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0674A - 광자기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광자기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0674A
KR20010080674A KR1020017006952A KR20017006952A KR20010080674A KR 20010080674 A KR20010080674 A KR 20010080674A KR 1020017006952 A KR1020017006952 A KR 1020017006952A KR 20017006952 A KR20017006952 A KR 20017006952A KR 20010080674 A KR20010080674 A KR 20010080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o
recording
holder
lock
optical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5721B1 (ko
Inventor
타무라켄이치
나카무라타다미
야마다토모히로
쿠리타카즈히토
타카마츠타카시
미노와사토루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80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4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4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pivot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4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4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pivoting loading means
    • G11B17/046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pivoting loading means with opening mechanism of the cartridge shut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5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G11B11/10556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or switching or masking the transducers in or out of their operative position
    • G11B11/10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or switching or masking the transducers in or out of their operative position in view of the loading or unloading of the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Abstract

광자기디스크를 기록매체에 이용하는 기록재생장치이고, 이 장치는 디스크를 유지하여 디스크삽탈위치와 디스크장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홀더와, 자기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턴테이블과, 광자기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광빔을 조사하는 광픽업과, 광자기디스크를 끼워서 광픽업으로 향해서 배치되는 광자기디스크에 대하여 근접이간하는 자기헤드와, 베이스에 회동자재로 설치되고, 홀더에 유지되는 광자기디스크를 이젝트하는 이젝트레버를 갖춘다. 이젝트레버는 베이스의 광픽업이 배치되는 측에 배치됨으로써 장치본체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장치자체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Description

광자기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Magneto-optic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종래, 광자기디스크를 기록매체에 이용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로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 기록재생장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101)내에 설치되는 평판형을 이루는 베이스(102)의 개략 중앙부에 광자기디스크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103)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102)의 회전구동부(103)가 설치된 부분에서 한편의 측연에 걸치는 부분에, 회전구동부(103)에 이접(離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광픽업(104)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102)상에 설치되는 홀더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헤드부착암(105)은 설치되어 있다. 헤드부착암(105)의 선단에는 자기헤드(106)가 부착되어 있다. 헤드부착암(105)은, 광픽업(104)의 이동에 동기하여 지도(指導)하도록 연결부재(107)를 거쳐서 광픽업(104)에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102)의 홀더가 설치된 측의 면에는 홀더에 유지되어 있는 디스크카트리지를 이젝트하기 위한 이젝트레버(108)가 설치되어 있다. 이젝트레버(108)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구동부(103)를 끼워서 광픽업(104)이 설치된 부분과 반대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기록재생장치는 장치본체(101)내에 전지(109)를 수납하기 위한 전지수납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지수납부(110)는 이젝트레버(108)가 설치되는 베이스(102)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경우, 전지(109)의 수납위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기록재생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때, 전지수납부(110)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구동부(103)를 끼워서 광픽업(104)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전지수납부(110)를 배치하면, 도 1에 나타내는 장치에 이용되는 바와 같은 이젝트레버(108)를 배치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이젝트레버(108)를 광픽업(104)이 설치되는 측에 설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이젝트레버(108)를 배치하면, 이젝트레버(108)가 연결부재(107)와 간섭할 우려가 있다. 이 간섭을 피하도록 하면, 연결부재(107)를 베이스(102)의 후편으로 도피시킬 필요가 있고, 그 만큼 장치자체가 대형화 한다는 문제가 있다.
광자기디스크를 기록매체에 이용하는 기록재생장치는 광자기디스크를 끼워서 광픽업과 자기헤드를 설치하고 있다. 자기헤드는, 광자기디스크의 광픽업에서출사되는 광빔이 조사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에 이용되는 자기헤드는 기록 시에만 광자기디스크에 접촉 또는 근접된 위치로 이동되고, 재생시에는 광자기디스크에서 이간한 위치로 이동된다. 이것은 자기헤드와 광자기디스크는 상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자기헤드 및 광자기디스크의 보호를 도모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서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에는 자기헤드를 광자기디스크에 대하여 근접이간 시키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헤드승강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헤드승강기구가 설치된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를 설명하면 이 장치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을 이루는 카트리지본체내에 광자기디스크(121)를 수납한 디스크카트리지를 유지하고, 이 디스크카트리지를 베이스(122)상에 구성된 디스크장착위치에 장착되는 제 1위치와, 디스크카트리지의 장착 및 이탈을 행하는 제 2위치와의 사이에 걸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홀더(123)를 갖춘다. 홀더(123)의 천정판에는 이 홀더에 유지한 디스크카트리지의 상면측의 일부를 왼편으로 면하게 하는 개구부(123a)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카트리지에 수납된 광자기디스크(121)에 근접 이간하는 자기헤드장치(125)는 연결부재(126)를 거쳐서 도시하지 않는 광픽업에 연결되고, 광픽업과 동기하여 광자기디스크(121)의 직경방향인 도 4중 화살표(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자기헤드장치(125)는 선단측에 자기헤드(127)를지지한 헤드지지암(128)과, 헤드지지암(128)의 과잉변위를 규제하는 암지지판(129)을 갖추고 있다. 헤드지지암(128)은 링청동 등의 탄성을 갖는 얇은 금속판을 타발하여 형성되어 있다. 암지지판(129)은 L자형으로 절곡된 선단부(129a)가 헤드지지암(128)의 선단측의 하면을 지지하고, 암지지판(129)과 헤드지지암(128)의 기단부가 コ자형으로 형성된 연결부재(128)의 상단부에 고정지지되어 있다.
자기헤드(127)는 헤드시프트판(130)에 의해 상하 이동된다. 헤드시프트판(130)은 개략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후단부를 홀더(123)에 설치된 개구부(123a)의 후단부근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이 헤드시프트판(130)에는 그 한편의 측연에서 돌출한 피구동편(131)과, 타편의 측연에서 돌출한 스피링접촉편(132)이 설치되어 있다. 헤드시프트판(130)은 되돌리는 스프링(133)에 의해 홀더측(123)의 하편으로 향해서 압압지지되어 있다. 되돌리는 스프링(133)은, 일단을 홀더(123)의 천정판에 고정시키고, 타단을 헤드시프트판(130)의 스프링접촉편(132)을 상측에서 압압하여 헤드시프트판(130)을 하편에 가세하고 있다. 또 헤드시프트판(130)의 피구동편(131)은 홀더(123)의 천정판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헤드승강레버(135)의 캠편(136)의 상측에 위치된다. 캠편(136)은 후단부에 하강부가 형성되어 전단부에 상승부가 형성되고, 하강부와 상승부와의 사이가 경사변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는 피구동편(131)이 캠편(136)의 하강부에 재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헤드시프트판(130)이 하편으로 회동한 상태로 되고, 자기헤드장치(125)가 하편으로회동하고, 자기헤드(127)가 홀더(123)에 유지된 디스크카트리지에 수납된 광자기디스크(121)에 접촉 또는 근접한 위치에 이동되어 있다.
디스크카트리지가 삽입 유지된 홀더(123)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이스(122)에는 승강제어판(137)이 전후방향, 즉 도 4중 화살표(Y)방향의 전편 및 화살표(Z)방향의 후편으로 이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승강제어판(137)에는 래크(13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래크(138)는 구동모터(141)에 의해 회전되는 연결기어기구(142)를 거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조작된다. 승강제어판(137)의 후단부에는 연결공(14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공(143)에는 헤드승강레버(135)의 타단부에 설치된 연결편(144)이 삽통되어 있다.
여기서 승강제어판(137)이 도 4중 화살표(Y)방향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헤드승강레버(135)는 도 4중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하고, 또한 승강제어판(137)이 도 4중 화살표(Z)방향의 후편으로 이동하면 헤드승강레버(135)는 도 4중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상태에 광자기 디스크기록 재생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자기디스크(121)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록을 행하는 기록가능한 상태에 있고, 승강제어판(137)는 도 4중 화살표(Z)방향의 후편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고, 헤드승강레버(135)가 도 4중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하고, 자기헤드(127)가 홀더(123)에 대하여 가장 하향한 상태로 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자기헤드(127)는 광자기디스크(121)에 접촉하고 있다.
광자기디스크(121)로의 정보신호의 기록이 종료하면 승강제어판(137)이 도 4중 화살표(Y)방향의 전방으로 이동하고, 헤드승강레버(135)가 도 4중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하고, 캠편(136)이 후편으로 이동하고, 헤드시프트판(130)의 피구동편(131)이 캠편(136)의 상승부에 위치한 상태로 되고, 헤드시프트판(130)이 상편으로 회동되고, 헤드시프트판(130)에 의해 암지지판(129) 및 헤드지지암(128)이 상편으로 회동하도록 들어올리고, 그 결과 자기헤드(127)가 광자기디스크(121)에서 이간한다.
