌기(102b)는, 끝단부가 천 등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끝단이 날카롭게 되어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절곡하였을 때에 서로 겹치는 일이 없도록, 쐐기형상으로 하거나, 혹은 길이를 짧게 하여 사용된다.
훅크부착판(103)은, 훅크본체(102)와 마찬가지로 쉽게 변형하지 않는 금속제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4개의 훅크부돌기(102b)가 자유롭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관통구멍(103a)을 갖고 있다.
고리본체(104)는, 쉽게 변형하지 않는 금속제의 판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여 구부려서 가공한 것이며,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142)는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122)가 걸리는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나열되어 있고, 고리부 (141,142)의 양 끝단부는 연결부(104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2개의 고리부 (141,142)의 양 끝단에는 고리부돌기(104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고리부돌기(104c)는 고리부(141,142)의 이면쪽에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다.
고리부착판(105)은, 쉽게 변형하지 않는 금속제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고리본체(104)의 4개의 고리부돌기(104c)가 자유롭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관통구멍 (105a)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100)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의 분할부분에 고정부착되어 사용되며, 이 분할부분을 결합이 자유롭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100A)와 고리구성체(100B)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훅크본체(102)는, 훅크부착판(103) 사이에 바지 혹은 스커트의 겉자락(106)을 끼운 상태에서 겉자락(106)의 뒷쪽에 부착된다. 이 때 훅크본체(102)의 4개의 훅크부돌기(102b)는 훅크부착판(103)가 대응하는 관통구멍(103a)으로 끼워져서 구부려지고, 훅크본체(102)와 훅크부착판(103)이 결합된다. 또한 훅크부(121,122)의 거는방향은, 겉자락(106)의 끝가장자리의 안쪽을 향하고 있다.
고리본체(104)는, 고리부착판(105) 사이에 바지 혹은 스커트의 속자락(107)을 끼운 상태에서 속자락(107)의 겉에 장착된다. 이 때 고리본체(104)의 4개의 고리부돌기(104c)는, 고리부착판(105)이 대응하는 관통구멍(105a)으로 끼워져서 구부려지고, 고리본체(104)와 고리부착판(105)이 결합된다. 또한 고리부(141,142)는, 훅크부(121,122)에 걸리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 도 12에서 2점쇄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는 겉자락(106), 속자락(107)은 허리부 속심뿐이며, 실제로 겉자락(106), 속자락(107)에는 허리부 속심의 바깥쪽을 피복하는 천이 있다. 그리고 훅크부착판(103), 고리부착판(105)은, 허리부 속심의 피복부분의 안쪽에 매립된다.
그리고,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122)를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1, 142)에 걸어서 바지 혹은 스커트 허리의 분할부분을 결합한다.
다음에,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122)와,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1, 142)의 결합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a)∼도 13(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본체 (102)와 고리본체(104)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14(a)∼도 14(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100)의 훅크본체(102)와 고리본체(104)의 다른 결합형태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13(a)∼도 1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크본체(102)의 2개의 훅크부 (121,122)가 이웃하는 간격이 적어도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142) 사이의 안치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2개의 훅크부(121,122)를 2개의 고리부(141,142)중 어디에나 무리없이 걸 수 있다.
도 13(a)∼도 1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3(a) :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가,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2)에 걸린 상태,
도 13(b) :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가,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1)에 걸린 상태,
도 13(c) :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2)가,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1)에 걸린 상태,
도 13(d) :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2)가,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2)에 걸린 상태의 순서에 따라, 훅크본체(102)와 고리본체(104)의 결합깊이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시형태 1의 걸림부재(100)는,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훅크본체(102)의 도 13(a) 상태에서 도 13(c) 상태로의 이동에서는,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142)의 간격인 거리(L)만큼 훅크본체(102)의 위치는 변화하고, 훅크본체(102)의 도 13(c) 상태에서 도 13(d) 상태로의 이동에서는, 훅크본체(102)의 2개의 훅크부(121,122)의 간격인 거리(M)만큼 훅크본체(102)의 위치는 변화한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100)에 의하면,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142)의 간격에 훅크본체(102)의 2개의 훅크부 (121,122)의 간격을 더할 수 있는 거리(L+M)에서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훅크본체(102)의 2개의 훅크부 (121,122)가 이웃하는 간격이 적어도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와 고리부(142) 사이의 안치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무리없이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1의 걸림부재(100)에 의하면, 도 14(a)∼도 1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크구성체(102)의 2개의 훅크부(121,122)가 이웃하는 간격이 적어도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142) 사이의 바깥치수보다도 큰 경우에도,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무리없이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도,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142)의 간격에 훅크본체(102)의 2개의 훅크부(121,122)의 간격을 가한 거리(L+M)에서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4(a)∼도 1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4(a) :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가,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2)에 걸린 상태,
도 14(b) :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가,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1)에 걸린 상태,
도 14(c) :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2)가,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1)에 걸린 상태,
도 14(d) :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2)가,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2)에 걸린 상태의 순서에 따라, 훅크본체(102)와 고리본체(104)의 결합깊이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훅크본체(102)는, 도 14(a) 상태에서 도 14(b) 상태로의 이동과정에서 2개의 고리부(141,142)의 간격인 거리(L)만큼 위치를 바꾸고, 도 14(b) 상태에서 도 14(d)의 상태로의 이동과정에서 2개의 훅크부(121)와 훅크부(122)의 간격인 거리 (M)만큼 위치를 바꾼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1의 걸림부재(100)는,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4단계로 조절할 수 있으며,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142)의 간격에 훅크본체(102)의 2개의 훅크부(121,122)의 간격을 가한 거리(L+M)에서,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고, 종래의 걸림부재(220)에 없는 치수조절이 가능해졌다.
또한, 허리둘레의 치수조절을 할수 있는 일본국 특허 제2518803호 공보, 특허 제2518804호 공보, 특허 제2518807호 공보, 특허 제2578079호 공보 등에 게재된 것보다도, 구조가 단순하고, 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훅크본체(102)의 2개의 훅크부(121,122)가 이웃하는 간격이, 적어도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142) 사이의 안치수보다도 작은 경우, 혹은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142)의 사이의 바깥치수보다도 큰 경우에는,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무리없이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거리(L)과 거리(M)의 관계가 1대2 또는 2대1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거리(L)과 거리(M)의 관계가 1대1일 때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소로의 이동이 되고, 1개소에서 중복하는 형태가 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훅크구성체(100A)의 훅크본체(102)가 갖는 훅크부 (121,122) 및 고리구성체(100B)의 고리본체(104)가 갖는 고리부(141,142)의 각 갯수는 어느 것이나 2개이지만, 훅크부(121,122) 및 고리부(141,142)의 각 갯수는 2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훅크구성체(100A)의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나열된 복수의 훅크부(121,122)을 갖는 훅크본체(102)와,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 122)를 자유롭게 걸고 고리구성체(100B)의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나열된 복수의 고리부(141,142)를 갖는 고리본체(104)를 구비하는 걸림부재(100)이면, 훅크부(121,122) 및 고리부(141,142)의 각 갯수가 2 이상이더라도,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의 분할부분중의 한쪽에 훅크구성체(100A)의 훅크부(121,122)가 허리둘레에 나란히 부착되고, 다른쪽에 고리구성체(100B)의 고리부(141,142)가 허리둘레에 나란히 부착되면,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1,142)에 걸리는 훅크구성체(100A)의 훅크부(121,122)를 바꿈으로써, 훅크본체(102)의 복수의 훅크부 (121,122)가 위치하는 범위에서,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고,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122)가 걸리는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1,142)를 바꿈으로써, 고리본체(104)의 복수의 고리부(141,142)가 위치하는 범위에서,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훅크본체(2)의 복수의 훅크부(121,122)가 위치하는 범위와 고리본체(104)의 복수의 고리부(141,142)가 위치하는 범위의 양쪽을 합친 거리에서,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의 조절범위를 종래의 치수조절기구를 구비한 걸림부재에 의한 한계를 대폭 넘는 값으로까지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런데, 신사용 바지는, 통상 허리둘레 치수가···76cm, 79cm, 82cm, 85cm··· 등으로 3cm 피치로 다른 규격품이 시판되고 있으나, 실시형태 1의 걸림부재(100)에 의하면,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 치수를 3cm 이상의 범위에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며, 적어도 종래의 반정도 종류의 바지로서 종래와 같은 허리치수에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76cm, 79cm, 82cm, 85cm의 4종류의 허리치수에 대신하여, 76∼79cm, 82∼85cm의 두 가지의 허리치수로 대응할 수 있다. 즉 훅크본체 (102)의 복수의 훅크부 (121,122)가 위치하는 거리(M)와, 고리본체(104)의 복수의고리부(141,142)가 위치하는 거리(L)의 합계를 3cm 이상이라고 하면,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 치수를 3cm 이상의 범위에서 조절가능하며, 1종류의 바지 혹은 스커트에서, 통상 3cm 피치로 허리둘레 치수를 바꿔 시판하고 있는 바지 혹은 스커트 중의 허리둘레 치수가 다른 적어도 2종류에 대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바지 혹은 스커트의 재고부담을 덜 수 있고, 염가로 바지 혹은 스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에, 실시형태 2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실시형태 2에 관한 걸림부재(100)는,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100)에 있어서, 훅크구성체(100AX)의 훅크부착판(103X)의 훅크본체(102)의 결합부분에 훅크부돌기(102b)가 들어가는 요철절곡부(103b)를 형성하며, 또한 고리구성체(100BX)의 고리부착판(105X)의 고리본체(104)의 결합부분에, 고리부돌기(104c)가 들어가는 요철절곡부(105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훅크부착판(103X)은, 관통구멍(103a)에 대응하는 관통구멍(103ax)을 갖고 있다. 또한 고리부착판(105X)의 관통구멍(105a)에 대응하는 관통구멍(105ax)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고리부착판(105X)의 2개의 요철절곡부(105b) 사이에 X자형상의 요철홈으로 이루어지는 요철부(105c)를 형성하고 있다.
실시형태 2에 관한 걸림부재(100)의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100)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에 더하여, 훅크구성체(100AX)의 훅크본체(102)와 훅크부착판(103X)의 결합시에, 훅크부착판(103X)의 요철절곡부(103b)에 훅크부돌기(102b)가 들어가고, 또한 고리구성체(100BX)의 고리본체(104)의 고리부착판(105X)의 결합시에, 고리부착판(105X)의 요철절곡부(105b)에 고리부돌기(104c)가 들어가므로, 훅크부돌기(102b) 및 고리부돌기(104c)에 의해 천이 걸리거나, 긁혀서 찢어지는 일이 없다. 또한 부착상태에서 접촉하여도 거부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또한 훅크부착판(103X)과 고리부착판(105X)의 판재에, 요철절곡부(103b), 요철절곡부 (105b) 등의 절곡부분의 형성에 의해, 판재의 기계적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변형이 방지되므로, 훅크본체(102)의 바지 혹은 스커트로의 고정상태를 강고하게 할 수 있으며, 요철부(105c)에 의해 고리부착판(105X)의 변형이 방지되기 때문에, 고리본체(104)의 바지 혹은 스커트로의 고정상태를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고리부착판(105X)의 요철부(105c)의 갯수는 X자형상이 1개이지만, 훅크부착판(103X), 고리부착판(105X)의 요철부(105c)의 갯수 및 크기, 형상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요철부(105c)는 크기, 형상에 따른 임의의 갯수로 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에, 실시형태 3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걸림부재(100)의 고리구성체(100BY)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실시형태 3에 관한 고리구성체(100BY)의 고리부착판(105Y)의 고리본체(104)와의 결합부분에, 고리부돌기(104c)가 들어가는 요철절곡부(105by)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고리구성체(100BY)의 고리부착판(105Y)의 고리본체(104)와의 결합부분에는, 고리본체(104)의 연결부(104b)가 들어가는 여유를 얻기 위해서, 요철절곡부(105by)를 고리부돌기(104c)가 들어가는 영역만으로 한 것이다. 또한 받아부착판 (105Y)는 관통구멍(105a)에 대응하는 관통구멍(105ay)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고리부착판(105Y)의 2개의 요철절곡부(105b) 사이에 1개의 X자형상의 요철홈으로 이루어지는 요철부(105c)를 형성한 것이다.
