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2246A - 두꺼운 물체, 특히 콘크리트용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두꺼운 물체, 특히 콘크리트용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2246A
KR20010082246A KR1020017005191A KR20017005191A KR20010082246A KR 20010082246 A KR20010082246 A KR 20010082246A KR 1020017005191 A KR1020017005191 A KR 1020017005191A KR 20017005191 A KR20017005191 A KR 20017005191A KR 20010082246 A KR20010082246 A KR 20010082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scopic
conveying
pipe
concrete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7225B1 (ko
Inventor
프리트리히 슈빙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슈빙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8596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8224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슈빙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82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36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on a mobile support, e.g. tru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807Articulated or swinging flow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특히 콘크리트의 분배에 사용되는 분배 장치에 있어서, 콘크리트 분배 파이프의 길이는 콘크리트 분배용 붐의 섹션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콘크리트 분배용 붐은 가위형 분배 파이프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분배 파이프를 지지하며, 분배 파이프 요소의 피봇점은 텔레스코픽 단부 위치에서 교차 방법으로 교차되고, 두 텔레스코픽 단부 위치 사이에서 텔레스코픽 과정 중 서로의 전방을 통과한다. 텔레스코픽 단부 위치, 즉 콘크리트 분배 장치에 대향인 단부 위치와 콘크리트 분배 장치의 방향인 다른 단부 위치에서, 분배 파이프는 각 연장 위치에 구성된다.

Description

두꺼운 물체, 특히 콘크리트용 분배 장치{DISTRIBUTING DEVICE FOR THICK SUBSTANCES, ESPECIALLY CONCRETE}
상기 분배장치는 특히 빌딩 건설시 콘크리트를 운반하고, 예를 들어 빌딩내부의 콘크리트 천정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빌딩의 높이 및 크기에 따라, 콘크리트는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서 분배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운반차량, 크레인등 위에 장착되고, 주로 여러개의 붐(boom)부분들로 나누어진 분배기능의 붐으로 구성되는 분배시스템이 이용된다. 분배용 붐과 관련한 주요 관심사는 콘크리트 운반을 위해 최대분배거리를 형성하는 것이며, 이것은 각각 관절연결 또는 다단접힘식으로 연결되는 개별 붐 부분들 내부로 붐을 능숙하게 구분하여 달성되는 것이다.
이것은 매우 민감하고 관절연결된 분배용 붐들이 이동식 콘크리트 펌프시스템의 특성이 되는 이유가 된다. 분배용 붐들은 피봇 장착부위에 배열되고, 콘크리트 운반관을 지지한다. 상기 분배시스템은 예를 들어 수평연장, 회전위치 등과 같은 작업위치들은 작업장에서 요구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형태의 작업위치들을 가질 수 있다. 붐들의 형태에 상관없이, 붐들에 의해 콘크리트 운반관의 전달단부가콘크리트가 타설되어야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다. 분배용 붐의 팁(tip)이 개별 붐 부분들사이의 각을 조정 및/또는 붐을 회전시켜 안내된다.
분배용 붐의 고도의 이동성은 붐의 전방단부 즉 콘크리트 전달부근에서 특히 중요하다. 반면에 피봇장착부와 근접한 부분에 대하여, 붐이 허용하는 도달거리의 높이 및 폭에 기인하여, 다단접힘기능이 더욱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분배용 붐의 적어도 한 개의 부분 또는 기초붐을 다단접힘식 부분으로서 설계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밝혀졌다. 붐부분들의 회전위치로 이동시키는 선택적 방법과 비교하여, 상기 방법은 상대적으로 적은 점유공간을 요구하는 장점을 가진다.
분배용 붐의 다단접힘식 부분을 위해, 콘크리트 운반관의 종방향 정렬을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야 한다. 다단접힘식 붐부분의 영역에서 가요성을 가진 콘크리트 운반관 요소를 이용하여 종방향 조정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가요성의 콘크리트 운반관들은 오직 제한된 크기로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방법은 작은 연장/수축길이로 한정된다. 상대적으로 더 큰 연장/수축 길이들을 포함하는 경우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불가능하다. 대신에 강성을 가진 콘크리트 운반관 요소들이 이용되어야 한다.