상술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는 헤드시프트판(130)을 회동시키기 위해 승강제어판(137)과 헤드시프트판(130)과의 사이에 헤드승강레버(135)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점수가 많고 뿐만 아니라 연결부분이 많고, 조립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연결부분의 위치정밀도를 내기 어렵고, 또한 힘의 전달효율이 나쁘고, 신뢰성에 부족한 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122)의 전후에 걸쳐서 연장되는 승강제어판(137), 한편의 측부에 있어서 상하로 연장되는 헤드승강레버(135)의 연결편(144), 홀더(123)의 상면에 있어서 좌우로 연장되는 헤드승강레버(135)라고 말하는 바와같이, 힘의 전달을 위한 부재를 긴 거리에 걸쳐서 배치할 필요가 있고, 이들 부재가 베이스(122)의 면적을 크게 점유하기 때문에 다른 부재 등을 배치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베이스(122)의 측면에 전후로 이동하는 캠부재를 설치하고, 헤드승강레버(135)에서 측편으로 돌출시킨 캠풀로어를 캠부재에 의해 구동하여 헤드승강레버(135), 나아가서는 자기헤드(127)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 홀더(123)를 베이스(122)의 상편으로 이동시킨 디스크카트리지 삽탈위치로 이동시키면, 헤드승강레버(135)의 캠풀로어가 베이스(122)에 설치된 캠부재에서 이간하여 버리기 때문에 자기헤드(127)가 하강하여 버리고, 홀더(123)에 대한 디스크카트리지의 출입에 의해 자기헤드(127)가 손상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 디스크카트리지는 광자기디스크를 수납한 카트리지 본체에, 광자기디스크의 일부를 내외주에 걸쳐서 외편으로 면하게 하는 기록재생용의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부는 통상 카트리지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셔터부재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이 셔터부재는 디스크카트리지가 홀더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면, 개구부를 개방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셔터부재를 이동조작하여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된 개구부를 해방조작하는 셔터개방부재는 홀더(123)의 일부를 절기하여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카트리지가 삽입유지되는 홀더는 통상 얇은 금속판을 절곡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이 홀더의 일부를 절기하여 절곡되게 형성된 셔터개방부재의 주연부에는 에지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 디스크카트리지의 홀더에의 장착 및 분리는 조작자에 의해 행해지므로, 다양한 각도를 가지고, 홀더에 삽입된다. 그때문에 디스크카트리지의 홀더에의 삽입방향의 여하에 의해서는 셔터개방부재의 주연부에 발생한 에지에 의해 디스크카트리지에 설치된 셔터개방부재가 진입하는 홈의 내면이 삭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광자기디스크를 기록매체에 이용하는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는 기록재생모드가 선택되고, 적어도 광자기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록을 행하는 때에 디스크카트리지의 이젝트 조작이나 장치본체를 개폐하는 디스크카트리지의 유지부가 설치된 커버체의 해방조작을 금지할 필요가 있다.
즉 광자기디스크를 기록매체에 이용하는 기록재생장치는 디스크에 소망의 정보신호가 모두 기록된 후 소위 TOC(Table of contents)라 호칭되는 참조정보를 기록하고 기록동작이 종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기록재생장치는 광자기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 광자기디스크에 미리 기록된 TOC정보를 탐색하여 꺼내고, 이 TOC정보를 원래 기록된 정보신호의 재생을 행한다. 따라서 정보신호의 기록시에 TOC정보가 기록되지 않으면, 광자기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을 행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는 기록종료시에 조작자가 스톱버튼을 누르면 정보신호의 기록을 정지한 후 또한 TOC정보를 기입동작을 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는 기록조작모드가 선택되고, 적어도 광자기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록을 행하고 있을 때에 디스크카트리지의 이젝트조작이나 장치본체를 개폐하는 커버체의 해방조작이 행하여지고, 구동부가 정지상태에 도달하면, 스톱버튼이 누르기전에 기록동작이 중단되어버리고, TOC정보가 기입되지 않기 때문에 그때까지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을 행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때문에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적어도 광자기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록을 행하고 있을 때에 디스크카트리지의 이젝트조작이나 장치본체를 개폐하는 커버체의 해방조작을 금지하는 구성이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스크카트리지의 이젝트조작이나 장치본체를 개폐하는 디스크카트리지의 유지부가 설치된 커버체의 해방조작을 금지하는 기구로서 도 5a, 도 5b, 도 5c에 나타내도록 구성된 것이 이용되고 있다.
도 5a∼도 5c에 나타내는 기구는 장치본체를 개폐하는 커버체를 폐색위치에 록하는 록위치와 커버체의 폐색위치로의 록을 해제하는 록해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록레버(151)에 부가해서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록레버(151)의 록해제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규제위치와 록레버(151)의 록해제위치로의 허용하는 비규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규제수단(152)을 설치하여 재생시나 정지시에는 규제수단(152)을 도 5b에 나타내는 비규제위치로 이동시키고, 록레버(151)가 도 5b에 나타내는 록해제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기록시에는 규제수단(152)을 도 5c에 나타내는 규제위치로 이동시켜서 록레버(151)가 록해제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도 5a∼도 5c에 나타내는 기구는 기록시에 조작자가 잘못해서 록레버(151)를 록해제위치로 이동하고자 조작하면, 록레버(151)의 일부가 규제수단(152)에 맞붙여서 록해제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게 되므로, 조작자에 강한충격감이 전해지고, 감촉이 나쁠 뿐만아니라 조작자가 조작하는 록레버(151)와 일체적인 조작부(153)가 움직이지 않기때문에 조작자의 오해를 불러오고, 조작자의 무리에 움직임이고자 하는 조작에 의해 조작부(153)나 록레버(151)가 파손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광자기디스크를 기록매체에 이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이고, 상세하게는 스페이스의 유효이용을 도모하고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하도록 한 광자기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베이스의 외측에 전지가 수납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a는 재생시 및 정지시의 록레버와 규제수단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재생시 및 정지시에 록레버가 록해제위치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기록시에 록레버가 규제수단에 의해 록해제위치로의 이동을 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장치본체를 개폐하는 커버체가 폐색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커버체를 개방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디스크카트리지와 동시에 나타내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내부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내부기구를 홀더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커버체를 장치본체에 록하는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내부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내부기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3은 디스크카트리지를 유지하는 홀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셔터개방부재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15는 이젝트레버와 그것에 관련하는 부재를,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16은 제어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기구부 및 커버체를 나타내는 개략정면도이다.
도 18은 디스크카트리지의 일부와 동시에 나타내는 셔터개방부재를 나타내는확대단면도이다.
도 19a는 이젝트레버가 이젝트위치에 있을때의 이젝트레버를 포함하는 요부의 평면도이고, 도 19b는 그 측면도이고, 도 19c는 이젝트레버가 상기 위치에 있을때의 정면도이다.
도 20a는 홀더가 장착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의 상태일때의 이젝트레버를 포함하는 요부의 평면도이고, 도 20b은 그 측면도이고, 도 20c는 그 정면도이다.
도 21a는 이젝트레버가 록위치일때의 이젝트레버를 포함하는 요부의 평면도이고, 도 21b는 그 측면도이고, 도 21c는 그 정면도이다.
도 22는 디스크기록재생장치가 비기록상태에 있을때의 측면도이고, 도 23은 디스크기록재생장치가 기록상태에 있을때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디스크카트리지를 이젝트한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크기록재생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커버체의 개방을 금지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자기디스크를 기록매체에 이용하는 기록재생장치의 한층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신규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젝트레버를 광픽업이 설치된 측에 배치하여도 다른 부재와 간섭하는 것 없고, 스페이스의 유효이용을 도모해서 장치자체의 한층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자기헤드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셔터개방부재에 의해 상기 디스크카트리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본체를 개폐하는 커버체의 록해제가 금지되어 있을때에 록해제를 위한 조작을 행하여도 조작자에 위화감을 부여하는 것 없고, 무리한 조작에 의한 기구의 파손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는 베이스에 회동자재로 설치되고, 삽입되는 광자기디스크를 유지하는 동시에 디스크삽탈위치와 디스크장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홀더와, 베이스에 설치되고, 홀더에 유지되어서 디스크장착위치까지 이동된 광자기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턴테이블과,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구동되는 광자기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광빔을 조사하는 광픽업과, 광자기디스크를 끼워서 광픽업에대향하여 배치되고, 광자기디스크에 접촉 또는 근접한 기록위치와 광자기디스크에서 이간한 비기록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된 자기헤드와, 광픽업과 자기헤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베이스에 회동자재로 설치되고, 홀더에 유지되는 광자기디스크를 압압부에 의해 압압하여 배출하는 방향으로 가세되는 이젝트레버를 갖춘다. 여기서 이젝트레버는 광픽업주변에 설치된다. 이젝트레버의 주부는 베이스면에 따르도록 설치되고, 또한 이젝트레버의 회동궤적과 연결부재의 이동궤적이 다르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는 베이스에 회동자재로 설치되고, 삽입되는 광자기디스크를 유지하는 동시에 디스크삽탈위치와 디스크장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홀더와, 베이스에 설치되고, 홀더에 유지되어서 디스크장착위치까지 이동되는 광자기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턴테이블과, 베이스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구동되는 광자기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광빔을 조사하는 광픽업과, 광픽업에 지지되고, 광자기디스크를 끼워서 광픽업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광자기디스크에 접촉 또는 근접한 기록위치와 광자기디스크에서 이간한 비기록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도록 자기헤드를 압압하는 헤드이동부재와, 헤드이동부재를 광자기디스크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부재를 갖춘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는 카트리지에 기억매체를 수납한 기억매체카트리지가 소정위치에 삽입됨에 따라서, 카트리지에 설치된 기록재생용의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부재에 결합하고, 당해 셔터부재를 개방방향으로 압압하는 설편형의 셔터개방부재를 갖추고, 셔터개방부재의 주면의 적어도 일편에서 표면이 곡면인 돌기부가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셔터해방기구를 갖춘다.