실시형태 3에 관한 걸림부재(100)의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에 관한 걸림부재(100)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에 더하여, 고리구성체(100BY)의 고리본체(104)의 고리부착판(105Y)의 결합부분이, 고리부착판(105Y)의 요철절곡부 (105b)로 들어가, 고리부돌기(104c)에 의해서 천이 걸리거나, 긁혀서 찢어지는 일이 없다. 또한 부착상태에서 접촉하더라도 거부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또한 요철절곡부(105b)를 고리부돌기(104c)가 들어가는 영역만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연결부 (104b)가 고리부착판(105Y)에 근접하는 위치로 되고, 천에 일부가 들어간 상태로 되므로, 바지 혹은 스커트에 장착한 경우에 보기에도 좋다. 물론 고리부착판(105Y)에, 요철절곡부(105b) 등의 절곡부분의 형성에 의해, 판재의 기계적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요철부(105c)에 의하여 고리부착판(105Y)의 변형이 방지되므로, 훅크본체(102)의 바지 혹은 스커트로의 고정상태를 강고하게 할 수 있고, 고리본체(104)의 바지 혹은 스커트로의 고정상태를 강고하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실시형태에서는, 훅크구성체(100AX)와 고리구성체(100BY)를 사용하는 사례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종래예의 걸림부재(200)를 구성하는 훅크구성체(200A) 또는 고리구성체(200B)와 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4
다음에, 실시형태 4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걸림부재(100)는, 실시형태 1의 훅크구성체 (100A)와, 종래예의 고리구성체(200B)와 조합시켜 사용한다. 즉 고리본체(204)는,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122)에 걸리는 단일의 고리부(241)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훅크본체(102)의 절곡이 자유로운 훅크부돌기(102b)를 훅크부착판(103)의 관통구멍(103a)으로 끼워넣어 절곡하면 간단히 훅크구성체(100A)의 부착이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고리본체(204)의 절곡이 자유로운 고리부돌기 (204b)를 고리부착판(205)의 관통구멍(205a)으로 끼워넣어 절곡하면 간단히 고리구성체(200B)의 부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예컨대,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의 분할부분 중의 한쪽에 훅크구성체(100A)를, 다른쪽에 고리구성체(200B)를 허리둘레에 부착하면, 고리구성체(200B)의 고리부(241)에 걸리는 훅크구성체(100A)의 훅크부 (121,122)의 걸림위치를 바꿈으로써, 훅크구성체(100A)의 복수의 훅크부(121,122)가 위치하는 범위에서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훅크구성체(100A)의 복수의 훅크부(121,122)가 위치하는 범위와 고리구성체(200B)의 단수의 고리부 (241)가 위치하는 범위의 양자 상대위치에서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훅크구성체(100A)가 갖는 훅크부(121,122)의 갯수는, 통상 디자인적으로 2개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3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5
다음에, 실시형태 5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걸림부재(100)는, 종래의 훅크구성체(200A)와, 실시형태 1의 고리구성체(100B)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고리구성체 (100B)는, 훅크본체(202)의 훅크부(221)에 걸리는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고리부(141,142)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훅크본체(203)의 절곡이 자유로운 훅크부돌기(202b)를 훅크부착판(203)의 관통구멍(203a)으로 끼워넣어 절곡하면 간단히 훅크구성체(200A)의 부착이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고리본체(104)의 절곡이 자유로운 고리부돌기 (104c)를 고리부착판(105)의 관통구멍(105a)으로 끼워넣어 절곡하면 간단히 고리구성체(100B)의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의 분할부분중 한쪽에 훅크구성체(200A)를, 다른쪽에 고리구성체(100B)를 허리둘레에 나열되도록 설치하면, 고리구성체(200A)의 복수의 고리부(141,142)에 걸리는 훅크구성체 (200A)의 단일 훅크부의 상대 걸림위치를 바꿈으로써, 훅크구성체(200A)의 단일 훅크부(221) 및 고리구성체(100B)의 복수의 고리부(141,142)의 상대 걸림위치로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고리구성체(100B)의 복수의 고리부(141,142)와 훅크구성체(200A)의 단일 훅크부(221) 양자의 상대위치에서 치수가 조절된다. 여기서 고리구성체(100B)가 갖는 고리부(141,142)의 갯수는, 통상 디자인적으로 2개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3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6
다음에, 실시형태 6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9∼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관한 걸림부재(100)의 각종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즉 실시형태 6은 훅크구성체(100AZ) 및 고리구성체 (100BZ)를 조합시키거나, 그 어느 하나를 종래의 훅크구성체(250) 또는 고리구성체 (260)와 조합시켜 사용한다.
우선, 도 19에 나타낸 예에서, 걸림부재(100)는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특정의 면쪽에 형성한 복수의 훅크부(121,122)를 갖는 훅크본체(102Z)와, 훅크본체 (102Z)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한 4개의 훅크부 장착구멍(102e)를 구비한 훅크구성체(100AZ)와, 훅크본체(102Z)의 훅크부(121,122)에 걸려지는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고리부(141,142)을 갖는 고리본체(104Z)와, 고리본체(104Z)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한 4개의 고리부 장착구멍 (104e)을 가진 고리구성체(100BZ)를 구비한 것이다.
즉, 도 19의 예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5의 훅크부착판(103) 및 고리부착판(105)을 생략하고, 훅크부돌기(102b)와 고리부돌기(104c)를 훅크부 베이스 (102d) 및 훅크부 장착구멍(102e)과 고리부 베이스(104d) 및 고리부 장착구멍 (104e)으로 치환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훅크본체(102Z)의 훅크부 장착구멍(102e)을 실로 고정시키면 간단히 훅크구성체(100AZ)를 바지 혹은 스커트에 부착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고리본체(104Z)의 고리부 장착구멍(104e)을 실로 고정시키면 간단히 고리구성체(100BZ)를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 분할부분 중의 한쪽에 훅크구성체(100AZ)를, 다른쪽에 고리구성체(100BZ)를 허리둘레에 나열되도록 부착하면, 고리구성체(100BZ)의 고리부에 걸리는 훅크구성체(100AZ)의 훅크부의 상대 걸림위치를 바꿈으로써, 훅크구성체(100AZ)의 복수의 훅크부(121,122) 및 고리구성체(100BZ)의 고리부(141,142)의 상대위치에서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훅크구성체(100AZ)의 복수의 훅크부(121,122)가 위치하는 범위와 고리구성체(100BZ)의 복수의 고리부(141,142) 양쪽의 상대위치에서 치수가 조절된다.
여기서, 훅크구성체(100AZ)가 갖는 훅크부(121,122) 및 고리구성체(100BZ)가 갖는 고리부(141,142)의 각 갯수는, 통상 디자인적으로 각 2개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한쪽 또는 양쪽을 3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 6의 걸림부재(100AZ,100BZ)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250) 또는 고리구성체(260)와 조합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종래의 고리구성체(260)에서는, 고리본체(261)의 고리부(262)는, 도 20과 같이 고리본체(261)의 양 끝단에 고리부 장착구멍(26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훅크구성체(250)에서는, 훅크본체(251)의 훅크부(252)는, 도 21과 같이 훅크본체(251)의 양 끝단에 고리부 장착구멍(253)이 형성되고, 훅크본체(251)의 훅크부 (252)의 반대쪽에 고리부 장착구멍(254)이 형성되어 있다.
도 20의 예는, 훅크구성체(100A)와, 고리구성체(260)를 구비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훅크본체(102Z)의 훅크부 장착구멍(102e)을 실로 고정시키면 간단히 훅크구성체(100AZ)의 부착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고리본체(261)의 고리부 장착구멍(263e)을 실로 고정시키면 간단히 고리구성체(260)를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 분할부분 중의 한쪽에 훅크구성체 (100AZ)를, 다른쪽에 고리구성체(260)를 허리둘레에 나열되도록 부착하면, 고리구성체(260)의 고리부(262)에 걸리는 훅크구성체(100AZ)의 훅크부(121,122)의 상대 걸림위치를 바꿈으로써, 훅크구성체(100AZ)의 복수의 훅크부(121,122) 및 고리구성체(260)의 고리부(262)의 상대위치에서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훅크구성체(100AZ)의 복수의 훅크부(121,122)가 위치하는 범위와 고리구성체(260)의 단일 고리부(262) 양자의 상대위치에서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1의 예는, 훅크구성체(250)와 고리구성체(100BZ)를 구비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훅크본체(251)의 훅크부 장착구멍(253,254)을 실로 고정시키면 간단히 훅크구성체(250)를 부착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고리구성체(100BZ)의 고리부 장착구멍(104e)을 실로 고정시키면 간단히 고리구성체(100BZ)를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 분할부분 중의 한쪽에 훅크구성체(250)를, 다른쪽에 고리구성체(100BZ)를 허리둘레에 나란히 부착하면, 고리구성체(100BZ)의 복수의 고리부(141,142)에 걸리는 훅크구성체(250)의 단일 훅크부 (121,122)의 상대 걸림위치를 바꿈으로써, 훅크구성체(250)의 단일 훅크부(252) 및 고리구성체(100BZ)의 복수의 고리부(141,142)의 상대 걸림위치에서 허리주위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고리구성체(100BZ)의복수의 고리부(141,142)와 훅크구성체(250)의 단일 훅크부(252) 모두의 상대위치에서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형태 7
다음에, 전술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6을 이용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실시형태 7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의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바지를 사례로서 설명하지만, 퀼로트 스커트 등의 각종 스커트에 있어서의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스커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주요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걸이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2∼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으로서의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바지(1)(이하, 간단히「바지(1)」이라 표현함)는, 바지(1)의 상단까지 해방할 수 있는 앞부분(3)과 앞부분 (3)을 개폐하는 지퍼(F)와, 앞부분(3)의 상단을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하는 걸림부재(100)와, 지퍼(F)의 시접으로 되는 지퍼테잎(Fa)과 앞부분(3)의 겉자락(3a) 사이에 꿰매붙여진 조절포(21)와, 앞부분(3)의 속자락(3b)의 끝단가장자리에서 돌출하여, 겉자락(3a)에 부착된 단추(도시하지 않음)에 걸리는 단추구멍(31a)을 가진 걸이구(3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부인복은 걸이구(31)를 갖지 않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신사복으로 설명한다.