미국특허 제 4 130 134 호에 설명된 동일형태의 분배장치에 있어서, 트럭의 피봇장착부위에 분배장치가 지지된다. 상기 분배장치는 다단접힘식 기초 붐을 가지고, 여러개의 운반관 요소들의 가위형태의 시스템에 의해, 콘크리트 운반관의 종방향 조정작업이 수행된다. 기초붐의 다단접힘운동에 대한 종방향 조정작업을 위한 가위형태의 상기 운반관은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3개의 운반관 요소들을 이용한다. 다단접힘부분이 완전히 수축될 때, 운반관 요소들이 가변적으로 접혀질 수 있고, 다단접힘부분이 완전히 확장될 때 충분히 펼쳐진 위치에 있도록, 운반관 요소들이 배열된다. 다단접힘 과정동안, 모든 운반관 요소들이 약 180°만큼 회전하고, 한단계에서 다단접힘축에 대해 수직위치를 형성한다. 공지된 가위형태의 운반관은 적어도 3개의 운반관 요소들을 요구하고, 운반관 요소들중 외측에 위치한 두 개의 요소들은 중앙의 운반관 요소와 한 개의 단부에서 관절연결된다. 각각의 다른 단부들에 의해, 외측에 위치한 요소들은 분배용 붐의 다단접힘부분과 연결되며, 콘크리트를 운반 또는 지지하는 콘크리트 운반관과 연결된다. 기본적으로, 세 개의 운반관 요소들중 상기 두 개의 요소들은 다단접힘운동에 대한 종방향 조정작업을 위해 불충분하다. 운반관 요소들을 지지하는 다단접힘식 파이프들과 비교하여, 외측에 위치한 요소들은 오직 다단접힘부분의 종방향축과 수직이고 중요하지 않은 회피운동을 수행하며, 다단접힘 과정동안 중앙의 운반관요소를 가진 관절연결부들이 다단접힘부의 종방향축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며 멀어지는 정도로 이동한다. 따라서 중앙의 운반관요소의 회전운동에 의해서만 다단접힘식 붐부분에 대한 종방향 조정작업이 형성된다. 중앙의 상기 요소가 분배용 붐위에서 종방향으로 안내되는 부재위에서 중앙에 지지되고, 붐 측면을 둘러싸는 배열에 기인하여, 오직 약 120°까지 회전할 수 있다. 그 결과, 중앙도관의 실제길이의 약 1.7배가 다단접힘식 붐부분에 대한 종방향 조정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다단접힘식 붐 부분이 약 50%만큼 연장되면, 다단접힘식 붐 부분에 대해 중앙의 운반관요소가 약 90°의 각도를 형성하는 위치에서, 다단접힘식 길이의 약 1/4만큼 콘크리트 운반관요소가 분배용붐의 양쪽 측부들위에 돌출하여, 상기 장치의 전체 시스템 크기가 다단접힘길이의 약 1/2에 해당한다. 4 내지 6m의 다단접힘 길이를 실제적용하면, 이것은 상당한 문제를 가진다.
미국특허 제 41 30 134 호에 따르면, 상당한 다단접힘길이 또는 다중 다단접힘부분들을 포함한 시스템들을 위해 가위형태를 가진 2중구조의 선택적인 운반관이 제안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 따르면, 가위형태를 가진 추가의 각 운반관에 대하여, 다단접힘 붐을 종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요소 및 종방향 조정작업과 무관한 중간의 연결요소와 같은 추가의 운반관요소들이 이용되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필연적으로 상기 방법은 콘크리트 운반관요소들의 복잡한 배열을 요구하고 구성비용을 상당히 추가시킨다.
따라서 공지된 콘크리트 분배장치에 따르면, 폭방향의 다소 상당한 점유공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상기 분배장치에 의해 다중교차식 콘크리트 운반관과 함께 상기 분배장치들이 지지하는 다수의 접힘식 붐부분들 및 추가의 분배장치 부속장치들의 매우 제한된 공간내에 수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단접힘식 붐부분을 가진 상기 분배장치들의 더욱 콤팩트하고 간단한 구성은 더욱 중요해진다.
다단접힘기능을 가진 콘크리트 운반관이 설계되는 것이 제안되었다(독일특허 제 196 41 789). 그러나 다단접힘부분내에서 그리고 내부 및 외부의 콘크리트 운반관 사이에서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 운반관의 수축 및 연장기능이 간섭되고, 청소에 의해 상기 기능은 불가능할 수 있다. 다단접힘식 운반관부분들이 서로 안내되는 작용 및 운반관의 라운드니스(roundness)와 관련되는 문제가 지금까지 상기 구성의 실제 적용을 방해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지된 미국특허 제 39 42 554 호에 의하면, 운반관을 지지하고 다단접힘식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크레인 붐(crane boom)에 있어서, 크레인 붐이 수축/연장될 때, 운반관이 z자 운동으로 접히고 펼쳐지도록, 다단접힘식 붐부분의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운동가능한 두 개의 운반과 부분들을 관절연결하여 크레인붐이 연장되거나 수축됨에 따라 운반관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붐이 수축될 때, 붐이 충분히 연장될 때, 다단접힘방향과 대략 평행한 연장위치로부터, 붐이 충분히 수축될 때 다단접힘방향과 대략 수직인 위치까지 또는 그 반대로 운반관요소들이 이동한다. 상기 과정동안, 운반관요소들이 대략 90°만큼 회전되고, 그결과 필수적으로 시스템높이는 대략 다단접힘 길이의 절반이 된다. 실제 흔히 적용되는 4 내지 6m의 다단접힘 길이에 대하여, 시스템이 펼쳐지는 동안 상당한 점유공간을 요구하고 또한 구성비용이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 구성은 상당한 문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서두에 설명된 분배장치에 관련된다.