또한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는 장치본체를 개폐하는 커버체를 폐색위치에 록하는 록위치와, 커버체의 록을 해제하는 록해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록레버와, 록레버의 록해제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록레버의 록해제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비규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규제부재와, 록레버를 록위치로 향해서 가세하는 제 1가세수단과, 록레버와 조작부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당해 조작부를 록레버의 록위치와 동일방향으로 가세하고 또한 제 1가세수단의 가세력보다 큰 가세력을 가지는 제 2가세수단을 가지는 커버체의 록기구를 갖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의 설명에서 한층 명확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에 적용한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1)에 이용되는 디스크카트리지(2)를 설명하면, 이 디스크카트리지(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직사각형의 편평한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카트리지 케이스(3)를 갖추고, 이 케이스(2)내에 광자기디스크(4)를 회전가능하게 수납하고 있다. 광자기디스크(4)를 수납한 카트리지(3)의 하면측의 중심부에는 수납한 광자기디스크(4)의 중심부에 부착된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허브를 노출시키기 위한 중심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 카트리지케이스(3)의 하면측에는 광자기디스크(4)의 신호기록면을 광픽업에 대향시키기 위한 픽업엑세스공에 대향한 위치에는 후술하는 신호기록용의 자기헤드를 카트리지케이스(3)내에 진입시켜서 광자기디스크(4)에 접촉하기 위한 헤드엑세스공(5)이 형성되어 있다.
또 카트리지 케이스(3)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픽업엑세스공 및 헤드엑세스공(5) 및 헤드엑세스공(5)을 폐색하는 셔터부재(6)가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셔터부재(6)는 픽업엑세스공 및 헤드엑세스공(5)을 폐색하는 폐색위치와 픽업엑세스공 및 헤드엑세스공(5)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 걸쳐서 카트리지 케이스(3)상을 이동한다. 그리고 셔터부재(6)의 카트리지 케이스(3)의 전단면에 대향한 부분에는 결합공(6a)이 형성되고, 또 카트리지 케이스(3)의 셔터부재(6)의 결합공(6a)이 형성된 부분에 대향한 전단면에는 셔터개방부재가 진입하는 홈(3a)이 형성되고, 이 홈(3a)내에 셔터부재(6)를 폐색위치에 록하는 록부재의 피압압부(6b)가 위치하고 있다(도 7참조).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크카트리지(2)를 기록매체에 이용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1)는 상면이 개방된 얇은 상자형을 한 본체케이스(7)와 이 본체케이스(7)에 회동자재로 설치되어 본체케이스(7)의 상면을 폐색하는 커버체(8)로 이루는 장치본체내에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9) 및 홀더(10)가 설치되어 있다. 홀더(10)는 디스크카트리지(2)를 유지하여 광자기디스크(4)를 구동부(9)상에 구성된 디스크장착부에 장착하는 장착위치와디스크장착부에서 이간하여 디스크카트리지(2)의 삽탈을 행하는 삽탈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한다.
본체케이스(7)의 전면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커버체(8)의 개방조작을 행하는 개방조작손잡이(11) 및 기록조작손잡이(12)가 설치되어 있다. 개방조각손잡이(11)는 도 6 및 도 7중 화살표(H)방향으로 이동되면 커버체(8)의 본체케이스(7)의 상면을 폐색하는 폐색위치로의 록을 해제한다. 또 기록조작손잡이(12)는 도 6 및 도 7중 화살표(H)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광자기디스크(4)로의 정보신호의 기록을 행하는 조작모드를 선택한다. 또 커버체(8)의 상면에는 액정표시부(13) 및 각종의 조작버튼(14, 14, …)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9)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평판형을 이루는 베이스(17)를 갖추고, 이 베이스(17)에 광자기디스크(4)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부(15), 광자기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신호의 재생 또는 기록을 행하는 광픽업(16)을 탑재하고 있다.
베이스(17)의 전면측에는 록레버(18)가 도 8중 화살표(H)방향 및 (I)방향의 도면중 좌우방향으로 이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록레버(18)의 상연에는 도 7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록편(19)이 상편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록편(19)은 정면에서 보아 도 8중 좌편으로 돌출한 돌출편(19a)의 단연이 왼쪽이 내려간 경사면(19b)으로 되어 있다. 록레버(18)와 베이스(17)와의 사이에는 압축코일스프링(20)이 개재되고, 압축코일스프링(20)에 의해 록레버(18)는 좌편 즉 도 8중 화살표(I)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또 록레버(18)의 도 8중 우단부의 상연에서는 피규제부(21)가 후편으로 향해서 돌설되고, 또한 록레버(18)의 좌단부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스위치압압편(22)이 후편으로 향해서 돌설되어 있다.
베이스(17)의 전면에는 개방조작손잡이(11)와 연결된 개방조작레버(23)가 도 8 내지 도 10중 화살표(I)방향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개방조작레버(23)는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인장스프링(24)을 거쳐서 록레버(18)에 연결되어 있다. 이 인장스프링(24)은 압축코일스프링(20)의 신장력보다 큰 인장력을 갖는 것이 이용된다. 따라서 개방조작손잡이(11)에 도 8 내지 도 10중 화살표(H)방향으로의 힘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때에는 압축코일스프링(20)의 신장력에 의해 개방조작레버(23) 및 개방조작손잡이(11)가 이동범위의 좌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체케이스(7)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커버체(8)의 전단부의 내면에는 도 7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결합부재(25)가 부착되어 있다. 결합부재(25)에는 도 17중 정면에서 보아 우편으로 돌출한 계지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부(25a)의 선단면은 도 17중 왼쪽이 내려간 경사부(25b)로 되어 있다.
구동부(9)를 구성하는 베이스(17)의 중앙부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스핀들모터(26)가 지지되어 있다. 스핀들모터(26)의 로터(27)의 상면부(28)가 턴테이블로 되고, 이 턴테이블(28)상에 광자기디스크(4)의 중심부가 재치된다. 이 스핀들모터(26)와 턴테이블(28)에 의해 회전구동부(15)가 구성된다.
베이스(17)의 회전구동부(15)가 배치된 부분에서 일편의 측연 즉 도 8중 중앙부에서 우측연에 걸쳐서 개구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9)에서 상편을 면하도록 하여 광픽업(16)이 회전구동부(15)에 대하여 근접이간하는 방향 즉 도 8중 화살표(J)방향으로 이동자재로 되어 있다. 광픽업(16)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일단부를 베이스(17)의 하면에 설치된 가이드축(30)으로 미끄러짐이 자재로 지지되고, 타간부에 설치된 너트부(31)를 이송모터(32)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33)에 결합하고 있다. 광픽업(16)은 이송모터(32)의 구동에 의해 리드스크류(33)가 회전되고, 리드스크류(33)와 결합하고 있는 너트부(31)가 리드스크류(33)의 축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도 8중 화살표(J)방향으로 이동된다.
베이스(17)의 도 8 및 도 9중 우측면에는 제어레버(34)가 전후방향으로 이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제어레버(34)의 후단부 상연에는 앞으로 내려가게 경사한 경사캠연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어레버(34)의 전단가까이의 부분의 하연에는 래크(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레버(34)의 전단부에는 규제부(37)가 설치되어 있다.
광픽업(16)을 지지하는 가이드축(30)의 일단부는 베이스(17)의 도 8중 우단에서 돌출되고, 이 돌출한 부분에 피니언(38)이 부착되어 있다. 이 피니언(38)은 도 8, 도 9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어레버(34)의 래크(36)와 치합되어 있다. 베이스(17)의 하면에는 제어모터(39)가 부착되어 있고, 제어모터(39)와 가이드축(30)이 전달기어열(40)에 의해 연결되고, 제어모터(39)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축(30)이 회전된다.