걸림부재(100)는, 훅크구성체(100A) 및 고리구성체(100B)로 이루어지며, 10mm에서 30mm 정도로 변화할 수 있도록 훅크구성체(100A)와 고리구성체(100B)의 조합을 설정하고 있다. 이 훅크구성체(100A)를 속자락(3b)의 상부에 고정부착된 고리구성체(100B)에 걸고, 겉자락(3a)과 속자락(3b)의 각 상부를 이탈이 자유롭게 결합하는 부분이다. 그 때문에 바지(1)의 허리부(2)의 치수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훅크구성체(100A)가 고리구성체(100B)로 당겨지게 되므로, 결합부분에서 바지(1)의 허리부(2)의 치수가 복수단으로 길어진다. 즉 고리구성체(100B) 및 훅크구성체(100A)로 이루어진 걸림부재(100)는, 바지(1)의 앞부분(3)의 상단을 단지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할 뿐만이 아니라, 결합부분에 있어서 바지(1)의 허리사이즈를 소정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도록 하고 있다.
조절포(21)는, 소정의 가요성을 갖는 띠형의 천으로 이루어지며, 폭방향의 일부분을 헐겁게 한 상태에서 겉자락(3a)의 안쪽을 따라 폭방향의 양 끝단이 꿰매붙여져 있다. 즉 V자형상으로 된 앞부분(3)의 하단과 상단의 사이에서, 걸림부재 (100)에 의해 바지(1)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로운 범위에서 형상변화를 자유롭게 하는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봉제에 의하여 대략 통형상으로서 앞부분(3)의한쪽, 즉 겉자락(3a)에 꿰매붙여져 있다.
그리고,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 중, 겉자락 (3a)의 끝단가장자리에서 먼쪽의 끝단부는, 그 근방을 산모양으로 접어 중합부 (21a)를 형성하여 꿰매붙여져 있다. 또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포(21)의 폭방향의 양 끝단을 꿰매붙인 위치중 겉자락(3a)의 끝단 가장자리부에는 위치에는, 겉자락(3a)의 뒷면에 세로방향으로 절취부(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취부(4)에 조절포(21)의 폭방향의 다른쪽 끝단부가 끼워져서 뒷쪽에서 꿰매붙여져 있다. 조절포 (21)의 절취부(4)에 끼워진 끝단부는, 꿰매붙여진 부위가 은폐되어, 접촉되었을 때에 거부감이 없으며, 보기에도 좋게 된다. 그리고 중합부(21a)는, 조절포(21)의 폭방향에 여분의 길이를 형성하고, 조절포(21)에는, 중합부(21a)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꿰매붙인 후에 다리미 등의 프레스기에 의한 가압 및 가열이 행해져서, 형상을 특정하고 있다. 그리고 조절포(21)가 겉자락(3a)에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겉자락 (3a)의 위쪽보다 아래쪽을 향하여 그 사이 길이의 약 1/3∼1/2의 위치까지라면, 사용에 있어서는 충분하지만, 더욱 아래쪽까지 조절포(21)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조절포(21)가 꿰매붙여져 있는 영역은, 원래 지퍼(F)를 직접 꿰매붙이는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 1의 바지(1)에서는, 지퍼(F)의 시접으로 되는 지퍼테잎(Fa)은, 조절포(21)가 존재하는 영역에서는, 조절포(21)에 꿰매붙여지고, 조절포(21)가 존재하지 않은 영역에서는, 겉자락(3a)의 안쪽에 직접 꿰매붙여져 있다. 또한 지퍼테잎(Fa1)의 상단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 끼워져서 꿰매붙여지거나, 또는 지퍼테잎(Fa2)의 상단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포(21)의 상단에 가지런히 하여 조절포(21)에만 꿰매붙여져 있다.
이와 같이 지퍼테잎(Fa)의 조절포(21)에 꿰매붙여진 부분은, 중합부(21a)에 의한 여분의 길이의 범위내에서, 도 26에 있어서 화살표 AR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당겨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조절포(21)의 중합부(21a)는, 조절포(21)의 폭방향중,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보다 먼쪽에 형성되어 있고, 조절포(21)가 지퍼테잎(Fa)을 통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쪽으로 당겨짐으로써, 중합부(21a)가 늘여지고, 겉자락(3a)에서의 지퍼테잎(Fa)와 조절포(21)의 고정부착위치가 이동한다. 그 때문에 지퍼테잎(Fa)을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겉자락(3a)에 꿰매붙여진 지퍼테잎(Fa)의 상단은,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 끼워져서 꿰매붙여져 있거나 (Fa1), 또는 조절포(21)의 상단을 가지런히 하여 조절포(21)에만 꿰매붙여져 있기 때문에(Fa2), 지퍼테잎(Fa)의 상단은 지퍼테잎(Fa)의 조절포(21)로의 꿰매붙인 부분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보다 바깥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여유 방향으로의 이동이 되므로, 그 이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지퍼(F)는 2개의 시접으로 되는 지퍼테잎(Fa)과, 각 지퍼테잎(Fa)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물림돌기(Fb)와, 각 지퍼테잎(Fa)의 복수의 물림돌기(Fb)를 맞물리게 하여 2개의 지퍼테잎(Fa)을 결합하는 슬라이더(Fc)로 이루어지고, 다른쪽의 지퍼테잎(Fa)은 속자락(3b)에 꿰매붙여져 있다. 그리고 앞부분(3)은 지퍼(F)의슬라이더(Fc)를 상하이동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절포(21)에 의하면, 지퍼(F)로서 앞부분(3)을 닫은 상태에서, 바지(1)의 허리부(2)를 늘리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지퍼테잎(Fa)과 겉자락(3a) 사이에 조절포(21)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조절포(21)의 중합부(21a)를 당겨 늘릴 수 있는 길이의 범위내에서 바지(1)의 허리사이즈가 늘어나고, 허리부(2)의 하부도 그 사이즈가 늘어난다.
걸이구(31)는, 앞부분(3)의 속자락(3b) 끝단가장자리에서 돌출하고, 단추구멍(31a)을 갖는 천조각으로 이루어지며, 단추구멍(31a)을 앞부분(3)의 겉자락(3a)에 형성된 단추(도시하지 않음)에 걸어 앞부분(3)의 속자락(3b)과 겉자락(3a)을 결합하는 것이다. 걸이구(31)의 단추구멍(31a)은, 통상적으로는 도 76(종래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이구(31)의 길이방향에 따른 긴 구멍이다.
이 경우, 겉자락(3a)의 단추에 단추구멍(31a)을 걸면, 겉자락(3a)의 단추는, 단추구멍(31a)의 속자락(3b)에서 먼쪽의 끝단부에 위치 결정되고, 겉자락(3a)은 속자락(3b)에 대하여, 그 이상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바지(1)의 허리사이즈를 늘이는 것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 7의 바지(1)에서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추구멍(31ax)은 대략 수평방향으로 늘어나는 긴 구멍이다. 그 때문에 도 27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겉자락(3a)의 단추는 단추구멍(31ax)의 여러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겉자락(3a)의 단추가 단추구멍의 긴 구멍에 대한 위치에 따라, 겉자락(3a)이 속자락(3b)에 대하여 바지(1)의 허리사이즈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즉단추구멍(31ax)이 바지(1)의 허리사이즈방향으로 늘린 성분을 갖는 긴 구멍이므로, 겉자락(3a)의 단추가 이동할 수 있는 소정의 범위내에서, 바지(1)의 허리사이즈가 구속되는 일이 없다.
또, 단추구멍(31ax)의 구멍을 꿰매붙이는 등의 가공은, 재봉틀 등을 사용한 기계가공이어도 좋고, 손작업에 의한 가공이라도 좋다. 특히 걸림부재에 의한 조절이 자유로운 범위가 커져 단추구멍(31ax)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경우의 재봉틀로서는 대응할 수가 없고, 특수한 재봉틀을 도입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손작업에 의한 가공쪽이 유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바지(1)의 허리부(2)의 치수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앞부분(3)의 상단의 걸림부재(100)에 의한 결합부분에서, 바지(1)의 허리부(2)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즉 바지(1)의 허리둘레 치수를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에 맞추어 조절한 상태로 걸림부재(100)에 의해 앞부분(3)의 상단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앞부분(3)의 상부보다 밑을 향하여 소정위치까지의 영역『겉자락(3a)과 지퍼 (F)의 시접으로 되는 지퍼테잎(Fa) 사이에 조절포(21)가 꿰매붙여져 있는 영역』에서는, 조절포(21)의 중합부(21a)를 늘일 수 있는 길이의 범위내에서 바지(1)의 허리사이즈가 늘어날 수 있다. 또한 겉자락(3a)의 단추(도시하지 않음)에 걸리는 걸이구(31)의 단추구멍(31a)이 대략 수평방향성분을 갖는 긴 구멍이기 때문에, 겉자락(3a)의 단추(도시하지 않음)가 걸이구(31)의 단추구멍(31a)의 긴 구멍에 대한 위치에 대응하여, 겉자락(3a)이 속자락(3b)에 대하여 바지(1)의 허리사이즈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위치를 바꿀 수 있다. 그 때문에 겉자락(3a)의 단추가 이동할 수 있는 소정의 범위내에서, 걸이구(31)가 바지(1)의 허리사이즈의 신축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겉자락(3a)에 꿰매붙여진 지퍼테잎(Fa)의 상단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 끼워져서 꿰매붙여져 있거나, 또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포(21)의 상단에 맞추어 조절포(21)에만 꿰매어져 있기 때문에, 지퍼테잎(Fa)의 상단은, 지퍼테잎(Fa)의 조절포(21)로 꿰매붙인 부분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보다 바깥방향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바지(1)의 허리사이즈가 조절되는 구간은, 바지(1)의 상단에서 아래쪽을 향해 조절포(21)를 구비하는 부분까지 완전히 연결되어, 바지(1)를 착용하였을 때의 갑갑함이 더욱 저감되며, 앞부분(3)의 주위가 당겨짐으로써 보기에 나빠지는 일도 한층 더 줄어든다.
즉,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부(2)의 치수가 커지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허리둘레 근방의 주위 치수도 커진다. 그 때문에 허리부에만 치수의 여유가 있다고 해서, 갑갑함에서 탈출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7의 바지(1)에 의하면,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의 변화분 뿐만 아니라, 허리둘레 근방의 치수의 변화분까지 대응하여 바지(1)의 각 부의 허리부(2)가 커지게 되어, 갑갑한 느낌이 들지 않는다. 또한 바지(1)의 허리사이즈가 부족하여 앞부분(3) 주위가 당겨져서 보기에 나빠지는 경우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8
다음에, 실시형태 8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28∼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겉자락(3a) 안감의 세로방향으로 절취부(4)가 넣어지는 위치를,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 가까운쪽의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위치로부터 겉자락 (3a)의 끝단가장자리에서 먼쪽의 끝단부로 바꾼 것이다.