도 1 은 충분히 수축된 다단접힘구조를 가진 콘크리트 분배용 붐의 일부분에 관한 개략측면도.
도 2 는 도 1 의 콘크리트 분배용 붐의 평면도.
도 3 은 충분히 연장된 다단접힘구조를 가진 도 1 의 콘크리트 분배용 붐의 측면도.
도 4 는 도 3 의 콘크리트 분배용 붐의 평면도.
도 5 는 다양한 다단접힘 위치들의 개략도를 포함하고 콘크리트 분배용 붐을 도시한 개략도.
도 6 은 도 5 와 유사한 또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7 은 다단접힘식 연장구조의 다양한 중간단계들이 하단에 도시되고 본 발명을 따르는 운반관요소들을 가진 실시예의 도면(기능도).
도 8 은 도 7 의 또다른 변형예의 도면.
도 9 는 도 7 의 또다른 변형예의 도면.
도 10 은 도 7 의 또다른 변형예의 도면.
도 11 은 본 발명을 따르고 세 개의 다단접힘식 파이프들로 구성된 다단접힘식 분배용 붐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12 는 역전된 배열을 가진 다단접힘식 분배용 붐의 도면.
* 부호설명
1 ... 요소 2 ... 다단접힘식 붐부분
3,4 ... 다단접힘 파이프 5 ... 콘크리트 운반 파이프
7 ... 조인트 8 ... 브라켓트
9 ... 운반관요소 11 ... 축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콘크리트운반에 적합한 분배장치를 제공하고,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구조적으로 콤팩트한 구성을 가지며, 다단접힘식 지지붐에 대해 콘크리트운반관을 종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는 분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 수량의 구성부품으로 길이방향 조절을 이루고 또한 구조 설계의 최대 유연성을 이루는 것이고, 따라서 분배용 붐 또는 상기 분배용 붐이 장착되는 차량에 대해 임의의 위치에서도 상기 구조 설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부들 및 종속항의 특징들에 의한 유용한 실시예들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을 따르면, 텔레스코픽 파이프와 관절식으로 연결된 2개의 운반관 요소, 즉 가위형 구성의 외부에 구성된 운반관 요소의 관절점은 텔레스코픽 붐부분이 완전히 후퇴되었는가 또는 완전히 연장구성되었는가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차 위치에 구성된다. 연장가능한 텔레스코픽 파이프의 완전 연장 또는 완전 후퇴 과정 중, 운반관 요소의 두 관절점은 서로를 지나 이동되고, 운반관 요소는 두 텔레스코픽 단부 위치에서 완전히 연장구성된다. 그러나, 한 단부 위치에서, 상기 운반관 요소는 콘크리트 이송 방향에 반대로 연장구성되고, 다른 한 단부 위치에서 상기 운반관 요소는 콘크리트 이송 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운반관 요소가 관절식 조인트에 의해 서로에 대해 직결된다면 특히 유용하다. 수송 차량에 장착된 텔레스코픽 구조물의 통상적인 텔레스코픽 이동거리, 즉 4 내지 6m를 가정한다면, 2개의 운반관 요소는 충분하다. 상기 요소는 한 단부에서 텔레스코픽 파이프에 고정되고, 다른 한 단부에서 관절식 조인트에 의해 서로 직결된다. 상기 경우에, 운반관 가위는 길이방향 조절에 관련된 요소의 제외없이 구성된다.
종방향 조정작용과 관련되는 두 개의 운반관요소들이 텔레스코픽 붐부분의 운동거리의 약 1/4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진다. 전체 텔레코픽 과정동안, 각각의 운반관요소들은 약 180°만큼 이동하여, 한단계에서 텔레스코픽방향에 대해 수직인 위치를 형성한다. 본 발명을 따르는 구름-접힘 원리를 이용하면, 두 개의 운반관요소들이 항상 순차로 상기 수직위치를 동시에 형성하지 못한다. 즉, 시스템의 높이 즉 소요공간은 대략 운반관요소의 길이 또는 텔레스코픽 운동거리의 대략 1/4에 해당한다. 상기 구성은 가위형태를 가지는 콤팩트한 운반관구성에 유리하다. 운반관요소들의 갯수에 의존하는 전체시스템높이는 텔레스코픽 운동거리의 대략 1/4 또는 그 이하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또한 상기 시스템은 중간의 부품이 불필요하여, 구성과 관련한 추가 구성비용이 회피된다. 전체적으로 상기 구성은 또한 운동부품 및 필요 조인트들의 갯수 및 부품들의 지지수단의 갯수를 감소시킨다.