사용자에 의해 기록조작손잡이(12)가 도 6중 화살표(H)방향으로 조작되어서 기록조작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모드(39)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38)에 의해 래크(36)가 이동되어서 제어레버(34)가 전방, 즉 이동범위의 전단인 기록위치로 향하는 도 8 및 도 9중 화살표(K)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정보신호의 광자기디스크(4)의 기록동작이 종료하면, 제어모터(39)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38)이 기록조작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피니언(38)에 의해 래크(36)가 이동되어서 제어레버(34)가 후편 즉 이동범위의 후단인 비기록위치로 향해서 도 8 및 도 9중 화살표(L)방향으로 이동된다.
디스크카트리지(2)가 삽입유지되는 홀더(10)는 탄성을 갖는 금속판등의 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천정판(41)과 이 천정판(41)의 양측연에서 하편으로 향해서 절곡된 측면판(42, 43)과 측면판(42, 43)의 하연에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수용판(44, 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홀더(10)는 그 후단부가 베이스(17)의 후단부 상면에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고, 천정판(41)과 측면판(42, 43)과 수용판(44, 44)에 의해 둘러쌓인 편평한 공간내에 디스크카트리지(2)가 삽입된다.
홀더(10)의 좌우측면판(42, 43)의 전단부 상연에는 각각 외편으로 향해서 돌출된 걸림편(45, 45)이 설치되어 있다. 각 걸림편(45, 45)은 커버체(8)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걸림부에 걸리게 된다. 즉 홀더(10)가 하편측의 이동단인 디스크카트리지(2)의 구동부(9)로의 장착위치에 또 커버체(8)가 폐색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약간 개방위치로 향해서 회동하는 것으로, 걸림부가 홀더(10)의 걸핌편(45,45)을 걸고, 그리고 또한 커버체(8)가 개방위치로 향해서 회동하는 것에 따라서 홀더(10)가 상편측의 이동단인 디스크카트리지(2)의 삽탈위치로 향애서 회동된다.
홀더(10)의 천정판(41)에는 2개의 스프링부(46, 46)가 선단을 약간 상편으로 위치하도록 절기한 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부(46,46)는 절기형으로 형성되고, 폭이 넓은 커버체 밀어올리는부(46a, 46a)와 폭이 좁은 카트리지 미는부(46b, 46b)를 가지고 있다. 커버체 밀어올리는부(46a, 46a)의 편이 카트리지 미는부(46b, 46b)에서 상측으로 위치하고 있다. 또한 천정판(41)의 별도의 개소에 단독의 카트리지 미는부(46b)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8)가 도 6에 나타내는 본체케이스(7)를 폐색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스프링부(46, 46)의 커버체 밀어올리는부(46a, 46b)가 커버체(8)에 의해 하편으로 압압되어서 스프링부(46, 46)가 하편으로 휘어지고, 카트리지 미는부(46b, 46b)가 디스크카트리지(2)를 수용판(44, 44)에 밀어붙인 상태로 되어 있다. 커버체(8)가 개방위치까지 회동되면, 커버체(8)의 도시하지 않은 걸림부가 홀더(10)의 걸림편(45, 45)을 걸어서 상편으로 인장되므로 홀더(10)의 삽탈위치까지 회동한다.
따라서 커버체(8)가 폐색위치까지 개방위치로 향해서 회동되면, 스프링부(46, 46)에 축적되어 있던 탄성력이 커버체 밀어올리는부(46a, 46a)를 거쳐서 커버체(8)에 작용하고, 커버체(8)는 홀더(10)에서 약간 상편측까지 회동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홀더(10)에 대하여 약간 열린 상태로 된다.
홀더(10)의 도 9 및 도 13중 우측에 위치하는 측면벽(43)의 전반부에는홀더(10)의 내측으로 돌출된 셔터 되돌리는 스프링(47)이 타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셔터 되돌리는 스프링(47)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후단이 측벽면(43)에 연속하여 전단부가 홀더(10)의 내측에 돌출하고 있다. 셔터 되돌리는 스프링(47)의 전단부는 기둥형으로 굴곡되고, 우측면벽(43)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이루는 걸림부(47a)의 내단에서 전방으로 향하면서 우편으로 경사하여 연장하는 도입부(47b)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10)의 우측면벽(43)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서 약간 후편의 부분에는 우측면벽(43)의 일부를 내편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셔터개방부재(48)가 형성되어 있다.(도 13 내지 도 15참조). 셔터개방부재(48)는 전후방향으로 긴판형을 이루고 있고, 주변부가 상편으로 절곡되어서 절곡연(48a)이 형성되고, 또한 전후에 이간하여 상편으로 타출된 타출돌기(48b, 48b)가 형성되어 있다. 타출돌기(48b, 48b)의 상면은 반구형을 이루고, 또 타출돌기(48b, 48b)의 상편으로의 타출높이는 절곡연(48a)의 상편으로의 절곡높이보다 크게 되어 있다.
홀더(10)의 우측의 수용판(44)의 후단 가까이의 부분에는 하편으로 돌출한 록해제편(49)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록해제편(49)의 후단연에는 상편을 향한 돌기편(49a)가 형성되어 있다.(도 15참조).
베이스(17)의 상면의 우측요부에 이젝트레버(50)가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도 8 및 도 15참조). 이젝트레버(50)는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대략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주부(50a)와 상기 주부(50a)의 우단에서 대략 후편으로 연장하는 굴곡부(50b)가 대략 옆으로 기울어진 L자형으로 연속되어 있다. 주부(50a)의 좌단부에는 상편으로 돌출한 압압편(50c)이 형성되고, 굴곡부(50b)의 후단부에는 우측으로 경사지게 전편으로 돌출한 피결합편(50d)이 형성되어 있다. 또 굴곡부(50b)와 피결합편(50d)과의 사이의 부분에는 하편으로 돌출한 스프링걸림편(50e)이 형성되어 있다.
이젝트레버(50)는 주부(50a) 및 굴곡부(50b)가 베이스(17)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굴곡부(50b)의 후단부가 베이스(17)의 우단부 후단에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스프링걸림편(50e)은 베이스(17)의 우단부에서 그 후단부에 형성된 삽통공(17a)을 통해서 베이스(17)의 하면측에 돌출하고 있다.
이젝트레버(50)의 스프링걸림편(50e)과 베이스(7)의 후단우단부에 하편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스프링걸림편(17b)과의 사이에는 도 12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인장스프링(51)이 설치되고, 이젝트레버(50)는 인장스프링(51)에 의해 상편에서 보아 반시계회전방향, 즉 도 15중 화살표(CCW)방향과 주부(50a)가 베이스(17)에 밀어붙이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베이스(17)의 상기 삽통공(17a)의 약간 좌전방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편으로 타출된 계지돌기(17c)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10)의 천정판(41)에는 베이스(17)의 개구부(29)에 대응한 위치에 큰 개구부(52)가 형성되어 있다.(도 9, 도 11 및 도 13참조).
천정판(41)의 상기 개구부(52)의 후연에 근접한 위치에는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헤드시프트판(53)이 개구부(52)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헤드시프트판(53)은 횡폭이 상기 개구부(52)의 횡폭을 대략 커버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후단부의 양단부에서 후편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피지지편(54, 54)이 홀더(10)의 천정판(41)에 설치된 지지편(55, 55)에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도 9중 우측에 위치하는 피지지편(54)은 지지편(55)에 지지된 개소에서 또한 후편으로 연장되고, 후편연장부(54a)의 후단에 우편으로 돌출한 피구동편(53a)이 형성되고, 또 헤드시프트판(53)의 전단가까이의 우측연에서 우편으로 돌출한 스프링접촉편(53b)이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52)의 우측연에 따르도록 하여 천정판(41)에 일체로 형성된 전후방향으로 긴 판형의 되돌리는 스프링(56)의 후단부가 헤드시프트판(53)의 스프링접촉부(53b)에 하측에서 탄접됨으로써 헤드시프트판(53)은 전단부가 상편으로 또 후단부 즉 피구동편(53a)이 형성된 부분이 하편으로 가세된다. 그 결과 피구동편(53a)은 상기 제어레버(34)의 경사캠연(35)상에 위치된 상태로 된다(도 11 및 도 22참조).