즉, 실시형태 8에 관한 바지(1)에서는,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포 (21)의 폭방향 끝단부중,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서 먼쪽의 끝단부를 절취부 (4)에 끼워넣고 뒷쪽에서 꿰매붙이고 있다. 또한 조절포(21)의 폭방향의 양 끝단부중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 가까운쪽의 끝단부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폭부분을 산모양으로 접어 2장을 겹친 상태로 꿰매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절포(21)의 절취부(4)에 끼워넣는 쪽의 끝단부가 다르지만, 조절포(21)의 절취부(4)에 끼워넣는 쪽의 끝단부는, 꿰매붙인 곳이 은폐되어, 접촉하였을 때에거부감이 없고 보기에도 좋다.
실시형태 9
다음에, 실시형태 9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31∼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1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겉자락(3a)의 안감의 세로방향으로 절취부(4)가 넣어지는 위치를,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중,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 가까운쪽의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위치만으로, 조절포(21)의 폭방향의 양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위치로 바꾼 것이다. 즉 실시형태 3에 관한 바지 (1)에서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겉자락(3a)의 안감에는, 세로방향으로 2개의 절취부(4)가 형성되어, 조절포(21)의 폭방향의 양 끝단부가 다른 절취부(4)에 끼워지고 뒷쪽에서 꿰매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절포(21)의 폭방향의 양 끝단부가 절취부(4)에 끼워져서 은폐되어 있어, 보기에도 매우 좋다.
실시형태 10
다음에, 실시형태 10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서는, 겉자락 (3a)의 안감의 세로방향으로 절취부(4)를 넣고,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를 절취부(4)에 끼워넣어 꿰매붙이고 있었으나, 실시형태 10에 관한 바지(1)에서는, 도 34∼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겉자락(3a)의 안감에 절취부(4)를 만드는 것을 그만두고, 조절포(21)의 폭방향의 양 끝단부를 겉자락(3a)의 안감에 직접 꿰매붙이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조절포(21)의 겉자락(3a)에 꿰매붙이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퍼(F)의 겉자락(3a) 쪽에 꿰매붙여져 있는 지퍼테잎 (Fa3)의 상단을,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겉자락(3a)만큼 바깥방향을 향하여 각도 θ로 경사지는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 끼워 조절포(21)에 꿰매붙여도 좋다. 즉 조절포(21)에 각도 θ로 윗쪽이 열리도록 지퍼테잎(Fa3)을 꿰매붙임으로써, 훅크구성체(100A)와 고리구성체(100B)의 걸림상태에 따른 변화량을 얻을 수 있다. 특히 훅크구성체(100A)와 고리구성체(100B)의 걸림상태에 따른 변화량이, 조절포(21)와 지퍼테잎(Fa)을 꿰매붙임으로써 얻을 수 있으므로, 조절포(21)에 각도 θ= 0으로서 평행하게 지퍼테잎(Fa)을 꿰매붙인 것에서는, 쓸데 없이 남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앉을 때, 떠오르는 부분이 생길 가능성이 있지만, 조절포(21)에 각도 θ로 윗쪽이 열리도록 지퍼테잎(Fa3)으로 꿰매붙임으로써, 훅크구성체(100A)와 고리구성체 (100B)의 걸림상태에 따른 변화량을 얻을 수 있어, 상기와 같은 남는 부분이 생기지 않는다.
또, 실시형태 8∼1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있어서도, 지퍼(F)의 겉자락(3a) 쪽에 꿰매붙여져 있는 지퍼테잎(Fa)의 상단을, 도 28, 도 31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지퍼테잎(Fa1)과 같이, 가장자리 바깥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 끼워 꿰매붙여도 좋다. 또는 도 29, 도 32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지퍼테잎(Fa2)과 같이, 조절포(21)의 상단에 맞추어 조절포(21)에만 꿰매붙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지퍼테잎(Fa)의 상단은, 지퍼테잎(Fa)의 조절포(21)로 꿰매붙인 부분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보다 바깥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경우가 없다. 그리고 바지(1)의 허리둘레가 조절되는 구간은, 바지(1)의 상단에서 아래쪽으로 향하여 조절포(21)를 구비하는 부분까지 연속하여, 바지(1)를 착용하였을 때의 갑갑함이 없어지고, 앞부분(3)의 주위가 잡아 당겨짐으로써 보기가 나빠지는 일도 없어진다. 또한 쓸데 없이 남는 부분이 생기는 일도 없다.
또, 실시형태 8∼10에 관한 바지(1)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실시형태 11
다음에, 실시형태 11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치수조절기구 전체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1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서는, 바지(1)에 있어서, 걸림부재(100)는 허리부(2)를 따라 나열되도록 속자락(3b)의 상부에 고정부착된 고리구성체(100B)와, 겉자락(3a)의 상부에 고정부착되어 고리구성체(100B)의 복수의 고리부(141,142,143)로 위치를 바꿔서 거는 훅크구성체(200A)로 이루어지며, 바지(1)의 허리부(2)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 고리구성체(100B)는, 예컨대 실시형태 1의 고리구성체(100B)의 고리부(141,142)에 또한 벌써 1개의 고리부(143)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가 있다. 이러한 걸림부재 (100)에 있어서도, 바지(1)의 앞부분(3)의 상단을 단순히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허리부(2)의 치수를 소정의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게 한다. 그 때문에 걸림부재(100)에 의하면, 바지(1)의 허리둘레 치수를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치수에 맞추어 조절한 상태에서 앞부분(3)의 상단을 결합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1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바지의 걸림부재 (100)는, 실시형태 8 내지 실시형태 1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사용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 11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실시형태 12
다음에, 실시형태 12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40은 도 39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41은 도 40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42는 도 41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8∼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가, 조절포(21)의 중합부(21a)가 닫히(겹쳐지)도록 힘을 가하는 형상유지부재로 된 판형상의 고무(22)를 구비한 것이다. 고무(22)의 한끝단은,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중,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보다 먼쪽의 꿰매붙임위치에 꿰매붙여져 있다. 고무(22)의 다른 끝단은, 고무(22)가 수축한 상태에서, 지퍼테잎(Fa)의 조절포(21)로의 꿰매붙임위치에 함께 꿰매붙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음에 조절포(21)의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보다 먼쪽이 되는 끝단부를, 고무(22)의 한끝단과 함께 겉자락(3a)을 따라 꿰매붙인다. 다음에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포(21)가 겉을 보이도록 뒤집어, 조절포(21)의 겉으로 폭방향의 대략 중앙을 따라 지퍼(F)의 지퍼테잎(Fa)을 꿰매붙이고, 동시에 조절포(21)의 뒷쪽에서 고무(22)의 다른 끝단을 지퍼테잎(Fa)의 꿰매붙임위치에 꿰매붙인다. 이 때 고무(22)는 수축한 상태이다. 다음에 도 41 및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중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 가까운쪽의 끝단부를, 겉자락(3a)의 안감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절취부(4)에 끼워넣어 뒷쪽에서 꿰매붙인다.
이 본 실시형태 12의 구성에 의하면, 도 33에 화살표 X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퍼(F)를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으로 당기면, 조절포(21)의 중합부(21a)가 확대되고, 중합부(21a)가 넓어짐에 따라, 고무(22)가 당겨져서 늘어난다. 반대로 지퍼(F)를 화살표 X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확대된 중합부 (21a)는 고무(22)가 수축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중합부(21a)가 원래의 봉제상태로 되돌아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중합부(21a)가 실수로 열린 상태로 되는 경우가 방지되고, 바지(1)의 허리하부 주위의 치수가 너무 늘어나, 바지(1)가 헐렁해져서 주름이 생기는 일이 없다. 또 조절포(21)의 중합부(21a)가 원래의 봉제상태로 되돌아가기 쉽도록 힘을 가하는 고무(22)는, 본 실시형태 뿐만 아니라, 상기 실시형태 8 내지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이 구비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8 내지 실시형태 12에 관한 바지(1)가 조절포(21)의 중합부 (21a)를 서로 겹쳐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고무(22)를 구비하여도 본 실시형태 12에 대한 바지(1)와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실시형태 12에 관한 바지 (1)에서는, 조절포(21)의 중합부(21a)가 닫히도록 힘을 가하는 형상유지부재는 고무(22)이지만, 형상유지부재로서는, 조절포(21)에 형상기 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섬유를 짜넣는 등의 형태로 할 수 있다.
요컨대, 각 실시형태 7∼12의 구성에 의하면, 걸림부재(100)에 앞부분(3) 상단의 결합부분으로 바지(1)의 허리둘레 치수를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앞부분(3)의 상부보다 밑을 향하여 소정 위치까지의 영역『겉자락(3a)과 지퍼(F)의 시접으로 되는 지퍼테잎(Fa) 사이에 조절포(21)가 꿰매붙여져 있는 영역』에서는, 조절포(21)의 중합부(21a)를 늘일 수 있는 길이의 범위내에서 바지(1)의 허리둘레 치수가 길어질 수 있다. 그 때문에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의 변화분뿐만 아니라 허리둘레 근방의 치수의 변화분까지,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에 따라 바지(1)의 각 부의 허리사이즈를 크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바지(1)의 허리부(2) 뿐만 아니라, 그 허리의 하부주위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바지(1)를 착용하였을 때의 갑갑한 느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바지(1)의 허리사이즈가 부족하여 앞부분(3)의 주위가 잡아 당겨져서 보기에 싫어지는 경우도 없다.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걸이구(31)를 갖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걸이구(31)를 갖지 않은 바지(1)에서도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숙녀복에는 사용하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지만, 신사복에도 사용을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조절포(21)를 균일폭으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조절포(21)의 상단의 폭을 널리, 하단의 폭을 좁게 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조절포(21)가 겉자락(3a)에장착되는 영역은, 겉자락(3a)의 윗쪽보다 아래쪽을 향하여 그 사이 길이의 대략 1/3∼1/2의 위치까지이지만, 조절포(21)의 상단의 폭이 넓고, 하단의 폭이 좁아지게 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아래쪽은 생략할 수 있다. 물론 생략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실시형태 1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의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바지를 사례로서 설명하지만, 퀼로트 스커트 등의 각종 스커트에 있어서의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스커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요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걸이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3∼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부착된 의복으로서의 바지(1A)는, 실시형태 7의 바지(1)와 동일하지만, 앞부분(3)의 상단을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하는 걸고리 훅크(11)를 구비한다.
걸고리 훅크(11)는, 고리부재(12) 및 훅크부재(13)로 이루어지며, 겉자락 (3a)의 상부에 고정부착된 가이드부재(14)에,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안쪽방향에 스프링(15)으로서 힘을 가하여 10mm∼3mm의 범위에서 슬라이드이동이 자유롭게 훅크부재(13)를 지지하고, 이 훅크부재(13)를 속자락(3b)의 상부에 고정부착된 고리부재(12)에 걸고, 겉자락(3a)과 속자락(3b)의 각 상부를 이탈이 자유롭게 결합하는 부분이다. 그 때문에 바지(1)의 허리부(2)의 치수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훅크부재(13)가 가이드부재(14)에 안내되어 고리부재(12)에 당겨지는 방향으로 스프링(15)의 가압력을 저항하여 이동하고, 결합부분에서 바지(1)의 허리부(2)의 치수가 길어진다. 즉 고리부재(12) 및 훅크부재(13)로 이루어진 걸고리 훅크(11)는, 바지(1)의 앞부분(3)의 상단을 단지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분에 있어서 바지(1)의 허리사이즈를 소정의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본 실시형태의 결합구이다.