다른 장점을 보면, 서로에 대해 미끄럼운동하는 두 개의 텔레스코픽 파이프들과 운반관요소들 및 요소들의 관절연결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결정하여, 이용되는 분배용붐 및 운반차량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에 가위형태의 운반관이 적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운반관 요소가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텔레스코픽 파이프와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위치가 (서로로부터) 상이한 위치에 구성되어, 가위 형태의 운반관의 관절점이 신축식 이동의 각 단계에서 삼각형을 형성한다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결과적으로, 운반관 요소에 작용하는 힘은 또한 각 단계에서 정적으로 형성된다. 상기는 설계, 안정성 및 구조물의 유료 수면에 매우 중요하다. 상기 경우에, 관절점은 정확하게 형성된 경로로 이동되고, 고정 관절점은 텔레스코픽 방향에 평행하게 서로에 대해 경로로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인해 복잡한 분배용 붐 및 운동에 중요한 낮은 시스템 높이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길이방향 조절에 관련된 운반관 요소의 배열 및 설계와 관절을 구조 환경-현재의 콘크리트 분배용 붐의 복잡성 관점에서 중요한 인자-에 상승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붐 분절로 구성된 콘크리트 분배용 장치의 이동 및 설치에 유용한 공간이 거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하고, 이유는 분배용 붐의 회전에 요구되는 실린더, 레버 등과 같은 구동시스템 부품이 또한 상기 극히 제한된 영역에 수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각 운반관 요소는 "C"형으로 구성하여, 관절식 조인트에 의해 서로 직렬된 2개의 인접 운반관 요소가 2개의 대향 크기를 가지 "S" 또는 "파형"으로 형성된다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상기 설계는 단지 적은 공간만을 필요로 하면서 2개의 요소가 서로를 지나 이동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기에 기술된다.
도 1 은 슬러리(slurries) 특히 콘크리트를 위한 분배용 붐의 부분개략도이고, 예를 들어 요소(1)에서 트럭과 같은 운반 및 전달차량위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천장을 타설하기 위해 콘크리트 펌프(pump)에 의해 콘크리트를 현장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형태의 분배용 붐들이 이용된다. 개별 부분들의 회전운동들 및 연장운동에 기인하여, 여러개의 붐부분들로 구성된 분배용 붐의 도달거리는 크다. 도면에 도시된 분배용 붐은 요소(1) 주위에서 회전운동할 수 있는 다단접힘식 붐부분(2)을 가진다. 도 3을 참고할 때, 다단접힘 붐부분(2)은 제 1 다단접힘 파이프(3) 및 제 2 다단접힘 파이프(4)로 구성되고, 종래기술과 대조적으로 연장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장가능한 다단접힘식 파이프 즉 이경우에 있어서, 다단접힘 파이프(4)가 다단접힘 파이프(3)내부에서 연장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다단접힘 파이프(4) 내부에 다단접힘 파이프(3)가 위치하는 도 3 에 도시된 배열이 또한 가능하여, 다단접힘 파이프(4)는 다단접힘 파이프(3)와 중첩된다.
이와 관련하여, 관절연결된 여러개의 콘크리트 운반 파이프들로 구성된 실제 콘크리트 운반관을 위한 지지체로서 콘크리트 분배용 붐이 작동한다. 다단접힘 파이프가 연장구성될 때 종래기술의 종방향 조정작용이 다단접힘 분배용 붐 부분에 필요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기 다단접힘 붐 부분에 위치한 콘크리트 운반관에 관련된다. 하기 설명에서, 상기 부분에 위치한 콘크리트 운반파이프들이 "콘크리트 운반요소"들로서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콘크리트 운반관은 분배용 붐(2)과 근접하게 위치한다. 도 4를 참고할 때, 다단접힘 파이프(3)에 위치(6)에서 고정되는 콘크리트 운반 파이프(5)가 상기 관에 구성된다. 힌지 이음된 조인트(7)에 의하여, 다단접힘식 분배용 붐 부분(2)으로서 콘크리트 운반파이프가 동일 크기만큼 회전될 수 있다. 다른 한쪽 단부에서, 브라켓트(8)에 의해 콘크리트 운반파이프(5)가 다단접힘 파이프(3)와 연결된다. 상기 콘크리트 운반파이프(5)와 운반관요소(8)가 접촉하고, 한쪽 단부에서 위치(10)에서 브라켓트(8)와 회전가능하게 힌지이음되지만,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다. 즉, 운반관요소(9)가 축(11)주위에 회전운동할 수 있다. 한쪽단부 위치(10)에서 다단접힘 파이프(3)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운반관요소(9)는 또다른 운반관요소(13)와 직접 위치(12)에서 관절연결된다. 상기 회전축은 도면부호(14)를 가진다. 다른 한쪽 단부 위치(15)에서 제 2 운반관 요소(13)가 다음에 브라켓트(16)와 회전가능하게 힌지이음되고, 즉 회전운동되거나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브라켓트(16)는 연장가능한 다단접힘 파이프(4)에 고정된다. 운반관요소(13)와 접촉하는 운반관파이프(17)가 또한 상기 브라켓트(16)에 고정된다. 콘크리트 운반관의 다음 부분이 도면 부호(18)로 도시되며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할 때, 충분히 수축된 다단접힘 파이프를 가진 다단접힘 분배용 붐부분(2)이 도시된다. 도면을 참고할 때, 추가로 접혀지거나 압연가공된 붐부분(19,20)들이 알려진 방법으로 상기 붐부분(2)과 접촉하고, 다단접힘 붐부분(2)이 연장 및 회전된 후에, 상향 또는 전방으로 압연될 수 없거나 접혀질 수 없다. 필요한 힌지들이 도면부호(21,22)들을 가진다. 여기서 추가 설명이 불필요하지만, 상기 붐부분(19,20)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추가의 콘크리트 운반관들은 여기서 도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할 때 텔레스코픽구조가 충분히 수축될 때, 콘크리트 운반방향(F)과 반대방향으로 운반관요소(9,13)들이 후방으로 연장된다. 즉, 운반관요소(13)의 한쪽단부가 연결되는 관절연결 점(15)이 다른 한 개의 운반관요소(9)의 단부가 연결되는 관절연결점(10)의 좌측에 위치한다.