자기헤드장치(57)는 도 8,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선단측에 자기헤드(58)를 지지한 헤드지지암(59)과 이 헤드지지암(59)의 선단부의 하편으로의 광잉 변위를 규제하는 암지지판(60)을 갖추고 있다. 헤드지지암(59)은 링청동등의 탄성을 갖는 얇은 금속판을 타발하여 형성되어 있다. 암지지판(60)은 L자형으로 절곡된 선단부(60a)가 헤드지지암(59)의 선단측의 하면을 지지하고, 암지지판(60)과 헤드지지암(59)의 기단부가 동시에 측면형상으로 コ자형을 한 연결부재(61)의 상단부(61a)에 고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61)의하단부(61b)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광픽업(16)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17)의 저면측의 이젝트레버(50)와 대향하는 측의 도 12에 나타내는 위치에는 전지(100)가 수납되는 전지수납부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1)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젝트레버(50)가 광픽업(16)이나 자기헤드장치(57)가 배치된 측에 배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베이스(17)에서 상편으로 돌출하는 것은 압압편(50c)만이고, 주부(50a), 굴곡부(50b) 및 피결합편(50d)은 아무것도 상면측에 있어서 상면에 따라서 위치되고, 스프링걸림편(50e)은 베이스(17)의 하면측에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이젝트레버(50)가 베이스(17)상에 배치된 다른 부재, 특히 광픽업(16)과 자기헤드장치(57)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1)와 간섭하는 것이 없고, 스페이스의 유효이용을 도모해서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장치는 마이크로컴퓨터등으로 이루는 제어부(62)를 가지고, 이 제어부(62)에 의해 광픽업구동제어부(63)를 거쳐서 광픽업(16)의 구동을 제어하고 있다. 또 제어부(62)에 의해 모터구동부(64)를 거쳐서 구동모터(39)가 제어되고, 제어레버(34), 헤드시프트판(53)등으로 이루는 헤드승강기구(65)가 제어되어서 자기헤드(58)의 승강동작이 행하여진다. 또한 기록스위치(66) 및 하프록스위치(67)의 검출출력이 제어부(62)에 입력되고, 그 입력에 의거해서 여러가지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1)의 동작을 도 17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나타내는 상태는 커버체(8)가 폐색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상태에서 광자기디스크(4)에 대한 정보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하여진다. 또한 제록재생등의 조작이 행하여지 지지 않는 정지시도 커버체(8)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폐색상태에 있다.
정지시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개방조작손잡이(11)가 해정방향, 즉 도 7중 화살표(H)방향으로 이동되면, 개방조작레버(23), 인장스프링(24)을 거쳐서 록레버(18)가 해정방향, 즉 도 17중 화살표(H)방향으로 압압되고, 록레버(18)가 압축코일스프링(20)을 압축하면서 헤정방향으로 이동한다(도 17중 2점쇄선참조). 이때 상술한 바와같이 인장스프링(24)의 인장력이 압축코일스프링(20)의 신장력에 의해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인장스프링(24)은 거의 신장하는 것이 없다. 그리고 록레버(18)가 해정방향으로 이동되면, 도 17에 2점쇄선에서 나타내는 바와같이 록레버(18)의 록편(19)과 커버체(8)의 결합부재(25)의 계지부(25a)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록편(19)과 계지부(25a)와의 결합이 해제되면 커버체(8)가 폐색위치에 있음으로써 커버체(8)에 의해 압압되어서 변형하고 있던 홀더(10)의 스프링부(46, 46)의 탄발력에 의해 커버체(8)가 겨우 개방위치방향으로 향해서 이동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커버체(8)의 전단부를 가지고 끌어 올리면, 커버체(8)는 도 7에 나타내는개방위치까지 회동하고, 커버체(8)의 도시하지 않은 걸림부에 의해 걸림편(45, 45)이 인장되어 상승해서 홀더(10)가 도 7에 나타내는 삽탈위치가지 회동한다.
또한 사용자가 개방조작손잡이(11)에 가해 있던 힘을 없애면 개방조작손잡이(11), 개방조작레버(23) 및 록레버(18)는 압축코일스프링(20)의 신장에 의해 도 17중 화살표(I)방향으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사용자는 이젝트위치까지 회동된 홀더(10)에 디스크카트리지(2)를 삽입한다.
디스크카트리지(2)는 홀더(10)에 삽입되는 과정에 있어서 셔터부재(6)가 개방위치로 이동하고, 광픽업엑세스공 및 헤드엑세스공(5)이 개방된다. 즉 디스크카트리지(2)가 홀더(10)내에 삽입되어 가면 홀더(10)의 우측면판(43)에 형성된 셔터개방부재(48)가 상대적으로 디스크카트리지(2)의 홈(3a)내에 넣어서 가고(도 18중 2점쇄선참조), 셔터부재(6)를 폐색위치에 록하고 있는 록부재의 피압압부(6b)를 압압하여 록을 해제하는 동시에 셔터부재(6)를 개방위치로 향해서 압압한다. 개방위치로 향해서 이동된 셔터부재(6)가 개방위치에 도달하면, 홀더(10)의 우측면판(43)에 설치된 셔터 되돌리는 스프링(47)의 걸림부(47a)가 셔터부재(6)의 결합공(6a)에 결합한다.
셔터개방부재(48)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홀더(10)의 일부를 절기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그 주연부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일방향, 예를들면 도 14중 상편에 절곡되어서 절곡연(48a)으로 되어 있기때문에 셔터개방부재(48)가 디스크카트리지(2)의 홈(3a)내를 이동할때에 홈(3a)의 대향하는 측면 중의 적어도 한편의 면을 셔터개방부재(48)의 에지에서 깍이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셔터개방부재(48)에는 절곡연(48a)의 절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타출하여 형성한 타출돌기(48b, 48b)가 형성되고, 더구나 타출돌기(48b, 48b)의 상면이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타출돌기 높이가 절곡연(48a)의 절곡높이 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므로 홈(3a)의 측면중 절곡연(48a)의 절곡방향으로 위치하는 면이 깍여 버리는 것도 없다. 또한 셔터개방부재(48)는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절곡연(48a)이 형성됨으로써 실질적인 두께만을 가지는 것으로 되고, 예를들면 디스크카트리지(2)의 홈(3a)의 측면과 록부재의 피압압부(6b)와의 사이에 극간이 가능한 경우에라도 셔터개방부재(48)가 상기 극간에 넣어진 셔터부재(6)의 개방이 불능하게 되어 버리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상술의 설명에서는 타출돌기(48b,48b)를 일편의 면에만 형성한 셔터개방부재(48)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셔터개방부재의 양면에 타출돌기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셔터개방부재(48)의 높이, 홀더(10)의 우측의 수용판(44)으로부터의 거리는 디스크카트리지(2)의 양단부 하면이 수용판(44, 44)위에 재치된 상태에 있어서 셔터개방부재(48)가 디스크카트리지(2)의 홈(3a)의 측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디스크카트리지(2)의 하중이 셔터개방부재(48)에 걸리지 않도록 하고, 셔터개방부재(48)의 변형을 방지하기때문이다.
한편 디스크카트리지(2)가 홀더(10)에 삽입되어 가면, 동시에 인장스프링(51)의 가세력 의해 도 19a에 나타내는 이젝트위치에 있던이젝트레버(50)의 압압편(50c)이 디스크카트리지(2)에 의해 압압되어서 도 19a중 상편에서 보아 시계회전방향의 도 19a중 화살표(CW)방향으로 회동하고, 굴곡부(50b)의 우측연이 베이스(17)에 타출된 계지돌기(17c)에 결합하여 록위치에 록된다(도 20a참조). 그리고 이 상태에서도 19a 및 19b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홀더(10)에 설치되어 피결합편(50d)과 이간되어 있던 록해제편(49)이 이젝트레버(50)의 피결합편(50d)에 의해 약간 좌편으로 즉 도 19c 중 화살표(N)방향으로 압압되고, 록해제편(49)은 화살표(N)방향으로 약간 휜상태로 된다(도 20c).
이어서 커버체(8)를 폐색위치로 향해서 회동하면, 도 19b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삽탈위치에 있던 홀더(10)가 장착위치까지 회동되고(도 21b참조), 또 커버체(8)의 계지부(25a)에 록편(19)의 편부(19a)가 결합하고, 커버체(8)가 폐색위치에 록된다(도 6 및 도 18중 실선참조).
상술과 같이 커버체(8)가 도 8에 나타내는 개방위치에서 하편으로 회동되는때에는 결합부재(25)의 경사부(25b)가 록편(19)의 경사연(19b)과 접촉하고, 또한 경사연(19b)을 우편, 즉 도 7중 화살표(H)방향으로 압압함으로써 록레버(18)가 압축코일스프링(20)을 압축하면서 화살표(H)방향으로 이동하고, 결합부재(25)의 계지부(25a)가 록편(19)의 편부(19a)에서 아래로 통과 할 수 있다. 계지부(25a)가 돌기부(19a)에 의해 아래로 위치하면 록레버(18)가 압축코일스프링(20)의 신장력에 의해 도 17중 화살표(I)방향으로 이동하고, 록편(19)의 돌기부(19a)가 커버체(8)의 계지부(25a)에 상측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커버체(8)는 도 6에 나타내는 폐색위치에 록된다(도 17의 실선참조).
이때 디스크카트리지(2)는 구동부(9)상의 소정의 장착위치에 장착되어서 광자기디스크(4)가 턴테이블(21)상에 클램프된다.