조절포(21)는, 실시형태 7의 것과 동일한 구성이며, 걸고리 훅크(11) 등으로 이루어진 결합구에 의하여 바지(1)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롭도록 한다. 즉 조절포(21)는 실시형태 7의 것과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 13의 바지(1A)에서는,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추구멍 (31ax)은 대략 수평방향으로 이어지는 긴 구멍이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 7과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13에 관한 바지(1)는, 실시형태 7과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
즉, 바지(1)의 허리부(2)의 치수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앞부분(3)의 상단의 걸고리 훅크(11)에 의한 결합부분에서, 바지(1)의 허리부(2)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즉 바지(1)의 허리둘레 치수를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에 맞추어 조절한 상태에서 걸고리 훅크(11)에 의해 앞부분(3)의 상단을 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14
다음에, 실시형태 14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49∼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4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대한 실시형태 8의 관계와 마찬가지의 관계를 실시형태 13에 대하여 갖는다. 즉 실시형태 13에 관한 바지(1)에서,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겉자락(3a) 안감의 세로방향으로 절취부(4)가 넣어진 위치를, 겉자락(3a)의 가장자리에 가까운쪽의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위치에서 겉자락(3a)의끝단가장자리로부터 먼쪽의 끝단부로 바꾼 것이다.
실시형태 15
다음에, 실시형태 15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52∼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5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대한 실시형태 9의 관계와 마찬가지의 관계를 실시형태 13에 대하여 갖는다. 즉 실시형태 13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겉자락(3a) 안감의 세로방향으로 절취부(4)가 넣어진 위치를,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중,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 가까운쪽의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위치만으로, 조절포 (21)의 폭방향의 양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위치로 바꾼 것이다.
실시형태 16
다음에, 실시형태 16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5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상기 각 실시형태 13∼15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서는, 겉자락(3a) 안감의 세로방향으로 절취부(4)를 넣어,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를 절취부(4)에 끼워넣어 꿰매붙이고 있었으나, 실시형태 16에 관한 바지(1)에서는, 실시형태 10와 같이 도 55∼5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겉자락(3a)의 안감에 절취부 (4)를 형성하지 않고, 조절포(21)의 폭방향의 양 끝단부를 겉자락(3a)의 안감에 직접 꿰매붙이고 있다.
또, 실시형태 14∼16에 관한 바지(1)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3에 관한 바지(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실시형태 13에 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실시형태 17
다음에, 실시형태 17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치수조절기구 전체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13에 관한 바지(1A)에서, 결합구로서의 걸고리 훅크(11)를 복수의 걸림위치를 가지는 걸고리 훅크(41)로 바꾼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결합구로서의 걸고리 훅크(41)는, 허리부(2)를 따라 나열되도록 속자락(3b)의 상부에고정부착된 고리부재(42)와, 겉자락(3a)의 상부에 고정부착되어 고리부재(42)의 복수의 고리구멍에 위치를 바꿔서 거는 훅크부재(43)로 이루어지며, 바지(1)의 허리부(2)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걸고리 훅크(41)에 있어서도, 바지(1)의 앞부분(3)의 상단을 단지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할 뿐만 아니라 허리부(2)의 치수를 소정의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결합구를 구성한다. 그 때문에 걸고리 훅크 (41)에 의하면, 바지(1)의 허리둘레 치수를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에 맞추어 조절한 상태에서 앞부분(3)의 상단을 결합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바지의 걸고리 훅크 (41)는, 실시형태 14∼1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사용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 17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3에 관한 바지(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실시형태 13에 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실시형태 18
다음에, 실시형태 18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61은 도 60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62는 도 61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63은 도 62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9∼6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12와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13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조절포(21)의 중합부(21a)가 닫히도록 힘을 더하는 형상유지부재를 이루는 판형상의 고무(22)를 구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실시형태 12와 같이 도 60∼도 63의 공정에서, 고무(22)의 다른 끝단을 지퍼테잎(Fa)의 꿰매붙임위치에 꿰매붙인다.
이 본 실시형태 18의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12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고무(22)는 본 실시형태 뿐만 아니라, 상기 실시형태 14∼1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을 구비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 18에 관한 바지(1)에서도, 실시형태 12와 마찬가지로, 형상유지부재로서 조절포(21)에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짜넣는 등의 형태로 할 수 있다.
요컨대, 각 실시형태 13∼18의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7∼12와 마찬가지로 걸고리 훅크(11) 및 걸고리 훅크(41)로 이루어지는 결합구에 의해서 앞부분(3)의 상단의 결합부분에서 바지(1)의 허리둘레치수를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어,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실시형태 13∼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12와 같이조절포(21)를 균일폭의 것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조절포(21)의 상단의 폭을 널게, 하단의 폭을 좁게 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조절포(21)가 겉자락(3a)에 형성되는 영역은, 겉자락(3a)의 윗쪽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그 사이 길이의 대략 1/3∼1/2의 위치까지이지만, 조절포(21)의 상단의 폭이 넓고, 하단의 폭이 좁아지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아래쪽에 있어서는 생략할 수 있다. 물론 생략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실시형태 19
다음에, 실시형태 19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조절포(21A)의 폭이 상단에서 길이(L1)까지는 일정하고, 거기에서 하단(21b)까지의 길이(L2)의 구간에서는 점차로 가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에서는, 도 23∼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포 (21)의 폭이 하단까지 일정하고, 조절포(21)에 꿰매붙여진 지퍼테잎(Fa)은 조절포 (21)가 도중에서 끊긴 부분에서는 겉자락(3a)에 직접 꿰매붙여져 있다. 여기서 조절포(21)의 폭이 일정하기 때문에, 조절포(21)의 하단에서 지퍼테잎(Fa)의 변위가 자유로운 부분과 고정된 부분의 사이에서 단차가 생겨 변형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조절포(21)의 형상변화시에 이 부분에 주름이 지고, 또한 거부감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형태 1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있어서는, 도 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포(21A)의 폭이 상단에서 길이(L1)만큼 내려간 위치에서 길이(L2)의 구간에 걸쳐서 점차로 가늘어지며, 조절포(21)의 하단 (21b)의 폭은 상단에 비해서 훨씬 작아졌다. 이에 따라 조절포(21)의 하단(21b)에서의 지퍼테잎(Fa)의 단차가 거의 없어져서, 상기 변형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주름·거부감 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19에 있어서의, 조절포(21A)의 폭이 일정한 구간의 길이(L1), 조절포(21)의 폭이 가늘어지는 구간의 길이(L2) 및 조절포의 길이(L1+L2)와 하단 (21b)의 폭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L1= 0로서 조절포(21)의 상단에서 폭이 가늘게 되어 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하단(21b)의 폭을 제로로 하여 조절포(21)가 자연스럽게 소멸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 19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조절포(21)의 폭을 변화시키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실시형태 8 내지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조절포(21)의 폭을 변화시켜도 좋다. 본 실시형태 19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실시형태 20
다음에, 실시형태 20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대한 바지(1)에 있어서, 조절포(21B)의 폭이 상단에서 길이(L3)까지는 일정하고, 거기에서 하단(21b)까지의 길이(L4)의 구간에서는 점차로 가늘게 되어 있다. 또한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중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 가까운 끝단부를 꿰매는 위치에는, 겉자락(3a)의 세로방향으로 조절포(21B)의 폭 변화에 대응한 형상의 절취부(4)가 형성되어 있고, 절취부(4)에 조절포(21B)의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 가까운 끝단부가 끼워넣어져 뒷쪽에서 꿰매여져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 2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있어서는, 조절포(21B)의 폭이 상단에서 길이(L3)만큼 내려간 위치로부터 길이(L4)의 구간에 걸쳐서 점차로 좁아져 있고, 조절포(21B)의 하단(21b)의 폭은 상단에 비해서 훨씬 작아져 있다. 이에 따라 조절포(21B)의 하단(21b)에서의 지퍼테잎(Fa)의 단차는 거의 없어져서, 왜곡을 해소할 수 있고, 주름·거부감 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취부(4)에 끼워진 조절포(21B)의 끝단부는, 꿰매붙인 곳이 은폐되어, 접촉할 때에 거부감이 없고, 그 모양이 좋아진다.
본 실시형태 20에 있어서의, 조절포(21B)의 폭이 일정한 구간의 길이(L3), 조절포(21B)의 폭이 가늘게 되는 구간의 길이(L4) 및 조절포의 길이(L3+L4)와 하단(21b)의 폭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L3=0로서 조절포(21)의 상단에서 폭이 가늘어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하단(21b)의 폭을 제로로 하여 조절포(21B)가 자연스럽게 소멸하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본 실시형태 20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실시형태 21
다음에, 실시형태 21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1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1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조절포(21C)의 폭이 상단에서 길이(L5)까지는 일정하고, 거기에서 하단(21b)까지의 길이(L6)의 구간에서는 점차로 가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조절포(21C)의 길이(L5+L6)가 길게 잡혀 있고, 하단 (21b)은 겉자락(3a)의 하단 근방까지 이른다. 그리고 조절포(21C)의 폭이 가늘어지는 구간의 길이(L6)도 길게 함으로써, 조절포(21C)의 폭 변화가 매우 완만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1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있어서는, 조절포(21C)의 폭 변화를 매우 완만하게 유지하면서, 조절포(21C)의 하단 (21b)의 폭을 상단에 비해서 훨씬 작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조절포(21C)의 형상변화의 연속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조절포(21C)의 하단(21b)에서의 지퍼테잎 (Fa)의 단차를 거의 없게 하여 왜곡을 해소할 수 있고, 주름·거부감 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21에 있어서도, 조절포(21)의 폭이 일정한 구간을 없애고 조절포(21C)의 상단에서 폭이 좁아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하단(21b)의 폭을 제로로 하여 조절포(21C)가 자연스럽게 소멸하는 듯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 21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같이 구성되어,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실시형태 22
다음에, 실시형태 22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있어서의 장식주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도 67에 있어서는, 허리부 안감(2a)에 장착되는 훅크구성체(100A)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6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조절포(21)를 꿰매 붙이는 대신에 겉자락(3a)에 장식주름(플래시)(50)을 세로방향으로 형성하고, 이 장식주름(50)에 지퍼테잎(Fa)를 꿰매붙인 것이다.
도 6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식주름(50)은, 겉자락(3a)의 옷감을 바깥쪽의 접힘부분(50a)과 안쪽의 접힘부분(50b)의 2곳에서 되접음으로써, 접힘부분(50a)에서 접힘부분(50b)의 구간에서 겹쳐진 부분이 생기게 하고, 이 겹쳐진 부분이 늘어남으로써 걸림부재에 의해 바지(1)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범위에서형상변화를 자유롭게 한 것이다. 도 6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겹쳐진 부분은 장식주름(50)의 상단에서 가장 폭이 크고, 아래쪽으로 감에 따라 작아지며 하단에서 소멸한다.