텔레스코픽 파이프(4)가 연장될 때, 운반관요소(13) 및 운반관요소의 관절연결점(15)은 텔레스코픽 운동방향으로 이동하고, 텔레스코픽 연장크기에 따라 다른 한 개의 운반관요소(9)의 단부에서 관절연결점(10)을 지나 운동한다. 텔레스코픽 파이프(3)가 정지상태에 있고 즉 연장될 수 없기 때문에 관절연결점(10)은 운동하지 못한다. 이것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여러 가지 실시예들에 의해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과 같이, 두 개의 운반관요소(9,13)들의 가위 구성에 의존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할 때, 텔레스코픽 파이프(4)가 충분히 연장되고 즉, 도 1에서 관절연결점(10)의 좌측에 위치한 관절연결점(15)이 현재, 도 4에서 텔레스코픽 파이프(4)가 충분히 연장될 때, 관절연결점(10)의 우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관절연결점(10,15)들은 전환위치들을 가진다. 즉, 두 개의 운반관 요소들로 구성되고 가위 구조를 가진 두 개의 관절연결점(10,15)들은 선택적으로 텔레스코픽 구조가 충분히 수축되거나 연장되는 상태에 의존하는 전환위치들을 가진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당히 간단하고 우선 콤팩트한 가위형태의 운반관구조를 가지고 텔레스코픽 분배용 붐에 대한 콘크리트 운반관의 종방향 조정작용이 허용된다.
도 5의 상부를 참고할 때, 동일부품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를 병기하고 도 1 내지 도 4의 설명과 동일하며, 운반관요소(9,13)들로 구성된 가위형태의 운반관에 대한 기본 설계가 제공된다. 도 5의 상단 좌측에서, 텔레스코프 구조가 충분히 수축된 텔레스코픽 분배용 붐이 도시된다. 우측에서 연장된 텔레스코픽 파이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하기 설명에서, 시스템의 기능적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직선들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운반관요소(9,13)들에 의해, 가위형태의 운반관의 다양한 텔레스코픽 위치들이 도시된다. 도면을 참고할 때, 요소들이 조인트들내에서 회전할 수 있을 때, 점(10,15)에서, 두 개의 운반관요소(9,13)들이 각각의 텔레스코픽 파이프(4,3)들에 확실히 연결되는 방법이 도시된다. 텔레스코픽 파이프(4)가 연장되기 시작할 때 운반관 요소(9)가 상향으로 회전하고, 관절연결점(15)은 콘크리트 운반방향(F)으로 우측으로 이동한다. 텔레스코프 구조의 텔레스코픽축과 평행한 직선위에서 관절연결점(15)의 경로가 형성된다. 정지상태의 관절연결점(10)에 대해 관절연결점(15)이 거리(h) 만큼 하향으로 이동되어, 관절연결점(15)의 전체경로가 거리(h)만큼 이동된다. 텔레스코픽 연장부가, 다음의 선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진운동함에 따라, 관절연결점(15)은 마지막으로 관절연결점(10)을 통과하고 가위형태의 운반관을 위치를 변경한다. 콘크리트 운반방향(F)과 반대방향으로 요소(9,13)들이 연장되고 도면의 상부에 도시된 작용위치로부터, 도면의 하부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크리트 운반방향(F)으로 요소들이 연장 및 변경된다. 도면을 참고할 때, 두 개의 요소(9,13)들을 연결하는 조인트하부에 관절연결점(15)이 위치할 때, 콘크리트 운반방향(F)의 횡방향으로 최대운동이 이루어진다. 기본적으로 운반관요소(13)의 길이에 의해 횡방향운동이 결정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운반관요소들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도 5 에 도시된 가위모양의 운반관구조의 형상과 관련하여, 다른 한 개의 운반관요소(9) 또는 그 반대보다 길이가 더 작은 운반관요소(13)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텔레스코프가 충분히 수축될 때 도면 상부를 참고하면, 텔레스코픽파이프(4)가 수축될 때, 요소(9,13)들로 구성된 가위모양의 운반관이 콘크리트 운반방향(F)에 대한 연장위치를 가질때까지, 기능상 과정이 도면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진행된다.