홀더(10)가 삽탈위치에서 장착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홀더(10)의 록해제편(49)의 돌기부(49a)가 이젝트레버(50)의 피결합편(50d)의 좌측연을 미끄러지면서 상대적으로 이젝트레버(50)에서하편으로 이동하여 간다. 그리고 홀더(10)가 ㅈ장착위치에 도달하면, 돌기부(49a)의 우측면에서 이젝트레버(50)의 피결합편(50d)이 없게 되므로 휘어져 있던 록해제편(49)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가고, 이것에 의해 록해제편(49)의 돌기부(49a)는 화살표(O)방향으로 이동하여 이젝트레버(50)의 피결합편(50d)의 하측에 넣어진 상태로 된다(도 21b 도 도 21c참조).
또 이 상태에서는 제어레버(34)는 이동범위의 후단, 즉 도 22에 나타내는 비기록위치에 있고, 규제부(37)는 상기 록레버(18)의 피규제부(21)의 우측에 있어서 그 후방에 위치하고, 록레버(18)는 해정방향인 도 6중 화살표(H)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즉 커버체(8)의 폐색위치로의 록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경사캠연(35)의 전단부에 헤드시프트판(53)의 피구동편(53a)이 위치하고 헤드시프트판(53)은 되돌리는 스프링(56)의 가세력에 의해 전단이 상편으로 이동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헤드시프트판(53)의 전단부가 암지지판(60) 및 헤드지지암(59)을 상편으로 밀어 올리고, 따라서 자기헤드(58)는 광자기 디스크(4)에서 상편으로 이간한 비기록위치에 있다(도 22참조).
상술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1)는 헤드이동부재인헤드시프트판(53)이 가세수단인 되돌리는 스프링(56)에 의해 비기록위치의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으므로, 헤드시프트판(53)에 다른 힘이 미치게 되어 있지 않는 한, 헤드시프트판(53)은 되돌리는 스프링(56)에 의해 비기록위치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고, 자기헤드(58)가 홀더(10)에 출입되는 광자기디스크(4)등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없다.
광자기디스크(4)에 대해서의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자기헤드(58)가 광자기디스크(4)에서 이간한 상태에서 신호의 재생동작이 행하여진다. 즉 스핀들모터(26)에 의해 광자기디스크(4)가 회동되는 동시에 광픽업(16)이 광자기디스크(4)의 반경방향으로 이하면서, 광자기디스크(4)의 신호기록면으로의 레이저광의 조사와 그 되돌리는 광의 검출이 행하여지고, 광지기지스크(4)에 기록된 신호의 재생이 행하여진다.
광자기디스크(4)에 대하여 신호의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본체케이스(7)의 전면에 설치된 기록조작손잡이(12)를 기록방향, 즉 도 6중 화살표(H)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기록조작손잡이(12)를 도 6중 화살표(H)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어모터(39)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축(30) 및 가이드축(30)의 일단부에 고정된 피니언(38)이 회전되고, 피니언(38)에 의해 래크(36)가 이송되어서 제어레버(34)가 전방 즉 도 22중 화살표(K)방향으로 이동되고, 전단에 설치된 규제부(37)가 록레버(18)의 피규제부(21)의 바로 우측에 위치한다(도 23참조). 따라서 커버체(8)의 폐색위치로의 록을 해제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즉 이 상태에서 개방조작손잡이(11)를 해정방향, 즉 도 6중 화살표(H)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개방조작레버(23) 및 인장스프링(24)을 거쳐서 록레버(18)는 해정방향 즉 도 17중 화살표(H) 방향으로 인장되거나, 록레버(18)의 피규제부(21)의 바로 우측에 제어레버(34)의 규제부(37)가 위치하고 있기때문에 피규제부(21)가 규제부(37)에 접하고(도 17의 파선참조) 록레버(18)는 해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고, 돌기부(19a)와 결합부(25a)와의 결합은 해제되지 않고, 커버체(8)는 폐색위치에 록된채이다.
이 경우 록레버(18)는 해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지만, 인장스프링(24)이 신장함으로써 개방조작레버(23) 및 개방조작손잡이(11)는 해정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조작자에는 통상의 오픈조작시에 가까운 감촉이 얻어지고, 위화감이 부여되는 것이 없다. 또 조작자의 오해에 의거해서 무리한 조작에 의해 개방조작손잡이(11), 개방조작레버(23), 록레버(18)등이 파손되어 버릴 우려도 없다.
헤드시프트판(53)의 피구동편(53b)은 경사캠연(35)을 미끄러져 상승하고 있고 최고위치부상에 재치된 상태로 되고(도 23참조), 헤드시프트판(53)은 되돌리는 스프링(56)의 가세력에 저항해서 전단이 하편으로 이동하도록 회동하고, 이 결과 암지지판(60) 및 헤드지지암(59)이 하편으로 향하고, 즉 도 22중 화살표(P)방향으로 회동하고, 자기헤드(58)가 광자기디스크(4)의 상면 중 광픽업(16)에 의해 레이저광을 조사되는 부분에 대항한 위치에 접촉한 상태로 된다(도 23참조). 이 상태에서 광자기디스크(4)의 신호기록면에 광픽업(16)에 의해 재생시보다 강한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동시에 자기헤드(58)에 의해 자계가 인가되고, 광자기디스크(4)의 신호기록면에 새로운 신호가 기록된다. 이와같은 신호의 기록은 광픽업(16)이광자기디스크(4)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루어지고, 자기헤드(58)도 광픽업(16)과 동시에 이동된다.
기록조작손잡이(12)가 조작되어서 제어레버(34)의 이동범위의 전단인 기록위치에 도달하는데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 예를들면 200밀리초(ms)의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예를들면 기록조작손잡이(12)가 조작되어서 제어레버(34)가 기록위치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에 개방조작손잡이(11)가 해정방향으로 조작되면, 커버체(8)의 개폐위치로의 록이 해제되어 버리기때문에 홀더(10)가 삽탈위치까지 회동되어서 디스크카트리지(2)의 삽탈이 행하여질 우려가 있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카트리지(2)의 홀더(10)에 대한 삽탈이 행하여지면 기록위치까지의 이동과정에 있던 자기헤드(58)에 광자기디스크(4)나 카트리지케이스(3) 혹은 셔터부재(6)등이 접촉하고 광자기디스크(4)나 자기헤드(58)가 손상을 받을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갖추어서 제어부(62)가 도 25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동작을 행해서 자기헤드(58)등의 손상의 위험을 회피할 조치가 강구해지도록 되어 있다.
도 16에 있어서 기록스위치(66)는 기록조작손잡이(12)의 기록방향 즉 도 6중 화살표(H)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ON으로 되는 스위치이고, 하브록스위치(67)는 록레버(18)의 해정방향, 즉 도 6중 화살표(H)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록레버(18)의 스위치압압편(22)에 의해 조작되어서 ON으로 되는 스위치이다.
제어부(62)는 기록스위치(66)가 ON이고, 하프록스위치(67)가 소정의 시간내에 ON으로 되지 않는 경우에만 자기헤드(58)를 기록위치까지 이동시켜서 기록동작에 넣어지도록 되고, 기록스위치(66)가 ON으로 되어도 소정의 시간내에 하프록스위치(67)가 ON으로 된 경우는 제어모터(39)를 역전시켜서 자기헤드(58)를 비기록위치로 되돌린다.
이하에 도 25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커버체(8)의 개방금지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위치(S1)에 있어서,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1)가 기동한다. 스위치(S2)에 있어서 기록스위치(66)가 ON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검출되고, ON이면 스텝(S3)으로 진행하고, OFF이면 기록스위치(66)의 검출처리가 반복된다.
스텝(S3)에 있어서, 제어부(62)내의 카운터를 ON시켜서 계시를 개시한다.
스텝(S4)에 있어서, 승강기구의 구동 즉 제어모터(39)의 구동이 개시된다.
스텝(S5)에 있어서, 제어부(62)에 의해 하프록스위치(67)의 ON의 확인을 행한다. 하프록스위치(67)가 OFF의 경우에는 스텝(S6)으로 진행하여 카운터를 체크하고, 하프록스위치(67)가 ON의 경우에는 스텝(S9)으로 진행하여 승강기구가 반전한다.
스텝(S6)에 있어서 커운터가 체크되고, 200ms경과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S5)에 있어서 하프록스위치(67)의 ON의 확인을 행하고, 200ms경과한 경우에는 스텝(7)으로 진행하여 기록동작을 개시한다.
스텝(S7)에 있어서 기록동작을 개시하고, 기록동작종료와 동시에 처리를 종료한다(스텝(S8)).
스텝(S9)에 있어서, 승강기구를 역전, 즉 제어모터(39)를 역전시켜서 자기헤드(58)를 비기록위치로 되돌린후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8).