도 6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지퍼테잎(Fa)은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의 위쪽에서, 겉자락(3a)에 꿰매붙여진다. 한쪽의 지퍼테잎(Fa)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물림돌기(Fb)와 맞물리는 다른쪽의 지퍼테잎(Fa)은, 도시하지 않은 속자락에 꿰매붙여진다. 그리고 바지(1)의 앞부분은, 각 지퍼테잎(Fa)의 복수의 물림돌기(Fb)를 맞물리게 하여 2개의 지퍼테잎(Fa)을 결합하는 슬라이더(Fc)를 상하이동함으로써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6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지퍼테잎(Fa)의 상단은,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서 슬라이딩테잎(60)에 의해 겉자락(3a)의 상단에 꿰매어져 있다. 슬라이딩테잎(60)은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 끼워져서 꿰매어져 있다.
이와 같이 지퍼테잎(Fa)의 장식주름(50)에 꿰매붙여진 부분은, 접혀서 겹쳐진 부분에 의한 여분의 길이의 범위내에서, 도 68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당겨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장식주름(50)이 지퍼테잎(Fa)을 통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쪽으로 당겨지는 것으로,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당겨 늘어나고, 지퍼테잎 (Fa)을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겉자락(3a)에 꿰매어져 있는 슬라이딩테잎(60)은,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 끼워져서 꿰매어져 있기 때문에, 지퍼테잎(Fa)의 장식주름(50)으로의 꿰매붙인 부분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여유있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되므로, 그 이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장식주름(50)에 의하면, 슬라이더(Fc)를 올려서 지퍼(F)로 앞부분을 닫은 상태에 있어서, 바지(1)의 허리부를 넓히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지퍼테잎(Fa)의 밑으로 장식주름(50)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을 늘일 수 있는 길이의 범위내에서 바지(1)의 허리사이즈가 늘어나고, 허리부의 하부도 그 사이즈가 넓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 22에 관한 바지(1)도, 도 27에 나타낸 것과 같은 단추구멍(31ax)을 갖는 걸이구(31)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 22에 관한 바지(1)는, 실시형태 7과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가 발휘된다.
즉, 바지(1)의 허리부(2)의 치수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앞부분의 상단의 걸림부재(100)에 의한 결합부분에서, 바지(1)의 허리부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앞부분의 상부보다 밑을 향하여 소정위치까지의 영역『지퍼테잎 (Fa)의 밑으로 장식주름(50)이 형성되는 영역』에서는,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을 늘일 수 있는 길이의 범위내에서 바지(1)의 허리사이즈를 늘일 수 있다.
또한, 겉자락(3a)에 꿰매붙여진 지퍼테잎(Fa)의 상단은, 슬라이딩테잎(60)에의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허리부 안감 (2a)의 안쪽에 끼워서 꿰매붙이고 있기 때문에, 지퍼테잎(Fa)의 상단은, 지퍼테잎 (Fa)의 장식주름(50)에 꿰매붙인 부분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서 바깥방향을 향하여 이동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바지(1)의 허리사이즈가 조절되는 구간은, 바지(1)의 상단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장식주름(50)이 형성된 부분까지 완전히 연속하여, 바지(1)를 착용하였을 때의 갑갑한 느낌이 더욱 저감되고, 앞부분의 주위가 당겨짐으로써 모양이 나빠지는 것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즉,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부의 치수가 커지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허리둘레 근방의 주위의 치수도 커진다. 그 때문에 허리부에만 치수의 여유가 있다고 하여, 갑갑한 느낌을 피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 22의 바지(1)에 의하면,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의 변화분뿐만 아니라 허리둘레 근방의 치수의 변화분까지 대응하여 바지(1)의 각 부의 허리부가 커지고, 갑갑한 느낌은 들지 않는다. 또한 바지(1)의 허리사이즈가 부족하여 앞부분의 주위가 당겨져서 모양이 나쁘게 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22에 관한 바지(1)에서는, 상기 각 실시형태 7 내지 실시형태 21의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있어서의 조절포(21)의 부착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의복의 겉자락을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되접히는 장식주름(플래시) 가공을 실시할 뿐으로,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제조공정도 단축되는 점에서, 보다 기간이 짧고 또한 저비용으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 22에 있어서는, 의복을 분리 자유롭게 결합하고,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소정의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결합구로서, 전술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6에 관한 걸림부재(100)를 사용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결합구로서는, 그 외에도 실시형태 13에서 설명한 훅크부재(13)를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형태의 걸고리 훅크(11)나, 실시형태 17에서 설명한 훅크부재(43)를 걸어 두는 복수의 고리구멍을 구비한 형태의 걸고리 훅크(41) 등을 비롯하여, 여러가지의 허리사이즈 조절이 자유로운 결합구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딩테잎(60)의 재질로서는, 면테잎, 공단테잎을 비롯하여, 고무, 스판렉스, 스트레치테잎(고무함유 천테잎) 등의 탄성재나 그 외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22에 있어서는, 겉자락(3a)에 꿰매붙인 지퍼테잎(Fa)의 상단은, 슬라이딩테잎(60)에 의해서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 끼워서 꿰매붙이고 있지만, 슬라이딩테잎(60)을 사용하지 않고, 도 6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퍼테잎(Fa)의 상단을 직접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 끼워서 꿰매붙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테잎(60)을 사용하는 일 없이 지퍼테잎(Fa)의 상단이, 지퍼테잎(Fa)의 장식주름(50)에 꿰매붙인 부분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보다 바깥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22에 있어서는, 지퍼테잎(Fa)은 장식주름(50)을 형성하는 겉자락(3a)의 가장 위쪽의 옷감에만 꿰매붙여져 있고, 바깥쪽의 접힘부분(50a)을 접은 자국에 따라 꿰매붙이는 구성으로는 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도 67에 있어서의 좌측의 스티치에 의해서 바깥쪽의 접힘부분(50a)을 접은 자국을 따라 꿰매붙이도록, 지퍼테잎(Fa)을 장식주름(50)에 꿰매붙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바깥쪽의 접힘부분(50a)의 접은 자국이 강고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지퍼테잎(Fa)이 겉자락 (3a)의 끝단가장자리방향으로 당겨지고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늘여지더라도, 바깥쪽의 접힘부분(50a)의 접은 자국이 지워지는 일 없이 모양이 잘 유지된다. 그리고 지퍼테잎(Fa)으로의 인장력이 개방되면, 즉시 원래의 장식주름(50)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실시형태 23
다음에, 실시형태 23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9에 있어서는, 허리부 안감(2a)에 부착되는 훅크구성체(100A)는, 도시생략되어 있다.
도 6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22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겉자락(3a)의 옷감의 뒷쪽에 장식주름(50)의 폭보다 넓은 범위에 걸치는 안감(62)이, 장식주름(50)의 양측에서 각각 스티치(62a)에 따라 꿰매붙여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허리사이즈의 조절에 따라 지퍼테잎(Fa)가 겉자락(3a)의 끝단 가장자리방향으로 당겨져서, 장식주름(50)의 접혀 겹쳐짐 부분이 늘여진 경우에는, 장식주름(50)의 양측의 스티치(62a)에서 꿰매붙인 안감(62)에는 인장력이 걸리기 때문에 장식주름(50)을 원래의 상태에 되돌리려고 하는 가압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장식주름(50)은, 항상 일정한 가압력을 받으면서 형상변화하기 때문에,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이 지퍼쪽으로 올라가는「부풀림」이 일어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이 부풀림에 의해 겉자락(3a)의 표면『지퍼테잎(Fa)이 꿰매붙여져 있는 것과 반대쪽의 면』에 주름이 잡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모양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장식주름(50)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려고 하는 가압력이 작용하므로,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실수로 열린상태로 되는 경우가 방지되며, 바지(1)의 허리부의 하부주위의 치수가 너무 길어져서 바지(1)가 헐렁하게 되어 주름이 지는 일이 없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 23에 있어서도, 지퍼테잎(Fa)은 장식주름(50)을 형성하는 겉자락(3a)의 제일 위쪽의 옷감에만 꿰매붙여져 있으므로, 바깥쪽의 접힘부분 (50a)을 접은 자국에 따라 꿰매붙이는 구성으로는 되어 있지 않다. 이에 비해 도 69에 있어서의 왼쪽의 스티치에 의해서 바깥쪽의 접힘부분(50a)을 접은 자국에 따라 꿰매붙이도록, 지퍼테잎(Fa)을 장식주름(50)에 꿰매붙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바깥쪽의 접힘부분(50a)의 접은 자국이 강고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지퍼테잎(Fa)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방향으로 잡아당겨지고 장식주름(50)의 접혀 겹쳐짐 부분이 늘여지더라도, 바깥쪽의 접힘부분(50a)의 접은 자국은 지워지는 일 없이 모양이 잘 유지된다. 그리고 지퍼테잎(Fa)으로의 인장력이 개방되면, 즉시 원래의 장식주름(50) 형상으로 복원된다.
실시형태 24
다음에, 실시형태 24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24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도 67에 나타낸 실시형태 22에 대한 바지(1)에 있어서, 겉자락(3a)의 옷감의 뒷쪽에는 겉자락(3a)의 옷감의 접힘부분이 장식주름(50)의 근방에 양면접착테잎에 의해 붙여져 있는 것이다. 구체예로서는, 걸림부재에 의한 허리사이즈 조절가능범위가 3cm의 경우,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서 대략 1.5cm의 부분에 있어서, 겉자락(3a)의 옷감의 접힘부분이 상하방향을 따라 양면접착테잎에 의해 겉자락(3a)의 옷감의 뒷쪽에 붙여진다.
따라서, 허리사이즈의 조절에 따라 지퍼테잎(Fa)이 겉자락(3a)의 끝단 가장자리방향으로 당겨져서,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늘어진 경우에는, 이 접착부분에 인장력이 걸리기 때문에 장식주름(50)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려고 하는 가압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장식주름(50)은, 항상 일정한 가압력을 받으면서 형상변화하기 때문에,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혀진 부분이 지퍼쪽으로 올라가는 「부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풀림에 의해 겉자락(3a)의 표면에 주름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모양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장식주름(50)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려고 하는 가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실수로 열린상태로 되는 것이 방지되고, 바지(1)의 허리부 하부 주위의 치수가 너무 커져서 바지(1)가 헐렁하여 주름지는 일이 없다.
실시형태 25
다음에, 실시형태 25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25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도 67에 나타낸 실시형태 22에 대한 바지(1)에 있어서,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와 장식주름(50)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겉자락(3a)이 상하방향을 따라 꿰매붙여져 있는 것이다. 구체예로서는,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로부터 대략 1cm의 위치에 상하방향을 따라서, 겉자락(3a)의 표면『지퍼테잎(Fa)이 꿰매붙여져 있는 면과 반대쪽의 면』에서 이면『지퍼테잎(Fa)이 꿰매붙여져 있는 면』까지 관통하도록 스티치를 실시한다.