도 6에 도시된 또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가위구조의 펼침운동에 대한 탄성회전운동이 운반관요소(9,13)들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개략적으로 도시된 스프링장치(23)를 제공하여 상기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장치는 한쪽단부에서 텔레스코픽 파이프(3)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서 운반관요소(9)와 연결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할 때, 운반관요소에 탄성회전운동을 제공하고, 한쪽단부에서 여기서 관절연결점(10)에서, 연장구성될 수 없는 텔레스코픽 부분들 즉 텔레스코픽 부분(3)과 상기 운반관요소가 연결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모든 중간단계들 및 단부위치들에서 가위 구조의 운반관의 안정성에 선호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7 및 도 10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을 따르는 가위형태의 운반관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시스템이 차량위에 장착되어 정해진 위치에 적합하도록 선택될 수 있고, 그 결과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 적합한 조정작용이 허용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수직위치를 형성하는 운반관요소(9,13)들중 한 개에 기인하여, 접혀진 가위형태의 운반관의 최대폭이 도달되는 위치 또는 장소를 결정 및 조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폭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 운반관요소들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도 7 의 실시예에 있어서, 운반관요소(9)가 관절연결점(10)에서 정지상태의텔레스코픽 파이프(3)에 고정된다. 대조적으로 요소(13)의 관절연결점(15)이 연장가능한 텔레스코픽 파이프(4)와 연결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도 7의 상부에 도시된 것과 같이 텔레스코피의 단부위치에 도달될 때, 두 개의 운반관 요소(9,13)들 사이의 조인트가 경미하게 상향으로 향하게 된다.
개략적인 기능 선도들을 참고할 때, 텔레스코픽 파이프(4)가 연장 및 수축하는 동안, 가위형태의 운반관의 여러 가지 위치들이 도시된다. 중간의 기능선도를 참고할 때, 관절연결점(10,15)들이 동일 평면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고정된 두 개의 관절연결점(10,15)들이 서로에 대해 통과하는 위치에서 두 개의 운반관요소(9,13)들사이의 특정 각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증명되었다. 도 7의 상부에 도시된 선도를 참고할 때, 관절연결점(10,15)들이 서로에 대해 이동되도록 하여 증명된다.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주변구성은 도 7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텔레스코픽 파이프(4)가 충분히 수축될 때, 두 개의 운반관요소(9,13)들 사이의 조인트는 하향으로 향한다. 그결과, 도 7 및 도 8의 하부에 도시된 선도들을 비교할 때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듯이, 텔레스코프가 충분히 연장구성될 때 관절연결점(12)에 대한 여러 가지 각 위치들이 형성된다.
도 9의 실시예에 있어서, 요소(9,13)들에 관련하여, 주변구성들이 반전된다. 정지상태의 텔레스코픽 파이프(3)에 고정된 관절연결점(10)이 관절연결점(15)보다 분명히 하부위치에 제공되고, 텔레스코프가 충분히 수축될 때, 요소(9,13)들이 하향각을 형성한다. 도면의 하부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면, 텔레스코픽 파이프가충분히 연장될 때, 상향각이 형성된다.
도 9와 유사한 구성이 도 10에 도시된다. 그러나 가위형태의 텔레스코프가 충분히 수축될 때, 요소(9,13)들은 상향각을 형성한다.
도 11을 참고할 때, 세 개의 텔레스코픽 파이프(3,4,24)들로 구성된 텔레스코픽 분배용 붐부분(2)의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텔레스코픽 운동에 대한 종방향 조정작용을 위해 두 개의 운반관(9,13,9',13')들이 제공된다. 점선으로 도시된 콘크리트운반 파이프(25)에 의해 관절연결점(15,15')들이 연결된다. 다른 두 개의 관절연결점(10,10')들이 도시된다. 관절연결 조인트(12,12')에 의해 운반관요소들이 서로 연결된다. 도 11에 있어서, 유압실린더(26)는 텔레스코픽 붐부분(2)과 접촉하는 붐부분을 회전운동시키도록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도 12의 실시예를 참고하면, 분배용 붐 텔레스코프이 역전배열된 운반관(9,13)이 도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분배용 붐을 관절연결하기 위해 운반관시스템 및 구동체사이의 충돌이 방지된다.