광자기디스크(4)에 대한 신호의 기록이 종료하면 제어모터(39)의 구동에 의해 제어레버(34)가 후편 즉 도 23중 화살표(L)방향으로 이동하고, 규제부(37)가 록레버(18)의 피규제부(21)의 우측의 위치에서 후편으로 이동하고, 커버체(8)의 폐색위치로의 록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도 22참조). 동시에 경사캠연(35)의 전단이 헤드시프트판(53)의 피구동편(53a)에 대응한 부분에 와서, 헤드시프트판(53)이 되돌리는 스프링(56)의 가세력에 의해 전단부가 상편으로 이동하도록 즉 도 23중 화살표(Q)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헤드시프트판(53)의 전단부가 암지지판(60) 및 헤드지지암(59)을 상편으로 밀어올리므로, 헤드지지암(59)의 전단부에 지지되어 있는 자기헤드(58)가 상편으로 이동하여 광자기디스크(4)에서 이간한다(도 22참조).
다음에 개방조작손잡이(11)를 우편, 즉 도 6중 화살표(H)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록레버(18)를 도 17중 화살표(H)방향으로 이동시켜 록편(19)을 커버체(8)의 계지부(25a)에서 벗어나서 커버체(8)에 대한 폐색위치로의 록을 해제하여, 도 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면 커버체(8)와 동시에 홀더(10)도 삽탈위치로 향해서 상편으로 회동된다(도 24참조).
홀더(10)가 삽탈위치로 향해서 회동하면 상편으로 이동하는 록해제편(49)의 돌기부(49a)가 이젝트레버(50)의 피결합편(50d)을 상편으로 인장하여 올리므로 이젝트레버(50)의 굴곡부(50b)가 베이스(17)의 상면에서 약간 띄운상태로 되고, 이 순간에 이젝트레버(50)의 굴곡부(50b)와 베이스(17)의 계지돌기(17c)와의 결합이해제되고, 이젝트레버(50)는 인장스프링(51)의 가세력에 의해 상편에서 보아 반 시계회전방향 즉 도 21a중 화살표(CCW)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회동에 의해 대략 전방으로 이동하는 압압편(50c)에 의해 디스크카트리지(2)가 눌려지고, 디스크카트리지(2)의 일부가 홀더(10)에서 돌출한 상태로 된다(도 24참조). 따라서 사용자는 홀더(10)에서 돌출한 일부를 따서 디스크카트리지(2)를 홀더(10)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된다.
이젝트레버(50)는 그 일부가 계지돌기(17c)를 얹혀서 피결합편(50d)이 베이스(17)의 우측벽(17d)에 결합하는 것으로, 즉 이젝트위치에서 정지한다(도 19a참조).
사용자가 디스크카트리지(2)를 홀더(10)에서 취출할때에 개방위치에 있던 셔터부재(6)는 결합공(6a)에 결합하고 있는 셔터 되돌리는 스프링(47)의 걸림부(47a)에 의해 상대적으로 폐색위치로 향해서 인장되어서 폐색위치로 이동된다.
홀더(10)가 도 7에 나타내는 삽탈위치에 도달하면 상기한 바와같이 디스크카트리지(2)는 이젝트레버(50)에 의해 압압되어서 그 일부가 홀더(10)에서 돌출한다. 그리고 신호의 재생 및/또는 기록이 끝난 디스크카트리지(2)를 홀더(10)에서 취출하고, 새롭게 사용자는 정보신호의 재생 또는 기록을 행하는 디스크카트리지(2)를 홀더(10)내에 삽입한다.
상기한 예에 있어서 나타낸 각부의 형상 및 구조는 어느 것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이용되는 구체예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는 디스크장착위치에 광자기 디스크의 장착 및 이탈을 행하는 홀더에 유지되어 있는 광자기 디스크를 이젝트하는 이젝트레버의 대부분이 베이스면에 따르도록 배치되고, 베이스에서 홀더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부분은 디스크를 압압조작하는 압압부만으로 되므로, 이젝트레버를 광픽업이나 자기헤드가 배치된 측에 배치하여도 이젝트레버가 다른 부재와 간섭하는 것 없고, 장치본체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장치자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기록재생형의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와 재생전용형의 광디스크 재생장치는 자기헤드 및 연결부재의 유무를 제외 하고는 거의 공통의 구성이므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이젝트레버는 어느 장치에도 이용할 수 있고,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와 광디스크 재생장치의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자기헤드를 광자기디스크에 대하여 근접이간시키는 헤드이동부재는 자기헤드가 홀더의 외편으로 위치하도록 가세되어 있으므로, 홀더에 장착 및 이탈되는 광자기디스크와 자기헤드와 충돌을 회피하고, 자기헤드 및 광자기디스크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또 셔터개방기구를 구성하는 셔터 개방부재는 디스크카트리지에 설치된 홈부로의 삽탈에 의해 디스크카트리지에 손상을 부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또 본체케이스를 개폐하는 커버체를 폐색위치에 록하는 록기구는 록레버의 록해제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경우라도 조작부의 록해제방향으로의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무리한 조작에 의해 커버체의 록을 해제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정확한 정보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할 수 있다.

Claims (27)

  1. 베이스에 회동자재로 설치되고, 삽입되는 광자기디스크를 유지하는 동시에 디스크삽탈위치와 디스크장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홀더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홀더에 의해 상기 디스크장착위치까지 이동되고, 재치된 상기 광자기디스크를 회전 구동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베이스에 미끄러짐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구동되는 광자기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기록되는 정보신호를 독출하는 광픽업과,
    상기 광자기디스크를 끼워서 상기 광픽업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광자기디스크에 접촉 또는 근접한 기록위치와 상기 광자기디스크에서 이간한 비기록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한 광자기헤드와,
    상기 픽업과 상기 자기헤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회동자재로 설치되고, 상기 홀더에 유지되는 광자기디스크를 압압부에 의해 압압하여 배출하는 방향으로 가세되는 이젝트레버와를 갖추고,
    상기 이젝트레버는 상기 광픽업주변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이젝트레버의 주부가 상기 베이스면에 따르도록 설치되고, 또한 상기 이젝트레버의 회동궤적과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궤적이 다른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레버는 상기 이젝트레버에 설치되는 상기 압압부가 상기 베이스면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구동하는 전지를 갖추고, 상기 전지는 상기 광픽업 및 상기 이젝트레버가 배치되는 위치와 장치본체의 중앙부를 거쳐서 대략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베이스의 저면측에 장전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직방체이고, 상기 직방체의 최단변이 상기 베이스면에 대한 법선방향으로 일치하는 방향에서 상기 장치본체에 장전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자기디스크는 카트리지에 수납되고, 상기 광자기디스크가 상기 홀더의 소정위치에 삽입됨에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에 설치된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에 결합하고, 상기 셔터를 개방방향으로 압압하는 설편형의 셔터개방부재를 갖추고, 상기 셔터개방부재의 주면의 적어도 일편에서 표면이 곡면인 돌기부가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개방부재는 상기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홀더에 삽입됨에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의 측면에 형성되는 홈부에 진입하는 동시에 상기 홈부내에 설치되는 상기 셔터를 폐색위치에 록하는 록부를 압압함으로써 당해 록을 해제하고, 또한 상기 삽입에 의해 상기 셔터를 개방방향으로 압압이동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개방부재는 상기 주면의 주연부가 일방으로 절곡가공됨으로써 절곡연을 가지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절곡연과 동일방향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당해 돌기부의 높이는 상기 절곡연의 절곡높이보다도 높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설치되고, 상기 자기헤드가 기록위치와 비기록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도록 당해 자기헤드를 압압하는 헤드이동부재와, 상기 헤드이동부재를 상기광자기디스크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수단을 갖추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이동부재는 상기 홀더에 회동자재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헤드이동부재의 일단을 압압하고, 상기 헤드이동부재를 회동하도록 이동제어하는 제어부재를 갖추고,
    상기 제어부재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광자기디스크에 대한 기록지시에 따라서 상기 헤드이동부재의 타단에 결합하는 상기 가세수단의 가세력에 저항해서 상기 헤드이동부재의 일단을 압압하고, 상기 자기헤드를 기록위치에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의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광자기디스크에 대한 재생지시에 따라서 상기 헤드이동부재의 일단과의 결합이 해제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고, 상기 헤드이동부재는 상기 가세수단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회동되고, 상기 자기헤드를 상기 비기록위치방향으로 압압이동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세수단은 상기 홀더의 천정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광자기디스크기록재생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광픽업 및 상기 자기헤드를 개폐하는 커버체를 폐색위치에 록하는 록위치와 상기 록을 해제하는 록해제수단과의 사이를 이동하는 록레버와,
    상기 록레버의 록해제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위치와 상기 록레버의 록해제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비규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규제수단과,
    상기 록레버를 상기 록위치로 향해서 가세하는 제 1가세수단과,
    상기 록레버와 조작부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당해 조작부를 상기 록레버의 록위치와 동일 방향으로 가세하는 또는 상기 제 1가세수단의 가세력보다 큰가세력을 갖는 제 2가세수단을 갖추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이 상기 비규제수단에 있고, 또한 상기 조작부가 상기 록해제위치방향으로 이동될때 상기 조조작부와 동시에 상기 록레버가 상기 제 1가세수단에 저항해서 상기 록해제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규제수단이 상기 규제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조작부가 상기 록해제위치방향으로 이동될때 상기 조작부만이 상기 제 2가세수단에 저항해서 상기 록해제위치로 이동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광자기디스크에 대한 신호의 기록을 지시하고,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조작부에 의한 기록지시에 따라서 상기 비규제위치에서 규제위치로 이동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
  16. 베이스에 회동자재로 설치되고, 삽입되는 광자기디스크를 유지하는 동시에 디스크삽탈위치와 디스크장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홀더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홀더에 의해 상기 디스크장착위치까지 이동되고, 재치된 상기 광자기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베이스에 미끄러짐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구동되는 광자기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레이저광를 조사함으로써 기록되는 정보신호를 독출하는 광픽업과,
    상기 베이스에 회동자재로 설치되고, 상기 홀더에 유지되는 광자기디스크를 압압부에 의해 압압하여 배출하는 방향으로 가세되는 이젝트레버를 갖추고,
    상기 이젝트레버는 상기 광픽업주변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이젝트레버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젝트레버의 주부는 상기 베이스면에 따르도록 설치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
  17. 카트리지에 기억매체가 수납되는 기억매체카트리지가 소정의 위치에 삽입됨에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에 설치된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에 결합하고, 당해 셔터를 개방방향으로 압압하는 설편혀의 셔터개방부재를 갖추고,
    상기 셔터개방부재의 주면의 적어도 일편에서 표면이 곡면인 돌기부가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기억매체카트리지의 셔터개방기구.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개방부재는 삽입되는 상기 기억매체카트리지를 유지하는 동시에 기억매체삽탈위치와 기억매체장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셔터개방기구.