따라서, 허리사이즈의 조절에 따라 지퍼테잎(Fa)이 겉자락(3a)의 끝단 가장자리방향으로 당겨져서,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늘어진 경우에는, 이 꿰매붙인 부분에 인장력이 걸리기 때문에 장식주름(50)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려고 하는 가압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장식주름(50)은, 항상 일정한 가압력을 받으면서 형상변화하기 때문에,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이 지퍼쪽으로 올라가는 「부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풀림에 의해 겉자락(3a)의 표면에 주름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모양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장식주름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려고 하는 가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장식주름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실수로 열린상태가 되는 일이 방지되어, 바지(1)의 허리부의 하부주위의 치수가 너무 늘어나서 바지(1)가 헐렁해져 주름이 생기는 일이 없다.
또, 실시형태 23∼25에 관한 바지(1)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22에 관한 바지(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실시형태 22에 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실시형태 26
다음에, 실시형태 26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0에 있어서는, 허리부 안감(2a)에 장착되는 훅크구성체(100A)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23에 대한 안감(62)이 부착된 바지(1)에 있어서, 지퍼테잎 (Fa)의 상단이 슬라이딩테잎(60) 대신에 2개의 스트레치테잎(고무함유 천테잎)(64)으로 겉자락(3a)의 상단에 꿰매붙여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2개의 스트레치테잎 (64)은, 그 형상이 대략 V자형으로 되도록 상단을 떨어뜨려 꿰매붙이고 있다.
따라서, 지퍼테잎(Fa)이 좌우 어느 한쪽으로 잡아당겨진 경우에도, 2개의 스트레치테잎(64) 중 어느 한쪽이 잡아 당겨져 늘여지기 때문에, 스트레치테잎(64)의 탄성력에 의해 지퍼테잎(Fa)의 상단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가압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지퍼테잎(Fa)을 잡아 당기는 힘이 소멸한 경우에는, 지퍼테잎 (Fa)은 조속히 원래의 위치에 복귀된다. 특히 바지(1)의 옷감이 털이 긴 것이나 두꺼운 옷감의 경우와 같이, 지퍼테잎(Fa)의 미끄러짐이 약한 경우이더라도, 본 실시형태 26의 구성에 의하면 확실히 지퍼테잎(Fa)을 원래의 위치에 되돌릴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 26에서는, 대략 V자형이 되도록 꿰매 붙이는 2개의 탄성재테잎으로서 스트레치테잎(64)을 사용하고 있지만, 탄성재테잎의 재질로서는, 고무,스판렉스 등의 다른 재질도 사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26에 관한 바지(1)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23에 대한 바지(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실시형태 23에 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 26에 관한 대략 V자형이 되도록 꿰매붙이는 2개의 탄성재 테잎은, 실시형태 22, 24, 25의 바지(1)에 적용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27
다음에, 실시형태 27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장식주름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22에 대한 바지(1)에 있어서,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 (50b)에 다리미로 프레스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퍼테잎(Fa)이 겉자락(3a)의 끝단 가장자리방향으로 당겨져서,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당겨져 늘어난 경우에도,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50b)의 접은 자국(50c)이 지워지는 일 없이 유지된다. 이 때문에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50b)이 지워져서 바깥쪽으로 부풀어 올라 버리는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2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 (50b)에 플리츠가공을 실시하여도 좋다. 플리츠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50b)의 접은 자국(50c)은 보다 강고하게 된다. 따라서 지퍼테잎(Fa)이 겉자락(3a)의 끝단 가장자리방향으로 당겨져서,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늘어난 경우에도,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50b)의 접은 자국 (50c)이 지워지는 일 없이 유지된다. 이 때문에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 (50b)이 지워져서 바깥쪽으로 부풀어 올라 버리는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플리츠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바지(1)를 세탁이나 크리닝하더라도 접은 자국(50c)이 지워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작용효과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8
다음에, 실시형태 28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장식주름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22에 대한 바지(1)에서,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50b)이 접은 선(접은 자국)(50c)의 근방에서, 접은 선(50c)을 따라 스티치(52)에 의해 꿰매붙여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퍼테잎(Fa)이 겉자락(3a)의 끝단 가장자리방향으로 당겨져서,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늘어진 경우에도, 장식주름 (50) 안쪽의 접힘부분(50b)의 접은 자국(50c)은 강고하게 유지된다. 이 때문에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50b)이 지워져서 바깥쪽으로 부풀어 올라 버리는 결함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스티치(52)에 의하여 꿰매붙이는 위치는, 접은 선(접은 자국)(50c)에서 1∼2mm 떨어진 위치가 바람직하다. 스티치(52)를 접은 선(50c)에서 너무 많이떨어진 곳에 꿰매붙이면, 장식주름(50)에 의한 형상변화의 자유로운 범위가 줄어들게 되어 버리므로, 실용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 28에서는 스티치(52)로 장식주름(50)의 하단까지 꿰매붙이고 있으나, 스티치(52)로 꿰매붙이는 범위를 장식주름의 상단에서 대략 3/4∼2/3까지로 하고, 그 보다 아래쪽은 꿰매붙이는 것을 생략하여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실시형태 27, 28에 관한 바지(1)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22에대한 바지(1)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실시형태 22에 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 실시형태 27에 관한 다리미에 의한 프레스가공 또는 플리츠가공 혹은 실시형태 28에 대한 접은 선(50c)을 따라 꿰매붙이는 것은, 실시형태 23∼26의 바지 (1)에 적용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29
다음에, 실시형태 29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속자락 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대한 바지(1)에 있어서, 속자락(3b)의 허리부(2)에 부착되는 걸림부재(100)의 고리구성체(100B)의 위치를, 지퍼테잎(Fa)의 물림돌기(Fb)의 끝단가장자리에 따른 선에 좌우방향의 중심이 오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겉자락의 훅크구성체(도시하지 않음)를 허리사이즈가 가장 커지도록 고리구성체(100B)에 건 경우에도, 고리구성체(100B)는 겉자락의 허리부에 가려져서, 겉에서 보이는 일이 없다. 또한 겉자락의 훅크구성체를 허리사이즈가 가장 작아지도록 고리구성체(100B)에 건 경우에도, 허리부(2)의 주변에 왜곡이 생기는 일이 없어, 주름이 지는 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 29에 있어서는, 고리구성체(100B)의 부착위치를 최적화함에 따라, 거는 동작을 행한 경우에 고리구성체(100B)가 겉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고리구성체(100B)의 크기를 바꿈으로써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고리구성체(100B)의 폭을 보다 작은 것으로 바꾸는 것에 의해, 거는 동작을 행한 경우에 고리구성체(100B)가 겉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30
다음에, 실시형태 30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겉자락 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3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대한 바지(1)에 있어서, 겉자락(3a)의 허리부(2)의 끝단가장자리부에 대략 이등변 삼각형의 포인트(54)를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쪽으로 튀어 나가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겉자락(3a)의 허리부(2)의 뒷쪽에 장착된 훅크구성체(100A)를, 허리사이즈가 가장 커지도록 고리구성체(100B)에 건 경우, 원래 허리부(2)의 끝단가장자리로부터 튀어 나와 겉에서 보이게 되어 버리는 고리구성체(100B)의 일부가, 포인트(54)에 가려지기 때문에, 겉에서 고리구성체(100B)가 보이는 일이 없다. 따라서 모양이 좋은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이 된다.
또, 포인트(54)의 형상은 삼각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그 밖의 다각형, 혹은 반원형상 등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29, 30에 관한 바지(1)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7에 대한 바지(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 실시형태 29에서 고리구성체(100B)의 위치결정 및 실시형태 30에서 포인트(54)를 마련하는 것은, 실시형태 8∼12 혹은 실시형태 19∼28의 바지(1)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각 실시형태 1 내지 30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냄에 따라, 의복의 허리사이즈가 조절가능한 걸림부재 및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고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표시되어 있으며, 그들 청구항의 범주에 들어 가는 모든 변형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40)

  1.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로서,
    상기 걸림부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훅크구성체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리구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훅크구성체는,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한 복수의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
    상기 제 1 면과 반대쪽의 제 2 면측에 형성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훅크부돌기와,
    상기 훅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 2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훅크부착판을 구비하며,
    상기 고리구성체는,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형성된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
    상기 고리본체에 형성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고리부돌기와,
    상기 고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고리본체를 형성하는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고리부착판을 구비하는 걸림부재.
  2.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에 사용되는 훅크구성체로서,
    상기 훅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한 복수의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
    상기 제 1 면과 반대쪽의 제 2 면측에 형성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훅크부돌기와,
    상기 훅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 2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훅크부착판을 구비하는 훅크구성체.
  3.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에 사용되는 고리구성체로서,
    상기 고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
    상기 고리본체에 형성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고리부돌기와,
    상기 고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고리본체가 형성되는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고리부착판을 구비하는 고리구성체.
  4. 청구항 2의 훅크구성체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리구성체를 구비하는 걸림부재로서,
    상기 고리구성체는,
    상기 훅크본체의 훅크부에 걸리는 단일의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
    상기 고리본체에 형성한 2개의 절곡이 자유로운 고리부돌기와,
    상기 고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고리본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고리부착판을 구비하는 걸림부재.
  5. 청구항 3의 고리구성체와, 훅크구성체를 구비하는 걸림부재로서,
    상기 훅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한 단일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
    상기 훅크본체의 제 1 면과 반대측의 면측에 형성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훅크부돌기와,
    상기 훅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 2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훅크부착판을 구비하는 걸림부재.
  6.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로서,
    상기 걸림부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훅크구성체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리구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훅크구성체는,
    거는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한 복수의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
    상기 훅크본체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 위치에 형성한 4개 이상의 훅크부 장착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고리구성체는,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
    상기 고리본체에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 위치에 형성한 4개 이상의 고리부 장착구멍을 구비하는 걸림부재.
  7.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에 사용되는 훅크구성체로서,
    상기 훅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한 복수의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
    상기 훅크본체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한 4개 이상의 훅크부 장착구멍을 구비하는 훅크구성체.
  8.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에 사용되는 고리구성체로서,
    상기 고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
    상기 고리본체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한 4개 이상의 고리부장착구멍을 구비하는 고리구성체.
  9. 청구항 7의 훅크구성체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리구성체를 구비하는 걸림부재로서,
    상기 고리구성체는,
    상기 훅크본체의 훅크부에 거는 단일의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
    상기 고리본체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한 2개의 고리부 장착구멍을 구비하는 걸림부재.
  10. 청구항 8의 고리구성체와, 훅크구성체를 구비하는 걸림부재로서,
    상기 훅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특정의 면쪽에 형성한 단일의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
    상기 훅크본체의 거는방향 및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한 3개 이상의 훅크부 장착구멍을 구비하는 걸림부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본체의 복수의 훅크부 또는 상기 고리본체의 복수의 고리부의 위치는, 양자의 걸림위치가 10 내지 30mm의 범위에서 변경가능하게 되도록 설정한 걸림부재.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본체의 복수의 훅크부 또는 상기 고리본체의복수의 고리부의 위치는, 양자의 걸림위치가 10 내지 30mm의 범위에서 변경가능하게 되도록 설정한 걸림부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본체의 복수의 고리부 상호간은, 상기 고리부의 길이방향 끝단부에 형성한 연결부에서 접속한 걸림부재.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본체의 복수의 고리부 상호간은, 상기 고리부의 길이방향 끝단부에 형성한 연결부에서 접속한 걸림부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본체 및/또는 상기 고리본체는, 그 일부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재.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본체 및/또는 상기 고리본체에는, 그 일부에 훅크부돌기 및/또는 고리부돌기가 들어가는 요철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재.