Claims (9)

  1. 콘크리트 운반관을 지지하는 분배용 붐을 가지고, 상기 분배용 붐은 특히 수개의 섹션으로 구성되며, 상기 섹션은 수직 평면에서 서로를 향해 접혀질 수 있고, 상기 섹션 중 하나 이상의 섹션은 다단접힘식이며, 적어도 제 1 텔레스코픽 파이프(3) 및 제 2 텔레스코픽 파이프(4)를 가지고,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파이프(4)는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파이프(3)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텔레스코픽 운동에 대한 콘크리트 운반관의 길이방향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콘크리트 운반관은 텔레스코픽 분배용 붐 섹션(2)의 영역에서 수개의 관절식 운반관 요소(9,13)로 구성된 시스템으로서 구성되고, 하나의 상기 운반관 요소(9)는 한 단부에서 관절식 조인트에 의해 제 1 텔레스코픽 파이프(3)에 연결되며, 다른 한 운반관 요소(13)의 한 단부는 관절식 조인트에 의해 제 2 텔레스코픽 파이프(4)에 연결되는 슬러리, 특히 콘크리트용 분배 장치에 있어서,
    두 텔레스코픽 파이프(3,4)에 관절식으로 연결된 두 운반관 요소(9,13)의 관절점(10,15)은 선택적으로 교차 위치에 구성되고, 다단접힘식 구조물이 완전히 후퇴 또는 연장구성될 때, 연장가능한 텔레스코픽 파이프(4)가 후퇴되고 텔레스코픽 단부 위치로 연장시, 두 관절점(10,15)은 서로를 지나 이동되며, 한 텔레스코픽 단부 위치에서 운반관 요소(9,13)는 콘크리트 이송 방향(F)에 반대로 연장구성되고, 다른 한 텔레스코픽 단부 위치에서 콘크리트 이송 방향(F)으로 연장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운반관 요소(9,13)는 관절식 조인트((12)에서)에 의해 서로 직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운반관 요소(9,13)는 관절점(10,15) 사이에서 텔레스코픽 파이프(3,4)와 관절식으로 연결되지 않고, 텔레스코픽 단부 위치 사이에서 텔레스코픽 과정 중 관절점(10,15)으로 자유롭게 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운반관 요소(9,13)는 관절점(10,15) 사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운반관 요소(9,13)가 관련 텔레스코픽 파이프(3,4)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나,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는 방법으로, 2개의 관절점(10,15)은 텔레스코픽 파이프(3,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관절점(10,15)은 상이한 높이에 구성되어, 관절점(10,15)을 따르는 2개의 경로는 텔레스코픽 운동 중 서로로부터 일정 거리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운반관 요소(9,13)는 연장 중심 부품 및 동일 방향으로 곡선형으로 구성된 말단부를 가진 C자형으로 구성되고, 연장 위치에서 상기 요소는 서로 보완적으로 구성되며, 2개의 대향 크기를 가진 "S"형 또는 파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운반관 요소(9,13)는 상응 텔레스코픽 파이프로부터 스프링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텔레스코픽 분배용 붐의 n 텔레스코픽 파이프에 대해, 가위형 구성의 적합한 수(n-1)의 운반관 시스템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1-7005191A 1998-10-28 1999-10-15 두꺼운 물체, 특히 콘크리트용 분배 장치 KR100467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9747A DE19849747C5 (de) 1998-10-28 1998-10-28 Verteilervorrichtung für Dickstoffe, insbesondere für Beton
DE19849747.4 1998-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246A true KR20010082246A (ko) 2001-08-29
KR100467225B1 KR100467225B1 (ko) 2005-01-24

Family

ID=788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191A KR100467225B1 (ko) 1998-10-28 1999-10-15 두꺼운 물체, 특히 콘크리트용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463958B1 (ko)
EP (1) EP1129265B1 (ko)
JP (1) JP4187416B2 (ko)
KR (1) KR100467225B1 (ko)
CN (1) CN1174153C (ko)
AT (1) ATE232258T1 (ko)
AU (1) AU751813B2 (ko)
BR (1) BR9914609A (ko)
DE (2) DE19849747C5 (ko)
ES (1) ES2192087T3 (ko)
HK (1) HK1036308A1 (ko)
TR (1) TR200101203T2 (ko)
WO (1) WO20000249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6427B4 (de) * 2001-02-12 2006-06-22 Schwing Gmbh Verteilervorrichtung für Dickstoffe, insbesondere für Beton
DE10112086A1 (de) * 2001-03-12 2002-09-26 Putzmeister Ag Verteilervorrichtung für Dickstoffe
US6588448B1 (en) 2002-01-07 2003-07-08 Glazer Enterprises, Inc. Telescopic boom-mounted concrete pump apparatus
DE10328769A1 (de) * 2003-06-25 2005-01-20 Putzmeister Ag Knickmast für fahrbare Betonpumpen
US7258710B2 (en) * 2004-04-29 2007-08-21 Advanced Cleanup Technologies, Inc. Maritime emissions control system
US8327631B2 (en) * 2005-03-28 2012-12-11 Sal Caro Air pollution control system for ocean-going vessels
US7712481B1 (en) * 2005-04-13 2010-05-11 Vactor/Guzzler Manufacturing, Inc. Suction hose arrangement for refuse tank trucks
US8808415B2 (en) 2008-02-01 2014-08-19 Sal Caro Exhaust intake bonnet (EIB) for maritime emissions control system
US8075651B2 (en) * 2009-01-21 2011-12-13 Sal Caro Ellipsoid exhaust intake bonnet (EIB) for maritime emissions control system
US8402746B2 (en) 2010-05-03 2013-03-26 John Powell Exhaust gas capture system for ocean going vessels
US8584864B2 (en) 2010-11-19 2013-11-19 Coldcrete, Inc. Eliminating screens using a perforated wet belt and system and method for cement cooling
CN102296822A (zh) * 2011-06-08 2011-12-28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臂架式工程机械及其臂架装置