  1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개방부재는 상기 기억매체카트리지가 상기 홀더에 삽입됨에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의 측면에ㅔ 형성되는 홈부에 진입하는 동시에, 상기 홈부내에 설치되는 상기 셔터를 폐색위치에 록하는 록부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록을 해제하고, 또한 상기 삽입에 의해 상기 셔터를 개방방향으로 압압이동하는 셔터개방기구.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개방부재는, 상기 주면의 주연부가 일방으로 절곡가공됨으로써 절곡연을 가지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절곡연과 동일방향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돌기부의 높이는 상기 절곡연의 절곡높이보다도 높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셔터개방기구.
  21. 베이스에 회동자재로 설치되고, 삽입되는 광자기디스크를 유지하는 동시에 디스크삽탈위치와 디스크장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홀더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홀더에 의해 상기 디스크장착위치까지 이동되고, 재치된 상기 광자기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베이스에 미끄러짐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구동되는 광자기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레이저광를 조사함으로써 기록되는 정보신호를 독출하는 광픽업과,
    상기 광픽업에 지지되고, 상기 광픽업과 상기 광자기디스크를 끼워서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고, 상기 광자기디스크에 접촉 또는 근접한 기록위치와 상기 광자기디스크에서 이간한 비기록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한 자기헤드와,
    상기 홀더에 설치되고, 상기 자기헤드가 기록위치와 비기록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자기헤드를 압압하는 헤드이동부재와,
    상기 헤드이동부재를 상기 광자기디스크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수단을 갖추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이동부재는 상기 홀더에 회동자재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헤드이동부재의 일단에 결합하여 압압하고, 상기 헤드부재를 회동하도록 이동제어하는 제어부재를 갖추고,
    상기 제어부재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광자기디스크에 대한 기록지시에 따라서 상기 헤드이동부재의 타단에 결합하는 상기 가세수단의 가세력에 대항해서 상기 헤드이동부재의 일단을 결합하여 압압하고, 상기 자기헤드를 기록위치에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의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광자기디스크에 대한 재생지시에 따라서 상기 헤드이동부재의 일단과의 결합이 해제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고, 상기 헤드이동부재는 상기 가세수단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회동되고, 상기 자기헤드를 상기 비기록위치방향으로 압압하여 이동하는 광자기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세수단은 상기 홀더의 천정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광자기디스크 기록재생장치.
  25. 본체부를 개폐하는 커버체를 폐색위치에 록하는 록위치와 상기 록을 해제하는 록해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록레버와.
    상기 록레버의 록해제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위치와 상기 록레버의 록해제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비규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규제수단과,
    상기 록레버를 상기 록위치로 향해서 가세하는 제 1가세수단과,
    상기 록레버와 조작부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부를 상기 록레버의 록위치와 동일방향으로 가세하고 또한 상기 제 1가세수단의 가세력에 의해 큰 가세력을 갖는 제 2가세수단을 갖추는 커버체의 록기구.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이 상기 비규제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조작부가 상기 록해제위치방향으로 이동될때, 상기 조작부와 동시에 상기 록레버가 상기 제 1가세수단에 대항해서 상기 록해제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규제수단이 상기 규제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조작부가 상기 록해제위치방향으로 이동될때, 상기 조작부만이 상기 제 2가세수단에 대항해서 상기 록해제위치로 이동되는 커버체의 록기구,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장착되는 기억매체에 대하여 정보신호를 기록가능하게 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기록을 지시하고,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조작부에 의한 기록지시에 따라서 상기 비규제위치에서 규제위치로 이동하는 커버체의 록기구.
KR1020017006952A 1999-10-07 2000-10-05 광자기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0665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728199 1999-10-07
JP99-287281 1999-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674A true KR20010080674A (ko) 2001-08-22
KR100665721B1 KR100665721B1 (ko) 2007-01-10

Family

ID=17715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952A KR100665721B1 (ko) 1999-10-07 2000-10-05 광자기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820274B1 (ko)
KR (1) KR100665721B1 (ko)
CN (3) CN1229798C (ko)
WO (1) WO20010261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640B1 (ko) * 2010-12-01 2011-06-03 김옥균 황토블록으로 이루어진 황토 침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황토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335A (ko) * 2004-02-05 2005-08-10 레이미디어 주식회사 초박형 슬롯인타입 드라이브 장치
EP1583079A2 (en) * 2004-03-30 2005-10-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ic head device and magneto-optical disc apparatus
JP4470861B2 (ja) * 2005-11-09 2010-06-0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搬送機構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CN101542621B (zh) * 2007-09-18 2011-08-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512B2 (ko) * 1974-12-18 1980-03-10
JPH04105284A (ja) * 1990-08-24 1992-04-07 Sony Corp 光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TW209901B (ko) * 1992-01-27 1993-07-21 Sony Co Ltd
JP3245257B2 (ja) * 1993-05-18 2002-01-07 株式会社リコー シャッタ開放装置
MY123588A (en) * 1993-08-26 2006-05-31 Sony Corp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for recording medium and damper mechanism employed in such apparatus.
JP3533681B2 (ja) * 1993-09-20 2004-05-31 ソニー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のイジェクト機構
KR0132857B1 (ko) * 1993-12-06 1998-04-18 김광호 광자기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헤드 승강장치
US5870367A (en) * 1995-07-03 1999-02-09 Sony Corporation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3799704B2 (ja) * 1996-01-19 2006-07-19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CN1516186A (zh) * 1996-11-20 2004-07-28 ������������ʽ���� 记录媒体的记录及/或再现装置
JP4016456B2 (ja) * 1997-07-28 2007-12-05 ソニー株式会社 カバー体のロック機構及び該機構を備えた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640B1 (ko) * 2010-12-01 2011-06-03 김옥균 황토블록으로 이루어진 황토 침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황토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9798C (zh) 2005-11-30
CN1501382A (zh) 2004-06-02
CN1510673A (zh) 2004-07-07
CN1327582A (zh) 2001-12-19
WO2001026108A1 (fr) 2001-04-12
US6820274B1 (en) 2004-11-16
CN1270312C (zh) 2006-08-16
CN1154102C (zh) 2004-06-16
KR100665721B1 (ko) 2007-01-10
US20050018548A1 (en)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721B1 (ko) 광자기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0605411B1 (ko) 디스크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디스크 카트리지의 이젝트 장치
JP2743525B2 (ja) ディスク用記録再生装置
JP4164725B2 (ja) カバー体のロック機構
JP3726800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95639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ローディング装置
KR101059493B1 (ko) 디스크 카트리지용 셔터 부재,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기록 또는 재생 장치
JP3858672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3151256A (ja) 電子機器、並びに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207104B2 (ja) 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のシャッター開放機構
JP3829222B2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情報ディスク装置
JP3985699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636488B2 (ja) 情報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
JP3799068B2 (ja) 記録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903771B2 (ja) 記録再生装置
JP3618230B2 (ja) 記録/再生装置
JP3667013B2 (ja) ディスク装填装置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H0281354A (ja) カセツト排出装置
JP3607092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743430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553774B2 (ja) カートリッジイジェクト装置
KR100187918B1 (ko)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및 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를이용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JP2990931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3091695B2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プレーヤ
JP3783679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