  17. 의복을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하고,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소정의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에 의해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롭게 한 범위에서 형상변화를 자유롭게 하고, 상기 의복의 한쪽에 꿰매붙여져서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통형상의 조절포와,
    상기 조절포에 시접으로 되는 한쪽의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지고, 또한 상기 의복의 다른쪽에 시접으로 되는 다른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진 지퍼를 구비하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포에는, 소정 형상을 유지하도록 힘을 가하는 형상유지부재가 마련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테잎의 상단은, 앞부분으로 향하여 바깥방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테잎은, 그 상단을 상기 조절포의 상단에 맞춘 상태이며, 상기 조절포에만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포의 폭방향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위치에는, 안감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에 상기 조절포의 폭방향 끝단부가 끼워져서 상기 안감의 뒷쪽에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포에 대하여 상기 지퍼테잎이 상기 걸림부재측을 향해 개구하는 것과 같은 각도로, 상기 지퍼테잎을 상기 조절포에 꿰매붙인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포는, 그 폭이 상단 또는 상단에서 소정 길이만큼 내려간 위치로부터 하단을 향해서 점차로 가늘어지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24. 의복의 앞부분의 상단을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하고, 결합부분에서의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소정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결합구와,
    상기 앞부분의 하단과 상단 사이에서, 상기 결합구에 의하여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범위에서 형상변화를 자유롭게 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통형상으로서 상기 앞부분의 한쪽에 꿰매붙여진 조절포와,
    상기 조절포에 시접으로 되는 한쪽의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지고, 또한 상기 앞부분의 다른쪽에 시접으로 되는 다른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진 지퍼를 구비하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포에는, 소정 형상을 유지하도록 힘을 가하는 형상유지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앞부분의 속자락의 끝단가장자리에서 돌출하고, 상기 앞부분의 겉자락에 부착된 단추에 걸리는 단추구멍을 가지는 걸이구를 구비하며, 상기 단추구멍이,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소정 범위에서, 상기 허리사이즈 방향으로 늘어난 성분을 갖는 긴 구멍인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테잎은 상기 겉자락에 꿰매붙여짐과 동시에, 상기 지퍼테잎은, 상기 겉자락의 폭방향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그 상단을 허리부 안감의 안쪽에 끼워서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테잎은 상기 겉자락에 꿰매붙여져 있음과 동시에, 상기 지퍼테잎은, 그 상단을 상기 조절포의 상단에 맞춘 상태에서, 상기 조절포에만 꿰매어져 있는 것을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겉자락에 상기 조절포의 폭방향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위치에는, 겉자락의 안감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에 상기 조절포의 폭방향 끝단부가 끼워져서 상기 안감의 뒷쪽에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30.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포는, 그 폭이 상단 또는 상단에서 소정 길이만큼 내려간 위치에서 하단을 향해 점차로 가늘게 되어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31. 의복을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하고,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소정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에 의하여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범위에서 형상변화를 자유롭게 하여, 상기 의복의 한쪽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장식주름과,
    상기 장식주름에 시접으로 되는 한쪽의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지고, 또한 상기 의복의 다른쪽에 시접으로 되는 다른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진 지퍼를 구비하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한쪽의 옷감의 뒷쪽에는 상기 장식주름의 폭보다 넓은 범위에 걸친 안감이 상기 장식주름의 양측에서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한쪽의 옷감의 뒷쪽에는 상기 의복 한쪽의 옷감의 접힘부분이 상기 장식주름의 근방에 양면접착테잎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한쪽의 끝단부와 상기 장식주름 사이의 부분에서, 상기 의복의 한쪽이 상하방향을 따라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주름 안쪽의 접힘부분에 다리미에 의한 프레스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주름 안쪽의 접힘부분에 플리츠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37.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주름 안쪽의 접힘부분이 접은 선의 근방에서, 상기 접은 선을 따라 꿰매붙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지퍼테잎의 상단은, 앞부분으로 향하여 바깥방향으로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의복에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39.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지퍼테잎의 상단은, 슬라이딩테잎에 의해 상기 의복의 한쪽 상단에 꿰매붙여지고, 상기 슬라이딩테잎은 앞부분으로 향하는 바깥방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40.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지퍼테잎의 상단은, 2개의 고무테잎에 의해 상기 의복의 한쪽 상단에 꿰매붙여지고, 상기 2개의 고무테잎은 상기 의복에 대략 V자형으로 벌려서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KR10-2001-0010413A 2000-03-01 2001-02-28 의복의 허리사이즈가 조절가능한 걸림부재, 훅크구성체, 고리구성체 및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KR100387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55660 2000-03-01
JP55660 2000-03-01
JP142517 2000-05-15
JP2000142517 2000-05-15
JP235227 2000-08-03
JP2000235227A JP2002034612A (ja) 2000-03-01 2000-08-03 掛止金具及びウエストサイズ調節機構付衣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241A true KR20010087241A (ko) 2001-09-15
KR100387408B1 KR100387408B1 (ko) 2003-06-18

Family

ID=2734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413A KR100387408B1 (ko) 2000-03-01 2001-02-28 의복의 허리사이즈가 조절가능한 걸림부재, 훅크구성체, 고리구성체 및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10023502A1 (ko)
EP (2) EP1702526A3 (ko)
JP (1) JP2002034612A (ko)
KR (1) KR100387408B1 (ko)
CN (1) CN1181769C (ko)
AU (1) AU767435B2 (ko)
CA (1) CA2337935C (ko)
HK (1) HK1038296A1 (ko)
ID (1) ID29511A (ko)
TW (2) TW5891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7295B2 (ja) * 2005-04-21 2010-09-22 好司 加藤 ウエストサイズ調節機構付衣服
US20150201717A1 (en) * 2014-01-18 2015-07-23 Berkeley Bliss Modified Adhesive Zipper Device
USD853081S1 (en) * 2017-09-20 2019-07-09 Utax Co., Ltd. Fastener for brassieres
CN108030176A (zh) * 2018-01-26 2018-05-15 上海衣俪特服饰有限公司 一种可调节袖口长度的魔法袖
WO2022076360A1 (en) * 2020-10-05 2022-04-14 Vans, Inc. Low profile closure
KR102571706B1 (ko) * 2022-11-07 2023-08-28 김정범 의류용 후크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927C (ko) *
US2585175A (en) 1949-03-11 1952-02-12 Constance F Rosenberg Trouser fly construction
GB752800A (en) * 1954-01-27 1956-07-18 Walker Ltd Thomas Improvements relating to back-plates or clamping plates for use in conjunction with hook fasteners for wearing apparel
JPS5440748A (en) * 1977-09-06 1979-03-30 Mizunuma Kinzoku Kk Hook for adjusting waist
US4183121A (en) * 1977-10-20 1980-01-15 Bonnie Enterprises, Inc. Separable fastener
AT372583B (de) * 1980-06-23 1983-10-25 Fildan Gerhard Waescheverschluss
DE3534694C1 (en) * 1985-09-28 1987-03-12 Norbert Huelsmann Device for adjusting the size of a trouser waistband
US4674158A (en) * 1986-08-22 1987-06-23 Wah Lau Adjustable buckle
DE8703965U1 (de) * 1987-03-17 1987-05-07 Gutos Metallschliessenfabrik Bader & Hoch GmbH & Co KG, 7530 Pforzheim Kleiderverschluß
JPH0314746A (ja) * 1989-06-09 1991-01-23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天井材
JP3109935B2 (ja) * 1993-02-08 2000-11-2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掛止金具とその取り付け方法
JP2696052B2 (ja) * 1993-05-07 1998-01-14 水沼金属株式会社 鉤ホ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578079B2 (ja) 1994-10-12 1997-02-05 好司 加藤 ズボン等のウエスト伸縮構造
JP2518804B2 (ja) 1994-06-15 1996-07-31 好司 加藤 ズボン等のウエスト伸縮構造
JP2518803B2 (ja) 1994-05-26 1996-07-31 好司 加藤 ズボン等のウエスト伸縮構造
JP2518807B2 (ja) 1995-04-22 1996-07-31 好司 加藤 ズボン等のウエスト伸縮構造
EP0784945B1 (en) * 1996-01-22 1999-11-17 Ishizaki Press Kogyo Co., Ltd. Hook and eye fastener for clothing
FR2776481A1 (fr) * 1998-03-30 1999-10-01 Leah Banayan Soutien-gor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89160B (en) 2004-06-01
KR100387408B1 (ko) 2003-06-18
AU2476901A (en) 2001-09-06
EP1129638A3 (en) 2005-01-19
CN1181769C (zh) 2004-12-29
EP1702526A3 (en) 2007-04-04
CN1310964A (zh) 2001-09-05
ID29511A (id) 2001-09-06
CA2337935C (en) 2005-02-01
CA2337935A1 (en) 2001-09-01
TW200400013A (en) 2004-01-01
TW572737B (en) 2004-01-21
AU767435B2 (en) 2003-11-13
US20010023502A1 (en) 2001-09-27
JP2002034612A (ja) 2002-02-05
EP1129638A2 (en) 2001-09-05
HK1038296A1 (en) 2002-03-15
EP1702526A2 (en)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96188A1 (en) Multifunctional gar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US4939794A (en) Adjustable neck and cuff closures for dress shirts
CA2486749C (en) Shirts having neck size adjusting function
GB2448803A (en) Garment with elasticated waist
KR100387408B1 (ko) 의복의 허리사이즈가 조절가능한 걸림부재, 훅크구성체, 고리구성체 및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US8205270B2 (en) Garment having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US6434754B2 (en) Hook assembly used for waist-adjusting mechanism of garment and garment having waist-adjusting mechanism
JP4223198B2 (ja) ウエストサイズ調節機構付衣服
JP6881809B1 (ja) ズボン
JP3223704U (ja) きもの
CA2481366C (en) Hook assembly used for waist-adjusting mechanism of clothes and clothes having waist-adjusting mechanism
JP3108617U (ja) 作業用上衣
JP2008050701A (ja) 下衣
JP6583910B2 (ja) 上衣
JP4547295B2 (ja) ウエストサイズ調節機構付衣服
KR20090004533U (ko) 바지위로 삐짐을 방지하는 구조의 셔츠
JPS5831852Y2 (ja) ズボン、スカ−ト等衣類
JP4071740B2 (ja) 衣類
JP4022028B2 (ja) 被服ベルトの伸縮自在構造
KR810000034Y1 (ko) 허리칫수 조절장치를 보유하는 의류
JP3183022U (ja) アジャスタ
JP2024027600A (ja) 裾上げ機能付きパンツ
AU2003248293A1 (en) Hook Assembly Used for Waist-adjusting Mechanism of Garment and Garment Having Waist-adjusting Mechanism
WO2014013212A1 (en) A clothing item part catch
JP2017115273A (ja) ウエスト伸縮自在ボトム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