CN103216096A (zh) * 2012-01-21 2013-07-24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伸缩布料杆机构以及布置有此种机构的混凝土泵车
DE102012109526A1 (de) * 2012-10-08 2014-04-10 Götz Hudelmaie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ördern von Dickstoffen
US20140103698A1 (en) * 2012-10-17 2014-04-17 Bo Feng Horizontally rotatable multi-knuckle boom
US8845940B2 (en) 2012-10-25 2014-09-30 Carboncure Technologies Inc. Carbon dioxide treatment of concrete upstream from product mold
EP2951122B1 (en) 2013-02-04 2020-05-27 Carboncur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applying carbon dioxide during the production of concrete
US10927042B2 (en) 2013-06-25 2021-02-23 Carboncur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crete production
US9388072B2 (en) 2013-06-25 2016-07-12 Carboncur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crete production
US20160107939A1 (en) 2014-04-09 2016-04-21 Carboncur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crete production
US9376345B2 (en) 2013-06-25 2016-06-28 Carboncure Technologies Inc. Methods for delivery of carbon dioxide to a flowable concrete mix
WO2015123769A1 (en) 2014-02-18 2015-08-27 Carboncure Technologies, Inc. Carbonation of cement mixes
EP3129126A4 (en) 2014-04-07 2018-11-21 Carboncure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arbon dioxide capture
SG11201810010PA (en) 2016-04-11 2018-12-28 Carboncure Tech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concrete wash water
AU2018288555A1 (en) 2017-06-20 2020-01-30 Carboncur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concrete wash water
DE102022111755A1 (de) 2022-05-11 2023-11-16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Verteilervorrichtung für Dickstoffe und Autobetonpump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2454A (en) * 1974-06-19 1976-03-09 Portec, Inc. Adjustable compression unit and lading band anchor
US4130134A (en) * 1976-12-13 1978-12-19 Morgen Manufacturing Company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US4548236A (en) 1983-04-06 1985-10-22 Fmc Corporation Vehicle supported foldable service conduit
NL8903073A (nl) 1989-12-14 1991-07-01 Pieter Faber Inrichting voor het op afstand storten van beton.
DE19641789C1 (de) 1996-10-10 1998-07-16 Korthaus Ernst Betonverteilersystem für Transportbeton
US6142180A (en) * 2000-04-12 2000-11-07 Woodling; Roger M. Crane-mounted concrete pump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32258T1 (de) 2003-02-15
EP1129265B1 (de) 2003-02-05
ES2192087T3 (es) 2003-09-16
JP4187416B2 (ja) 2008-11-26
DE19849747C2 (de) 2002-10-10
CN1324427A (zh) 2001-11-28
TR200101203T2 (tr) 2001-10-22
DE59904245D1 (de) 2003-03-13
HK1036308A1 (en) 2001-12-28
BR9914609A (pt) 2001-07-03
AU1039700A (en) 2000-05-15
CN1174153C (zh) 2004-11-03
US6463958B1 (en) 2002-10-15
JP2002528665A (ja) 2002-09-03
DE19849747C5 (de) 2005-10-27
DE19849747A1 (de) 2000-05-11
KR100467225B1 (ko) 2005-01-24
AU751813B2 (en) 2002-08-29
EP1129265A1 (de) 2001-09-05
WO2000024988A1 (de) 200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7225B1 (ko) 두꺼운 물체, 특히 콘크리트용 분배 장치
US6871667B2 (en) Distribution device for thick matter, especially for concrete
US3942554A (en) Extendable crane with folding conduit
US4130134A (en)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CN1225398C (zh) 用于可行驶式工作机械的支臂和具有这种支臂的汽车混凝土泵
US6983763B2 (en) Telescoping boom with moving flexible 180° bend
US4809472A (en) Carrier track assembly for extensible and retractable boom machines
KR20060063773A (ko) 이동식 콘크리트 펌프를 위한 관절연결식 마스트
US4625760A (en) Mobile concrete handling apparatus
US6250485B1 (en) Boom articulation assembly for aerial boom sections
CN202519993U (zh) 伸缩布料杆机构以及混凝土泵车
CA2313266A1 (en) Foldable frame for a conveyor system
CA2254384C (en) Folding auger
JPS5940760B2 (ja) 屈折式ブ−ム装置を備えた高所作業車の作業台自動平衡装置
JP4913283B2 (ja) 高所作業車
WO1992019465A1 (en) Vehicle-borne lifting device
CN115999096A (zh) 消防装置
Benckert et al. Telescoping boom with moving flexible 180 bend
JPH11139787A (ja) 先端屈伸型伸縮ブーム
WO1987001684A1 (en) A hydraulic crane
JPS5935840B2 (ja) 屈折式ブ−ム装置を備えた高所作業車の作業台自動平衡装置
JPH08151196A (ja) 先端屈伸型伸縮ブーム
HU222146B1 (hu) Csuklós teleszkópos gém keresztülcsúszó csuklóv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